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닝쇼] 유현준 교수 "온라인 수업으로 학교 권력 위계도 바뀔 것"

  Рет қаралды 281,266

TBS FM 95.1MHz

TBS FM 95.1MHz

4 жыл бұрын

답답한 퇴근길 유쾌하고 편안한 인터뷰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격이 다른 시사토크쇼 [김지윤의 이브닝쇼]
[ 포스트 코로나 특별기획 ]
3탄, "질병과 건축… 공간의 재구성"
- 집도 스트레스! 코로나 사태로 집이 수용 가능한 용량 초과했다
- 가족이라고 항상 함께였다 생각하는 건 착각...가족끼리 한 집에서도 적당한 거리 필요
- 교회는 권력을 만들어 내기 위한 건축공간
- 온라인 수업으로 학교 권력 위계도 바뀔 것
- 온라인, 언택트... 우리는 권력의 해체 과정을 목격하고 있다
- 학교, 건물이 꼭 필요하지 않다
- 스마트시티... 지하에 자율주행로봇이 다니는 전용도로터널 네트워크
“현대자동차가 앞장서야”
- 4차산업혁명에서 살아남는 직업군...“사람이 사람을 돌보는 것”
/ 유현준 홍익대 건축도시대학 교수
-----------------------------------------
1탄, "역사가 말하는 판데믹 이후의 세계" / 장항석 교수
• [김지윤의 이브닝쇼] 장항석 교수 "코로...
2탄, "신자유주의의 파국… 대전환의 시대" / 김누리 교수
• [김지윤의 이브닝쇼] 김누리 교수 "코로...
4탄, "빨라진 4차 산업 혁명, 인류의 미래는?" / 최재붕 교수
• [이브닝쇼] 최재붕 교수 "기성세대들, ...
5탄, "코로나와 인구 절벽" / 조영태 교수
• [이브닝쇼] 3·4부 : 포스트 코로나/... (02:00~)
6탄, “코로나보다 더 센 놈이 온다?” / 조천호 교수
• [이브닝쇼] 조천호 "코로나 여파로 대기...
※ 매주 평일 18:18~20:00
※ tbs FM 유튜브 보이는 라디오로 함께하세요!

Пікірлер: 334
@Freedraw-lp4lv
@Freedraw-lp4lv 4 жыл бұрын
어떤 질문에도 대답들이 유창하고 신선하네. 책을 많이 읽은걸까 아님 본인의 사유의 시간들이 그만큼 길었던 걸까? 이분 나오는 방송은 항상 몰입해서 보게 되네..
@user-dy1sn4jj7c
@user-dy1sn4jj7c 3 жыл бұрын
똑똑하고 정직해서 그래요. 토착왜구들이 가질 수 없는 치명적인 매력이죠.
@nakng17
@nakng17 3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mjseo7256
@mjseo7256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신선하고 깊이가있어요
@user-it1gk8eb9m
@user-it1gk8eb9m 3 жыл бұрын
책 잘 안읽으신다고 ㅋㅋㅋ
@four_name247
@four_name247 3 жыл бұрын
이분영상 찾아서 다 보고있는중이예요 완전 빠졌어요 저두 ....
@user-ss5sc4tm7b
@user-ss5sc4tm7b 4 жыл бұрын
유 교수님 . 방송의 좋은 기능을 보여주네요. 연예인 신변잡기, 식탐방송 너무 많았는데 이런 내용 좋습니다.
@ilwook
@ilwook 4 жыл бұрын
알쓸신잡부터 건축과 도시를 다양한 사회현상과 결부시키서 흥미롭게 통찰하는 모습에서 정말 이분은 똑똑하시구나 생각했는데. 이번에도 여지없이 예상치 못한 이야기로 지적 호기심을 발동시키시네요 ㅎㅎ 정말 유익한 시간이 었습니다.
