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호되게 혼내라고 말할 때, 저는 이렇게 했습니다. [최민준]

  Рет қаралды 824,220

최민준의 아들TV

최민준의 아들TV

Жыл бұрын

#최민준 #자녀교육 #미술교육
아들👦때문에 미쳐버릴 것 같은 모든 분들!
유튜브 촬영용 성향파악 수업을 신청받고 있습니다.
forms.gle/rHNgN2WYzHCio1zr5
위 링크를 통해 사연을 보내주시면 본사에서 선정 후 개별적으로 연락을 드립니다.
늘 많이 신청해주셔서 감사하고 신청해주신만큼 전부 수업해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제가 아니어도 괜찮다면 자라다남아미술연구소를 검색하시면 빠르게 수업을 받아보실수 있습니다)
✔ 6-13세 남아들만을 위한 미술교육연구소
자라다남아미술연구소 샘플 수업 신청
jarada.co.kr/new_sample/
✔ 아들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싶다면
네이버카페 아들연구소 cafe.naver.com/boyedu
✔ 아들엄마 전용 쇼핑몰
boxforboys.com
❗저작자와의 협의 및 동의가 없는 영상의 사용을 금합니다❗

Пікірлер: 1 200
@shalomyeseul
@shalomyeseul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온유 엄마입니다:) 용기내어 촬영했는데, 혹시 나쁜말이 있을까 걱정했는데 댓글들 보니 공감해주시고 우리 온유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굉장히 극단적인 성향이 있는 아이라 늘 고민이 많았어요. 단체 생활, 통제하려는 어른에게 절대 지지 않으려고 하는 기질이 있는 아이였어요. 어린이집 학원등에 수시로 호출당하고 수화기 붙잡고 같이 울고 불고 했던 반면에,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는 놀이터를 가도 친구들과 금방어울리고 어딜가나 사랑받는 아이인데, 엄마 입장에서는 지나치게 활동적이긴 하지만 뭐든 빨리 습득하고 자랑스럽고 사랑스러운데 학교나 학원의 피드백에 믿기지가 않았어요. 5살때는 어린이집에서 온유의 오해로 결론내리긴 했지만 아동학대 이슈도 있어 원을 옮기기도 했습니다.(선생님입장에서 핸들링 안되는 아이가 미운 마음이 들었기 때문에 아이가 체감하길 그랬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기회가 생겨 아동심리 센터를 찾았는데, 굉장히 사랑스러운 아이지만, 자기도 자기가 마음대로 안되서 본인이 괴로운 상황이라고 했습니다. 저도 일하랴 아이보랴 바쁜 생활에 애기때매 불려다니고 챙피하고 고개숙이는 상황이 반복되다보니 아이를 바라보면 너무 사랑스러운데, 화가나기도 하고 심리적으로 너무힘들었습니다. 장난치려다 본의 아니게 예상밖의 사고를 연속으로 치는 상황속에서 아이를 붙잡고 혼내고선 마음이 아파 펑펑 울던 어느날 밤. 늘 듣던 찬송가를 들으려 유튜브를 틀었다가 알수 없는 알고리즘에 의해 최민준 소장님의 영상을 보았고, 그 영상들은 온유에 대한 변호를 대신해주는 것 같았습니다. 당장 사연보냈고 이튿날 연락을 받았는데, 정말 로또맞은 기분이였습니다. 생각해보니, 혼낼때는 눈똑바로 뜨고 혼을 내고, 대화할때는 컴퓨터 앞에 앉아 혹은 집안일하며 일하는 와중에 아이와 말을 하고 있더라고요. 눈을 보고 대화하는 것은 정말 가장 기본적인 솔루션인 것 같아요. 지금까지도 작지만 엄마로서 할 수 있는 어렵지 않은 실천이라 잘 하고 있고, 온유는 그 솔루션의 도움을 많이 받은것 같아요. 요즘은 눈에 띄게 좋아졌어요. 최근 받은 상담에서는 ADHD에 물었을때, 저정도는 남자얘들 좀 별난 정도지 그정돈 아니라고 말씀하실 정도로요. 아직도 변화해야 할 부분은 많지만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은 고치면 되기때문에 문제가 아니지 않겠습니까! 가장 큰 문제는 문제를 모르는 것이니까요!(그런데 더무서운것은 문제를 잘못인식하고있는 것 같은데,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소장님의 진단은 너무 소중합니다 ❤) 그리고 정말 넘 바쁘신분인데도 영상 외에도 내가 이렇게 시간 뺏어도 되나 싶을 정도로 정말 많은 대화를 나눠주셨는데. 아이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과 힘을 주셔서, 그 만남이 너무 소중하고 힐링받는 시간이였어요. 복음을 가지신 분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는데, 정말 선한영향력으로 힘을 가진 아름다운 분이라는 것을 알고 감사했습니다. 스텝분들도 너무 친절하셨습니다.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아들 TV는 아들 맘들에게 그저 빛 ✨
@eugenieshin721
@eugenieshin721 Жыл бұрын
엄마의 사랑이 느껴지네요. 잘 클거예요~~ 예쁜 이름에 걸맞는 사랑스런 아이로 자라길 축복합니다~~!! -힘든시간 보내본 중고딩 아들둘맘 ㅋㅋ
@happyjinyoung4723
@happyjinyoung4723 Жыл бұрын
온유 어머님 응원합니다^^/ 저도 남자 아이 키우는대 힘들 더라고요 ㅜ
@user-kz7pr4et4e
@user-kz7pr4et4e Жыл бұрын
저도 약1년전 저희아들이 그랬습니다 학교에서는 ADHD혹은 사회성이 떨어지는것같다~허그맘에서는 행동조절이 안되긴하지만 ADHD 까지는 아니다하셨어요 다니던 학원도 다끊고 자라다만 다니고 조금씩 변화가 생기더라고요 상담은 6개월다니고 안와도된다하셨구요 행동조절이 해결되니 학업성취도까지 따라왔어요 지금은 학교에서도 전혀 지적받지않고 평범하게 보내고있어요 온유도 어머님께서 노력하는 시간들이 헛되지않을거예요 내아이를 믿어주는것 그게곧 힘이되었습니다 나쁜아이 잘못된아이는 없어요 힘내세요^^♡
@jamielee890
@jamielee890 Жыл бұрын
어머니 또 소장님께도 너무 감사하다고 말씀 드리고 싶어요. 정말 많은 도움 받았습니다. 온유 너무 사랑스러운 아이에요. 엄마 힘내세요 :)
@gyjo2307
@gyjo2307 Жыл бұрын
저희애와도 비슷한 부분이 있어 영상 집중해서 봤습니다 출연하시는것도 큰 용기이실텐데 비슷한 아들을 키우고 있는 엄마 입장에서 너무 감사할 따름이에요 저도 온유에 대한 소장님의 솔루션을 적어놓고 적용해보려구요 부디 우리 아들들 건강하게 잘 자라길요❤
@julliannkim6172
@julliannkim6172 Жыл бұрын
저는 사실 이런 학생때문에 직장을 잃었습니다. 반복되는 문제행동으로 다른 친구들에게 언어 및 신체 폭력을 행사하고 이것이 반복되어 힘들어 하는 친구가 많았고 저도 지도하느라 많은 애를 쓰고 있었는데 아이 말만 듣고 판단하시더라구요. 이 비디오 보고 제 예전 일이 생각나서 깜짝 놀랐습니다. 거의 동일한 증상의 아이였어요. 어머님은 매우 강압적이고 문제시 큰소리로 호되게 야단치는 편이었습니다. 어른인 제가 더 인내심을 갖고 대해야 하지만 완벽할 수는 없으니 이런 행동이 반복되면 사안에 따라 심리적 균형을 잃어버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댓글을 보니 다들 아이입장에서만 말씀하시는데 이런 아이에게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사람의 입장에서(교사가 아니더라도) 한번 평정심을 잃었다고 비난받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yuls8D
@yuls8D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어른도 사람이고.. 모두 아동심리전문가가 아니니까요.. 다만 아들티비 보고 아이입장과 생각 성향에 대해 제대로 알게되고 아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도와주면 좋을지를 알게될수록 평정심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것 같아요. 내새끼 보는것도 힘든데 쌤 얼마나 힘드셨을까요.. 아이말만 듣고 판단한 어머니 행동이 정말 아쉽네요.
@marykim77
@marykim77 Жыл бұрын
저런 성향의 아이를 둔 부모는 교사에게 아이의 사회성을 위해 생활지도하시는데 힘을 드려야합니다. 아동학대신고로 교사에게 분풀이 하시는 부모들... 자기 자식에게 언젠가 그 값을 치루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미국은 수업을 방해하는 아이를 둔 부모에게 방임죄를 묻습니다. 이 나라가 교권을 잃어버리고 인기리에 방영된 더 글로리의 연진이를 만들고 있다고 봅니다. 선생님 충분히 훌륭하셨고 아이들 그동안 지도하시느라 고생하셨어요. 이 나라가 잘못된것입니다. 선생님은 우리 아이들 바르게 크라고 교육하신것 뿐입니다.
@user-mc8pe7my5c
@user-mc8pe7my5c Жыл бұрын
마음 고생 많으셨습니다....
@djandldjandl
@djandldjandl Жыл бұрын
고생많으셨어요 ....ㅠㅠ 얼마나 힘드셨을까....
@julliannkim6172
@julliannkim6172 Жыл бұрын
@@marykim77 너무 큰 위로가 되는 댓글 감사합니다ㅠㅠ
@haneuljeon1015
@haneuljeon1015 Жыл бұрын
우연히 영상을 보게 된 초등교사인데요. 이 영상 의 주인공과 같은 아이들 자녀로 두신 학부모님들께서 아셔야 할 것은. 절대로 학교에서 이 최준선생님처럼 해줄 수가 없어요 ㅜㅜ 마음이야 그렇게 해주고 싶지만. 기다려 줄 여유가 없어요. 왜냐면 스무명이 넘는 나머지 아이들도 함께 기다리고 인내하고 있으며 그 뒤에는 학부모님들도 기다리고 있고 학생들은 물론 다른 학부모님들은 당연히 문제학생의 부모님만큼 마냥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왜냐 당장 내 아이가 그 피해를 매시간 교실에서 고스란히 감당하고 있기때문에. 그리고 저 미술교육원처럼 일대일의 상황이 아니라서 옆에 딱 붙어서 느긋하게 계속 설명하고 행동을 통제해주고 달래주고 할 수가 없습니다. 능력과 상관없이 불가능한 일이에요. 그럼에도 많은 교사들은 아마 주어진 환경 안에서 최대한 아이를 이해하고 그에 알맞는 지도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환경적인 제약 때문에 교사가 할 수 있는 게 많이 없어요. 그냥 최대한 다른 학생들 피해 안받게 고군분투 하는거죠. 그럼 어떻게 해야 하냐구요? 저기 미술학원 선생님 역할을 부모님들께서 해주셔야 해요. 부모는 일대일로 가르칠 수 있고 느긋하게 기다릴 수 있으니까요.. 저런 학원을 보내든지 상담치료 약물치료 여러가지 방법으로 뭐든 하셔야합니다.. 학교에서 해주길 바란다? 왜 못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부모님께서 학교에 와서 하루만 수업 참관해보시면 아실겁니다. 왜 안하는지, 아니 못하는지.
