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안돼 투잡, 쓰리잡 뛰어요"…상상초월 공실 폭탄, 최악의 동대문 상황

  Рет қаралды 1,462,996

땅집고

땅집고

Күн бұрын

공부 엄청나게 한 고소득자가 상가 투자 폭망한 안타까운 이유
• 공부 엄청나게 한 고소득자가 상가 투자 ...
인기지역이니 월세 350 쉬울 것 같죠? 빼도 박도 못하고 폭망합니다
• 인기지역이니 월세 350 쉬울 것 같죠?...
4년 새 임대료 2배 폭등…'핫플' 성수동의 남모를 절규
• 4년 새 임대료 2배 폭등…'핫플' 성수...
미친 임대료에 이면도로는 50% 텅텅…홍대의 절규
• 미친 임대료에 이면도로는 50% 텅텅…홍...
가로수길 점포 80곳 중 30곳 공실...임대료 4배 뛴 세로수길도 위험
• 가로수길 점포 80곳 중 30곳 공실.....
시청 코앞 상가도 5년째 텅텅…유령도 안 다닐 법한 세종 상권
• 시청 코앞 상가도 5년째 텅텅…유령도 안...
1시간 동안 오가는 사람 30명…청라 커넬웨이가 폭망할 수밖에 없던 이유
• 1시간 동안 오가는 사람 30명…청라 커...
14평 상가 분양가 13억?…무너질 수밖에 없는 '광교역세권 상권'
• 14평 상가 분양가 13억?…무너질 수밖...
1층 상가 35곳 중 25곳이 텅텅…7년째 공실 폭탄에 울부짖는 이대상권
• 1층 상가 35곳 중 25곳이 텅텅…7년...
"전철 옵니다" 평당 1억 분양했는데...10년째 텅텅 빈 위례 상가
• "전철 옵니다" 평당 1억 분양했는데.....
공실률 무려 50%…'평당 6500만원' 기세등등 분양하다 폭망한 미사역 상권
• 공실률 무려 50%…'평당 6500만원'...
1층 상가 56곳 중 48곳이 공실…그 흔한 고깃집 하나 없는 '최악의 베드타운' 대장동
• 1층 상가 56곳 중 48곳이 공실…그 ...
빨대효과에 공실만 90%…'백화점 블랙홀'에 허우적대는 판교 상권
• 빨대효과에 공실만 90%…'백화점 블랙홀...
국내 패션 1번지로 꼽히는 서울 동대물 쇼핑몰이 악화일로다. 수요자 소비 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쇼핑몰로 바뀐 데 이어 코로나 직격탄을 맞으면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동대문 밀리오레, APM, 굿모닝시티 등이 대표적이요. 동대문 상권을 대표하는 쇼핑몰인 밀리오레는 지상 7층까지 상가로 운영 중이다. 3층 위로는 공실률이 50%가 넘는다. 6층 상가의 경우, 점포 216곳 중 5곳 만이 영업을 하고 있다. 나머지 15곳은 문을 열었지만 종업원이 없다. 밀리오레 가게의 가치는 점점 떨어지고 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감정가 1억5700만원으로 책정된 밀리오레 1층 4㎡ 매장은 경매에서 302만원에 팔리기도 했다.
굿모닝시티 상황은 더 심각하다. 건물 전체 공실률이 80%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쇼핑몰 내 에스컬레이터는2020년부터 3년째 운행이 중단됐다. 에스컬레이터 옆 상가는 ‘목 좋은 입지’로 알려졌지만, 이곳 만큼은 예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집합상가 기준으로 서울 도심권에선 동대문 일대 공실률이 12.1%로 가장 높다. 남대문 일대 집합상가 공실률이 1.7%인 것과 비교하면 7배 이상이다.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조금씩 늘고 있지만 동대문을 찾는 관광객은 과거보다 크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엔데믹 이후 동대문 상권회복 가능성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이다. 의류를 중심으로 한 소비 트렌드가 완전히 바뀌면서 패션타운이 밀집한 동대문 상권이 외국인과 일부 내국인 수요로 버티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한다. /박기홍 땅집고 기자 hongg@chosun.com
▶타임라인
00:00 하이라이트
00:14 패션 1번지 동대문도 무너졌다... 불 꺼진 점포, 투잡 뛰는 상인
00:42 과거의 영광은 뒤로, 밀리오레 공실 폭탄
02:36 집합상가 공실률 급증, 패션특구 한계 명확
04:08 김종율 보보스연구소 대표 인터뷰 "두타몰, 밀리오레 등은 전국적으로 안 좋은 상황"
04:39 결론
●'돈 버는 실전 강의 플랫폼 땅집고M' 온라인 강의 30% OFF
☞증여는 생존전략! 세금 폭탄에서 살아남을 특급 비법
자세히 보기 : bit.ly/3vStCEO
☞성공적인 재개발 투자 전략, 알아야 돈 번다!
자세히 보기 : bit.ly/3GRQJFL

Пікірлер: 3 600
@user-mn8mu4hh2z
@user-mn8mu4hh2z Жыл бұрын
상권이 왜 무너졌는지 구매자만 알고 판매자는 모르는 현실
@user-dk7ix1ge8k
@user-dk7ix1ge8k Жыл бұрын
시원~하네 ㅋㅋㅋㅋㅋㅋㅋ 소비자가 비응신이냐? 진짜 묻고싶다;
@s2ns
@s2ns Жыл бұрын
중국인 관광객이면 몰라도 일반 사람들은 동대문 발길 끊은지 오래되지 않았나? 아싸리 도매상들 대상으로만 장사하고 있는 줄 알았는데 아닌갑네
@user-cv7jx3cb6x
@user-cv7jx3cb6x Жыл бұрын
정찰가가 아니라 너무 비싸~~
@ssula496
@ssula496 Жыл бұрын
맞네 이 댓글이ㅋㅋㅋㅋ
@user-yt7uh4li3b
@user-yt7uh4li3b Жыл бұрын
안사면 욕먹을 거 같은 분위기 ㅋㅋ 누가 가
@ChanelManager
@ChanelManager Жыл бұрын
터무니 없는 가격과 호객, 불친절 , 뒤통수에 욕때리기....등등 누적된 결과가 아닐까 합니다
@SonZedong
@SonZedong Жыл бұрын
그건 니 희망사항이고 코로나 비대면 , 중국관광객 감소 영향이 제일크지
@user-nm5ef4ow4o
@user-nm5ef4ow4o Жыл бұрын
맞음 당연한 결과임
@user-yb7iv3vv9e
@user-yb7iv3vv9e Жыл бұрын
예전 동대문 호황일때 경험삼아 갔다가 불친절때문에 동대문 발길끊은사람 ㅈㄴ많음 업보로 돌아오는거임.. 근데 그때 불친절했던 놈들은 이미 돈벌고 매장차려서 장사하거나 다른 사업함 후덜덜한 월세에 빚내서 들어가는 상인들만 죽어나가는중...
@SG-yo7qb
@SG-yo7qb Жыл бұрын
용산 용팔이 꼴 난거지 뭐
@user-mc8em8vy3k
@user-mc8em8vy3k Жыл бұрын
뒤통수에 대고 욕하는 거 정말 충격적이었어요. 잘못들은줄...
@baekjason6386
@baekjason6386 Жыл бұрын
동대문을 겪은 소비자 아무도 아쉬워하지 않는 뉴스
@jjkim6969
@jjkim6969 Жыл бұрын
공감
@user-th6hp1yp3q
@user-th6hp1yp3q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user-oc7je7uw6u
@user-oc7je7uw6u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상인님들ㅋㅋㅋ고객들 호구로 봤을때는 좋았겠지~~ㅋㅋㅋㅋ꼴 좋습니다 수고!
@wk2778
@wk2778 Жыл бұрын
1.가격이 싼가? X 2.품질이 좋은가?X 3.서비스가 뛰어난가?X 4.친절한가?X 5.따로 보고 먹고 할 게 있는가?X 6.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인 강점이 있는가?X 망하지 않을 이유 찾기가 더 어려울듯
@user-Rose.Model.
@user-Rose.Model. Жыл бұрын
1 싸다 온라인보다는 조금 비싸지만 오프라인이기 때문에 당연(대신 직접보고 입어 볼 수 있음, 이건 의류나 잡화를 떠나서 모든것이 온라인이 당연히 더 쌈 이유는 안 알려줘도 알죠?) 2 가격대비 적절 3 4 좋은것도 아니고 나쁜것도 아님 5 온라인으로 소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없는 건 당연 또는 인구감소로 젊은 사람이 없음 6 125 때문에 다른지역도 똑같음 세상의 발전과 시대의 변화로 안 되고 있는 게 더 합리적임. 똑같은 이유로 대기업 대형마트도 많이 없어짐 125때문에 이건 한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변화하고 있는 게 아니라 이미 변화하고도 10년넘게 지났음
@user-iv8dl4yn4t
@user-iv8dl4yn4t Жыл бұрын
@@user-Rose.Model.직접 입어볼수 있다? ㅋㅋ 입어보고 귀찮게 하는 그지랄 떠는게 좆같아서 안감
@kimym536
@kimym536 Жыл бұрын
​@@user-Rose.Model.손님 맞을래요? 가 서비스 좋지도나쁘지도 않음 ㅇㅈㄹㅋㅋㅋㅋ
@user-Rose.Model.