@user-yx1vw7qb3w
@user-yx1vw7qb3w 4 жыл бұрын
학교에 대한 교수님의 견해에 많은 공감이 갑니다. 지식인이라면 적어도 사회 현상에 대해 애매모호하게 혹은 두루뭉실하게 대답하면 화가나는데 교수님은 어떤 질문에도 명확하게 답변을 해 주시니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듣게 됩니다.
@mingjj6714
@mingjj6714 4 жыл бұрын
근래에 들었던 코로나 관련 강의 중에 단연 최고입니다
@firemyself
@firemyself 4 жыл бұрын
시간과 공간... 그리고 같이 사용하는, 셰어의 계념을 다시 생각하게 되는 기회가 됐어요. 가족이라도 자기만의 공간이 필요하고... 코로나로 인해 다시 한번 관계에 관해 재정립하는...^^ 저는 집주변에 공원이 굉장히 많은데, 작년까지만 해도 사람을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고, 대형 쇼핑몰에는 항상 사람이 북적댔었죠... 그런데 팬데믹 이후로 쇼핑몰에는 사람이 거의 없고... 공원에는 산책하는 사람, 운동하는 사람이 정말 많이 늘었답니다. 이렇게 삶의 형태와 주거환경, 주변환경도 변해가겠네요. 팬데믹 이후로 안 좋은 점만 생각했었는데.. 권력이 해체되고, 수직 구조가 붕괴된다는 것은 장점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본질적인 생각을 하게 해주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xh4hu2jz7v
@user-xh4hu2jz7v 4 жыл бұрын
쓰레기통 ㅡ 백화점대형마트그득한쓰레기밀폐공간많은사람위험지역일수있겠지요자연과빛거리두는셈이지요편리함이좋긴좋지요그정반대로진짜소중함감사함들은저버린마음이겠습니다
@sunk8016
@sunk8016 4 жыл бұрын
너무 똘똘하셔서 언제나 감탄을 하게 되네요. 매스컴에서 자주 뵐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Terry9024
@Terry9024 4 жыл бұрын
코로나로 인해 꼰대문화 해체도 생기는 군요 ㅋ 잼나네요 마지막 말씀에 '멈출 줄도 알아야 한다'에 방점을 찍고 싶네요
@jyp6017
@jyp6017 4 жыл бұрын
유현진 교수님 수업듣고 싶어지고, 공부해서 좋은 성적 받고 싶어지네요. 네모난 세상에 네모의 꿈에 도전하는 둥근 사람들의 파이팅! 가능할 수도!!!
@stardust_and_love
@stardust_and_love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허허
@user-tf5it5uy2d
@user-tf5it5uy2d 3 жыл бұрын
저희 아이들이 1학기에 온라인으로 수업을 시작할 때는 이래가지고 공부는 잘 따라가려나 하고 걱정했어요. 교사들이 진도만 빼고 있는거 같은데, 이게 교육의 본질적 기능을 하고 있는것인가 하며 화가 났었어요. 2학기가 되어 보니. 자기주도로 ㄱ학습하는 습관이 잡힌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학교에서 국영수사과 같은 지식전달 수업은 온라인으로 하고, 음,미,체,성교육,안전교육,생태교육,환경교육 등을 학교에서 대면으로 하는게 맞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학교가 무엇을 가르치는 곳인지, 교사들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전체적인 맥락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rr3gv7xf8f
@user-rr3gv7xf8f 3 жыл бұрын
유투브 알고리즘에 이끌려 우연히 보게되었는데 너무 좋네요 김지윤님 진행 너무 잘 하시는 것 같아요 교수님 토크 중에 제일 재밌고 쉽게 들었던 것 같아요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foreverbluemoon8615
@foreverbluemoon8615 4 жыл бұрын
일단 교수님때문에 들었는데 코로나가 여러 의미로 해석되네요... 좋은 접근인거 같아욤..