@noah88family
@noah88family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너무 공감해요 부정적/긍정적 보상으로 질서를 가르쳐야하는데 아예 체벌을 할수 없는것이 큰 문제라 생각합니다. 진심으로 아이들 가르치고 싶어하는 교사들에겐 너무 답답한 상황이에요 교사 한명으로 감당할수있는게 아닌것 같구요
@noah88family
@noah88family Жыл бұрын
이런 애들은 문제가 안됩니다 부모가 문제를 인식하고 있고 고치려 하고 있기때문에 부모가 인정하고 싶지 않아하고 도망다니고 선생이랑 학교에 책임을 전가하는게 가장 큰 문제에요 아이를 양육하는건 부모의 몫이죠
@JO-jt2bj
@JO-jt2bj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게다가 한반에 한명만 있으란 보장도 없지요.
@ej4179
@ej4179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도 같은 댓글 쓰려고 로그인했어요ㅠㅠ.. 사실 교실에서 이 아이정도면 그다지 심하지 않은편인 해도 있답니다... 25명~35명(수도권기준) 아이들을 몰아놓은 교실에서 한명에게 절대로 절대로 무슨 이유를 갖다 붙여도 어떤 노력을 해도 위선생님처럼 해줄수가없어요.. 물론 저도 좋은 방법을 찾기위해 유튜브도 찾아보고 공부도 하지만, 학교에서는 절대로 절대로 무슨일이 있어도 안되는 선이 있습니다.. 집에서 해주셔야해요ㅠㅠ... 한두명의 아이만 붙잡고 가르치면 당연히 가능하겠지만 한명을 위해서 나머지 20여명에게 전혀 신경을 쓰지 못할 수 있기때문에 가정에서 잘 살펴주셔야해요..ㅠㅠ
@sunjooryu
@sunjooryu Жыл бұрын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합니다. 저렇게 해줄수는 없겠지만 저 아이를 이상한 아이로 몰고가면 안된다는거죠. 제 아이는 초4 왕따로 마지막 학기 3주전 부터 밥을 혼자 먹었는데 담임이 이야기 한마디도 없어서 학기가 끝나고 아이에게 들어서 알았습니다. 담임이 아이에게 한다는 소리가 '혼자 먹어서 좋지?' 라고 했다네요. 그 전에 한번은 아이가 학교에서 스트레스를 너무받아 손을 뜯었나봐요. 이건 또 담임이 전화가와서 한다는 말이 아이들이 손뜯는것 조차 싫어하니 그 버릇을 고쳐오라고 하더군요. 이게 초등교사들의 현실입니다. 문제가 생기면 피하려고 하고 해결은 부모에게 미루는 것이죠. 아이가 왜 스트레스를 받는지 원인은 찾아보려 하지않고 손뜯는것을 주변아이들이 싫어하니 고쳐오라니요. 혼자먹는밥을 누가 좋아하나요. 혼자먹으니 좋지라니요. 아직도 그 생각만하면 부들부들 합니다. 저도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입니다. 저는 여기 보이는 선생님처럼은 못하지만 적어도 왕따가 생기려는 분위기는 통제하려고 해요. 아이들에게 서로다른 생각과 행동을 하는 타인을 존중해야한다는것을 알려주러고 노력하죠. 교사들도 피하지 말아야해요.
@user-hs3pr2ht1t
@user-hs3pr2ht1t Жыл бұрын
현직 교사입니다. 몇년 전 우리 반 개구쟁이 남자 아이들로 골머리를 썩을 때 최민준 소장님 유튜브를 접하면서 많은 도움을 얻었습니다. 남자 아이들에게 명령을 하기보단 도움을 요청해라... 이게 참 잘 먹혀서 한 해 아이들 농사 아주 잘 지었습니다. 많은 도움은 받지만... 요즘 저는 반대로 최민준 소장님과 오은영 박사님 때문에 힘들기도 합니다... 진짜 말도 안되는 소리죠...? 요즘 학부모님들이 유튜브나 방송으로 많이 접하시다보니... 뭔가 잘못된 이해를 하시는 것 같아요ㅠㅠ 왜 담임 쌤은 이렇게 못 해주나... 이렇게 못하는 선생님들은 심한 말로 인성 쓰레기까지 되기도 합니다. 불과 몇년 전만해도 아이가 문제 행동을 하면 죄송하다고 하던 학부모들이 대다수였는데, 요즘은 미안하다면서도 우리 아이가 그런 문제 행동을 할 때 선생님의 우리 아이가 그때 무슨 생각 무슨 기분이었는지 이해하시나요? 그런 부분은 서운하다고 대놓고 이야기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오늘도 우리 아이는 원래 그런 기질이니 이해해달라는 학부모의 부탁을 들었는데... 이 영상을 보면서 많은 공부도 되지만... 착찹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마음을 찰떡같이 알아듣는 분이시니... 미숙한 제 글도 오해 없이 받아주시기를 바래봅니다 ㅠㅠ 요즘 우리 반 아이때문에 마음이 많이 힘들었는데 저 아이가 일부러 나를 화나게 하려고 저런 게 아니다... 다시 새기면서 마음 다 잡네요. 우리 아이 마음은 왜 몰라주냐 서운해만 하지말고, 매일 같은 아이를 너댓시간 만나면서 당하는 학교 담임들의 애로사항도 학부모들이 이해를 해줬으면 좋겠네요...
@user-rg8wu2jo1o
@user-rg8wu2jo1o Жыл бұрын
현직 보육교사로 선생님말씀 정말 동감합니다 많은 아이들을 함께 돌보는 교실에서 문제행동을 하게 되면 대처가 쉽지는 않습니다ㅜ 오늘 알려주신 방법 기억하면서 다시 화이팅해요
@user-fp7um3ry1p
@user-fp7um3ry1p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힘내세요^^ 저도 저런 아들을 키우고 있어요^^ 내 아이가 선생님과 반을 힘들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사람이고 부모인지라 그런 말을 들으면 이해하지만 서운한 감정이 드는 것 또한 사실이지요.. 선생님을 이해하지 못한다기 보다는.. 그런 상황에 놓였을 때 누구나 서운한 감정을 가진다는 겁니다. 단 0.0001%라도 서운함이 없는 사람은 없을거에요^^ 엄마도 힘드시다는 것을 충분히 알고 있을텐데.. 그냥 마음을 가감없이 말씀하시는 분이라고 인정하면 마음이 편해지실 것 같아요^^ 선생님의 고충 충분히 알고 있습니다!! 힘내세요!!
@user-ln7ll9bk7q
@user-ln7ll9bk7q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노고가 많으십니다 ♡ 너무 멋지신분이라 생각합니다 힘내세요!!
@sinyoung3321
@sinyoung3321 Жыл бұрын
정말 많이 공감합니다 선생님들도 힘내세요! 늘 감사합니다 ❤️
@user-oh7qj3hn3c
@user-oh7qj3hn3c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선생님
@user-hb1qt8uf6w
@user-hb1qt8uf6w Жыл бұрын
1. 기분이 안좋아도 휘둘리지 않는게 어른이다 2. 실수해도 안아주면서 3. 일부러 그러는 것보다 성향인 것을 관찰 4. 혼내는게 아니라 도와준다는 느낌. 같이 논다는 느낌 5. 함께 그림을 그리고 상상하고 소통한다 6. 나긋하게 규칙을 전달하고, 자신의 감정이 상했다는 것을 말로 전달한다 7. 서로 눈을 보면서 대화 8. 실수로 했다는 걸 알고 있다는 분위기로 말한다. 9. 머리로는 아는데 조절하기 어려운 아이라는 것을 본다 10. 규칙을 재밌게 반복한다 11. 사람에게는 성향이라는 것이 있다. 어른은 여러가지 경험을 통해 어느정도 조절하지만 아이는 아니다. 이 때 좋은 사회적 경험을 제공하면 바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user-mh8ky9cx8v
@user-mh8ky9cx8v Жыл бұрын
깔끔한정리요약 감사합니다
@romieeeu7794
@romieeeu7794 Жыл бұрын
정리 감사합니다 ^^
@CreampieHolic
@CreampieHolic Жыл бұрын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ssssangje
@ssssangje Жыл бұрын
mece하게 좋은요약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ie2xp3nl1d
@user-ie2xp3nl1d 11 ай бұрын
😊
@be_bee6224
@be_bee6224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1학년 담임을 맡고있는 교사에요. 영상을 이렇게 몰입해서 볼 수 있다니,, 역시 최민준 선생님 정말 대단하세요. 선생님 말씀대로 충동성이 강한 아이들이 어른에게 하는 다소 무례한 행동이나 말들이 나를 악의적으로 공격하거나 무시하는게 아니라는 사실만 알아도 화가 덜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아이에게 하는 말투, 표정, 눈빛, 간단한 스킨십 등등... 사소한 것들까지 배울 점이 너무 많아요 ㅠㅠ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저한테는 위인같은 분이세요..! 최민준 선생님 유튜브 죽 보고 배우면서 적용한 결과, 저희반 남자아이들 몇개월 사이에 정말 많이 의젓해젔습니다...ㅎㅎ 어머니들께서도 정말 기뻐하셔요. 항상 많이 배우고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덕분에 교사로서 하루하루 성취감과 효능감을 얻어요😊
@youngjj11
@youngjj11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하신 선생님이시네요~ 선생님을 만난 아이들은 참 행운이에요!
@eericayun1120
@eericayun1120 Жыл бұрын
저희아들도 지금 초1인데 내년에 선생님 같으신분 담임 되시기를 너무간절히 기도드립니다 !!!
