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보내려는 부모들 VS 나가지 않으려는 자녀들, 쫓아내려 소송까지? / 14F

  Рет қаралды 129,266

14F 일사에프

14F 일사에프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성인이 된 이후에도 부모로부터 경제적 독립을 이루지 못한 일명 ‘캥거루족’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가족과 집에 사는 젊은 성인 비율은 지난 20년간 87% 이상 증가했는데요. 보통 성인이 되면 독립하는 게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던 미국 사회에서 이러한 변화가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국 #캥거루족 #두머

Пікірлер: 352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Ай бұрын
한국 N포 세대, 일본 사토리 세대, 중국 탕핑족, 미국 두머 세대, 부르는 용어는 살짝 다르지만 원인과 결과는 대부분 비슷한게 소름
@user-yp6cv3qw3t
@user-yp6cv3qw3t Ай бұрын
자본주의의 한계에 봉착해가는듯
@asradazero
@asradazero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대기업 등 특정기업이 이익을 몰아갖는 구조, 한없이 치솟는 부동산 가격. 이 두가지가 해결이 안되면.... 미래가 암울하기만 합니다. 자본주의가 지속하기 위해서라도, 다시한번 수정/보완을 해야 할 듯 하네요.
@user-gb1ve8hg2z
@user-gb1ve8hg2z Ай бұрын
결국 중국이 패권을 잡게될 확률이 매우 높음
@marinesoundstage9986
@marinesoundstage9986 Ай бұрын
일본이 20년전에 먼저 경험했고 10년전부터 한국, 최근에는 미국, 중국이 그런 듯...
@nupttics
@nupttics Ай бұрын
@@asradazero 저도 동의합니다. 대기업이 이익을 몰아서 가져가기도 하지만 그 안에서도 임원들이나 오너가 가져가는 돈이 너무 많다는 생각입니다. 그들의 아이디어와 선택, 결정이 큰 이익을 가져온 건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엄청난 이익을 가져간다는 건 공정하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엄청난 소득격차로 인한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큰 주범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가격의 상승으로 아랫 세대가 집을 사기도 어려워지고 상업빌딩도 월세가 자꾸만 상승하니 그에 맞춰 가게의 물건이나 음식의 가격이 상승하고 그에 맞춰 임금도 덩달아 상승해 버리니 이건 뭐. 모든 게 오르기만 하는 이 현상이 맞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StaySimple538
@StaySimple538 Ай бұрын
‘독립’ 이라뇨ㅎㅎ 미국 학교 다닐때도 용돈 생활비 집세 다 대주고, 심지어 취직하고도 월세 지원 받는 애들이 태반이에요
@casebycase_904
@casebycase_904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사립학교 다녀보니 잘 사는 애들 다 저렇게 살아요. 결혼할때 증여도 오지게 받고
@always22_63
@always22_63 Ай бұрын
부모가 다큰 자녀가 함께 사는걸 너무 죄악시 하지 마라 가족이 함께 사는게 뭐가 잘못인데 결혼 해서도 손주 돌봐줄수도 있고 3대가 함께사는건 원래 인류의 원초적인 가족 형태다
@YJ--
@YJ-- Ай бұрын
@@casebycase_904 증여세 없는 미국 상속세도 200억 부터이던가
@je7102
@je7102 28 күн бұрын
하나라도 더 해주려 상속법 뜯어고치는 나라가 미국임.. 중산층 정도만 돼도 독립 이후에도 차비, 렌트비, 등록금, 생활비 부모가 해주는걸 당연하게 알고.. 신체만 독립했지, 경제적 독립은 늦음
@casebycase_904
@casebycase_904 28 күн бұрын
@@YJ-- 결혼할때 20mil 까지는
@joeslin
@joeslin Ай бұрын
집값이 천정부지인데 나가긴 어딜 나가 갈데가 있어야 나가지 풀타임 일을 해도 집세로 반이상 써야되는데 누가 나갈려고 하겟냐
@M-chang_min-1zzit
@M-chang_min-1zzit Ай бұрын
훠훠훠가 아주 큰일을 했노
@always22_63
@always22_63 Ай бұрын
부모가 다큰 자녀가 함께 사는걸 너무 죄악시 하지 마라 가족이 함께 사는게 뭐가 잘못인데 결혼 해서도 손주 돌봐줄수도 있고 3대가 함께사는건 원래 인류의 원초적인 가족 형태다
@chkygp391sam8
@chkygp391sam8 Ай бұрын
세금을 내려야~~ 미국 재산세가 그리 어마어마 하니 월세는 오죽하랴!! 머리좀 쓰고 생각좀 하면서 세금 걷어야 될텐데 정치인들이 포퓰리즘이다 머다.. 돈풀어대니 유동성 넘쳐 집값은 더 오르고.. 에혀.. 먼짓인지...
@vvv9317
@vvv9317 Ай бұрын
@@M-chang_min-1zzit 가난한데 2찍을 한게 인생 업적
@user-ix2qe6sc6f
@user-ix2qe6sc6f Ай бұрын
직장다니고 자기 밥벌이하면 부모집에 산다고 누가 욕하냐ㅎㅎ.
@user-nm7vm1yw3n
@user-nm7vm1yw3n Ай бұрын
지금 이 끔찍한 상황이 우리나라 만의 문제는 아니었군요.. 깊이 반성합니다... 주택가격 상승은 정말 나라를 망조로 들게 하는 주원인 입니다. 제발 위정자들은 각성하시길.