@user-xh4hu2jz7v
@user-xh4hu2jz7v 4 жыл бұрын
서울중심한강이있는곳ㅡ버스+전철+기차가 마니더운행된다면수많은자동차교통체증으로많은시간을허비하거나소중한나의하루가윤택해지지않을까요? 이런상태주차장더많아야하며앞으로130세시대에돌달한다면너도나도다끌고다니는차로인해서도로는마비가되며우리의몸은빛과멀어져질병에노출되는등자연과멀어져내삶은자녀들은부모님들은동물파충류곤충지구는다사라져버리겠지요
@magneto1997
@magneto1997 4 жыл бұрын
@@user-xh4hu2jz7v 뭔 소리신지 도무지 알아들을 수 가 없네요
@romilee1767
@romilee1767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코로나덕분에? 알게돼서 교수님 팬 됐습니다ㅋㅋ 교수님 검색해서 찾아보는 단계에 이르렀어요 자세한 설명 너무좋아요ㅋㅋ
@harudol08
@harudol08 4 жыл бұрын
넘 재밌게 들었습니다. 멈출줄 아는것에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ascasc4400
@ascasc4400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의견과 생각에 완젼 동의합니다! 교수님의 좋은 생각과 선한 영향력에 감사드리며, 항상 응원합니다^^
@rosenberg_1
@rosenberg_1 4 жыл бұрын
권력의 해체되는 과정을 건축과 연결된 이야기 풀이가 넘 유익했어요~!!
@parkpark513
@parkpark513 4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였습니다. 유현준 교수님, 알게되어 기쁘네요^^
@user-pq8vw7rh9u
@user-pq8vw7rh9u 4 жыл бұрын
대단한퀄리티의교육관을가지신분~^^
@Meetal7
@Meetal7 3 жыл бұрын
와~~ 멈출수가 없어서 끝까지 봅니다. 교회 의자 중간에 앉는거 너무 답답하다 못해 끔찍했었는데, 교수님께서 정곡을 찔러주시니 뭔가, 누군가의 음모가 들통난거 같은 시원함?이 있었어요. 건조한 지역에서 문명이 발전했다는것도 새롭게 알게됐고. 새롭게 알게된거에 이렇게 기쁨을 느껴본게 인생에 몇번이나 있었나 돌아보게 되네요. 감탄의 연속이었어요. 이 교수님께 수업듣는 학생들 너무 행복하겠어요
@eunjisong91
@eunjisong91 4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이야기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iaou1136
@miaou1136 4 жыл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한 방송..변하는것과 변하지 않는것...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user-yn9sz2ej5c
@user-yn9sz2ej5c 4 жыл бұрын
잘듣고있어요~
@user-gj4em3di2h
@user-gj4em3di2h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건축전문가 답게 박학다식한 건축 앙식의 말씀이 인생전체의 복합적으로 연결돼 많은 인생공부가 돼네요 .건축공간이 인간의 철학인것 같네요. 유교수님께 많은 공부를 배워야 겠네요 유현준 박사님께 존경을 올립니다.
@user-us9ol9dc3j
@user-us9ol9dc3j 4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게스트 맞네요. 지인들께 공유했어요 ^^ 좋은 건 나눠야죠 ㅎㅎ
@MinjungKim-rv6wb
@MinjungKim-rv6wb 4 жыл бұрын
👍 변하는것과 변하지않는것을 분별하는 힘을 얻은 귀한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kateyoo807
@kateyoo807 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잘 들었어요 코로나로 본질을 생각해보게 된다는~ 물류는 지하로 들어가고 지상 공간은 인간을 위해 활용하는 세상이라 너무 멋지네요
@spicedberry
@spicedberry 4 жыл бұрын
아주 유익한 내용이었어요 잘 들었습니다
@user-hj5vm2nn2u
@user-hj5vm2nn2u 4 жыл бұрын
오늘 정말 유익한 방송이네요~^^
@igosro83
@igosro83 4 жыл бұрын
아파트라는공간이 같이 살기 부적절하다는 말에 2만프로공감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4 жыл бұрын
교통수단은 공간을 압축시키고 공간이 압축되면 전염병은 퍼지게 마련이다.
