No video

건축가가 보는 침수와 누수, 갈수록 심각해지는 이유는?

  Рет қаралды 453,195

셜록현준

셜록현준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477
@Sherlock_HJ
@Sherlock_HJ Жыл бұрын
1993년에 나온 UN인구국의 자료에 근거해서 대한민국이 UN선정한 물부족국가라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실을 확인한 결과 UN 인구국은 공식 UN 기관이 아니라고 하여 'UN선정 물부족국가'란 표현은 잘못된 것이라고 합니다. 대신 물 전문가들은 대한민국을 물이 부족하고 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물 스트레스국가로 분류합니다. 물부족 계산은 총강수량에서 총유출량을 빼고 난 후이 값을 인구수로 나눈 것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인구밀도가 높아서 우리나라의 절반정도만 비가 내리는 영국보다도 더 부족한 국가라고 합니다.
@godstudio2385
@godstudio2385 Жыл бұрын
확실히... 건물 레벨에서부터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핸들링하는 기술 및 방식은 독일이나 북유럽의 환경선진국들의 그것들과는 기술격차가 있다고 봅니다. 비단 수자원 뿐만 아니라 자원을 재활용하고 재생해내는 분야에서는 더 크게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JP-su8ls
@JP-su8ls Жыл бұрын
물부족국가 아니라고 선동하는 사람들한테 선동당할뻔햇네요..
@kiyjy7
@kiyjy7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물 부족 국가는 아니지만 아끼고 대비해서 나쁠 건 없다 이겁니다.
@JP-su8ls
@JP-su8ls Жыл бұрын
@@kiyjy7 물부족 국가는 아니니까 물 막 써도 ㄱㅊ다는 애들이 문제
@JP-su8ls
@JP-su8ls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 수자원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데 물 막 써도 ㄱㅊ다는 애들이 문제ㅎㅎ
@user-gb8pg8mc2p
@user-gb8pg8mc2p Жыл бұрын
지나칠수 없는 제목이다
@kakhi0513
@kakhi0513 Жыл бұрын
지반 얘기 말고도 다른 이유가 있을 거 같아서 들어올 수밖에..
@sym11
@sym11 Жыл бұрын
지나칠 수 없는 썸네일이다
@lovetoken
@lovetoken Жыл бұрын
지나치려다 지나치지 못했다..
@brandlee5089
@brandlee5089 Жыл бұрын
물부족이라고 하면 안믿기시눈분들 있지만 도서지역(완도 지역의 섬들), 강원도 일부, 중남부 일부는 매년 가뭄으로 피해를 입고 있죠. 가뭄의 빈도도 날이 갈수록 조금씩 커지고 있고요. 특히 사람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가뭄의 피해가 점점 커지는 것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이런 내용을 반대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글 쓰네요.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하며, 풍성한 한가위 보내세요.
@user-lr2ty4gv3y
@user-lr2ty4gv3y Жыл бұрын
이건 물부족이 아니라 기후 이상 아닌가요? 물부족국가였던 역사는 없는데...
@user-ir1el4yb2m
@user-ir1el4yb2m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줄어드는건 겨우 2년동안 진행된 일이고 수천년간 늘어온게 있잖아요 물론 뉴스 영상으로 잘 안나와서 그렇지 여름에 비 조금만 덜오면 가뭄 생기고 그러는게 심한건 사실이지만
@EnNoaa
@EnNoaa Жыл бұрын
지방 사는 사람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근처 저수지에 가보면 얼마나 심각한지 눈으로 볼 수 있죠.
@user-zq6is7bl8l
@user-zq6is7bl8l Жыл бұрын
@@user-lr2ty4gv3y 무식한건 죄다 채현아.
@hoanch5052
@hoanch505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은 언제나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해서 좋네요. 정책 관련자들이 좀 보고 배웠으면..
@comaxTIC
@comaxTIC Жыл бұрын
결국 비용문제죠
@JP-su8ls
@JP-su8ls Жыл бұрын
@@comaxTIC 구래..걍 돈쓰지마..
