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과 태양이 없어도 농사 지을 수 있다? 빌딩, 사막, 심지어 우주에서도 농사를 짓는 차세대 산업 '식물공장' [KBS 20180504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876,872

KBS 다큐

KBS 다큐

11 ай бұрын

■ 세계 최대 식물공장, 에어로팜을 취재하다
세계 최대 규모 식물 공장 에어로팜은 뿌리에 물과 영양분을 직접 공급하는 분무재배 방식을 이용한다. 태양과 흙 없이 재배하지만 야외에서 키울 때보다 95% 가량의 물을 절약하고 130배 많은 생산량을 자랑한다. 이스라엘도 좁고 척박한 사막의 땅에서 첨단기술을 활용해 농업 발전을 이뤘다.
원하는 부위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소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점적관수를 개발해 농업선진국이 되었다. 네덜란드의 한 식물공장은 자동화 시스템으로 튤립의 알뿌리를 키우고 출하까지 하고 있다. 특수 X-ray 장비를 이용하여 튤립을 알맞은 길이로 다듬는다. 이런 노력으로 비용이 줄었고 화훼 수출 시장의 강자가 되었다.
■ 식물 공장의 진화
미국은 화성과 달에 건설할 식물공장 연구도 한창이다. 미래 우주 식물공장 모델인 애리조나 우주농업연구소를 제작진이 전격 취재했다.
미국의 한 식물공장은 도심과 가까이 위치하여 수확한 채소를 바로 마트에 보낸다. 소비자와의 거리를 줄여 살충제, 유전자 변형이 없는 건강한 음식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일본에서는 아래층에 식물공장을 만들고 그곳에서 수확한 채소로 샐러드를 만드는 레스토랑이 등장했다. 미래 산업이라고 불리던 식물공장은 이제 우리의 이웃처럼 가까이 존재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미래 먹거리산업이 되고 있다.
한 국내기업은 식물공장에서 인삼 분무재배에 성공하며 밭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수확시기를 최대 4배 앞당겼고, 화장품 원료로 인삼을 납품하고 있다. 식물공장은 차세대 산업일 뿐만 아니라, 식물공장에 인류의 생존과 미래가 달려있다.
※ 이 영상은 2018년 5월 4일에 방영된 [KBS스페셜 - 식물공장] 입니다.
‘공영방송’을 지켜주세요 me2.do/56DdBsYt
#농사 #농장 #미래산업

Пікірлер: 642
@user-jt1me6zi4z
@user-jt1me6zi4z 5 ай бұрын
2018년 다큐임에도 불구하고 지금봐도 참 인상이 깊습니다. 얼마전에도 폭설이 왔고 요새도 폭설이 자주 옵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스마트팜은 정부에서 나서서 지원해주고 키워야 합니다. 국내에도 있다니 자랑스럽네요.
@user-mr4xl9hn6c
@user-mr4xl9hn6c 4 ай бұрын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10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제일 필요한 수직농법. 특히 수직농법으로 하는 농사는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갖추고 국가에서 짓되 민간인을 고용하여 관리하고 파종부터 재배까지 기계가 하며 농산물 가격은 국가에서 판매하니 굶는 사람없게 낮은 가격에 판매한다면 식량걱정은 해결. 심각한 전쟁대비해서 지하 10층까지 뚫어 재배하는 시설도 갖춘다면 안전공급가능.
@Sick-chicken
@Sick-chicken 5 ай бұрын
흙과 태양이 없어도 농사를 지을 수 있긴있는데 그 흙과 태양이 공짜로 뿌려주던 자원과 에너지를 그대로 돈으로 메꿔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chilpal789
@chilpal789 6 ай бұрын
2018년 방송.. 아직 대중화 되지 않은 이유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사업이라서 아직 수지타선이 맞지 않아요.. 인공 빛보다는 태양의 빛이 아직도 최고성능입니다.
@bokwhanlee9212
@bokwhanlee9212 6 ай бұрын
아 획기적이다. 한국 농어촌 농림부에서 즉시 도입하는 것이 좋겠다. 첨단 과학농법을 도입한 기업을 응원합니다.
@user-sl1gx5zs2u
@user-sl1gx5zs2u 9 ай бұрын
매우 잘 보았습니다 식물공장 미래의 환경을 대비해서 매우 필요한 연구분야 인것 같습니다 매우 인상적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user-uj9do5zp1j
@user-uj9do5zp1j 10 ай бұрын
결국에는 모두 다 좋은 밥을 좋은곳에서 먹자고 개발한 사회입니다. 식량이라는것이 내포한 그 힘과 가치를 깨달아 모두가 굶지않는 세상을 만들었으면 합니다.
@Yaguara42
@Yaguara42 10 ай бұрын
안타깝게도 에너지비용 상승으로 에어로팜 등 많은 수직형 스마트팜은 파산신청을 했다. 전통적 방식의 농업에 비해 아직 손익분기점이 높고, 농업경제학자의 손이 닿지 않은 영역이기에 생산방식, 거래처 수급등의 문제가 원인으로 꼽힌다
@user-ld6lv2fo4v
@user-ld6lv2fo4v 10 ай бұрын
아파트형식물공장 시설 자제비 시공비 토지가격 인상으로 먼길이군요
@1dfyijvsghj8v9
@1dfyijvsghj8v9 5 ай бұрын
시설비 이런경우 정부가 지원해줘야 되는데 나라가 개판이라...휴~우리의 경쟁력은 자꾸 뒤로 밀리고 있네요.
@kevinna2523
@kevinna2523 4 ай бұрын
​@@1dfyijvsghj8v9정부 돈은 공짜인 지 아시나 봄
@1dfyijvsghj8v9
@1dfyijvsghj8v9 4 ай бұрын
@@kevinna2523 그런데 예산써서 경쟁력있는 기업 살리는게 국가가 할 일이고 그러라고 세금내는거다. 좀 공부나 하고 댓글 싸질러라. 무지하다고 티내지말고....
@1dfyijvsghj8v9
@1dfyijvsghj8v9 4 ай бұрын
너는 나라돈이 부패공무원 해먹으라고 국민이 세금 내는줄 아나? 세금도 내본적도 없고 지원받고 사는 계층이 꼭 이런소리 하지...
