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비밀을 푼 360만 년 전 화석(당황한 인류학자들..)

  Рет қаралды 248,296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생물인류학자 김준홍 교수님과 최초의 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놀라운 화석의 발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25 인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02:58 인류학계를 뒤집어 놓은 화석
05:10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생태계 위치
08:21 인류의 미친 신체 능력
13:58 인간이 사냥을 시작한 이유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인류 #화석

Пікірлер: 281
@Interstellar8877
@Interstellar8877 Ай бұрын
딕션좋고 설명 정말 깔끔합니다 잘 보고 배우고 갑니다 선생님!
@user-ni6jc2zt1w
@user-ni6jc2zt1w Ай бұрын
흥미롭네요 감사합니다😊
@user-jx7gm8ow3i
@user-jx7gm8ow3i Ай бұрын
잘 듣고 갑니다. 시각장애인이라서 접하기 힘든 자료였는데, 유익하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arkjung4777
@parkjung4777 Ай бұрын
어떻게 타이핑? 음성으로?
@hellcross9103
@hellcross9103 Ай бұрын
@@parkjung4777 시각장애인이 음성으로 타이핑 한 걸까 궁금증을 가질 수 있었지만, 자신의 댓글을 어떻게 읽을까는 미쳐 생각하지 못했다..
@user-jx7gm8ow3i
@user-jx7gm8ow3i Ай бұрын
@@parkjung4777 시각장애인용 컴퓨터에서 본문적어서 일반컴퓨터로 댓글을 달아요.
@SKTLGTKT
@SKTLGTKT Ай бұрын
​@@parkjung4777ㅋㅋㅋ눈은 옵션이 아니잖아요ㅋㅋㅋㅋ 자막이겠죠?
@MathXS
@MathXS Ай бұрын
@@SKTLGTKT 네?
@sunglee500
@sunglee500 24 күн бұрын
인류 진화와 고고학 성과에 대한 정말 재밌고 드라마 대본을 듣는 느낌입니다. 근래 들은 최고 해설
@molra1768
@molra1768 Ай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교수님 , 영상제작팀 모두 능력자들이세요 . 내용 전달이 간결하고 귀에 쏙쏙 들어오니 듣기 좋네요.
@user-zd4km8pg9k
@user-zd4km8pg9k Ай бұрын
김교수님의 강의는 정말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Dorothy728
@Dorothy728 2 күн бұрын
흥미로워서 집중하면서 듣게 되네요^^ 김준홍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user-dl8zd8fq4w
@user-dl8zd8fq4w 16 күн бұрын
좋은 공부하고 갑니다!
@user-tb4oq5cm6f
@user-tb4oq5cm6f Ай бұрын
역시 생물학이 제일 재밌어
@VoteForPedro2000
@VoteForPedro2000 28 күн бұрын
재밌어요. 많이올려주세요
@yefamily
@yefamily Ай бұрын
너무너무너무 재밌게 봤어요. 이분 영상 더 골라봐야겠어요
@hoonii1894
@hoonii1894 Ай бұрын
이분이 제일 이해가기 쉽게 얘기해주시네요 젤 재밌네요 ㅎㅎ
@camillach
@camillach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user-tn6cl9dt3j
@user-tn6cl9dt3j Ай бұрын
귀에 쏙 들어와서 뇌에 쫙 새겨지네요
@Violetfear
@Violetfear Ай бұрын
잘보고있다가 갑자기 끝...났네요 잘봤습니다
@user-fh2jb1sh6j
@user-fh2jb1sh6j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lIIIlIlI-hz6pc
@lIIIlIlI-hz6pc Ай бұрын
삼분전은 못참지
@seunghwanhong6061
@seunghwanhong6061 Ай бұрын
화석이 이렇게 발견되니 신기하네요
@jwj6165
@jwj6165 Ай бұрын
장에서 에너지를 아껴 뇌에 사용한다.. 길면 못보는데 이건 귀에 잘 들어오네요!!
@user-tm5lu6hk9m
@user-tm5lu6hk9m Ай бұрын
오~~~ 신기해~ 신기해~!!😲
@to_the_blue-sky
@to_the_blue-sky Ай бұрын
재밌다...
@user-wj3dy3bz8v
@user-wj3dy3bz8v Ай бұрын
10:20 gluteus maximus라고 말씀하셨는데 자료로 나온 그림은 gluteus medius입니다. ^^;
@user-cq8sn1yv9d
@user-cq8sn1yv9d Ай бұрын
오오오 정답 ㅎㅎ
@user-mg3ld3iw4k
@user-mg3ld3iw4k Ай бұрын
그러고 보니 손가락 마디 끝이 다 닿네? 직접 해봤는데 검지 -> 약지로 넘어갈수록 잘 닿지 않네요…. 저만 이런가요?
@jacksonjason1587
@jacksonjason1587 Ай бұрын
불을 사용해서 장을 줄이고 아낀 에너지를 몰빵해서 커진 뇌로 유튜브를 보는 내가 레전설❤
@user-tc4hc2nf4r
@user-tc4hc2nf4r Ай бұрын
인류 발자욱 돌화석도 있습니다. 제가 그걸 어릴때 주웟는데 실로 신기하더군요. 발자욱 화석도 있다는게
@HaHaHaHa-db6dh
@HaHaHaHa-db6dh Ай бұрын
13:24 ?? KBO에 그런 세밀한 조준이 가능한 투수가 있나요???
