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유리병의 비밀 /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20,223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10 жыл бұрын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www.ytnscience.co.kr/program/p...
신라, 백제의 고분. 그곳에는 유리가 있었다.1500년 전에 사용된 신비로운 색과 문양의 유리그릇들.그중에서 가장 이국적이면서도 세련된 모양의 신라 유리병과 사람의 얼굴이 새겨진 인면구슬은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있다.그리고 백제가 품은 또 하나의 보물인 초록빛의 유리 사리병.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

Пікірлер: 106
@ourmind100
@ourmind100 2 жыл бұрын
90년대 중반 경주 근화여고를 현재의 산아래로 이전할 때, 유리 세공터가 발굴되어 공사가 중단되었는데, 세계사에 길이 남을 일이라고 난리났지만, 발굴 몇일만에 도굴되었다며 덮어버리고 여고설립이 강행되었습니다. 경주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 이미 오래되었지만, 당시 재단 넘들은 몰랐을까요?
@suk-kyounghong7277
@suk-kyounghong7277 3 жыл бұрын
인면유리구슬은 인도네시아에서 온 것으로 영국의 역사학자가 밝혀냈습니다. EBS 다큐에 소개됐지요. 지금도 관광객 상대로 인도네시아에서 제작.판매하고 있습니다.
@user-rj1uc7wd1c
@user-rj1uc7wd1c Жыл бұрын
가끔씩 고분 발굴하고 왜 유골이 없는지 궁금해하신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면 돌무지넛널무덤 특성상 나무곽이 썩어 나무곽 위에 무거운 돌들이 내려않아 유골도 같이 훼손됩니다. 더군다나 우리나라 토양은 산성을 많이 띄고있어서 천년이라는 세월동안 훼손된 유골도 땅속으로 녹게 되는거죠. 황남대총 남분에서 아랫턱뼈만 발견된건 기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user-gr7ne3pn5c
@user-gr7ne3pn5c 3 жыл бұрын
삼국시대 배경의 사극 좀 많이 나왔으면.. 죄다 조선시대 얘기 지겹다...
@hugme7791
@hugme7791 6 жыл бұрын
일본 고분에서도 그리스의 유리공예품이 나왔다던데 그당시 유행이었나봅니다
@user-qx1im3wu5j
@user-qx1im3wu5j 4 жыл бұрын
정말 잘봤습니다
@user-jp4rl7ti4b
@user-jp4rl7ti4b 3 жыл бұрын
교류라기보다는 신라왕족은 백인들이었고 백인형제들간의 선물이었을것이다 신라왕실이 백인이었음은 골품제를 보면 알수있음 순수백인 성골 백인혼혈 진골 나머지들 두품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그렇다기엔 신라의 문화는 그냥 우리동이문화에 흡수된 문화라고 봐야죠 훈족이니 스키타이니 추측은 있지만 실상 그들의 인종에 대한 의구심은 있을지라도 그들 문화는 동이족 그 자체라서 우리민족임이 틀림없습니다 양직공도에서 삼국만 머리에 상투 튼거 보여요?
@user-cj4tj2gu5z
@user-cj4tj2gu5z 5 жыл бұрын
자체 만든것 보다 그만큼 다른 나라들과 교류를 했다는 사실이 더 대단한거 아닌지...
@2sdle112
@2sdle112 2 жыл бұрын
신라지역 유리 문물이 더 발전된 형태였다고 하다가 백제유물이 동남에서 해양루트로 왔다고 하다가 뜬금없이 신라로 흘러갔다는 이건 무슨 논리고 경우인가요? 아무리 고대사가 기록이 없어 해석하기 나름이라지만 역사에 대해서 조금만 알면 지금 다큐가 무슨 말은 하는지 전혀 논리적으로 안 맞다는걸 아실겁니다. 그냥 짜맞추기 했어요. 연도도 하나도 안 맞고 그렇습니다. 공신력 있는 방송이 이래서 되나 싶고 할 말 있음 좀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roadcaffa
@roadcaffa 2 жыл бұрын
요즘따라.자꾸 옛날 동영상을 찾게 댑니다...돌아가고싶나 봅니다...너무 사는게 버티기가 힘들군요...
