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 과학자가 우연히 마법의 존재를 알게 되면 벌어지는 일 [단편영화]

  Рет қаралды 650,208

엠터

엠터

2 жыл бұрын

영화 제목: The Adept
풀영상 링크: • Sci-Fi Short Film “The...
---------------------------------------------------------------------
영화 리뷰 추천은 메일로!
gamtice0802@gmail.com
---------------------------------------------------------------------
감독/각본: Adam Stern
출연: Adam Greydon Reid, Jennifer Spence
#엠터 #단편영화

Пікірлер: 478
@mter
@mter 2 жыл бұрын
놀랍게도 전 이과입니다
@user-tl7ew2yv6r
@user-tl7ew2yv6r 2 жыл бұрын
문과인듯이 해석, 말도 너무 잘하시넹..
@user-ti4fg6ud3b
@user-ti4fg6ud3b 2 жыл бұрын
왜죠?
@user-if7cj4ok5i
@user-if7cj4ok5i 2 жыл бұрын
놀랍지 않게도 이과셨군요
@Manoya3434
@Manoya3434 2 жыл бұрын
이과놈들
@Oizman
@Oizman 2 жыл бұрын
마법은 무슨~~ 문과가 만든 영화에 불과하구만...-->이과의 시선
@GloWonsiK
@GloWonsiK 2 жыл бұрын
내가 마법을 발견한것 마냥 엄청 몰입감 있었다 ㅎㅎ 단편으로 이정도의 퀄리티를 만들어내다니.. 상업장편으로 무조건 나올 듯 진짜 너무 재밌는 소재였음돠! :D
@i_love_South_Korea
@i_love_South_Korea Жыл бұрын
나오면 좋겠다
@user-qi7di8ex8g
@user-qi7di8ex8g 2 жыл бұрын
와...장편 나오면 좋겠다 저 두사람끼리 다른 마법사들 피해 도망가서 그 능력하고 그들에 대해서 파해치는 느낌으로..
@KingJo.
@KingJo. 2 жыл бұрын
점퍼?
@lemonwaterr
@lemonwaterr 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영화 점퍼가 나오고...
@cncn29870
@cncn29870 2 жыл бұрын
@@lemonwaterr 나도 점퍼 생각함 ㅋㅋ
@user-qi7di8ex8g
@user-qi7di8ex8g 2 жыл бұрын
@@lemonwaterr 앜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x7bi8wu8h
@user-wx7bi8wu8h 2 жыл бұрын
마법부에 의해 삭제 되었을겁니다 나왔는데 삭제 되고 본 사람들의 기억을 삭제 시킨 뭐 그런 이야기
@user-ot5jg1jj7n
@user-ot5jg1jj7n Жыл бұрын
짧은 시간이였어도 그 순간순간 엄청나게 집중하여 이해할려했고 감명깊게 봤던거 같습니다 ㅎㅎ
@kiana-ti2id
@kiana-ti2id 2 жыл бұрын
저긴 시뮬레이션 가상의 세계고, 프로그램의 본질을 파악해버려 버그 프로그램이 된 게 아닐까. 그래서 잡으러 오는 거고. (매트릭스처럼)
@chun666
@chun666 2 жыл бұрын
옮겨진 것이 나타난 장소가 반드시 평화롭고 안전해 보이는 숲이란 법도 없다. 그리 적당한 높이에 나타날 거라는 건 더욱 그렇고. 산산히 흩어져 떨어지는 카드, 깨졌던 접시 장면은 그들의 순간이동은 매우 비관적인 상황일 거라고 암시하는 게 아닐까. 설령 안전한 곳으로 순간이동을 성공했다 하더라도 뒤쫓는 '존재'들은 분명 추적해 갈 것이다. 주인공이 마법을 쓰는 순간 즉시 알아채고 즉시 나타날 수 있다는 건, 전지와 편재 능력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전지와 편재 능력을 가진 존재로부터 벗어날 방법은 없다.
@veryveryverylongso9090
@veryveryverylongso9090 2 жыл бұрын
편재가 뜻이 두 개가 있는데 둘이 정반대야...