@slavetocode
@slavetocode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producer.p5067
@producer.p5067 Ай бұрын
어허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c2fr2lv7g
@user-rc2fr2lv7g Ай бұрын
예나 지금이나 먹고 살기 힘들어 끊임없이 머리를 써야만 살수 있는게 현실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Ай бұрын
교수님 역사를 보다에서 뵙겠습니당ㅎㅎ
@ScarHornet
@ScarHornet Ай бұрын
2:55 좌 우 똑같이 생김 ㄷㄷㄷ 교수님 ㄷㄷㄷ
@user-dh6di6en3t
@user-dh6di6en3t Ай бұрын
골상학도 정통해야될 듯 고고학은 종합학문인가 ㅎㅎ
@zuneom
@zuneom 3 күн бұрын
인류의 역사엔 미스테리한 부분이 있다.250만 년 전에 인간으로서 싹이 텄는데,249만 년 동안 아주 미개하게 살다가 만 년 전 갑자기 문명인이 되었다?갑자기 툭 튀어나온 수메르인의 물질문명이 너무 탁월한 게 많아서,초고대 문명이 있었거나,외계인에 의한 유전자 변이가 있었다고 보는 게 차라리 합리적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Күн бұрын
잘 모르시는게 많네 일단 만년 이전에 미개했다는게 무슨소리? 이미 최근에 들어서 농경 이전에도 고대도시들이 이미 존재했다는 증거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음 대표적인게 괴베클리 테페 같은 유적임 그리고 유전자 변이가 있었다면 진작에 알아냈겠지요 이사람아 애초에 인류 역사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곡점은 대략 7만년전부터 시작된 "예술활동" 임 구석기시대의 동굴벽화라던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활동의 증가 말이지 다만 이 마저도 그저 유적을 발견하지 못했을 뿐인건지 아니면 진짜 그 즈음에서 큰 변화가 있었는지도 확실하지 않음
@mu-zi
@mu-zi Ай бұрын
꿀잼
@hyunhackjeong4356
@hyunhackjeong4356 Ай бұрын
엉덩이 근육 그림이 잘못된거 같아요~~사진에 나온 근육은 글루티스 미디어스인것 같네요
@nike-training
@nike-training Ай бұрын
똑똑하다
@badavi33
@badavi33 Ай бұрын
넝 잼나요 ^^
@user-qf3ol7hr7l
@user-qf3ol7hr7l 28 күн бұрын
규정위배처벌은 영장류 동물에도 존재.
@user-up7ck3hc8b
@user-up7ck3hc8b Ай бұрын
생물학적으로 뇌를 키우는게 초기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유지관리에 엄청난 에너지를 사용해야 해서.. 뇌를 키우기가 싶지 않다고 하더라고요.. 역시 고기를 많이 먹어야..ㅋㅋㅋ 인생은 고기서 고기까지~~~
@user-lh8vy3qk5y
@user-lh8vy3qk5y Ай бұрын
그런것치곤 동물원침팬치는 사람한태 정확히 똥던지던데....😢😢
@user-pv8se5rd5c
@user-pv8se5rd5c Ай бұрын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Ай бұрын
필요성에 의해. 뭔가 계기가 있었기에 지금의 인간이 나타난 것이겠지만,... 타임머신이 있다면 최초의 인류조상은 대체 어떻게 나타났을까를 보고 싶어집니다...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환경변화죠... 아직은 추론의 단계지만, 초원에서 생존해야 했기에 멀리 보기위애 직립을 했고, 직립이 되면서 손을 사용하고, 손을 사용 할 수 있게 되면서 현재의 인류가 되었다고... 봅니다.
@user-ij6ws6ei8s
@user-ij6ws6ei8s Ай бұрын
진화에는 방향성이 없어요 뭔가가 필요해서 이런식으로 진화한게 아니고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하다가 운좋게 환경에 맞게 진화한 특정 부류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죽는식으로 진화하는거에요.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Ай бұрын
@@info_biz828 분명. 어느 시점쯤은 짐작이 가능한데... 과연 어떤 변화가 크게 작용 했을까? 이러한 활동을 이끈 변화의 시작점이라 할 부분은 어떠한 걸까? 여러가지 추측이 가능하고 그걸 검증 함으로서 조금씩 더 알게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분명한 건 과학 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보다 더 이해가 와닿는 설명도 가능해질테지요.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Ай бұрын
@@user-ij6ws6ei8s 얻어 걸리든. 변화에 어느정도 적응한 형질이 점차 살아남든. 진화는 적응하고 살아남은 거라 생각합니다.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Hell_Dust-Buhnerman "적응한 형질"이 아니라 "선택받은 형질"입니다.
@hje2515
@hje2515 Ай бұрын
15:13 나도 분명 의사가 10살때 180까지 클 키라 했는데..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낚인듯
@FrogkingInTheWell
@FrogkingInTheWell Ай бұрын
언어를 사용한다. 규범을 어길 때 처벌을 한다. 이거는 범고래나 늑대도 사용하는거 아닌가요?
@user-up6ls7cu7o
@user-up6ls7cu7o Ай бұрын
사회적 동물이죠
@user-kt1fh1fx5u
@user-kt1fh1fx5u Ай бұрын
개미도 하는 것 같습니다 화학적 소통을 언어라고 한다면요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언어 규범 모든 동물들이 가지고 있지만, 인간처럼 정밀하지는 않다는 의미죠
@costarica6379
@costarica6379 29 күн бұрын
@@info_biz828 그렇다면 정확히 그렇게 표현해야죠. 마치 인간에게만 그런 특성이 있는 거처럼 설명하면 오해하기 쉽죠. 그리고 그런 사실은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별할 때 지적할만큼 중요한 것도 아니구요.