@user-jr9ym8qv1q
@user-jr9ym8qv1q 3 жыл бұрын
옛날에도 유리가 있었나요 오늘날에 맑고 투명한, 사기 그릇 도자기는 많이 있었다고 하지만 오늘날 같은 유리가 있었다니 좀 알아봐야지 믿어지지 않아요
@lkh4860
@lkh4860 3 жыл бұрын
디자인 아름답네
@S.Y.J
@S.Y.J 8 жыл бұрын
어찌보면 조선시대보다 더 발전된 나라였을수도...
@forget4545
@forget4545 3 жыл бұрын
서용준 조선의 무역체계는 답없죠...
@yttst7110
@yttst7110 3 жыл бұрын
다시대에따라 생존법이 바뀌는겁니다. 조선이 살아남아 오래버틴것도 다 강하고 좋은 시스템이여서조ㅡ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3 жыл бұрын
아니 ㅋㅋㅋㅋㅋ 저기서 나온 특이한 유리 유물이 신라 기술로 만든것도 아닌데 조선이랑 비교를 하세요 ㅋㅋㅋㅋㅋ 굳이 정확하게 따질거면 기술론 서방에 안된다고 하시지 ㅋㅋㅋㅋㅋ
@KSST-111
@KSST-111 2 жыл бұрын
@@user-ts5bs8ll3r 최소한 저기는 뭐라도 받아들이고 했지 조선은 외교 찐다
@ourmind100
@ourmind100 2 жыл бұрын
90년대 중반 경주 근화여고를 현재의 산아래로 이전할 때, 유리 세공터가 발굴되어 공사가 중단되었는데, 세계사에 길이 남을 일이라고 난리났지만, 발굴 몇일만에 도굴되었다며 덮어버리고 여고설립이 강행되었습니다. 경주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 이미 오래되었지만, 당시 재단 넘들은 몰랐을까요?
@yttst7110
@yttst7110 3 жыл бұрын
왕과 왕비라뇨..ㅋㅋ왕은 금동관쓰고 왕비가 금관씁디까? 여왕과 여왕의 남편으로보는게맞죠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신라가 모계로 혈통관리 했던거 사학자들 사이에선 공공연한 비밀이자 절대 유출되선 안되는 1급 기밀이죠 유교 국가 식민지남성 부계사회에서는 절대 알려져선 안되는 비밀이니깐ㅋ
@aprogoogle
@aprogoogle 5 жыл бұрын
서방에서 왔다니 전문가 표현이
@user-yj9tg3cg6v
@user-yj9tg3cg6v 6 жыл бұрын
부인대 글씨가 우째 돌에 세긴 글씨보다 못한지 꼬옥 조작 한것 같은 느낌이 든네요 유리병 언제 저런게 미륵사지터에서도 글씨가 저러터니만 뭔가 이상한게 이ㅆ네요
@dolgum826
@dolgum826 4 жыл бұрын
세긴 --> 새긴 ㅠㅠ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정자라고 생각하는 삐침 글자는 중국 송대에나 만들어지는 글자체에요 한자의 오리진인 갑골문을 보면 글자가 저렇게 담백합니다 한자의 글자체를 모르셔서 하는 말씀이죠 광개토태왕 글자도 좀 어린애글자같고 걍 낙서같잖아요 근데 그게 오리진이에요 추사 김정희 글자체를 보면 후대로 갈수록 그 예술성이 꽃을 피우는데 걍 보면 초기보다 더 어린애 글자같거든요? 근데 그게 원래 한자가 갖고있는 철학과 예술성에 가까운 글자라서 높이 평가 받는거에요 그리고 갑골문은 동이족인 우리조상들의 글자구요
@agnesjeslynne1416
@agnesjeslynne1416 8 жыл бұрын
나 이거 경주에서 특별전 할 때 봤는대ᆢ 대박이다ᆢ 그때는 설명없이 봐서리
@user-nw4ik5lc8r
@user-nw4ik5lc8r 4 жыл бұрын
예쁘당
@sj7013
@sj7013 6 жыл бұрын
모든 문물을 교역으로만 설명하냐... 뭐가 설명이 많이 부족하다...