@user-ir1el4yb2m
@user-ir1el4yb2m Жыл бұрын
돈보다도 볼 의지가 없는거죠 시민단체를 뚫어내고 봐야하는데
@hK-in2yy
@hK-in2yy Жыл бұрын
생각을 모샣서 안하는건 아닙니다 대비하면 이해관계가 첨예해서 정치적 이유로 절대 안건드리는게 문제죠
@junyeongpark165
@junyeongpark165 Жыл бұрын
@@coffeeice9941 추석 아침부터 존나게 꼬여있으시네 ㅋㅋㅋㅋㅋㅋ
@kakhi0513
@kakhi0513 Жыл бұрын
담수 보유국.. 예상치도 못한 답변이네요..! 새로운 관점을 부여해 주셨네요
@life_bdc
@life_bdc Жыл бұрын
어느 분야든 순리에 어긋나기 시작하면 문제 해결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것 같네요. 앞으로는 자연과의 조화를 생각하는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도시계획이 수립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ye2446
@hye2446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도 이야기하시다가 다른 전문가님의 책의 내용을 인용하시는 걸 보면서 진짜 뭐든지 전문가가 해야한다는 생각이 드네요ㅠㅠ 탁상공론, 탁상행정으로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들도 전문가들의 의견들로 잘 해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maerovingian
@maerovingian Жыл бұрын
놀라운 사실은 다 전문가들이 참여한다는 것이죠, 특히 도시급 프로젝트는 국내 전문가를 넘어 해외 저명한 전문가들까지 비싼 돈들여 영입해 프로젝트 진행하는데 나중에 결과물보면 읭? 아예 다른결과들이 나와있고 참 신기한 나라임
@lovingbean
@lovingbean Жыл бұрын
제가 사는 아파트는 누수문제가 심각한데 교수님 말씀을 들어보니 위에 옥상정원이 있어서 그런것같아요ㅠㅠ 왜 옛날아파트가 지붕모양인지 요즘아파트들이 왜 누수문제가 심한건지 알게되었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편집도 깔끔하고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되는것같아요. 유튜브로 이런 유익한 영상을 볼 수 있다는거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padong
@padong Жыл бұрын
공간이 주변과 얼마나 많은 관계를 가지느냐가 가치의 척도다! 감사합니다^^
@user-nj2fd7yk7m
@user-nj2fd7yk7m Жыл бұрын
전문가가 왜 필요한지를 알 수 있는 영상인듯 하네요. 학교에서 체벌금지하고 끝, 반지하 없애고 끝, 군대에서 병영생활 행동강령 만들고 끝. 이런 것하고는 비교할 수 없이 디테일하네요
@ndjdnd7920
@ndjdnd7920 Жыл бұрын
청소하시는분들 고생하시는데 진짜 담배꽁초랑 쓰레기좀 아무데나 버리지좀 마라 제발
@user-ir1el4yb2m
@user-ir1el4yb2m Жыл бұрын
그 사우디도 담배는 어케 못했다죠 담배는 답 없음 꽁초 재질을 물에 녹아버리게 설계하지않는이상
@user-sp9vp5uo6x
@user-sp9vp5uo6x Жыл бұрын
담배나 쓰레기를 길거리에 버리면 바로 총살하지 않는이상 거의 없어지지 않을듯 이미 너무 익숙해진 사람들도 많고 너무 편해서 말로하면 고쳐지기 힘들정도로 습관이 되어있음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user-sp9vp5uo6x 싱가포르처럼 다스려야죠.
@HEEHEE993
@HEEHEE993 Жыл бұрын
@@user-ir1el4yb2m 물에 녹게 설계하면 피다가 입에서 없어질수도 ㅋㅋ
@haepark5434
@haepark5434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처럼 대찬성 ☆ 약간의 독재가 필요한나라, 정치적으로나 국민들의 민도를 감안할때 꼭 ~~~ 필요함
@Kantbuil
@Kantbuil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설명은 진짜 학교 교양수업으로 듣고 싶습니다 너무 흥미롭고 설명도 잘해주시네요
@architectjk
@architectjk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미국에서는 FEMA(재난국?)라는 곳에서 Flood Map을 계속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그 Map에 따라 건축에 조건들이 생깁니다. Flood zone을 단계별로 지정해 두어 그 안에 건축을 하기 위해선 DEP(환경국?)에 먼저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연중 지하수위 검사도 해야 하구요. 해변가 같은 곳은 폭풍이 왔을때도 안전한 수위 레벨을 지정해 둡니다. 제가 지금 설계중인 집 중에 비치 하우스가 있는데 그 땅은 Flood level이 6피트라 집은 6+2 피트 이상 위로 올려 지어야 합니다. 8피트 미만은 주차장/ 창고정도만 둘 수 있고 그쪽으로 물이 들어올 경우 Flood vent등의 장치로 집 전체 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길어졌는데 한국도 Flood Map을 활용해 그에 따른 건축법규의 설정을 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마린시티나 포항 지하 주차장, 떠내려간 집등... 이런 일들은 방지를 해야죠.
@CreePathe
@CreePathe Жыл бұрын
집값이 떨어진다는 피셜이...