@HK-pz9sf
@HK-pz9sf Ай бұрын
미국내 캥거루족의 급증은 코로나가 단단히 한 몫했습니다. ㅠ 대학 졸업과 동시에 취업준비로 컴백홈 & 스테이 홈 했던 자식들이 직장 따라 나가 살다가 팬데믹으로 근무 조건들이 대거 리모트로 바뀌면서 굳지 비싼 월세를 내며 회사가 있는 도시에 머물 일이 없으니, 다시 부모 집으로 컴백홈 . 이후 삼식이들이 되서 부모는 그 팬데믹 기간동안 밥 해대고 이후 팬데믹 이후 다시 나가 살려나 했더니 했더니,, 이후 미국 경기 침체가 오면서 대거 실직 줄줄이 시작 실업자 되서 다시 재취업 준비한다고 눌러 앉고 , 아니면 ,, 계속 치솟는 월세, 생활비 부담에 돈 좀 더 모아서 분가 하겠다고 다시 눌러 앉아 캥거루족으로 있는 경우 많아요. 문제는 부모집에 있으면서 자신들의 생활비로 나가는 돈이 적어지니, 그돈을 명목상 돈 모은다 하지만, 대부분, 자기들 하고 싶은 걸 다하며 지출을 해댐. 미국도 식당이니 어디니 가보면 전부 20대30대 젊은 애들이 80% 이상 . 즉 부모집에 얹혀서 여행다니고, 값비싼 외식 친구들과 자주도 하고, 남녀 모두 자신들이 하고 싶은 모든 소비는 다 하고 다님.
@yundee716
@yundee716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성인인 자녀가 집으로 다시 들어와서 살수 있도록 집을 레노베이션을 할경우(부엌이 있는 별도 스위트를 만드는 작업) 최대 5만불까지 지원을 해줍니다. 워낙 주택난이 심하다 보니, 독립해서 세를 얻느니 부모와 함께 살도록 권장하는 셈..
@user-gv4zf3ek8v
@user-gv4zf3ek8v Ай бұрын
캐나다5만불 누구코에붙이나요ㅋ
@always22_63
@always22_63 Ай бұрын
부모가 다큰 자녀가 함께 사는걸 너무 죄악시 하지 마라 가족이 함께 사는게 뭐가 잘못인데 결혼 해서도 손주 돌봐줄수도 있고 3대가 함께사는건 원래 인류의 원초적인 가족 형태다
@user-jb4bp5xp1s
@user-jb4bp5xp1s Ай бұрын
중국때문인듯. 우리나라도 중국인 집 보유가 엄청남. 전세사기도 중국인이 윗대가리고.
@moonster1632
@moonster1632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상속. 증여세가 없어서 개꿀.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복지국간데 미국과 달리 청년수당 안주나요??
@yskim7827
@yskim782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사교육 금지 조치 해야할 정도로 말기 암환자 수준. 옆나라 일본 도쿄만 와봐도 최우수 학생들 아니면 사교육 없이도 동아리 활동하면서 행복하게 잘 살아감. 전세계에서 물리학원은 제일 많지만 노벨 물리학상은 한개도 없는 안타까운 현실.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Ай бұрын
ㄹㅇ 지금당장 사교육 빡센 중국보다도 토지면적 대비 학원수 더많을듯..
@user-zb2ru2dq6n
@user-zb2ru2dq6n Ай бұрын
아마도 30년 후 물리학원의 효과가 나타나겠죠 ㅎㅎ
@DDDDTTTTDDDD
@DDDDTTTTDDDD Ай бұрын
진짜 세상이 한 번 뒤집어져서 다시 세워진다면 집만큼은 공산당식이든 독재든 자본주의식이든 나라가 책임지고 제공하는 세상ㅇㅣ 왔음 싶다. 주거시설로 임대료 받아쳐먹는 일도 없게끔
@je7102
@je7102 28 күн бұрын
뭔가 오해를 하는데, 스무살 되면 독립~ 원래의 미국도 안 이랬어요.. 차 사주고 렌트비 내주고 학비, 생활비 다 내줌. 걍 몸만 떨어져있지 경제적 독립 한 애들 거의 없었음.. 특히 화이트 칼라 직업을 가지고자 한다? 부모가 본인 입에 풀칠할정도만 되면 지원해주고 지원받는게 당연한거였고... 솔직히 부모랑만 같이살 뿐이지 알바해서 생활비 쓰는 한국 애들이 더 독립적인거지... 미국이 얼마나 자식한테 하나라도 더 주려 혈안이 된 나라인데....
@dri13829
@dri13829 27 күн бұрын
미국 드라마, 영화가 이상한 서구 사회의 편견을 심어 놓은 거죠.........
@tropicalek
@tropicalek 12 күн бұрын
가정마다 다르죠. 제 주변엔 대학때부터 같이 사는 아이들에게 형식적으로라도 작은 렌트/ 식비 받는 부모도 많아요
@user-xk4jk7jj6z
@user-xk4jk7jj6z 10 күн бұрын
상식적으로 20살된 애가 무슨 힘으로 경제적 독립을 한다는게 말이 안되죠.
@myetoilemika7463
@myetoilemika7463 Ай бұрын
미국은 월세가 너무 살인적이라 대학생의 경우 20대초반은 힘들죠. 유럽도 독립적이라 보기 쉽지만 어느 정도 돈이 있는 부모는 자식의 월세를 지원합니다. 제 스위스인 지인처럼요.