@user-vx3hd8ov3y
@user-vx3hd8ov3y 3 жыл бұрын
'발굴왕' 영상을 보니까, 익산 왕궁리 유적에는 유리 공방이 있었던 것으로 설명하던데. 삼한시대에도 유리가 있었다고 하니, 국내에 유리 제조 원천기술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원삼국 시대라는 식민사학자적 용어를 쓰면서 한반도인은 전부 미개했고, 모든 훌륭한 물건은 다 수입했다는 식으로 논리를 풀어가고 있는 듯이 느껴짐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5 жыл бұрын
연속성 역사교육이 이래서 중요한거 ㅉㅉ 국수주의로역사를해석하시면 안되죠 저유리가 한국 기술이였으면 그뒤로는 왜만들지 않았죠? 제련이나 유리세공은 다같아보여도 시대나 국가별로 독득한 형식이 있어요 저 유물들자체가 고대 로마와 페르시아 양식인데 무슨 국내기술 백제시대의 유리가마가 확인되었다면 그 근거좀?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유리가 동에서 서로 갔고 그 곳에서 자기식의 발전을 이뤘단 소리잖아 한국이나 대만이 반도체 1,2위 제조국이지만 원천 기술은 미국이 갖고 있는거처럼 그래서 미국이 자국에 대만 한국 반도체 공장 유치했잖아 지들이 만드는 기술은 없어서 빡대갛아 삼성이나 대만이 미국에 그 땅값 임금비 비싼데 기술유출 우려에도 불구하고 왜 공장지어주고 있는데 븅딱아ㅋ자 이제 반도체가 누구꺼지? 으휴 멍청한게
@ysng-yz7xe
@ysng-yz7xe 3 жыл бұрын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인면구슬은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도 지금 똑같이 만들수 있다. 원료성분으로 보아 자바섬에서 만든것이다
@Kim-cn5bl
@Kim-cn5bl 3 жыл бұрын
졸라 신기하네..... 마치 그리스 유물같애
@2sdle112
@2sdle112 2 жыл бұрын
황남대총에서 나온 유물들 정말 소름 돋게 뛰어난 것들인데 이걸 이런식으로 과대 포장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 자체로 말로 표현 못할 발견인데 이건 너무하다 싶네요. 제 댓글이 재생전에는 안보이시겠지만 제 댓글 보시는 분들은 머리 속에서 지우세요. 방송국이 날조한 역사입니다.
