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이 밝혀낸 존재하지 않는 시간 ㄷㄷ (시간 여행이 정말 가능할까?) ㅣ과학을 보다 EP.51

  Рет қаралды 903,099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정영진님과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님, 미생물학자 김응빈 교수님, 천문학자 우주먼지님을 모시고 ‘시간의 비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1:05 레이저의 빛은 왜 퍼지지 않을까?
05:13 빛의 속도로 다가가면 빨리감기처럼 보일까?
08:57 빨리 움직이면 시계가 정말 느려질까?
10:27 장내미생물은 언제부터 생기는 걸까?
13:23 몸 전체 세포의 수보다 많은 미생물들
20:17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25:42 빠르게 이동하면 실제로 느리게 가는 시계
30:15 시간을 되돌릴 수 없는 이유
32:25 시간이 지나면 생명체들은 더 다양해질까?
📖 '과학을 보다'가 첫번 째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예스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각 서점에서 온, 오프라인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과학 #우주 #생물

Пікірлер: 995
@kimyesbio
@kimyesbio 3 ай бұрын
장내 미생물에서 보듯이 세균을 비롯한 미생물은 우리 삶에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하지만 일부 세균이 감염병을 일으켜 인류를 초토화할 만큼 전쟁보다 더 참혹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고 세계사의 흐름을 바꾸기도 했습니다. 감염병을 일으키는 세균은 훨씬 소수이고, 대다수 세균은 우리 인간은 물론이고 지구에 사는 모든 생물이 삶을 이어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말입니다. 이처럼 세균은 우리가 절대로 간과해선 안 되는 양날의 검 같은 존재입니다. 이러한 세균 이야기를 tvN 140회 ‘인류의 적! 끝나지 않는 세균과의 전쟁!’ 편에서 펼쳐보겠습니다. 다음 주 화요일(27일) 밤 10시 10분에 방송됩니다!
@Tandurii
@Tandurii 3 ай бұрын
🎉🎉재밌게 보겠습니다 교수님 ㅋㅋㅋ
@dure5413
@dure5413 3 ай бұрын
아아니 여기서 기습 홍보를 하고 봤더니 교수님이시군요 ㄷㄷㄷㄷ
@MrSkykl
@MrSkykl 3 ай бұрын
너무 기대돼요. 본방 사수할게요😊
@rlawnqls159
@rlawnqls159 3 ай бұрын
한 없이 작은 한 없이 위대한 ㄷㄷ
@donghyunkang3436
@donghyunkang3436 3 ай бұрын
ㄴ난
@user-ol9yr3bu4s
@user-ol9yr3bu4s 3 ай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은 정말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주는 화법을 가지고 계시네요, 나와 다른 상대방의 의견도 존중하고 충분히 공감도 해주시고, 웃어주시는게 정말멋지십니다
@jupiterj2969
@jupiterj2969 Ай бұрын
다른 프로에 나가선 사후세계를 단호하게 부정하며 비웃기 까지 하던데, 지는 무슨 연구도 제대로 안해놓고 과학자들이 부정한다고 고대로 믿고있음. 지금은 임사체험에 대한 연구가 꽤 발달해 있는데 말이지
@RainbowParrot
@RainbowParrot 3 ай бұрын
키야... 정영진MC 능력이 진짜 대단하다... 교수님들 설명도 탁월한데, 그걸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해주는 호응이나 질문을 보면 MC 능력도 진짜 좋음
@user-sc1kw9lv5d
@user-sc1kw9lv5d 4 ай бұрын
전 보다에서 정영진님이 예상치 못한 질문하고 그걸 들은 과학자 분들이 놀라거나 웃거나 감동하면 참 기분이 좋더라구요
@user-vz6oj5ig6g
@user-vz6oj5ig6g 3 ай бұрын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말하는 과학자님이 저는 존경스럽습니다.
@user-nh3rk9ot2m
@user-nh3rk9ot2m 3 ай бұрын
내가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진정한 앎이죠. 김범준 교수님은 이런 면에서 특히 더 존경하게 됩니다. 반면에 모르는 것을 잘 아는 것처럼 얘기하는 사람을 제 2형 바보라고도 하죠. ('제 2형 바보'라는 단어는 방금 지어낸 제 1.5형 바보의 개그 .. 퍽~)
@vv720
@vv720 3 ай бұрын
시간같은 붕 뜬 헛소리하면서 날라다니지 말고 니들이 말하는 시간은 세포들의 생명주기다 몇번 분화하고 스트레스상황시에 유전이 어떻게 변해서 세포들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개인들이 변화하고 그 개인들의 유기적 상황에 따라서 어떻게 되느냐 이니까 헛소리좀 그만 하고 실질적인 이야기를 할 재능이 너희들은 없어
@user-nh3rk9ot2m
@user-nh3rk9ot2m 3 ай бұрын
@@vv720 상대성 이론 관련해서 나온 얘긴데 뭔 세포같은 소리를 꺼내시나? 인공위성에서 gps로 지표상의 위치를 알려줄 때, 인공위성의 중력(지상보다 시간이 빠름)과 속도에 의한 시간지연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고 계산해서 보정해주는 결과값으로 지도상에서 내 현재 위치가 나타나고 있는 건, 현실에서 적용되고 있는 자명한 사실이구만. 이처럼 실제 생활 속에서도 증명된 현상들과 관련해서 정 엠씨가 질문한 문제를 얘기하고 있는 건데, 방향을 엉뚱한 쪽으로 잡으시네.