@generosoj6201
@generosoj6201 11 ай бұрын
요즘 이상기후 빈도를 생각해볼 때, 스마트팜은 최소한 식량난 대비로서 역할은 할듯
@zhaoyunzulong
@zhaoyunzulong 11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살아나려면 이 기술로 반드시 완벽한 상용화를 해야 합니다.
@user-ul6gm4kl9h
@user-ul6gm4kl9h 10 ай бұрын
내용이 정말 재밋고 유익하네염
@kainigwon5433
@kainigwon5433 10 ай бұрын
오랫만에 순수하게 긍정적인 다큐멘터리를 보니까 좋네요.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식량안보를 위해서 빨리 도입좀 되었으면 좋겠네요. 밀이나 ,소 ,돼지 ,사료, 채소, 과일, 같은 부분에서 시급한것 같습니다.
@jhk1356
@jhk1356 10 ай бұрын
​@@user-ah9cj5xu7z반발해도 해야죠 땅이 적으니 생산량이 적고 생산량이 적으니 가격이 높고 가격이 높으니 사람들은 수입산만 써서 악순환 반복이니까요 스마트팜으로 5층 이상 건물들에서 밭 논 가축 식물재배등 다양하게 해야죠 이제 지금 우유가격 더 인상하다는데 기업농으로 바꿀때가 된거죠
@lunascape5289
@lunascape5289 10 ай бұрын
@@user-ah9cj5xu7z 저기 소개된 에그로닉스사 같은데가 개인농으로 보임? 한국도 기업농 잔뜩 있고 잘 돌아감. 막는 건 대규모 재벌기업의 진출이고 걔네들은 그놈의 식량안보에 보탬되는 작물이 아니라 이미 포화상태인 시장에서 땅짚고 헤엄치려드니까 막는거임
@user-fd7hc7wy9n
@user-fd7hc7wy9n 10 ай бұрын
@@user-ah9cj5xu7z 어떤 농부가 반발합니까 돈이 안되니 안하는거죠 투자대비 수익성 좋은 축산업쪽은 기업들이 오래전부터 진출해서 한자리씩 차지하고있습니다
@user-gh3nw9zd6b
@user-gh3nw9zd6b 10 ай бұрын
@@lunascape5289 ㅋㅋ 뭔 재벌기업 같은 소리하네 돈도 안되는걸 왜 막냐
@user-go2qf2xm7j
@user-go2qf2xm7j 9 ай бұрын
현재까지 스마트팜은 잎채류가 대부분임. 곡물은 현재 방식으로는 생산이 어려움..
@hl2tls
@hl2tls 4 ай бұрын
대부분 알려진 16가지 화학비료로만 키운 작물은 극 미량요소들이 부족해서 외형적으로는 채소의 형태이지만 영양소는 토경재배의 자연스러운 맛과 영양소를 따라오려면 좀더 지나야 될것입니다.
@park.j.s7720
@park.j.s7720 10 ай бұрын
기후변화에 대비하려면 더이상 기존농사방식으론 힘듬. 건물자체가 거대한 농지가 되어야함
@KimsFarmDiary
@KimsFarmDiary 10 ай бұрын
2018년꺼네요 에어로팜 6월에 파산 보호 신청한걸로 아는데 안타깝지만 연구목적 아니고 수익목적 스마트팜은 아직 한계
@kellySunflower23
@kellySunflower23 9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
@jing3774
@jing3774 10 ай бұрын
비용의 문제 입니다. 규모 있는 자동화 시설을 만들려면 수십업이 들어가는데 농민은 그럴 돈이 없죠 ᆞ 수십억 들여서 만들었다고 해도 농산물의 가격이 일정하지 않으니 마진도 어렵고 ᆞ 아무리 자동화라고 해도 병충해는 어찌 못합니다. 아는 지인은 80% 자동화 하우스에서 딸기를 키웠지만 곰팡이병으로 인해 ㅜㅜ 저 시설은 사막이나 이런곳에 어울릴것으로 보입니다.
@user-xz2ur3kl6r
@user-xz2ur3kl6r 4 ай бұрын
그건 완전 자동화가 덜 된 것 같습니다. 병충해를 막기 위해 외부에서 안으로 들어갈 때 전신복 입고 소독하고 들어가는 정도가 되어야 진정하게 될 것 입니다. 애초에 사람이 들어갈 필요가 없어야하는 게 가장 좋겠져
@user-bz2ul6hc1i
@user-bz2ul6hc1i 4 ай бұрын
농산물의 가격은 일정하지 않아도 전통적인 농업보다 훨신 뛰어난 생산율을 보여줌, 가뭄 홍수 재난 재해 바이러스 풍토병등 관계 없이 365일내내 동일한 생산이 가능함 그리고 병충해 어쩔수 없기는 ㅋㅋ 그 하우스는 방역을 재대로 안한거겠지 괜히 방역 전문 업체들은 장식도 아니고 괜히 있는지 아나, 스마트팜에 대해 진짜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구만; 초기 자본이 크게 들어가는거 단점 외에는 기존 전통적인 농업방식을 상회할 정도로 장점이 많음, 당연히 일개 농민들이 하기에는 큰 돈이 들어가지 그니깐 정부하고 대기업이 연합해 주도적으로 만들어가야함 게다가 사막? 뭔 사막이야 한국처럼 지형 70%가 산악인 지형인 만큼 더더욱 스마트팜에 투자해야되는데 말같지 않는 소릴 하고자빠졌냐
@ChampionJerry
@ChampionJerry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천재분들이 많으니 충분히 만들고 운영, 나아가 수출까지 할 수 있는 역량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기후변화도 심하고 날씨도 점점 더워지는데, 안정적인 농경재배의 방식이 필요할 시기이네요 이제는.
@user-kl7sh7nw4m
@user-kl7sh7nw4m 9 ай бұрын
저건 비용이 문제임 규모의 경제를 먼저 만들어야함
@shs892
@shs892 5 ай бұрын
응 바보들이 정치해서 저딴시설투자하느니 수입해서 먹는걸 선택함 국민들도 싸게 팔면 수입산도 아무소리 안함ㅋ
@user-cd2by6ne3w
@user-cd2by6ne3w 9 ай бұрын
기술은 좋았으나 금리인상및 자금난으로 결국 파산...