@tmzkdl111
@tmzkdl111 8 жыл бұрын
황남대총 유리병 비밀- ytn- 사인언스
@user-fy8cw7ww4m
@user-fy8cw7ww4m 6 жыл бұрын
가야 가락구의 역사를 제조명하거라 가야 백제후 신라는 후대 국가다 왕족 왕이란 칭호를 사용한 가야 가락국 역사를 제조명하거라
@Giparan
@Giparan 4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제대로 다시 배우세요 고구려 백제 가야 보다 신라가 먼저 한반도에서 나라 세워습니다 다시배우세요 왜곡 하지마시고
@eunpaa2159
@eunpaa2159 6 жыл бұрын
저런유물과 교역내용을 볼수록 좁은 한반도안에서 삼국이 지지고복고 살앗다는게 앞뒤가 않맞는군요
@dolgum826
@dolgum826 4 жыл бұрын
지지고복고--> 지지고 볶고 살앗다는게-> 살았다는게 않--> 안 ㅠㅠ
@user-pm7yu8pq6s
@user-pm7yu8pq6s 3 жыл бұрын
@@dolgum826 ㅇㅇ 국평오
@21song97
@21song97 3 жыл бұрын
당시 지중해도 서로 좁은 곳에서 지지고 볶고 살았던거 아닌가요??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21song97 지중해 본진이 거기고 다 제후국으로 영토 다스리고 있었는데요? 따지자면 한반도도 본진이랑 제후국으로 영토가 훨씬 넓었다는게 설득력있죠 백제는 자꾸 일본땅에 좋은거 가져다 주는 어미새 노릇 했는데 왜 줬겠어요? 백제 망할때쯤에 일본애들 백제부흥운동에 사활을 걸었는데 왜그랬겠어요? 그거 뿐인가 신라 백제 고구려 망하고 동서간에 무역 중단된건 어떻게 설명할래요? 중국이 교역의 주체였다면 왜 삼국이 망하고 교역이 중단됐죠? 이 좁은 땅에서 서역의 뭘 수입을 할려면 뭘 팔아야 교환을 할텐데 뭘 팔려면 기본 생산기지가 있어야하고 땅은 생산의 기본입니다 공부 좀 하든가 모르면 깝치질 마세요 어휴..
@user-zu5rd1ft8w
@user-zu5rd1ft8w 3 жыл бұрын
상식에 맞게 생각하면 만들 기술이 있는데 고쳐쓰나요??? 그것도 지배자가??? 노예같은 신분의 장인들인데??? 야 내일까지 100개 만들자 못만들면 1개당 한대씩 오키??? 이렇게 해도 될일을.. 뭐 그냥 무역로 서역에서 삼한까지를 너무 장황히 따져 묻는듯.. 이미 금실감아 깨진 손잡이를 재활용해 썼을만큼 중요하다에서 모든 결론이 나왔을듯 한데요.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유리기술이랑 유리세공기술이랑 같아요?ㅋ 로만글라스는 유리기술을 자기식으로 더 발전시킨 로마기술이지만 유리 그 자체는 동에서 서로 간 기술이란 소리죠 무식하면서 아가리 빽빽대는 것들 왜케 많냐ㅋ
@peterpark8486
@peterpark8486 7 жыл бұрын
백제가 최고지.
@ulgeefocus
@ulgeefocus 8 жыл бұрын
왜 우리나라에서 많이 발견되고 자생적으로 만들었다는 것도 확인되는데 무조건 서역에서 들여왔다느니 중국에서 들여왔다느니 뱃길을 통해 들여왔다느니 이런 소리만 해대는지. 우리가 문화적 불임민족도 아니고 찬란한 홍산문화를 포함한 고조선 - 발해문명을 만든 주역이었는데도 말이다.
@thekhankim3023
@thekhankim3023 5 жыл бұрын
동영상의 15:28 분부터 보세요. 성분 검사가 나오잖아요. 서역에서 온 것이라 주장하는 학술적 근거입니다. 그 당시 동아시아 심지어 님이 주장하는 홍산문화 지역 근처에도 유리세공품이 나오지 않았어요.
@user-nh5gc4bw2s
@user-nh5gc4bw2s 5 жыл бұрын
옥은 만들지만 유리는 서양에서 들어온것 입니다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왕의 한자글자는 王인데요 옥의 한자글자는 玉이거거든요? 근데 갑골문을 보면 王자는 玉자의 원형을 따라가다가 굳어진 걸로 보는게 맞아요 그럼 결국 옥은 왕을 뜻하거든요 옥을 금보다 귀하게 여긴 나라 이게 우리 문명 동이족이고 그 당시 옥이라는건 옥돌뿐 아니라 맑은 돌을 아우르는 것이죠 즉 유리는 인공 옥이에요 역사적 배경으러 보면 우리조상들이 유리를 금보다 귀하게 여길만 하죠? 그럼 이렇게 귀한걸 누가 만들었을까요? 귀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만들지 귀한지도 모르는데 우연히 만들었겠어요? 유리기술은 일종의 연금술이에요 왜 연금술이 있을까요? 유리는 됐는데 금도 될꺼라고 생각한거죠ㅋ 아아 그리고 우리는 옥의 중요성을 많이 잊어 버렸지만요 중국의 도시지역 즉 북경 상하이 같이 문명지역에서는 여전히 옥을 금보다 귀하게 여겨서 옥 하나에 몇억씩 하는 전통이 유지되고 있어요 그들이 중국공산당이 원류라고 주장하는 한나라 후손일까요?ㅋ 옥을 몇억씩 주고 사는 그 문화는 우리 문화인데?ㅋ
@user-dq1lk1dp6n
@user-dq1lk1dp6n 7 жыл бұрын
백제시대의 담로제도를 잘 분석하면 알 수있는 것이지. 그리고 장보고의 해상제국도 제대로 연구하면 알 수 있는 것인데, 이런 역사적 문명문화의 제도를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방송인가?