@solitaire083
@solitaire083 2 жыл бұрын
와 엄청나게 발달된 과학은 마법과 같다라는 문구를 어디서 본거 같은데 그걸 영화화한거네요 음 진지하게 생각해보면 머리로 암산으로 좌표랑 연산식 이런거 계산해야되니깐 마법을 배우려면 역시 이과를 가야되네요 ㅎ
@umt8025
@umt8025 2 жыл бұрын
마블 영화 토르에 나오는 대사죠
@user-be9nw2hd4u
@user-be9nw2hd4u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사실 컴퓨터 속 세계라면 저런 마법이란 명령어를 사용하는 게 아닐까? 혹은 해킹이나 하지만 사람들은 알 수 없는 것인거지
@Link_0320
@Link_0320 2 жыл бұрын
@@user-be9nw2hd4u 일본 애니메이션중에 소드아트온라인의 최근에나온 시즌에서 비슷한 내용이나옵니다. 고도의 ai들을 이용해 하나의 세상을 만들었고 ai들은 신성술이라고 부르는마법을쓰는데 그게 시스템 커멘드였다~ 라는식으로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2 жыл бұрын
그거 영국의 SCI-FI (SF)계의 거장 '아서 클라크'가 한 말. (과학 제3법칙)
@rata6601
@rata6601 2 жыл бұрын
충분히 발달한 과학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 - 아서 클라크
@north7star
@north7star 2 жыл бұрын
아 난 다르게 해석 했는데 지금 세상은 컴퓨터 프로그램이고 마침 저 과학자가 생각하던 프로그램이 가상세계를 만든 프로그램과 똑같았고 같은 프로그램이니 머리속으로 코드를 짜면 가상세계에 간섭할수 있는 능력이 생겨서 이 버그를 처리 하기 위해 개발자들이 백신프로그램이거나 직접 처리하러 오는거라고 생각했음 실제 마법일줄이야
@user-ux6hu9xq7r
@user-ux6hu9xq7r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생각 들엇슴. 이 가상 세계에 대한 통찰력이 생겨서 뭔가 컨트롤 할 수 있게되어버린
@user-sy4uh5bn8r
@user-sy4uh5bn8r 2 жыл бұрын
부처교리랑 비슷한가? 반야심경처럼?
@user-ll8fz2el4v
@user-ll8fz2el4v 2 жыл бұрын
@@user-ux6hu9xq7r 그건 매트릭스고
@hirugohangtabeta
@hirugohangtabeta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숙련된 마법사라는건 유튜버가 한 얘기고 막힌 문도 못 뚫는게 마법산가 생각이 들었는데
@tangmung
@tangmung 2 жыл бұрын
해골병사는 던전을 지키지 못했다
@user-vn3mp7bl4f
@user-vn3mp7bl4f Жыл бұрын
사실 과학이란게 불가능한 상황이라도 여러번 관측되고 당위법칙에 의해 지배되기만 한다면 인정될수 있어서 마법같은 경우에도 같은 주문을 외우는것으로 같은 마법이 일어나면 과학으로서 취급될수 있는거임
@seokhunyoon8700
@seokhunyoon8700 2 жыл бұрын
4:45 에서 자신들이 만들려던 프로그램 같다고 하는거 봐선 이 세계가 프로그램과 다를거 없다는 뜻이 아닐까요?
@happy_sheep
@happy_sheep 2 жыл бұрын
낭비와 낭만이 한끗차이이듯이 과학과 마법도 한끗차이라는 직감이 강하게 오는 영상이었네요... 잘 봤습니당 :)
@user-kk7we5zi5t
@user-kk7we5zi5t 2 жыл бұрын
양이 귀엽누
@ttangkboy
@ttangkboy 2 жыл бұрын
@@user-kk7we5zi5t 프사보고하는소리임?
@kerux7
@kerux7 2 жыл бұрын
충분히 발달한 과학은 마법과 구분할 수 없다는 말도 있죠 ㅎ
@me.l1
@me.l1 2 жыл бұрын
로아 ?
@01038
@01038 2 жыл бұрын
@@kerux7 영화 토르에 나오는 아스가르드의 과학처럼요?
@pppmmm1122
@pppmmm1122 Жыл бұрын
마법이라기보다는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사실 극중 본인들이 연구를 하고 있던 홀로그램?(또는 어떠한 시뮬레이션?)속 세계였던거고 마지막에 주인공을 잡으러 오는 인물들은 그 세계를 프로그래밍한 관리자 혹은 개발자들 인듯. 시뮬레이션 속의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하는 법을 깨우쳐서 제거하러 왔던것
@pppmmm1122
@pppmmm1122 Жыл бұрын
그냥 영상을 보며 제가 본 저만의 의견입니다 😂
@user-hq3rm5zi1k
@user-hq3rm5zi1k Жыл бұрын
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네요😮😊
@paekids
@paekids 2 жыл бұрын
몰래 잡으러 오는게 합리적이지. 친절하게 전화번호까지 알아서 전화해서 경고를 하는걸로 봐서 마법사들은 아닌것 같고 데이터베이스에 접근가능한 관리자들 같음.