@joohee0401
@joohee0401 Жыл бұрын
내년에 학교를 보내야하는 엄마로써 선생님 같은 분이 모든 초등학교 1학년 선생님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ㅠㅠ
@user-yl3hk6yn8i
@user-yl3hk6yn8i Жыл бұрын
직업에 책임감과 자부심 갖고 일하시는 것 같아 멋지십니다👏🏻 선생님 학생들은 행운일 것 같아요
@user-gs7wi7ik7z
@user-gs7wi7ik7z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정말정말 감동적이고 감사드립니다
@user-sw9dl7qg2l
@user-sw9dl7qg2l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을 보고 정말 느낀점이 많아 민준 소장님 채널에 처음 댓글을 달아봅니다. 저는 최근에 성인Adhd 진단을 받은 20대 남자입니다. 이제와보니 어렸을 때도 산만했기에 adhd가 그때부터 지속되어 온 것 같습니다. 이번에 온유를 보면서 제가 어렸을 때랑 정말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저도 어렸을 때 문제행동을 참.. 많이 했고 어른들에게 반항도 했습니다. 그런 문제 행동을 하면서도 제가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내 의지와 다르게 문제행동이 나왔고 정신차려보니까 저는 혼나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항상 죄책감을 가졌고, "아 나는 다른 사람들에 피해만 주는 사람이구나"하고 자존감도 바닥을 쳤어요. 온유가 눈치보는 부분에서 온유의 힘듦이 고스란히 느껴져서 너무 안타까웠습니다. 물론 제가 잘못한 건 맞습니다. 제 문제행동이 대해선 정말 깊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때 제 주변에 민준 소장님같은 어른이 없었다는 것이 정말 아쉽습니다. 제가 초등학교 저학년때까지만 해도 체벌이 여전히 존재해서 저는 거의 매일 선생님께 맞았습니다. 그리고 학원에서도 저를 벌세우기에 바빴어요. 그때 민준 소장님같은 어른을 만나고 온유같은 긍정적인 경험을 했다면 전 지금보다 더 나아졌을 수도 있었을 것 같아요. 민준 소장님께서 온유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주시는 걸 보면서, 그리고 온유의 성향을 인정해주는 과정을 보며 어렸을 때 억울하고 답답했던 제 마음도 같이 어루만져주시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났어요.(이렇게 많이 울어본 건 오랜만이네요) 그나마 다행인 것은 고등학교때는 그나마 성적이 올라서 지금은 남부럽지않은 대학에 진학해서 살고 있지만서도 아직 그때의 상처는 제 마음속에 남아있습니다. 그래도 민준 소장님이 이런 좋은 영상을 찍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모든 어른들이 봐서 더이상 저같은 아이들이 생기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덕분에 많은 위로를 받았습니다👍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온유야❤️ 형(?)도 너랑 비슷한 어린시절을 보내서 너의 마음에 정말 공감해. 그동안 많이 힘들었지? 그래도 절대 기죽지마! 넌 민준선생님이 말씀한것처럼 정말 멋진 아이고 온유가 하고싶은 건 다 이룰 수 있다는 걸 항상 기억했으면 좋겠어. 너의 인생을 응원할게! 온유 어머님도 이렇게 유튜브 나오는것에 많은 고민을 하셨을텐데 좋은 결정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어렸을 때 부모님 속을 많이 헤집어놨는데 온유어머니도 여태 곤란한 상황에 처한 적이 많으셨을 것 같아요. 그래도 온유에게 많은 사랑을 주고 따뜻한 어머니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어머님도 파이팅입니다!
@mellow0302
@mellow0302 Жыл бұрын
아픈 경험이었지만 이런 따뜻한 마음 나눌 수 있는 비비빅님. 너무 감동입니다. 흘렸던 그 눈물속에 많은 것들이 씻겨 나갔었길, 앞으로 스스로와의 싸움에서 사랑으로 이겨내시길 응원합니다!!
@user-om3do3sy8z
@user-om3do3sy8z Жыл бұрын
ㅠ 감사해요
@New-ml2wi
@New-ml2wi Жыл бұрын
저런... 공감 백배ㅠㅠ 시간은 좀 지났지만 백세시대 라고 하니 지금부터 마음 속 어린 본인을 칭찬하고 격려하며 하나씩 보듬고 풀어 보세요.. 가까이 계시면 토닥토닥 안아 드리고 싶네요.. 멋진 헝아 화이팅~♡♡~
@user-sw9dl7qg2l
@user-sw9dl7qg2l Жыл бұрын
@@mellow030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ㅠㅠ 달아주신 댓글보고 또 눈물이 나네요 작성자님도 남에게 나눠준 사랑만큼 좋은 일 가득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lantl8794
@tlantl8794 Жыл бұрын
멋진분👍👍👍👍👍
@jandaark25
@jandaark25 Жыл бұрын
1대1 상황이고, 학습상황 아니고, 치료상황으로 아이의 성향을 파악하는 아이 중심 상황이라는 점! 학교에서는 절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가정에서 이런 치료를 받게한다니 감사한 일이네요!
@user-ve9ck9by5k
@user-ve9ck9by5k 10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부모가 이렇게 가르쳐야합니다. 저걸 선생님이 저렇게 해주길 바라는것은 욕심입니다.
@Cori-ie4gx
@Cori-ie4gx 4 ай бұрын
맞는데 보조적 역확을 해주면 좋죠. 그래서 스승이라고 하고 선생"님"으로 불리잖아요. 전 이런시선도 저출산을 촉진시키는 태도로 보여집니다. 부모가 잘해야 하지만 선생님을 비롯한 여러 어른이 따뜻한태도로 바라봐주고 안되면 시스템적으로 이런 상담 센터를 좀더 접근성 있게 해서 도움 받을 수 있으면 좋겠네요. 모든게 보모탓 아이탓 맞는데 그런 차가운 시선이 아이키우기 힘든것도 사실입니다.
@user-tk7qz3ob4w
@user-tk7qz3ob4w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valiant0928
@valiant0928 2 ай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cari_ari
@cari_ari Ай бұрын
​@@Cori-ie4gx 선생님이 저 아이만 보는게 아니고 저런 아이를 포함해서 10명이상을 교육하고 돌봅니다. 선생님에게 보조적 역활을 바라나요? 진짜 이기적인 부모입장에서만의 생각이네요.
@user-fm4ik2ym1l
@user-fm4ik2ym1l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ㅠㅠ 24명의 담임인데 그 한 아이만 봐줄수 없어요. 그러나 특정 부모님들은 그 생각을 못하시고 그저 선생님은 특별난 우리 애를 못받아주시나보다 느끼시더라구요. 1/24인걸 생각하지 못하세요. 다른 애들도 다 소중한데 자기 아이만 소중한줄 아시는게 너무 속상합니다. 딴 애들도 많이 참고 있거든요.
@Oliviaoo622
@Oliviaoo622 Жыл бұрын
큰아이가 초등학교 2학년인데 반에 남아 아이한명이 훨씬 문제가 심각해서 학부모 교사 모두 긴장하며 지켜보고 있어요. 나이많으신 여선생님에게 막말과 욕설하고요 친구들에겐 매일같이 뒷통수를 때리고 발차기날리며 맞은 아이도 여러명 셀 수도없네요 물건 뺏고 안돌려주기 욕설은 기본 수업시간에 돌아다니고 제지하면 손에 닥치는대로 내팽겨쳐서 아이들모두 무서워하고 수업에도 차질생기고 선생님은 이미 포기상태인거 같고 학부모들은 학폭을여니마니 다들 날이 서있고요 어릴때부터 이런 문제들이 조금씩있었는데 부모가 방치하니 지금 망나니도 이런 망나니가 없습니다 이 영상보니 그 아이도 조금 일찍 상담치료받았더라면 좋아지지않았을까 생각되면서도 그엄마도 이런것 좀 찾아보고 공부했으면 좋겠네요 진심 한 아이때문에 나머지 20명이 매일같이 학교생활 방해받는데 솔직히 이 영상처럼 너그러운 온화한 마음이 들진 않네요 영상을 끝까지보면서도 혹시나 저희아이가 그아이와 대치했을때 말로 설득을 할 수 있는방법이라던가 도움될까 봤어요 진짜 제가 여기로 상담한번 받아보라고 쪽지라도 써서 그집에 주고싶은 심정입니다.
@user-vk5cg9pt8p
@user-vk5cg9pt8p Жыл бұрын
선생님보면 정말 ‘어른’처럼 느껴집니다 많은 부모가 아이와동급으로 서서 화내고 누르려고하고 대장놀이마냥 권위를세우고 호되게,무섭게 이런생각하게되는데.. 어른이라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영상이네요
@user-er5mn6zb2i
@user-er5mn6zb2i Жыл бұрын
민준쌤이나 오은영쌤은 일대일로 짧은 시간 접하니 인내하고 이론 접목시키면서 대화와 놀이, 그림 활동이라는 영역으로 어느 정도 성공을 가져오지만 학교에서는 학습 영역 포함하여 다수의 아이들을 지도하면서 한두 명 특이한 아이들까지 하루 대여섯 시간을 매일 이해하고 세세하게 받아주며 인내하는 건 참으로 어려울 듯하네요
@user-dt4es4rf6b
@user-dt4es4rf6b Жыл бұрын
물론 어렵지만 교사 본인을 위해서라도 이건 일대일이니까, 나는 다수니까, 라고 생각하는 것보단 덧글에서 종종 나타나듯이 부분적 적용부터 해가면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겠죠. 아이들 인생만 달라지는 게 아니라 교사의 삶도 달라지고요.
@user-se1ru4cs1l
@user-se1ru4cs1l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아이를 바라보는 관점만 달리 해도 속도는 다르지만 서서히 변화가 나타날 거라고 생각해요 교실의 중심인 교사의 눈빛 말투 하나만 바뀌어도 교실 분위기가 바뀌고 아이들은 교사 한테서만 영향을 받는게 아니라 집단내 다른 아이들과 서로 배우며 크는 거니까요
@user-ph2fc3cl7l
@user-ph2fc3cl7l 11 ай бұрын
이분들 여러번 찍어서 편집을하고 방송1회를 위해 시나리오를 꼼꼼히 작성해서 찍으니 쉽게 보이지만 일반 치료(실)은 몇회 단기간에 해결될수 없어요, 절대! 모든 어른들의 인내와 협조가 필요한 일입니다.
@chaenkim2158
@chaenkim2158 11 ай бұрын
교실에서 저렇게 하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교실에서 저런걸 시도하는 순간 멀쩡한 애들도 다 금쪽이로 변할거라고 봅니다. 담임선생님이 종일 저렇게 금쪽이만 끼고 있으면 어떤 아이가 규칙을 지키고 누가 충동을 조절하려고 노력하겠어요
@ajr6087
@ajr6087 10 ай бұрын
이런 기질과 특성을 가진 아이의 행동은 1대1일의 교육으로 가능하지만 다수의 여러 아이들을 지도하고 있는 교실이나 학원에선 불가능하겠죠
@birdceh
@birdceh Жыл бұрын
유치원에서 미술 강의하는 사람인데요... 온유와 비슷한 수많은 아이들을 봅니다. 저도 선생님 영상보며 저렇게 하고 싶지만 한 반에 열명, 35분 짧은 시간에 어떤 과제를 해내야하는 상황 속에서 한 아이에게 집중해 진심으로 천천히 설명하고 다가갈 시간이 없어서 너무 아쉽고 아이들 또한 이미 혼나는 것에 익숙하기때문에 좋게 설명하려해도 이미 경계와 반항심이 발동하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어떤 돌발상황에서 눈보기하려하면 절대 안됩니다. 그리고 1대1이라면 돌발행동들을 좀 더 기다려주고 싶지만 그 사이 다른 아이들에게는 많은 피해가 갑니다.(시끄럽게 뛰어다닌다거나 옆에 친구를 계속 방해한다거나 재료를 다 섞어놓거나 무언가를 망가뜨리는 일 계속 말을 끊고 끼어들어 수업이 진행되지않는 것들-친구들이 금방 따라하고 아수라장 됩니다)무작정 혼낸다고 효과도 없고 상처가 될 것 같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애태우는 상황이 많습니다. 저 같은 상황에서는 어떻게해야할지...ㅠㅜ 민준 선생님께 많이 배우면서도 제 상황에 적용하자니 막막하기도 하네요..