@user-xt7ze7nm7w
@user-xt7ze7nm7w 11 ай бұрын
엽채류의 경우 좁은면적에서 환경제어할 수 있지만 주식인 곡류 쌀 밀 대두 옥수수는 노지와 경쟁력이 될까. 지금 현재까지는
@user-ii5qe4rx8c
@user-ii5qe4rx8c 11 ай бұрын
안됨 곡물은 시장가가 너무 싸서 경제성이 전혀 안나옴
@user-vg9hy4yj3u
@user-vg9hy4yj3u 11 ай бұрын
​@@user-ii5qe4rx8c진짜 식량작물은 가성비 안나옴..당장 미국 중부곡창지대는 최대형트랙터몇대 에 무지렁이농부 몇명이면 지평선 끝까지 경작하는수준이라..
@user-er4zb3ib5y
@user-er4zb3ib5y 5 ай бұрын
KBS다큐프로팀 수고많이 하셨습니다. 전망이 아주좋은 아이티산업인 동시에 인류가 꼭 가야할 농산업입니다!!!!!
@skyblue863
@skyblue863 6 ай бұрын
기술발달은 좋으나 흙이나 태양등 4대 원소가 없으면 영양이 현저하게 줄어들거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많이 낮을 것이다. 시설하우스 작물들의 영양과 유익성분을 보면 알 수 있다.
@user-lm6ju6pe1t
@user-lm6ju6pe1t 10 ай бұрын
스마트팜 관심 많았는데 감사합니다
@fishingforlife365
@fishingforlife365 10 ай бұрын
식물들이 자라는 땅에 필요한 수많은 미생물과 복잡한 자연현상도 그저 그냥 뚝 떼어내서 계속적으로 재배될 수 있다고 믿는, 자연이 주는 것을 모두 통제할 수 있다는, 그 사고방식이 지금의 사태를 만든 것이다. 이런 걸 보고 기후위기마저도 몇몇 기술발전으로 피해갈 수 있다고 생각할까봐 염려된다.
@youngman5743
@youngman5743 10 ай бұрын
기후위기도 기술발전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인간은 신을 창조하고 있고 인공지능이라는 신이 세상에 강림하는 날에 인간은 그 쓸모를 다할 것이다.
@julius.h9986
@julius.h9986 10 ай бұрын
기후위기가 진짜인가요? 예전엔 빙하기 온다했다가 온난화 온다했다가 이제는 기후위기란 이름으로 대체 에너지를 운운하고 있죠. 스마트팜은 마치 양학 의술로 암을 정복하려는 것과 같아 보입니다. 물론 효과가 없다는건 아니지만요. 저것만이 답이 아니라는 말이지요.
@user-zz5zn7cm1g
@user-zz5zn7cm1g 11 ай бұрын
공장형 식물농장은 저비용, 저에너지 생산형일 줄 알았는데....의외로 에너지를 많이 쓰는 느낌이네요.
@bulane6863
@bulane6863 11 ай бұрын
찾아보니.. 기업들 전부 작살났네요 운영비가 상상초월인듯
@thunder5311
@thunder5311 11 ай бұрын
농지가 적고, 인건비가 비싼 곳은 비교 해볼만 하지만 반례로 농지가 많고 인건비가 싼곳은 경제적인 측면에선 막심한 손해임 할 이유 가없음
@nationalroad123
@nationalroad123 10 ай бұрын
서울에서도 농사좀 지어라~ 서울 니들도 농사짓고 살어봐라~ 빌딩만 짓지 말고 빌딩같은 농지를 지어서 농사도 지어먹어~ 발전소도 주변에 짓고 말이지.
@user-sz9ew5sg9f
@user-sz9ew5sg9f 10 ай бұрын
이번에 금리인상으로 투자 못받고 에너지 값 폭등으로 대부분 파산했네요. 그리고 누구나 따라할 수 있을만한 기술장벽이 낮은게 약점인듯 ~
@nanakim9051
@nanakim9051 10 ай бұрын
설비비 차치하고서라도 자연광을 안쓰고 인공조명을 쓰는것만봐도..
@user-xy9ot4kv4b
@user-xy9ot4kv4b 10 ай бұрын
진짜 요즘 같은 기상 이후가 더더욱 심해지면 이 산업은 천문학적인 가치를 가지게 될수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user-fh7mg2qq3l
@user-fh7mg2qq3l 10 ай бұрын
예전에 국내 기업이 식물공장 지었는데 농민들이 반대해서 완공하고도 가동을 못했었습니다. 지금은 어떻게 됬는지 모르겠네요.
@user-xy9ot4kv4b
@user-xy9ot4kv4b 10 ай бұрын
@@user-fh7mg2qq3l 진짜 그런 반대하는 단체들 없애야됩니다 미래에는 무조건 발전할수밖에 없는 산업인데 차라리 농부를 가르쳐서 거기서 일하게 해도될거같은데 빨리 대기업이나 정부에서 이 사업 키워야지 미래에 세계를 흔들수있는 막강한 식량력을 갖게될겁니다
@wdewceo3383
@wdewceo3383 10 ай бұрын
@@user-xy9ot4kv4b 아직은 아님. 스마트팜이 상용화 되기는 이름. 핵융합이 나와서 에너지 비용이 혁신적으로 절감될 때에나 가능할 듯. 나중에 때 되면 농민을 위한 규제들은 없앨거임. 어차피 한국은 충분한 자본력이 없어서 저런 산업을 선행할 수 없음. 선행자는 시행착오로 인해서 엄청난 자본을 소모하게 되는데 한국은 후발주자로 빠르게 따라잡는 역할이면 충분함. 우주산업도 초기에는 미국이 천문학적인 비용을 써서 달탐사를 했지만 지금 와서는 반도체, ai 등 기반 기술이 올라간 상태에서 시도하니깐 한국도 하고 있잖아? 같은 거임.
