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식 자본주의? 특이했던 러시아의 경제발전!

  Рет қаралды 18,309

함께하는 세계사

함께하는 세계사

24 күн бұрын

#역사 #세계사
참고자료
Hirschhausen, Ulrike von/Leonhard, Jörn: Empires. Eine globale Geschichte 1780-1920, München 2023
Owen, Thomas C.: Capitalism and Politics in Russia. A Social History of the Moscow Merchants 1855-1905, Cambridge 1981.

Пікірлер: 81
@jks9110
@jks9110 22 күн бұрын
러시아식 관치 경제개발이 한국에서도 낯설지 않은 이유가, 소련식 경제개발에 영향을 받은 나라 중 하나가 바로 만주국이기 때문.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서 한국의 유신독재를 펼치는 박정희도 이러한 만주식, 더 나아가서 소련식 관치경제개발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었고 실제로 그걸 바탕으로5개년 경제개발 계획을 수립하면서 현실로 이루어낸게 한강의 기적의 뒷배경. 괜히 박정희가 광복직후 남로당에 가입한게 아니었음.
@user-hw3rd4ob1e
@user-hw3rd4ob1e 22 күн бұрын
만주 모던!
@user-ne1hq3gk9y
@user-ne1hq3gk9y 22 күн бұрын
경제적 민족주의 보자마자 박정희 생각났는데 이글보니까 이해가가네요
@j-zu2cq
@j-zu2cq 22 күн бұрын
현재진행형이죠. 트위치 구글맵 애플페이 아마존 우버 이런 세계적인 글로벌 플랫폼이 이러저러한 규제로 국내산 대기업 네이버카카오로 대체 되어있는 현상도 경제적민족주의의 연장선에 있는 현상이죠
@nmds1254
@nmds1254 22 күн бұрын
만주국이 일본이 아니라 소련식 경제 개발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게 흥미로운데 그 배경은 어떻게 된나요
@jks9110
@jks9110 22 күн бұрын
@@nmds1254 소련 건국 이후 사반세기 가량은 시대상이 그런게 세계적 유행이었습니다. 당시 광복 직후의 한국과 공산국가들 뿐 아니라 중화민국의 장제스, 인도의 네루 등을 비롯한 수많은 신생국가들이 겉으로만 자본주의고 민주주의지 사실상 소련식 관치경제로 국가를 굴렸었습니다. 그나마 현재 한국과 대만은 선진국 반열이라도 왔지만, 인도는 한국과 대만에 비해 관치경제 수준이 너무나도 무능했어서서 실패하고 지금 중국과 비슷한 인구수로 중국 경제규모의 반의반도 안되는게 현실입니다. 그리고 만주국이 소련과 실제로 지리적으로 접한 물리적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고요.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22 күн бұрын
농노제 폐지 주장하다가, 나중에 입장 바꾼거 보면 드라마 송곳 "서는데가 달라지면 풍경도 달라진다"가 떠오르네요
@jiwonmoon9083
@jiwonmoon9083 22 күн бұрын
타고난 자본가 느낌이 드네요 아주 훌륭하게 사업했을거 같습니다 수단 방법 안가리고 ㅋㅋ 그러니 저정도 대성했겠죠.
@user-zu5or3sk3y
@user-zu5or3sk3y 22 күн бұрын
와... 이때까지 본 영상들 중 가장 정확하고 구체적인 최고의 영상이였습니다. 이해하기도 쉽고 알기 힘든 내용을 이렇게 깊고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다니... 고맙습니다.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22 күн бұрын
스탈린의 대숙청에 대한 수정주의 재평가 주장 논리가 있다고 들었는데 언젠가 제대로 한 번 다뤄주시지 않겠습니까?
@historytogether
@historytogether 22 күн бұрын
재미있는 주제입니다. 나중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do3in7ip8l
@user-do3in7ip8l 19 күн бұрын
​​@@historytogether선생님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도 해주십시오 시베리아에 어떤 민족이 살았고 러시아는 시베리아에 어떻게 가게 되었는지 등등 부탁드립니다.
@user-fe1oz2xf8y
@user-fe1oz2xf8y 14 күн бұрын
혹시 독일 역사가 논쟁도 한번 다뤄주시면 안될까요?