@zooso6138
@zooso6138 Жыл бұрын
정확히는 님은 도움정도를 줄수있을뿐이지 그아이를 바꿀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일은 그부모가 할일이지요 부모가 바꾸려 하지 않는데 바뀔수가 없죠 그러니 막막해하지마세요 선생님이 책임감을 느끼실부분이 아닌것 같아요
@user-zd3ro7pw3j
@user-zd3ro7pw3j Жыл бұрын
부모가 해야죠
@user-my6oq5ko1v
@user-my6oq5ko1v Жыл бұрын
일대일 수업일때만 가능합니다
@cj7991
@cj7991 Жыл бұрын
유치원에서라면 담임교사나 보조교사가 옆에서 도와줘야 해요. 선생님 혼자 하실 상황은 아닌듯 합니다. 정당하게 요구하세요.
@dhgkdbf4149
@dhgkdbf4149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교직에서 하기란 어렵다고 봅니다. 가정에서 우선적으로 부모가 주가 되어서 노력하셔야죠.. 개별수업 좋지만 다른 아이들은 어떡하나요...;; 영상같은 수업은 부모나, 놀이치료와 같은 1:1 치료,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한다고 봅니다..
@soy8391
@soy8391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작년에 충동성이 너무 강한 이런 아이를 만났었는데 이 영상을 그 아이 만나기 전에 봤으면 좋았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이런 아이들에게 하나하나 이렇게 알려주면 너무 좋을 것 같은데 현실은 저런 충동적 행동을 다른 아이들에게 하니 갈등이 매번 생기고, 다른 부모님들에게 민원이 들어오는 상황의 반복이였어요ㅠㅠ 아이가 힘들었던거보다 그게 제일 힘들었네요…
@llllll8555
@llllll8555 Жыл бұрын
많은분들이 소이님에게 의지하다보니 그 짐이 무거울수있겠네요. 교육이라는 제1선에서 노력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라도 이런말을 해야겠네요^^.
@suinmanse
@suinmanse Жыл бұрын
다인수 학급에선 이런 수업이 일어나기 힘들죠. 게다가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도 조절해야하니 학교선생님들이 무척이나 힘들 것 같습니다.ㅠ
@nagom1242
@nagom1242 Жыл бұрын
맞아요..요즘 반에 이런 친구들 한두명씩 다 있어요ㅠㅠ진짜 그런 아이들 자체가 힘들다기 보다 친구들과의 관계속에서 벌어지는 갈등상황 조정.그리고 민원이 제일 스트레스고 힘듭니다...일대일이면 말도 들어주고 그러겠는데 정말 거의 서른명 데리고 하루종일 있으려면...ㅠㅠ
@user-lj2vf2vh4g
@user-lj2vf2vh4g Жыл бұрын
저희 아이 반에 충동적으로하는 친구가 있다는 말을 듣게 되었죠 어느날 그친구와 늘 혼난다는 우리아이는 억울해하더라구요 말싸움과 몸싸움이 있었어요 쌤과 상담신청하여 알게되었는데 노는거로 알고계시더라구요 자리떨어지게하고 그친구한테 반응 보이지말고 오면 하지말라는 말하고 또 하면 손잡고 쌤께 말씀드리라고하여 그아이도 저희아이도 주의을 살피고 있어요 점점 뜸 해지고 있는것을 쌤하고도 저도 알수있어요 그아이는 여전히 수업시간에 돌아다닌다고는 하지만 28명 수업시간인지라 크게 별일 아니면 제자리앉으라고 말해주시고 반아이들도 그친구 충동없으면 누구가 돌아다닌다고 말안하고 신경안쓰는거 같아요 1학기부터 그동안 쌤께서 얼마나 힘드시고 수고하시는지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sarangna1948
@sarangna1948 Жыл бұрын
네 민원이 힘들어요. 첫등교 후 일주일 만에벌써 자리 옮겨달라는 민원받았습니다..아이가 해당 아이때문에 놀라서 잠을 못잔다는.. 그 어머님께 아이에 대해 개인적인 부분이기에 자세히 말씀은 드리지못하며 민원 정리하고는...해당 부모님께는 이런민원이 들어왔다는 말을 하지않습니다. 그런데 항상 자신의 아이만 이해만해달라는 말..책임을 가지고 있는.선생님으로서 위험한 상황이나 불란이 일어날 수 있는 일은 사전에 말씀 드릴수밖에 없는데 자꾸 전화한다고..자기 아이를 이해못한다는 식으로.. 말씀하시면 ....정말 힘듭니다..
@seheekim234
@seheekim234 Жыл бұрын
소아정신과 의사님이 말씀하셨던 이론적인 방법들을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보여주신 너무 감동적인 편이었어요. 비슷한 아이를 키우고있는데.. 정말 현실에서는 사건이 계속 일어나니까..저 스스로도 혼란스럽더라구요. 아이 마음이 그랬겠구나 짠하기도 하면서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출연결심하신 아이와 어머님께도 응원의 박수드리고 싶어요.
@user-xe9rp2vi7d
@user-xe9rp2vi7d Жыл бұрын
충동성을 인정하는게 너무 정말너무힘들어요 순간 아이에게휘말려서 화내고 소리지르고있는 제자신에게 자괴감이들고 매일 재우고나면 우는엄마입니다. 저게 진짜 말이쉽지 행동을 받아주면서 인정한다는것이 제 깜냥으로 되지않더라고요 차라리 화내지않으려면 눈을감아버려야 될때가있어요 .. 아이의충동성을 조절해야하는데 이미 저의충동성을 제어하는데 실패해서 그저 대단하시게 보여요. 아이를바꾸는게 아니라 제가바뀌어야할텐데.. 노력해도 어른인 제가 선생님같이 안된다는것이 한계네요 ㅎ
@user-kx2bv9fc1s
@user-kx2bv9fc1s Жыл бұрын
마쟈요..ㅜㅜ 신의 경지처럼 보인다는요..ㅜㅜ
@philo-sophy0613
@philo-sophy0613 Жыл бұрын
내 아이라서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오히려 더 흔들릴 수 있어요. 남의 아들이면 오히려 객관성을 유지하기 쉽지요. 기운내세요. 매일 흔들리고 애쓰고 성찰하는 자체로 좋은 엄마입니다.
@slee8601
@slee8601 Жыл бұрын
엄마도 불완전한 인간이니까요. 내가 왜 아이에게 그렇게 반응할 수 밖에 없는지 나의 결핍과 나의 상처는 무엇인지 그걸 들여다보고 먼저 고치면 아이에게 좀더 너그러울 수 있는 것 같아요.
@edacommercekorea
@edacommercekorea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ㅠㅠ 오늘도 고래고래 소리질렀네요 밖에서 욕먹을까봐 집에서 단호하게 하는데 항상 혼내고 미안함과 자괴감을 느껴요
@moglolia
@moglolia Жыл бұрын
1대1은 소통이 잘 되고 문제없어 보입니다. 여러아이들과 함께 있을때 매우 힘들고 갖가지 행동이 다 나옵니다.
@user-ov1zc7to1z
@user-ov1zc7to1z Жыл бұрын
이 말씀에 절대 동의합니다.매일 그 아이만 끼고 살면 아무 문제 없어요.단체활동에서 그 아이만 바라보고 있을순 없습니다.
@lilypark1
@lilypark1 Жыл бұрын
저는 딸만 셋인데 한명한명 대할 땐 저도 인자하고 지혜로운 어머니였다가 두 명 이상 모이면 하루에 열두번 폭발을...ㅠㅠ
@yeonzi314
@yeonzi314 Жыл бұрын
은유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매년 한두 명씩 만날 수 있는 아이의 모습입니다. 어른의 시선으로 관찰했을 땐 분명 심성이 착한 아이임에 틀림이 없는데 충동성향으로 인해 주변에 피해를 주고 나쁜 아이로 인식되는 게 너무나 안타까운 아이들이에요. 늘 아이를 안아주고 따뜻한 시선으로 수용하려고 애쓰다가도 한 주에 서너 번씩 같은 폭력적행동으로 주변 친구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마주하게 되면 순간 화가 벌컥 나기도 합니다. 아이들 재우고 내일 아침 준비하다가 멈추고 영상을 집중해서 봤습니다. 내일 우리반 아이를 만나면 더 따뜻한 마음으로 바라보고 긍정의 눈마주침 해야겠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hariharu7821
@hariharu7821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는 개인 가디언 붙이라고 해요 그만큼 다른 아이들의 교육받을 권리와 시간도 중요하니까요.
@yusun2226
@yusun2226 Жыл бұрын
나를 대했던 어른들은 적대적이였다..에너지 많은 아들 둔 엄마 슬픕니다ㅜ 아이들은 항상 우리를 보고 듣고 있음을 기억해야한다ㅠㅠ 아들을 좀 더 이해하고 따뜻하게 가르켜주는 어른들이 많아지기를 바랍니다ㅜ
@user-lv4mj3xf8g
@user-lv4mj3xf8g Жыл бұрын
아들키우는 엄마로서.. 소장님의 이 컨텐츠가 저에게는 너무나 큰 힘과 위로와 가르침이 됩니다. 눈마주침을 잘 하지 않는 아이라 항상 눈보기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즐거운 경험을 심어주는게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끼고.. 내 아이에게 화가 나는 이유를 보다 본질로 다가가 생각해보는 것..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아이를 올바르게 가르쳐야 할 어른이.. 힘들고 어렵다는 이유로 아직 배워나가야 할 게 많은 어린 아이에게 어쩌면 힘의 논리로 세상을 가르치려하지는 않았나 .. 그렇게는 절대 올바르게 가르칠 수 없다는 것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아침 해가 떠오르는 그 시각부터 아이의 잘못을 대하는 저의 태도부터 바르게 잡아나가겠습니다.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내 아이를 믿고 한 번 더 사랑으로 알려주겠습니다..
@user-nr2nq6bm8v
@user-nr2nq6bm8v Жыл бұрын
이런아이들은 정말 인내심 가지고 오랫동안 잘 지도해야 되는데 현실에서 하기란 진짜힘듬.저는 초등학교 돌봄전담사로 근무하고있음 1학년 22명중 이런아이 지금 5명있음.요즘은 치료받는 아이들 한반에 매년 기본 2,3명은 꼭있음 저렇게 한명한명 해줄 여력이.. 또한 무엇보다 부모의 의지가 중요한데 부모도 잘 못하는걸 선생님이 해줘서 바뀐다는건 희박.부모와 선생님이 같은마음으로 노력해야함. 오랫동안 근무하며 느낀건 선입견을 안가지려해도 산만한 아이들 보면 부모의 영향이 크다. 온유 어머님은 훌륭하심..부모가 노력하고 선생님께 도움을 구하고 같이해야지. 집에서는 엉망이면서 학교에서만의 교육은 엄청 바람.. 뭐든 양면성이 있다 이런교육은 1대1교육이지 단체 활동시 저렇게 하기란.. 이론적으론 너무 잘아는데 현실적으로 하기가 쉽지 않더라고요.이렇게 하시는분은 대단하신듯요.
@jeonghalee2175
@jeonghalee2175 Жыл бұрын
온유 어머님께 먼저 감사드리고 싶네요! 지금 저희 아들이 온유와 같은 이유로 학교에서 문제가 생기고, 저와 남편은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지.. 정말 절망속에서 하루하루 지내고 있엇어요.. 온유어머님의 용기 덕분에 이 영상을 통해서, 저희 아이를 더욱 깊이 이해할수 있었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또 너무나 유익한 정보 알려주신 민준 선생님께도 정말 감사드립니다!