@je7102
@je7102 28 күн бұрын
렌트비만 지원하나요.. 중고차, 학비, 생활비도 보조해줌.. 경제적 독립이 늦죠
@user-mw2gk5ly1p
@user-mw2gk5ly1p Ай бұрын
한국에선 이미 10년전부터 있었던일인데… 미국에선 이제서야.. 이런거보면 한국은 이미 자본주의의 끝판을 미국보다 먼저 겪은거 아닐까 싶어요
@songdoj1653
@songdoj1653 Ай бұрын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1명이하 출산율의 미래도 우리가 선도한다
@pokegenstein
@pokegenstein Ай бұрын
빨리빨리 문화가 엑셀은 있는데 브레이크가 없음
@user-bw5de5ut5e
@user-bw5de5ut5e Ай бұрын
이게 미국이라는 동내가 워낙 끼리끼리 모이는 사회고 개인적인 질문을 하는게 실례라서 알지못해서 그렇지 잘사는 집안 모인곳은 다들 지원엄청나게 해준다고함 거기다가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는게 당연한 사회라 우리나라보다 심하면 심하다고함
@user-mf5lg4rg2m
@user-mf5lg4rg2m 13 күн бұрын
뭐든지 빨리빨리 문화 그래서 경제성장도 초스피드로 해냈고 민주주의도 빠르게 이뤄냈지만 나라도 초급속도로 늙어가면서 제일 빠르게 망해가는중
@Liztime1042
@Liztime1042 Ай бұрын
집값, 렌트값이 몇년 전 만이랑만 비교해도 이렇게 차이가 많이 나는데 전이랑 비교하면 안되지 않나요?..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Ай бұрын
오바마도 졸업 후 13년만에야 학자금 대출 다 갚았다고 할 정도니, 말 다했지.
@W0rldfire
@W0rldfire Ай бұрын
그것도 책이 베스트셀러 돼서ㅋㅋㅋ
@myrmoi
@myrmoi 27 күн бұрын
미국 제도에 대해 잘 모르시는 듯 한데 학자금 대출은 대출이자가 매우 낮고 학교를 다닐 때에는 아예 대출 이자가 없습니다. 거기에 학자금 대출에 대한 공약은 매번 나오기 때문에 아무도 갚으려 하지 않죠. 그냥 최소한으로 걸어놓고 사는 겁니다.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어 갚은 것도 아니고 대선 출마가 가까이 오니 문제가 될 만한 소지들을 없애기 위해 갚은 거죠. 학자금 대출이 문제가 될 정도면 시카고에 그 큰 집을 사서 살지는 못했겠죠? 그리고 당시 오바마 부부의 연봉이 10억이 훨씬 넘는 금액이었네요. 갚으려고 맘만 먹었으면 언제라도 갚을 수 있는 부호였습니다.
@darkrok6948
@darkrok6948 Ай бұрын
기득권이 포기를 하는게 있어야지 자녀들이 떠날수있는거다 생각을 해봐 월세 미국의 경우에 수백만원 이상이 나간다 근데 이걸 사회 초년생이 감당이 가능하겠냐? 현재의 기득권은 월세를 많이 받을수가 있으니까 이득이라고 생각을 할수있겠는데 저러면 자녀의 독립역시 늦어지는거라 답이 안나옴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Ай бұрын
동감요
@user-rd5ut6kc9e
@user-rd5ut6kc9e Ай бұрын
기득권? ㅋㅋㅋ 그럼 집산거 무료로 나눠주니?
@GFD0116
@GFD0116 Ай бұрын
나도 판교 월세로 내 월급 다 날라감... 그렇다고 일을 관둘수도 없고.. 하...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동의.
@normal77079
@normal77079 Ай бұрын
그 말이 굉장히 이상한거야. 기득권이라 하는데 기득권의 주체는 누구고 무엇을 포기해야함? 바로 옆에 있는 상사? 사장? 어디라고 정확히 말 못하면서 무엇을 포기해야 한다는건지 애매한거임. 본인도 1~20년뒤면 소위 기득권이 될텐데 새로 진입한 세대가 우리 앞길을 막으니 기득권을 내려놓으라면 무엇을 말하겠음? 직장? 내 재산? 아니면 내 커리어? 딱 무엇이라고 말할 수 없으면 기득권이라 하지 마시길. 그리고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월세를 어떻게 해야겠음? 방법이 없는거임. 수요는 넘치는데 공급이 부족하면 당연히 공급자가 선택지 많아지는거임. 시골이나 지방에 가보길. 100에 30만원대 밝고 넓은 집 수두룩함. 왜 그러겠음. 찾는 사람이 없는거지. 이걸 기득권이자 이득이라 말하면 답없는거임.
@papajin316
@papajin316 Ай бұрын
자본주의의 끝에서 나오는 부작용은 아닐까 생각되네요.. 좋은 제도들이 뒷받침되어야 할거같습니다
@doaya27
@doaya27 Ай бұрын
사람 사는거 다 똑같네요😂
@chensuyong2300
@chensuyong2300 Ай бұрын
미국인 독립심이 강하다는 말은 순구라임. 예전 미국에선 물가도 싸고 취업도 쉽고 대출도 쉬웠다고함. 상황이 유리하면 독립하고 불리하면 부모에 의지한다? 그게 무슨 독립정신이야? 상황이 어려워도 불굴의 정신으로 홀로 헤쳐나가야 진짜 독립심이지. 아니, 그럼 세계에서 독립심이 없는 민족이나 국가도 있냐?