@user-Rose.Model. Жыл бұрын
@@kimym536 님 말하는거 보니까 어딜가나 푸대접 받겠네요 ㅉㅉ
@kimym536
@kimym536 Жыл бұрын
@@user-Rose.Model. 양아치들 쉴드치는 머저리한테도 예의차려가면서 말해야되나?
@jamjam-dn7ss
@jamjam-dn7ss Жыл бұрын
가격대비 퀄리티가 안좋다는 인터뷰에 크게 공감합니다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Жыл бұрын
쟤네는 유니클로랑 경쟁해야함 유니클로 기본아이템이 품질 가격면에서 압승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user-ip1ny5dy7q 맞말입니다
@MJJ-pb9nf
@MJJ-pb9nf Жыл бұрын
​@@user-ip1ny5dy7q 의류업계 종사자로써 한말씀드리면 유니클로 자라는 원단도 자체연구개발 해서 소싱하는거라 품질면에서는 정말 압살임.... 부자재도 단추 지퍼 하나까지 다 전세계 특허걸린 일제만 쓰니까.. 게다가 단가도 국내브랜드는 많아야 이삼천장이지만 유니클로는 한번에 몇만장씩 생산을 하니 판매가 측면에서도 상대가 안됨 대량생산을할수락 단가하락은 당연한거니까 질좋고 값싼 제품을 원하는건 만국공통 소비자심리라서 앞으로도 영원히 해외스파브랜드를 이기는 국내브랜드는 나오기 힘들거임ㅠ
@mekopark3201
@mekopark3201 Жыл бұрын
@@Purplebee24 점점 바껴가는거지 저게 왜 있냐 따질게 머있음? 인터넷에 교육자료 차고 넘쳐도 학원은 대성황이구만 ㅋㅋㅋ 쉽고 편한 대체품만으로는 바뀌지 않는 부분도 있으니 그런것들이 유지되는거임
@yomiyomigwiyomi
@yomiyomigwiyomi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문제가 아니라 거품 가격 아님?, 거기다 가격 대비 퀄리티가 나은 것도 아니도 작년에 갔었는데 딱히 살만 한게 없었더라 물론 내가 옷을 즐겨 사입는건 아니라 별로 땡기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몇벌은 샀는데 짝퉁 옷이 좀 비싼에 그렇더라 짝퉁 옷이 그 값을 못하는데 다른건 뭐 거기다 옷 사달라고 호객 행위 함 아직도 호객 행위 못 버렸나 봄 아줌마들은 크게 상관 없었는데 젊은 남자 직원 몇몇은 옷 사달라고 강매 함 그중에서 어떤 가게 구경 하다 반바지 샀는데 애초에 살 마음이 없었고 딱히 마음이 드는 의류가 없였는데 사달라고 장난 치듯이 하니까 고민 하다 필요할거 같아 사긴 했는데 고른 바지 내가 깍아 달라니까 안된다면서 나중에 마지못해 가위 바위 보 내기 해서 천원인가 깍아 준다 함 ㅋㅋ 내가 이기니까 깍아 줌 어떤 가게는 짝퉁 팔면서 이 옷 자기가 여러 군데 납품 한다면서 인기 있는 옷 많다고 구경 하라면서 자기 가게 홍보 하면서 어떤 스타일 좋아 하냐는 둥 이건 어떠냐는 둥 물어 봄
@Bruce_Lee1973
@Bruce_Lee1973 Жыл бұрын
소비자에게 외면 받는다면 다 이유가 있겠죠. 자연도태되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user-bw8wv7qf3c
@user-bw8wv7qf3c Жыл бұрын
저기갔다가 옷 친구랑 구경하면서 말도안걸었는데 계속말걸고 입지도않고 눈구경만하다 그냥 다음에올게요 했는데 부모가 그리가르쳤냐고 패드립먹음
@user-ip3cn8id3g
@user-ip3cn8id3g Жыл бұрын
​@@user-bw8wv7qf3c 인중 찍어버리시지
@Dadue491
@Dadue491 Жыл бұрын
저기 자연도태 아니고 자멸도 한몫하죠 ㅋㅋㅋㅋ
@user-tx3rc5vw4d
@user-tx3rc5vw4d Жыл бұрын
동대문 20년전에 가보고 다신 안갔어요. 점원들이 어찌 하나같이 양아치 같던지. 지나가는데 마주하는 가게 점원이랑 저를 사이에두고 제 가방 디자인이 어쩌고 자기들끼리 큰소리로 평가질하고 .. 어이 없어서 다신 가기 싫더라구요.
@kash-narhmak
@kash-narhmak Жыл бұрын
2003년 고3때 서울로 취업 나오면서 처음가본 동대문은 말 그대로 신세계였는데... 주말이나 공휴일이면 쇼핑몰앞에서 공연이 있고, 미어 터지는 인파에 피로감도 느꼈는데, 20년만에 판이 이렇게 바뀌네.
@djdjdkdwed
@djdjdkdwed Жыл бұрын
10년이면 강산도 변함
@user-nb2vc2uc4o
@user-nb2vc2uc4o Жыл бұрын
사람 순진하게 생겼으면 비싸개 부르고 인상나쁘면 싸개 부르고 징그럽다 징그러워.. 짭 무스탕 인터넷에 3만원에 파는거 동대문에서 15만원에 산거 아직도 억울해 죽겠는데 진작에 동대문은 없어져야 했어야 했다
@dayflydayfly1907
@dayflydayfly1907 Жыл бұрын
現地人들도 믿고 거르는곳인데 왜 저길?...lol
@darkani5665
@darkani5665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3 대 눈탱이 악덕 업체 단지 1. 동대문 의류 상가 2. 용산 전자 상가 3. 소래 포구
@user-zk4nj5og7l
@user-zk4nj5og7l Жыл бұрын
​@@darkani5665 인천중고차 매매단지..
@user-ez4je6ln1z
@user-ez4je6ln1z Жыл бұрын
​@@user-zk4nj5og7l 부천 중고차 매매단지
@user-wm8vz3vp6q
@user-wm8vz3vp6q Жыл бұрын
정찰가가 없는 물건들은 원래 이빨로 파는거에요.
@user-lf8ui6hr2o
@user-lf8ui6hr2o Жыл бұрын
상인들 스스로가 자초한일입니다. 구매자를 봉으로보고 영업하는데 시대는 변해서 온라인소비패턴이 되면서 동대문에 메리트가 사라짐
@user-dv6cy7yk4y
@user-dv6cy7yk4y Жыл бұрын
용팔이들이랑 똑같은 길을 걸은거죠 뭐 ㅎㅎㅎ
@skyhigh490
@skyhigh490 Жыл бұрын
개웃기네 여기 유튜브영상은 죄다 상인탓하는 댓글이 즐비함 ㅋㅋㅋ
@user-im7ks5mb8r
@user-im7ks5mb8r Жыл бұрын
@@skyhigh490 근데 맞잖아? 가봤는데 호객은 호객대로하고, 가격메리트도 없어, 불친절해, 욕까지해, 심지어 짝퉁까지 판치는데 뭘 실드를 쳐?
@skyhigh490
@skyhigh490 Жыл бұрын
@@user-im7ks5mb8r 쉴드는 무슨 앵무새같아서 하는소리임 ㅋㅋㅋ
@DossMon
@DossMon Жыл бұрын
​@@skyhigh490 그럼 할말이 그거말고 없는데 뭐 어떡함?
@user-np4ym1ye4m
@user-np4ym1ye4m Жыл бұрын
내가 옛날에 대학생때쯤에 한번 간적이 있는데....지금 생각해도 저기는 불친절하고 상품질도 안좋고 가격만 비싸고 그랬던 기억이 있다....정말 그냥 꼭 옷을 살려고 간것도 아니었는데 기분이 굉장히 안좋았음. 그 이후로는 절대 저 근처도 안간다. 그냥 저렇게 망하는게 너무나 당연한 결과다.
@user-xw1vi6my4f
@user-xw1vi6my4f Жыл бұрын
그러게 관심가져줄 때 환불 잘 해주고 소매한테도 친절하게 햇어야죠
@rururara
@rururara Жыл бұрын
자켓하나 입어보고 가라는 소리에 한번 입고 그냥 가니깐 뒤에서 "진상오고 지랄이야."라는 말이 십년이 지났는데도 잊혀지지 않는다.
