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강도 달리기를 하면 빨라지는 이유와 심박계를 착용해야 하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5,171

ABSquad80

ABSquad80

Күн бұрын

#저강도유산소운 #저강도달리기 #zone2 #양극화훈련법 #오토파지 #미토콘드리아
저강도 달리기는 누구에게나 필요합니다. 특히 마라톤를 하는 분들이라면, 저강도 달리기는 필수입니다. 저강도 달리기를 통한 유산소 능력은 달리기 기능측면에서도 지구력, 자세유지뿐만 아니라, 부상예방과 회복능력 향상을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양극화 훈련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충분히 도움이 되는 훈련법입니다.
그리고 심박계를 착용해야 하는 이유와 심박수를 보는 요령을 알려드립니다.
*** 챕터
00:00 : 시작
00:40 : 천천히 달려야 빨라진다!?
03:05 : 빨라지기 위해서는 천천히’도’ 달려야 한다.
04:57 : 저는 요즘 이렇게 훈련하고 있습니다.(양극화훈련법)
06:06 : 저강도 운동 심박수는 뭘로 정해야 하나?
08:01 : 심박계 꼭 써야 하나?
10:05 : 어떤 심박계를 써야 하나?
12:39 : 다음 시간 예고
문의 : jh.shin@ab-squad.com

Пікірлер: 45
@user-bg2gr6wd7w
@user-bg2gr6wd7w Ай бұрын
좋은내용 잘시청했습니다. 많이 참고되었네요.❤😂🎉😮😊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좋은 피드백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user-xs6mn4lc9r
@user-xs6mn4lc9r Ай бұрын
거의 중,고강도만 했는데 앞으로 저강도 운동에 비중을 두고 중, 고강도 운동을 섞어서 뛰어 봐야겠네요 빠르게 달려야 빨라 지는 줄 알았는데 연습 방법을 바꿔 봐야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배우러 올게요!!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피드백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강도 비중을 올리면, 기록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ㅠㅠ 이 점 꼭 참고해주십시오. 양극화 훈련이 훈련시간이 많지 않은 동호인들에게는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의견이 있는데, 동호인들이 훈련의 효율을 따질 필요가 있을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건강하게 오래 달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한 번 바꿔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user-sk5qq8fd9c
@user-sk5qq8fd9c Ай бұрын
저강도 달리기, 자전거 함께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처럼 1대9로 분할하구요. 130이하 저강도 유지하구요.자전거 탈때 최대 심박수 170까지 올렸지만 힘들지 않았습니다. 1분 유지후 130까지 감소시켰습니다. 참 유용한 방법이고 유산소가 재밌습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소중한 경험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강도에서 주는 도파민, 이것도 유산소가 재밌어지는 하나의 원인인 것 같습니다. 자전거와 달리기는 최고의 건강 포트폴리오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wanangeo
@wanangeo Ай бұрын
저강도로 오래 달리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면 저같은 초보한테는 최선이겠죠. 문제는 중,고강도가 자세 유지(물론 오래는 못달리지죠)는 더 잘되는듯 해요. 저강도로 오랫동안 자세잡고 달리는것 자체가 고수(건강,행복달리기 기준으로)처럼 보입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강도에서 중강도, 고강도로 자세는 이어집니다. 저강도에서 바른 자세를 충분히 연습해서 부상의 위험이 줄어들고, 중고강도에서 효율적으로 달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스쿼트나 외발로 버티기 등 보강 훈련을 해주면 협력근도 같이 튼튼해지면서 자세를 더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누구나 처음은 초보입니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uw4md3si2h
@user-uw4md3si2h Ай бұрын
부상을 당하고 회복하는과정에 고강도 훈련을 할수도 없었지만 아주낮은 저강도의 훈련을 하며 회복 하는 느낌이 좋았습니다 집뒤의 산을 천천히 6km의 산행과 자전거로 나들이 개념으로 운동 그리고 런은 페이스 7분대 병원 다닌것보다 효과좋아 당분간은 유지 하려 합니다 좀더 효과적으로 활용 하려합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소중한 경험 공유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빠르게 회복해서 좋은 기록으로 복귀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je6oz6bh5d
@user-je6oz6bh5d Ай бұрын
러닝 저강도로 하면서 수영으로 심박수 조져주니까 그래도 부상 리스크 적게 나름 빨라지는 것 같아요.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도 최근에 5년 만에 입수했는데, 러닝 저강도를 해서 그런지, 한번에 100m는 충분히 하더라구요. 저는 러닝 저강도의 힘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수영으로 최대산소섭취량을 높여주고, 그 심장으로 달리기를 한다면, 충분히 퍼포먼스를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항상 부상은 조심하십시오~ 러닝 포퍼먼스는 저강도달리기와 고강도 수영과는 또 다른 영역입니다~^^ 경험 공유 감사합니다.