@barry3585
@barry3585 Жыл бұрын
남자아이들를 키우는 부모들에게 꼭 필요한 영상입니다. 지적보다는 공감과 칭찬이 더 필요한다는거 다시 새기고갑니다.
@abcdefuace
@abcdefuace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전문가다! 절대! 통제하지않고 규칙을 눈을 보고 아이스스로 따라하도록하기, 많이 안아주기, 단호한규칙을 온화하게 알려주기, 규칙을 지키면서 승부욕 공격성을 발산하도록하기, 성취감을 칭찬하기, 신뢰할수있는 선생님이라는 믿음 심어주기, 적대적이고 회피상황을 만들지않고 우호적인관계 형성하기, 잘못된행동을 스스로 깨달을수있다는것을 믿고 그것을 칭찬하고 다시그러지 않을수있다는 믿음 형성해주기. 모든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이런것들이구나 하는것을 배우게되네요
@siniyam77
@siniyam77 Жыл бұрын
정도는 다르지만 모든 아들들이 가진 기질이 보여요. 눈물이 나요ㅠ 우아달에서 최민준 선생님만 기다립니다ㅠㅠ 선생님은 남자아이들맘의 빛이세요 😭
@user-hv2wg7yq2z
@user-hv2wg7yq2z Жыл бұрын
어른들 눈에 버릇없어 보일수도 있겠지만 여전히 너무너무 귀엽네요ㅠㅠㅠ 정말 반항적이라기엔 선생님이 말하는대로 고분고분 잘듣고요. 선만 인지해 나간다면 넘치는 에너지로 친구도 많고 파이팅 넘치게 삶을 살아가는 아이가 될 수 있을거 같아요! 아이들에게 휘말리고 화가나는 이유는 사실은 나도 몰라서 그랗다… 명심하겠습니다.
@user-ip9rw7pd4h
@user-ip9rw7pd4h Жыл бұрын
이런 아이들 교실에서 집단으로 만나는 것은 참 힘듭니다. 개별적으로 만나면 모두의 상황과 감정을 안아줄 수 있겠지만, 단체 안에서의 이런 모습은 다른 친구들과 교사에게 상처만 주는 게 되겠지요. 이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민준쌤만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것을, 해당 어른의 탓이 아니라는 것을, 미워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현실적으로 참 힘들다는 것을 알아주면 좋겠어요.
@user-qk4hx7wj2c
@user-qk4hx7wj2c Жыл бұрын
일단은 부모 기질+부모 영향인데요. 일단 주도성, 자기가 좋아하는 걸 하려는 마음이 강하네요. 어른들은 보통 그걸 통제할테니, 그걸 어떻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은 어른을 조종하고 간보는 그런 행동으로 비춰졌을 것 같구요... 적절하게 표현하는 법. 그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기본판은 되게 좋아보이거든요. 집중도 잘하고... ㅎㅎ 시작하자마자 받을 수 있게 살살 던져달라는 부분부터가 진짜 중요한데요. 와.. 자연스럽게 잘 이끄시네요.... ㅎㅎ 아이가 진짜 똑똑하네요. 뭘 잘못했는지 바로 알고... 또 와서 안아주고 와 너무 좋네요.......... 역시 자기중심적으로 재미를 강하게 추구하는 부분도 나오네요.. 그 때마다 어른과 부딪혔을 것 같은데요. 아이의 세계에 들어가서, 중요한 존재로 부모가 먼저 들어가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부모의 말에 집중하게 되더라구요. 제 아들도 사실 비슷한 부분이 많았는데.. (초3) 게임 같이 하는 걸로 아이 마음에 확 들어가니까, 그 다음부터는 너무너무 쉬워졌습니다. 물론 그 전에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게 해주고, 사랑을 계속 보여주는 걸 한 다음이지만요... 정말 맞습니다. 잘못해도 괜찮아. 큰 일난거같아도 괜찮아.. 엄청 흥이 올라와서 잘못을 해도 괜찮아..... 사실 저게 반복되면 부모 입장에서는 점점 더 크게 혼내다가 포기하거나 아예 애를 잡아버리는데, 그러면 아이도 완전 억압된 상태로 지내든지, 아니면 완전 폭발하던지 둘 중 하나거든요... 아이를 잡지 않고, 인정해주면서, 다듬어 가는 과정이 너무 너무 따뜻하고 좋습니다... ㅠㅠㅠ 일단 아이 입장에서는 억눌려오고, 안에 내재된 분노같은 감정 때문에 상황이 악화되거든요. 그래서 엄마 아빠랑은 시간이 갈수록 꼬이게 되고.. 너무 좋네요 ㅠㅠ 자주 안아주시는게 너무 뭉클합니다. 아이도 안기는걸 좋아해서 더 그렇구요 ㅎㅎㅎㅎ
@user-ei9yc4es7c
@user-ei9yc4es7c Жыл бұрын
너무 감동입니다 ! 자기도 뭐가 잘못됏는지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아이를 혼내지 않고 부드럽게 "알려주는" 선생님의 마법같은 수업이네요. 아이 모습 그대로 존중하고 사랑하며 교정해주시니 선생님도 아이에게도 감동의 수업이엇네요 !!
@user-dg9fq2hj2m
@user-dg9fq2hj2m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도와줄수없는 영역이라는 것을 깊게 느끼고갑니다. 가정과 병의원 또 센터에서 케어할 수밖에 없는 영역이군요. 감사합니다
@Sigmar-guide-us
@Sigmar-guide-us Жыл бұрын
모든 아이에게서 나의 어릴적 편린을 봅니다.
@user-vl4nr2lf1u
@user-vl4nr2lf1u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nyeungso6456
@nyeungso6456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면서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나네요. 아이를 바라보는 선생님의 눈빛이 너무 감동적이었어요. 진정한 훈육이란 이런 것이라는 걸.. 정말 마음 깊이 알 수 있는 영상이었어요. 남자아이를 키우고 있어서 저런 상황에서 선생님과 같은 모습으로 아이를 대하는 것이 정말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데.... 선생님과 같은 모습을 저도 저희 아이에게 보여주고 싶네요... 다른 영상도 정말 잘 보고 있지만 이 영상은 정말 너무 감동적이었어요...
@beaut_if_ul
@beaut_if_ul Жыл бұрын
이 남자 좀 멋지네….👍 어린 시절, 남들은 이상하게 보기도 하고 어른들은 혼내기만 하던 행동들을 옆에서 조심스레 지켜봐주고 따뜻한 눈빛과 말투로 가르쳐 주고 칭찬,격려, 따뜻한 포옹까지…. 그래서 생겨난 자기신뢰와 자아 존중감은 깊이 뿌리를 내려 평생의 튼튼한 기둥이 될 것 같다. 우리의 어린 시절 이런 어른들, 선생님들이 많았다면 지금의 분노조절잘해, 내로남불, 가스라이팅, 알코올중독 등등 가슴에 구멍이 난 것 처럼 사는 문제를 가진 어른들이 조금은 줄어들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 가슴이 아프다. 그리고 아이의 나아지는 모습을 보며 흐뭇해하고 뿌듯해하는 선생님의 표정에서 안도감과 함께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는 책임감이 느껴져 선생님도 취미와 쉼으로 스스로에게 편안한 시간들을 충분히 갖고 계시길 바래본다. 선생님! 대박 짱짱 멋져요!!!!
@husipapy
@husipapy Жыл бұрын
하아...공감 버튼은 하나밖에 안되는 건가요.. 공감100개 누르고 싶습니다. 5살 아이 키우는 엄마인데 소장님 책 보고 유튜브 구독하고 있어요.. 온유 성향이 저희 아이와 비슷한데 용기내서 촬영에 협조해주신 어머님과, 중간중간 아이의 모습을 리딩하고 방법을 알려주시는 소장님께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네요..영상 보고 또 보면서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Bigbrother1q84
@Bigbrother1q84 Жыл бұрын
남아둘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사고뭉치인 우리아이에게서도 보이는 행동이 최민준소장님의 해석으로 이해하면서 보니 사랑스러운 아이네요.
@BITA98765
@BITA98765 Жыл бұрын
가정에서 1대1 가능할때 저렇게 하시고 외부에서 타인까지 엮였을땐 따로 스스로 사과하는법도 소홀히하지않고 가르치는게 맞겠네요
@sksmstnfl
@sksmstnfl Жыл бұрын
초등 1학년 교사입니다. ADHD어린이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문제는 1대1로는 어느 정도 받아들이고 저렇게 지도를 할 수 있는데 학습 상황에서는 일일아 대응하기가 어렵고 교사인 나는 이해할 수 있지만 찬구들에게도 저런 행동을 하면 친구들과 그 부모님들은 수용하지 못하니 문제가 되는것 같아요. ㅠㅠ
@user-ou2rc2li3b
@user-ou2rc2li3b 6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게다가 아이도 1대1 보다 여러명이 있을 때 나오는 충동성이 더 강해지기도 하니 더 문제입니다
@user-su1dh4hf3e
@user-su1dh4hf3e Жыл бұрын
진정한 교육이 어떤 것인지 너무나 잘 보여주시는 영상이네요 ㅠㅠ 이렇게만 교육할 수 있다면 문제있는 아이란 없을 것 같네요.. 신뢰하고 올바르게 아이를 가르칠 수 있도록 부모님들에게 방향을 알려주시는 소장님이 이 시대에 정말 훌륭한 교육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한시간도 안되는 영상으로 이 아이가 바라보는 세상은 달라졌습니다. 이걸 보는 부모인 저의 세상도 벌써 다릅니다. 오늘도 역시 가슴깊은 감동과 사랑을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amykoo6609
@amykoo6609 9 ай бұрын
저런부모가 멀쩡한 교사들이 정신병들고 ㅈㅅ하게 만드는 거다 당신자식이 당신에겐 왕이면 그냥 왕국을 차리고 세상에 내보내진 마시길
@sprinkler1125
@sprinkler1125 5 ай бұрын
​@@amykoo6609 얘야 사람들 사이엔 규칙이 있어. 급발진 하지 않기, 싸잡아 욕하기, 사람을 향해 있는 그대로 분노 표출하지 않기.