@user-lik219
@user-lik219 Жыл бұрын
동대문옷팔이들 양아치근성이죠
@user-mo7vj5ny4e
@user-mo7vj5ny4e Жыл бұрын
진짜 십년이네요 ㅎㅎ
@CUraraG
@CUraraG Жыл бұрын
ㄹㅈㄷ네;;
@user-ml2dt2xc9y
@user-ml2dt2xc9y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원래 안그러는데 희한하네요??
@wsk9787
@wsk9787 Жыл бұрын
난 이십년전쯤 옷 입어보고 안샀더니 눈에 쌍심지 키는거보고 다신안감
@hilee4488
@hilee4488 Жыл бұрын
상가 방문하면 실실 웃으면서 바가지는 엄청 씌우는데, 누가 두번 다시 찾아 갈까... 조금 비싸더라도 교환 잘 해주는 온라인 매장이 훨씬 마음 편하지...
@kmybhb555
@kmybhb555 Жыл бұрын
이런 대규모 집합건물 활성화 방안 많습니다. 다만 욕심 때문에 협의가 안되어 깨지는 경우가 많죠.
@user-et2ur4yv3l
@user-et2ur4yv3l 11 ай бұрын
요즘은 스파오나 탑텐가면 가성비 좋은 옷들이 너무 많아서 동대문은 안가는 것 같아요 어릴 때 몇번 가보고 안간지 10년도 넘은것 같음
@user-ib8jo7gb5m
@user-ib8jo7gb5m Жыл бұрын
손님 많던 그때 비싸고 현금결제 원하고 바가지는 기본 그 이후로는 안감 손님이 사면서 눈치보게 만드는데 누가감
@kkimmoose
@kkimmoos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그거보다 얘네 어린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등 만만한 어린애들한테 강매하고 그 안좋은기억이 찾지 않게 만드는거에요. 너무 통쾌한데 ㅋㅋㅋㅋ 잘됐다
@Popsugar255
@Popsugar255 Жыл бұрын
진심 학생 때 거지취급하고 ㅈㄴ욕하던 여자 사장님^^ 그 후로 동대문 옷 파는데는 눈길도 안 줌
@this_life_did_MANG
@this_life_did_MANG Жыл бұрын
​@@second.. 추억의 장소라는 댓글만 몇 개를 쓴 거임
@happyhappyplanet
@happyhappyplanet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이후론 백화점도 예전만큼 붐비지 않음. 홍대나 신촌 이대 압구정 신사동 이런데도 임대 써붙인 건물들 엄청 많고.. 소비 패턴이 온라인으로 바뀐것도 있겠지만 가성비 가격 경쟁에서 밀린게 주된 원인이지 싶음. 그나마 아울렛이 붐비는편
@user-qy5du4bm4e
@user-qy5du4bm4e Жыл бұрын
빈상가들 주거용으로 전환 리모델링 하면 서울 시내에만 14평짜리 20만호가 넘게 나올 수 있다고 들었는데, 상업지였던 자리라서 입지조건도 최상위고, 문제는 주거용 건물이 아니라서 전환 자체가 건물에 부담이 가거나 리모델링이 불가능한 건물이 좀 있겠지만, 퀄리티 차등없이 공공임대주택용으로 25%공급하는 조건으로 전환 가능하게 해주면 나쁘지 않을듯 ..
@user-cg2cz8ry2l
@user-cg2cz8ry2l Жыл бұрын
어릴때 편하게 옷사러 갔다가 호객행위에 질려버려서 다신 안갔는데 결국 이렇게 되버렸네요
@sh1ltz
@sh1ltz Жыл бұрын
돼버렸네요
@junsoundeffects9965
@junsoundeffects9965 Жыл бұрын
옛날에 너무 어려서 동대문 호갱이였었는데 ;;
@maum1
@maum1 Жыл бұрын
고급화를 하든 저렴하든 뭔가 손님들이 올만한 메리트가 있어야 하는데 눈탱이에 특화되서 이미지만 안 좋아졌으니 점점 쇠퇴하지.
@user-xv6ig7xx2m
@user-xv6ig7xx2m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돈쓸놈이 있을땐 장사가 되었다는 뜻이지.. 지금은 그마저도 없다는 뜻이고.. ㅋ
@user-wi5uf3jc9y
@user-wi5uf3jc9y Жыл бұрын
두타가 그나마 고급화 한다고 인테리어 계속하는데 옷 사입하는 도매 보면,, apm, 밀리오레 비슷비슷..
@mekopark3201
@mekopark3201 Жыл бұрын
앵 애초에 전국 옷매장 하는 양반들이 물건때던곳도 동대문인데 거기가 눈탱이면 ㄷㄷㄷ... 그냥 남들 불매하던말든 꿋꿋하게 유니클로 가던가 유니클로 재고 택갈이 해서 할인판매하는 곳들 갸웃거릴수밖에 없을듯 ㅋㅋㅋ
@user-xv6ig7xx2m
@user-xv6ig7xx2m Жыл бұрын
@@mekopark3201 원래 옷값이 눈탱이임 동대문에서 9만원짜리 택바꾸고 백화점가면 30만원인거..모름 ? 당연히 유니클로도 눈탱이고 ㅋ
@user-nk1ir9iy5y
@user-nk1ir9iy5y Жыл бұрын
@@user-xv6ig7xx2m 택갈이ㅋㅋ 어디 싸구려 브랜드 비교하냐. 이바닥에 있으면 적어도 브랜드 무시못하는데
@user-yz2fw2eu6j
@user-yz2fw2eu6j Жыл бұрын
야.. 밀레오레~ 진짜 어마어마했었는데 저번달 서울 가족여행 갔는데 호텔 근처라 옛 생각에 들렀다 기절초풍하는줄 알았네요. 귀곡산장 분위기!! 아. 옛날이여~ 빨리 다른 방향의 트렌드로 상가 업종 변경해야할듯 합니다.
@user-yt7mb2fz5z
@user-yt7mb2fz5z Жыл бұрын
그냥 시대가 변한듯요. 저동네 30년째 살고 있지만 보도처럼 그렇게 죽진 않았어요. 저기 입점해 계신 분들은 도매를 주로 하시고 온라인몰도 하거든요. 소매가 죽은거는 옷을 만들던 분들이 그 전에는 동대문 상인에게 물건을 넘기는 구조였다면, 이제는 본인들이 온라인에서 직접 팔아요.
@VS-zp8up
@VS-zp8up Жыл бұрын
저도 신설동 토박이고 주변사람들 거의 다 상인들인데 동대문 저 사람들 딱 그냥 밥만 먹고 살 정도입니다 요즘은 온라인이 만여개가 넘고 큰 곳 아니면 안되요. 다 덤핑으로 팔아요. 도매요 이거 잘못했다가 나중에 돈 못 받는 경우 허다합니다 지방의류유통업자들 처음만 꼬박꼬박 나중에 10% . 20% 외상 달고 2년만에 3천 때 먹어요. 이런 일 도매업자들은 허다합니다 동대문 죽은지 10년 넘었어요. 저기는 그냥 빈 껍데기일뿐이에요. 나이는 먹고 어디 갈 곳 없고 할거없으니 저기 자리 지키고 사는거에요
@ADAMOTHER
@ADAMOTHER Жыл бұрын
온라인시장 파이가 커져서 오프라인이 죽어가지요. 시간대비 더 다양한 옷이 있으니 웹으로 잘 찾아보고 샘플확인하러 찾아가면 되니까요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보는 안목이 있으시네요 맞죠 시대가 변화는데 요즘 상가들 안가죠^^ 특히 저런 분야는 더욱이.... 시대가 변화하는데 길거리에 상가 가는 사람이 없으니.... 그나라마다 외국인이 가는게 도심상가이지....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의류쪽도 성장이 거의 끝난거지 디자인 만들어내는것도 한계가 잇고.. 본인포함 사람들이 젤먼저 아끼는게 옷이나 여행이고 그담이 집, 음식 순이다 의랑 주는 이제 많이 죽엇다고 할수잇지 물론 앞으로 점점.. 짝퉁도 그렇게 팔아 제끼더니 참 꼴좋네ㅋㅋ
@Huber.boji.eunhye
@Huber.boji.eunhye Жыл бұрын
이제 차리리 저곳은 공유 오피스+오피스텔로 개조해서 써야함
@nq5254
@nq5254 Жыл бұрын
저기를 다 호텔이나 숙박업소로 개조해서 외국인에게 영업하게 하면 진짜 잘 될텐데.이제 산업구조가 바뀌었으니 관련 산업도 변신할 수 있게 해줘야죠.
