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왜 이런 것만 나와?" 전 세계 역사책 또 강제 수정::한국에 갑질한 미국 단체 최신 근황(feat. 피터 드러커) / 디씨멘터리

  Рет қаралды 140,192

디씨멘터리

디씨멘터리

9 күн бұрын

"한국에는 왜 이런 것만 나와?" 전 세계 역사책 또 강제 수정::한국에 갑질한 미국 단체 최신 근황(feat. 피터 드러커) / 디씨멘터리
1,000만 탈모인 희소식!
난다모의 ‘샴피 톡톡’에 대한 찐디님들의 어마어마한 관심 덕분에 오픈 하루 만에 준비된 1차 생산량 5,000박스가 전부 소진됐고, 2차 예약구매 5,000박스도 5일 만에 마감됐습니다. 이제 오늘부터 7월 말 생산 후 꼼꼼한 검수를 거쳐 8월 말에 발송되는 3차 예약구매로 전환되었습니다. 3차 역시 일주일 내로 마감될 것이 예상되는 만큼 필요하신 분들은 조금 서두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사은품 중 인디언 비누가 전부 소진되어 인디언 스톤(인디언 비누+스톤 마사지볼)으로 발송됩니다. 이 제품 또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두피 마사지 비누'로 특허 공개됐으며, KIPRIS(특허정보검색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선물한 분들은 이 제품을 더 선호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탈모 관리하실 계획이신요? 부작용의 위험성을 안고 약의 굴레에 빠질 계획인가요, 조금 천천히 가더라도 하루 1,000원으로 안전하게 완화시킬 계획인가요?
예약구매링크: nandamolab.com/surl/P/188
---------------------
디씨멘터리 멤버 가입
bit.ly/42Icq4K
디씨멘터리 채널과 광고 협업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이메일로 문의해주세요.
dcmentary@naver.com
또한
디씨멘터리에서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1. 제 채널에서 영상으로 다루기를 바라는 주제
2.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영상
dcmentary@naver.com 으로 보내주시면 소중히 제작하겠습니다.
----------------------------------------------------------------------------------------
❤️앞으로 더 많은 영상을 시청하시려면 클릭▶ bit.ly/3UhfRJF
💬영상에 댓글로 영상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영상을 놓치지 않으려면 구독 옆의 종모양을 누르고 ‘전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해외반응 #한국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일본 #중국 #탈모 #난다모
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Пікірлер: 239
@dcmentary_official
@dcmentary_official 7 күн бұрын
1,000만 탈모인 희소식! 난다모의 ‘샴피 톡톡’에 대한 찐디님들의 어마어마한 관심 덕분에 오픈 하루 만에 준비된 1차 생산량 5,000박스가 전부 소진됐고, 2차 예약구매 5,000박스도 5일 만에 마감됐습니다. 이제 오늘부터 7월 말 생산 후 꼼꼼한 검수를 거쳐 8월 말에 발송되는 3차 예약구매로 전환되었습니다. 3차 역시 일주일 내로 마감될 것이 예상되는 만큼 필요하신 분들은 조금 서두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사은품 중 인디언 비누가 전부 소진되어 인디언 스톤(인디언 비누+스톤 마사지볼)으로 발송됩니다. 이 제품 또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두피 마사지 비누'로 특허 공개됐으며, KIPRIS(특허정보검색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선물한 분들은 이 제품을 더 선호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탈모 관리하실 계획이신요? 부작용의 위험성을 안고 약의 굴레에 빠질 계획인가요, 조금 천천히 가더라도 하루 1,000원으로 안전하게 완화시킬 계획인가요? 예약구매링크: nandamolab.com/surl/P/188
@larrykim157
@larrykim157 6 күн бұрын
예약 주문했습니다. ㅎㅎ
@user-gc1zv3zf8n
@user-gc1zv3zf8n 7 күн бұрын
이런 썩어빠진 일제식민사관학자가 아직도 우리나라주류학회를 장악하고있다는게 문제다
@j3459
@j3459 7 күн бұрын
썩어빠진건 님인데요? 님이 뭘 했는데요? 일본이라는 말이 무슨뜻인지나,아세요? 일본패.망이 이제 백년이 다되는데 님은 뭐하고 있는데여? 역사에 대해 아는것 있나요? 님이 반.일 하는것도 세.뇌 되어서 그래여. 제발좀 공부좀해요. ..
@WooSikYoo
@WooSikYoo 5 күн бұрын
논문의 심사위원도 사실을 알면서도 감추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공론화되는 것을 막으려고 파벌을 조성해서 철벽방어를 하고 있습니다. 심사위원이 누구인지도 알고 있고 그 분들이 알고 있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인격을 모독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차마 공개까지는 할 수 없음을 양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계란으로 바위치기를 해서라도 흐름을 바꿔 보려고 9년째 노력중입니다. 국내에서 안되면 해외에서라도 인정을 받고 국내에서 동의를 이끌어 내려고 하고 있는데 쉬운 일은 아닙니다. 만은 관심을 가지고 응원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np9kw1en5e
@user-np9kw1en5e Күн бұрын
언제쯤 이스라엘을 닮아갈라나? 역사 앞에 당당한 한국인들이 살아가는 나라가 되야되는데
@j3459
@j3459 Күн бұрын
@@user-np9kw1en5e 이스라엘을 왜 닮아 가요? 국민자체가 문제인 나라가 한국인데
@user-daesun-Choi
@user-daesun-Choi 7 күн бұрын
유우식 박사님, 님의 수고와 열정에 대단히 감사합니다!