@kyg7063
@kyg7063 Ай бұрын
언어의 사용이 제일 중요한듯 학교나 직장으로 비유하면 선생님이나 상사가 손짓 발짓 하면서 우!!우!!우우~이러면 나는 우!!우!!우우우~~이렇게 대답하면 서로 의사전달 안되서 둘중에 하나 뚝배기 깨지고 이거 무한반복ㅋ
@user-vx7ns4lf1k
@user-vx7ns4lf1k Ай бұрын
산불을 찾아서 쫒아 다니지 않았을까? 감히 조심스럽게 주장해 봅니다 요리 하지 않아도 화마에 휩쓸린 먹기 좋게 구워진 동물들이 있지 않았을까? 하하...
@lookatmenow23
@lookatmenow23 Ай бұрын
일오팔 폼 미쳤다
@user-ct8bp5yi5j
@user-ct8bp5yi5j 26 күн бұрын
크 ...
@user-lm9nu4ji2s
@user-lm9nu4ji2s Ай бұрын
8세에서 11세가 키가 160대라니??? 이건 머 거인아닌가요??
@woojinlee5144
@woojinlee5144 Ай бұрын
조류 날개는 알겠는데, 인간도 팔이 있잖아요.. 없었다면 지금이랑은 매우 다른 형태일거 같은데요
@a9970000925
@a9970000925 Ай бұрын
하지만 팔은 날개가 공기를 이용해서 균형을 잡는거랑 기전이 다르죠?
@user-rr3en7xv2e
@user-rr3en7xv2e Ай бұрын
요약 1.한국인 대부분은 150만년전 유인원보다 키가 작다. 2.오래달리도록 진화한 인간이지만 현재 10분이상 뛸 수있는 한국인은 50%도 안된다.
@jinkhan0
@jinkhan0 Ай бұрын
인간종은 아니지만 유인원은 아니고 인류에 속합니다.
@magnolia365
@magnolia365 Ай бұрын
@epimetheus02
@epimetheus02 Ай бұрын
인간 진화과정 들어보니까 인간은 생태교란종으로 작정을 하고 진화를 한거네.
@costarica6379
@costarica6379 29 күн бұрын
언어를 거의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물?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언어'가 아니고 '문자'겠죠. 인간에게만 '규범'이 있다는 주장도 근거가 희박합니다. 누적적인 문화가 인간에게만 있다는 것도 별로 와닿지 않습니다. 163cm인 8~11세 소년의 성장판이 전혀 닫히지 않아 성인이 되었다면 183~190이 되었을 거라는 것도, 그게 당시 평균 또는 정상적인 신체 규격이라기 보단 오히려 거인증과 연관이 있었을 거라 추정하는 게 더욱 설득력이 있을 거 같습니다.
@user-zm2ii4ph5o
@user-zm2ii4ph5o Ай бұрын
아직 안봤는데 인류의 비밀이 풀린거 맞나요?
@uhappy3996
@uhappy3996 Ай бұрын
인류의 비밀이 한두개가 아니라 몇개 정돈 풀렸어도 신기할건 없죠 ㅎ
@user-ff8uf5xu1j
@user-ff8uf5xu1j Ай бұрын
어그롭니다 과학을보다 말고 단독채널 제목은 어그로 오지게 끎
@karions24
@karions24 Ай бұрын
250만년...천년 만년도 엄청 길게 느껴지는데 250은 감도 안오는군요 첫 인류의 조상이 멀지 궁금 하네요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현생인류와 이어치는 최초의 조상은 오스탈로피테쿠스로 보고 있고, "문화"라는 걸 만든 최초의 고인류는 호모에렉투스로 봅니다.
@user-ze3bs4lm2h
@user-ze3bs4lm2h 11 күн бұрын
인간은 출발 자체가 다르다는 전제하에서 연구를 해야하지 않을까요? 인간과 동물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에서 출발해야 할 것입니다. 유전적으로 출발이 모든 생물이 같다는 전제는 지나친 과학맹신입니다.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그렇지 않다는걸 증명해낸것이 진화론의 가장 큰 업적이고 인간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과학혁명에 이르게 한 원동력인겁니다 과학맹신이 꼬우시면 과학없이 살아가시면 됩니다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더불어 인간이 유전적으로 동물들과 출발점이 같다는 점은 인간또한 동물들과 똑같은 유전자를 지녔으며 인간과 침팬지의 차이가 다른 동물들과 침팬지의 차이에 비해 없다시피 하다는점으로 증명됩니다 자신의 망상으로 현실을 뒤집고 싶다면 판타지 소설을 쓰세요 현실에선 당신의 망상대로 이뤄지는건 없으니까요
@user-ib4qh4pk1t
@user-ib4qh4pk1t Күн бұрын
침팬지와 인간은 수혈도 가능한거는 알고 하는 말인가요?? 종교인인지는 모르지만 인간은 그저 수많은 척추 동물 중 한 종에 불과합니다. 인간은 후각은 개 만도 못하고 근력은 곰보다 못하고 날지도 못하고 심지어 번식력은 바이러스만도 못합니다. 인간은 그냥 이세상에 서식하는 동식물등중 한종에 불과합니다 뭐가 풀발자체가 다르다는건지 참놔....