@lunascape5289
@lunascape5289 10 ай бұрын
@@user-xy9ot4kv4b 반대한 이유나 찾아보고 오슈. 토마토 전량수출 조건으로 허가받았는데 수출은 하는둥마는둥 하고 대놓고 국내유통 간보다가 반발하니까 해명할 생각도 안하고 냅다 접어버린거임. 식량자급때문에 필요하다면서 토마토처럼 국내생산으로도 이미 포화상태인 시장엔 왜 들어옴? 그 농장 이미 다른 법인이 인수해서 잘만 굴리고 있음
@jp5500
@jp5500 10 ай бұрын
ㅇㅈ 근데 첫번쩨로 나온 기업 이번에 파산 ㅜㅜ
@user-sl3ie3nr7b
@user-sl3ie3nr7b 10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햇빛과 바람과 비와 풍파를 겪은 농수산물이 좋긴하지만 기후재난으로 생물종이 사라지고, 농수산물 재배가 힘들때 굶어 뒤지지 않을려면 이렇게라고 해야하니
@imshining
@imshining 9 ай бұрын
미래에는 일반인은 식물공장에서 나온 채소를 먹고 부자들만 흙에서 기른 채소를 먹게 될 것입니다.
@user-dk7gn8pg4f
@user-dk7gn8pg4f 4 ай бұрын
대단해요 사막에서도 재배할수있겠네요
@MrBrianJung
@MrBrianJung 11 ай бұрын
지구온난화 감안하면 유일한 선택지. 특히 대부분 소비가 이루어지는 도시근처에 지으면 탄소발자국 대폭감소 가능. 게다가 24시간 & 365일 내내 가능하니, 생산성이 기존대비 수십배 증가. 지금처럼 노지경작 계속하면 태풍에 쓸리거나 우박에 작살나거나 더위에 말라버리는걸 피하기 어려움.
@aspitola
@aspitola 11 ай бұрын
배송측면에선 확실히 좋을거같은데 다른 추가비용은 없을까요?농작지에서 제배하는거에 비해서요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11 ай бұрын
@@aspitola건축비에 따른 감가상각, 시설 유지비가 계속 들어가겠지요. 에너지 역시 더 들어갈 것이고요.
@yacht-responce
@yacht-responce 10 ай бұрын
@@aspitola LED를 보면서도 아무런 생각이 안드나? 흙농사에 비해 저건 엄청난 비용임.
@user-fg6lv3xx4f
@user-fg6lv3xx4f 5 ай бұрын
흙에서 재배해야 안전한 식물을 먹는다고 본다. 비료에다가 농약성분까지 희석 공급되고 있는것 같았고. 직접재배해서 먹어야 한전한 식물을 섭취할수 있을것 같다.
@user-hf9yx9ux5u
@user-hf9yx9ux5u 6 ай бұрын
스마트 팜이 좋은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시설비 최소 몇십억 들어 갈텐데 비용하고 손익 분기점이 언제 나오겠는가 ?
@byungroulkim1593
@byungroulkim1593 11 ай бұрын
식물공장이라면 상당히 자동화가 되어 인력이 많이 줄어들 것이니 한국에 정말로 필요한 것이로구만...
@hohohohohoho1900
@hohohohohoho1900 10 ай бұрын
문제는 돈이지요. 소비자가 그만큼 비싼돈을 지불 할 가치가 있다고 인식시키고 사람들이 구매를 할지가...
@byungroulkim1593
@byungroulkim1593 10 ай бұрын
@@hohohohohoho1900 맞습니다. 줄어드는 노동력 그에 따른 인건비 상승. 친환경 발전비의 지속적인 하락. 식량안보 등을 생각하면 받아들일 스 밖에 없는 일 아닐까 싶습니다...
@binseng485
@binseng485 10 ай бұрын
이거 최재천님 말로는 예전부터 있었고, 대도시에 대규모로 만들려고 했는데 농민에 반대로 무산됐데요.
@user-ze4of7km7w
@user-ze4of7km7w 10 ай бұрын
@@user-em8by7zr1n 전세계에서 최고의 기술력으로 이미 많은 나라에 진출해 있습니다.
@user-ze4of7km7w
@user-ze4of7km7w 10 ай бұрын
@@binseng485 농민이 왜 반대 합니까?금시초문입니다.비닐 하우스 혹은 유리온실 내 스마트팜 또한 식물 공장입니다. 토경이 아닌 양액재배이며 층고가 높아 아주 키가 큰 작물재배를 할수 있는 시스템은 네덜란드가 앞서 있지만 엘이디나 등을 이용해 하는 식물공장은 한국이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 하고 있습니다.
@leon8887
@leon8887 5 ай бұрын
난 햇빛보고자란거먹을래
@user-ho1dh4fr4g
@user-ho1dh4fr4g 11 ай бұрын
우리 나라에서도 5천만인 먹고살수 있는 식물공장이 시급합니다.
@user-wv6pn5xy4p
@user-wv6pn5xy4p 11 ай бұрын
이게 힘든게 농민들 이권때문에 엄청난 파장이일어날듯 대기업 진출 하면 금방됨
@youngs5807
@youngs5807 11 ай бұрын
​@@user-wv6pn5xy4p 무슨근거로 농민들의 잇권때문에 안된다는 얘기를 하죠? 애초에 민주주의 + 자본주의 사회에서 농촌이란게 투표권외에 무슨의미가 있다고 그나마도 대기업들이 광고주로 있는 언론에서 떠드는 방향대로 움직이는데가 농촌인데..
@user-nk4fl7ex3o
@user-nk4fl7ex3o 11 ай бұрын
이미 여기저기서 추진중인데 우리는 단일 농지확보가 어려워서 대규모는 어려운 듯. 산있고 집있고 논옆에 밭있고 지저분하게 되어있음
@r2sf123
@r2sf123 11 ай бұрын
@@user-wv6pn5xy4p 자연에서 직접 재배한거랑 스마트팜이랑은 다르죠 우리가 양식장 물고기랑 자연산 물고기를 다르게 생각하듯 저렴한 공장에서 대량 생산과 자연산 농민이 파는 가격이 달라지겠죠 이게 경제죠.... 즉 텃밭을 가꾸는 할머니가 파는 농장물이 더 비싸게 팔리겠죠....