@TV-yr7px
@TV-yr7px Ай бұрын
맞음.. 사람은 다 똑같음.. 환경에 맞춰 사는 것 ㅋ
@mapx2100
@mapx2100 Ай бұрын
모든 사회적 문제는 신용으로 찍어내는 법정화폐의 사용에 있는거 같네요. 부의 증가가 골고루 분배되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문제들이 자산 인플레이션의 모습으로 지금은 전세계 모든 곳에서 나타나고 있어요. 결국 이 문제에 대응하고자 다시 법정화폐를 찍어내고 있는 악순환의 굴레에 빠져있죠. 각자도생의 시대입니다.
@wpoijwelifongewqth2775
@wpoijwelifongewqth2775 Ай бұрын
독립도 돈이 있어야 가능한거임 지금 젊은이들은 헬파티임 하고싶은것과 할수있는건 점점 늘어나는데 돈은 없음
@HEE--eq8yq
@HEE--eq8yq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모방한 사회가 미국인데 당연히 비슷할 수 밖에.. 우리가 미국보다 빠른 수순을 밟은 것 뿐이지..
@NanaNana-im5rb
@NanaNana-im5rb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어케 나가 ,,, 돈이 없는데... 구직난에 ,,, 집세 진짜 개개 미쳣음,,,,,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Ай бұрын
솔까 우리 2030은 캥거루도 아니고 20살 넘어 성인되서도 자립은 커녕 1인분 못하고 스스로 살 능력조차 없는 상태인거 같다. 난 그 원인중 하나로 의미없는 경쟁뿐인 입시교육이라 생각함.
@_kkjg09
@_kkjg09 Ай бұрын
대부분은 1인분 잘 하고 살아감. 본인이 도태됐다고 남들도 그럴거라 생각말길.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Ай бұрын
@@_kkjg09 긁?ㅋㅋㅋㅋ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Ай бұрын
캥거루도 캥거루 나름이고 우리나라 2030은 미성년자땐 부모로부터 엄청난 통제와 스트레스를 받고산다 자취도 앵간해선 허락 잘 안해줌 그래놓고 나중에 이제 니 인생이니 니가 알아서 하라고 말함 그동안은 대학가면 다 해결될 것처럼 가스라이팅 ㅈㄴ게 했다가 좋은대 못갔다고 꼽주고 좋은 직장 못갔다고 꼽주고 미국 캥거루랑 우리나라 캥거루는 경우가 다르지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Ай бұрын
@@lattecream3104 막상 싼 금액인 곳에 자취한다고 하면 위험하다고 기각, 여기는 위생이 어쩌고 기각 밖에서 고생하지말고 들어오라고 한다 부모랑 사이좋지않은 거 아닌이상 왠만해선 자취 쉽게 허락못받아요~
@myetoilemika7463
@myetoilemika7463 Ай бұрын
​@@user-ch1jf6hy9y 대학생때 단순한 까페 아르바이트도 못하게 했던 일이 떠오르네요.
@audreyseo
@audreyseo Ай бұрын
달러를 원화로 변환해서 같이 읽어주시면 더 유익할 것 같아요!
@blackdragon6247
@blackdragon6247 Ай бұрын
미국 보스톤 외각 세후 월세 월급의 33% 를 내야하는데 최소 8만불 넘게 받아야 감당하고 또 검소하게 돈을 모아야 미래 집을 살 수 있는데 편안함을 추구해 외식하다보면 어느새 월급안 모임. 더 치열하게 더욱 지능적으로 되어야 돌출구를 찾게되는데 자기관리도 안되거나 지능을 개발해야 겠다는 의지력 상실과 자존심만 센 경우 현실타파보다는 현실도피하는 쉬운 길을 선택하는 분위기가 많음. 만약 취업이 아니라 공부해야하는 경우 감당이 안되는 현실임.
@potatochipss1
@potatochipss1 Ай бұрын
은행들이 돈을 계속 만들어대니까 그럴수 밖에… 덕분에 다른건 다 비싸지고 월급은 그만큼 안오르니 어쩔 수 없는도리.. 청년들은 자산을 살 돈이 없으니 독립을 못하는것.
@cocoblanc4197
@cocoblanc4197 Ай бұрын
그냥 해 주는 밥 먹고 직장 다니는게 최고다. 모이는 돈이 다름. 같이 사는 부모님에게 생활비 보태도 자취 하는 거에 비하면 엄청 모을 수 있음.
@user-zw6hq5le5c
@user-zw6hq5le5c Ай бұрын
어릴때가 좋았다..
@user-ev8vr3vi7k
@user-ev8vr3vi7k Ай бұрын
이제 동서양을 막론하고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어쩔수가 없는 현상인 듯... 실질적인 성장은 적은데 주식이라는 매개체로 미래 가치를 댕겨쓰니 인플레이션이 심해지고, 상대적으로 자본과 지식이 부족한 젊은 세대들이 따라갈 수 없는거지
@enigma7998
@enigma7998 Ай бұрын
월세내고 살면 평생 뼈빠지게 일해도 내집하나 마련하기 쉽지않으니 어떡하겠냐 뭉쳐서 살아서 주거비용이라도 아껴야지 ㅉㅉ 집값 내려가면 난리난다고 하는데 집값은 폭락시켜야 행복한 사회가 된다
@SHNSY
@SHNSY Ай бұрын
미국사는 30대, 요즘 좀 빡세긴함
@astepir
@astepir Ай бұрын
고쓰린데 미래가 걱정되네요...