@WooSikYoo
@WooSikYoo 6 күн бұрын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의 무지로 우리의 역사를 의도와 관계없이 왜곡하는 안타까운 일이 일이 많습니다.
@user-mb2vv4bz9u
@user-mb2vv4bz9u 7 күн бұрын
고인물이 스스로 정화하지 못해 썩은 내를 풍기는 경우가 이런 경우군요 유박사님의 수고로움이 보답받는 날이 꼭 올겁니다
@WooSikYoo
@WooSikYoo 5 күн бұрын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사적 사실을 밝혀보고 싶다는 생각입니다. 저는 답을 알고 있지만 전문가들도 인정하게 하기 위해서 노력 중입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vicna429
@vicna429 7 күн бұрын
국내 사학계는 친중, 친일 매국노 학자들이 많아서이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이들을 하루 빨리 사학계에서 추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PL-lp1kd
@PL-lp1kd 7 күн бұрын
외부의 적보다 무서운게 내부의 적 이런 바퀴벌레들은 빨리 박멸하지 않으면 온 나라를 잠식한다
@j3459
@j3459 7 күн бұрын
님도 매.국노에요. 한국인들은 대부분이 매.국.노로 세뇌되어서 삽니다. 친중 친일은 외치면서 왜 친서양은 빼요 이넘들이 제일 무서운놈들인데..
@user-pd6le6zf5q
@user-pd6le6zf5q 7 күн бұрын
이유는 간단합니다.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기 싫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향은 전문가 집단에 더욱 심하지요. 결국은 다른 사람으로 교체되기 전에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WooSikYoo
@WooSikYoo 5 күн бұрын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포기하는 순간 그들의 승리로 굳어지기 때문에 그만두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ed7or1pb2o
@user-ed7or1pb2o 4 күн бұрын
그 심사관중 게재 거부하는 인물이 공인본을 목판본으로 판정한 사람일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본인의 과오를 인정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겠지요.
@WooSikYoo
@WooSikYoo 4 күн бұрын
@@user-ed7or1pb2o 실제로 그런 분도 계십니다. 공인본을 제대로 보지도 않고 2012년에 보물 지정할 때 목판본으로 판정 하셨던 분은 2020년에 공인본이 금속활자본이라고 2권의 책을 내셨죠. 제대로 조사도 안하고 거수기 노릇을 했다는 것을 자인한 셈이죠.그런데 그 내용이 1988년에 전 소장자인 안동에 거주하시던 고 박동섭선생이 밝히신 내용을 인용도 없이 마치 자기가 전부 연구한 것처럼 쓰셔서 참 마음이 좋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인정하게 된 동기도 많이 의심스럽습니다. 그레서 어렵지만 독자적으로 연구하여 밝히게 된 것입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i4kn9ib7v
@user-ii4kn9ib7v 6 күн бұрын
자신들 밥그릇 빼앗길까봐 저러는 것입니다. 이병도 제자들이 고대사에 대해서 밝혀지고 있는 것들이 많은데 외면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WooSikYoo
@WooSikYoo 5 күн бұрын
말씀하신 부분의 대부분에 공감합니다. 프랑스국립도서관 서고에서 '직지'를 찾아내셔서 고려시대에 인쇄된 금속활자본임을 알려 주시고 프랑스에서 '외규장각 의궤'의 반환에 힘써주신 박병선 박사님도 이병도 선생님의 제자분이십니다. 의견은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사람이라고 하더리도 이해의 깊이가 달라지면서 생각이 바뀌기도 합니다. 자기가 배운 것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면 진실을 마주하더라도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Uhuh888
@Uhuh888 7 күн бұрын
유우식 박사님은 그 악의적 꼴통 학술지 심사위원이 누군지 아실껍니다.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해서 넘 잘 알죠. 꼴통심사위원이 정년에 가까와지니 활동을 덜하게 되더라구요. 좀벌레같은 학자라고. 19번 게재불가? 기가 차네요. 힘내십시요, 응원합니다. 글고 직지가 결국 챔피언 타이틀을 뺏겼군요^^;;
@WooSikYoo
@WooSikYoo 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얼마전에 20번째 게재불가 판정을 받았습니다. 세기의 대기록을 달성하고 말았습니다. 상처뿐인 기록입니다만 가문의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ppumppum8937
@ppumppum8937 7 күн бұрын
​@@WooSikYoo 감사합니다~~^^ 대한민국의 바른 역사를 위해 노력해주심에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맘을 갖습니다~~^^
@WooSikYoo
@WooSikYoo 7 күн бұрын
@@ppumppum8937 관심을 가져 주셔서 제가 오히려 감사합니다.