@user-gi8rc8zy6e
@user-gi8rc8zy6e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같은 경우 130BPM을 맞추려면 페이스가 거의 9~10 정도까지 낮춰야 가능하더라구요. 이 속도로 계속 유지하는게 맞는건가요? 과연 이렇게 하는게 운동효과가 있는건지 좀 의구심이 들때가 많더라구요! 지속적으로 연습하게되면 130BPM 유지되는 페이스속도가 나중에 올라가는지 궁금합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일단 반드시 올라갑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처음에는 7분/Km(8km/h) 미만으로 뛰어야했는데, 이제 6개월 정도 됐는데 6분 30초/Km(9Km/h) 전후로 뛰고 있습니다. MAF Test도 한 번 봐주십시오. 저도 이전에는 존2를 운동부하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적이 있는데, 존2도 분명한 운동부하이고 근성장(지근과 속근)은 이뤄지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arahpark2524
@sarahpark2524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제가 아는것이 없어서 질문드리는데, 혹시 저강도달리기만 꾸준히 해도 근력키우는 것에도 도움이 될까요? 저는 체지방감소 보다 근력을 키우고 싶은데 웨이트를 안하고 저강도 달리기를 매일 꾸준히 한다면 효과가 있을까요?^^;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사라님! 저강도 달리기로만 근력을 키우는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달리기 능력, 달리기에 사용되는 근육들은 어느 정도 강화될 수 있지만, 그것을 근력을 키웠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저강도를 기반으로 헬스장에 가서 웨이트트레이닝까지는 아니더라도,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가벼운 근력운동(스쿼트, 런지, 푸쉬업, 플랭크, 카프레이즈(까치발) 등등)을 따로 해주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쭉 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을 경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운동도 음식처럼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운동 포트폴리오에 대한 얘기로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arahpark2524
@sarahpark2524 Ай бұрын
@@absquad_GL 명쾌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user-us3hi1el6g
@user-us3hi1el6g 11 күн бұрын
케이던스를 170정도로 맞추면 심박수가 135정도 되는데 어디에 마춰야 할까요? 저강도 운동이 안되는데ㅠㅠ
@absquad_GL
@absquad_GL 10 күн бұрын
케이던스 개념을 알고 계시다는 것은 달리기 경험이 많으신가 보군요. 앞에 댓글에는 심박수 130bpm을 타겟으로 설명드렸는데, 135bpm에 맞추셔서 괜찮습니다. 지금 135bpm에 맞춰서 운동하고 계시면, 저강도 유산소를 하고 계신 거에요. 그리고 저강도를 꾸준히 하고, 일주일에 1~2번 정도 고강도 달리기를 해주면, 체중도 더 빠지고, 달리기 실력도 늡니다!! 감사합니다!!
@user-us3hi1el6g
@user-us3hi1el6g 10 күн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user-tg1xd8kp6d
@user-tg1xd8kp6d Ай бұрын
저강도 화이팅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user-km6rg5yd6v
@user-km6rg5yd6v Ай бұрын
빨라진다의 개념을 다르게 이해하면서 상대가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 보면 사회생활은 어떻게 하나 싶음. 존2 훈련을 강조하는 사람들도 존2훈련만 해서 서브3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음. 존2를 유지할때 900겨우 나오는 사람이 계속 훈련할수록 800, 700, 600으로 점점 속도가 빨라짐. 개개인의 신체적 능력에 따라서 그 속도가 500전후까지 빨라질수 있으나 그 이상의 속도는 일반이라면 존2 영역에서 달성하기 힘들다고 봄. 그래서 그 이상의 빠르기를 위해서는 고강도 훈련이 필요함. 하지만 고강도 훈련을 365일 100퍼센트 한다면 사람의 몸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부상이 100퍼센트 찾아오게 되어 있음. 기계도 100퍼센트의 출력을 장시간 지속하면 고장이 남. 제발 다른 사람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그 문맥을 좀 이해하고 까던지 말던지 하자. 아무도 존2 훈련만으로 300언더 주자가 된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어디까지 빨라질 수 있나, 제 몸으로 테스트 해보고 있습니다!