@user-gf1hw2dl4q
@user-gf1hw2dl4q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집도 넓은 평수에서 살아야 한다
@user-mr5rt7uc1b
@user-mr5rt7uc1b 4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한 생각 고맙습니다♡빛나는유현준♡최곱니다♡
@user-vn3xi1nf5x
@user-vn3xi1nf5x 4 жыл бұрын
나는 원한다 70세이후 치매시 행복한 안락사를 선택 할 수 있는 권리를...법제화 절실
@user-lv2zf4gc9o
@user-lv2zf4gc9o 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내 존엄성은 내가 결정하는 권리입니다
@user-ne3nz6cj5z
@user-ne3nz6cj5z 4 жыл бұрын
미 투. 간절히~
@ZtGeist
@ZtGeist 4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에 향후 10년 안에 이 이슈가 엄청 큰 사회적 어젠다가 될 겁니다. 건강보험 시스템 좋아요, 보건 상태 좋아요, 머리 좋은 넘은 죄다 의대 가요... 약도 좋아져... 특별한 유전적 단점 없으면 앞으로 한국인은 100은 기본으로 살 겁니다. 그 말은 120도 막 나온다는 거... 그러나 과연 말년에 수십년을 건강히 제대로 살까요... 일단 과도한 연명치료부터 포기각서 쓰자고 할 거고, 곧 안락사 문제겠죠... 인간이 지구에 오래 남아서 이득될 게 없으니...
@kateyoo807
@kateyoo807 4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것도 매우 중유한 가치라고 생각해요
@igosro83
@igosro83 4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인간답게 살다가 죽음을 선택할 권리.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4 жыл бұрын
아이들에게 문을 잡글수 있게 허락해주는게 필요하다.
@user-xh4hu2jz7v
@user-xh4hu2jz7v 4 жыл бұрын
어느순간달라지느낌문닫고지내게해주고잘안들어가며일단밖이서이름을불러봅시다
@enz1590
@enz1590 4 жыл бұрын
사회의 부조리? 를 처음 목격한 곳이 다니던 국민학교였음을 상기하게 만드시네요.. 뇌물수수, 빈부격차 등등
@joyok6506
@joyok6506 4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국민학교 6학년때 애 둘이 서로 싸우면서 하는 말..'네 엄마가 샘한테 봉투 주는 거 봤다' '넌 돈까스 도시락 샘한테 주는 거 봤다'하면서 싸우는데 와~ 첨들어보는 얘기라, 갸들이 엄청 어른스럽게 느껴질 정도
@user-xh4hu2jz7v
@user-xh4hu2jz7v 4 жыл бұрын
선물은할수도있겠지요감사한선물이우리아이만더특별대우해주세요하면문제지요아이가잘하는아이라면괜찮을수있겠지만아이가잘적응하지못하고힘든모습을본다면부탁드리고싶은고생많으신선생님께마음전할수있겠지요돈봉투는아니라생각되네요담임도잘만나야하는거같아요선생님들도천차만별이니까요꽃선물음료수는드릴수있잖아요예전스승의날에는장난도마니치고했는데반돈겉어서필요실선물도해드리고요
@coupletalk4046
@coupletalk4046 4 жыл бұрын
@@user-xh4hu2jz7v 그런 느슨한 생각에서부터 사회부조리가 생겨나기 시작하는 겁니다. 선생님께 감사하는 마음은 빈부를 가리지 않겠지만 실제로 감사를 표하려는 단계에서는 차이가 나죠. 그리고 선생님들이 마냥 선한 분들만 계신것도 아니고.. 선한 분들은 감사표현을 오히려 마다하시지만 선하지 못한 선생들은 노골적으로 요구하고, 들어주지 않는 아이, 학부모들을 차별하고 괴롭히게 됩니다. 어떤 사안이든 제대로 보려면 넓은 시각으로 봐야합니다.
@snowking8695
@snowking8695 3 жыл бұрын
@@user-xh4hu2jz7v 꽃 음료수에서부터 우리아이는 잘봐주세요 선물이 시작되는겁니다. 아직은 시작 단계이기에 어떤 선물도 금지해야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대가성 선물은 불법이고 부끄러운짓이라는 문화가 자리잡아야 합니다.