@user-kf1xj6nv2y
@user-kf1xj6nv2y Ай бұрын
자 드가자
@user-bf7dt9ow7c
@user-bf7dt9ow7c Ай бұрын
당시에도 키가컸는데 왜 나만....ㅜ
@user-zh1cf2md2t
@user-zh1cf2md2t Ай бұрын
진화란 단어는 참 안어울리긴함 선택적 땜질이 잘어울리는데 인간도 참 불완전한데 사랑니,목구멍,축농증,맹점,맹장,척추구조등등
@zoo2_dev
@zoo2_dev Ай бұрын
...😅 문과감성
@timi0027
@timi0027 Ай бұрын
보다 채널 자주보면 아실텐데. 생물학에서 진화의 정의는 퇴화도 진화입니다. 무조건 득을 위해서만 진화하지 않음요. 퇴화도 진화의 종류임.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시간의 "진전"에 따른 자연선택....이 "진화"인데, 진보하는 과정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꽤나 많죠
@user-ry8qz5lc9o
@user-ry8qz5lc9o Ай бұрын
언어와 지식의 누적은 고래들도 하지않나요?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고래들도 학교다니고 책들고 헤엄치니?
@user-ry8qz5lc9o
@user-ry8qz5lc9o Ай бұрын
@@NAYA_ESTJ 학교다니고 책으로 공부해야만 지식이 전달됩니까? 고래들의 정교한 언어소통과 사냥방법의 세대에걸친 집단교육이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 입니다.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user-ry8qz5lc9o 집단지식은 학교와 책으로 지식을 배우는것이지. 구전전승되는건 생존방법과 문화인것이고! 입으로 전승되는 것들 중에 미신도 상당히 많지. 그리고 지식의 습득은 주로 어린 시기에 집중되는데 어린 시기가 매우 짧은 대개의 동물들은 지식 전승이 취약하고 제한적일수밖에 없다는게 통설임. 인간의 어린시기가 20년이나 걸리며 지식을 배우는지 깨닫기 바람. 다른 동물들의 평균수명의 대부분 혹은 수명이상을 인간은 아이들 교육에 쏟아붙는것임.
@CIoudStrife
@CIoudStrife Ай бұрын
역시 인간은 불과 고기 때문에 뇌가 커진거다
@briankim6311
@briankim6311 Ай бұрын
인간미 유일한게 산통을 격는다는데.,어쩌면 다른행성에서 왔을지도., 혹시.,벌이받는다는거나.쫒겨난것일수도있음.
@vfrtgyuhv33
@vfrtgyuhv33 Ай бұрын
그건 아닌거 같아요 산통을 겪는 동물 영상을 꽤 봤는데...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요 강아지도 있다고 봤어요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Ай бұрын
그런 신기한게 아니고 그냥 직립보행을 위해 골반이 뒤틀려서 산통을 겪게된겁니다 그리고 산통 겪는 동물은 꽤 많아요 대표적으로 하이에나의 경우 암컷의 성기가 음경처럼 되어있기 때문에 마치 남자가 음경으로 애를 낳는 꼴로 출산을 하느라 엄청난 산통을 겪습니다.
@briankim6311
@briankim6311 Ай бұрын
@@user-nd5dy1hs3f 그렇군요.,궁궁한것이 여기서 있는데.,현존에있는 원숭이 침팬지에서 인류가 직립보행이나. 환경적변화때문에 인간의 탄생이라는 가설이 있는데. 이부분이.,먼가 억지로 맞추는 가설같아요,물증.과학적증거.변화가 .진화..있기는있었지만.인류가 침팬지나 원숭이에서 진화했을까요? 지금도진화되는 어떤 인간이 있어야지 않겠어요?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Ай бұрын
@@briankim6311 진화론은 중학교 기초교육과정인데 그 내용을 모르는걸 먼저 부끄러워 하셔야 하지 않나요? 참고로 진화는 지금 이 순간에도 모든 생물에게서 관찰되는 현상입니다. 당신 또한 부모에겐 없는 DNA염기 100여 쌍을 가지고 있어요 보통 생물의 DNA는 대략 100만분의 1 확률로 고장이 나는데 진핵생물에겐 고장난 DNA를 재확인 하는 과정이 있어 세포분열시 10억분의 1 확률로 DNA 염기가 바뀌구요 생식세포를 만드는데 세포분열을 4번 정도 하기 때문에 30억쌍 염기로 된 DNA를 지니는 인간은 3이 4승, 즉 약 81개의 돌연변이가 일반적으로 나타나게 되죠 덤으로 인간이 원숭이나 유인원에 속함은 그냥 DNA상으로 명백하게 나타나는 사실입니다. 그게 당신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대체 왜 인간과 침팬지의 DNA가 99% 일치하는가, 대체 왜 원숭이와 인간이 이리 DNA가 비슷한가를 설명해내면 됩니다. 참고로 포유류 대부분은 적색각을 상실했는데 오직 원숭이 부류만 적색각을 지니고 있어요 그래서 인간도 3원색을 보는겁니다. 즉 과학적 물적 증거가 없는게 아니라 당신이 무식해서 그걸 모를 뿐인겁니다.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Ай бұрын
@@briankim6311 더불어 말씀드리는데 현존하는 원숭이나 침팬지들은 당신 조상이 아니라 같은 조상을 둔 사촌입니다 사촌과 할아버지도 구분 못하는 저지능을 가지니 중학교 기초교육도 이해 못하시는건가요?