@skywalker9515
@skywalker9515 Ай бұрын
천천히 달려도 빨라질 수 있지만 고수가 되는건 불가능합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천천히 달려서 고수가 될 수는 없습니다! 저희 채널은 고수가 되기 위한 방법을 알려드리지는 못하고, 건강하게 부상없이 오래 달리는 것을 권장하는 채널입니다!! 의견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ko3ot8mj3g
@user-ko3ot8mj3g Ай бұрын
저는 저강도로 풀코스 뛰어보고 싶습니다 즉 강도를 스피드가 아닌 거리로 정하고 있습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도 지금 저강도로 풀코스를 완주하고 싶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랑 비슷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뿌듯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o3ot8mj3g
@user-ko3ot8mj3g Ай бұрын
평소 존1~존3극초반으로 달리고 있고 내년초 5시간 커트라인 들어오는게 목표이고 내년 제마때 sub4가 목표입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user-ko3ot8mj3g 굉장히 계힉을 잘 세우신 것 같습니다. 5시간은 7분/km 페이스만 유지하면 되기 때문에 존2 달리기만으로 충분히 달성할 수 있습니다!!! 내년 봄까지는 존2 위주로 거리를 늘리는 운동하시고, 봄에 마라톤을 완주 후에 고강도를 붙여주면, 부상의 위험 없이 4시간 완주는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강도 훈련법은 너무 많아서 여기서 설명 드리기는 힘든데..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o3ot8mj3g
@user-ko3ot8mj3g Ай бұрын
@@absquad_GL 감사합니다^^
@user-us3hi1el6g
@user-us3hi1el6g 11 күн бұрын
저강도 운동이란 케이던스를 몇정도로 맞추는게 좋은가요?
@probie1900
@probie1900 Ай бұрын
과거 다른 프로선수의 채널에서 존2 운동 방법을 처음 접했습니다. 고도비만 직전까지 간 체중이라 러닝은 너무 너무 힘들었고 조깅을 택했죠 운동이 너무 힘들면 지속적으로 할 의지가 생기지 않으니까요 이 점에서 존2, 저강도 유산소는 정말 좋은 운동방법이지 않나 싶습니다. 최대심박수에서 나이를 뺀 공식은 오차가 너무 크다해서 저는 여유심박수를 기준으로 존2를 설정해서 뛰고 있습니다. 안정시 평균 심박이 46이 나왔고 존2(60~70%) 131-145의 심박을 기준으로 뛰는데 처음 기록을 보면 평균심박 139 평균페이스 10:35/km 였습니다. 지금은 평균심박 140 평균페이스 6:53~7:02/km가 나오고 있습니다. 25kg 체중감량을 해서 기록이 많이 좋아졌습니다만 감량 후에도 저강도 만으로 기록이 나아지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걷는 분들보다 느리더군요 비슷한 게 아니라 걸어서 저를 제치시는 분들이 많았죠 거의 제자리 뛰기처럼 슬로우 조깅을 했었습니다. 가민 시계는 10km PB 52~53분을 예측하는데 솔직히 그 페이스로 10km를 완주할 수 있을까 싶네요 인터벌 할 때나 나오는 페이스인데 이걸로 10km를 뛴다고?? 존2 50~60분에 들어가는 게 목표라 이젠 고강도 인터벌을 추가해서 뛰고 있습니다. 저강도, 고강도는 다른 운동이라고 할 정도로 운동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 수준부터는 다 해야 한다 하더군요 프로 선수 분들은 저강도 8 고강도 2 정도의 비율로 한다 하셔서 최대한 비슷하게 따라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와~ 소중한 경험 공유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산증인이시군요!! 저는 존2 유지하면서 sub3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년이 걸릴지, 5년이 걸릴지,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지 모르겠지만, 도전해 봅니다. 저도 시작은 존2 10K 40분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지금 기준으로는 가능할까 의문만 들지만, 꾸준히 해봐야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fv2mc7ye6x
@user-fv2mc7ye6x Ай бұрын