@birdy9756
@birdy9756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이미 있고 국토부에서 만들었는데 집값 떨어진다고 민원 들어올까봐 정작 만들어 놓고도 공개도 못하고 있었대요
@rohyunahsuper
@rohyunahsuper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일단 정책이전애 국민성부터 근본적으로 바뀌어야됨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birdy9756 이 나라가 자연재해로부터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아파트 거품은 철저히 무너져야 합니다.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그린벨트만으로도 난리인데 또 제한하면 땅주인들이 이제 실질적 보상을 요구할것임
@jomalonepost9625
@jomalonepost9625 Жыл бұрын
건축가의 시선과 셜록현준님만의 관점이 담긴 여러 주제의 영상들을 보며 저도 그만큼 다양한 생각들을 하게 되었어요. 평상시라면 생각하지 않았을 것들을 사고하게 만드는 영상 앞으로도 꾸준히 올려주세요! 👍
@user-rc9sl2go6o
@user-rc9sl2go6o Жыл бұрын
이 주제는... 아주 귀하군요
@robin.w506
@robin.w506 Жыл бұрын
최근 건축관련 공모전 주제들을 보면 대개 이런 이상기후에 따른 미래 건축은 어떨지, 원시 건축재료의 탐구등 과같은 주제가 많은것같아요 이번에 부산에 진행되는 oceanix 같은 프로그램에대한 교수님의 견해도 궁금합니다 !
@14x129
@14x129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을 보면서 자연의 중요성에 대해 많이 깨닫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도시속의 놀거리만 찾았다면 요즘에는 공원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거 같아요 학교에서 배우지 못했던 지식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Cali_
@Cali_ Жыл бұрын
Monsta X Kihyun brought me here.
@user-lf7xr3nd8o
@user-lf7xr3nd8o Жыл бұрын
침수 문제 해결 방법 얘기에서 빗물을 활용하는 얘기가 최재천 교수님도 최근 침수 관련 컨텐츠에서 비슷한 말씀을 하셨던 것 같습니다.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같은 이슈를 비슷하게 바라보는 점이 너무 재밌어요! 못 보신 분들은 같이 보면 재밌을거 같습니다.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Жыл бұрын
산의 물길을 막아 농업용수를 마련한 것은 대표적으로 포천의 '산정호수'가 있죠. 1925년 일제시대에 영북농지개량조합에서 광덕산의 물길을 막아 만든 저수지입니다.
@juvely4275
@juvely4275 Жыл бұрын
옛날부터 건축물에 대한 책이 재미있고 좋았는데 유독 이 교수님 설명은 찰지게 재밌고 이해하기 쉬워서 좋은거 같음.
@rkd2
@rkd2 Жыл бұрын
머지않아 몬베베로 가득 차게 될 채널..
@user-od7iv4dy8f
@user-od7iv4dy8f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물의 중요성을 더 깨닫고 도시에서 많은 홍수 방지 및 방수 노력을 하고 잘 이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네요:)
@woodverge
@woodverge Жыл бұрын
8:42 대학 때 연구했던 빗물정원 개념이 등장해서 반가웠습니다. 한국에서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지방에서의 시범공간 정도로 그쳐있는 상황입니다.
@Meunuaru
@Meunuaru Жыл бұрын
노는 땅이 있으면 제일 먼저 하는 게 '아파트 짓자'인 게 너무 안타깝습니다. 자연녹지가 있으면 녹지 그대로 활용하는 방향도 있어야 할텐데 맨날 아파트 짓자는 말만 하는 게 너무 안타까워요
@hyeni6094
@hyeni6094 Жыл бұрын
국토부장관이 교수님 같은 전문가가 되어야하는데..우리나라는 도시계획부터가 잘못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제주도도 도시계획만 잘 했다면 지금처럼 난개발 없이 자연을 헤치지 않으며 발전했을텐데 싶구요...많이 배우고갑니다.
@SUHABOUT
@SUHABOUT Жыл бұрын
헉..진짜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올려주셨네요. 감사해요!
@whitecar2237
@whitecar2237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정말 잘 봤습니다! 혹시 기회가 된다면 주차문제와 교통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keywest77
@keywest77 Жыл бұрын
팬으로서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oeplayer7851
@joeplayer7851 Жыл бұрын
건축가 님의 생각에 무조건 동의합니다, 담수화 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yykkhhh
@yykkhhh Жыл бұрын
유기현씨 추천으로 영상 보는데 되게 흥미롭네요 그이가 두번씩이나 추천하는 이유가…
@paulsaint2366
@paulsaint2366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용한 강의 감사합니다.
@redbsm1
@redbsm1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courtyard7561
@courtyard7561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세종시!!!!!에 교수님께서 전에 학교 건축 '스머프 마을' 마을처럼의 그런 형태의 학교 '유, 초, 중, 고' 가 다 합쳐진 운동장을 같이 쓰는 형태의 학교가 지어지고 있어요. ㅎㅎ 저런 형태의 학교는 한국 살면서 처음보네요. 좀 더 학교 건축이 발전 되었으면 합니다.