@user-lg3uj3zr2m
@user-lg3uj3zr2m Ай бұрын
어떤 사냥을 말하는 건지? 무턱대고 사냥이라고만 하면 아메바도 사냥을 하는데....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도구"를 이용한 사냥
@cry_st.4604
@cry_st.4604 Ай бұрын
찾았다 내가 고기를 좋아하는 이유
@sangkim9656
@sangkim9656 Ай бұрын
원시인보다 키가 작다니.....
@botingro7150
@botingro7150 Ай бұрын
그럴 것이다.. 단순한 발자국 하나로.... 좀 더 확실한게 필요해 보입니다.
@dreamfreeker
@dreamfreeker Ай бұрын
인간 조상이 혹독한 기후, 환경 변화에도 멸종하지 않고 진화한 이유 1. 던지기 기술과 오래 달리기(땀샘)로 육류 사냥 2. 육류 섭취로 뇌 발달.. 불 활용 (육류 추가 섭취로 뇌 더 발달) 3. 집단 행동 (안정적 먹이 확보 및 안전 도모, 새끼 보호)
@zoo2_dev
@zoo2_dev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면 불을 사용해서 요리해먹으면서 소화가 쉬워지고, 소화기관에 투입되는 에너지가 절약되면서 뇌 발달에 투입되었다고 합니다.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Ай бұрын
인간만이 가진 장점이야 여럿 있지만, 결국 멸종을 피해낸 결정적 능력은 장거리 이동 능력이었음. 특정 간빙기에 열렸던 아프리카 통로를 탈출하여 사방 지역으로 흩어지게 된 덕에 끔찍한 기후위기의 역경들에도 소수들이 살아남는 행운을 얻었고 재 번성의 기회를 얻었던 것.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육상동물 최고 수준의 지구력, 지능, 원거리 투척능력 등 사실상 독보적으로 사기적인 스펙에 집단 생활까지....
@ns0677
@ns0677 3 күн бұрын
안다꼈다
@g04jee
@g04jee Ай бұрын
스카퓰라 견갑골, 글루테우스 막시무스 대둔근 ㅋㅋ
@user-kl7kt3vn8l
@user-kl7kt3vn8l 26 күн бұрын
인간은 인간이고 침팬지는 침팬지다 영원히 변하지않는 진리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라고 생각한다면 초등학교부터 다시 다니기 바랍니다. 생물의 이름은 인간이 그냥 정하는것일 뿐이고 실제 생물이 가진 모든 형질은 그저 DNA에 의해 정해진 아미노산의 순서로 결정되며 DNA는 계속해서 변하므로 생물은 계속해서 변할 뿐입니다. 그게 불만이라면 이 세상을 떠나면 됩니다 당신이 불만가진다고 세상이 바뀌지는 않으니까요
@user-ib4qh4pk1t
@user-ib4qh4pk1t Күн бұрын
진리라고 하기전에 중학교 교과서나 보고 사세요^^
@ddk2628
@ddk2628 Ай бұрын
🎉🎉
@core974x
@core974x Ай бұрын
북미에 거인화석이 발견됐다고 하던데 스미스소니언박물관에 소장중이고 인간과 이들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testdragon5398
@testdragon5398 Ай бұрын
스미소니언 박물관이 모든 거인 화석을 사들여 폐기하고 있고, 그 사실을 인정한 대법원이 자료 공개하라 명령했다는 루머가 떠돌고 있지만, 그 대법원 명령서 실제로 본 사람 0 입니다. (찾아 보세요.) 왜냐하면 그런 적 없거든요. 그리고 인터넷에 떠도는 거인화석 사진의 대부분은 포토샵 사이트에서 나온 겁니다. 특정 사진을 포토샵 고인물들이 경쟁하듯 편집한 다음, 멋지게 편집한 사람에게 상을 주는 사이트인데, 거기 나왔던 편집된 이미지들이 거인화석 발굴현장 같은걸로 외부로 왜곡되서 퍼진거죠.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거인화석이라면 사람이 아니라 고릴라 화석이겠지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창조과학 찌라시는 믿거하시길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Ай бұрын
구라는 믿지맙시다
@JesusChristEvangelicalism
@JesusChristEvangelicalism Ай бұрын
애초에 구라라서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user-gd1tq7rq8c
@user-gd1tq7rq8c Ай бұрын
제 키는 퇴화된거군요...ㅠㅠ;; 엉엉엉
@user-ir6uh6vx3y
@user-ir6uh6vx3y 3 күн бұрын
좀 더 핵심만 추리는 게 좋겠네요 잘 만든 영상인데 지루해요
@csi4240
@csi4240 Ай бұрын
그리고 없는 신도 만들어냈고. 그걸 진짜라고 믿는다는 것. . 그리고 이걸 지적하는 것에 극도로 분노한다는 것
@seokmin_8713
@seokmin_8713 Ай бұрын
가끔 목이짧고 어깨가 솟아있고 팔이 좀 길고 키자 작으신분들이 보이는데 진화퇴행인가요? 침팬치의 특징과 비슷해서요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어깨가 솟아있고? 어깨근육이 발달한거지. 팔이 좀 길다고 퇴행이겠냐? 넌 남을 비하할만큼 잘나긴 했냐? 침팬지랑 너랑 닮은건 아니지?
@yarn75
@yarn75 Ай бұрын
거인족 전설이 많은것 생각하면 있을수 있는 진화일것 같군요. 지금도 이상하게 큰 사람이 나오는것 보면 거인DNA 형질이 남아 있는 사람들이 아닐까?