@user-wx8kd1rj9y
@user-wx8kd1rj9y Ай бұрын
ㅜㅜ 힘든 시기시네요 그래도 미래 걱정은 일단 접어두고 현재 있는 일에 집중하시면 좋은 미래가 잘 이어져 있을 거예요~ 응원합니다😊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Ай бұрын
매일 10시간 이상 공부하는데도 막막함..
@RedmaxSky
@RedmaxSky 16 күн бұрын
미국 문화 대학교생활에 대해 마니 시대적으로 변화됬다는 느낌을 알고! 있어서 신기햇네요!ㅎ 저는미국 보단 캐나다 경험 해보고! 싶네요^^😊😊😊😊😊😊😊😊😊😊
@user-nr4hc4bd6t
@user-nr4hc4bd6t Ай бұрын
돈풀어 집값 폭등시키는 미국민주당 찍었음 감내해야지 바이든과 옐런의 돈풀어 수요 진작시키는 고압경제~~~
@user-he5sn5hw5l
@user-he5sn5hw5l 29 күн бұрын
고1아들도 아무리 사춘기 질풍노도 지랄발광은 할 지언정.가출은 하지 않습니다.제가 속터져 가출을 합니다.ㅠㅠ
@js_41
@js_41 Ай бұрын
확실히 경제대국 1위 국가답네.. 쟤네는 늦어지는거지 우린 아예 박살났는데ㅋㅋㅋㅋ
@user-up8uo8er3w
@user-up8uo8er3w Ай бұрын
진짜 부동산으로 재산투기하는거 자체를 뭐 어떻게 해야됨 좀 다른걸로 재산놀음을 해야지 살수는 있을거아님 자기 몸 누일공간도 없는데 청년들이 애를 낳겠음?
@charone4785
@charone4785 Ай бұрын
이런 현상 너무 좋아 😂😂😂
@user-je5is3es6v
@user-je5is3es6v Ай бұрын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국가들도 비슷한듯
@user-dd8ph4kw2s
@user-dd8ph4kw2s Ай бұрын
이전에는 대학을 안가도 소득의 차이가 크게 없었는데 지금은 격차가 상당히 커지니까 빚을 내서라도 대학에 입학하는 사람이 많아졌고 자연스럽게 대학 주변 물가가 오르니까 경제적 부담이 됨 그 상황을 해결하겠다고 바이든이 학자금 대출을 대신 갚아주겠다고 선언. 이 때문에 어마어마한 돈이 풀리자 코로나와 맞물려 10%에 가까운 물가상승. 수출로 가격변동이 심한 식료품 위주의 물가상승인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서비스(교통, 보건, 집, 인건비) 위주의 물가가 상승한 미국의 집세는 더 오를테고 경제독립은 더 힘들어짐.
@vsy56
@vsy56 Ай бұрын
실제로 대출을 갚아준것도 아닌데 무슨 돈이 풀리나요…;;
@user-dd8ph4kw2s
@user-dd8ph4kw2s Ай бұрын
@@vsy56 엣....실제로 채무탕감해주고 있어요 ;; 그래서 미국 채권이 많이 풀리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했고 이 때문만은 아니겠지만 연쇄적으로 미국의 신용등급이 낮아지는 일도 있었죠
@qusmable
@qusmable Ай бұрын
미국애들은 원래 저런 정책 풀린다는 뉴스만 나와도 소비 자신감이 올라가요. 근자감의 나라 미국
@ginaeunjinkim-lee7464
@ginaeunjinkim-lee7464 Ай бұрын
불경기에도 소비 위축이 없는 대단한 나라. 그래서 경기가 계속 잘 돌고 있는? 도는 것처럼 보이는? 나라. 한국 중국은 소비자들 주머니 꽁꽁 싸매는데 미국만 펑펑 쓰는중
@shinjeongk
@shinjeongk Ай бұрын
@@ginaeunjinkim-lee7464달러 패권으로 악재를 전세계에 퍼주고 혼자 호황 누리는 중이죠. 마음같아서는 누가 한번 뒤집어 엎어줬으면 싶네요.
@darkrok6948
@darkrok6948 Ай бұрын
기득권이라고 볼수있는 현 20대~30대의 부모가 그만큼을 희생하지 않는한 가망이 없어 독립을 할때 가장 큰 부담이 월세임 최근에 월세 꾸준하게 올랐고 집값도 마찬가지로 엄청나게 오름 근데 이걸 사회 초년생이 부담을 할수가 있을까? 없어!! 부담할수가없으니 캥거루로 머무는거 세대를 어울러서 어느정도 합의를 해서 적당한 월세 적당한 집 가격이 정해져야 하는데 그딴건 없지 기득권 자산가치가 오른만큼 그만큼 자녀 세대 부양은 필연적인거임
@normal77079
@normal77079 Ай бұрын
굉장히 애매한 이야기를 하는거임. 부모의 희생? 무엇을 원함? 집을 팔아서 본인에게 주길 바라는건지. 아니면 부모의 직업이나 직장? 아니면 통장? 무엇을 희생하라는거임? 적당한 월세의 집을 마련하려면 주공아파트나 임대 아파트가 늘어야하는데 mz애들 이야기 들어보면 극혐하더라고. 기득권이란 단어도 굉장히 두루뭉실하고 무엇을 희생해달라는 말도 그냥 네가 알아서 판단해라 밖에 안보임. 목적어를 이야기 해야지. 그렇다고 부모가 직장을 그만두면 그 직장이 자식한테 올건가? 그것도 아니잖아. 원래 사회초년생은 힘든거임. 사회 초년생이 무슨 돈을 많이 주겠음. 주체적으로 일을 시킬 수 없고 배우는 나이대인데 어쩌겠음. 그걸 못받아들이니까 스스로 자학하는거고 외부 문제로 돌리는거임.