@NfK
@NfK 3 ай бұрын
@@vv720시간같은 붕 뜬 헛소리(상대성 이론 계산이 적용된 gps를 사용하며)
@hrj1881
@hrj1881 3 ай бұрын
​@@vv720 니 세포는 조상님이 반물질로 만들어주셨냐? 뭔 개소리여 세포보다 더 작은 세계를 물리/화학으로 이야기하는데 헛소리 하는 건 너다 유전은 부모의 형질 및 유전자를 자손에게 전해준다느 개념이다 스트레스 상황에 유전이 변해? 유전이 변한다고? 니 스트레스 받으면 니 얼굴이 부모랑 다르게 바뀌냐? 용어 하나도 제대로 못 쓰는 놈이 대체 나오는 분들이 어떤 분들인데 함부로 재능이 어쩌니 붕 뜬 헛소리한다는 둥 지껄여 동네 무지랭이가 한글 배워서 안다고 학교 선생 무시하는 소리하네
@pinkblack903
@pinkblack903 3 ай бұрын
진행자님이나 박사님 교수님들이 너무 순수하시고 편해서 과학을 보다를 보는게 참 편하고 포근하고 안락한 이불속에 잠을 자는 기분인데 끝나면 아침에 일어나는 기분이다. 일어나기 싫다 더 자고 싶다 다음부터는 한 시간 해줘요
@user-ty5ne4qq6r
@user-ty5ne4qq6r 3 ай бұрын
영원히 자세요
@vincentianam3587
@vincentianam3587 3 ай бұрын
저는 70대 여성인데 매번 ‘과학을 boda’를 보면서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궁금했던 것, 처음 듣는 것, 불확실하게 알고 있던 것들에 대한 의문을 풀수있게 되었습니다. 남녀노소 많은 사람들이 이 채널을 구독하여 세상을 보는 지평을 넓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juxw_vv
@juxw_vv 3 ай бұрын
너무 멋있으십니다 😊
@user-tn1xq7uu9j
@user-tn1xq7uu9j 4 ай бұрын
조선실록에 기록된 여러가지 천문미스테리를 역사학자님과 지웅배박사님께서 재미있게 풀어주셨음 좋겠어요~~
@sanzo213
@sanzo213 3 ай бұрын
오오 좋네욯ㅎ
@Juna_a
@Juna_a 3 ай бұрын
​@@djcjfisjsq 농경사회에 천문학이 얼마나 중요한데 무식한발언을 ㅋㅋ
@dr.imhotep6861
@dr.imhotep6861 3 ай бұрын
국뽕하라고 천문학 하는거 아닙니다
@kimbanwol992
@kimbanwol992 3 ай бұрын
​@@djcjfisjsq 조선 태조때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보면 굉장히 정밀한데 태조때 벌써 이정도의 물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조선 이전부터 뛰어난 천문학 기술을 보유했다는것을 알 수 있음, 더 옛날로 가면 삼국시대때부터 천문학이 꽤나 발달했었음
@user-pv7io1rr2w
@user-pv7io1rr2w 3 ай бұрын
​@@djcjfisjsq당연히 알았죠...?
@TheHjjin
@TheHjjin 3 ай бұрын
사회가 능수능란함. 재밌게 풀어 주시는 과학자분들과도 아주 조화롭고 최고입니다.
@user-lu4ck1nd1x
@user-lu4ck1nd1x 3 ай бұрын
헐ㅋㅋ신기해요ㅋㅋ(이해못함)
@user-ft9cg6ri1v
@user-ft9cg6ri1v 2 ай бұрын
진짜 개신기(먼말인지도통모르겟음)
@user-qw6vj2wv8e
@user-qw6vj2wv8e Ай бұрын
우와 재밌다(뭔내용인지 기억안남)
@Hyundai1009
@Hyundai1009 Ай бұрын
정말 감명 깊었습니다(숙면취함)
@user-bh5qt8ox3y
@user-bh5qt8ox3y 16 күн бұрын
​@@Hyundai1009ㅋㄱㅋㄱㅋ숙면ㅋㅋㅌ
@user-ee6mx3ft5w
@user-ee6mx3ft5w 6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ng9738
@ming9738 4 ай бұрын
5:22 과학을보다 최초 ㅋㅋㅋㅋㅋ
@sjk7144
@sjk7144 4 ай бұрын
17:02 김응빈교수님의 좋은질문인데요도 최초.. 역사깊이 남을 영상이네요
@gunlee1422
@gunlee1422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좋지않은ㅋㅋ
@user-yw3vw8rz2b
@user-yw3vw8rz2b 27 күн бұрын
5:22 질문에서 생각난건데 빛말고 소리로 바꿔생각해보면 1초에 한 음씩 (도레미파)높아지는 소리가 꾸준히 흘러나오는 스피커를 향해 음속으로 달려가면 0.5초마다 한음씩 올라가는것처럼 들릴수도있단말도 되지않나요?