@_valman
@_valman Ай бұрын
마법사들은 문과였음. 합리적인것 보단 스토리적인걸 좋아함.
@user-kj4ml2ew4n
@user-kj4ml2ew4n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gheykr
@gheykr 2 жыл бұрын
엠터님 재밌게보구갑니다 응원하구있어요
@ISEKAI_Truck-Driver
@ISEKAI_Truck-Driver 2 жыл бұрын
문을 치던 닥터스트레인지 "어...이런. 올바른 힘의 사용법을 알려주려했건만...가버렸나?"
@user-rg6fd6zd8f
@user-rg6fd6zd8f 2 жыл бұрын
ㅇㄴ ㅋㅋㅋㅋ
@Dear_Bloom
@Dear_Bloom 2 жыл бұрын
어우 이건 장편 영화로 만들어줫으면 좋겠다 되게 매력적임 소재도 그렇고
@user-pp6mg4fq6m
@user-pp6mg4fq6m 2 жыл бұрын
장편 영화는 모든상상력의 집합체로 제가 별로 상상할거릴 만들질못했는데 단편 영화들은 상상할 여지를 많이 주는것같아요. 다른 단편들 역시 마찬가지고요
@user-tp2er9zd4g
@user-tp2er9zd4g 2 жыл бұрын
와...이번 영화는 공포도 재미도 아닌 진짜 스릴넘치는 영화였네요
@user-cj2lc2mn4k
@user-cj2lc2mn4k 2 жыл бұрын
와... 재밌게 보고갑니다.
@user-ky5yz5nu6l
@user-ky5yz5nu6l 2 жыл бұрын
신기하고 재미있게 봤네요! 시리즈물 나오면 좋을것 같아요! ^^
@joboxer1115
@joboxer1115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 보겠습니다
@jakeen6111
@jakeen6111 2 жыл бұрын
조복님이 여기에..
@Ddezi
@Ddezi 2 жыл бұрын
첨으로 무언가를 깨달으면 세상이 달리보인다는걸 느꼈을때 딱 이런 느낌이었어요 ㅎㅎ
@lazyguru20
@lazyguru20 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소잰데 단편이어서 그런지 결말이 쬐끔 아쉽네요 재밌게봤습니다!!
@MASTR_777
@MASTR_777 2 жыл бұрын
아이디어 쩐다...
@ht30
@ht30 2 жыл бұрын
와 알고리즘 프로그램 개발자, 이걸 갖고 마법에 적용시켰네요 대단합니다. 몰입감이 대단하네요.
@user-gn5wf9nu9n
@user-gn5wf9nu9n 2 жыл бұрын
오 쩔어;;;; 진짜 몰입도 지리네
@Herbivorist
@Herbivorist 2 жыл бұрын
극 후반에서 새로운 마법사의 출현에 감시자들이 통제 또는 섬멸하려 하는 것은 장편영화 '점퍼'와 비슷해 보이네요
@kyubokhan3937
@kyubokhan3937 2 жыл бұрын
80년대에 외국 대기업같은데서 마법과 초능력을 아직 미발견된 힘으로 생각해서 연구했죠
@user-sv4pb4id5n
@user-sv4pb4id5n 8 ай бұрын
정말 이런영화는 소재가 참신한거같음
@user-oi4km3yp8y
@user-oi4km3yp8y 2 жыл бұрын
항상 정주행 하구 있습니다! 근데 들으면 들을수록 엠터님... SNL 주현영 인턴기자 말투랑 똑같으세요😲
@user-cp9rk3gc6m
@user-cp9rk3gc6m 2 жыл бұрын
신선했다!!!!
@user-lt6yo4ix9x
@user-lt6yo4ix9x 2 жыл бұрын
1빠다... 와 다들 너무 수고했어요 오늘도 !
@iankang1246
@iankang1246 2 жыл бұрын
가장 현실적인 마법의 상상이네요
@hunhwang
@hunhwang 2 жыл бұрын
마치 오래전에 본 점퍼 라는 영화가 떠오르는 단편영화였네요. 저는 정말 재밌게 봤는데 흥행에 실패했는지 2편 소식은 아직도 나오지 않아서 안타깝지만 말이죠. 장편영화로 나오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영화 잘 보고 갑니다.