@Soso-th8dj
@Soso-th8dj 22 күн бұрын
피셔 논쟁에 대해서 한 번 다루어주셨으면 합니다! 우연히 피셔논쟁을 알게 되었는데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더라고요.
@ptahoteff
@ptahoteff 22 күн бұрын
야쿤치코프의 생각은 오늘날 제 3세계 발전에 참고하기 위해 다시 연구할 가치가 충분합니다. 2차 대전 이후 개도국들이 빼박은 것 마냥 저마다 따라하는 방식이 외자 유치. 그런데 결과는? 그러나 야쿤치코프처럼 자국 사회 내의 자생적인 민생 경제 방식을 경제 체제로 삼고, 서구의 발전 과정을 단지 참고만 하는 것으로 절제하면 적합할 것.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 방식 자체가 그 증거. 이 입지전 중의 입지전으로 성공한 야쿤치코프 싸장님~ 에 대한 책 추천 좀...
@NangmanCatz
@NangmanCatz 18 күн бұрын
오 요즘 딱 관심있던 주제였는데 ㅎㅎ
@jiwonmoon9083
@jiwonmoon9083 22 күн бұрын
아 그리고 러시아에 투입된 프랑스 자본은 경제적 이윤창출의 목적도 있었지만 특히 1894년 이후에는 러시아의 대 독일 방향 철도를 건설하는데 집중 투입 됩니다. 프랑스는 독일의 위협을 러시아의 동원시간표를 최대한 줄여서 아주 빠르게 양면전을 강요하는 형태로 낮추려고 했죠. 러시아가 과거의 낙후된 상태에 머무르지 않고 발달한 철도를 바탕으로 훨씬 빠르게 독일 동부국경을 압박할 수 있다면 전쟁이 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나더라도 승리 할 수 있다고 사고 한 겁니다. 이런 목적이 있었기에 영국과 다르게 프랑스는 러시아에 집중 투자 했고 그리고 그 결과 1917년 혁명으로 그 투자금을 모두 날려 먹습니다. 볼셰비키가 집권하고 거의 제일 먼저 나온 조치가 외국 차관 안 갚겠다는 선언 이였거든요. 러시아의 이런 디폴트의 역사가 지적된게 1998년 이였습니다. 당시 LTCM이라고 무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참여하고 있던 미국의 투자집단이 러시아가 절대 디폴트를 할리가 없다라는 전제를 깔고 대규모 레버리지 투자를 하다가 결국 파산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LTCM에서 수학자 및 경제학자들은 금융모델상 러시아가 디폴트나 모라토리엄 선언을 할리가 없다고 내부 평가하고 엄청난 베팅을 했습니다. 근데 일부 역사를 아는 사람들은 이미 러시아가 디폴트의 역사가 있음을 경고 했죠. 경제적 합리성으로 평가해서는 러시아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고. 그러나 너무나 천재와 수재들이 모인 금융공학 팀에게 그런 불합리한 사고를 러시아가 할리가 없다는 확신이 있었고 결국 계속 밀고나가다가 러시아가 모라토리엄 선언하면서 파산하고 말았습니다. 이게 아마 08년 리만브라더스 파산이전 최대 규모의 금융기관 파신이였을 겁니다. 당시 그리스펀 연준의장이 즉각 개입해서 문제가 아주 커지지 않았고 우리나라는 97년 외환위기에 이미 반쯤 시체 상태라 별 생각 없이 넘어갔지만요
@user-bo7nw2dw6f
@user-bo7nw2dw6f 22 күн бұрын
러시아의 지정학적인 특성상 배째라 시전해도 국제 사회가 할 수 있는게 적죠.