@space27
@space27 Ай бұрын
거인족 없어요..-_- 망상에서 살지 맙시다. 인간 신체구조를 생각하면 절대 거인족은 존재할수 없어요..-_-
@yarn75
@yarn75 Ай бұрын
@@space27 잭과콩나무 아이들 전래 동화라는 우리나라 책 등을 읽어 보면 이런 내용들이 왜 존재하고 구전으로 내려와 🤔 계속 전승되는지 생각해보면 의심이 그 거인족이 몇십m라고 생각할수는 없지요. 일반적인 인류 보다는 큰 사람들이겠지요. 왕좌의게임 같은 곳에 나오는 거인들도 좀 과장되는 사이즈로 예상되지만
@stoneknife7043
@stoneknife7043 Ай бұрын
거인에 관한 설화가 있다고 거인이 실존하는건 아니죠 용이나 요정 요괴등에 관한 설화도 많지만 실제로 있는건 아니니까요​@@yarn75
@s5537kr
@s5537kr Ай бұрын
@@yarn75조선시대 수준의 옛날엔 키 1미터 80~2미터 되는 서양인이 키 1미터 50이 평균인 나라에 가면 그 나라에서 거인이 나타났다고 소문납니다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인간의 신체비례와 같은 거인은 존재 불가
@user-le5iz3lj7s
@user-le5iz3lj7s Ай бұрын
@Huntingppalgengyi
@Huntingppalgengyi 18 күн бұрын
근데 교수님, 얼굴이 왜 늘 화가나있나요 ? 화가 많은 분인가봐요. 되도록 목소리만 나오는 인터뷰 하셨으면 좋겠어요, 너무 화난 얼굴이라 무섭네요.
@user-eo2ub4xy2k
@user-eo2ub4xy2k Ай бұрын
침팬치나 고릴라는 아마 인간을 만들기전에 데모버전 같은 개념 같음.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침팬지나 고릴라는 인간과 조상을 같이하는 사촌일 뿐입니다.
@user-yy9yf1gc7p
@user-yy9yf1gc7p 27 күн бұрын
인간은 진화의 산물이 아니라 선택의 결과물이죠. 무언가의 선택의 산물인데 일시적 존재에 불과하죠.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진화는 곧 자연선택의 결과물이니 결국 진화의 산물이 맞답니다
@user-ib4qh4pk1t
@user-ib4qh4pk1t Күн бұрын
그 선택이 자연선택이고 돌연변이는 생식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니 진화의 산물이 맞네요....
@user-yc1gk7rz5x
@user-yc1gk7rz5x 29 күн бұрын
장이크고 많이먹는인간은 머리가 나쁜건가?
@LuRempapaKorea
@LuRempapaKorea Ай бұрын
인간과 침팬치가 한 조상이라는 말은 진화론에 기초한 답이라 생각합니다. 어떤 진화의 증거도 없고 지금도 어떤 변화의 증거도 없습니다. 있다면 지금이라도 일어나야 하는데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진화론의 문제입니다.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유전자란 명백한 증거가 존재합니다. 그걸 부정하시려거든 초등학교부터 다시 다니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진화는 지금 이 순간에도 잘만 일어나고 있고 DNA를 통해 명백히 관찰 가능하니 헛소리 하며 무식함을 드러내지 마시고 기초교육을 통해 상식부터 보충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당장 종의 기원을 통해 비둘기의 품종개량으로 이미 다윈은 진화를 증명해낸지 오래입니다 진화가 없다면 품종개량도 불가능하니까요 ^^
@god7up
@god7up Ай бұрын
저도 추정해 봅니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DNA는 진화의 결과물이 아닙니다 모든 설계도는 앞으로도 변하지 않습니다 누군가가 가위질을 하지 않고는 설명이 불가능 새로운 종의 탄생은 진화가 아니라 가위질의 결과물입니다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Ай бұрын
당신의 망상과 달리 당신과 부모의 DNA만 비교해도 변한다는게 확인 됩니다. 인류는 한 세대에 약 100쌍의 돌연변이 염기가 나타납니다. 자신이 무식하다는걸 깨닫고 헛소리 하기 전에 자신이 틀렸다고 먼저 생각하고 의심하세요
@user-pk3yl4jk4v
@user-pk3yl4jk4v 8 күн бұрын
@taoat4767
@taoat4767 Ай бұрын
유유상종 하여야한다.. 유유상종 하여야한다..