@bosug75
@bosug75 4 күн бұрын
이런것은 불교 신문에 먼저 띄우고, 언론에 먼저 제보가 되어서 국민적 관심이 한번 일어나야 될거 같은데요. 혹 논문 심사위원이 종교적 이유로 막고 있는것은 아닌지 궁굼해지네요
@WooSikYoo
@WooSikYoo 4 күн бұрын
@@bosug75 의견 감사합니다. 불교분야의 학술지에서도 여러번 게재불가 판정을 받았습니다. 심사위원의 종교적 성향과는 관계 없어 보입니다. 서지학 전공자들이 편견을 가지고 심사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게재불가 판정을 하신 심사위원도 만나서 이야기 해 보기도 했습니다. 최근에 법보신문과 BTN 불교TV에서도 보도해 주었습니다. 증도가와 제이름으로 검색해 보시면 그동안 발표한 논문, 신문 기고문, 인터뷰 기사, 동영상을 많이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s5ej2qy3z
@user-vs5ej2qy3z 7 күн бұрын
대체 한국의 배운것들이 얼마나 썩었는지 보여주는 예시라고 본다 혹시(일본)에 사주 받았나? 그런 생각도 든다. 이건 어디까지나 내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
@agnomy2543
@agnomy2543 7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사학계는 자리와 선대의 엉터리 연구를 받드는 수준이지 연구를 새로 하거나 잘못된 걸 수정하거나 하는 수준이 못됨, 완장 찬 인간들이라 더욱 그 행태가 심각함, 해방후 벌써 80년이 다 돼 가는데도 역사관이 식민사관 그대로임
@sungilkim4481
@sungilkim4481 7 күн бұрын
왜의 그늘이죠 미군정의 수치이자 일제의 정치력
@user-ew1uo5yu7q
@user-ew1uo5yu7q 7 күн бұрын
오래전에는 도굴꾼들이 문화재 감정위원으로 둔갑해서 평가했던 시절도 있었으니... 문화재 가치는 학술적보다 도굴꾼들이 보는 가치가 높았고 감정위원으로 내정되면 자리보전 때문에 반대논리로...
@WooSikYoo
@WooSikYoo 5 күн бұрын
진짜를 가짜로 만들기도 하고 가짜를 진짜로 둔갑시키기도 합니다. 보물을 고물로 만들기도하고 고물을 보물로 둔갑시키기도 합니다. 돈과 명예 때문에 그런 유혹을 받기 쉽습니다.
@user-ti6sr7hd6k
@user-ti6sr7hd6k 7 күн бұрын
그3명의 심사위원을 파보면 알겟지...왜그러는지..
@pvp7600
@pvp7600 7 күн бұры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직지심체요절 외워두자
@WooSikYoo
@WooSikYoo 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1239년에 금속활자로 인쇄한 '남명천화상송증도가'도 기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직지보다 138년 빠른 시기에 인쇄된 현존하는 세계 최고금속활자본입니다.
@user-ss8rk7kq4d
@user-ss8rk7kq4d 7 күн бұрын
과학적 증거보다는 자신의 권한이 앞서 있다고 자만하는 이의 횡포가 허용되는 것은 이 나라 사회의 수준이 낮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WooSikYoo
@WooSikYoo 7 күн бұрын
안타깝지만 지적해 주신 내용에 공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실제로 그런 심사평을 많이 받았습니다. 투고한 논문의 모든 심사항목에서 0점을 받은 적도 있습니다. 인격 모독이 매우 심합니다.
@radiotongtong
@radiotongtong 5 күн бұрын
​@@WooSikYoo명쾌한 여러 이야기들 ㅡ 잘 듣고 배우고 있어요.
@WooSikYoo
@WooSikYoo 5 күн бұрын
@@radiotongtong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사위원들이 사실을 알고 있다는 심증도 있고 증거도 있지만 그분들이 난감해 하실 것 같아서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정규전과 해외 학술지 투고, 신문 기고, 유튜브에 소개하는 방식의 게릴라전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ob5jt4lm1m
@user-ob5jt4lm1m 5 күн бұрын
저런류의 사람은 어느 국가나 사회에 항상 있음 ㅡ 마치 한국만 있다는듯 말하는 꼬라지하고는 대표적 꼰대는 일본듕귁이 유명하지
@billiboy535
@billiboy535 7 күн бұрын
옛날에? 분명 직지보다 더오래된거 발견됐다고 뉴스본기억도 있는데 ... 이런이유가...
@ksj5588
@ksj5588 6 күн бұрын
심사하는 인간이 매국노 아니면 식민사관인가보다~~ 파면시켜야하는 인간이 너무 많군~~
@vivaamicus
@vivaamicus 7 күн бұрын
국내 골ㄸ들의 학술적 편견과 비뚤어진 심보가 여전하군요 유박사님의 노력이 빛을 발하길 바랍니다
@user-eo9vw1so9r
@user-eo9vw1so9r 7 күн бұрын
대단한 👍 발견 그럼 그러치 ^^
@user-dy9ki9zq9o
@user-dy9ki9zq9o 6 күн бұрын
간단해 보입니다. 자신이 판정한 사실을 뒤집어야 하니 아닐까요. 자신의 판단에 오류가 있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 싫은 거지요. 자신의 스펙에 실점을 만들기 싫어서 말이죠. 뭐 이런 일이 한 두 번도 아니라 새롭지도 않아서... 씁쓸하네요.. 진정한 학자는 자신의 오류도 인정 할 줄 아는 학자가 더 존경 받는 법인데 말입니다. 자신이 최고라고 자신하는 자만, 사실에는 자만이 필요한 게 아니라 그럴 수 도 있다는 인정의 용기가 필요한 건데 말입니다.
@niceday-xq6ys
@niceday-xq6ys 7 күн бұрын
구텐베르크가 조선에서 활동하던 선교사와 접촉한 중국 무역상과 접촉했다는 증거들이 있다고 합니다. 늦게라도 수정돼서 다행입니다.