@user-hc3jc7nr4l
@user-hc3jc7nr4l Ай бұрын
기득권은 60대보단 70대이상노인층이지
@KHJH1987
@KHJH1987 Ай бұрын
미국의 저런 마인드 진짜 마음에 든다..근데 저건 미국이라 가능한거지 ..한국에서는 불가능 ..
@CutSoo
@CutSoo Ай бұрын
상류층 얘들 철저히 지원받음. 서민층들은 노후대책이 안돼니 독립하라고 아우성이지
@sunny1247
@sunny1247 Ай бұрын
독립심 쩌는 미국이 저럴정도면 돈앞에서 인류는 모두 동등하다
@SwannieC
@SwannieC Ай бұрын
미국 학비 후덜덜 거기에 취직해도 바로 당일에도 자를수 있는미국 그런데 이미집값과. 월세도 후덜덜
@user-yd2gc6yi3h
@user-yd2gc6yi3h Ай бұрын
제자식들 대학 서울로 잘보냈네요 그때부터 떨어져 산지 20년이 넘었네요
@user-eb6dx1bb3v
@user-eb6dx1bb3v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하고는 다른 게 우리나라는 어른들이 다 큰 자식들을 애로 만들어 놓음
@TV-yr7px
@TV-yr7px Ай бұрын
미국이라고 다를 것 같소? 딴 나라 직접 살아보지 않았으면 함부로 비교 마소 ㅋㅋ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Ай бұрын
@@TV-yr7pxㄹㅇㅋㅋ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 Ай бұрын
전세계적 현상인듯, 이태리는 용돈소송까지 걸어서 자녀가 승리
@user-bd9tg6qt4u
@user-bd9tg6qt4u Ай бұрын
독립하면 본인이 누리는것 반은 포기해야함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Ай бұрын
미국하고 한국은 상황이 많이 달라요 ㅇㅇ한국은 부모의 통제가 엄청남 대부분
@4spikespiegel47
@4spikespiegel47 Ай бұрын
와~~ 한때 조ㅈ중똥에서 서양인들이 독립적이라고 입에 거품물고 칭찬하던 때가 있었는데 한국 청년들은 부모님 품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그렇게 깠었지
@seohenry922
@seohenry922 Ай бұрын
좆선일보
@user-lo8hs9jc8o
@user-lo8hs9jc8o Ай бұрын
니엄마
@genshinimpactgood
@genshinimpactgood 29 күн бұрын
유익
@whpwh
@whpwh Ай бұрын
한국만 캥거루족이 있는줄 알았는데 외국도 마찬가지네요~
@brianlee8529
@brianlee8529 Ай бұрын
와 집에 있을 수 밖에 없는데...
@user-hj8yd6yg4h
@user-hj8yd6yg4h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도 똑같다.
@junej5252
@junej5252 Ай бұрын
부동산 어떻게 안하면 국가 비틀림.
@user-wo5pi8mt6x
@user-wo5pi8mt6x Ай бұрын
축복받은 땅이라서 저런게 이제야 나타나네
@user-vg7ff6im1t
@user-vg7ff6im1t Ай бұрын
연봉 1억원은 극빈자인 미국사회... 독립은 어렵겠지요?
@user-kj3el4bj5m
@user-kj3el4bj5m Ай бұрын
우린 이미 저러고있는데 놀라울것도없지...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Ай бұрын
제가 보기엔 순환이 잘 안되서 그런 것 같아요. 1. 인간이 오래 산다. 그 사람들이 집을 차지하고 있다. 예전같으면 일찍 죽고 그 집은 더 젊은 세대에게 넘어갔을텐데... 2. 인플레로 집값이 너무 뛰었다. 바이든 노친네가 국채를 너무 찍어 인플레 답없음...한국도 국채 많이 찍는 대통령을 눈여겨봐라. 또한 개발에 대한 법적 제재가 많아졌다. 3. 이혼 등 가족이 아닌 1인 가구가 많아짐.. 위 세가지 문제가 제일 큰 것 같은데요;;; 한마디로 집이 부족합니다. 물론 그밖에 여러 요인들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경우엔 수도권에 너무 집중되어 살고 있음.. 북한이 탄도미사일 몇발 쏘면... 난리날텐데... 물론, 땅이 너무 작아서...ㅎㅎ 뭐 의미가 없을까나..