@user-pb9mv4nt6z
@user-pb9mv4nt6z Жыл бұрын
유튜브 오리지널에 후속작 나왔어요 impulse라고
@Tunapickle
@Tunapickle Жыл бұрын
동명의 원작소설이 있어요. 꽤나 베스트셀러였고 5권 있습니다. 유튜브 프리미엄의 임펄스도 4권이랑 같은 이름이고요.
@user-bc1re8sw4x
@user-bc1re8sw4x 2 жыл бұрын
마치 메트릭스를 보는듯한..좋다. .
@Gidalyeoss-eo
@Gidalyeoss-eo Жыл бұрын
역시 고도로 발달된 과학은 마법과 구분할 수 없다더니 고도로 발달하고 보니 마법을 부려도 과학같군요 ㅋㅋㅋ 마법이랑 3D모델링이랑 섞으니 진짜로 먼미래에는 AR이 아닌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을 과학처럼 느껴지는게 오묘해서 거 좋았습니다.
@채_정
@채_정 2 жыл бұрын
최근 보는데 재밌네요
@user-uy3bq7zx7d
@user-uy3bq7zx7d 2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과학의 발전은 필연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리적 한계 또한 인간의 몸으로 볼수있고 느낄수있고 이해할수있는 범주를 저는 과학이라 생각하구요. 과학의 발전의 계기는 우연일지언정 그 우연은 필연에서 부터 발현된 거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뉴턴이 사과를 떨어지는걸 보고 무언가 깨닫지 못햇더라도 그 시각 뉴턴의 라이벌들또한 뉴턴이 생각하는걸 열심히 연구중이엿을테고 누군가는 중력의 차이나 아인슈타인처럼 중력은 축에 의한 지배를 받지않는다는 사실들 같은것 어느것하나 우연처럼 보이지만 누군가가 몰두 하고 파고들면 들수록 인간의 한계에서 부딪히는 물리적 한계를 이해하기위한 행동임으로 과학의 발전은 필연이라고 생각해봅니다 ! 또한 프로그램이나 화학들마저도 마찬가지인듯 보여요. 그것들도 마치 굉장한 지혜의 산물처럼 보이지만 이미 지구상에 존재했던것들이엇죠. 차마 이해하지 못햇던것은 지혜의 한계에 도전한 인간이 그 시점에선 없엇다는 것... 시간은 상대성이라고 하죠? 어떠한 일의 계기가 일어 나는것도 상대성이론으로 설명이 충분히 가능하겟죠 ㅎㅎ 그저 누군가가 성장하고 지혜를 갖추며 그 일을 목격하기까지의 확률 .. 그 확률들은 몇분의 1 이 아닌 점진적으로 나아간 행동의 결과물일지 모릅니다. 뉴턴으로 예를들자면 누군가는 떨어지는걸 목격하며 왜 떨어졋냐 의문을 던졋을것이고 그 의문에서 떨어진걸 왜 궁금해할까 오히려 떨어짐의 현상이란것을 정의 해볼수 있지 않을까 그 정의를 확실한 계산으로 나타낼수 있지않을까 라는 점진적이 집약들이 과학을 만들엇다고 봅니다. 결국 어떠한 시점에서 깨닫게 됫을때 우린 그걸 "우연" 이라고 부르죠.
@user-xc9tl9lo6v
@user-xc9tl9lo6v Жыл бұрын
루시처럼 뇌의 용량을 더욱 쓰게되면서 일어난 현상 같기도 하네요
@user-sl4jh9xh1f
@user-sl4jh9xh1f 2 жыл бұрын
마법이라기보단 시물레이션론에 대한 이야기같아 보이네요 벤을 찾아온 사람들은 아마 프로그램 제작자가 보낸거겠죠
@ligmajohnson6082
@ligmajohnson6082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런것 같네요 저 찾아온 요원은 매트릭스의 스미스요원 같아요
@jamesy9279
@jamesy9279 2 жыл бұрын
Awesome. 😎👍
@SEGIMOTH
@SEGIMOTH 2 жыл бұрын
요즘 차원에 관심생겨서 차원에 관련해 해석하자면 3차원의 인간이 4차원, 5차원을 볼 수 있게된 느낌이 아닐까... 시공간의 새로운 방향이 보여 시간과 공간을 마음대로 하고, 고차원의 사람이 이걸 알아차리고 막으려 한거고... 몰라 그냥 신기하다...