@joovali
@joovali 11 ай бұрын
어차피 농업인구가 노령화라 곧 기업이 들어갈거임
@dp7263
@dp7263 11 ай бұрын
한국이야 말로 국토가 좁아서 이스라엘 처럼 해야함...특히 수입 많이 하는 작물 부터...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이 낮은 것으로 앎!
@kbsmd0
@kbsmd0 10 ай бұрын
농업의 미래는 지금보다 단위면적당 100배의 생산효율을 낼겁니다. 노력만 한다면 50년 이내로 만들수 있을 것 같아요. 물론 야채나 감자, 곡물류까지 모두 만들 수 있을겁니다. 다만 비용이 좀 오르겠지만 어마어마한 생산량으로 식량문제를 해결하리라 희망합니다. 생화학자분들 힘 내세요.
@kbsmd0
@kbsmd0 10 ай бұрын
@@grx1988 그래요? 단위면작이란건 1층을 말하는건데 가능한가요?
@kbsmd0
@kbsmd0 10 ай бұрын
@@grx1988 네. 그럴줄 알았습니다. ㅎㅎ 하지만 광량문제는 이미 해결했습니다. 나사에서 빛 없이 식물을 키우거던요. 그래서 초밀식재배로 100배 키운다고 한겁니다. 아직은 초조생종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남아 있지만.
@user-lm1pc6jy3k
@user-lm1pc6jy3k 7 ай бұрын
사막이나우주공간은필요하지만.모든인류가생존유지하기위해서는자연농법으로해야한다.장단점이많다 자연햇빛이있는데 굳이에너지을사용해야하면건물까지지어가면서?버섯은가능하다결국기업만살찌게할뿐빈부의격차가많을것이다.
@user-sn4qi6py4u
@user-sn4qi6py4u 7 ай бұрын
땅의 기운을 받고 자라난 채소가 제일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eo8uu8ot5s
@user-eo8uu8ot5s 5 ай бұрын
농사는 가능하지만 전력비 문제, 생태 건강상문제 이런게 문제아닌가?
@user-eo8uu8ot5s
@user-eo8uu8ot5s 11 ай бұрын
그 막대한 에너지는 어떻게?결국 설비수출이 목적인거군
@cropcrop9264
@cropcrop9264 11 ай бұрын
빡대갈 ㅋㅋ
@user-wy8su2kg9l
@user-wy8su2kg9l 10 ай бұрын
26:23 워터크레스(물냉이)입니다. 갑자기 포아풀과 식물? 이라해서 뭔가 싶었네요 ^^; 사전적으론 의미가 맞지만 크레숑, 물냉이로 표현하는게 직관성이 좋을것 같습니다.
@user-yc8gr9nh6k
@user-yc8gr9nh6k 11 ай бұрын
햇볓을 봐야 할것 같은데.
@hojinkim9648
@hojinkim9648 11 ай бұрын
흥미롭네요. 단순히 상업적인 목적이 아니라 군사시설이나 큰 도시에 지어진다면, 유사시 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해 물가가 폭등할 때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yacht-responce
@yacht-responce 10 ай бұрын
곡물이 없어서 도움안됨...
@hojinkim9648
@hojinkim9648 10 ай бұрын
@@yacht-responce 주식인 곡물은 못 키우나요?
@user-fv2vg4fk9h
@user-fv2vg4fk9h 10 ай бұрын
​@@hojinkim9648일본에서 벼를 키우는데 성공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스마트팜으로는 엽채류를 주로 키우는것 같습니다
@florajay8113
@florajay8113 5 ай бұрын
곡물은 키우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니 수지타산이 맞지 않을 듯 한달 전후 수확하는 채소에 비해 수확까지 5~6개월 걸리는 곡물은 비용은 많이들고 수확은 한번 밖에 못하니 투자대비 수익이 나지 않을거 같네요
@hojinkim9648
@hojinkim9648 5 ай бұрын
@@florajay8113 통제된 실내환경과 종자개량을 통하면 생산량과 수확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 같은데 과대망상일까요.
@funkyplaya
@funkyplaya 10 ай бұрын
이런 기술 정말 대한하긴 한데 햇빛을 받고 토양의 미생물들이 작용해서 만들어주는 양분을 먹고 자연 속에서 자란 식물과 비교하면 영양 측면에서 엄청난 차이가 날 것이다. 자연산 식물이 최고다. 한편으론 이런 기술로 인해 좀더 싸게 쌈채소 같은 거 구매할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긴 할텐데...
@100gung-go-go
@100gung-go-go 10 ай бұрын
인구소멸국가인 우리나라. 살사람이 없으면 이런 앞서가는 기계가 무슨소용. kzfaq.info-ubWTIuFhcA?feature=share 복지와 투자의 차이
@user-dt7zq9ix6e
@user-dt7zq9ix6e 10 ай бұрын
상상이 아니다 현실이 될수있다 옛날 누가 양계장을 생각했을까?
@user-xt2wr7ox9p
@user-xt2wr7ox9p 3 ай бұрын
농사짓는사장님들전부 외국다녀온분들인가? 우리랑 언어가다르고 표정도 다르네요 .ㅎㅎ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11 ай бұрын
에너지를 적게들이는 방식 연구해 비용 절감해야 경쟁력생김 기존것보다 돈더들어가면 장기적으로 폐없밖에 할게없음
@user-vh3mt8pn1i
@user-vh3mt8pn1i 10 ай бұрын
내가 장담한다 우리나라에서 10년 20년 지나도 영상처럼 저렇게 농사지을수 없을거다.
@idonothing7557
@idonothing7557 10 ай бұрын
스마트팜이 아직도 관심을 받다니.... 이미 국내 스타트업들이 도전했었고 타산이 안맞아 다들 망해갔습니다. 그리고 친환경성 얘기 역시 결국 에너지 사용량이 많아 문제인 점도 해결 못했구요. 겉만 번지르르해보이는 게 현실이죠. 다만 더 혁신적인 기술이 나오길 기다리는 것 의미가 있을 거에요.