@user-st2on6xu1j
@user-st2on6xu1j 1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97년 외환위기로 망한상태라 08년도 리만브라더스사태때 별일없이 넘어갔다는 기적의 논리 잘봤음ㅋㅋㅋ
@jiwonmoon9083
@jiwonmoon9083 16 күн бұрын
@@user-st2on6xu1j 리만사태랑 LTCM파산을 구분을 못하시나보네요 ㅎㅎ 상대적으로 잘 안알려져있으니 무식이 자랑은 아니에요
@user-st2on6xu1j
@user-st2on6xu1j 15 күн бұрын
​@@jiwonmoon9083대공황때 bank of united states 은행파산은 모르나보네ㅋㅋㅋ 그이후에 금융기관 만개 가까이 파산했는데 무식한건 자랑이 아닙니다
@jojo7559
@jojo7559 22 күн бұрын
기회가 되시면 몽골-타타르의 멍애에 대해 다뤄주실 수 있나요?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22 күн бұрын
오, 구미가 당기는 질문이네요 필자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일부에선 킵차크 울루스에게 통치 당한걸 인민공화국 양반들 마냥 자기 역사라고 왜곡해서 가르친다는데 사실인지, 그리고 맥두나 두걸? 신 유라시아 주의를 외치는 양반과 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user-od2dp8mz4i
@user-od2dp8mz4i 14 күн бұрын
훌륭한 분석입니다
@user-dz5pn9es4m
@user-dz5pn9es4m 22 күн бұрын
다이너마이트처럼 날아왔습니다
@Gkhhnmoan-om9tu
@Gkhhnmoan-om9tu 22 күн бұрын
재밌다아아아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22 күн бұрын
이야~ 오늘도 흥미로운 이야기네요 더욱이 러시아에 대해 이해할수 있으며 인류의 발전사의 여러 형태중 하나를 알고 가네요 러시아에서 소련으로 가는 길이 단순 제정과 극악한 빈부격차, 그리고 전쟁의 피로와 피의 일요일이 만든 일이라 생각했는데 이런 뒷 배경이 이런건 매우 흥미롭습니다😊
@jks9110
@jks9110 22 күн бұрын
야쿤치코프의 주장을 보면 최근 한국의 직구규제 이슈가 떠오르게 되네... 국외 경쟁자들에게 배타적인 국내 기업집단들의 요구는 세계 어디서나 보여지는 모습.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21 күн бұрын
구글맵 구글페이 애플맵 애플페이 아마존 우버트위치 등등 한국에서는 제대로 못 누리지 못하는 서비스들이 생각나네요. 물론 사과와 배 등 주요 작물의 수입도 검역 등을 이유로 사실상 불가능한 유서깊은 칼라파고스니까
@robertlewandowski7043
@robertlewandowski7043 16 күн бұрын
모든걸 우파정부랑 연결시키네 댓글상태 레전드네😂 그냥 윤석열이 싫다고해라😂
@Biitcoiinlover
@Biitcoiinlover 19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나라별로 시대별로 몰아보기 영상 편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국이랑 프랑스 역사 시간순으로 보고싶은데 영상 순서가 뒤죽박죽이어서 너무 힘드네요...
@user-es5vh9vy1f
@user-es5vh9vy1f 22 күн бұрын
저 어려운 러시아어를 혼자 독학하다니..
@szk25
@szk25 21 күн бұрын
나고 자란곳이 러시아라 이미 말하는법은 알고 그냥 거기에 글만 갖다 붙히는 거라 사실 그리 어렵진 않을듯
@user-fg8sy4zj5j
@user-fg8sy4zj5j 22 күн бұрын
러시아 혁명은 단순 자본주의 타도 같은 게 아닌 외국자본에 대한 반감도 커서 일어난 거군요.
@金起燦
@金起燦 22 күн бұрын
새영상 두가자~~
@jjangrymoomin762
@jjangrymoomin762 22 күн бұрын
누군가 그러더군요. 제국, 소련, 현재의 연방 이 세 체제동안 러시아는 사실상 국가자본주의 시스템이었다고요.
@el-uf3gu
@el-uf3gu 22 күн бұрын
과장 보태서 러시아사의 어떤 면은 전쟁 내지 팽창으로 인한 손해의 연속 같습니다. (약간 절대왕정 시기 스페인이 연상되기도)
@jhl5087
@jhl5087 22 күн бұрын
결국 이해당사자 입장에서 정책이 진행된 케이스군요. 그게 왜 필요한지는 관심없고
@fierwalt
@fierwalt 22 күн бұрын
확실히 자본주의의 후발주자들을 보면 선발주자들과는 관점의 차이가 큰거 같습니다.