@unirone
@unirone 3 ай бұрын
매번 이런 좋은 영상을 볼수 있는 기회를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쭉~ 계속되길 기원합니다.
@skh1043
@skh1043 3 ай бұрын
독자들 질문, 진행자 질문, 각분야별 박사님들의 발언시간, 진행자의 자연스러운 진행, 위트있는 마무리. 이번회차 과학을 보다는 원탑이네요
@anhae6139
@anhae6139 4 ай бұрын
과학을보다 최초 좋지않은 질문 타이틀 너무 뿌듯하네요!! 궁금증이 해결 된 건지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us3gr3qm3r
@user-us3gr3qm3r 4 ай бұрын
질문자세요?ㅋㅋㅋ
@user-sq8lw4fk9z
@user-sq8lw4fk9z 4 ай бұрын
과학자조차 이해하지 못할 질문을 던진 질문자분이 어쩌면 천재일지도
@user-dy7ki5hv3m
@user-dy7ki5hv3m 4 ай бұрын
제가 설명드릴수있는데, 3차원 관점으로만 보니 이해하기 어려운건디
@billykim7179
@billykim7179 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ldyfj
@ldyfj 3 ай бұрын
똑같은 궁금증을 갖고 있었는데 덕분에 여기서 이 얘길 들을수 있게 되었네요
@user-pv2ny2fo2j
@user-pv2ny2fo2j 3 ай бұрын
와 항상 재밌었지만 오늘은 특히 더 재밌는거 같아요. 오프닝 질문은 정말 궁금하고 다음주가 기대되네요.
@user-dy3hb8ue4l
@user-dy3hb8ue4l 3 ай бұрын
생물학 교수님은 늘 스윗하셔~~😘🙂
@oh2138
@oh2138 3 ай бұрын
물리학 얘기할때는 생물학 교수님도 항상 같이했다고 하시는게 재밌네요ㅋㅋ
@clrla9397
@clrla9397 3 ай бұрын
생물학 교수님은 굉장히 신중하신 분이고 물리학 교수님은 호기심이 넘치시는 분인 듯..
@rabbit4962
@rabbit4962 3 ай бұрын
보다 미치도록 조아요 ! 물리학, 천체학 이해하기 어렵지만 너무 재밌습니다.
@pp0ppoable
@pp0ppoable 3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네분 사랑합니다~
@user-df5iv4kz4j
@user-df5iv4kz4j 3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너무 재밌어요, 과학을 보다때문에 처음으로 비용 지불해서 가입했어요!! 앞으로 더욱 유익한 정보들을 잘 부탁드립니다!
@han_do_hyeop2018
@han_do_hyeop2018 3 ай бұрын
생물학박사님의 대사편집속도 잘 하셨네요 딕션속도가 좋아졌어요👍
@bbsisking
@bbsisking 4 ай бұрын
응빈교수님 넘 조아염
@unirone
@unirone 3 ай бұрын
와우~ 영상 초기의 시청자 질문의 수준이 어마어마 하네요...
@Beyond_Boy_9460
@Beyond_Boy_9460 3 ай бұрын
정프로님 멘트가 너무 재밌어요~~
@geniusara
@geniusara 3 ай бұрын
이 네 분의 조합이 제일 좋아요.
@user-bu1np1fl5c
@user-bu1np1fl5c 3 ай бұрын
언제나 재밌게 보며 하루를 마무리 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fo5it7vd2v
@user-fo5it7vd2v 2 ай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 프로입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leandust530
@cleandust530 3 ай бұрын
살아보니.. 조금 알게된게, 모르는걸 모른다고 알 수 있고 말 할 수 있을려면, 많이 공부하고 노력해야 하더라고요. 정말 멋진 방송입니다. 협찬도 좀 많이 들어와서 오래갔으면...
@PaperBackS100
@PaperBackS100 3 ай бұрын
오늘도 엔트로피 하나 투척하고 갑니다.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user-lr3ql4co9i
@user-lr3ql4co9i 3 ай бұрын
빛의 속도를 기울기 1로 해놓고, 반물질인가 -1로 기울기로 해보면 우리는 못가는데 존재하는 시간선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godelkurt8347
@godelkurt8347 2 ай бұрын
​@@user-lr3ql4co9i논문이나 영상 좌표좀 가능하실까요? 이해가 안가서요
@dajoy1245
@dajoy1245 4 ай бұрын
어렵지만 진짜 유익한 과학을 보다 👍🏻
@user-fh6ii3ec8q
@user-fh6ii3ec8q 3 ай бұрын
오늘 너무 유익하고 심오하고 흥미로웠습니다!!!!!
@wns9073
@wns9073 3 ай бұрын
정영진 PD님 말이 맞는것 같은게 그냥 차가 지나갈때 그 옆을 지나가면 더 빠르게 보이는 것처럼 빛이 오고있는 지점쪽으로 향하면서 다가가면 더 빠르게 인식할테니까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cseon1850
@cseon1850 3 ай бұрын
매번 느끼는 거지만 진짜 재밌다!