@user-xz1rs1ji9v
@user-xz1rs1ji9v Ай бұрын
왜 나새끼는 일분밖에 못뛰지..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ㅎㅎㅎ 훈련이 안되서죠.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똥배가 출렁거려서😂😂😂
@user-bv8wl9my4g
@user-bv8wl9my4g Ай бұрын
인간 침팬지 같은조상이면 침팬지는 왜 진화 안됨?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Ай бұрын
지능이 미취학 아동 수준이면 이해하기 어려울수도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인간과 침팬지는 같은 할아버지를 둔 사촌인겁니다 즉 당신은 지금 사촌을 보고 할아버지라 부른겁니다 우습죠? 인간과 침팬지의 공통조상은 공통조상이지 침팬지가 아니랍니다 ^^ 물론 인간이 침팬지보단 조상을 덜 닮긴 했네요
@vfrtgyuhv33
@vfrtgyuhv33 Ай бұрын
나뭇가지가 수만갈래인 나무 떠올리면 돼요 아래쪽에서 굵은 가지로 거기서 곁가지로 갈래가 뻗어나가는거라 .. 공통조상에서 분화 된 후 적응이 된채로 세대를 잇는 , 가시적으로 달라질 만큼 자연선택 받을 일이 적게 살아갈 수도 있는거죠 몇 만년 전 DNA적으로는 말고 세세하게는 침팬치와 현대 침팬치는 모습이나 생태가 완전히 같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 왜 분화를 멈추고 세대교체만 되고 수만년 그이상 지내온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 생물들 은행나무라든지 폐어라든지 많잖아요
@yeolkim8434
@yeolkim8434 Ай бұрын
보다 채널에 뒤집개 하나 사드려라. 뭐만 했다하면 뒤집누
@zonnage2877
@zonnage2877 9 күн бұрын
그럼 아시아인은 초식을 많이해서 장길이가 길어 다리가 짧아지고 서양인은 육식을 많이해서 장길이가 짧아 다리가 긴데 뇌세포는 많은 에너지원을 필요로해서 숙주가 육식을 많이하는게 유리할텐데 그래서 이 세계를 지배하는건 서양인들인가요? 그리고 어떻게 아프리카사람들은 육식을 많이한건가요?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일단 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은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특히 유럽계와 아시아계의 차이는 아프리카계 내의 차이보다도 적어요 그야 분화된 세대가 얼마 차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진화란걸 잘 이해 못하나본데 초식을 하니까 장 길이가 길어진게 아니라 장 길이가 짧은 사람들이 전부 죽어서 장 길이가 긴 사람들만 남은겁니다. 즉 정확히는 아시아계가 벼농사를 기반으로 오랜기간 탄수화물 편중의 식단을 하며 장 길이가 짧은 사람들은 다 죽은겁니다
@zonnage2877
@zonnage2877 8 күн бұрын
@@user-nd5dy1hs3f 엥 분화된 숫자가 얼마 없는데 어떻게 아시아계와 유럽계의 장길이는 달라진건가요? 그리고 왜 유럽계가 유당불내증이 아시아계보다 덜한가요? 인류가 가축의 젖을 먹은건 같은시기일텐데 말이죵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Күн бұрын
@@zonnage2877 분화된 숫자가 얼마 없어도 형질이 극명하게 달라지는 예를 하나 들자면 바로 견종이 있답니다. 대다수의 견종은 인간 내에서의 유전적 다양성보다도 늑대와의 차이가 더 적습니다. (이는 꾸준히 교배과정에서 늑대의 유전자가 혼입된 까닭도 있습니다) 당장 치와와와 골든리트리버만 놓고보더라도 유전적 차이가 적고 분화된 숫자가 얼마 없어도 형질이 극명히 달라질수 있음을 알수 있죠? 물론 견종의 경우엔 인간의 적극적인 선택압력의 결과이긴 합니다만 그와 유사한 선택압력이 존재한다면 충분히 그 차이가 벌어질수 있는겁니다. 아시아 계통에게 일어난, 몽골고원의 극한의 한랭기후라던가 (이 탓에 노출부위가 작아지는 방향을 지니죠) 유렵계통의 유목활동같이 말이죠 (젖을 소화하지 못하면 죽어서 번식 불가)
@user-nv7rn9gb8t
@user-nv7rn9gb8t 18 күн бұрын
언제부터 인류학이 공상과학이 되었나?
@thelibrary5972
@thelibrary5972 Ай бұрын
침팬지 와 인간이 가까울까? 말과 당나귀가 더 가까울까? 노새는 후손 번식 능력이 없다. 왜 그럴까? 종의 다양성을 위해서 다른 개체가 나오지 못하게 하는 제어 장치가 자연계에는 분명히 존재한다. 제어 장치가 우연일까?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Ай бұрын
말과 당나귀가 더 가깝습니다 애초에 왜 교배가 가능하고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생길까요? 간단합니다 DNA가 얼마나 다르냐에 따라 교배가 되고 안되고가 결정됩니다. 즉 우리가 생물을 나누는 기준이 바로 교배여부, 즉 DNA의 차이 에 따른것일뿐 자연상엔 이름표라는게 존재하지 않아요. 노새가 번식능력이 없는 까닭은 말과 당나귀가 이미 염색체 갯수가 다르기 때문에 노새의 염색체가 홀수가 되어 양성생식으론 번식할수 없기 때문입니다. 염색체라는게 짝이 있어야 나선구조로 제 역할을 하니까요 즉 우연 같은건 없으며 오로지 당신의 무식함만이 존재할 뿐인거죠
@unitednationscommand9356
@unitednationscommand9356 14 күн бұрын
이 교수님 표정을 보면 그 당시 상황이 ㅈㄴ실감나노
@user-cj1oc3mg3e
@user-cj1oc3mg3e Ай бұрын
그럼 인류는 원숭이가 진화했다는건가요?ㅋㅋㅋ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8 күн бұрын
유전적으로 볼때 인간은 명백히 원숭이에 속합니다 특히 꼬리없는 원숭이들과 유전적으로 매우 긴밀하죠 그게 불만이시라면 현생을 떠나세요 당신이 불만 가진다고 현실이 바뀔일은 없으니까요 ^^
@KimKim-vp3dq
@KimKim-vp3dq Ай бұрын
과연 인간이 진화를 해온 걸까?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지금도 진행 중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응. 지금도 진화중이야. 진화가 끝났다는 말은 멸종됐다는 뜻이 된다.