@user-kv5mp4dj8i
@user-kv5mp4dj8i 5 күн бұрын
천주교에서는 교황사절단이 방문해 보고 느낀 것을 본국에 돌아가 알리고 구텐베르크가 영향을 받았다고 교황청에서 발표했다고도 들었어요
@rushin9940
@rushin9940 7 күн бұрын
직지심경(직지심체요절), 무구정광 대다라니경, 상정고금예문... 학생때 이름만 외우던 보물들! 한동안 진보교육이 득세해서 이런 것 보다는 시대상 등을 위주로 교육하면서 단순히 이름만 외우는 것은 의미없다고 했지만 사실은 우리가 정말로 알고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할 인류의 유산이었네.
@user-hv1jq1du1k
@user-hv1jq1du1k 7 күн бұрын
유우식 박사를 기억하자 !!
@user-mw5hg2xg8y
@user-mw5hg2xg8y 7 күн бұрын
그 심사위원 3년놈들이 누구인가? 어리석은 자들은 천벌을 받을거다
@user-ux8tn6po4s
@user-ux8tn6po4s 6 күн бұрын
세계최고 목판인쇄활자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세계최고 금속인쇄활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 공인받기 위해서 노력하시는 유우식 박사님의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수고 많으십니다.
@hanswoody19xx
@hanswoody19xx 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사학계는 일본 식민사학을 배운사람들이다 보니 그런듯 보여집니다,,,
@user-wc3vl4pq3k
@user-wc3vl4pq3k 7 күн бұрын
아직도 뉴라이트 친일사관....!
@user-gx3gv9dk6i
@user-gx3gv9dk6i 7 күн бұрын
늘 좋은 소식 감사합니다~
@qkr-pr5fw
@qkr-pr5fw 7 күн бұрын
정치하는 떨거지 들이나 그 넘들이나 그놈이그놈들 이다.
@hein1129
@hein1129 5 күн бұрын
대단 하십니다 디씨 멘터리 늘 잘보고 있읍니다 화이팅 입니다
@user-xh2qj8ub7k
@user-xh2qj8ub7k 6 күн бұрын
역사학자가 아닌 ..비 전문가에 의한 발견, 국제적 기관에 자료제출등,,그러한 점을 인정하기 싫은 것이 아닐까.. 역사 전문가들의 자존심과 관련한 문제처럼 보인다
@user-yb6yj5vu3s
@user-yb6yj5vu3s 2 күн бұрын
똑똑한 사람은 어디가도 똑똑혀~ 저분이 그나마 한국인❤❤❤ 감쏴~합니다😊😊
@mukfeel
@mukfeel 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매국사학카르텔이 있어서 그렇죠.
@geragongju
@geragongju 5 күн бұрын
논문 한번 해보면 느끼는 것이다... 논문 갑질이지...식민사관에 찌들은 학자나. 갑질 위치에 잇는 점을 이용하여 악질적인 행동을 하는거죠.. 심사하면 뭐가 잘못된것을 이야기 하지 않고,,막무가네 식 캔슬을 내죠... 그넘 논문을 보면 잘했을까요.... 진짜 잘한분은 잘가르쳐 줍니다...이런저런 조언을 해주죠...어슬픈 사람 갑질 갑질...돈도 요구하죠...
@vefveflute8019
@vefveflute8019 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지금의 종로 거리를 2 ~ 3 미터만 파 내려가면 조선시대 저자거리의 유물이 많이 나올 것이라는 했습니다. 다른 나라도 동일하겠지만, 대부분 과거의 흔적은 흙으로 덮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CheckUSound
@CheckUSound 7 күн бұрын
원래 인류가 만든 문명은 전부 다 흙속으로 들어갑니다. 그게 아니라면 바다로 들어가구요.
@user-kt8yq4xh9p
@user-kt8yq4xh9p 7 күн бұрын
통일신라 / 무구정광대다나니경 / 석가탑, 세계최초 목판인쇄물 등재
@user-kr5tj5hx4h
@user-kr5tj5hx4h 6 күн бұрын
옛날 우리나라는 선진국으로 살았기에 별거 아닌거로 생각하겠지만 조상님 들은 대단했습니다
@user-yi9uw8ep1o
@user-yi9uw8ep1o 2 күн бұрын
오 좀 어렵네요 몇번 봐야 이해될.... 보겠습니다
@qwertyuiop520
@qwertyuiop520 7 күн бұрын
구텐베르크가 한국 여행 후에 고국으로 가서 활자 인쇄 한것입니다.
@user-od8fk5fn5b
@user-od8fk5fn5b 6 күн бұрын
역사학계를 식민사학자들이 장악하고 있으니까요!...우리나라의 역사와 유물 유적이 오래되고 찬란하고 위대하면 안되거든요!....
@user-io9jz1jd5s
@user-io9jz1jd5s 6 күн бұрын
우리 나라는 남이 잘되는 꼴을 못봐서 그러겠지요 참 배운 사람들이 저렇게하니 그게 어디가겠는가
@user-nj9kz9jv1m
@user-nj9kz9jv1m 5 күн бұрын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디씨멘터리!!! 늘 믿음직스럽습니다!!!ㅎㅎㅎ
@damheo7955
@damheo7955 7 күн бұрын
난다모 좋아요!
@user-bu5pt6xo8w
@user-bu5pt6xo8w 5 күн бұрын
심사위원은 종신제인가? 문화재관리청에서 심사위원을 교체해라.
@user-yv9ri3ml6j
@user-yv9ri3ml6j 3 күн бұрын
도둑놈이 첨에 남의 것 임을 인정하지않았으면 자존심 때문에 끝까지 남의 것이 아니라해야지요. 국내학자에 의해 인정되지 못하고 있다니 기가차네요.