@user-rx3om9bc8y
@user-rx3om9bc8y 3 ай бұрын
응교수님~! 다음 주 벌거벗은세계사 본방사수 하겠습니다 ㅎㅎ
@joonshim1773
@joonshim1773 3 ай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정프로님 그리고 교수님들의 입담에 항상 빵터지곤 합니다. 과학을 보다 책도 구매 예정이고요.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user-sk3si8vs3z
@user-sk3si8vs3z 3 ай бұрын
와 진짜 이번 컨텐츠 대박 넘 흥미로워요!! 우주먼지 지웅배 사랑해 쁘띠범준 사랑해ㅠㅠ
@user-bx4lr6tg4t
@user-bx4lr6tg4t 3 ай бұрын
점점 못알아듣겠어요ㅠㅠㅋㅋ 근데 재밌어.. 근데 못알아들어요ㅠㅠㅋㅋ 근데 재밌어.. 근데 못알아들어요ㅠㅠㅋㅋ 도르마무
@user-wp3xz1ys2c
@user-wp3xz1ys2c 3 ай бұрын
요요 네분 합이 너무 좋아요 !!!!!!
@below_moon_pro
@below_moon_pro 3 ай бұрын
아우 이 과학자 분들 멤버 구성 너무 좋아요 항상 수준높은 이야기 들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aidenseo4796
@aidenseo4796 3 ай бұрын
오늘도 너무 재밌어요!
@user-ul3to7jz5z
@user-ul3to7jz5z 3 ай бұрын
오늘은 시간 이라는 주제가 넘넘 어렵네요😂 계속 보는 내내 머리를 때린것처럼 띵~해서ㅋㅋㅋ봤어용😮 그와중에 29:13 정mc님, 김응빈교수님 넘넘 귀여움😊 진짜 과학을boda넘넘 재밌어요, 오래 방송 해주세요❤40분이 아깝지 않네요
@user-nh3rk9ot2m
@user-nh3rk9ot2m 3 ай бұрын
시간이라는 개념 자체가 골댕이를 뱅뱅 돌게 만드는 철학적 용어이기도 하죠. ㅎㅎ 오히려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의 개념을 더욱 더 정밀하게 이해하려고 '노오력' 하다 보면, 칸트는 왜 시간을 '내용'이 아닌 '형식'으로 이해하려 했는지 이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ㅎㅎ) (김범준 교수님이 즉답을 하기 어려웠던 이유일 수도 있습니다. 상대적 시간이라는 개념이 그렇게 풀기 쉬운 문제가 절대로 아니라는 점) 간단한 문제는 아니지만 최대한 간단하게 요약하면 이런 것일 수도.. 내용=실제로 존재하는 것(실재) 형식=실재(데이터)를 해석하는 일종의 알고리즘(?) 이게 정확한 표현은 아니겠지만, 21세기의 언어로 번역해 보자면, 대충 이 정도가 아닐지 모르겠네요. *참조=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user-cz5jp8vc9e
@user-cz5jp8vc9e 4 ай бұрын
항상 같이 했어♡ 귀여우심ㅋㅋㅋㅋ
@user-pb2xc5fx7h
@user-pb2xc5fx7h 3 ай бұрын
저도 그 부분에서 김응빈 교수님 너무 귀여웠어요ㅋㅋ❤
@yyy072
@yyy072 2 ай бұрын
포핳핳항🛳🌊🚢🌊⚓️⛴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ㅋㅋ🛳🌊포항항항🚢🌊
@jjuni-jjiwo-fafa
@jjuni-jjiwo-fafa 3 ай бұрын
증말 과학을 보다가 제일 재밌습니다~~~ 자주자주 올려주세요
@user-zw7so9kw6m
@user-zw7so9kw6m 4 ай бұрын
요리와 관련된 과학도 다뤄주시면 좋을거같아요. 요리사들이 설명하는 것들이 과학적으로 어떤 원리인지가 궁금하긴했거든요.
@Meunuaru
@Meunuaru 4 ай бұрын
39:55 낮 12시에 자라고 하는 정 프로 폼 미쳤다...
@user-xu2yp6tq1d
@user-xu2yp6tq1d 3 ай бұрын
전 이제자야되요..
@kkxx4280
@kkxx4280 3 ай бұрын
정프로 모니터링안하시나보네ㅋㅋㅋ
@FrontteethFairy
@FrontteethFairy 3 ай бұрын
시간은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user-zy2ue4ch5j
@user-zy2ue4ch5j 3 ай бұрын
당신은 어떻게 7일전입니까??