정석근 헬스라이프에서는 존2로만 달리면 빨라질수 없다하시는데, 내용이 달라 혼란스럽네요 ㅠ 어느정도수준까지는 빨라지지만, 그 이상 수준에 가려면 추가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죄송합니다만.. 제가 영상에서 저강도 영역에 한해서 빨라지지만, 마라토너의 관점에서는 존2로만 달려서는 빨라지지 않는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PB를 달성하고 싶다면, 고강도 훈련을 반드시 같이 해야 합니다. 허허히히호호님은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으시고, 어느 수준의 러너인지 모르겠지만, 저강도와 고강도를 적절하게 썪어서 하는 게 좋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질문하신 분의 배경을 몰라서 함부로 말씀드리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어째든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저강도를 우선으로 하고, 유산소 몸이 만들어지면, 고강도 비중을 올리는 좋습니다. 저희 채널에서는 퍼포먼스보다는 부상없이 오래오래를 목표로 하는 분들을 위해서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Physics_OT
@Physics_OT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마라톤 개인 PB 달성이 목적이라면 저강도 운동만으로는 안 된다고 언급했는데... 영상을 본 것 맞습니까?
@thiswrqe
@thiswrqe Ай бұрын
천천히달리는데 어떻게 빨라지나?? 거짓말임
@jung40l
@jung40l Ай бұрын
초보는 가능함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존2영역 내에서 속도는 빨라집니다!! 그러나 중강도와 고강도로 운동하던 사람들은 느려집니다. 운동하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취미 러너들은 중강도와 고강도 시간을 저강도에 할애해야하기 때문인데요. 1년 , 2년 정도 느려질 수 있지만, 결국에는 빨리 질 거라 믿습니다. 저는 30년 뒤에 연령대 1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thiswrqe
@thiswrqe Ай бұрын
느리게 달리면 그냥 느리게 달릴뿐이지 빨라지지않더군요. 느리게 달려서 빨라지면 다들 서브3하겠지요.
@skywalker9515
@skywalker9515 Ай бұрын
초보들이 어느 정도까지는 가능한데, 그것도 초보 영역 이내까지만 빨라지긴 해요 ㅋㅋ 중수 이상 가려면 스피드훈련 해야죠.
@absquad_GL
@absquad_GL Ай бұрын
@@thiswrqe 네. 맞습니다. 중고강도 하던, 저는 저강도 위주로 운동하면서 기록이 느려졌습니다. 달리기 목표가 빠르게 서브3를 달성하기보다는 천천히 되면 되고, 아니면 말고로 바꿨습니다. 아직 젊어(?)서 기회는 많을 것 같습니다!! 스트레스없이, 부상없이 하려고 합니다.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달리기 하는데 심박수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8:03
[한글자막] 탄력을 이용한 달리기 자세란?
8:02
마라톤온라인
Рет қаралды 100 М.
40대 이상 체중관리/건강관리법, 간헐적 단식, 저강도 유산소 운동
18:31
좋은생활 by 에이비스쿼드
Рет қаралды 7 М.
새벽 잠을 깨우는 확실한 방법
9:52
마라닉TV
Рет қаралды 34 М.
여자들의 간헐적 단식의 최악의 실수 | 살 안 빠지고,여성 호르몬 엉망돼요..😩
11:04
라이크스윗망고 - Healthy and Simple Life
Рет қаралды 312 М.
달리기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진 이유
6:59
달려라주원
Рет қаралды 75 М.
천천히 달리면 빨라지는 7가지 이유 /  조깅의 힘
9:43
Survival skills: A great idea with duct tape #survival #lifehacks #camping
0:27
I respect children #respect #respectshorts
0:34
Movie Copy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Лучший...
1:00
Это точно смешно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LAVOU TÁ NOVA!
0:11
DAIANE VARGAS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Repeat 🥴🤣 LeoNata family #shorts
0:11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