@user-oz7co2tk8h
@user-oz7co2tk8h Ай бұрын
인간은 창조된거라고 말하고싶은데 은근 돌려말하네 영악한놈 ㅋㅋㅋ
@CIoudStrife
@CIoudStrife Ай бұрын
그럼 뚝딱 만들어졌을까요???
@ansterydaiu70524
@ansterydaiu70524 Ай бұрын
생물들의 과도기 형태의 화석은 왜 발견되지 않나요?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많이 발견 됩니다.
@donghyokshin846
@donghyokshin846 Ай бұрын
중간화석은 엄청나게 발견되고 있습니다. 예전에 없다고 주장하던 부분들이 촘촘하게 메워지고 있어요. 단지 창조신화론자들이 못 본 척 외면하고 있을 뿐. 북툰 유튜버의 영상을 추천합니다.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지금껏 발견된 모든 화석이 사실상 중간단계입니다만?
@JesusChristEvangelicalism
@JesusChristEvangelicalism Ай бұрын
정확하게 어떤 상태여야 과도기라 하는 건가요?
@ansterydaiu70524
@ansterydaiu70524 29 күн бұрын
@@JesusChristEvangelicalism 일부 기관만 형성된 미완성 형태가 아니라 오늘날 생물들처럼 완전한 형태의 화석이 있나 궁금합니다
@D-coffee111
@D-coffee111 Ай бұрын
결국은 뇌피셜인가..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본인이 모른다는 건 모르는 듯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지가 ㅈㄴ 똑똑하다는 착각속에 사는 바보인듯
@user-ru9fp5ec7r
@user-ru9fp5ec7r Ай бұрын
노력이 있으니 일단 한번 속아주자.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ㅋㅋㅋ 속아 주자? ㅋㅋㅋㅋㅋㅋㅋㅋ 니가 모른다고해서 구라가 아니란다.
@user-ru9fp5ec7r
@user-ru9fp5ec7r Ай бұрын
@@info_biz828 오~ 확신에 차있네. 씩씩하군👍🏻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교회가 천시받는 이유가 바로 이런 인간들 때문이지. 사막잡신에 몰빵한 인간들
@user-yo6ki4co6t
@user-yo6ki4co6t Ай бұрын
그래 니네들 말이 맞다 진화 X 적응변이 O
@user-hy1ci7bc7b
@user-hy1ci7bc7b Ай бұрын
진화가 바로 그 뜻인데 적응변이라고하면 뭐가 달라짐? ㅋㅋㅋㅋ 진화라는 단어에 왜이렇게 발작을 할까
@user-yo6ki4co6t
@user-yo6ki4co6t Ай бұрын
@@user-hy1ci7bc7b 진화가 구라라고 하는 개독교 애들이 많아서 한 말이야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너네 교회목사가 그렇게 하라고 시키더냐? 니네 교회 목사도 과학은 쥐똥만큼도 모르는데?!
@Boyscout53
@Boyscout53 Ай бұрын
가설.. 이란 것은 위험하지.. 인류는 자멸하고 있는데 그 원인을 알지 못하는 학자는.. 문제가 있다고 볼 수는 없지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가설이란 단어에만 매몰된 개신교도구만. 진화론은 지금 현재도 관측되고 증명된 이론인데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과 관측으로 증명이 되고 논문으로 발표되면 다른 학자들이 교차검증을 하고, 교차검증에도 문제없이 설명이 가능하다면 이론이 되는거야. 법칙과 이론이 있는데 법칙은 17~18세기 최창기 과학자들이 썼던 표현이고 지금은 전부 이론이라고 말한다. 가설은 실험과 관측이 되기전 전제조건을 말하는것으로 어떤 과학자도 가설만으로 논문을 발표하지않는다. 개신교들은 어떻게든 말꼬투리나 잡고 늘어지려고 하는데 그럴수록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만 강해진다. 니네 개신교가 주장하는 신의 증거를 증명해내던지. 니들은 아무것도 안하면서 과학을 비방하는 불편러들 집단으로밖에 안보인다.
@user-nd5dy1hs3f
@user-nd5dy1hs3f Ай бұрын
꼬우면 진화론에 바탕을 둔 현대 농축산물의 산물 다 거부하고 자연에서 직접 구해 드시던가
@user-sd4oe9yg5w
@user-sd4oe9yg5w Ай бұрын
예수쟁이들 어리둥절
@stayawayfromUTB
@stayawayfromUTB Ай бұрын
우리는 누군가의 플랜에의해 진화된 존재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누군가는 없다. 왜냐고? 진화에는 목적성도 방향도 없거든. 너네 사막잡신도 인간이 만들어낸 창작물이고, 지금 목사들은 신의 이름을 팔아서 비즈니스하는 인간일뿐이야. 신이 있다는 증거는 먼지만큼도 없거든
"남자들은 여자를 가르치려 든다"? [맨스플레인]을 만든 페미니즘 책 리뷰 : 1부
1:11:08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34 М.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Miracle Doctor Saves Blind Girl ❤️
00:59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Super sport🤯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Luck decides who wins 🍀😅#shorts #funny #viral
0:24
Uma NOOB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everything turned out to be not as it seems… 🤭👀
0:12
Viktoria Meyer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你们家里有这么调皮可爱的孩子吗? #袋鼠妈妈
0:41
袋鼠妈妈育儿记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Охрана года 😎 #кино #фильмы #сериалы
0:55
Смотри до конца 😻💔
0:44
mafo fashion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