@superuser_Bunny
@superuser_Bunny 3 ай бұрын
멤바
@WEarlyQueenW
@WEarlyQueenW 4 ай бұрын
낮잠 자러가야겠군요ㅋㅋㅋ
@light_away
@light_away 3 ай бұрын
시간..신기하고 어렵네요😂 오늘도 유익한 시간임은 분명합니다❤
@user-yj9np8ps8h
@user-yj9np8ps8h 4 ай бұрын
우주먼지형 팬미팅 한 번 해주세요
@user-nq6tj9ev8u
@user-nq6tj9ev8u 4 ай бұрын
😍
@user-ut4gl5dd7l
@user-ut4gl5dd7l 4 ай бұрын
너무너무너무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우주먼지님이 설명주신 우주의 구성요소가 변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무언가 무거워지는 원소가 계속 새로 생기는건지 아님 생길수있는 원소의 끝이 있는건지 혹시 있다면 어느순간 우주의 구성원소가 시간이 지나도 일정해지는 순간이 오는건지 질문 드립니다....글쓰는 재주가 없어서 제 질문의도가 잘 전해질지 모르겠네요 ㅠㅠ
@AH-ld9pf
@AH-ld9pf Ай бұрын
시간 날 때마다 틈틈이 몰아보고 있는데 별도로 과학을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만큼 즐겁고 재밌는 '과학을 보다' 영상들인 것 같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다양한 영상 계속해서 보고 싶어요 ❤
@raphaell3.1
@raphaell3.1 3 ай бұрын
초반에 나온거. 빛의 속도로 접근하면서 본다면(정보) 어느 거리에서부터는 중첩이 되어 보게 될거 같습니다. 접근하는 동안에도 정보는 나에게로 오고 있거든요. 빛의 속도나 빛의 속도에 근접하는 속도로 움직이면서 직접적으로 대상의 현재 상태를 보는게 아니니까요.
@TUNA-_-
@TUNA-_- 4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는데 우주에 점점 무거운 원소가 쌓인다고하면 얼마나 무거워 질수 있는지 / 현재 가장 무거운 원소는 무엇인지 / 별 중심이나 블랙홀 근처에서는 융합된다고 하는데 원소가 따로 명칭 붙은게 있을까요?
@csseo
@csseo 3 ай бұрын
핵융합으로는 가장 무거운 원소는 철까지 만들어지고, 그 이상의 원소는 초신성폭발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무거워질수록 핵붕괴가 급격히 이루어집니다. 아주 무거운 원소는 순식간에 붕괴되어 그보다는 가벼운 원소가 됩니다. 납보다 무거운 원소들은 최종적으로 납까지 붕괴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별 중심이나 초신성 폭발로 생기는 원소는 주기율표 안에 있는 원소이겠죠
@rrrgggbbb
@rrrgggbbb 3 ай бұрын
​@@csseo 블랙홀 안에서는 철 우라늄 이후로 원자번호 200번대 300번대 원소까지도 융합돼요
@user-dm7lm5fg3b
@user-dm7lm5fg3b 4 ай бұрын
19:32 밥먹으면서 보는중인데 참외씨 얘기나와서 식겁했어요😂
@myungpark652
@myungpark652 3 ай бұрын
손주를 돌보고있는데요 얼마전부터 장내 미생물은 언제부터 갖게될까 ? 하고 궁금했었어요. 막연하게 혼자 생각한것이 모유던 우유던 먹기 시작하면서부터 입으로 들어가서 생기나보다 했는데 어머나 너무 신기하게도 뱃속에서부터 갖게되는거군요. 정멀 너무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천문 물리 생물 , 4분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user-ek5qy7pc8t
@user-ek5qy7pc8t 4 ай бұрын
오늘도너무 재밌어요❤❤
@liqui.d2455
@liqui.d2455 4 ай бұрын
시간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데자뷰" 에 관해서 짧게 토론해봐주시면 재밌을 것 같습니다요~
@hj-ku1bd
@hj-ku1bd 3 ай бұрын
이게 제일 궁금하죠. 시간이 물질들 운동으로 결정되는지
@user-yg2em1us5g
@user-yg2em1us5g 3 ай бұрын
솔직히 뭔 말인지 모르지만 재밌어요 지식이 늘어나는건 아주아주 멋진일입니다
@fjfnfndiri
@fjfnfndiri 4 ай бұрын
29:18 교수님 ㅋㅋㅋ 항상 같이했어
@triangle_326
@triangle_326 3 ай бұрын
코어라는 영화를 보다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만약 사람이 지구의 정 중앙까지 들어갔다고 가정하면 중력은 어떻게 작용하게 될까요? 정 중앙이니까 아예 중력을 못느끼게 될까요? 아니면 중력이 밖으로 향하게 될까요?
@user-dp6ey6yo3v
@user-dp6ey6yo3v 3 ай бұрын
지구의 중심인 핵에서 중력이 발생하는것이니 방향과 관계없이 잡혀있을것 같은데요? 중앙에서 중력을 못느낀다기 보단 압력처럼 모든방향에서 짜부될듯.. 자생슈트입으면 몰라도
@ahjjoo4875
@ahjjoo4875 3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질문에 좋은 답변을 보고 정말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핵의 중심에서는 중력이 어떻게 작동할까요? @@user-dp6ey6yo3v
@user-rt2fc1yd4u
@user-rt2fc1yd4u 3 ай бұрын
팽이의 원심력의 역행처럼 지구의 정 중앙은(핵)은 전방향에서 끄러당기기때문에 +-=0이기때문에 중력을 느끼지 못할거 같아요 지구가 우주에 떠있는거처럼 아닌가?