@normal77079
@normal77079 Ай бұрын
1. 의료기술의 발전을 깎아내릴 필요없음. 그리고 그 집은 노인과 기성세대가 대출없이 만기적금으로 만든 집임. 부모가 집 있으면 부모더러 빨리 죽으라며 고사지내는거임. 2. 어떻하겠음. 코로나 때 이미 다들 예견한거임. 새삼스러울것도 없음. 3. 2030이 결혼을 안하면서 이 인구가 그대로 1인가구로 대거 진입한것뿐 이혼은 상관없음. 4050 세대는 imf를 겪어봐서 미혼 가정이 많음. 나도 미혼이고. 경제력 상실이 가족 구성에 어떤 영향 주는지 직접 목도했기 때문에 결혼을 아예 포기한 사람 많음.
@SpaceMarineWarrior
@SpaceMarineWarrior Ай бұрын
1,3번은 잘못짚은것 같음 ㅋ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Ай бұрын
코로나로 인해 각종 제재를 할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돈까지 안풀면 어떻게 하라고? 인과관계를 따져보고 얘기해야지 돈을 풀어서 물가가 치솟았으니 무조건 돈을 푼 대통령이 잘못이다 이딴 논리가 어딧음? 왜 풀었는지는 아몰랑 알빠아님 이딴건가? ㅋㅋ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Ай бұрын
@@user-qf8fg5ht3y 풋.. ^^ 되게 단순하시고 어리석으시네요. 저는 그저 국채 많이 발급하는 대통령을 눈여겨 보라는 건데 말입니다. 국채를 찍는 것도 정도라는게 있는 겁니다. 왜 이렇게 어리석을까요.. 그리고 자산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밑바닦부터 아셔야죠. 님처럼 지식이 없는 분은 단순하게 밖에 생각을 못하니 지레 찔려서 난리치는 겁니다. 밸런스라는게 뭔지는 아시는지 궁금할 지경.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Ай бұрын
@@user-qf8fg5ht3y ^^왜 이렇게 오바해? 내가 너처럼 단순한 해석능력을 가진 사람을 위해 댓글 달았는 줄 암? 본인 발작버튼 하나만 보고 코로나로 연결 짓는데... 참,, 단순하다 단순해...
@sunjasan
@sunjasan Ай бұрын
난 크게 다치는 바람에 자의반타의반 캥거루됨 ㅠㅠ 벌었돈 다 치료비로 나가고 ㅠㅠ 이번생은 조졌다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아이고...ㅠ
@hyunjinlee2230
@hyunjinlee2230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다시 일어나실 거에요
@myetoilemika7463
@myetoilemika7463 Ай бұрын
아픈사람은 제외죠. 빨리 건강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firstclasskuksa
@firstclasskuksa Ай бұрын
살아있는한 희망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힘내세요
@user-es7xc8is2q
@user-es7xc8is2q 7 күн бұрын
아냐.용기내셔!
@uesr-a8vn3z0coj
@uesr-a8vn3z0coj Ай бұрын
전세계 경제가 망가졌네.. 개발도상국이나 아프리카 같은 곳도 아직 심각한데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조차.. 전쟁 불씨는 곳곳에 있고 청년들은 비관주의에 빠지고 정신병자 전쟁광 정치인들이 당선되고.. 그 와중에 기후 양극화는 심해지고 환경은 파괴되어서 인류 멸망으로 향하는 중.
@Therefore75
@Therefore75 Ай бұрын
아, 몰랑. 뻥치지마, 내가 아는 미국인들 중 그러는 애는 하나도 없어. 몰라몰라몰라~, 내가 헬조선이라면 그냥 헬조선인 거야. 미국이 그럴리 없어, 하여튼 한국은 헬조선이야!
@user-bj8iz4ox6u
@user-bj8iz4ox6u Ай бұрын
보이지 않는 힘의 세력이 제대로 인구 감축 프로젝트가 가동 되고 있구나..😏😏😏😏
@user-nb9tw7vu7x
@user-nb9tw7vu7x Ай бұрын
한국은 30-40대도 부모한테 붙어 살던데
@seniorpjy
@seniorpjy Ай бұрын
한국처럼 되가네...
@ancelmogarza9605
@ancelmogarza9605 Ай бұрын
멕시코도 결혼전까지ㅡ안나감
@user-lv1ce7jc5p
@user-lv1ce7jc5p Ай бұрын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는 이유가 있다 캥거루족이나 신캥거루족 현상은 꼭 나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가~??? 부모 세대가 부자이든 가난하든 넓은 집이든 좁은 집이든 같은 집에서 함께 생활한다는 것은 몇 가지 문제를 제외하고는 경제 침체기의 생존 비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결혼하지도 않은 부모 자식 세대가 굳이 분리독립할 필요가 있는가~???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인간적인 기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부모와 자식이 함께 살 수 있다면 긍정적인 측면도 많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함께 산다는 것은 경제적 의존이나 심리적 정서적 의존의 경향이 있어서 독립된 부모 자녀 세대에 비해 누군가의 희생을 강요하는 악마적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함께 노력해야 하는데 누군가는 죽어라고 일하고 누군가는 그 희생을 당연하게 요구한다는 것이다
@user-nf6vk3hz7z
@user-nf6vk3hz7z Ай бұрын
말씀하신 그 문제가 꽤나 골치아프다는게 문제라면 문제죠.
@user-kt7pz7qn2d
@user-kt7pz7qn2d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저런것좀 해줘라 ㅈㅂ….월세 어케 내고 사냐…
@lostbutter001
@lostbutter001 Ай бұрын
부모세대들이 다 쥐고 안놓으니까 여파가 그대로가는거지;;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그것보다 더 큰 문제는...아니...그것도 생각해보니 똑같네요. 확실히 가진자가 쌀 한톨도 내려놓기 싫어하니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군요. 부모세대뿐만 아니라 기득권 비기득권까지 전부 다요.