@seo0611
@seo0611 9 ай бұрын
학교 특수교사입니다. 이 영상이 학교선생님이 아이를 “못잡는다”는 기준이 제발 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저희 교실엔 여러명의 학생이 있고, 통합학급은 아주많은 학생이 있습니다. 오늘도 adhd학생의 충동행동이 심하여 보호자상담을 했는데, “센터선생님들은 이런경우 어머님 아이놓고 얼른가시라”며 믿어달라한다고 말씀하셨어요. 마치 제 자질부족인 자괴감이 들었습니다. 다른아이가 맞은상황인 경우 교사는 피해학생을 위해서라도 가해학생을 저렇게 품어줄수만은 없습니다. 피해학생에게 2차 가해행위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전 중고등교사라 아이들이 커서 . . 맞으면 정말 아픕니다. 아이와 함께다니는 사회복무요원도 아이에게 맞으면 교사에게 어려움을토로하곤 합니다. 교실을 이끌어가면서 특정 한 사람, 학생만을 옹호할 순 없음을 보호자가 인지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고등졸업(의무교육의 마지막)까지도공격행동이 잡히지 않으면 졸업이후 진로가 어려운 상황 입니다. 보호자는 가슴이 아프겠지만 현실이 그러합니다. 이 영상의 방법이 충동성있는 학생지도의 가이드처럼 활용되까 많이 우려되어 댓글답니다. 항상 차분하게 아이입장에서 받아주는것이 옳을까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user-zf4jo7do3w
@user-zf4jo7do3w 2 ай бұрын
영상의 경우는 훨씬 안전하고 가르치기 쉬운 학생인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훨씬 극단적인 학생들도 있다는 것과 교실에서 이런 방식으로 지도할 경우 대단히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지도하더라도 학부모들의 민원에 시달릴 것이라는 점이 문제겠네요 일반 수업과는 별개로 놀이치료와 미술치료 등을 받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세상에는 항상 상상을 초월하는 학생들이 있죠 저는 내가 겪은 게 전부하고 생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저는 재작년까지만해도 아이들에게 전혀 언성을 높이지 않고 학급을 잘 운영할 수 있다고 믿었고 작년까지만해도 힘들지만 아이들을 진정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아이들과 애정을 주고 받는 강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서서히 아이에게 좋은 습관을 들이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 밖에 없다고 믿었고 그 결과 우울증이 있는 아이뿐 아니라 다른 아이들도 자꾸 다른 사람을 도와주고 싶어하고 안좋은 일에도 자기 감정을 더 편안하게 다루면서 서로 위로하고 돕는 방법을 알게 되었지만 항상 위에는 더 위가 있습니다 이정도면 특수교육대상자가 되어야하지 않나 생각도 들지만 부모들이 받아들일 리도 없고 이미 힘겨운 학생들에 시달리시는 특수선생님께 또 엄청난 학생을 얹어드리는 것은 차마 못할 일이죠 전 그저 제가 아는 것이 전부하고 생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영상에 나온 학생이 물론 자신을 억압하는 어른에게는 훨씬 큰 도전행동을 했겠지만 친절한 말과 행동조차 고통스러워하며 뛰쳐나갈 정도가 아닌 점이 너무 천사같아 보이긴 하네요 일반학생 중에서도 상상을 초월하는 학생이 있는데 (물론 특수학생 중에서도 애정을 많이 받은 학생은 있긴 하지만) 어떻게 특수학생에게 기본적인 교육방법을 적용할 수 있겠습니까? 심리적 문제가 발생하는 원리는 비슷해보이기도 하지만 문제의 깊이가 차원이 다르고 거기에 장애가 겹치면 일반교육 전문가가 감당할 수준은 가뿐히 넘는 경우가 많겠죠
@llliii4334
@llliii4334 9 ай бұрын
모든 치료교육은 교실,즉 실전에서 효과가 있어야합니다. 1:1교육에서 선생님과 부모가 맞춰주니 될것같은 느낌이 듭니다. 교실상황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user-og4zc8mp4q
@user-og4zc8mp4q Жыл бұрын
소장님이 설명해주시는 아이의 마음이 너무 와닿고 소장님의 따뜻한 마음에 아이가 웃고 안기는 모습에 코끝이 찡해져요 정말 이번 영상은 감동입니다 늘 감사합니다
@sybella
@sybella Жыл бұрын
아이가 너무 이쁘네요. 그동안 자신을 수용해준 경험이 없어 얼마나 힘들었을까 싶어요. 민준샘이 수용해주는 경험은 이 아이 평생 삶에서 아주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될 거 같아요. 오늘도 많은 걸 배웁니다. 있는 그대로 수용해주시는 선생님 모습과 따뜻하게 일깨워주는 모습 보며 감동 받았네요.
@user-zx3jz1ug1q
@user-zx3jz1ug1q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는 내내 눈물이ㅠㅠ아이가 던진 말랑이가 선생님 얼굴에 맞았을때 눈보기 연습할때 폭발했어요😂 아이 마음을 설명해주시는 선생님의 진심이 느껴집니다 저는 부모인데도 이해해주지 못했네요 adhd자녀를 키우는 입장에서 충동성…가장 이해하기 힘들고 교육시키기 힘든 부분이었거든요 값진 영상 감사합니다😢 오늘부터 아이 혼내지 않고 생각하고 행동하기 연습 인정욕구 채워주기 노력하겠습니다
@llllll8555
@llllll8555 Жыл бұрын
누구나 실수할수있습니다. 이제부터 그 실수 해결해나가면 되죠. 댓글들을 보세요. 함께하고있잖아요^^.
@user-ho2xm3eh3n
@user-ho2xm3eh3n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어렸을때부터 미리미리 교육이 중요해요👍
@user-cy7lt9nt7j
@user-cy7lt9nt7j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세요… 현직 유치원 교사인데요. 정말 저런 충동성이 강한 유아때문에 고민이 많았어요. 그 아이들의 문제행동을 부정적으로만 생각하고 혼내고 통제하기 급급했는데… 아이를 긍정적이고 좋은 방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아이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깨달았습니다 ㅠㅠ 저도 아직 기준이 안세워져서 어떻게 아이들을 대해야하나 힘들었는데 선생님의 구체적인 상황을 보면서 방법과 방향을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들 지도와 훈육에 도움이 너무 많이 될 것 같아요!!
@llllll8555
@llllll8555 Жыл бұрын
최전선에서 일하시는 지수님에게 저희가 많이 의지하고있습니다. 힘내세요.
@user-qj3jn2hj2t
@user-qj3jn2hj2t 10 ай бұрын
멋지십니다^^🎉
@woolly9989
@woolly9989 Жыл бұрын
처음으로 댓글답니다.. 이제껏 소장님 영상들 열심히보며 많은 도움 받고 있었는데요, 우리아이와 너무도 닮은 성향의 아이 교육 현장을 보면서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영상이었습니다..ㅠㅠ 눈물이 찡하고 미안하기도하고... 반성하고 다시 마음을 다잡고 공부하고 연습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소장님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많은 남아들에게 그저 빛이세요.. 소장님 채널과 영상들이 널리 퍼져서 우리나라 모든 아이들 부모님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영상이 저에겐 베스트!! 인생 영상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amykoo6609
@amykoo6609 9 ай бұрын
저런부모가 멀쩡한 교사들이 정신병들고 ㅈㅅ하게 만드는 거다 당신자식이 당신에겐 왕이면 그냥 왕국을 차리고 세상에 내보내진 마시길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 8 ай бұрын
​@@amykoo6609님같은 사람들때문에 부모들이 애 안고 뛰어내리는거임ㅉㅉ 머하는 짓이냐 진짜.
@forever8617
@forever8617 Жыл бұрын
나를 대했던 어른들은 다소 적대적이었다 이 말씀에 감탄사가 나왔네요 소장님 같은분이 계셔서 참 다행입니다 화이팅❤
@user-qc9wz1fe8u
@user-qc9wz1fe8u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이름부르자 엄마에게 달려와 눈맞춤하는.온유얼굴이 너무 평안해보이고 밝아보여서 감사하네요! 매번 소장님 영상챙겨보면서 마음을 다잡곤 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ou2ut8kh9d
@user-ou2ut8kh9d Жыл бұрын
항상 객관적으로 잘 말씀해 주시고 아이와 엄마들의 마음에 난 상처를 치료해주시는 최민준선생님 응원합니다.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댓글은 그렇게 객관적이지 않아 속상할때가 있네요. 민준선생님 잘못은 아니지만^^ 민준 선생님은 1대1 수업이시고 매일 보는게 아니고 1~2시간 촬영하시는 거죠.^^ 원이나 학교 교사들도 단기간은 민준 선생님처럼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고 화내지 않고 교육적인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고 실제로 드렇게 하십니다. 문제는 그게 시간이 지나면 점점 힘들어지는 거죠. 참을성은 무한이 아니거든요. 개인차도 있구요. 그래서 부모님도 힘드신 거잖아요. 민준선생님과 교사들을 단순비교하는 말씀은 열심히 하려는 교사들에게 상처를 줍니다. 반대로 부모는 왜 저렇게 못하냐고 비교하면 똑같이 속상하시잖아요. 여럿을 상대하는 교사보다 아이를 1대1로 상대할 수 있는 시간이 더 많고 사랑도 더 큰 분은 교사가 아니라 부모일텐데도 말이죠. 그냥 방법을 배우고 멘탈 유지용으로만 영상 보시고 교사들과 단순비교하는 행동은 삼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weetpotato_iksan
@sweetpotato_iksan Жыл бұрын
18:22 상대의 문제가 아니라 해결되지 않은 나의 문제, 상대방의 문제를 찾지(들추지) 말기 비단 아이에게 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도 적용되는 말 같네요. 매번 잘 보고 갑니다 🙏🏻
@msmorado
@msmorado Жыл бұрын
첫째도 사랑, 둘째도 사랑, 셋째도 사랑 결국엔 사랑이 전부네요. 사랑이 넘치는 눈빛으로, 사랑이 묻어나는 어조로, 사랑이 가득한 손짓과 포옹으로. 영상에서 제가 느낀건 사랑입니다.
@lisakwon2247
@lisakwon2247 Жыл бұрын
백권의 육아지도서보다 짧다면 짧을 수 있는 이 30여분의 영상이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소장님 책도 읽어봤지만 실천이 잘 안됐었는데.. 저희1,2호 아들 둘 다에게 적용시킬 만한 문제의 해결책이 집약돼 있는듯한 느낌입니다.. 두 아들을 가진 엄마로서 항상 화내고 또 후회하고 자책하느라 시간을 너무 흘러보내버린 것 같아 괴로웠는데 실전교육을 통해 딱 정리를 해주시니 이제야 감이 좀 오는 것 같습니다. 용기있게 영상 공개해주신 온유 어머님께 심심한 감사 말씀 드립니다.
@user-fg7ee9ec1w
@user-fg7ee9ec1w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들과 너무 비슷해서 이 영상이 도움이 많이 될것같아요... 엄마인데도 아이를 적대적으로 대한것같아 미안한마음이 가득하네요 우리 아이에게도 멈추고 생각할수 있도록 도와줘야겠어요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arina_2130
@marina_2130 Жыл бұрын
공에 맞은 순간에도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선생님이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중요한 포인트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ot2tw6xx4z
@user-ot2tw6xx4z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을 만나고 있는 사람으로써 가끔은 아이들을 어떠한 분류로 진단이 내려진다는게 슬플때가 있어요. 아이의 성향을 이해하고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되네요!!🙂 부모님께, 교육자들에게 너무 좋은 표본이 되어주시는 최민준선생님 너무 감사합니다👍👍
@yulyul9196
@yulyul9196 Жыл бұрын
ㅈ ㅉㅅㅈㅅㅎㅉㅎㅈ
@-Vlog-bw1zl
@-Vlog-bw1zl Жыл бұрын
파도를 상대하는 것이 아닌 파도를 탄다는 느낌으로 멈추고 생각하게 해주는 여유 통제보다는 규칙을 알려주기 아이에게 내재된 성향을 인정해 주면서 조절하는 것 도와주기 아이 마음의 창을 통해서 도움을 주시는 소장님의 모습이 감동....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나의 이상 속의 나의 괴리감 때문에 일어나는 충동적인 행동과 생각 이건 제 이야기인가.. 하는 생각이ㅠ_ㅠ ㅋㅋㅋ 아이에게 도움 주려 들어왔다가 자아성찰하고 갑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user-fc5mg7nz3r
@user-fc5mg7nz3r Жыл бұрын
정말 어려운 일이네요ㅠ 그래도 부모님이 이 영상 보시고 마음을 다잡으실 수 있으실거 같아요. 영상을 끝까지 봤는데 너무 눈물나게 예쁜 아이의 웃는 눈이 보이네요 ^^ 소장님 영상은 보면 항상 힘이 납니다. 아들들의 엄마에게 너무 감사한 영상이에요
@llllll8555
@llllll8555 Жыл бұрын
글 몇자적는것이 정말 귀찮은 일일진데 이렇게 글 남겨주셔서감사합니다. 댓글들보시면 아시겠지만 별거아닌 글에서 힘을 얻는분이 계시거든요.