@user-vk6zt9gf1p
@user-vk6zt9gf1p Жыл бұрын
최근에 동대문 시장을 가족끼리 갔었는데 문이 많이 닫아있더라고요.. 상상한 거랑 많이 달라서 아쉬웠어요ㅠㅠ
@ssuduruk
@ssuduruk Жыл бұрын
제작년 캐나다인인 와이프랑 같이 갔었는데 와이프가 무서워서 다시는 가기 싫다고 했었습니다. 제가 어릴때 갔을때와 전혀 바뀐게 없음.
@fiorikim5702
@fiorikim5702 Жыл бұрын
왜 무섭데요?
@ssuduruk
@ssuduruk Жыл бұрын
@@fiorikim5702 계속 붙잡고 말걸고 그래서요.
@ssuduruk
@ssuduruk Жыл бұрын
@White Rabbit 무슨 말씀이신지?
@coffee04200
@coffee04200 Жыл бұрын
@White Rabbit 하하하하하 자제하세요.
@terrychoikorea114
@terrychoikorea114 Жыл бұрын
국방비 엄청 나갑니다
@alternatorblue
@alternatorblue Жыл бұрын
동대문가서 옷살때 생각난다. 고딩때 티셔츠 몇개 사입으려고 갔는데 무슨 조폭같이 문신한 사장이 나와서 가방이고 뭐고 싹다 끼워대며 10만원에 "팔아주겠다" 고 억지 쓰길래 지금 그만큼 돈이 없으니 나중에 오겠다고 했더니 지가 ATM 어딨는지 아니까 같이 가자고 어깨에 팔두르고 반강제로 끌고가길래 에스컬레이터 근처에서 확 뿌리치고 도망 나왔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함. 훗날 가산지디털단지 아울렛 갔을때 정가로 파는데도 동대문보다 더 싸길래 두번다시 안가겠노라 다짐했지. 제발 망하세요^^
@user-vwx2666
@user-vwx2666 Жыл бұрын
저것이 망하는것은 당신도 조금있으면 망한다는것 입니다. 살아나길 바라세요. 그래도 못 살아날것이지만 ㅜㅜ
@user-py6pz8du7l
@user-py6pz8du7l Жыл бұрын
@@user-vwx2666 저것이 망한다고 사회가 망하는게 아닙니다 ㅠㅠ 그냥 저 지역이 낙후되었을뿐이죠 ㅠㅠ
@maebong_
@maebong_ Жыл бұрын
@@user-vwx2666 동대문 밀리오레에서 검거
@gho3828
@gho3828 Жыл бұрын
@@user-vwx2666 뭐래 옷팔이새끼가 ㅋㅋㅋ 양아치 지능수준 잘 봤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sk-mr2iw
@sk-mr2iw Жыл бұрын
저거 현실이더라고요ㅋ 일 있어서 동대문 갔다가 그 주말 저녁에 손님이 우리밖에 없어서 깜놀.. 비어 있는 점포도 꽤 있구요 ㅠ 상인들은 물건 안팔려서 어쩌나 싶었어요
@chennai5941
@chennai5941 Жыл бұрын
2번 가봤지만 극심한 호객행위 + 가격을 물으면 위아래로 훑으며 간보다가 가격 책정하는게 느껴져서 이후로 안감. 오히려 이따구로 장사하는데 잘되는게 참 이상하다 싶었음.
@user-hg4rr3wu5d
@user-hg4rr3wu5d Жыл бұрын
인터넷에서 1-2만원짜리 옷 신발이 저기 5만원에 팔고있음 앞에 닭꼬치 4-5천원 ㄷㄷ 그냥 다 너무비쌈 ㅋ
@blueyn5004
@blueyn500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맨첨 동대문 갔을때 감자핫도그가 4천원해서 쇼크였는데..
@goodrichproject
@goodrichproject Жыл бұрын
저 20대에 딱 한번가서 옷보고 나오면서 “다음에 올께요.” 했는데…. 웃으면서 “다음에 오지 마세요.” 하는데 정말 너무 놀라서 ㅜㅜ 다시는 안갔어요. 무서워서 갈 수가 없음 ㅠㅠㅠㅠㅠㅠㅠㅠ 40대가 된 요즘은 고속터미널 지하 다닙니다. 여러분들 고터몰로 오세요. 최고에요!!!!!!!
@wsk9787
@wsk9787 Жыл бұрын
지하상가에선 옷 사는거 아님 그냥 자라나 에이치앤앰 스파오 유니클로 이런데가 남
@user-ox5gm5nm8t
@user-ox5gm5nm8t Жыл бұрын
@@wsk9787 고터 지하상가 갈만함
@user-gl2ci6en8o
@user-gl2ci6en8o Жыл бұрын
소름~같은 사람이였나~ 같은 경험이 있어요 너무 불친절
@parkny
@parkny Жыл бұрын
@@KimMoosik 고속터미널
@mavelyaromi
@mavelyaromi Жыл бұрын
아진짜 못배운사람들 티나게 왜그랫을까요..
@sombra-dv1jv
@sombra-dv1jv Жыл бұрын
불편한 인간들이 장사를 하는데 누가가나? 스트레스 안받고 온라인으로 걍사지
@jhg5700
@jhg5700 Жыл бұрын
시장의 질서에따라 없어져야 합니다.
@user-pw8ec3ci2e
@user-pw8ec3ci2e Жыл бұрын
상품마진이 사람에 따라 달라지니 온라인에 익숙한 사람들은 찾을리없지
@user-zm5li4vf5c
@user-zm5li4vf5c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온라인? 절대로 아님ㅋㅋㅋ 이미 18 19년부터 중국 보세에 비해서 경쟁력이 없어 중국인들의 구매가 안되서 공실 많아진다고 얘기가 나올 정도였어요.
@user-rq7gi9jr1e
@user-rq7gi9jr1e Жыл бұрын
동대문 부모님이랑 자주 갔었는데 슬프네요 ㅠ
@user-ub9xc5sg2h
@user-ub9xc5sg2h Жыл бұрын
진심 바가지 심각한데 너무 많아요....바가지 없는 상점들이 피해보더라고요....
@user-je3wm7jf7n
@user-je3wm7jf7n Жыл бұрын
용팔이 중고차팔이는 유명해서 누구나 알지만, 옷장사 하는분들도 그런류의 분들이 많았음... 어릴때 옷사러 동대문가면 양아치들이 붙잡고 반 협박으로 옷강매했는데...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Жыл бұрын
대체 용팔이는 뭘파는거냐?ㅋㅋ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Жыл бұрын
@@user-pr8rj2hm7g 그건아니지 임마?ㅋㅋ
@Air-choi
@Air-choi Жыл бұрын
@@user-oq2ie8pm9w ? 뭔데그럼 용팔이가 ㅋㅋ
@user-jg5gq6qu3h
@user-jg5gq6qu3h Жыл бұрын
​@@user-oq2ie8pm9w 용팔이는 용을팔지ㅇㅇ
@pi6079
@pi6079 Жыл бұрын
용산 폰팔이요
@ssl4860
@ssl4860 Жыл бұрын
식당 이고 노점 이고 모두 문 닫게 생겼다는 거네요 ...많이 심각하네요 ...
@user-cy3bp8gs1n
@user-cy3bp8gs1n Жыл бұрын
손님이 지나가며 구경하면 너무 불편하게 하는 호객행위가 두번 세번 찾을 손님들을 다시 안찾게 하는 효과가 무시못하지.... 오늘만 장사하려는 마음가짐이 너무나 컸던 곳..... 이제 동대문에 한곳으로 집중적으로 모여서 장사를 해야지, 저렇게 공실 많은곳으로 뿔뿔히 흐터져 있으면 그냥 망하는거지....
@neobox5289
@neobox5289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어떤지 몰라도 옛날엔 보고 안 사면 지랄들 했음. 그후 쌍놈 동네라 생각하고 다시는 안 갔음.
@user-yw3xr6xx8d
@user-yw3xr6xx8d Жыл бұрын
시대의 흐름이 바뀐거죠, 편한마음으로 쇼핑을 즐겨야 하는데 저긴 뭔가 위압적인 느낌이 들고 옷을 마음놓고 고를수가 없다. 이미 온라인시장으로 넘어갔고, 다시 살아나긴 힘들고, 리모델링 해서 오피스텔 원룸 같은 주거시설로 탈바꿈하는게 나을듯. 그나저나 쫄딱 망해서 반갑기는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GodzillaTiger
@GodzillaTiger Жыл бұрын
그거 20년전이야기 같은데.