@ricecooker3000
@ricecooker3000 22 күн бұрын
가만 보면 러시아인들의 피해망상적인 반 앵글로색슨 사고방식이 이해가 됩니다. 푸틴의 올리가르히 파견/자원 공격은 그 반격인 것 같기도 하고요
@jiwonmoon9083
@jiwonmoon9083 22 күн бұрын
원래 일반적으로 자유경쟁에 가깝게 두면 노동풍부국에선 노동의 임금이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나 증가하고 자본풍부국에선 임대료 및 이자가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스톨퍼-사뮤엘슨 법칙이 작동합니다. 러시아는 당시 프랑스 영국 등 상대적으로 훨씬 자본이 풍부했던 국가들의 영향력에 특히 프랑스의 정치적 군사적 요구가 맞물리면서 노출되어서 프랑스 자본이 급격하게 진출했고 이게 1894년 이루어 질 수 없을 거 처럼 보였던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배경이라고 하죠. 여튼 그렇기 때문에 자본 부족국에서의 자본가들은 정부등이 인위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면 결국 더 선진적인 자본풍부국의 자본과 경쟁하게 되고 그리고 구조적으로 패배하면서 외부 자본에 종속되는 결과가 발생하죠. 그것이 예외적으로 반대로 나타났던 곳이 선발지역으로 독일 그후 미국 그리고 다음 일본 다음 타자로 한국 대만 그리고 지금의 중국인데 다 국가의 개입으로 엄청난 혜택을 주면서 자본을 육성해서 지금의 자본풍부국 반열에 들어섰죠. 다만 한국 대만 같이 애초에 경제사이즈가 작은 지역은 몰아주기의 결과 굉장히 심한 정도의 경제력 집중이 나타나는데 그게 삼성이고 TSMC같은 기업입니다. 이 기업들은 지금 대 선구적 혜안을 지닌 위대한 기업가정신의 결과처럼 비추어지는데 이건희가 싸구려 창녀 두명사다가 오늘 두번했어 하면서 좋아하고 하는 모습을 보면 그런것도 있었지만 국가 발전을 위한 정관계 엘리트들이 의도적으로 만들어논 구조적 혜택에 덕을 크게 입은 거라고 보이는데 참 ㅋㅋ 지금은 뭐 그 재벌집아들인가 드라마에서 보이듯 완전히 신격화 되고 있는게 웃기긴 하네요. 그 아들이 방산 기업 팔아먹은 타이밍 보면 참 절묘한 마이너스 손이구나 라는게 크게 느껴지는데 역사란 자본으로 분식되는 그런 쌩얼인가 봅니다.
@woojonglee2599
@woojonglee2599 22 күн бұрын
진실을 말하면 호응이 적지요. 잘 봤습니다.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22 күн бұрын
국가가 될성부른 떡잎을 밀어줘서 살아남은 건 맞는데 그 될성부른 떡잎이 된 건 기업가의 능력임. 국가가 떠먹여줘도 그거 떠먹어서 내수시장 쓸어담고 국제경쟁력 키울 인재 하나 못 찾아서 헤매고 있는 나라가 세계 200여개 나라중에 150개는 넘는데..
@subuticho5014
@subuticho5014 21 күн бұрын
머릿속에만 있었지만 정리 안되었던 생각이 이렇게 글로 표현되니 기쁘네요. 많이 배웠습니다.
@user_k0m5s10
@user_k0m5s10 22 күн бұрын
1:09 저 동네는 정교회를 안 믿었나요?
@user-bo7nw2dw6f
@user-bo7nw2dw6f 22 күн бұрын
안 믿었다긴 보단 민속적인 종교가 강했던 지역이였습니다
@user_k0m5s10
@user_k0m5s10 21 күн бұрын
@@user-bo7nw2dw6f ㄱㅅㄱㅅ
@user-xx4ux8vp8w
@user-xx4ux8vp8w 17 күн бұрын
야쿤치코프
@matthewkim6955
@matthewkim6955 22 күн бұрын
박살난 경제는 러시아의 전통
@jaemyungkim5226
@jaemyungkim5226 2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무슨 찌끄러기 로씨야 이야기십니까! 위대한 소비예트 윤방의 전통이죠~😊
@szk25
@szk25 21 күн бұрын
박살난 경제, 미친듯한 부패, 불안정한 체제와 폭정 = 세계적 대문호의 탄생 ㅋㅋㅋ 유구한 전통
@seaname1
@seaname1 21 күн бұрын
7:00 대부분의 자본이 외국계라고? 그럼 공산혁명 자주 일어나던데? 아 최초발생지구나...