@OcOcOc
@OcOcOc Жыл бұрын
음... 지나가다 댓글 남깁니다. 인간은 3차원공간에 사는게 아닌, 3차원공간+시간축까지 해서 4차원공간에 살아가고있습니다. 1차원은 점, 2차원은 면, 3차원은 공간. 만약 사람이 3차원에 살고있다면 같은 좌표에 갔을 경우, 그 어떤 상황이더라도 마주쳐야하지만, 시간의 흐름이 있기 때문에 x y z가 전부 같은 좌표에 있더라도 4번째 축인 시간축에 의해 마주치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거죠. 물론 모든 4차원이 x y z축 + 시간축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 우리 사람들이 살아가는 차원은 해당 축들로 이루어진 4차원입니다. 그냥... 지나가다가 댓글남겨봤어요. 사실 이게 그닥 중요하지 않기도하죠
@Gidalyeoss-eo
@Gidalyeoss-eo Жыл бұрын
다시보니 양자역학도 과학인데 저런 마법같은 현상도 그 현상을 발견하고 밝혀내면 그것 또한 과학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단지 기존의 물리법칙을 수정하거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처럼 과학에 숨겨져있던 진짜 원리를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될지도 모르고요. 이렇게 생각하다보니 마법이라고 느끼게 되는 부분과 과학이라고 느끼게 되는 부분의 차이는 고도의 기술장비를 통해 구현했는가? 아니면 인력으로 구현했는가 인 것 같습니다.
@user-fw3qj3kp2d
@user-fw3qj3kp2d 2 жыл бұрын
이것은 찾아보고 싶은 정도네요
@user-eh4nm1lz7q
@user-eh4nm1lz7q 2 жыл бұрын
아 재현평가 하는거 내 업무같아서ㅜ눈물이 ㅜㅜㅜ
@user-xd2kg3fb6w
@user-xd2kg3fb6w 2 жыл бұрын
'디' 어댑트 ㅋㅋㅋㅋ 전 이과인가요 문과인가요😻🐶🎉🤩
@brians2192
@brians2192 2 жыл бұрын
이 단편으로 나올수 있는 장편은 크게 두가지 스토리네요. 하나는 마법을 다루는 환타지 계열 영화겠죠. 판타지라도 좀더 과학과 접목한 판타지 계열? 그리고 다른 하나는 매트릭스 계열이죠. 현실이 아닌 시뮬레이션에 직접 영향을 미칠수 있는 네오계열의 초능력자들을 다룬 영화
@user-ck3jw4bp2l
@user-ck3jw4bp2l 2 жыл бұрын
니콜라스케이지 주연 마법사의 제자! 이영화 이론이 마법사로 타고난 사람들은 과학 공부안해도 그냥 너무쉽게 다이해되고 만점받는다는 요 단편영화처럼 원리를 깨달으면 활용하게되는것이 마법이라는 설정 ㅎ 그리고 말씀대로 매트릭스 처럼 이세상도 결국 프로그래밍 둘중하나로 만들수있겠네요 ^^
@_Teemo
@_Teemo 2 жыл бұрын
주인공 능력이 훨씬 우월하네!! 전화한 사람은 문도 못 부수는데
@billykim7179
@billykim7179 2 жыл бұрын
scp 같은 느낌의 영화네요ㅋㅋㅋ 잘봤습니다
@nosferatuakad6660
@nosferatuakad6660 2 жыл бұрын
과학을 이해할수 없는 경지를 넘어서는 순간 마법이라고 봐야겠지요
@chairshot
@chairshot 2 жыл бұрын
존재하고있잖아여. 우주 ㅎㅎㅎ
@wizardevorp
@wizardevorp Жыл бұрын
좋네요
@user-kd7ol9bn9j
@user-kd7ol9bn9j Жыл бұрын
5:23초 일론머스큰줄
@user-zz1op2fo2l
@user-zz1op2fo2l 2 жыл бұрын
아 재밌네여
@justinkim8856
@justinkim8856 Жыл бұрын
4:44 i think we dont know what we’re messing with here 이므로 놓치고 있다가 아닌 뭘 다루고 있는지, 뭘로 장난치는지 등 “miss”가 아닌 “mess with”로 해석해야 옳습니다
@last.stardust
@last.stardust Жыл бұрын
우주가 잘만들어진 시뮬레이션이라는 이론도 있던데 거기에 걸맞는 주제인거같네요
@joonbong_
@joonbong_ 2 жыл бұрын
고도로 발달된 과학은 마법과 구분할 수 없다 라고 하죠
@user-bj5tx3cd8c
@user-bj5tx3cd8c 2 жыл бұрын
저는 귀신,영혼도 결국 인간이 무지해서 만들어내는 환상이라고 생각해요. 원시인들이 천둥번개가치면 신이 노하셨다. 비가 내리면 신이 축복을 내린다라고 생각했을것처럼 지금 시대의 귀신의 등장으로 치부되는 미스테리한 일들은 미래에 과학으로 다 풀릴 일들이라 생각합니다
@user-zk9bg9bt6v
@user-zk9bg9bt6v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라 카드를 먼저 빼내지 못해서 밴과 매기가 아닌 다른 공간에 있던 카드가 있는 장소로 이동한 매디와 벤 대신 카드가 나가서 밴과 매디는 못나가고 카드만 나간 새드엔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Dotorimook
@Dotorimook 2 жыл бұрын
이거 재밌다 ㅋㅋ
@user-ci6xo8xw1e
@user-ci6xo8xw1e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카드가 처음에 사라졋던 카드고 저 엔딩은 그들이 카드가 되서 사라졋다랑 저카드처럼 이동에 성공했다로 해석할수있지않을까요..?