@user-wg8vv4hu3i
@user-wg8vv4hu3i Жыл бұрын
제가 다 눈물이 나네요. 사실 행동, 결과가 아닌 나의 의도를 파악해주길 나도 바라고 있었나봅니다. 아이의 마음을 바라보기 저도 더 노력하겠습니다.
@hojini80
@hojini80 Жыл бұрын
아직은 많이 어린 아들을 키우는 아빠로서 이번 영상에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어릴적 부모님으로 부터 경험도 없었거니와 이런 아이들의 심리를 이해 할 교육도 받아보지 못하여 저 또한 난감했었는데 많은 것을 느끼고 배우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아들 키우는데 명심하며 적용해 보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vz1lg6yj6m
@user-vz1lg6yj6m Жыл бұрын
어른들에게도 아이들에게도 너무 따뜻하게 말씀해 주시는 선생님의 가르침에 눈물이 나네요 정말 감동적이고 저또한 우리아이에게 안좋은 기억을 만들어준 어른같아 많이 반성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ei8mn2bg3w
@user-ei8mn2bg3w Жыл бұрын
최민준쌤 대단해요 늘 감동적이에요
@joohee0401
@joohee0401 Жыл бұрын
최민준님 영상을 보고 항상 느끼는 것이 많았지만 이번 영상은 정말로 울컥하면서 보게 되네요..쉽지 않은 아이, 산만한 아이란 평을 들으면서도 내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었더니 아이가 변하더라구요. 주변에서도 딸 전문교육이 있으면 좋겠다고 부러워할 정도예요ㅎㅎ 앞으로도 내 아들이 할 수 있다고 믿고 기다려주려구요!! 항상 선생님의 영상이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ye8vz2op4j
@user-ye8vz2op4j 7 ай бұрын
민준샘과 20명 많게는 30명의 학생과 생활하는 학교 교사와 비교해서 탓하지 말길
@dominikafamily6885
@dominikafamily6885 Жыл бұрын
오늘 직접 현장강의에서 만나서 또 감동을 받아버렸네요. 바르게 교육하는 과정과 아들에 대한 기본적 이해…충동과 욕구… 아들의 세계로 들어가보라는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user-fz4nl2ov1f
@user-fz4nl2ov1f Жыл бұрын
부모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아이가 진정한 어른을 만났을때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몸소 보여주신 영상이었습니다. 민준쌤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user-yn3wv8gb7n
@user-yn3wv8gb7n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을 보고 정말 많은 걸 깨달았습니다. 6살 아들이 충동적인 행동을 했을때 제 기준으로 판단하고 생각해서 오해했던게 너무 미안하게 다가오네요:: 몇번이고 이 영상 보면서 제 자신을 먼저 교육시켜야겠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joojoo7436
@joojoo7436 Жыл бұрын
멈추고 생각하기... 정말 이건 아이들 뿐만 아니라 부모부터 배워야 하는건 아닐까요? 눈 마주치기 ... 정말 중요성을 느끼고 제 자신을 돌아보는 귀한 시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xp3ys8hv5o
@user-xp3ys8hv5o Жыл бұрын
저도 초등학교 1학년 담임을 맡고 있습니다. 비슷한 어려움이 보이는 학생이 있다보니 지난 3개월 간 많이 힘들었습니다. 그 학생에게도 사랑과 관심을 많이 보여주고 있지만 20명이 넘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로서 한계에 부딪힐 때가 많다보니 연수와 책을 통해 도움을 받으면서 유튜브 영상까지 보게 되었습니다. 일방적인 강의가 아닌 아이를 지도하는 모습을 자세히 볼 수 있어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 희망이 보입니다. 불과 몇일 전까지 교사로서의 무기력과 무능감에 몸과 마음이 같이 무너졌습니다. 거기에 외과 수술을 받게 되는 상황이 되면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 인가 포기하고 싶어졌습니다. 그럴 때 이 영상을 봤습니다. 선생님이 아이에게 해주시는 말과 행동이 저도 다르지 않았다고 저를 다독거려봅니다. 저역시 단호한게, 무서운 방법이 아이를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교실에서는 한계가 있어요. 이 영상을 부모님과 함께 보며 상담해갈게요. 병상에서도 나는 왜 이걸 보고 있나 처음에는 속상했는데 영상이 끝나면서 희망이 보여서 힘을 얻었어요. 민준샘 정말 고마워요. 부모에게도 교사에게도 큰 힘이 되는 유익한 채널입니다. 고맙습니다.
@user-py9dv8st1d
@user-py9dv8st1d Жыл бұрын
아~눈물 난다 ...온유 따뜻하게 꼭 안아주고 싶어요.넘 예쁘고 사랑스런 아이네요.멋진 남자로 잘 자랄수있을것 같아요.온유어머님 용기에 박수 👏 💕
@yaku6295
@yaku6295 Жыл бұрын
저는 학교에서 외부강사로 주1회씩 출강하는 프리랜서 예술인입니다. 저는 한시간 두시간씩 보기 때문에, 그리고 전반적 통솔 책임이나 교과의 진행의무가 크지않고 소수인경우가 많아 이렇게 개별로 해주기 용이하다는 걸 느낍니다. 제 시간엔 뭘 더 잘하거나 같이하는것보다 개별로 봐줄수있는 커리큘럼이 많아서 행동이나 집중의 어려움을 느낄때 그 아이에게는 다른방식으로 접근해서 흥미가 솟구치는 쪽으로 유도하거나 해서 오히려 튀어나가는 에너지를 다른방식으로 집중시킬수있었어요. 그래서 나중에 아이가 저를 엄청 좋아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마음속 비밀을 말해줄때도 있습니다. 분노도 무엇인지 알수있을 때도 있고요 하지만 교과 담임 선생님은 저처럼 일부 소수도 아니고 전과목, 전 아이들의 외부활동 통솔도 해야해서 정말 정신이 없고 힘들죠. 그래서 저학년같은 경우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않다가 선생님이 저와 이야기하고 난 뒤 눈여겨 보고 좀더 소수정예인 학교는 교감선생님이 외부강사들과도 소통하면소 별도로 아이들을 파악해 학부모 상담을 하기도 하죠. 그런데 많은 경우 부모님들이 부정을 합니다. 부모님이 아이를 받아들이는게 시작이고 그 다음이 아이에게 맞는 교육방식을 저극적으로 부모님이 찾는게 중요해요 왜냐면.. 아무리 잠깐만나는 외부강사가. 모두를 통솔해야하는 교과 선생님이 노력을 한다해도 아이는 힘들거든요 부모가 나를 부정하는 걸 아이가 알아요. 나중에 그걸 학교탓으로 가지고오면 옆에서 지켜보는 저도 가슴이 답답합니다 그걸 일선 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케어하기 많이 힘들어요.
@user-jg8io3hq4m
@user-jg8io3hq4m Жыл бұрын
adhd 아들을 키우고 있어서 영상을 몇번 더 돌려보고 저도 공부해야겠어요. 제 부족함을 느끼고 반성하게 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온유를 응원해요^^
@user-rg5ym3fh7o
@user-rg5ym3fh7o Жыл бұрын
이런 귀한 경험을 공유해주신 온유 부모님께 감사하고, 어디서도 듣지못할 귀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jiensu3661
@jiensu3661 9 ай бұрын
교권 추락이 불러온 최근의 비극적인 뉴스와 충격적인 현실에 마음이 무거워 지는 요즘. 최민준선생님이 보여주신 아이에 대한 깊은 이해와 따듯한 시선이 많은 생각을 하게합니다. 이곳 댓글에서 교육의 현장을 봅니다. 모든것이 방치되어 왔던 대한민국 교육의 현장에서 울고 아파하시는 선생님들과 부모님들의 목소리를 제발 정부기관에서 귀담아 듣고 하나하나 세겼으면좋겠네요
@user-pp9yz2tu8z
@user-pp9yz2tu8z Жыл бұрын
영상 속 아이에게서 저희 아이의 모습이 많이 보였어요. 선생님의 솔루션을 보고 아이에게 너무 미안해졌어요. 어른을 화나게 하려고 한게 아니라 생각이 미치지 못한 충동적인 행동인데 저의 기준으로 아이를 혼내고 다그쳤네요. 제가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지금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길이 보이는 것 같아요.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miralim3003
@miralim3003 Жыл бұрын
보는 내내 저희 아들과 저를 대입해서 보며 또르륵... ㅠ ㅠ .. 머리속으로는 알고 있지만, 아이를 대하는 순간 저의 모습을 다시 돌아보게 됩니다.. 이제 머리로 아니고 가슴으로 다시 새기며 시작해 봐야겠어요. 너무 예쁜 온유 이야기 소개 해 주신 어머님께도 민준 소장님께 감사합니다~
@user-hs5cy7og7w
@user-hs5cy7og7w Жыл бұрын
저희아들이랑 똑같아요 지적을 많이 받아서., 주눅들어 있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더산만해지고ㅠ일곱살인데 ..서산에 와주세요 선생님..ㅠㅠ 멋진사람이 될수있을꺼야 라는말 너무 감동적이에요 선생님같은 선생님이 있어 너무행복합니다
@Evantv43
@Evantv43 Жыл бұрын
온유 가만히..들여다 보고있으니 굉장히 똑똑한 아이인것 같아요.