@sseokkor89
@sseokkor89 Жыл бұрын
물을 저장하고 흘려보낸다는 이야기를 듣는 순간 교수님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가우디가 떠올랐습니다. 가우디가 만든 구엘공원을 갔을 때 옥상벤치부터 아래쪽 기둥과 분수까지...비가 왔을때의 배수시설을 보면서 놀랬던 기억이 있는데요...이번편에서 말씀하신 내용과 구엘공원의 배수시설을 연관지어 현대식으로 아파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주시면 좋을것같아요. 뭐...예를들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자제로 아파트 단지 내의 1층을 구성하고 지하주차장의 기둥들 겉면이나 내부에 물길을 만들어 지하로 흘려보내거나 아파트 내에서 다른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지하저장탱크를 구축한다거나 하는 식으로요
@tv-cd5uy
@tv-cd5uy Жыл бұрын
저도 말하는 직업이지만.. 위화감없는 이 말솜씨는.. 부럽습니다.
@nazero302
@nazero302 Жыл бұрын
몬스타엑스 기현군 추천으로 왔습니다 흥미롭네요 시간 순삭이에요
@user-mq3mr8nr4l
@user-mq3mr8nr4l Жыл бұрын
한무영 교수님의 빗물에 대한 내용을 정책 입안하는분들이 많이 공감하고 반영해야할것같더라고요~^^ 셜록님 강의도 최고~
@brandlee5089
@brandlee5089 Жыл бұрын
의견과 사실 자료를 더하자면(11월 17일 기준), 현재 광주광역시의 식수를 제공하는 동복호, 주암호가 말라가고 있습니다. 현재 저수율은 30%정도로 현재 사용 빈도에 맞춰 계산하면, 올해 말 혹은 내년 3월 이전에 식수 제공이 어렵다고 합니다. 현재 동복댐, 주암댐이 제공하는 식수의 비중은 67% 가량이 가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수며, 25%가량이 식당이나 자영업자들이 사용하는 비중, 나머지는 기업이나 기타 용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난주 내린 비는 현재 해갈이 되지 않는 양이라서 이 추세대로 가면 3월부터 제한 급수가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방법을 강구하고 있지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물절약 위주의 캠페인)가 필요한 시점이네요. 참고로 도서지방은 더 심한편입니다. 완도의 도서지방의 경우, 주 4회 단수에 3회 물이 나오나 제한적인 사용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분명 스콜의 형태로 집중호우가 올해 7~8월 왔지만, 중부지방에 국한된 이야기이며, 현재 남부지방은 가뭄과 물부족으로 조만간 큰 사건 생길 수도 있다는 전망입니다.
@lupus1010
@lupus1010 Жыл бұрын
항상 교수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단 하나 제가 알고 있는 부분과 다른 부분이 있어 여쭙고자 댓글 올립니다! 3:42 에서 말씀하신 대한민국이 UN이 지정한 물부족국가라는 말에 대해 저는 그게 잘못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UN에서 물 부족국가란 표현을 한 적도 없고, (대한민국이 물부족국가라는)근거인 자료도 사막이 물풍부국가가 되는 등 오류가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전 정부... 아마 MB정부였던거로 기억하는데 정부에서도 "물부족국가라는 표현은 잘못되었다"라고 했던거로 알구요 원래 근거가 된 자료가 "인구대비 절대적 물의 양"만 따져서 물부족국가로 지정되었다는건데, 제가 아는 대로라면 오히려 "수자원 자체는 적지만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부족을 못느낌"이라는 말씀하신 것과 정 반대의 결과가 나오지 않나 생각되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아니면 이게 결론을 좀 과하게 앞서나간 것일까요??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그게 맞아요. 수자원 자체는 적지만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일부 시공사들이 하수구 설치하면서 엉망진창으로 시공하는 것도 원인이라고 합니다.
@v0lare
@v0lar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설명은 귀에 쏙쏙 들어와요. 이런 전문가적 견해를 행정청이 귀 담아 들어주시길 바랍니다. 참! 교수님! 힐튼호텔 철거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세대 건축물도 안전상 결함이 없다면 무조건 부술 게 아니라 보존하고, 리모델링 등의 방법으로 변화를 주면 좋을 것 같아요. 하나의 역사이고 남산의 또 다른 상징인 힐튼호텔이 철거된다니 뭔가 쓸쓸한 맘이 들어요. 건축가이신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kopazwashere
@kopazwashere Жыл бұрын
7:36 평평한 지붕 덕분에 눈이 와서 쌓이면 지붕이 무너져내리는 경우도 자주 볼수있죠... 삼각형 지붕도 설계 잘못하면 눈이 쌓여서 녹고 얼었다 반복해서 지붕 닿는층은 얼음이 되는데, 그걸 밀치거나 떨어진다면...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자히아
@자히아 Жыл бұрын
진짜 이제는 제발 관심을 가져야 할텐데
@Mini-ik2nr
@Mini-ik2nr Жыл бұрын
오늘 우연히 처음 듣게 되었는데, 진짜 멋진 분이신거 같습니다. 말씀하시는 하나하나가 이해하기 쉽습니다. 구독 박고 갑니당~^^ 감사합니다.
@Through.the.Night.
@Through.the.Night. Жыл бұрын
또 태풍온다는데 걱정입니다. 왜 진작 빗물을 잘 이용할 생각을 안한건지..