@user-kt8yq4xh9p
@user-kt8yq4xh9p 7 күн бұрын
유우식 / 남면증도가 . 1239 . 138년 앞선 금활자 인쇄본
@jjh-ox9gi
@jjh-ox9gi 7 күн бұрын
울나라의 역사학자는 일본인인가봐요 아니면 ㅉ국과혼혈인지도 순수 한국인역사학자가 그럴리는 없겠지요
@myeongoklee5710
@myeongoklee5710 6 күн бұрын
와! 경이로운 문화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user-hg8fs6sr2t
@user-hg8fs6sr2t 7 күн бұрын
일본이었으면 죽였어라도 역사를 왜곡 재창조하였겠는데.. 내나라 역사는 어찌된게 자료를 증명해 보여도 인정을 안하고 거부하는가….?
@j3459
@j3459 7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여전히 서.양 세력의 식민지 상태니까요. 주인만 일본에서 서양으로 바뀜
@pacificwinner7097
@pacificwinner7097 6 күн бұрын
때로는 어느 것이 더 오래된 금속활자인가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 내용도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두개의 유물이 우리나라 것이고, 비록 직지가 남명증도가보다 더 후세에 발간되었다 할지라도 남명증도가는 중국 송나라 남명선사가 현각이라는 승려의 깨달음을 찬양한 것이고,직지는 고려시대 백운이라는 고승이 간추린 부처님의 깨달음을 요약한 인쇄물로 만약 남명증도가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로 기록된다면 중국이 이를 자국의 문화숭배 선전물로 대대적으로 활용할 것이 뻔하며, 더나아가 고려시대부터 사대적 문화가 팽배하고 이를 금속활자로 인쇄하였다 말도 안되는 선전물로 오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WooSikYoo
@WooSikYoo 6 күн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1239년에 금속활자로 인쇄된 남명증도가의 마지막장에는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실력자였던 진양공 최이가 책을 발행하게된 연유를 적어 두었습니다. 우리 것임은 분명합니다. 중국애서 동일한 인쇄물이 있는지 조사해 보았습니다만 내용만 전할 뿐 책자로 전해지는 것은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중국학자의 일부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도 중국에서 인쇄한 것을 신라고 가져온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팔만대장경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불경의 내용은 중국에서 전해진 것입니다. 책을 인쇄하는 기술에 관한 이야기 이므로 크게 염려하시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yhg1887
@yhg1887 6 күн бұрын
과학적인 분석을 신뢰하지 않으면 무엇을 신뢰한다는 건지...참 어처구니가 없네
@user-hb3cb6zj1k
@user-hb3cb6zj1k 7 күн бұрын
친일이거나 중국에돈받고 인정안하는거임
@kugmin0617
@kugmin0617 6 күн бұрын
지들이 할수 없으니...그걸 인정하면. 지들 입지가 흔들리니까
@user-un2vv3ck7e
@user-un2vv3ck7e 22 сағат бұрын
와우 대단합니다
@user-xs7ql4vs5z
@user-xs7ql4vs5z Күн бұрын
반대하는 심사위원이 누구신지? 네티즌 수사대가 조사해 주었으면 하네요....국민들이 나서 탈탈 털어서 공개해야 합니다!!!
@WooSikYoo
@WooSikYoo Күн бұрын
저는 알고 있지만 인신공격을 하는 것 같아서 정정당당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아무런 편견없이 인쇄물이나 책에서 관찰되는 현상만을 가지고 공론의 장에서 이야기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r8jr2yx2f
@user-mr8jr2yx2f 6 күн бұрын
직지는 누구나 못봤다는게 문젠가 보내요.
@user-my3ej2fq9j
@user-my3ej2fq9j 6 күн бұрын
디씨멘타리님 소중한 우리 역사 에서 아주 훌륭한 정보를 정성껏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리고 참고로 난다모 홍보내용중에 세계특허를 출원했다는 문구가 뜨는데 특허에는 세계 특허란 것은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헛갈리는 경우가 있어서 말씀드리면 특허에는 상표,의장,실용, 발명 등등의 특허가 있는데 모든 특허는 각각의 나라에 개별적으로 적용됩니다 그러하기에 국내특허, 외국특허가 있을뿐이지 전세계 어디에도 통용되는 특허권이란 것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 특허 출원했으면 미국특허이고 중국에 출원했으면 중국특허이고 우리나라에 출원했으면 국내 특허입니다 EU에 냈으면 역시나 EU특허가 될 뿐입니다 참고하시었으면 해서 댓글 달아 봅니다 자세한 내용은 1544-8080 특허청에 알아보시면 될듯합니다
@user-iv2pm1fl8y
@user-iv2pm1fl8y 20 сағат бұрын
그 반대하는 사람이 누군지 밝혀내야 하지 않을까요
@WooSikYoo
@WooSikYoo 20 сағат бұрын
저는 알고 있습니다만 굳이 밝힐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한 사람이 아니고 여러명입니다. 게재불가 판정을 내린 심사위원은 서지학 또는 고문헌학 전공의 명예교수님, 현직 교수님들과 그 제자들입니다.익명성이 보장되는 심사위원의 자격으로 심사하신 것이니 그것은 존중해 드리고 싶습니다. 시간이 걸리는 일이기는 합니다만 이런 방식으로라도 공론화해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합니다. 논문이 통과되면 몇사람이 알게 되고 기록으로 남게 됩니다만 논문이 심사에서 탈락하면 투고한 사람과 심사한 사람, 편집위원회에 참여한 사람만 논문이 투고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입니다. 대외적으로는 아무런 기록조차 남지 않습니다. 논문 심사에서 탈락한 것을 자랑스럽게 떠들고 다닐 사람도 없습니다. 창피한 일이기도하고 무척 자존심 상하는 일이라서 스스로 숨기고 싶어집니다. 게재불가 판정을 내란 심사위원들은 그런 점을 노린 것입니다. 제가 서지학이나 고문헌학을 전공했다면 이렇게까지 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소개하면 많은 분들이 어떤 문제가 있는 지를 아시게 되니 심사위원들에게도 보이지 않는 압박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z4tl3sb4l
@user-xz4tl3sb4l 6 күн бұрын
뿌리깊은 식민사관학계와 사대주의적인 사고로 절대 우리나라에서 이런게 만들어질수없다고 보는거지~~뿌리깊은 식민자학사관!