@hellsa3068
@hellsa3068 6 жыл бұрын
아니 저런 기술을 가지고 조선은 뭐했냐?
@seokinsong3892
@seokinsong3892 5 жыл бұрын
무슨 전문가가 오늘날의 기술로도 저리 못 만들어?ㅎ
@user-vh8ni3fe1w
@user-vh8ni3fe1w 4 жыл бұрын
이란의 기록에 신라가 있는데 페르시아 상인이 배를 타고 중국을 거쳐 왔을것 같은데
@hdcho4486
@hdcho4486 2 жыл бұрын
도굴범들이 물 마시다가 버린거 아닌가? 뒷면에 made in china 라고 씌여있지?
@user-ew9fn5qg8x
@user-ew9fn5qg8x 8 жыл бұрын
서방에서온 기술이 아니라 신라는 훈족,서흉노족으로 당시 동로마,믈가리아,헝가리까지 세력을 펼친 국가 입니다 유럽학자들은 이 유리공예와 황금보검등의 문화가 동에서 이주해온 세력들이 만든거라고 발펴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 기술문화 인것 같습니다^^
@justinkwon9325
@justinkwon9325 8 жыл бұрын
+빛의여신 훈족의 일부가 중국으로 부터 이주하여 신라 사회에 동화된 것이지, 신라가 훈족으로 이루어진 나라는 아닙니다. 훈족의 이주 이전에 이미 사로국 6촌이 형성되어 있었고 진한이라고 하여 초기 국가 형태의 집단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훈족은 그 이후에 소수의 집단이 이주해 온 것입니다. 진한 세력을 완전 멸망시키고 훈족의 나라를 세운 것이 아니라 신라에 이주하여 동화되었다는 점.
@user-sf2zf9bq1d
@user-sf2zf9bq1d 6 жыл бұрын
Justin Kwon 훈족이 어떻게 중국으로부터 들어왔읍니까 훈족과 중국한족은 완전히 다른 민족인데 들어왔으면 만주를 통해서. 들어왔지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5 жыл бұрын
연속성 역사교육이 이래서 중요한거 ㅉㅉ 국수주의로역사를해석하시면 안되죠 저유리가 한국 기술이였으면 그뒤로는 왜만들지 않았죠? 제련이나 유리세공은 다같아보여도 시대나 국가별로 독득한 형식이 있어요 저 유물들자체가 고대 로마와 페르시아 양식인데 무슨 국내기술
@user-gd9iw4cp4e
@user-gd9iw4cp4e 5 жыл бұрын
@@user-qh3hv3fv9w 반론 짱입니다. 역사를 너무 이상하게 배우는 사람들이 있더라구요. 심지어, 유홍준 교수 책을 인용해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더라구요. ㅠ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user-qh3hv3fv9w 유리가 동에서 서로 갔고 그 곳에서 자기식의 발전을 이뤘단 소리잖아 한국이나 대만이 반도체 1,2위 제조국이지만 원천 기술은 미국이 갖고 있는거처럼 그래서 미국이 자국에 대만 한국 반도체 공장 유치했잖아 지들이 만드는 기술은 없어서 빡대갛아 삼성이나 대만이 미국에 그 땅값 임금비 비싼데 기술유출 우려에도 불구하고 왜 공장지어주고 있는데 븅딱아ㅋ자 이제 반도체가 누구꺼지? 으휴 멍청한게
@user-vk3ox4dz1d
@user-vk3ox4dz1d 5 жыл бұрын