@1-os6ow
@1-os6ow 2 ай бұрын
지구 안을 쪼끔 비워놓고 거기에 사람을 가둬놓으면, 마치 두꺼운 구껍질 안에 들어가 있는 형태가 되죠. 이런 문제를 학부 1학년때 풀어봤는데요, 결론은 중력을 받지 않습니다. 사람이 찌그러지는 것도 아니고, 사방으로 땡겨져서 능지처참되는 것도 아니고요, 말 그대로 무중력 상태가 됩니다. 왜냐하면 한쪽 방향에 있는 질량들이 만들어내는 중력과, 그 반대편에 있는 질량이 만들어내는 중력들이 서로 반대방향이라서 상쇄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사람이 지구 중심으로 (안전하게^^) 들어간다면, 찌그러지지도 땡겨지지도 않고, 말 그대로 둥둥 떠다니는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겁니다.
@1-os6ow
@1-os6ow 2 ай бұрын
​@@user-rt2fc1yd4u동의합니다.
@katoki92100
@katoki92100 3 ай бұрын
지웅배님!!! 카페에서 열심히 노트북으로 뭔가를 하시는걸 뵀었는데 안경에 있는 줄로 단번에 알았어요! ㅎㅎㅎ 용기를 내서 싸인 받고 싶었는데... 다음에 봬면 용감하게 싸인받으러 가겠습니다! 찐팬이에요!
@nunes6936
@nunes6936 3 ай бұрын
과학자님들 설명이 너무 좋아요~❤❤❤
@Marykay-mf2ro
@Marykay-mf2ro 4 ай бұрын
🎉🎉🎉경 축 좋지않은 질문 출현🎉🎉🎉😂😂😂😂😂😂
@user-ur8ok9og6t
@user-ur8ok9og6t 4 ай бұрын
1등❤
@user-zz1pb2uk8y
@user-zz1pb2uk8y 2 ай бұрын
너무재밋어.. 아저씨들 떠드는게 너무 재밌어.. 케미도 좋고 신사적이고 잔잔하고.. 내용은 몰라..
@gyuyongoh3835
@gyuyongoh3835 3 ай бұрын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과학이 너무 재밌어졌어요ㅎ 한가지 바램이 있다면...자막 앞에 MC분과 교수님들 혹은 출연진분들 성함이 같이 나오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이로운 성함들 널리 이롭게ㅋ
@Master_Seo
@Master_Seo 3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likehot
@likehot 3 ай бұрын
시간 주제 관련해서 어릴 적 흥미롭게 즐겨 봤었던 Dr.Who 그리고 어릴 때 재밌게 보고 플레이했던 포켓몬스터DP 등 시간과 관련된 궁금증에 이런 것들을 찾아보며 깊게 생각했었던 어린 시절이 떠올라 이번 영상 또한 흥분을 감추지 못할 정도로 첨부터 끝까지 잘 시청하고 갑니다
@mozzi_siru
@mozzi_siru 3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밌는 과학을보다❤
@glala9196
@glala9196 3 ай бұрын
이 프로그램덕분에 요즘 과학에 빠져있습니다. 학교다닐때 이렇게 흥미롭게 접근했다면 과학공부가 덜 힘들었을거예요^^
@kevinkimmb
@kevinkimmb 2 ай бұрын
과학을 보다 너무 재미있고 캐나다에서 책 구매했어요! 감사합니다 🙏
@user-ls6tk8kw7z
@user-ls6tk8kw7z 3 ай бұрын
오늘 엄청 재미있게 봤어요
@user-qc5mn6ou7v
@user-qc5mn6ou7v 3 ай бұрын
빛과 시간.. 와 이번편 이 두개에 대한 설명 이해하려고 머리 엄청 썼네 ㄷㄷ 그래도 이해한건 한 10프로 되는듯ㅜ
@dipendedate9607
@dipendedate9607 3 ай бұрын
이멤바 너무 잼고 흥미로와요❤이거 보면 시간이 다르게 가는데얌 호로로로로럴ㄹㄹ로로로ㅗㄹ러로로롤빨리가요
@jesus_christ1225
@jesus_christ1225 3 күн бұрын
진짜 교수님들 영상 다 보고 있습니다.. 정말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문송합니다😢
@user-yr7rz8uz7z
@user-yr7rz8uz7z 4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user-rw6jh6ob3x
@user-rw6jh6ob3x 3 ай бұрын
김응빈 교수님 벌거벗은 세계사 나오셨네요. .목소리 톤도 다르시네요. .^^
@Shagi_burn
@Shagi_burn 15 күн бұрын
7:38 마치 안쓰럽다는 표정으로 보여지시는게 너무 웃겨서 한참동안 배 잡았어요 ㅋㅋㅋㅋ
@daehwankimm
@daehwankimm 3 ай бұрын
시간 얘기나와서 그런데, 영화 배트타임트랩(Time Trap) 관련 의견도 나눴으면 좋겠어요. 영화가 굉장히 신선하고 흥미로운 주제인데다가 시각적으로도 이해하면서 볼 만한 요소들이 있는것 같아 재밌게 봤던 영화입니다. 부탁드립니당 :) ❤
@CorrectionWaves
@CorrectionWaves 4 ай бұрын
상대성 이론은 그냥 식으로 계산하는게 건강에 이롭고 이해도 쉽습니다. 우리의 언어로는 모순을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요.