@ustedakim7439
@ustedakim7439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잘 봤습니다!!
@user-bb1cz3sn1i
@user-bb1cz3sn1i Жыл бұрын
우수 저장고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씀 공감입니다
@user-wk6ue2ce1b
@user-wk6ue2ce1b Жыл бұрын
아파트 지하주차장 문제 꼭 다뤄주세요 교수님
@smp2484
@smp2484 Жыл бұрын
역시... 관점이 다릅니다. 형님의 목소리에 힐링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user-se6rh6cs7u
@user-se6rh6cs7u Жыл бұрын
3:31 에 54t 이라고 해서 너무 적은 거 아닌가 해서 찾아보니 54만t이네요. 혹시나 해서 적어봅니다.
@runxenon
@runxenon Жыл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 오른쪽 즉 서초1동 오른쪽부터 싹다 잠겼다고 보시면 됩니다. 서리풀 산자락의 끝이 그곳인가보죠 10년전에도 무지개아파트 싹다 잠겼었는데 역시나 이번에 그랑자이 잠겼고 희한하게 친구 신동아 사는데 신동아근처 도로는 다 잠겼는데 아파트랑 주차장은 전혀 안잠김 신동아가 아주 살짝 올라가 있는듯 하네요 신동아가 요물일세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서초동 신동아 아파트 가치가 주변보다 높아지겠군요.
@kshieymoun
@kshieymoun Жыл бұрын
이 곳이 바로 유기현이 보는 채널인가요?
@joochoi2017
@joochoi201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배운게 많으신분이라 생각됩니다.. 존경스럽습니다. 책 추천 해주는 영상도 부탁드립니다❤
@user-de5he4lc6m
@user-de5he4lc6m Жыл бұрын
담배피시는분들 제발 담배꽁초 아무데나 버리지말고 침좀 뱉지 맙시다
@eunkikim1880
@eunkikim1880 Жыл бұрын
흡연부스 안 만들면 안 바뀜
@user-dg4rg4ly4m
@user-dg4rg4ly4m Жыл бұрын
@@eunkikim1880흡연구역 주변이 담배꽁초 핫플임
@tails4213
@tails4213 Жыл бұрын
@@eunkikim1880ㅇㅇ비흡연자지만 맞는얘기
@bbiak85
@bbiak85 Жыл бұрын
담배에 붙어있는 어마어마한 세금으로 흡연부스 좀 만들어주지.. 하다 못해 쓰레기통이라도 있으면 거기 버릴텐데 5분 넘게 꽁초 들고다녀도 길밖에 버릴데가 없음..
@user-ci7hw8us8z
@user-ci7hw8us8z Жыл бұрын
현재 싱크홀이 사회문제가 된지 이제좀 되었는데 지하수 가 거기에 연관되어 있다고 도 들었던거 같은데 이부분도 중요한거 같아요 좀더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user-qf1up6ro5y
@user-qf1up6ro5y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댜
@rmmmm2728
@rmmmm2728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다음 주제는 힐튼호텔에 관한 이슈를 다뤄주시는건 어떨까요? 대한민국 현대건축의 가치와 역사를 담고 있는 건축물인 만큼, 국민들도 이러한 문제를 어떠한 시점으로 보아야할지 아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neoedward2767
@neoedward2767 Жыл бұрын
쓸데없는 이야기지만 썸네일의 사진은 진짜 올해의 퓰리처 상 후보감이다..
@kiyjy7
@kiyjy7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이런 집중호우의 빈도수와 강도가 더 심해질텐데 대비가 더 필요해 보입니다... 강남 같은 상습침수구역은 빗물펌프장이 최소 두 군데는 있어야 하고 도로 포장도 빗물을 흡수하는 소재로 바꿔야 합니다.
@user-mr6xx6cj5e
@user-mr6xx6cj5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과제 를 해결 했더니 대학원에 들어가게 생겼습니다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Жыл бұрын
체널 초창기에 소재요청 받을때 올렸던 소재였는데 기후변화로 점점더 빈번해지는 홍수문제.
@msgreenhill000
@msgreenhill000 Жыл бұрын
당빠 옛날엔 바닥이 다 흙으로 되어있으니 건물도 없고 하니까 홍수나면 알아서 물이 흘러흘러갔는데.. 현대는 다 콘크리트로 짓고 아스팔트로 땅 메꾸는데 물이 흡수되질 못함.. 그래서 억지로 배수로 만들고 돈이 더 듦..
@mintmochaa
@mintmochaa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도시 이야기, 건축 이야기라 더 좋았습니다. 어느 날 세계지도를 보니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정말 높더라구요. 다른 나라만큼 넓디넓은 주택지 확보는 어렵겠지요? 오늘부터 추석 명절이라 어르신들이 사시는 주택가나 아파트는 주차난이 심각합니다. 우리나라만의 골목길 감성 참 좋아하는데요, 앞으로 우리나라 도시 계획에 이 골목길을 얼마나 보존하고 문제점은 어떻게 보완하는 것이 좋은지 교수님의 의견 궁금해요.