스리랑카인들이 자기네는 한국역사가 오래된것을 아는데 한국인은 5000년 이상 오래된 본인들의 역사를 모른다고 합니다.????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실론티의 나라 답네요 역시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동남아고 중국이고 한류를 좋아하고 존중해줘서 이렇게 오늘날에는 결국 서방세계까지도 한류로 통합된거 이게 우연이라고 생각하는건 오산이죠 역사적 배경이 그들의 dna에서 한국을 우호적으로 느낄 수 밖에 없게 하는겁니다 결국 일본도 피하지 못했던 것이죠
@user-zu5rd1ft8w
@user-zu5rd1ft8w 3 жыл бұрын
무역했다는것이 대단한 일이라구요?? 동이전이 맞다면 금,은,비단을 서역에 있는 유리잔 몇개 가져다 주면 무한정 삥 뜯을수 있는 좋은 나라라는 뜻이겠죠.... 제국주의 초기 시절 아프리카, 아메리카 원주민 다루던 것과 뭐 다를거 있나요?? 콜롬부스가 뭐 대단해서 지구 반바퀴 돌러 가는게 아니었잖아요. 금은, 노예 뜯으면서 원주민에게 무엇을 주었나요??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뭐 멀리 갈 필요도 없이 찻잎이랑 찻잎 담던 도자기 몇개 던져주면 은전 쏟아내던 그 서방세계요?
@2sdle112
@2sdle112 2 жыл бұрын
재미로도 보지마세요. 역사관 망쳐요.
@kwe213df
@kwe213df 8 жыл бұрын
한중동 FTA 결과임
@user-yj9tg3cg6v
@user-yj9tg3cg6v 6 жыл бұрын
요서지방을 차지해 다스렸다는 기록을 보고도 전라도에만 있었다고 하니 이건 뭐 닭머리도 아니고
@user-di7ud5im2t
@user-di7ud5im2t 4 жыл бұрын
신라의 지배를 받는 지역이 지중해까지 였다.
@ekeks7090
@ekeks7090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퇴화
@user-pl9yq3ng7f
@user-pl9yq3ng7f 4 жыл бұрын
역사학자 하지마라 웃긴다 내가 봐도 알겠구만
@user-ke7ii9gd2l
@user-ke7ii9gd2l 3 жыл бұрын
로만 글래스잖어 시댕이드라
@youngkim8868
@youngkim8868 4 жыл бұрын
훈은 한이고 신라였다. 유라시아 대륙은 배달 겨레 영역이었다.
@mukfeel
@mukfeel 6 жыл бұрын
우리조상님들이 만든 거라고 왜 말을 못하니? 청동기, 철갑옷, 금세공법을 보고도 판단이 안서니? 우리조상들이 유리를 못다뤘을 같아? (역사학자들에게 하고픈 말입니다.)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인공옥인 유리를 만들어 봤으니 금만들겠다고 연금술 설쳐댄거 모르겠냐고ㅋ 옥을 가장 귀하게 여기는게 누구지? 우리조상님들 오리진이잖음ㅋㅋ
@togetherbrown4969
@togetherbrown4969 4 жыл бұрын
신라는 페르시아에서 이동해 온 것을 증명한다.페르시아말에도 우리말이 많이 들어가 있다.한자음도 졸라 많다.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신라에서 페르시아로 간거겠죠 우리말을 우리는 여전히 쓰고있는데 어느 주인이 단어만 갖다 씁니까?