@user-ve2vz9qx4n
@user-ve2vz9qx4n Жыл бұрын
10년전에 대학생들 상대로 정장입은 사람들이 이리저리 끌고다니면서 위압주던게 기억이 나네요. 망할 곳이 망한 느낌
@bigboyb3961
@bigboyb3961 Жыл бұрын
의경할때 외박나오면 고참들이랑 여기가서 옷삿는데 ㅋㅋ 돈깍아줄테니 아이스크림 하나사오라는 사람도 있엇음 ㅋㅋ 옆가게에서 아이스크림 사주고 돈깍아서 옷삼 ㅋㅋ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집도 글코 옷도 글코 최대한 안사면 가격 무조건 우하향각임 물론 명품도 마찬가지지 되팔이가 매우 비일비재한 의류업.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언제적 얘기임^^
@littlepooh1603
@littlepooh1603 11 ай бұрын
어릴때 가격만 물어봤는데 왜물건 만지냐며 댓구도 안하고 노려보는거 보고 절대 안가요. 자업자득😱
@simzou4373
@simzou4373 Жыл бұрын
재테크 창업 경영 영업의 일맥상통! 좋은 시사보도 뉴스! 언제나 현재의 내 자리는 한 철 장사로 생각하고 항상 흐름을 읽고 흐름의 희생자에서 수혜자로!
@snow5055
@snow5055 Жыл бұрын
전통시장, 특히 관광지 수산시장 안 가는 이유랑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한창 때는 삥 뜯길까봐 걱정하면서 가야하던 곳이었죠. 그게 아니더라도 오프라인 옷 매장 모두 장사가 안 될 수 밖에 없는게 반품 안 해주는건 기본이고, 반품/교환 얘기 꺼내러 매장 가는 것 자체도 후덜덜 거려야해요. 그 마음 고생하느니 걍 왕복교통비 썼다 생각하고 온라인에서 주문하고 안 맞으면 반품하는게 훨씬 나아져버렸습니다.
@user-sp9mp4io3q
@user-sp9mp4io3q Жыл бұрын
가장 큰 문제는 이미지와 세대교체가 아닐듯 싶네요 예전세대에선 무지막지한 호객행위 + 가격대비 퀄리티가 안좋은 이미지가 강하게 박혀있고 요즘세대의 신규고객을 잡으려 해도 인터넷에서 옷을 편하게 사거나 명품을 소비하는 세대가 더 많으니깐요
@sanghoonjoo3976
@sanghoonjoo3976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굿모닝시티는 지어졋을때부터 문제있구 공실자체가 이미 그때부터였음.. 밀리오레가 무너진게 진짜 상권박살났다는 증거임.. 그리고 애초에 동대문저기를 저렇게 우후죽순으로 상가를 짓는게 아니었음..
@genmu-xi4pk
@genmu-xi4pk Жыл бұрын
기본 오디오 볼륨이 너무 작아요. 편집하실때 12데시벨에 맞춰주셔야 평균 레벨이에요.
@user-jp8db6ho8c
@user-jp8db6ho8c 2 ай бұрын
솔직하게.. 어려보이면 반말, 불친절, 가격은 눈탱이 😢
@user-yc4gz2cr8y
@user-yc4gz2cr8y Жыл бұрын
온라인온라인하는데 배달문화가 미친듯 늘었어두 친절하고 맛있는 맛집은 여전히 줄서서 먹는다....내가 그곳을 끊은이유가 불친절에 바가지....본인들 탓을 안하구 자꾸 사회경제탓만......
@user-mp3lx7fb7y
@user-mp3lx7fb7y Жыл бұрын
전체적으로 그렇다고 하는거죠... 어느 한곳만 잘된다고 아닌데 내가 아는 그곳은 잘된다구...... 이게 맞다고 생각하세요? 코로나로 대학가 술집 노래방 볼링장 다망했는데 아닌데 내가 아는 그곳은 존나 잘된다구.....니들이 못한거지... ㅋㅋㅋ진짜 그렇게 생각하시냐고요. 좀 크게 봐요. 좁게 보지 말라고요. 대체적으로 그렇다고요.
@alrtmsjxm
@alrtmsjxm Жыл бұрын
​@@user-mp3lx7fb7y 비교대상이 틀리잖아 패션상권에 뭔 볼링장 노래방당구장을 예시를 두냐?
@user-ss7qo7ts9i
@user-ss7qo7ts9i Жыл бұрын
@@user-mp3lx7fb7y 여기있네 눈탱이치는 상인ㅋ
@user-mp3lx7fb7y
@user-mp3lx7fb7y Жыл бұрын
@@user-ss7qo7ts9i 온라인으로 오프라인 옷가게 망한건 팩트고 코로나때 배달이 흥한것도 팩트고 이사람이 주장하는거는 다필요없고 친절도 맛으로 잘되는곳 있다 ㅇㅈㄹ하는거잖어. 이해가안됨? 나는 옷팔아본적 없다.
@Reminiscence31
@Reminiscence31 Жыл бұрын
@@user-mp3lx7fb7y 다맞는데 불친절에 바가지도 맞는말이겠지 뭐 망하는데 이유가 한가지일 필요가있나
@Foxtail_IfarI
@Foxtail_IfarI Жыл бұрын
동대문 밀리오레 거의 20년 전에 딱 한번 가봤는데, 그 당시 초딩이었던 저랑 저희 누나한테 돈있냐고 물어보고 강매하려고 하던 더러운 추억만 있네요. 초딩한테 겁주고 위협하면서 강매하고 싶었을까... 지금 생각해봐도 참 어이가 없어요.
@user-bf9cg5nx4g
@user-bf9cg5nx4g Жыл бұрын
인정 쌩 양아치들이었죠
@user-kt4tk5sl9o
@user-kt4tk5sl9o Жыл бұрын
저기뿐만이 아니라 젊고 어린 사람한테 막대하는 사람 많음. 나 학생때도 친구가 걸려있는 옷 보여달라고 했더니 젊은여사장이 저 옷 보여줬는데 안사면 자기만 귀찮아지는거 아니냐면서 쏴댔는데 친구도 무서워서 억지로 그 옷 샀던 기억이 있음.
@user-bi4sw7vh7m
@user-bi4sw7vh7m Жыл бұрын
@@second.. ⁶
@Jimismilk
@Jimismilk Жыл бұрын
결국 사셨나 보네요. 초등학생 한테까지 그 짓거리를 하고 싶었을까 진짜
@Lucas-gz8sy
@Lucas-gz8sy Жыл бұрын
이젠 패션이 아닌 종합몰이 되어야 함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Жыл бұрын
보세의류나 직수입의류 시대는 진작에 갔다고 봐야죠..그옆에 동대문 현대아울렛시티 는 전층이 골고루 유동인구가 많습니다. 밀리오레나 굿모닝시티도 차라리 신세계나 롯데에 통매각해서 아울렛으로 리뉴얼하는게 나을듯싶네요.
@ungzkim8851
@ungzkim8851 Жыл бұрын
어렸을 땐 저런데가 스타일이 좋아서 비싸도 가서 샀는데 솔직히 이젠 저런곳에서 살 이유가 없음.. 이젠 자라같은곳이 동대문, 지하상가 같은곳에 비해 가격,품질,스타일이 더 좋아져버림….
@gorani_jusik
@gorani_jusik Жыл бұрын
자라가뭘좋아 ㅋ 펑퍼짐하기나하지
@ungzkim8851
@ungzkim8851 Жыл бұрын
@@gorani_jusik 난독증은 고칠 수 있어요 :)
@user-xv8um2nz1b
@user-xv8um2nz1b Жыл бұрын
무신사
@user-pg5tx1ot3f
@user-pg5tx1ot3f Жыл бұрын
@@gorani_jusik장애는 극복 할 수 있습니다 힘내세요
@218280
@218280 Жыл бұрын
@@gorani_jusik 동대문 양아치 옷팔이 찔리누 ㅋㅋ
@user-vq7sq3dh8q
@user-vq7sq3dh8q Жыл бұрын
친구 아는 형의 아는 형이 장사 시작해서 거기서 같이 일한다고 2004년에 첨 갔었는데 친구가 바지 비싸다고 안산다고 하니깐 눈깔 희번덕 거리면서 지랄했던거 아직도 기억나네 ㅋㅋ 지인의 지인한테도 그 지랄인데 ㅋㅋ 누가 가겠냐 이 양아치들아 ㅋㅋ 오래 버텼다 ㅋㅋ
@Min-ks8lf
@Min-ks8lf Жыл бұрын
코로나가 아니라 시대가 변했지요 호객행위 시대는 벌써 다갔지요 근데 지금이라도 살릴려면 하기나름이지요 가격 퀄리티 바가지 친절 등등 바꿀거 많다요
@leochang222
@leochang222 Жыл бұрын
사정해야되고 구매하고도 뭔가 속은 느낌이고 구매해서 집에 가려는데 옆에 가게는 더 싸고 환불하자니 또 실갱이 해야되고 이게 문제다
@user-mg6lp7xz6b
@user-mg6lp7xz6b Жыл бұрын
저기는 코로나 이전에도 그러던곳입니다. 1층과 2~3층까지만 임대료비싸고 손님이 옵니다.동대문종합센터 ABC동도 같은 상황입니다. 원래그래요. 광장시장 방산시장 가보세요. 거기는 더 심각합니다. 소비의 트렌드가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으로 많이 대체된 경우 아닐까요?