@soojeongchoikim5166
@soojeongchoikim5166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잘봤어요. 고맙습니다.
@birdy9756
@birdy9756 Жыл бұрын
오늘 조선일보 칼럼에 쓰신 내용이군요!
@Ironbird161
@Ironbird161 Жыл бұрын
메모) 부동산의 가치를 올리려면 관계를 해야 한다.
@user-dy6nb6wk6u
@user-dy6nb6wk6u Жыл бұрын
제가 상하수도하는 사람이고 상하수도기술사인데 침수피해 원인은 현재 기준은 1시간 기준 30년빈도인데 95미리 이번에는 동작구기준 시간당 140미리 이상이 오다보니까 침수가 될수밖에 없는상황입니다. 그냥 편하게 말씀해주시면 되시는건데 현재 서울이 아스팥트로 불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빗물이 침투가 안되는것 뿐입니다.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세금이 투자되어야 하기때문에 강우에 설계빈도를 높이기가 힘들뿐입니다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도로포장재와 보도블럭을 모두 '투수성'으로 교체하는 게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봅니다.
@ksjssj383
@ksjssj383 Жыл бұрын
말하는거보니 걍 노가다인듯 ㅋ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Жыл бұрын
그 세금은 거기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분담해야 할 것이죠. 결국 처음부터 그런걸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천문학적 비용으로 불어난겁니다 그리고 이제는 국가재원 투입하지 않으면 해결 못하게 된 상태이죠. 정작 땅값으로 이득보는건 그들인데
@Anthony_Davis
@Anthony_Davis Жыл бұрын
@@troosimimimmi 전국에서 세금 제일 많이 내는 사람들이 어디에 살고 있을 것 같으세요. 오히려 부자가 낸 세금으로 가난한 지역만 고치다가 부자마을이 피해본 사례라고 봐야겠죠
@user-dy6nb6wk6u
@user-dy6nb6wk6u Жыл бұрын
​@@jinyongkong7037 다 얘기가 나왔었나요? 그래도 내가 건축쪽에서 얘기하는 것보다 내가 토목 쪽에 전문가여서 얘기를 한건데 도대체 내가하는 얘기가 어디서 나왔는지 8월달 침수는 30년에 기준이 95미리로 기준을 잡는데 140미리가 오다보니 그런건데 전문가 입장에서 얘기해봅시다
@user-dn1tj4zp6r
@user-dn1tj4zp6r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유익하다 물과 관련된것 더 해주셨음 좋겠어요 !
@getme7270
@getme7270 Жыл бұрын
서울같은 대도시도 문제지만 지방도 마찬가지임 한적한 거 같은데도 그런 비가오면 물을 관리할 수 있는 그런 시설은 전무함 ... 이제 개인집이든 아파트든 공공개발이든 물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빗물관리 시스탬을 먼저 생각하고 설계하고 지어야 할듯 합니다
@whatwhat2451
@whatwhat2451 Жыл бұрын
그 대단한 박우영우원순이 반대했던 빗물 터널... 그게 진행됐더라면... 3선 동안 발전이 없었다...
@user-if7im7ct4x
@user-if7im7ct4x Жыл бұрын
인싸이트가 정말 놀라워요!
@up_ofj
@up_ofj Жыл бұрын
저도이부분을 생각해서 중학생때 고민한적있는데 땅을너무높은층으로덮는다라고말했죠 어린시절에는 원래땅까지구멍을내놓아서 물이 지하수로흘러가게만들자라고도생각했었던
@user-yu6yz9nc7z
@user-yu6yz9nc7z Жыл бұрын
그럼 이번 겨울에는 성수동 눈은 잘 치워 주겠네요. 예전에는 방치 였었요.
@user-qj1ib3ey5e
@user-qj1ib3ey5e Жыл бұрын
수도물이 새는게 많습니다. 그리고 물값이 싸서 수도관 정비해도 낭비합니다. 통일신라 무열왕부터 담수로 농사를 지어 살았다는데 차령산맥쪽에서는 소로리가 점성도가 만이천년전부터 발견되니 팔구천년 전부터 녹는 빙하 물을 이용해 농사를 지었겠네요. 천오백년 된 담수 농법의 유전자가 있다고 하면 사업이 잘되겠네요.