@user-cp7xk4zo6q
@user-cp7xk4zo6q Жыл бұрын
적대적 어른의 처음 어른은 부모아닌가요 선생님처럼 부모가 대했다면 처음보는 어른이 저아이의 성향을 어떻게 더 잘 알까요. 한아이를 보는 부모탓이 아니라면서 처음 보는 어른들이 잘못인가요, 수십명의 아이를 한꺼번에 보는 선생님의 잘못인가요
@user-rx4cl1bp5z
@user-rx4cl1bp5z Жыл бұрын
너무 눈물이 나네요. 우리 아들과 유사하네요 . 충동성이 있어서 저도 너무 너무 에너지가 많이 들고 받아주지 못하고 이해를 못하고 대립하고 군림하며 바로 잡아줘야만하는 못된 심성이라고 생각하면서 날마다 혼내기만 했네요 하~~~~~~~~~~ 아이의 가장 포근하고 안전한 사람이 되어 주고 싶은데 제가 오히려 아이를 더 혼내는 중심만 되었네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면 ㅠㅜ -멈추고 생각하고 행동하기 -기분좋게 눈을 보는 연습하기 -파도를 타듯 받아주기도 하지만 규칙에 대해 계속 말하기
@nipponsarah
@nipponsarah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고 울어버렸어요. 외국에서 지내고 있어요. 충동성이 강하고 제멋대로 하는 경향이 많은 만4살 아이가 요즘 유치원에서 힘들어 하는거 같은데 선생님도 싫고 친구들도 자기랑 다 안놀아 준다 그러고 이유는 자기한테 있다고 하는 아들 때문에 오늘 유독 너무 맘이 쓰이는 날이였어요. 오롯이 엄마만 아들 마음을 이해해주려고 노력하고 다른 주변인은 모두 아들을 말썽꾸러기 문제아 취급해요. 그런 아들이 너무 안쓰러워서 고민하던 밤에 우연히 이 영상을 보내요... 너무 감사합니다. 이름부르면 회피하는 아들.. 좋은 기억을 심어줄수 있도록 해보고 아이컨택 연습 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jinsunbang1912
@jinsunbang1912 Жыл бұрын
천천히. 꼼꼼이 해주시는 설명덕에 저도 온유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느낄수있게되네요. 사랑으로 가르친다는게 바로 이모습인듯 하여 감동입니다😊
@user-pz4jz5qd7y
@user-pz4jz5qd7y Жыл бұрын
저희 아이의 성향이 고스란히 보여서 너무 공감했습니다 생각하기전에 행동이 먼저 불쑥튀어나오는 성향이... 정말 힘든시간이었지만 지금은 많이 좋아졌습니다 아직도 많은 부분 다듬어져야겠지만요^^;; 소장님 영상을 보면서 아이에게 어떻게 대해야할지 다시한번 다잡아봅니다
@Mtharapy
@Mtharapy Жыл бұрын
놀이치료 미술치료 행동치료사 이시네요 수준이 그냥 차료사! 놀랍습니다. 학원이라는 곳에서 모두가 이렇게 아이들을 대해가면, 그 수준이 이렇게 까지 높아진다면 생각만해도 멋진일입니다. 좋은대상을 만나 치료되고 회복되는.대상관계이론 .. 누군가에게 좋은 대상되어주는 어른이 많아지길 기대해 봅니다. 좋은 스킬을 일반화 대중화 되도록 영상 만들어 주셔서감사하고, 촬영에 협조해주신 민준이와 부모님께도 그 선한 영향력에 감사하고 감동입니다.
@user-vv9tf3qh5n
@user-vv9tf3qh5n Жыл бұрын
정말 보는 내내 뿌듯하고 맘이 뭉클했어요. 그리고 반성하고 갑니다. 아이의 입장을 들여다보니 그동안 혼나왔을것만 생각하니 짠하네요ㅠㅠ 이렇게 최민준 소장님처럼 조금만 더 아이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습에 저 또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f1md6go2i
@user-nf1md6go2i Жыл бұрын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선생님이 계셔서 정말 다행이라는 생각이 또 한번 드네요. 잘 배우고 실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y3736
@ey3736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보고나니 눈물이 날 것 같고 내 아들한테 왜 이렇게 미안한지... 따뜻한 민준쌤의 말과 행동들이 그동안 힘들고 다치고 불안했던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것 같아서 맘이 찡했어요. 내 아이도 온유처럼 아직 미숙하고 서툴뿐인데 내가 그동안 너무 몰아 세우고 그 마음을 들여다 보지 못했구나 라는 마음에 맘이 몹시 아픕니다. 민준쌤 채널 보면서 많이 배우고 제 스스로도 위로받고 갑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우왕좌왕 하던 저도 뭔가 차분해지면서 갈길을 안내받는 느낌이랄까요... 아들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인간관계에서 적용하는 것도 너무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onbuildbridge
@onbuildbridge Жыл бұрын
최민준선생님이 많은 아이들을 구하네요^^ 공감력과 인내와 사랑에 박수를 보냅니다. 아래 댓글들보니 교육현장에서 고군분투중이신 선생님들의 댓글을 봅니다. 어찌보면 푸념같지만 아이들을 위해서 고민하면서 자료를 찾아보시고 어떻케 적용할지 고민하시는 선생님들을 보면서 참 존경스런 마음이 드네요^^ 최민준선생님.실제로 아이들의 시간을 많이 맡아보고 지도하시는 선생님들을 위해서 다수의 상황에서의 티칭도 프로젝트로 좀 올려주시기를 부탁드려요. 아이들의 교육의 현장에서 상황들을 만날때 지혜롭게 대처할수 있는 팁들이 많이 필요할듯 합니다. 물론 저는 교사는 아니지만 아이들을 맡으신 선생님들의 글을보며 깊이 공감되네요. 부탁드려요.
@psy2542
@psy2542 Жыл бұрын
아이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이 느껴지네요. 제 안의 어린아이도 함께 위로를 받았구요ㅜ 진정한 교육자이십니다. 아들 초등저학년때 목동에서 일산본원까지 전철타고 다녔는데 지금은 분원이 여기저기 많이 생겼네요. 잘될줄알았어요ㅎㅎ 지금은 중3, 제키를 훌쩍 넘긴 아들이지만 아직도 최민준선생님의 아들이야기를 들으며 아들을 이해하는데에 큰 도움받고 있어요. 언제나 응원합니다!!!
@click2hope
@click2hope Жыл бұрын
너무 귀한 동영상이네요. 다소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야할지 몰랐는데, 보면서 너무 많은것을 배웠습니다. 온화하면서 단호하게 가르치는 법도 알려주시고, 아이들이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도 깨닫게 되서 너무 감사합니다
@jjongipark3369
@jjongipark3369 Жыл бұрын
민준소장님 유투브는 그냥 눈물이나요ㅠ 아이를 생각하시는마음이 너무잘느껴져서 그냥감사해요 저도아들둘맘이라 오늘도공감되고배우고갑니다 온유야너는 사랑받을자격이충분히있고 그자체로 소중하단다 건강하렴^^
@jspapa_120
@jspapa_120 Жыл бұрын
아이를 진심으로 대하는 선생님의 자세가 저를 반성하게 하네요... 오늘 제가 이방송을 본건 정말 행운인거 같아요. 선생님의 반응에 변화된 아이의 행동이 너무 뭉클하고 저도 저희 아들에게 좀더 신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관계가 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내용 부탁드려요!
@user-jx4qw3iy7r
@user-jx4qw3iy7r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아이 웃는 모습이 너무 예뻐서 눈물이 나오네요ㅠㅠ
@user-rc5uf5vn4i
@user-rc5uf5vn4i Жыл бұрын
문제는 학교 교실에는 아이들이 많아서 교사가 저런 아이 하나하나만 맞춰주지 못한다는 점 같습니다. 저런 성향의 어린이 한명만 데리고 수업한다면 학교선생님들도 그렇게 힘들어하시진 않겠죠.
@user-orangeblue
@user-orangeblue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마지막 영상에 아이가 눈맞춤 하는 걸 보니. 너무 좋네요. ^^
@p2heart
@p2heart Жыл бұрын
개인 수업에서나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아이에게만 집중해서 케어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누구나 사랑스럽고 짠하죠. 여러 아이들과 어울리는 과정 속에서 교육시키는 방법을 알려주셔야할 것 같아요. 개선되지 않는 행동에 같은 학급의 아이들은 끊임없는 공포에 노출되기도 합니다.
@user-cs9fg8fi8j
@user-cs9fg8fi8j 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저도 1대1이면 백번천번 선생님처럼 하겠어요ㅠ 근데 다수를 가르치고 지도하는 상황에서 저런아이는 진짜 답이없어요ㅠ 이제 이런아이 지도하는 1대1말고 사회에서 살아가야 할 저아이를 지도하는 1대 다의 상황에서의 솔루션도 제발 좀 주세요ㅠ 이런 영상으로 부모들은 다 선생님같이 대해주기만을 원하고 조금만 더 세개 제재해도 민원만 제기하고 진짜 교육 현장은 망해가요 평범한 아이들이 불쌍합니다ㅠ
@user-bd1io8tt4t
@user-bd1io8tt4t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소장님의 영상 중에 저에게는 가장 빛과도 같은 영상입니다. 이 영상을 공유해주심에 진심으로 감사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적응해 나가야 하겠지만 머릿속으로 복잡하고 심란하기만 했던 것들이 조금은 정리되는 느낌이에요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jiagil9250
@jiagil9250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감동적입니다. 마음이 울컥울컥 해요. 진정한 스승님 이십니다.
@user-od6wn4qp7x
@user-od6wn4qp7x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현재 중등임용고시를 준비하면서 아이들 지도에 대해 자주 생각하게 되는데요. 아이가 하는 말이 어른을 무시해서가 아니라 충동적, 맹목적으로 나온다는 것 잘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의 성향과 행동을 오해하지 않고 잘 파악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네요...! 교단에 서게 되었을 때, 따뜻하고 온화한 마음으로 모든 아이들을 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양한 기질의 아이들이 편안하게 생활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어른이자 교사가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온유가 엄마의 부름에 웃으며 눈맞춤을 하는 모습 너무너무 이쁘네요❤️❤️
@user-jy5m
@user-jy5m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선생님~😊
@xxxsion
@xxxsion Жыл бұрын
“똥미사일…뒤로 불미사일…” 최민준 소장님 짱 👍 제 아들도 동영상 아이와 비슷한 면이 있었더랬죠. 온유 어머님, 힘내세요! 모든 걸 저렇게 본인이 몸으로 부딪히고 확인하면서 배우고 그 고비를 넘겼더니, 지금은 사회성도 아주 좋은 아이로 성장했어요. 주변에 나쁜 아이로 찍기보다 포용해 주신 분들 덕분이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그 분들 모두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단호하셨더랬죠. 집에서는 끊임없이 도덕에 관련된 책을 같이 읽고, 동영상도 보여주었구요. 학교에서 본인이 다른 아이로부터 주먹으로 맞기도 했었죠. 덕분에 역지사지를 배우게 되어, 전 정말 다행이었다고 생각했더랬죠. 그리고 전 아들이, 자기를 때린 아이와 철천지 원수처럼 지낼 줄 알았는데, 그 아이가 다른 아이한테 맞을 뻔한 상황에서 도와 주었다고… 선생님을 불러와서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었다고… 아들들의 세계… 엄마들과 선생님들의 상상을 뛰어넘습니다 😅 최민준 소장님 말씀처럼, 에너지가 너무 넘치는 세계에요 ㅎㅎㅎㅎㅎㅎㅎ 아참, 서로 치고 박던 녀석들, 중학생이 된 지금 다 학업도 열심히 하고 어른스럽게 성장했습니다😊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매일 20초 동안 아이 안아주자 나타난 놀라운 변화
7:53
책식주의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자기 주도성 이 영상 하나면 해결!
13:17
오은영의 버킷리스트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