@jamespark1582
@jamespark1582 Жыл бұрын
그것도 있지만 보세라도 해도 퀼리티가 너무 떨어지면서 가격은 비쌌음 유니클로 같은 스파 브랜드가 성장하면서 동대문 같은 보세가 다 죽음
@user-pq1jf4pn6n
@user-pq1jf4pn6n Жыл бұрын
아니..강남 지하상가 가보셈. 사람들 미어터짐..
@iamnot-there
@iamnot-there Жыл бұрын
온라인 샵이 따라갈수 없는게 오프라인 매장에선 옷을 직접 입어보고 재질도 벌수 있고, 스크롤을 안해도 가게옷을 5초에 다 볼수 있잖아요. 잘되는 지하상가들이 계속 존재해요. 동대문이 망하는것은 첫째로 건물주들의 안이함일듯. 크고작은 락공연도 늘있었는데 지금은 없죠.
@peter-nd7pd
@peter-nd7pd Жыл бұрын
@@user-pq1jf4pn6n 강남같은 경우는 술도 먹고 사람 만나고 겸사겸사의 라인이니까 그런거임, 일부러 옷을 사러 가던 시대가 저물어버린게 맞음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iamnot-there 님아 지리적 위치임 그건... 청계천보로 가지 뭐하로 그런데 감 서울이라도.... 세상이 변화는거임...단지 볼거리가 있다면 가는거뿐.... 사람이 방구석 워리어만 될수없지 않음 바람도 즐기고.... 그러는거지^^ 캠핑이 괜히 있겠음 가서도 나쁜습관 못 버린다고 술만 처마시고 떠들고 노는게 캠핑이 아니라.... 놀줄 모르면 어디가도 똑같음.... 남에 숙박 돈주고 빌렸다 하더라도 방 정리정돈 하는거 쓰레기 어떻게 버리는거 보면 그사람에 취향 성격 나쁜버릇 습관등이 나오구요.... 종교쓰레기 건물가서 사람 만나는 시대가 아님 이제는....
@user-er1gf1eo1u
@user-er1gf1eo1u Жыл бұрын
ㅋㅋㅋ나름 추억도 있었습니다.. 13,14년전에 동대문운동장 앞에 한양공고 다녔었는데 점심시간에 옷사러가면 멱살잡혀서 매장 끌려가고 강매당하다가 몇번 가니까 친해져서 안팔리는 옷주거나 자기 짜장면 먹는다고 짜장면 한그릇 시켜주던 형님 생각나네요..
@hyeseounjang
@hyeseounjang Жыл бұрын
명동입구에 밀리오레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병원이 입점되서있어서 좀 나을려나.....
@user-he3vi6fk3b
@user-he3vi6fk3b Жыл бұрын
온라인이 잘되있고 품목도 다양하고 시간절약되고 가격도 싼데 굳이 저기까지 귀한 시간써가며 바가지쓰고 인상쓸일 없지 딱 하나 좋은점은 동대문서 종로까지 청계천따라 산책하기 좋다는거
@user-jm4qh4jc3i
@user-jm4qh4jc3i Жыл бұрын
핑계는ㅋㅋㅋㅋㅋ 느그 한국넘들 이제 끝장이다 ㅋㅋㅋㅋㅋㅋ
@user-wy9kh6xy9d
@user-wy9kh6xy9d Жыл бұрын
저도 인정 온라인이 더 좋음
@user-qb6bg7hp4p
@user-qb6bg7hp4p Жыл бұрын
​@@user-jm4qh4jc3i 님 침대에서 똥오줌 받는 날이 오는것보다 훨씬 늦을거 같은데요
@huing153
@huing153 Жыл бұрын
​@@user-jm4qh4jc3i 혹시 아...아니에요..
@summersummerboys7433
@summersummerboys7433 Жыл бұрын
@@user-jm4qh4jc3i 짜장면
@TOYEMPEROR
@TOYEMPEROR Жыл бұрын
"뭐찾아?" "얼마까지 알아봤어?" "가방맡겨두고가." "안살꺼면 왜보여달라고 했어! 이런 C!!"
@user-db6jw9ox9u
@user-db6jw9ox9u Жыл бұрын
양아치 놈들만 많았죠
@hamstradamus
@hamstradamus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시절 강매는 기본이고 친구는 맞은 적도 있음,,,, 그 이후 동대문은 거름,,, 진작 망하지 않은 게 대단하네
@user-pe6vn1wj1z
@user-pe6vn1wj1z Жыл бұрын
나라 곳곳이 썩어 가고 있네요.
@user-cc8xe6ko7j
@user-cc8xe6ko7j Жыл бұрын
몇십년 동안 잘 해드셨고 이제는 거품 빠지는 시점이 온 거네요.
@ooooeee33
@ooooeee3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ㅋㅋㅋㅋㅋ 동대문 ㅋㅋㅋㅋㅋㅋㅋ
@user-zc8wk2mu9f
@user-zc8wk2mu9f Жыл бұрын
@성이름 용팔이나 동팔이나ㅋㅋㅋㅋㅋ 그놈이 그놈이지 뭔ㅋㅋ
@Jiwoojisung
@Jiwoojisung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몇년전에 한참 중국인들 많이 온다고 호황이라던 시절에 잘했어야지….그때 아이들 옷 산다고 가보면 값은 거진 백화점 수준에 진짜 일부 상인만 친절하고…이미 그때부터 이런 꼴 볼 날이 멀지 않겠다 싶었음..잘 될땐 이럴줄 몰랐겠지??
@electric728
@electric728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부자들임..슈퍼카타고 출근
@user-mp9qo6qo8p
@user-mp9qo6qo8p Жыл бұрын
저런애들 하던게 있어서 다른데가서 또 등쳐먹고 잘삼
@mangwonfish
@mangwonfish Жыл бұрын
동대문, 용산에 뭔 서비스를 찾습니까 삼대 양아치 직업인데 인천의 중고차, 용산의 폰팔이, 동대문 옷팔이
@jus4637
@jus4637 Жыл бұрын
동대문은 자랑할거라고는 감자핫도그동네
@aloha_h
@aloha_h Жыл бұрын
​@@jus4637 ㅋㅋㅋ 근데 명량핫도그가 더 맛있더라고요 ㅠㅠ
@JoJo-zf2dc
@JoJo-zf2dc Жыл бұрын
싹다밀고 공원이나 만들어라
@mahavanya3555
@mahavanya3555 Жыл бұрын
동대문쇼핑상가랑 인천소래포구 회센터는 안가는게 답이다
@user-qf1jn6ug7x
@user-qf1jn6ug7x Жыл бұрын
최근에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지금 저같은 30대들은 어렸을때 동대문가면 엄청나게 당해서 지금 30대라 구매여유가 있다고해도 동대문에가서 쇼핑을 한다는 생각은 안할듯. 좋은기억이 있으면 다시찾겠지만 나쁜기억가지고있는 곳에 돈쓰러갈 이유는 없으니깐
@sudyduejei
@sudyduejei Жыл бұрын
저도 동대문가서 한 15-20뜯김 ㅋㅋ
@alreadyusedhandle
@alreadyusedhandle Жыл бұрын
저 저번주에 갔는데도 옷 몇개 보여주다가 안산다고하니까 화내더라고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q1jf4pn6n
@user-pq1jf4pn6n Жыл бұрын
동대문이 공실이 된 이유는 상인들 스스로가 책임임. 가끔 동대문 가서 옷좀 살려고 하면 백화점 브랜드와 가격이 똑같거나 재질이 딱히 좋은것도 아닌데 가격만 비싸니 안가게 되지. 지금 호황을 누리는 강남터니널 지하상가도 동대문 꼬라지 안날려면 양심으로 장사해야됨..
@user-hn1ld1xs6w
@user-hn1ld1xs6w Жыл бұрын
얼마안남았음. 절대못고침!
@jaeholee3816
@jaeholee3816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시대가 바뀌어서, 몸을 낮춰야 된다는걸 아직도 우물안 개구리처럼 못깨닫고 있는거죠, 결국 다망해서 나가고 젊은 피로 수혈되어야 그제서야 바뀝니다.
@lilicam5568
@lilicam5568 Жыл бұрын
에이... 너무 좋게 말씀하셨네요. 품질도 품질이지만 양아치들이 옷판것만 생각하면...