@user-su2zi6jh7f
@user-su2zi6jh7f 4 жыл бұрын
ㄹㅇ 명강입니다. 지하에 로봇이 다니는 길을 만든다니요. 다음수업 해주세요 교수님~
@dkkwak3406
@dkkwak3406 4 жыл бұрын
철학과 관점을 바꿔줄수 있는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코로나 이전의 세상으로는 더이상 돌아갈수 없다는 문장은 두려움을 주기도 하지만, 새시대의 변화를 용기있게 열어 젖혀야 겠습니다.
@choeyoonsun1
@choeyoonsun1 3 жыл бұрын
섭외하신 분, 고맙습니다.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4 жыл бұрын
가족은 원래 같은 시공간을 보내기에 적합한 관계는 아니다. 코로나가 그걸 깨닫게 해주고있다.
@1974sereno
@1974sereno 4 жыл бұрын
그동안 4명의 가족이 30평 집에 살수 있었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보여준 거죠..
@snoopymoon7440
@snoopymoon7440 4 жыл бұрын
예술의 끝은 건축~ 차분하게 일목요연하게 그러나 정곡을 찌르는 나도 모르게 경청모드~👏👏👏
@user-dk4nc3ib3l
@user-dk4nc3ib3l 4 жыл бұрын
알쓸신잡부터 잘 보고 있습니다 ~~오늘 도서관에 책 대여예약도 했습니다~~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4 жыл бұрын
홍대, 몽마르뜨언덕, 익선동... 예술가들은 그지같은 환경을 잘 견디는 사람들이다.
@user-ok7pp5ff8x
@user-ok7pp5ff8x 4 жыл бұрын
새롭고 재밌었어요.^^♡
@iamiamiamim
@iamiamiamim 4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진 통찰 잘 들었습니당
@myungsong8591
@myungsong8591 4 жыл бұрын
미국에는 예전부터 홈스쿨링이라는 학교 시스템이 있습니다. 공공 교육시스템에 자녀들을 맡기지 않고 부모가 집에서 가르치는 거죠. 교과 과정과 교과서를 타운 교육부에서 받아서 집에서 똑같이 따라하면, 중고등학교 졸업까지 인정해 줍니다. 같은 지역에서 홈스쿨링하는 부모끼리 연결해서 음악, 미술, 체육등을 다른 아이들과 함께 모임을 갖고, 연극이나 콘서트도 크게 합니다. 부모가 좀 힘들긴 하지만 좋아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MA-dw2yl
@MA-dw2yl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내공이 돋보입니다. 그리고 진행자분도 참 잘하시네요~
@foaldream5850
@foaldream5850 4 жыл бұрын
사이비종교에 빠진 우리 엄니가 꼭 봐야할 영상인거 같다.
@sirius0147
@sirius0147 4 жыл бұрын
모든 분야의 권력에는 종교적 속성을 빼곤 설명이 안된다.