@cm-rp2ot
@cm-rp2ot 2 жыл бұрын
신박하다 이거 장편으로 나오면 대박날듯 어벤져스 능력 저리가라네
@Hodu11811
@Hodu11811 Жыл бұрын
어려운 게임이나 복잡한 일을 성공적으로 진행중일때 "이걸 어떻게 하고 있는거지?" 하면 바로 망쳐버리는 것처럼 무의식중에 기적을 일으켰네요 ㅋㅋㅋ
@calm7143
@calm7143 2 жыл бұрын
경계하고 감시하는 마법사들은 왜 고작 문하나를 넘지 못했나.. 바로 주인공 앞으로 이동하지 못했나.. 아쉬운 짤막한 틈새 ㅎㅎ
@gheykr
@gheykr 2 жыл бұрын
오 정말 그렇네요👍🏻
@user-te5un8by5t
@user-te5un8by5t 2 жыл бұрын
마법을 깨닫은 주인공이 자신이 있는 공간을 다른 마법사들이 침입 못하도록 집을 방어하고 있는게 아닐까요? 주인공과 적들은 마법으로 싸우고 있는데 그걸 시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문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연출을 보여줬을것 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calm7143
@calm7143 2 жыл бұрын
@@user-te5un8by5t 오.. 새로운 시각이네요
@user-te6gj8hp1n
@user-te6gj8hp1n 2 жыл бұрын
친절하게 잡으로간다고 전화까지 해줌...
@ioigido821
@ioigido821 2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은 파동의 진동수에 의한 결정체들이 모여 눈에 보이는 물체를 이룬 현상들이다. 그 파동들은 빛의 색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내 몸의 밝은 붉은 색을 상상하면 내 몸은 불의 따뜻함을 느끼게 되고 그 깊이가 깊어지면 마음의 진동수와 내몸의 진동수는 불의 따뜻한 파장의 진동수와 닮아가려한다. 이때 나는 몸이 정말 따뜻해진다. 이 훈련을 잘못하면 매우 큰 부작용을 일으켜 폐인이 될 수있다 그래서 옛부터 이런 수련법은 마음을 잘 조율할 수 있는 기본적 인격수양에 중점두고 마음공부를 하게 하였다 이 힘을 악용하려 하거나 자신의 욕심을 채우는데 사용하려하면 그 힘을 가져가 버리며 그 사람은 폐인이 된다.. 또는 단명하거나..
@user-tp5rb7ug6m
@user-tp5rb7ug6m Жыл бұрын
그냥 플라시보효과야 무슨 인간 레이저세요
@alreadydidthat
@alreadydidthat 2 жыл бұрын
전 마지막 장면에서 카드 나오는거 보고 어? 사람이 카드가 됬나? 죽었나? 생각했는데 아니었나보네요
@JJuni2021
@JJuni2021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과입니다 마법이라니!! 과학적으로 생각해!