@User_qhstl4ad8
@User_qhstl4ad8 Жыл бұрын
강남터미널은교통빨이 너무 좋아서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Жыл бұрын
국산 버리고 중국산으로 매장 채울때부터 우리나라 의류산업은 사실상 끝난것임. 슬슬 자영업 판매매장은 박물관화 현대유산화 진행해야 그나마 남은 상권 보호할수 있습니다.
@user-sz9ew5sg9f
@user-sz9ew5sg9f Жыл бұрын
이미 몇년전부터 동대문 봉제공장들 다 망하고 중국에서 싼값에 옷만들어 오고 ~중국에서도 동대문으로 옷띠러 예전에는 많이 왔지만 이제는 도매상까지 중국으로 다 넘어가버려서 우리가 중국에서 옷을 띠어오는 시장의 역전상황이 발생한지 오래입니다. 우리나라 온라인쇼핑몰들도 대부분 중국에 봉제공장에서 원단띠어서 옷 만들어 옵니다. 그게 훨씬 싸거든요. 그렇지만 결국 그렇게 하다보니 정작 국내패션시장은 중국에 다 넘어가 버리고 죽은상태가 되어버린겁니다. 안타깝네요. 저도 동대문에서 사입해서 온라인 쇼핑몰 잠깐 했었는데 그때 참 걱정 많이 했습니다. 동대문의 미래를 ㅜ.ㅜ
@monopodele1311
@monopodele1311 Жыл бұрын
ㅠㅠㅠ
@340day9
@340day9 Жыл бұрын
아마 그때가 최저임금 급격히 올랐을때인데...전 아직도 티비에 나욌던 대구 방직공장 사장님의 눈물이 잊혀지지않아요. 한국최초란 자긍심으로 지금까지 버텨왔는데 더이상은 못하겠다고...그때 기레기들이 구시대 산업은 어쩔수없다고 고부가패션산업 어쩌구저쩌구....
@one.two.three.
@one.two.three. Жыл бұрын
​@@340day9 좋은 품질 적당한 가격 트렌드를 따라가는 곳이었으면 뭘해도 안망해요 요즘 유행하는 도메스틱 브랜드들 보셈 가격대 기본 10~30에 국내산인데 잘만 팔림 걍 시대에 뒤처지니 망하는 거지
@Arcard800
@Arcard800 Жыл бұрын
중국도 망했어요 요즘은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임 배트남도 꽤많은데 업체들이 혼재되어있음
@richh88992
@richh8899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수입의류다 뭐다 존나비쌈 인터넷에서 ㅋㅋ 1:1 오더 하면서 반품도안댐
@user-fk9db7fr8r
@user-fk9db7fr8r Жыл бұрын
용팔이나 옷팔이나 왜 망했겠냐 호구하나 잡아서 벗겨먹으려고
@gmuk101
@gmuk101 Жыл бұрын
용산, 동대문. 망한걸 온국민이 반기는 곳. 하지만 거기서 장사하던 양아치들은 약삭빠른놈들이라 진작 벌만큼 벌고 다른데서 다른 장사하고있겠지. 사람들이 어지간한거 이제 해외직구로 사는거, 어디 다른동네가 망해도 온국민이 '꼬숩다' 라는 말이 나오는게게 이유가 있음. 저동네만 그러는게 아니고 한국인 장사꾼들 자체가 극혐이다.
@ish3557
@ish3557 Жыл бұрын
변화에 전혀 대비를 못했으니 저렇게 되는 게 당연한 듯. 작년에 옛날 생각나서 가봤더니 20년 전이랑 1도 달라진 게 없던데
@jejek790
@jejek790 Жыл бұрын
쌉 공감 98년에 부산서 올라와서 밀리오레 가평프레아 두산타워 보고 와~~~서울 대단하다 할 적이 엊그제 같은데 ㅎㅎㅎ 앞에서 공연하던 사람들도 많았구요 ㅋㅋㅋ 뭐 시대가 바뀐거죠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Жыл бұрын
인간들이 빠른건 좋아하면서 변화를 안 하려고 함.. 서울도 동대문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90년대에서 정체되어 있음.. 문제는 인구가 더 줄어서 더더욱 가속화 되어가고 있음
@jejek790
@jejek790 Жыл бұрын
@@user-ii4el7cc1z 수도 옮기면 참 좋을텐데 그걸 참 안하네요 ㅎㅎㅎ 전 정치적 발언 한거 아닙니다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Жыл бұрын
@@jejek790 옮기더라도 충청권은 반대입니다.
@heinvogul2817
@heinvogul2817 Жыл бұрын
이건 일반 소매업에도 해당되는 얘기죠. 과거 버스안내양, 주산 부기 학원, 칼갈이, 전화교환수, 극장간판화가 등 역사속으로 사라진 직업들을 보면서 킬킬대고 아휴 그러니까 미리미리 대비해야지 하며 비웃었던 사람들이 이제는 자신들의 직업이 없어질 지경이 되는 거죠. 재래시장에 가면 이체도 싫어하고 짜증내고 기분 나빠하며 귀찮아하는데 누가 재래시장을 갈까요? 애엄마 데리고 가면 애얼굴 품평하고 배달도 안 되고 무거워 죽겠는데 누가 재래시장을 가나요?? 세상은 변하는 겁니다. 동대문도 마찬가지죠. 고객들의 니즈엔 콧방귀도 안 뀌고 한 번 입어보자고 해도 도끼눈을 하고 쳐다보고 언니? 이거 얼마 남는다고 그래? 그냥 가져가서 처 입든 말든 너님 알아서 하고 우리매장에 들왔음 사갖고 나가 이 ㄴ아 ㅋㅋㅋ 따위로 시전하니 누가 가서 사줄까요? 잘됐고 속이 다 시원하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용산 용팔이를 거들떠 보지 않는 사람들 다음으로 많을껄요? 고객들이 취향이나 스타일은 기본이고 어떤 방식으로 쇼핑하는지, 뭘 좋아하는지, 뭘 간섭하기 싫어하는지, 는 1도 관심 없고 신경 ㅈ또 안 쓰면서 아 ㅆㅂ 장사가 너무 안돼, 경기가 너어무 안 좋아, 정치인들 쓰레기들이야만 일 삼고 입에 욕을 달고 살면서 정작 자신들 일에 대한 전문성은 ㅈ 또 없는 게 특정 상인들의 마인드죠. 말 거는 거 싫어하는 남자고객 특정 스타일을 좋아하지만 절대로 자기 신체에는 안 어울리는데 끊임 없이 그 스타일을 고수하는 2030 여성들 등에 걸맞는 추천스킬도 없고 그냥 면박과 콧방귀와 신경 안 씀으로 일관하는 동대문 개 ㅆ가지 매장 주인들에 대한 인식은 벌써 되돌리기엔 너무 님아 저 강을 건너지 마오가 됐답니다. 알아서들 생존하시길. 요즘엔 대부분 온라인쇼핑입니다. 직장인들도 진작 투잡 뛰는 분들 많았습니다. 대단한 일이 아닙니다.
@asdfqwertt44
@asdfqwertt44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시대가 변했을뿐
@jasminsmom680
@jasminsmom680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해요.. 재래 시장에 가면 기분 나빠지죠
@agora9858
@agora9858 Жыл бұрын
재래시장 신용카드 사용 안되는 곳 많아요..그래서 더 안갑니다.
@user-un8oh5in8p
@user-un8oh5in8p Жыл бұрын
옷입어보고 안 사면 눈총에 신경전. 심지어 가격만 물어보고 안사도 뒤에서 욕지꺼리 해대죠. 그때는 그런거를 왜 겪어야 하고 참았는지...
@Bosnia123
@Bosnia123 Жыл бұрын
저시대를 격고도 로봇이나 ai가 일자리 위협한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은 학습능력이 같다
@amicus1905
@amicus1905 Жыл бұрын
밀리오레가 잘되던 시절은 국민소득 1만불 시절이고...지금은 3만불 자리잡은지가 언젠데.....대한민국이 1인당 명품 구매금액 1위나라다......초등학생도 브랜드 아니면 안입는데... 동대문표 옷이 팔리겠냐.....시대가 바뀌면 시장도 바뀌는거지....
@user-gw4uk6zv1u
@user-gw4uk6zv1u Жыл бұрын
젊은 시절 추억이 많던 곳인데 한편으로는 씁쓸하넹ㆍ
@asmrty982
@asmrty982 Жыл бұрын
용도변경 해서 오피스텔로 꾸미고 관광객 이나 젊은층에게 임대해주는 쪽으로 가야됩니다. 앞으로 더 많은 공실이 생겨요. 소비패턴 변화 , 인구감소가 겹쳐서 , 명품도 이젠 매장안가고 사는 소비층이 있습니다. 물론 아직 까지 명품은 매장을 가는 쪽이 더 많지만 그외에는 진짜 다 시간에 쫓기고 늘어나는 일로 인해 서 온라인 소비가 많아요.