@someday2910
@someday2910 22 күн бұрын
러시아도 보면 서구 열강들에게 수도 없이 당하고 살아왔었구나. 나폴레옹과 히틀러에게 수천만명의 사람들이 싸우다 죽었고 힘을 기르기 시작한 후에도 영국과 미국으로 부터 외교적으로 고립되고 겁나 힘들게 나라 유지해 왔음. 가진게 많다 보니 타겟이 될 수 밖에 없어 보이기는 한다.
@Impossibility_Theorem
@Impossibility_Theorem 21 күн бұрын
개재밌네 진짜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22 күн бұрын
지금 영상 다시 보니 러우전쟁 중의 러시아가 떠오르기도 하는데 저만 그런가요?
@bratanlatma9603
@bratanlatma9603 22 күн бұрын
요새도 러시아 전쟁하면서 외국회사 다 쫓아내고 공장들 다 몰수하지 않았나요? 100년 전과 비슷하네요
@whiteRussss
@whiteRussss 13 күн бұрын
외국회사 쫓아낸게 아니라 스스로 나간거임 안나가면 서방이 압박해서 나가야만 하고 러시아가 외국 기업 몰수한거는 2023년 대통령 명령 부터라고 봐야함 반대로 지금은 서방이 우크라이나한테 기업 블랙리스트 삭제, 지원관련 시설 타격 금지 요구하고 다시 러시아 복귀 요청 중
@user-sw7jf5yr8l
@user-sw7jf5yr8l 22 күн бұрын
팽창주의 인권의 무시 시장경제에대한 국가의 개입 국가자본에 대한 독점의 문제 때문이였지 단순히 외국 자몬의 약탈 때문에 생긴 문제는 아님.. 도스토예프스키를 읽어보면 국가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한 이런 모순적인 사고관이 잘 나와 있음.. 뭐 아직도 러시아는 국가중심의 경제 시스템을 유지하니.. 그건 교육과 가치관의 차이 때문임
@seunghwanhong6061
@seunghwanhong6061 22 күн бұрын
러시아의 경제 발전은 타국에 민주주의에선 최악이다. 러시아는 그저 악의 축
@persono2
@persono2 22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 사회주의 비교도 아니고...민주주의?? 북한도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인디?? 역시 2찍 빈곤층들은 민주주의 할 소양이 없음
@subuticho5014
@subuticho5014 21 күн бұрын
스탈린의 소련이 나찌 주병력을 동부전선에서 삭제시키지 않았으면 미국은 나찌 히틀러 상대하느라 최소한 30만명 이상의 군 장병이 더 죽어서 녹아져 나가야했고 마샬플랜을 수행할 여유 따위 없게 되어서 진짜로 동독 수준이 아니라 훨씬 더 서쪽으로 소비에트 연방이 침투했을 겁니다. 생각이 짧고 세계사 지식이 부족한게 자랑은 아닙니다. 천만 명 가까이 사망하면서 나찌 주전력 삭제한 소비엔트 국민들에게 최소한의 예의는 지키세요. 소련이 대신 죽어주지 않았고 미국이 그 사망살해를 대신 짊어졌다면 일본에 대해서 맥아더가 그 정도로 유약하고 부드러운 정책 못했고 진짜 열도는 뒈졌으니 일뽕에다가 2찍이라면 일본이 그나마 숨쉬게 된것도 소련이 대신 죽어줘서 인거 잊지 마세요.
러시아가 자꾸 전쟁을 하는 결정적인 이유 (류한수 교수 2부)
16:58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77 МЛН
러시아가 30년 동안 고전한 의문의 전쟁!
9:18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207 М.
수정의 밤 - 역사학자가 읽어주는 나무위키
15:36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1 М.
독일은 어떻게 마침내 하나의 국가가 되었을까?
10:17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49 М.
소련의 붕괴부터 푸틴의 등장까지~
30:14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490 М.
최악의 악취에 시달리던 영국 런던!
7:56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20 М.
중세 사람들은 어떤 일상을 보냈을까?
10:38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904 М.
경제 모르면 인생 나락 가는 이유 | 경제학 10분 컷 핥아먹기
9:19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912 М.
중세 기사들의 삶은 어땠을까?
10:07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40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