@user-us4xz7lb3x
@user-us4xz7lb3x 3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아니 현재 우리사회에서 가장필요로 하는분. 그리고 귀한분. 저는 선생님의 강의중 쪽팔리게 살지말자를 아주아주 감명있게 들었읍니다. 현재 전체 공직자.의원.대통령 모두가 쪽팔림은 관심이 전혀없고 무언가에 환장한 인간들 처럼 느껴져 비참한 생각이 들때가 많읍니다. 결국은 자존감이 전무하다는 사실도 놀라기만 합니다. 비유하자면 상 양아치들만 구더기 처럼 보이는것도 너무 역겨워서 화가 날때도 많읍니다. 실은 저는저는 조만간70세가 눈앞에 있는 사람인데 우리 현실 사회에서 필요한 사람 찾기가,구경하기조차 힘듬니다. 그러나.,선생님같은 분이라도 방송을통해서나마 불쌍한 인간들을 위해 듣기쉅게 이해하기 쉅게 여러 말씀 새주신거 대단히 고맙고 감사 합니다👍👍👍💖💖💖
@user-ch6qi5eh3p
@user-ch6qi5eh3p 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해요
@soriso5932
@soriso5932 4 жыл бұрын
발상의 전환! 전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시네요 신선합니다^^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4 жыл бұрын
명강이십니다 ~💕
@user-xn3vj5fo2w
@user-xn3vj5fo2w 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신선하네요^^
@love-lovely0601
@love-lovely0601 4 жыл бұрын
진짜 아파트 천국인 우리나라에서 돈 없는 서민은 소형 아파트 외에는 선택의 폭이 없어서 슬프네요. 코로나 때문에 아이들이 하루종일 집에 있는데 집은 좁고 외부공간도 없고 층간소음 때문에 맘대로 행동할 수도 없어서 아이들과 너무 힘듭니다. 마당을 낀 저렴한 소형주택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지만 땅덩어리 좁은 우리나라에서는 힘들겠죠? 항상 벗어나고 싶은데 벗어나기가 힘드네요ㅜㅜ
@user-tp1ng3mk6v
@user-tp1ng3mk6v 4 жыл бұрын
강북만가도 일반주택이 많고 아파트보다 저렴합니다 수유동.쌍문동등 편리함땜에 아파트를 포기하지 못하는거죠~
@zjammy2018
@zjammy2018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 쉽게 흥미롭게 알려줘서 좋다
@kkamanna0888
@kkamanna0888 3 жыл бұрын
도시와 건축 그리고 그 모든것에 근원인 인간을 깊이 사유하시는 유현준님에 말씀을 너무 편히 듣는 애청자가 감사에 말씀을 드립니다~~
@user-ud2qi9yi4o
@user-ud2qi9yi4o 4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말씀입니다. 시원시원하게 말씀해주시니 속이다 시원해요!!
@hyewon943
@hyewon943 4 жыл бұрын
통찰의혜안,,감사해요~!!♥
@user-tm5bg4qm8z
@user-tm5bg4qm8z 4 жыл бұрын
시대의문화패러다임이통째로바뀌는시점인듯하는군요~!!
@user-rw8yj7ru7v
@user-rw8yj7ru7v 4 жыл бұрын
가족도 사회적 거리두기
@Shin_Super
@Shin_Super 4 жыл бұрын
한국에 유현준 교수님께서 계신 것이 자랑스럽고 감사합니다!
@taetrees4730
@taetrees4730 3 жыл бұрын
40분이 넘는 영상이지만 아주 재미있게 봤네요.
@ssss-ou4bn
@ssss-ou4bn 3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정책 입안자로 뽑아야합니다!!...건설교통부장관으로
@user-nk8od1bf6w
@user-nk8od1bf6w 4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사람을 케어하는 시대로가야한다는말 공감합니다
@user-mt8sn2nn6j
@user-mt8sn2nn6j 4 жыл бұрын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꼭 필요한 덕목같습니다. 공감합니다.
@arcyoon
@arcyoon 4 жыл бұрын
종교?계가 타격을 많이 받는 것은 전혀 걱정되지 않음. 주변에 타격을 주고 해악을 끼치는 일을 멈추지 않는 것이 문제.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4 жыл бұрын
같은 시공간에 사람을 모이게 만드는건 어마어마한 권력이다. 이슬람 메카의 시간공간 공유도 권력이다.
@user-rx3ik8wr7x
@user-rx3ik8wr7x 3 жыл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한 방송 감사합니다 유교수님 자주 나오시길
@taewankim9575
@taewankim9575 4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yeonkkot
@yeonkkot 3 жыл бұрын
전인적인 건축가시네요. 깊은 사유와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나누어주신 말씀, 고맙습니다.