@cocoblair83
@cocoblair83 Жыл бұрын
싹다 부수고 주거용업무용 오피스텔로 리빌딩은 안되는 용도구역인가요? 오피스텔로지으면 2호선 역세권이라 괜찮을것같은데. 아니면 지식산업센터처럼 내부리모델링해서 박스상가를 만들던가요.
@user-artist_seungmin
@user-artist_seungmin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옛날 생각나서 갔는데.. 비어있고 불도 꺼져있어서 무서운느낌까지 들어서 안감..
@youngranbaek1752
@youngranbaek1752 Жыл бұрын
인구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상가는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니 당연한 이치...
@lazier2091
@lazier2091 Жыл бұрын
20대 초반에 학을 뗀 후에 10년 넘게 안 감. 위기를 느낀 백화점이 가격, 서비스, 품질 모두 월등하기 때문.
@user-ul5pw5fs6z
@user-ul5pw5fs6z Жыл бұрын
라벨갈이... 물론 그래도 동대문 안가긴 하지만 모두 월등하다는 말엔 비동의
@Popsugar255
@Popsugar255 Жыл бұрын
ㅇㅈ 고딩때 쇼핑하러 갔었는데 마음에 든 옷 있어서 가격 여쭤봤더니 보세 셔츠가 4만원 말도 안 되는 가격이라 죄송하다고 너무 비싸다고 말씀드렸더니 되레 거지취급 하심ㅋㅋ 그때 입고 있었던 셔츠만 10만원주고 샀었던건데ㅋㅋ
@dayflydayfly1907
@dayflydayfly1907 Жыл бұрын
@@Popsugar255 職業이?...lol
@dayflydayfly1907
@dayflydayfly1907 Жыл бұрын
直購가 最高...lol
@chong921
@chong921 Жыл бұрын
@@user-ul5pw5fs6z 백화점에서 파는 가격에 싸구려 품질의 짝퉁옷을 판다고 생각하시면 동의 사실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수준은 안사고 그냥 갈려고하면 손님 맞을래요? 이러니 모든면에서 월등 할 수 밖에 없지요 ㅋㅋㅋㅋㅋ
@asmr3022
@asmr302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부모님이랑 같이 많이갔던 두타, 밀리오레는 항상 사람이 바글바글했고 신기한 옷들을 굉장히 많이 파는구나 신기했었는데, 과도한 호객행위에 맘대로 보지도 못하게하고 고민해서 사면 백화점급 가격에 옷은 금방 늘어지고 색이 빠져서 어느순간부터 안가게 되었습니다. 이런것들이 개선되지 않았다면 망할만했다 정도밖엔 생각이 들진 않네요.
@user-rw4mk1xl7f
@user-rw4mk1xl7f Жыл бұрын
시대흐름때문이죠뭐 저희동네 신도시인데 쇼핑몰 2개다 텅텅 망하기 직전이네요
@user-oc8io3dc4s
@user-oc8io3dc4s Жыл бұрын
2년 전 여름에 갔다개 공포스러웠음 다 공실 저 건물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걱정되네
@yerimyu6464
@yerimyu6464 Жыл бұрын
안사면 졸라 째려보는데 무서워서 어찌가나요? 순진하게생기면 두배세배 가격부르던데
@seoinho86
@seoinho86 Жыл бұрын
바가지에 협박.. 강매까지 아주 드러운 곳이였음..
@dmskcdd6956
@dmskcdd6956 Жыл бұрын
근 20년 소비자들 호구로 알고 눈팅이 기본에 싸가지 없이 사람봐가면서 대하고 뒤에서 쌍욕날리고 재수옶어서 안간지 십년됫다
@user-pu9dz9fq1d
@user-pu9dz9fq1d Жыл бұрын
20년전엔 새벽에 놀러가는곳으로 유명했었는데 야밤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뜨거웠던 곳인데 어는순간 무너지고 그나마 외국인 관광지로 버티나 했는데 코로나가 남은 숨통을 끊어버린 상황
@son9291
@son9291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거 아닌가 누가 동대문 가; 동대문가도 옷쇼핑하러는 안 감 건물부터 완전 옛날분위긴데 온라인으로 대부분 옷사기 시작해서 5년전부터 망할건 기정사실이었는데 대체 왜 몰랐던거지..?
@clubxjunho
@clubxjunho Жыл бұрын
중국인 상대로 옷만들면서 국내 고객 스타일과는 안맞고 신경도 안쓰니 동대문 찾는 사람들이 자연스레 줄어들었고 사드로 중국과 거래가 끊어지고 회복 하려니 코로나 터지고 그사이 온라인몰 활성화 되고 홍대나 이대같이 힙한 지역으로 옷을 사러 가니 동대문은 잊혀진지 오래지.
@esduroid
@esduroid Жыл бұрын
이대앞도 망한건 마찬가진데
@astp237
@astp237 Жыл бұрын
동대문 메가박스가 패션몰 안에 있던데 극장 올라가는 내내 공실의 연속... 버려진 건물에 들어와있는 기분
@user-og1ef2he1x
@user-og1ef2he1x Жыл бұрын
코엑스?
@user-og1ef2he1x
@user-og1ef2he1x Жыл бұрын
@@more-0911 저 분이 동대문 코엑스라고 썼다가 글 수정하신거임
@doota12
@doota12 Жыл бұрын
@@user-og1ef2he1x 굿모닝씨티죠
@user-cs3ee4ie1n
@user-cs3ee4ie1n Жыл бұрын
동대문메가박스 개꿀 사람하나없음 혼자영화보기편함 집근처 왕십리도cgv있지만 동대문메가박스보러감 주말에도사람없고 평일이면 100좌석넘는곳에 많아야5명임
@jangkyo
@jangkyo Жыл бұрын
@@user-cs3ee4ie1n 조만간 문 닫겠네 ㄷㄷ
@airinkim3805
@airinkim3805 Жыл бұрын
외국인 내국인 모두 저렴한 고속터미널 상가로 쇼핑가는데….
@user-hj4tr7yu4r
@user-hj4tr7yu4r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가서 신발샀는데 집에 와서 박스까니 265오른쪽한짝 275오른쪽 한짝 들어있었던 기억이나네요.
@user-hg7gu3zl4r
@user-hg7gu3zl4r Жыл бұрын
아니 5천원도 안되는거 같은 티셔츠를 5만원에 파니 안사지 ㅋ ㅋ ㅋ
@Comprehensive_YouTube
@Comprehensive_YouTube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abcdefghi446
@abcdefghi446 Жыл бұрын
동대문.용팔이.폰팔이.중고차딜러... 다들 자승자박한것.
@dadsrtfgawe
@dadsrtfgawe Жыл бұрын
한 10여년전만해도 동대문가서 옷사곤했는데... 10년사이에 많은일이 있었네요.
@kwl4097
@kwl4097 Жыл бұрын
네 강산이 한번 바꿨어요
@user-yg7ew8rq3p
@user-yg7ew8rq3p Жыл бұрын
20년전엔 바글바글 했어요..
@user-im6rc2tz2k
@user-im6rc2tz2k Жыл бұрын
​@@user-yg7ew8rq3p 그만큼 양아치들도 많았죸ㅋ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Жыл бұрын
@@user-yg7ew8rq3p 인터넷 쇼핑 없을때..ㅠ
@user-yg7ew8rq3p
@user-yg7ew8rq3p Жыл бұрын
@@user-by9xj7cg2u 있긴 했었어요..
@ellijetex
@ellijetex Жыл бұрын
절정기에는 일본,중국,동남아,미주까지 수출을 해 엄청난 매출을 올리던 곳입니다...제품기획,생산,납품이 일주일만에 이루어지던 곳...요즘세대들에게 해외출장 다니면서 시장개척 해오라면 미쳣냐는 소리듣죠...
@user-uy2tj2xr8k
@user-uy2tj2xr8k Жыл бұрын
스타필드 롯데몰가면 쇼핑부터 외식까지 다 해결되죠. 저길 갈 이유가 없어요.
@user-lm2tt3kw2k
@user-lm2tt3kw2k Жыл бұрын
동대문은 시대가 바뀐것도 있지만 이지경이 되기전에 너무 막무가네였음.가격은 브랜드랑 비슷하거나 비싼데 질은떨어지고 비끼질에 안사면 기분나뻐하고 매번가보면 기분상하기 일쑤였음.
MOM TURNED THE NOODLES PINK😱
00:31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Эффект Карбонаро и бесконечное пиво
01:00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허세 인플레이션'에 고통 받는 2030, 지금 정신 차려야 합니다.
32:33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