@seanpark9970
@seanpark9970 7 күн бұрын
내용은 한국에서 갑질하고 있는 단체(서지학화)가 문제네요
@miyoungpark796
@miyoungpark796 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디씨멘터리를 사랑하는구독자입니다 ❤ 말씀해주신 샴피톡톡을 너무 사용해보구 싶은데 미국에서도 구입이 가능할까요? 알려주세요 ~^^
@user-kn1xz2py6g
@user-kn1xz2py6g 4 күн бұрын
3차분샴푸신청합니다
@xiegoij
@xiegoij 4 күн бұрын
먼저 개발하고 제작한거..중요하지. 근데 정말 중요한건 얼마나 보급이 되어서 문명발달에 도움을 주었겠느냐는거다.
@WooSikYoo
@WooSikYoo 4 күн бұрын
저도 연구 초기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알게 된 것입니다만 금속활자 인쇄본이 소량 제작되면 전국 각자의 사찰이나 감영으로 배부되어 목판으로 새겨서 대량으로 인쇄하여 보급하였으므로 정보와 지식의 전달에 기여한 것은 분명합니다. 서양의 금속활자와 인쇄술의 출현은 이로부터 200년이상 후의 일입니다. 종이와 물자가 풍부해진 200년후의 상황과 단순하게 비교하는 것도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ellie9907
@ellie9907 4 күн бұрын
이 나라 학계가 식민사관학자들에게 점령되어 있어서 새로운 이론으로 논문을 쓰면 학위도 못 받는다고 하더라고요..
@WooSikYoo
@WooSikYoo 4 күн бұрын
일단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되지 못하니 학위논문을 쓸 자격을 갖추지 못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이론의 연구는 자비 출판을 하는경우가 많습니다만 그것은 심사를 통과한 것이 아니라서 개인적인 주장으로 간주됩니다. 창작소설 과 같은 취급을 받습니다. 반대파들은 그런 것을 노리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user-sg8bb8ku5r
@user-sg8bb8ku5r 3 күн бұрын
샴피톡톡빌드업. 근데 그 말랑한 비누는 그냥 샴푸바인지.
@user-nc1gp2gf8w
@user-nc1gp2gf8w 3 күн бұрын
아마 그 심사위원은 현대적 접근법을 모르는 연구안하는 사람이거나. 아니면 일본인입니다.
@gisoohur5973
@gisoohur5973 3 күн бұрын
한국사학계는 식민사관이 기본이라 받아들이질 못합니다. 한자를 중국인이 만든 문자로 아는 학자들도 많음
@user-gy3ge1qy5q
@user-gy3ge1qy5q 6 күн бұрын
자기들 보다 유능한 것을 인정하지 못하는 유물 전문가 라는 집단 이기주의 작자들이 심사를 하는게 문제다.
@user-cj5fk1nj4n
@user-cj5fk1nj4n 2 күн бұрын
일제밑에서 배운 사람밑에서 또 제자들이 나와서 그렇데요. 문제에요. 법도 그렇고....... 페쇄성도 문제네요.
@WooSikYoo
@WooSikYoo 2 күн бұрын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람 나름입니다. 학자적 양심이 있어야 하는데... 무지해서 그런 경우도 있고요. 저는 40년전에 일본에 가서 대학원에서 7년 반이나 공부했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일본에서 공부할 때도 소신껏 주장했습니다. 자기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의심해 봐야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경험이 쌓이게 되니 근거도 없이 확신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것 같습니다.
@lelaleslo
@lelaleslo 7 күн бұрын
치졸, 국내 학자가 아니기 때문
@YDSnim
@YDSnim 7 күн бұрын
!!!
@user-qu4rp5nq5x
@user-qu4rp5nq5x 7 күн бұрын
인디언 즉 네이티브 어메리칸은 확실히 탈모인이 없습니다.제가 인디언 레저베이션 근처에서 인디언 상대로 장사를 10년째 하고 있고 미국 북쪽 수우족 및 다른 부족도 만났는데 탈모인은 한번도 못봤슴.
@user-yf4ru9xu1v
@user-yf4ru9xu1v 6 күн бұрын
❤❤
@rukiki2778
@rukiki2778 6 күн бұрын
선불교는 한국에서 태어나서 중국에 전해 준 거라는 미국학자의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sdo0517
@sdo0517 6 күн бұрын
현재 세계 최초 목판인쇄본 불국사 석가탑 안에서 발견된 742~751무구정광대다라니경. 6:32 7:31 1377년도 직지심체요절보다 138년 앞선 1239년 금속 활자본 남명증명가 공인본. 12:15 12:45 현재까지의 나온 인쇄본을 보면 목판인쇄와 금속인쇄 모두 우리 조상이 최초였다.