@user-nh3rk9ot2m
@user-nh3rk9ot2m 3 ай бұрын
지난 주였던가, 김범준 교수님의 채널에서 댓글로 질문한 적이 있었는데 그 대답을 여기에서 듣게 되는군요. ㅎㅎ 인공위성(우주 정거장, 우주 왕복선 모두 해당하는데)에서는 지표 위에서와는 다르게 시간이 흐를텐데.. 이 때, 인공위성의 빠른 속도에 따른 시간 지연 효과와 중력 감소에 따른 정반대의 효과가 동시에 고려되어 측정되는가 하는 질문이었었죠. 당장 현실적으로는 gps와 관련된 시간 측정과 적용의 문제가 있겠고요. 꽤나 재미있게 생각했었던 제 궁금증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듣게 되니, 10년간 꽉 막혀 있었던 장내 유산균의 활로가 한 방에 뚫리는 듯한 상쾌한 기분이네요. 그야말로 '따봉'입니다. 😅 (지구 반대편의 평행 공간과 시간 역행의 끄온대스러움이 어우러진 단어이긴 합니다만.. ㅋㅋ) '범 내려온드아...' 아, 이거 아니고 '범한테 물리면 곶감이 특효...' 아, 이것도 아닌데.... 암튼 범준이 형 너무 고맙습니다. ^^;;
@Soo_h_
@Soo_h_ 3 ай бұрын
8:02 저는 이걸 광속이니까 빛, 빛은 파동! 그리고 지구과학때 배웠던 소방차가 지나갈때 사이렌 소리의 변화로 이해했어요! 맞게 이해한건지는 저도 모르겠네요 ㅋㅋㅋ 다음 시간의 해석이 기대됩니다
@bbengvh2343
@bbengvh2343 3 ай бұрын
지웅배님같이 젊은 과학자분을 보니 좋으네요 요즘 수학 과학 잘하는 학생들이 의치한약수 같은 곳으로 많이 쏠린다는 뉴스가 많이 나오는데 지웅배님같은 젊은 과학자분들은 정말 귀하게 느껴지네요
@MONOLITH-th8dh
@MONOLITH-th8dh 3 ай бұрын
오프닝부터 김범준 교수님이 찢어주시네요 히히😂
@haliey-cb5cw
@haliey-cb5cw 4 ай бұрын
아이 어려워라.... 여러번 복습해야겠어요 하지만 흥미롭습니다~~
@parkigsky
@parkigsky Ай бұрын
쿨타임 차서 다시 볼 때 이렇게 3명 조합이 제일 재미있음
@user-mz3ig9is8u
@user-mz3ig9is8u 3 ай бұрын
06:14 빵 터졌어요 ㅋㅋㅋ 어떄? ㅋㅋㅋ 아니 근데 설명을 잘해주셔서 어때? 할 때 "어? 정말 그러네 ㅋㅋㅋ " 하고 수긍 되더라고요
@1mfinethanku
@1mfinethanku 3 ай бұрын
나이먹고 보는데도 너무 재밌습니다...!
@youtubu6935
@youtubu6935 3 ай бұрын
기다렷습니다
@Chloe-bo1xc
@Chloe-bo1xc 4 ай бұрын
휴 오늘 건 쪼금 어려웠당 ㅜ 세번 봐야게뜸 ..❤
@woonsa0
@woonsa0 3 ай бұрын
지웅배 박사님이 말씀하신 지구에서 화성으로 송금 하는 문제는 실제 지구 에서도 일어 나고 있는 문제 입니다. 국내에서 미국의로 계좌이체를 하게 되면 이게 바로 송금 되는게 아니라 시차에 의한 교환비가 지속적 으로 변하게 되어서 이걸 최소화 하기위한 방법으로 예를 들자면 국내에서 미국으로 송금시 직접적 으로 가는게 아니라 그 중간에서 다양한 국가를 거쳐서 가게 됩니다. 그리고 이를 좀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도 새롭게 나오고 있구요.
@padkeepca2797
@padkeepca2797 3 ай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이 지난번 라디오에서보다 시간에 대해서 더 심화된 내용을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u8px3ni2w
@user-du8px3ni2w 3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4분 좋아합니다
@user-is2rf3ys2h
@user-is2rf3ys2h 3 ай бұрын
식사 하면서 과학 이야기 보면서 지식습득하기 좋은 방송 입니다!
@CryGodHeartOut
@CryGodHeartOut 3 ай бұрын
저는 시간을 기준점이라고생각합니다. 우리가 무엇을관찰할때 기준점이 시간이고 우리는 상대적관찰할때 관찰하는 기준점이 변하는걸 자신의 기준점을 통해 비교하고 그 차이를 통해 느끼는거라고 생각해요.
@user-pc5wn1rd6q
@user-pc5wn1rd6q 4 ай бұрын
오늘 응가 이야기 듣다가 궁금한 게 생겼어요! 먹는 음식의 색상은 다양한데, 강아지나 사람이나 왜 응가 색상은 항상 갈색일까요? 미생물의 영향일까요?