@user-vg9hy4yj3u
@user-vg9hy4yj3u 11 ай бұрын
현 친환경이라는 기술들은 아직 미완성..차든 농업이든 결국 모든 에너지원을 전기로 전환하는거라..그냥 카드깡돌려막기임..핵융합.그린수소가 완성되면 빛을발할것들..
@user-ez1bv1et9m
@user-ez1bv1et9m 10 ай бұрын
이케아에가면 볼수 있어요
@youtubesurfer
@youtubesurfer 10 ай бұрын
2018 년 영상을 이제 올리는 이유가 뭔가요~? 현재의 모습이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도입된 사례나 관련 기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말 이런거 없으면 나중엔 다죽겠다 싶네요 ㅠㅠㅠ 시급히 도입해야합니다.
@iisookim2172
@iisookim2172 10 ай бұрын
카메라 앞이라 주방장 짬인데도 직접 야채 캐오고 요리해서 서빙까지...ㅋㅋㅋ
@user-wo5dx5pj3n
@user-wo5dx5pj3n 4 ай бұрын
영양분은 같을까요? 좋은 땅에서 좋은 음식이 나온다고 하는데 땅이 없으니 궁금하네요
@ggmind
@ggmind 7 ай бұрын
물은 95% 적게 사용하고 생산량은 130배 많다는데 가격이 왜 20% 더 비싸냐?
@user-yq1py4fu3s
@user-yq1py4fu3s 10 ай бұрын
저런거 할려면 비용이 얼마나 들가 궁금하군요 ...기술력도 대단하고 아이디어도 대단합니다
@user-pl1xp2do7l
@user-pl1xp2do7l 5 ай бұрын
영상게시일시를 화면자막에 명기해주세요
@ikim6326
@ikim6326 5 ай бұрын
문제는 에너지 비용이다
@oliveche9676
@oliveche9676 4 ай бұрын
정말 새로운 세상이 오고 있습니다
@DH-sq5fv
@DH-sq5fv 11 ай бұрын
다 좋은데 종자확보는 어떻게 하죠 궁금하네요.!
@mimi00908
@mimi00908 3 ай бұрын
좋아요😮😊
@DiverJake
@DiverJake 10 ай бұрын
다 필요없고, 흙과 태양에서 나온 것들을 먹고 싶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생각을 하지 못하고, 회피책만 생각해서는 답이 안나온다.
@user-sd7xz4pz6w
@user-sd7xz4pz6w 10 ай бұрын
사막에 하우스같은거 지어서 물만 잘 주고하면 엄청 잘 자랄거 같은데.... 해가 늘 뜨거우니깐...
@burro2986
@burro2986 5 ай бұрын
저노력으로 아름답고 살기좋은 지구살리기 노력을 해야지 삭막하고 살기힘든 화성가서 살생각을 하는게 코미디네 이렇게 아름답고 완벽한 지구는 없을듯 하다
@user-iw4dw2wm5m
@user-iw4dw2wm5m 10 ай бұрын
스마트 팜 시스템은 반드시 스텐레스로 해야만 안전하고 자연 식물을 수확할 수 있쥬
@user-xg6xe4xw5e
@user-xg6xe4xw5e 4 ай бұрын
물로 ㄴ이것도 필요하겠지만.. 기후변화를 막도록 노력하는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
@jacobhello7333
@jacobhello7333 4 ай бұрын
플라스틱에서 자라나는데.. 영양이 있으려나 ..? 그게 궁금함
@user-sm3kz2lt6c
@user-sm3kz2lt6c 9 ай бұрын
에너지 비용은 줄어든 인건비로 대체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user-kt7sr8kb6w
@user-kt7sr8kb6w 11 ай бұрын
땅에서 키우는 거보다 전기요금이 더비쌈. 도심의 위치적 이점이 있을뿐. 운송비가 안 드니까. 쓸데 없는 짓임.
@user-mv7er6pm1l
@user-mv7er6pm1l 9 ай бұрын
태양광에너지도 있자나요
@user-xr3hj1yx8i
@user-xr3hj1yx8i 8 ай бұрын
흙은 당신에게 건강을 선물하지만 비료는 당신에게 위험을 선물 할것이다 .
@sanchon56
@sanchon56 4 ай бұрын
화학액비로 키운 채소는 먹고싶지않다!!!!
@sanchon56
@sanchon56 4 ай бұрын
간강한 땅에서 자란 먹거리를 선택하겠다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11 ай бұрын
기후변화대응을위한 식량난해소를위해 자동화 ai농업설비를늘이고 설비비를줄여야 농업하려는 젊은이들이 생길것같아요
@user-rp2bf8ge2q
@user-rp2bf8ge2q 11 ай бұрын
성공의 기본은 SMR
@copsk9866
@copsk9866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미래형 농업 시작해야 될거같아요~
@user-kw3nq9mr1h
@user-kw3nq9mr1h 5 ай бұрын
저는 땅이 행복해야 그 곳에 자라는 농장물도 또한 특등급 농작물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또 그런 일들을 가능하고 그에 결과 물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마트 팝 과 함께 접목하면 더욱 그 성과는 좋겠네요
@aprill7985
@aprill7985 10 ай бұрын
화이팅
@user-fn6fe7yx1r
@user-fn6fe7yx1r 10 ай бұрын
비유 닭장 아파트에서 우유만 처먹고 자라는아이 온실에서 쑥쑥자라는 채소 먹고 그대신 병은 더 잘걸림 가공채소 가공양계 시골에서 채소 과일 키워 먹고 자란아이 바위 틈에서 살기위해 자라는거하고는 영양가가 다름
@jianjian109
@jianjian109 6 ай бұрын
👍👍👍
@user-yf6wb4nw7s
@user-yf6wb4nw7s 10 ай бұрын
에이 태양광으로 전기 생산하여 기후 위기에 바닷물을 담수화 해서 사막과 고원에 보내고 거기서 ㄹ고농도 여분에서 리튬도 얻고 뜨거워진 지구를 식히고 식량부족을 해결하고 바다 수위를 낮춰야 식물 공장은 전기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겠죠
@user-rr6ih6tb2w
@user-rr6ih6tb2w 11 ай бұрын
전기세 어마무시하게 나올듯 한데 ㅎㅎ
@ford6176
@ford6176 9 ай бұрын
그래서 빨리 핵분열관련 친환경적이고 전기를 더욱 많이 생산하는 기술이 완성되어야 ㅠㅠ 아마 세대를 좀 걸치기 시작하면 괜찮지 않을까 싶어요
@user-mv7er6pm1l
@user-mv7er6pm1l 9 ай бұрын
태양광 잇자나
@joonimism
@joonimism 5 ай бұрын
네덜란드 튤립 스마트농장 지붕에 태양광패널 쫙 깔려있습니다. 영상 중간에 나와요. 우리 농촌 곳곳에도 마찬가지 이유로 태양광 많이 깔려있어요.