@nolboo_korea
@nolboo_korea 2 жыл бұрын
7:30 고층 빌딩에 있던 남자가 이동시킨 카드가 공중에서 떨어지듯 두사람도 공중에서 나타나 추락사 했을듯 아마 빌딩 높이에서💖
@IfKnewEarlier
@IfKnewEarlier 2 жыл бұрын
고도로 발전한 과학은 마법과 같다
@chu8
@chu8 2 жыл бұрын
현대의 스마트폰 들고 100년전으로 돌아가면 그건 분명 마법으로 보일거임. "Any sufficiently advanced technology is indistinguishable from magic." "충분히 발전된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영화에 나왔던 "마법" 도 결국 이미 완성된 기술을 기반으로 가능한 일이였거나, 언젠간 과학적인 설명과 기술로서의 발전이 있을 하나의 범우주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함. 따지고 보면 당연한게, 마법이라는건 초자연적 현상?눙력? 비스무리 한건데, 인간의 지식 범주에서 벗어나 있을법한 그 무언가를 상상력으로 만들어낸 컨셉일뿐, 결국 수많은 실험과 분석을 거쳐서 인간의 지식 범주 안에 자리 잡는 순간, 지금은 없다는걸 상상하기가 더 힘들 정도로 우리 생활에 스며들은 인터넷/스마트폰과 같이 자연적인 그 무언가가 되버림. 우리의 먼 조상이 불을 발견했을때도 마법이라고 생각했겠지.
@DTBpower
@DTBpower 2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걸 길게도 써놧네
@EUNAEUNADA
@EUNAEUNADA 2 жыл бұрын
판타지소설의 문제점이 요기있넹
@user-rg6fd6zd8f
@user-rg6fd6zd8f 2 жыл бұрын
@@DTBpower 걍 맨 위 문단만 봐도 됨 귀찮으면 ㄹㅇㅋㅋ
@projectkjh0
@projectkjh0 2 жыл бұрын
@@EUNAEUNADA ±
@yoonhosung7358
@yoonhosung7358 2 жыл бұрын
더똑똑해보이고 싶으면 인용문 뒤에 아서C.클라크 붙이시면 되요
@user-kf7jz6mq5w
@user-kf7jz6mq5w 2 жыл бұрын
이과놈들 에서 빵터졌넼ㅋㅋㅋㅋ
@pdrse
@pdrse 2 жыл бұрын
아니 난 주연 남녀가 카드로 변해버린줄 알았는뎅 휴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Жыл бұрын
매기역 맡은분이 아시안(아마 중국계?)계 미국인이신데 오래전부터 여기 저기 조연으로 자주 나왔습니다
@user-ws2uw2rf9e
@user-ws2uw2rf9e Жыл бұрын
작가 진짜 천재적이네
@Myurad
@Myurad 2 жыл бұрын
과학에는 항상 위험과 희생이 뒤따르지 ㅋㅋㅋ 마법은 그저 다른 색상의 전철일뿐이양~
@user-tv9mp9dy1q
@user-tv9mp9dy1q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모든 마술사들이 마법을 부린다는걸 보여주는 영화네요
@MyGomdi
@MyGomdi 2 жыл бұрын
이미 마블 캐릭터에 다 있는 내용이네요 ㅎㅎ 좀 더 일상적으로 풀어낸 듯
@user-ux5eq1kd4e
@user-ux5eq1kd4e 2 жыл бұрын
먼가 점프랑 비슷한 느낌적인 느낌의 영화엿네요ㅎㅎ
@Legend-Philosopher
@Legend-Philosopher Жыл бұрын
나도 양자역학과 빛에 대한 물리학을 조금 이해했을 때 뇌와 눈 그리고 여러 감각이 격변한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세상을 보는 관점이 늘어났다.
@user-rl8ss8pg2f
@user-rl8ss8pg2f 2 жыл бұрын
snl 주현영 기자 같아서 웰케 웃긴자 모르겟네요 ㅋㅋㅋ 잼있네요 ㅋㅋㅋ
@user-uj9zw6oz1n
@user-uj9zw6oz1n 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재밌고 숨막힌다 스릴러같아..
@barryallen7910
@barryallen7910 Жыл бұрын
어? 여자분 시간여행자에 나온 배우님이당ㅎㅎ
@user-xp2ps6hb6f
@user-xp2ps6hb6f Жыл бұрын
근데 이만큼 과학이 발전했단거...ㄷㄷ.. 진짜 이걸 옛날에 봤음 걍 마법인데..뭔 과학.. 이랬을거 같은데 지금보니까 과학으로 마법 부리는 느낌..?