@ZtGeist
@ZtGeist 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10-20년 내 아파트 시대 저뭅니다. 현실적으로 많은 대체재를 짓기 어려워 절대 숫자로는 한계 있겠지만 기본 선호도, 집을 보는 시각 자체가 바뀌지요. 이미 꿈틀거림은 시작됐고 지금 세대는 기성과는 다르게 행동할 겁니다. 게다가 학벌시대도 더 누그러질 거고... 역세, 학세권 개념도 멀잖아 지금 같지 않을 것임!!
@breakthewall5566
@breakthewall5566 4 жыл бұрын
전혀 ㅋㅋ 학벌은 여전히 강건할것이고 부동산도 부익부 빈익빈이 심해질뿐임
@SpringSerene
@SpringSerene 4 жыл бұрын
아파트 가격 무너진다는 말은 imf 이전에도 계속나왔던 말입니다ㅋㅋㅋ
@mozm-tv
@mozm-tv 4 жыл бұрын
아무.. 근거가 없는 걸로 봐서.. 개인적 바램
@leewilliam8111
@leewilliam8111 4 жыл бұрын
@@user-ep5dk1tz4t 살아봐라 비용이 얼마나들고 항상 관리하느라 노동과금전에 치일거다 ㅋㅋ
@monsong96
@monsong96 4 жыл бұрын
@@user-ep5dk1tz4t ㅋㅋㅋㅋㅋㅋㅋㅋ너무 낭만뿐이잖아 시골살이하면 지금처럼 침대누워서 유툽보기 힘듦
@user-gx5nf5sc6q
@user-gx5nf5sc6q 4 жыл бұрын
참 유쾌하네요 어려운주제가지고
@user-jn9ki1ix8c
@user-jn9ki1ix8c 4 жыл бұрын
소름;;; 존재를 바라보게 만듬으로써 권력이 생긴다
@boha752
@boha752 3 жыл бұрын
신도시 프로젝트를 유현준교수님이 참여해서 했으면 좋겠어요 권의주의 자들과 일하다 보면 열받으실지 모르지만 뭐든 믿고 맞겨주어 지어진 신도시에서 살고 싶어요.
@dykim7745
@dykim7745 4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4 жыл бұрын
기득권자에게 대면문화는 곧 권력이다.
@kkrhhjk6448
@kkrhhjk6448 3 жыл бұрын
위력같은데...
@user-fx9ru5vm7v
@user-fx9ru5vm7v 3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공감
@hypemike1005
@hypemike1005 4 жыл бұрын
김지윤박사님의 진행능력 정말 훌륭. 그래서 더욱 좋은 무드👍🏻
@Nigtiger987
@Nigtiger987 4 жыл бұрын
백번 동감. 공장같은 학교 모두 사라져야하고 온라인 교육패키지 시스템 카트를 판매하면되고, 동내어디서나 이용가능한 공립. 사립 서버하우스 먼들고 동내도서관은 전자도서관으로 모두 바꾸고 , 운동및 서클활동, 교류등은 교외로 넒고 싼 땅을 매입하여 클럽형식의 시설로 산서뢔야한다. 승마, 골프연습장, 축구 농구등등으로... 여러헉교의 공동이용. 중간중간 시험을 철저하게 치르되 보안장치 마련하면되고, ...끝도 없음.
@user-fk5py3cv8w
@user-fk5py3cv8w 3 жыл бұрын
즉문즉설 명쾌. 솔직.담백화려한어휘로 백과사전지식을 슬슬 쉽게 들을수있는 유교수님 말씀 션하네요
@sejin2892
@sejin2892 4 жыл бұрын
오 많이 배우고 갑니다
@joomomtv
@joomomtv 4 жыл бұрын
당연했던것 들을 정말 꼭 필요한건지 생각해보게되네요
@user-og2dd5wl4o
@user-og2dd5wl4o 4 жыл бұрын
알뜰신잡서 인상깊었던 분인데 오늘도 좋은 말씀 듣네여 😍
@user-qm6xv2sc2q
@user-qm6xv2sc2q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중에 우리 인간이 몸을 가지고 있는 존재라는 걸 잊으면 안된다는 말씀이 정말 명답이신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논리적인 판단을 한다고들 생각하지만 인간은 모순덩어리이므로 그부분에 대한 대비와 안배가 늘 필요하다고 봅니다. 차분하게 생각을 잘 정돈해서 말씀하시네요. 잘 들었습니다.