@azkjhg364
@azkjhg364 4 ай бұрын
좋은 세상이 속히 오기를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 5 ай бұрын
산소 배출량 이필요함❤🎉
@seohenry922
@seohenry922 10 ай бұрын
식물공장 제어를 위해서는 특히 공조쪽에서 전력소비가 많은데, 재생에너지가 같이 적용되어야 식물공장이 오래갈 것 닽네요
@dosungpark
@dosungpark 6 ай бұрын
그나마 공조가 가장 기계적 성능이 탁월한 시스템입니다. 성적계수 3.5라면 순수전기방식으로만 공조하기보다 3.5배 이상 전가를 아끼는 시스템이라는 의미입니다.
@user-vv6ch8zb8z
@user-vv6ch8zb8z 11 ай бұрын
야채랑 과일은 식물공장에서 만들고 고기는 배양육으로 만들면 이론상 모든 식자재를 전기랑 물만 있으면 만들 수 있게되는데 핵융합의 발전으로 전기가 무료가 되면 캬...
@user-vg9hy4yj3u
@user-vg9hy4yj3u 10 ай бұрын
핵융합과 거기에 사용되는 초전도체같은 기술들이 상용화되면 이미 산업혁명이후 인류 황금기1.5페이즈 들어가는거...2단계까지 가려면 달.화성의 지하자원을 가져올수 있어야됨..
@jianjian109
@jianjian109 6 ай бұрын
인간들은 병이들고 죽겠죠.. 자연먹거리를 먹어야 하는데 말이죵
@user-sg2fw6ze7n
@user-sg2fw6ze7n 9 ай бұрын
이스라엘 방식을 쓰면 적은물로 사막화를 막을수있을꺼고, 도심에 스마트팜을 운영하면, 멀리 운송하는 일이 줄어들어서 탄소배출도 줄어들것이고, 물사용량도 줄어들고 기후위기때마다 폭우나 태풍에 농작물 피해가 없으니 가격이 폭등하는것도 막아줄듯?
@chuls_tv
@chuls_tv 11 ай бұрын
한국이야 말로 앞서나가고 선도해나가야 할 분야의 식물공장!!
@houstoncity
@houstoncity 11 ай бұрын
정작 현재 산업화는 매우 뒤쳐져있죠 ^^ 그리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습니다. 기반기술력 자체도 미국,프랑스,일본등 Airopinics, Aquaponics 선도국에 비해 부족한데다 LG이노텍이 새만금에 수경재배식 농업공장 지으려했지만 한국농업인협회의 반대로 무산됬죠. 농민과는 직접 경쟁안하고 철저 고부가가치 수출작물만 재배한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기술력이나 관련 규제(한국은 법적으로 대기업의 농업진출이 제한되있음) 이나 여러모로 한국에선 하기 어려울 듯 합니다.
@sejinJ
@sejinJ 10 ай бұрын
⁠​⁠@@houstoncity 대기업이 뛰어 드는데 경쟁 안하는게 말이 안되죠 직간접적으로 영향 받는게 당연함 농민이라고 쌀농사만 짓는거도 아니고 수출용 특수작물도 현재도 누군가는 농사 짓잖아요 해당 작물 아니더라도 후에 산업이 확장될거구요 이런 글을 쓰는 저라고 신산업을 반대 하는건 절대 아니구요 신생 산업이 생기면 도태되는 사람이 나오기 마련인데 그들도 우리 국민입니다 안그래도 한국은 무한경쟁과 효율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심한데 이걸 조율 할 생각을 먼저 해야지 상생은 커녕 적폐세력 취급만 하니 변하는게 없죠 그들은 당장에 생존이 걸렸는데 반발 하는게 당연하지 않나요 농업 말고 현재 공장화 된 다른 분야를 보면 반발하는게 당연할지도 모름 예를 들면 모 빵공장이 전국 통일해 독점 하고 개인 제빵하던 사람이 최저시급 받고 빵공장 다니는거처럼요 이게 대한민국 대기업 스타일이죠 법적으로 대기업을 막는게 괜히 하는게 아님
@houstoncity
@houstoncity 10 ай бұрын
@@sejinJ 흠... 맞는 말이지만 저랑은 관점이 다른 것같네요. 일단 한국은 절대적인 토지규모도 작음에도 농업생산성또한 선진국 중 최하위 수준인데, 국토가 산지가 많은 것도 있고 그런데도 과학적인 농업을 못하고 1950대식 농업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전통적인 농업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미 빠르게 사양산업화 되가고 있고 과감하게 말해서 첨단농업에 비해 경쟁성이 전혀 없어서 미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AI시대에 들어감에 따라 사회전반에서 발생할 문제지만, 결국은 이미 사양산업화되가고 있음을 인정하고, 국가단위의 체계적인 재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한국이 안해도 다른 나라는 할 것이고, 끝까지 다가온 현실에 귀를 막고 눈을 감으면 결국은 도태밖에 없습니다. 마치 1800년대에 선진국은 이미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가 공장제 경공업, 방직업을 발전시켜나가고 있음에도 쇄국하고 성리학이 어떠니 외치고, 갈라파고스화끝에 일본의 식민지꼴 난 조선처럼요. 첨단농업 자체가 나쁘다기 보단, 분배나 재교육측면에서 발생하는 아닌가 생각합니다. 과학과 공학을 활용한 첨단농업은 단지 생산성을 개선할 뿐입니다. 그건 국가전체 차원에서 보면 산업혁명의 기계가 그랬듯 결과적으론 국가 전체의 가용가능한 부, 농업생산량을 늘려줄 뿐이라는거죠. 거기서 분배가 어떻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질자들에게의 재교육은 어떻고는 분명히 매우 중요한 문제지만, 확실한 건 결국 선진적 시스템 자체를 부정해버리면 한국 농업은 도태될거라는 겁니다. 그리고 그 징조는 이미 보이고 있습니다. 날이 갈수록 수입산 농작물은 늘고있고 이미 우유등 몆몆 분야에선 국산보다 수입산을 많이 소비합니다. 