@dkor4385
@dkor4385 7 жыл бұрын
환단고기 참조하고 카자흐스탄에 신라 가야유물이 있고, 유리유물이 있다. 꼭같다.
@crimehancibal4231
@crimehancibal4231 6 жыл бұрын
시리아 실아 신라로 말음이 변형된거임..
@keemonemean
@keemonemean 4 жыл бұрын
40분짜리 쓰레기..
@qnseksrmrqhr
@qnseksrmrqhr 3 жыл бұрын
유리는 당시에 귀한 물품이어서 일반 서민층에선 사용할 수가 없었다....유리 대롱옥은 기원전 5세기 철기시대 마노기술은 마한 시대로 측정되며.......우리는 금보다도 더 유리를 귀중하게 생각하였다 (삼한 시대에는 단연 유리를 선호하는데 이 사상은 그후로도 모든 시대에 적용된다....신라시대에도 최고의 귀족층의 무덤에서만 유리로 만든 작품이 나왔다.....봉수형 유리병은 본래 금속으로도 만들어진 모양이었다......로마시대에 대롱불기 방법이 발달하였는데 (로만그래스) 그 기술이 후대로 내려오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가지 형태의 병을 만들었다......지중해 연안,황남대총,서봉총,천마총,금관총 등에서도 발굴되었으며 .....함량에 따라 그 유리병의 근원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어떻게 신라무덤에 묻히게 되었는지를 알 수 없어 아쉬워지는.....인면 모자이크 구슬은(사람의 얼굴이 나타나 있다) 5 ~6세기 경의 유물로 밝혀졌고 베트남 남부,인도네시아,지중해, 자바섬. 중국.등에서 5~6세기 경 신라로 유출된 것은 아닌가라는 추측을 할 수 있는.....유리구슬은 양이나 수량이 넉넉하게 출토되고 있어서 여러가지 상황을 그려 볼 수 있으며......동남아시아 계통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타난 유리들은 거의 소다계통으로 보고 있다는 ......백제는 해상강국으로 보이며 주위 여러나라와의 문물교류도 활발했었다는 증거가 나온다......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구슬은 없는 것일까? 청동시대에 만들어진 유리 형태를 보면은 기원 전후부터 만들어진 것일까? 성분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제품은 중국으로 부터 들여온 수입제품이었다......수입된 유리는 귀한 유리이기 때문에 우리가 다시 재활시켜 재가공한 것은 아닌지 추측할 수 있는......백제의 마지막 고도인 익산은 대규모의 유리를 가공할 수 있는 공방이 발굴되어 여러 곳에서 유리를 다루었던 흔적이 많아 알 수 있었다......그런데 왕궁리를 보수하는 과정에서 유리로 만든 사리병이 발견되는데 아름다운 색채와 호화로운 무늬로 보아 고가품이이었을 것임을 짐작케하는데 ....국내의 유리제조 과정이 일본으로 건너가지 않았을까?라는 사실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는 현실이라......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그 수난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으로 사려되면서......조선시대로 오면서 용기는 도자기가 높은 대우를 받게 되어 그리 발전됐으니.......왕들의 무덤에 묻힌 유리는 상당한 가치를 인정 받았으며그것은 우리 민족의 기상과 문화를 보여주는 쾌거로 여겨진다...........늘 건강하시길..........
금관의 왕국, 비밀을 풀다 / YTN 사이언스
43:3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29 М.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25 МЛН
La revancha 😱
00:55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69 МЛН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고분축조기술의 진수, 왕릉 / YTN 사이언스
40:5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79 М.
KBS역사스페셜 - 백제 공산성 1,400년 전, 칠(漆)갑옷의 비밀
47:1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867 М.
후백제, 역사 속 사라진 45년 / YTN 사이언스
48:05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19 М.
역사추적 - 문무왕 비문의 비밀 2부_왜 흉노의 후예라고 밝혔나?
47:39
Купил этот ваш VR.
37:21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82 М.
cute mini iphone
0:34
승비니 Seungbini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Main filter..
0:15
CikoYt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