@closetotop
@closetotop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user-im3xr4ni7n
@user-im3xr4ni7n Жыл бұрын
그럼 빗물저장장치를 만들고 스마트농업을 아파트나 공원믿에 만들어서 식당이나 서울시민들에게 공급을 한다고 한다면 어려가지 도움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violet20257
@violet20257 Жыл бұрын
와~ 도로와 도로 사이에 오목한 조경...좋은 아이디어네요...^ ^
@user-me8kj8wg2w
@user-me8kj8wg2w Жыл бұрын
와~넘 재밋고 솔깃하고 두근대고... 감사합니다
@user-oy3fi2tk3g
@user-oy3fi2tk3g Жыл бұрын
무분별한 건물 건설로 나라가 살곳이 좀더 좁아지고 있다는 거기도 하네요
@__Kimes
@__Kimes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올해도 이영상을 보게되었습니다 ^^
@yellowradishaddict
@yellowradishaddict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xx5ys6hw9w
@user-xx5ys6hw9w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번 강남 침수 때문에 집을 못 갔었죠...ㅋㅋㅋㅋㅋㅋㅋㅋ 독서실에서 나오는데 맨홀뚜겅이랑 물 흐르는거 보고 많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들었죠... 다음날이 전공설명회 날이었는데 못갔고요...허허...전화할때도 어이없었는데...도로가 침수되서 못가요...ㅋㅋㅋㅋㅋㅋㅋ
@user-ib6pl6iy7z
@user-ib6pl6iy7z Жыл бұрын
저수지 원래 산골에 많죠
@MegaOscillation
@MegaOscillation Жыл бұрын
사실 교수님이 이야기하는 현실적 대안들은 현장의 누군가가 이미 제안하고 목소리를 냈을지도 모르는데 문제는 힘이 없음..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유현준 교수님 같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지신 분이 목소리를 내주셔야죠.
@MegaOscillation
@MegaOscillation Жыл бұрын
@@jinyongkong7037 그래서 교수님 좋아하는거긴한데 항상 응원하면서도 회의적인 생각도 같이 들기도 하고 뭐 그렇네요
@JP-su8ls
@JP-su8ls Жыл бұрын
그랭..아무것도 하지말장!
@user-ie9zj7cp7v
@user-ie9zj7cp7v Жыл бұрын
통찰력있는 강의
@kimyong850729
@kimyong850729 Жыл бұрын
와 인간이 이정도로 박식하고 말을 잘할수가 있구나 … 볼때마다 감탄하고 갑니다 … 존경합니다 교수님
@MOMO-tm
@MOMO-tm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어째됬든 기후는 바뀌는거고 그걸극복하는건 인간임. 아무리 해답을 찾아도 경제원리를 벗어날수는 없을겁니다
@user-vr3lo4kx7h
@user-vr3lo4kx7h Жыл бұрын
오늘날의 토목 과학기술이면 어느정도 해결할수있는데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결국 한국은 정치의 문제죠 한국에서 건축은 토목이고 토목은 특정세력에겐 적폐의 대상이니까 흡수할 지반이 없으면 빠져나가도록 구멍을 만들면 되죠 그걸 안하고 반대하고 저항하고 나중에 그러다 일생기면 부수적으로 죽음 이용해 정치에 이용하고 한국은 식민지해방후 반대를 물리치고 일어선 역사가 아닐까 싶음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LucyCassiopeia
@LucyCassiopeia Жыл бұрын
진짜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정보다❤
@hm-bu2uz
@hm-bu2uz Жыл бұрын
강남 예전에도 양재천 넘치고 강남역 침수되고 우면산 터널 잠기고 그래왔어요. 박시장 서울 담당하실때에는 하수구 청소 등 미리미리 방지활동했는데 이번에는 하수구 청소 예산 줄여서 아무도 신경 안쓴게 크지요. 이 부분은 이야기 안하시네요… 단순히 기후이상만 문제가 아닙니다. 얼마나 관리하느냐 얼마나 신경쓰느냐 중요하죠.
@plzen99
@plzen99 Жыл бұрын
또 집중호우 피해가 심각합니다. 도시마다 쓸데 없는 조형물 상징물 만들지말고 이런 시설을 다하면 문제가 없겠죠. 하지만 절대이럴 일 없습니다. 국민당이고 민주당이고 눈에 보이는 사업을 하지 해도 사고없이 본전인 사업을 할리가 없으니까. 시민이 감시하는 정치가 돼야 되는데 당분간도 그럴일 없겠죠.. 그녕 또 시민들은 올해도 내년에도 비피해로 고통 당할 뿐..건물주들도 방수 시스템 안한다매요. 소문나서 집값 떨어질까봐...