@user-wt8kj3qx5u
@user-wt8kj3qx5u 3 жыл бұрын
강의료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책도 잘 보았는데 인터뷰가 더 좋네요. ^^
@user-nb1zj7nv9p
@user-nb1zj7nv9p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Shin_Super
@Shin_Super 4 жыл бұрын
심도 있는 질문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Nigtiger987
@Nigtiger987 4 жыл бұрын
아파트 보다 땅이 있는 단독주택을 갈수록 선호하게 돼어있다. 갇혀있더라도 마당이 있으면 훨씬 견디기 쉽다.
@dbbppyh
@dbbppyh 4 жыл бұрын
휼륭한 교양서적 한권을 읽은 감동...
@user-un4xh7cj8r
@user-un4xh7cj8r 4 жыл бұрын
종교가 타격 지혜를 얻은자는 자기영혼을 사랑하고 명철한 사람은 복을 얻는다고 했습니다. 진정한 믿음을 생각 할 좋은 시간입니다.
@user-gc3zx2rh9t
@user-gc3zx2rh9t 4 жыл бұрын
근원적인 질문을 할 수 있는 멈춤.에 깊이 공감합니다^^
@jeongkikim7543
@jeongkikim7543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좋은 내용 정말 감사드립니다.
@toca_heidi9113
@toca_heidi9113 4 жыл бұрын
개신교는 나와 신과의 관계만 강조하지 않습니다. 교회의 본질이 공동체이기에 모이려는 거예요. 이 시대의 상황에서 모임을 어떻게 해야할 지는 교회의 숙제겠지요. 그리고 목사에게 모든 권한이 있지 않습니다. 지금 한국교회가 그런 모습을 보이지 못하는 게 죄송할 따름이네요.
@jenniferpak-hullah2710
@jenniferpak-hullah2710 4 жыл бұрын
이상적인 기독교의 모습이 어떻든 현실의 기독교는 님말씀과는 거리가 있죠. 공산주의도 이상적인 모습에서는 좋습니다만 현실의 공산주의는 북한과 중국의 모습인게 현실이죠
@snowking8695
@snowking8695 3 жыл бұрын
목사에게 모든 권한이 없는곳은 장로님들이 ㅠㅠ
@wookim9459
@wookim9459 4 жыл бұрын
근본적인 원인 변화 미래준비 정말 감사합니다 꾸벅 LOS ANGELES 에서
@joyok6506
@joyok6506 4 жыл бұрын
취업난에 그나마 택배, 유통, 물류 로 일자리 창출 비중이 높죠
@user-yc1yx3fx4p
@user-yc1yx3fx4p 4 жыл бұрын
기존공간과 다른 새로운 주거공간이 생겼음 좋겠네요..^^
@seungheechoi2476
@seungheechoi2476 4 жыл бұрын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구분 하기!
@nsfacer
@nsfacer 4 жыл бұрын
'철학이 있는' 건축가! 유현준님. 철학이 없는 학교건물, 철학이 없는 일터 공간 OUT!
@nakng17
@nakng17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강의 정말 좋아합니다 팬입니다😀
@user-mp4wf9og2u
@user-mp4wf9og2u 3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 보면 진짜 지적미가 뭔지 알게해주시는 분 같음ㅠㅠ
@bjhlee9272
@bjhlee9272 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 인터뷰 내용 정말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K-bc4wj
@MK-bc4wj 4 жыл бұрын
권워가 해체되는 것 보다 재배열
어디서 살 것인가, 유현준 [TV책방 북소리]
32:02
TBS 시민의방송
Рет қаралды 72 М.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천기누설][스페셜] 윤석열을 보면 전두환이 보인다 (with 유시민)
53:13
[GMC풀강연]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현준
45:32
그랜드마스터클래스
Рет қаралды 409 М.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