@gomdorij3213
@gomdorij3213 Жыл бұрын
메트릭스 안에서 자각한 사람들이군요 ^^*
@Bamhaa
@Bamhaa Жыл бұрын
이거 드라마 만들어도 재밌겠는데
@user-mj4sv1fw3m
@user-mj4sv1fw3m 2 жыл бұрын
마법이 실존한다면 그것 또한 물리의 한 분야입니다..마역학이나 마법역학으로 이름이 붙여지겠네요
@user-jh1jf5nb2z
@user-jh1jf5nb2z 2 жыл бұрын
그러넹 마법이 실존해도 결국엔 그건 세상에 존재하는 과학적인 현상인 거니까
@user-mj4sv1fw3m
@user-mj4sv1fw3m 2 жыл бұрын
근데 사실 마법역학이라고 이름붙여질 가능성은 희박함 거의 없다고 봐도 됨 마법의 정의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답이 나옴
@user-mj4sv1fw3m
@user-mj4sv1fw3m 2 жыл бұрын
사실 전자기학이 마법이나 다름이 없죠
@importent_is_keep_your_mind
@importent_is_keep_your_mind 2 жыл бұрын
그들의 이야기가 궁금해지네요.
@RocoLapin
@RocoLapin 2 жыл бұрын
처음 멍개와 해삼을 먹은 사람처럼 도전이 발전을 가져오는거겠죠?
@TheSun02
@TheSun02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카드가 나타난걸 보고 그냥 저 두사람이 카드로 변하면서 이동한건가 했는데 카드가 다른곳으로 무사히 이동했으니 그 두사람도 무사히 이동했을걸 암시하는거였네요 ㅋㅋㅋㅋㅋ 카드로 변한줄 알고 좀 허무했었음 ㅋㅋㅋ
@user-xl3ii8hd2b
@user-xl3ii8hd2b 2 жыл бұрын
주인공 모두 시물레이션 속 ai들이고 그걸 스스로 깨우치기 직전에 시스템에서 삭제하러오는것 같아요
@majina1782
@majina1782 2 жыл бұрын
저랑 똑같은 생각 하셨네요 ! ㅋㅋ
@iwpark8926
@iwpark8926 2 жыл бұрын
메트릭스....
@user-vi3oo9qe4c
@user-vi3oo9qe4c Жыл бұрын
이건 마치 가상 세계 속에서 프로그래밍 된 케릭터들이 자의식을 가지게 되면서 발생하는 내용으로도 보입니다.
@Samuel-qs2eu
@Samuel-qs2eu Жыл бұрын
프리 가이
@shelter9747
@shelter9747 2 жыл бұрын
진짜 장편이면 좋겠다
@Topaz753
@Topaz753 Жыл бұрын
미발견되었다가 드디어 발견된 힘과 그걸 관측하고 통제하는 행동의 모습이군요.
@user-bt3kn4vv2h
@user-bt3kn4vv2h Жыл бұрын
홀로그램, 시뮬레이션 우주설이 맞고 그걸 통제가능하게 된다면 이런 느낌일 것 같네요.
@user-uf8nt4wu3l
@user-uf8nt4wu3l Жыл бұрын
잼있네 상당히
@ark_ham
@ark_ham 2 жыл бұрын
"고도로 발전한 과학은 마법과 같다"
@user-qf6if1ro6w
@user-qf6if1ro6w 2 жыл бұрын
마법사와 제자 같네 과학은 결국 마법이라던 발타자르 ㅋㅋㅋㅋ
@bradleysbullm1673
@bradleysbullm1673 2 жыл бұрын
근데 생각해 보면 마법사들도 자기 세계관에서는 나름 과학자 아닌가? 마법의 법칙이 거기서는 뉴턴이나 케플러가 정리한 이론일 테니깐
@minjae92
@minjae92 2 жыл бұрын
과학자가 아니라 사제임. 애초에 마법이란 믿음에 근간을 두고있어서... 이거 이해하면 당신도 탁상머리 마법사
@s740713p
@s740713p 2 жыл бұрын
영화 컨텍트같은 논리인가... 인류가 외계인의 언어를 익히면서 시간에 대한 개념을 새로 이해해서 4차원까지 자유자재로 다룰수 있게된 것이 이 영화에선 수학이란 언어로 물질과 공간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경치에 다다른것으로 그려졌네요
@user-rq1hx8vb2r
@user-rq1hx8vb2r 2 жыл бұрын
공중분해되서 없어진줄.........
영화가 끝난 뒤 주인공이 겪게 된 비극
11:32
엠터
Рет қаралды 340 М.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67 МЛН
Except for me, everyone is lying, Am I a fool?(gaslighting)
6:46
씨네포유 cine4u
Рет қаралды 577 М.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