@user-ut4ie3ol8b
@user-ut4ie3ol8b 4 ай бұрын
과학을 보다를 너무나도 재미있게 보고있는 애청자 입니다!! 오늘 문득 궁금한게 생겨 용기내어 물어볼 질문이 있어요 !! 저번에 나왔던 영상중 진공에 대해 짧게 말해 주셨는데 진공속에서 쌍생성과 쌍소멸을 한다고 입자들이 말씀해 주셨는데 입자의 소멸이라면 에너지 보존 법칙에 위배되는 현상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서요 !! (과학에 관심이 생겨 문득 생각해본 1인 ) 에너지 보존 법칙에 위배가 안되는 건가요?? 예외적으로 진공속에서는 ?? 궁금합니다 😅😅😅
@NewT-zo8ys
@NewT-zo8ys 2 ай бұрын
사실 알고보면 저 사이에서 영진이형이 제일 대단한 사람이다. 끊임없이 질문하는 저 모습과 이해하기위해 노력하는 모습. 물론 너무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긴 하지만 난 벌써 이 영상하나로 4박 5일을 보냈다.
@jaiden8593
@jaiden8593 3 ай бұрын
궁금한거에 궁금한거 추가요!! 5년거리에서 태어난 아이를 보고 빛의속도로 그 아이에게 다가갈때란 질문을 쌍둥이 역설로 비교해서 확실히 알아보고 다음에 자세히 설명해주신다고 하셨는데, 그 때 꼭 이부분도 같이 설명 부탁드립니다. 그 두명을 보는 제3의 관찰자가 딱 중간지점에서 둘을 동시에 지켜볼경우에 어떻게 보일지요. 항상 즐겁게 시청하다가 결국 오늘 멤버쉽 가입하고 본 첫영상입니다 ㅎ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3 ай бұрын
하하하 재미있는 생각이십니다. 그럼, 2.5광년 거리의 존재가 볼 때, 다가오는 자는 출발하는 모습과 동시에 번쩍 자신에게 온 것으로 보일테고, 다시금 멀어져 2.5년 뒤에 두 존재가 만나는 광경은 그로부터 2.5년 뒤인 5년있다 보게되는 거네요. 시간의 빨리 감과 느리게 감을 관측케 된다는 것이 바로 실감나네요.
@ldyfj
@ldyfj 3 ай бұрын
@@user-lb1bi2nz9g 출발할 때는 왜 가속이 아닌 번쩍 나타나는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3 ай бұрын
@ 그거야 광속으로 달리는 설정이니, 출발과 동시에 그 모습의 광경(빛)이 같은 속도로 전달되면서, 출발 2.5년 후 실물과 동시에 그 관찰자에게 도착하는 것이죠. 관찰자가 이동경로의 정중간이 아니라 어느정도 비켜난 위치에서 관찰한다면, ( 예 로 지구 태양간 거리 정도라면..) 8분만에 출발에서 중간을 지나치는 모습을 다 보는게 되겠지요.
@ldyfj
@ldyfj 3 ай бұрын
@@user-lb1bi2nz9g 아 맞네요. 2.5광년 떨어진 거리를 광속으로 오면 2.5년 걸리는데 보고 있던것이 2.5년 전이니 출발하자 마자 도착하는 모습이겠네요. 그러면 만약에 출발할 때 옷 색깔이 빨강색, 1/3지점에서부터 파랑색, 2/3지점에서 도착할 때까지의 옷색깔이 초록색이면 도착 순간에는 빛이 합쳐져 흰색으로 보이게 되나요??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3 ай бұрын
@@ldyfj 에고!~~ 저는 전문가가 아니요 뇌피셜로 상상하는 거라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광속으로 움직이는 물질은 애초에 불가하다 하고, 이론적으로 상상해도 접근하는 2.5년간의 모든 모습 (광자)가 그 물질 앞에서 반사되지 않고 누적되는 상황이니.. 동시에 들어오는 2.5년간의 모든 빛 정보가 분석될 리는 없겠지요. 경로에서 어느정도(?) 비켜나야 인간 시각으로 관찰상 분석가능한 시간적 여력이 될 것인가는 별개 영역 일 듯요..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ай бұрын
38:24 "과학에는 국적이 없지만, 과학자에게는 국적이 있다." 루이 파스퇴르가 한 말입니다. 독일이 프랑스를 침공했을 때, 파스퇴르는 독일로 이주해서 연구할 것을 제안받았지만 끝까지 프랑스 사람으로 남았죠.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차원론이 궁금했던 배우 박정민의 결말
36:01
안될과학 Unreal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651 М.
당신이 아는 사실은 모두 조작됐다?! [음모론 총정리]
44:40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584 М.
Канапе 🍢
0:43
Сан Тан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Салам алейкум
0:57
Ислам Итляшев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The abandoned kittens finally found someone to love them, but... #cat #catlovers #ai #aiart #story
0:59
Meow Mow Cat Story 喵毛貓咪故事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Tom & Jerry !! 😂😂
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