@user-wg3zk7es8s
@user-wg3zk7es8s 6 күн бұрын
심사위원이 잽머니 먹었을수도있음
@hohoho6614
@hohoho6614 Күн бұрын
그 심사위원이라는 인간 이름이 뭔지 굉장히 궁금하네요 그 인간들 뒷 스토리를 파보고 싶어지게 만드네요
@WooSikYoo
@WooSikYoo Күн бұрын
저는 알고 잇습니다만 굳이 밝힐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익명성이 보장되는 심사위원의 자격으로 심사하신 것이니 그것은 존중해 드리고 싶습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hohoho6614
@hohoho6614 Күн бұрын
국민들이 이런 역사를 제대로 인식하려면 학교에서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을 하는 게 먼저겠죠 빨리 우리나라 사학계의 독립을 이루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매국노 좀 제발 다 치워버릴 수 있길
@user-me8xz1rx6w
@user-me8xz1rx6w Күн бұрын
빈대하는 심사위원을 한번 털어주세요!! 어디서 돈을 받아 공부를 했고 그자리에 앉자있는것인지 !!
@WooSikYoo
@WooSikYoo Күн бұрын
굳이 밝힐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익명성이 보장되는 심사위원의 자격으로 심사하신 것이니 그것은 존중해 드리고 싶습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rukiki2778
@rukiki2778 6 күн бұрын
누구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금속활자술..그리고 한글.....
@galaxuar8218
@galaxuar8218 3 күн бұрын
국민신문고에 올려서 스무번이나 묵살된 이유를 알아보는게 좋지않을까요 만약 늘 같은 인물이 계속 판단한다면 그것도 부정의이지 않나요?
@user-bd8ob3ww2m
@user-bd8ob3ww2m 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학계가 썪었나
@rukiki2778
@rukiki2778 6 күн бұрын
일본 770년 백만탑다라니경이 우리나라에서 2점이나 발견됨. 내용도 한국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중 일부 내용을 인쇄한 거임. 뇌피셜로 우리나라가 일본에 대다라니경을 안빌려주거나 안주니 (그런 케이스가 많았다고 함 일본 요청 한국 거절) 일본에서 한국으로 와 불경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해 그걸 직접 목판으로 만들어 교정용으로 찍은 건 한국에 두고 호류사에 가져갈 백만탑다라니경 1점만 가져갔을 거라는..
@shinwien4460
@shinwien4460 Күн бұрын
사실 지금 현재 존재하는 한국이라는 나라이름은 이 땅에서는 없었던 것인데...
@scson6177
@scson6177 4 күн бұрын
그 심사위원 신상도 밝혀주세요
@WooSikYoo
@WooSikYoo 4 күн бұрын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시락 싸가지고 다니면서 반대하시는 심사위원들을 알고는 있습니다만 인신 공격이 될 수 있어서 공론의 장에서 정면돌파 하고 있습니다. 양햐를 부탁드립니다.
@whl6676
@whl6676 5 күн бұрын
세계 최초 금속활자본이 직지심경이 아니고 더 빠른 발행본이 있다는 선조들에 대한 자긍심과 미국의 인쇄협회도 이를 인정했다면서 상업적 발모제를 같이 언급할 정도라니..
@WooSikYoo
@WooSikYoo 5 күн бұрын
문제를 제보한 저로서는 이러한 내용이 소개된 것만으로도 감사할 따름입니다.
@user-sz8ox5zn5h
@user-sz8ox5zn5h 6 күн бұрын
일본이 770년경에 저런 인쇄물을 ?? 백제나 신라에서 보내준거지
@user-gk2dk3zj7g
@user-gk2dk3zj7g 6 күн бұрын
찐친일파들의 포진이련가.
@user-wv1ox1fk6z
@user-wv1ox1fk6z 5 күн бұрын
놈문 게재불가판정 내리는자는 어떤자인가....이런걸 적폐라고 하지 무엇을 적폐라 하겠는가. 빨리 이자를 끌어내던져라....
@user-ub3lk4bh1c
@user-ub3lk4bh1c 6 күн бұрын
거기도 똥별들이 있구나
@chilsungjeong3283
@chilsungjeong3283 Күн бұрын
자기 밥그릇 뺏길까봐
@joungwookim3571
@joungwookim3571 6 күн бұрын
백제 고분 발굴 할 때는 삽으로 퍼서 발굴하고 불국사는 탑 던져서 우연히 발견하고 대한민국 고고학 수준이구만.
@user-yr4kq1rd7d
@user-yr4kq1rd7d 4 күн бұрын
금속활자라면 복사본이 더 많아야하는데 활자본이 하나뿐이란게 문제다
@WooSikYoo
@WooSikYoo 4 күн бұрын
그렇다면 '직지'는 왜 한 권 밖에 없을까요? 그것도 하권만... 왜 국내에는 없을까요? 프랑스에 매번 구걸하다시피 보여달라고 세금 써가면서 가는 것은 이상하지 않으신가요? 국내에 더 오래된 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정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으시는지요?