@vamp_c502
@vamp_c502 Жыл бұрын
태풍 이름은 확실히 기억나지 않지만, 그 엄청난 태풍이 강타했을 때 비탈길이었던 초등학교 정문의 물살이 너무 세어지자, 교장 선생님께서 억수같이 내리는 비바람 속에 정문 반대편 학교 담벼락을 도끼만한 큰 망치로 부수시던 모습이 기억납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서 엄마가 다른 엄마들보다 더 빨리 안 데리러 왔다고 온갖 불평불만, 투정, 짜증 부리다가 기분 푼다고 피아노 뚜껑 열어서 베토벤 저리가라 건반 두드리는데 어머니께서 냅다 달려오시더니 오늘은 조용히 있자 그러시더군요. 당시 살던 아파트 옆에는 소위 (불법) 판자촌이 있었는데 그 날 피아노 금지당한 뒤 베란다에서 내려다봤던 그 판자촌은 아비규환이 따로 없었습니다. 지붕 무너지고, 흙탕물에 세간살이 다 떠내려가고, 땅바닥에 주저앉은 아줌마 울음소리. 사람들 저런데도 넌 피아노 칠 수 있겠니? 그 때 너무 어렸는지 아니면 내 또래에 비해서 EQ가 엄청나게 부족했는지, 그 질문이 이해가 잘 안 가기도 했고, 오히려 궁금증에 던진 질문. “왜 판자촌에 사는데?” 답변은 얻지 못 했고, 아버지가 돌아오셨을 때 어머니가 아주 걱정스런 표정으로 (우리 애가 혹시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소시오패스 아닐까 이러셨을 것 같은 ㅋㅋㅋ) 내가 그 날 하루 저지른 일, 질문들에 대해 고자질 하실 때 역시 세상은 참 복잡한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나름 머리가 커진 지금, 그 비슷한 질문들을 지금도 하고 있죠. 물론, 벽을 깨지 못 한 채 현실 자각 타임을 가지는 스스로에게도… Dionisio Gonzalez 작품을 감상하러 간 적이 있는데 주로 슬럼가, 빈민가 혹은 자연재해 발생이 잦은 지역의 거주지를 기발하게 재디자인했다고 할까요? 그러니까 가상을 실제처럼 보이게 만든 작품. 건설이 실제로 진행된다 하여도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의구심이 생기기도 하지만, ‘세상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것은 재미있다’는 작가의 시선이 느껴지기도 해서 모두가 자연재해 피해없이 사는 꿈을 잠시나마 꾸기도 했습니다. 또 에세이처럼 길어지는 댓글에 자체 검열을 해야 겠네요. 추석입니다. 별똥별들을 쏘아 보내고, 제일 밝은 보름달을 창 가까이 띄울게요. 사랑한다는 말이에요. 좋은 꿈 꾸시길 바라요.
@user-rv5wm7kq7i
@user-rv5wm7kq7i Жыл бұрын
풍수지리상 강남역은 물,사람,돈이 모이는 지역으로 길지이며,흉지라고 하네요.
@dreamingmachin8262
@dreamingmachin826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누구보다 싫어 하지만 도쿄에 있는 지하신전 초거대 빗물 저장소 이런 시설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koreanteacherjihyun7888
@koreanteacherjihyun7888 Жыл бұрын
학교가 왜 지진대피장소에요? 학교 근처에서 그 지진대피소라고 항상 쓰여 있어서요. 지진 설계가 잘 되어 있어서? 그냥 공공장소로 넓고 그런 점 때문에? 궁금하네요~
@MOMO-tm
@MOMO-tm Жыл бұрын
네 건물이낮고 평지(운동장)가 넓어서요
@ummin3424
@ummin3424 Жыл бұрын
표지... 홀린 듯이 들어왔어요...
@user-jd2gi5wd8z
@user-jd2gi5wd8z Жыл бұрын
언제나 감사 ~~~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저희아파트 옥상은 지붕모양이라 불만이있었는데 더 좋은거였네요 ㅎ 앞으로 물이 중요하다는걸 공감합니다 항상느끼는거지만 베란다있고 화단과 나무가많은 옛날아파트가 최고인거같아요^^
@user-wi6tc2cl9q
@user-wi6tc2cl9q Жыл бұрын
"The local project"라는 제 최애 건축, 인테리어 채널이 있습니다 정말 멋진 주택들이 소개되는 채널인데 우리나라에선 왜 저런 멋진 주택들이 지어질 수 없는지 실질적인 이유가 궁금하네요
@user-qk4ks6qi9x
@user-qk4ks6qi9x Жыл бұрын
도로 중앙 조경부분을 오목하게 만들면~ 혹시 싱크홀 발생을 가속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볼록형태보다 더 많이 지면으로 흡수된다는 것은 그 안의 흙을 쓸어내린다는 이야기가 되니까요 ~ 혹시 그런일이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봤습니다~
Survive 100 Days In Nuclear Bunker, Win $500,000
32:21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59 МЛН
ISSEI & yellow girl 💛
00:33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
00:43
Kan Andrey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The Giant sleep in the town 👹🛏️🏡
00:24
Construction Site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조선과 미국, 그림에 숨겨진 도시 생활
19:53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318 М.
돈과 꿈에 대하여 : 상담소 A/S
13:29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649 М.
[2탄] 유현준 교수와 알아보는 [미국 vs 중국] 독특한 건물 @Sherlock_HJ
14:26
Tour of Cheong Wa Dae, the President's Space
18:25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903 М.
Survive 100 Days In Nuclear Bunker, Win $500,000
32:21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5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