앞으로 그런 기조는 더욱 늘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식습관은 다양화되고있고, 한국은 핵심자원을 100%해외에 의존하는 특성상 다른나라를 무시하고 보호무역을 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자기들은 여러 품목을 수출해야하니 너네는 문열어 우리는 문을 닫을게 라는건 내로남불이고, 그랬다간 다른 나라도 문을 닫아 기초 자원도 못구해 북한꼴 나는수가 있습니다. 1997년 외환위기도 근본적인 산업경쟁력이 딸리는 사실을 외면한채 보호무역으로 해결보려다가 더 큰 역풍을 맞았죠. 올바른 길은 선진적 시스템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그 과정에서 생산되는 추가부가가치에 대한 합리적인 분배와 실질자들의 재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하는게 아닐까요. 현실을 외면하고 발전없이 정체하고있다가는 언젠가 일제시대처럼 외압에 의해 강제적으로 크게 역풍을 맞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houstoncity
@houstoncity 10 ай бұрын
@@sejinJ 하지만 첫 글에서 말했듯 걱정안해도(?) 한국은 변화를 못할 것같습니다. 언젠가 결국엔 큰 역풍을 맞거나 도태당하겠지만요
@sejinJ
@sejinJ 10 ай бұрын
@@houstoncity 땅이 넓지도 않고 비옥하지도 않은 한국 농업이 점점 신산업에 적응 못하고 도태될거라는건 저도 동의합니다 앞서 말씀드린건 한국 대기업이 시장을 점령하는 레퍼토리를 말씀드린거지만 농민들도 노답이긴 마찬가지 맞아요 특히 현재 구시대적 농업을 주도하는 노년층을 매우 회의적으로 보고있구요 그 다음 세대도 딱히 좋게 보진 않네요 이걸 국가 주도로 변화 시키는건 현대시대에는 불가능한거 같고 정부가 유도를 해주거나 농민들 스스로가 바꿔야 되는데 상생을 모르는 대기업, 관료제에 찌든 정부, 구시대적인 농민 어느 부분을 봐도 노답인거 같습니다
@jinghp
@jinghp 10 ай бұрын
공장처럼 할려면 투자가 많이 필요한데 그런 투자를 할려면 대기업이 해야 하고 소규모 위주인 우리나라는 불가능함 기존 농업 싹망하고 살아남기 위해 나라나 기업이 하지 않는한 힘들죠
@estherj.g5620
@estherj.g5620 5 ай бұрын
건강에 좋을까?
@o5s3i1
@o5s3i1 11 ай бұрын
굿!
@limdongeun1
@limdongeun1 5 ай бұрын
가능하면 땅에서 자란 채소를 먹고 싶다.....
@miosarang
@miosarang 10 ай бұрын
물론 어떻게하든 작물을 생산을 해야 인류가 먹고 살겠지만 지금 이 열대화 시대에 탄소를 가두는 농업을 하지 않고 저렇게 탄소를 배출하는 농업만을 지향하면 안된다고 생각된다. 저 광원은 탄소를 배출하는 거 아닌가? 무경작 농업으로 탄소를 땅에 가두어야 하는데 저 시스템 작동에 들어가는 에너지는 ? 설비는? 저 공장자체가 막대한 탄소배출 산업이다.
@manhole1052
@manhole1052 11 ай бұрын
굿
@user-rg5cf2jl5o
@user-rg5cf2jl5o 10 ай бұрын
모든농민들의 공무원화로 과학적인 영농으로 식량자급자족하를해야 살기좋은대한민국대한민국
@laziko2
@laziko2 10 ай бұрын
영화에서나 보던 일이네요
@user-ld6lv2fo4v
@user-ld6lv2fo4v 5 ай бұрын
비수도권 농지2000평우 있는데 시설비 부담으로 꿈의농장 아파트형 식물공장이군요ㅡㅡ
@rigjlsdkc
@rigjlsdkc 10 ай бұрын
국내 식량자급률을 끌어올릴 키카드가 되어 줄것 같은데 정부에서 멀리보고 밀어줘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user-mj9hn9wv1q
@user-mj9hn9wv1q 10 ай бұрын
먹고는 살겠지만 맛과 영양면에서는 자연농을 따라갈수있을까? 공장식물은 그맛이 그맛 .
@user-hk9kx6zh2s
@user-hk9kx6zh2s 28 күн бұрын
저도 이번 사태 보면서 언론 기자들 뉴스가 얼마나 확인되지 않는 애기를 막 퍼나르는지 알게 되었어요 기자들 오보뉴스 법적 처벌 법으로 만들어야 해요 세상 넘 무서워요
@flowintime7933
@flowintime7933 11 ай бұрын
이 공법의 문제는,, 시설비와 유지비...
@shlee3085
@shlee3085 10 ай бұрын
영양은 있을까요?
@abcenglish371
@abcenglish371 11 ай бұрын
채소나 과일 한정입니다 쌀이나 밀 같은 곡물은 안됩니다
@jeanlee2090
@jeanlee2090 10 ай бұрын
일런 머스크 동생도 이 비지스 하는데…앞으로 Mars에서도 먹을수 있게하려고
La revancha 😱
00:55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69 МЛН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AI농부가 뿌린 씨앗 울주형 스마트팜
42:45
존티비JONTV
Рет қаралды 116 М.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elim yara olduğunda benim haller #shorts
0:16
Mert Sarı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Stick Man Is NOT Having A Good Day 😢 | Shorts
0:37
Gruffalo World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