@user-yr4kq1rd7d
@user-yr4kq1rd7d 3 күн бұрын
@@WooSikYoo 아니, 금속본이 두세권, 그이상이면 군말 할것도 없이 금속본 인정이잖아요 사례에서 얘기한 다른 금속본도 한권만 있고 나머지는 목판본이니 안타까워서 하는 얘기지요 왜 안타깝게 한권밖에 없냐는 거에요 한권만 있으면 그게 금속본이든 손으로 쓴거든 문화사적으로 의미가 없는거에요. 구텐의 금속활자는 세상을 바꿨는데 우리의 금속활자는 무얼했을까요? 그저 세계최초 타이틀? 그걸로 국민을 감동시킬 수 없어요
@WooSikYoo
@WooSikYoo 3 күн бұрын
@@user-yr4kq1rd7d 거의 800년전에 인쇄한 책이 한 권이라도 남아 있는 것이 기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연구 초기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알게 된 것입니다만 금속활자 인쇄본이 소량 제작되면 전국 각자의 사찰이나 감영으로 배부되어 목판으로 새겨서 대량으로 인쇄하여 보급하였으므로 정보와 지식의 전달에 기여한 것은 분명합니다. 1377년에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도 다음해인 1378년에는 여주 취암사에서 목판으로 인쇄되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직지 목판본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서양의 금속활자와 인쇄술의 출현은 이로부터 200년이상 후의 일입니다. 종이와 물자가 풍부해진 200년 후의 상황과 단순하게 비교하는 것도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텐베르그의 42행 성서도 전세계적으로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책의 일부만 전해지고 잇는 것이 현실입니다. 반대로 금속활자본의 같은 책이 수백권씩 발견되었다면 관심이나 있을까요? 그것은 구텐베르그의 42행 성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ishope
@ishope 3 күн бұрын
금속으로 찍어봤더니 생각보다 퀄리티가 안좋았기에, 다시 목판본으로 간거구먼요.. 영상보니 알겠구먼요. 경전같은 경우 정성과 퀄러티가 얼마나 중요하게 여겨졌는지를 생각해보면요..
@user-yr4kq1rd7d
@user-yr4kq1rd7d 3 күн бұрын
@@ishope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그걸 기술력으로 극복한 양이들이 대단하군요... 이런 상황이 맞다면 세계최초 타이틀은 독이네요. 실제로 써먹어보지도 못했고 그걸로 뭘 한것도 없으면서 타이틀에 대한 허영만 생기겠죠
@user-zo5rr9gj4w
@user-zo5rr9gj4w 5 күн бұрын
식민사관학자들이 득세해있는 역사학계
@user-cc2wq5gl8f
@user-cc2wq5gl8f 4 күн бұрын
역사학자들은 가슴에 손을 얻고 일제강점기에 잘못된 우리의 역사를 재확인하여 잘못된 사실은 솔직하게 인정하시어 바른 역사를 후손들에게 알려주세요~~
@Zrhne2QS6X3ryq-w
@Zrhne2QS6X3ryq-w 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학계도 그러하고... 뭔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데 너무 인색합니다... 김건희 논문 같은 것은 논문으로 받아들이면서...
@dangnagwi6159
@dangnagwi6159 7 күн бұрын
그게 전부다 기득권입니다,그리고 보수적이고 현재권력지향, 폐쇄적,,,,
@jamiehuh301
@jamiehuh301 7 күн бұрын
예를 든게 조국이 아니고 김건희?? 요놈보소 ㅋㅋㅋ
@user-wg4cb1zs6e
@user-wg4cb1zs6e 5 күн бұрын
국내학계 대부분은 식민지사관과 왜국자본에 침식된 상태라 그렇죠 역사학자가 식민지 지배에 대해 옹호하는 것들입니다.
@likewinds
@likewinds 5 күн бұрын
13:00 중공에 돈 받은 자들이 많아서...
@user-pw9wt7pj3o
@user-pw9wt7pj3o 4 күн бұрын
일본이나 중국에서 생활비받는 위원인가
@WooSikYoo
@WooSikYoo 4 күн бұрын
고물을 보물로 만드시는 분들과 협업하기도 하고 보물을 고물로 만드는 프로젝트에도 관여되어 계신 것으로 의심될 수 있는 분들입니다. 학자적 양심이 있다면 그렇게 하기 쉽지 않을텐데 안타깝습니다. 전문가라고 하더라도 평생 배워 가는 것인데... 지금까지 보아 왔던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면 새로운 것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데 말입니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v1be1lv9e
@user-vv1be1lv9e Күн бұрын
반대하는 사람은 과학적 근거가 있어 반대하는 걸까요? 국가의 위상이 높아지는 일인데 기뻐하며 받아들여야하는 거 아닌가? 이해할 수없는 행동은 늘 구린 이유가 있더라
@WooSikYoo
@WooSikYoo Күн бұрын
눈으로 보고 판정하는 안목감정과 경험을 최고의 판정법으로 생각하고 계신 분들입니다. 누구나 판단할 수 있는 일이되면 본인들의 입지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그 심정 이해는 합니다. 그래도 사실은 사실이니 밝혀봐야죠.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os4rm3gu9o
@user-os4rm3gu9o 7 күн бұрын
남편주려고 주문했어요
가장 과학적인 문자, 한글 / YTN 사이언스
40:29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569 М.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UFC Vegas 93 : Алмабаев VS Джонсон
02:01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226 М.
해외에서 한국인 피가 흐르는 것을 축복이라 말하는 이유
30:02
어썸코리아 Awesom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407 М.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