@normal77079
@normal77079 Ай бұрын
글쎄? 무엇을 놓아야할까? 부모가 집이며 통장부터 모든 경제적 자산을 자신에게 주길 바라나? 돌려말하면 재산을 물려달라는 소리인데 전제조건이 부모를 부양해야한다는건 알고 하는 말임?
@genielove4900
@genielove4900 Ай бұрын
우리엄마는 노처녀에..돈도없고 못생기고 맨날 화만버럭버럭내는 못된딸인데도 같이살자는데... ㅜ.ㅜ 엄마 사랑해 ...못내려가서 미안해요 ㅜ.ㅜ
@_kkjg09
@_kkjg09 Ай бұрын
애비 안계세요?
@lee78013
@lee78013 Ай бұрын
눈치도 없네 ㅋ
@TaserGun
@TaserGun Ай бұрын
웬만하면 같이 사십쇼
@user-bq8ol4qm6z
@user-bq8ol4qm6z Ай бұрын
대댓글 꼬라지 ㅋ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user-bq8ol4qm6zㅇㅇ대댓글 진짜 꼬라지가 장난 아니네.
@marteenjay
@marteenjay Ай бұрын
세상이 태어나자마자 수십년 전부터 살아온 시스템에 맞춰져 있고 새로 시작할 세대에게 맞는 시스템은 맞질 않으니 무언가 불협화음이 생기는 것. 인류가 탄생했으면 인간은 인류를 위해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한다. 더 이상 기득권들은 못 본척을 금하고 정신을 차려야 한다. 당신들은 짧은시간내에 죽는다.
@user-jp6jd5id2n
@user-jp6jd5id2n Ай бұрын
내가40살에 독립했는데 독립빨리할수록 좋아요 나이먹으면 자기고집이 쎄져서 각자살아야되요 년1회 부모님 만나는데 진짜 사이가 훨씬 좋아졌어요 모병젠군입대도 좋은방법이겠네 진짜 소송의 나라네 다시말해 전세계 베이비부머들의 삶이네
@user-to6cz7eb4t
@user-to6cz7eb4t Ай бұрын
❤미국이 한국따라 가네 ㅋ 점점 한국이 선행지표가 되는듯
@makchangolmok052-mz4uu
@makchangolmok052-mz4uu Ай бұрын
우리보다 몇배는 잘사는 국가보다 앞서간다니 너무 자랑스럽다~❤ 이대로 쭈욱 멸망까지 가보자잇~~
@user-es7xc8is2q
@user-es7xc8is2q 7 күн бұрын
​@@makchangolmok052-mz4uuㅋ😂😂😂😂ㅋㅋ.너무웃김
@0706cozy
@0706cozy Ай бұрын
이러니 자식을 안 낳지...큰 일이다 정말..
@dongmingim
@dongmingim Ай бұрын
알바 너무 오래하진 말자, 학교 댕기는 기분이여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Ай бұрын
미국도 부자들은 독립 안 시키거나, 독립시켜도 돈 다 지원해 주지. 가난한 사람들만 까질러 놓고 나몰라라 하지. 그럴꺼면 왜 까질렀냐. 데리고라도 살아라 최소한. 부모님 집에 살면 집세도 아끼고 공과금도 아끼고 식비도 아끼고. 부모님 집에 살수 있다는게 큰 메리트
@user-dn5hn1uj8e
@user-dn5hn1uj8e Ай бұрын
87%? 3억 인구... 100명에서 187명으로87%증가햇네요 ㅠㅠ
@paranoidandroid6918
@paranoidandroid691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랑 똑같네....
@bkhbjh
@bkhbjh Ай бұрын
캥거루족은 전세계군요... 근데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을 세우다니 좋네요! 오늘도 재밌게 봤씁니당
@rogue2586
@rogue2586 8 күн бұрын
부모님께 부담 끼치기 싫어서 학교 자퇴하고 친구네 집 차고에서 창업한 잡스가 진짜 위인이었네. 대학 안가면 학비 지출 세이브 되고 부지런히 일하면 30대 초반에 집 장만 가능합니다.
@smithjohn4713
@smithjohn4713 Ай бұрын
복잡한 사정으로 집에서 같이 머물 수도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성인이라면, 같이 사는 것에 대해서 기여를 해야 합니다. 살림하던가, 알바라도 하면서 생활비를 보태던가. 과연 그렇게 기여하는 자식을 매정하게 내쫓을 부모가 많을까요. 대부분은 그냥 어린아이때 처럼 아무것도 안하면서 이득만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저런 경우는.
@epdlqlem1234
@epdlqlem1234 Ай бұрын
저도 고3인데 배움에도 인생에도 뜻이 없어서, 졸업하면 부모님 집에서 지내면서 알바로 번 돈으로 취미나 즐기며 살다가 조력 자유 죽음 보급되면 그때 떠나려고요.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그러면 안됩니다...ㅠㅠ 부모 집에 있다는건 상관없는데 하고 싶은것을 찾아보세요...ㅠㅠ
@normal77079
@normal77079 Ай бұрын
이런 애들은 그냥 졸업하자마자 내보내고 집도 이사가버려야함. 그냥 자의적 히키코모리가 되려고하네.
@user-ko8yi3co2b
@user-ko8yi3co2b Ай бұрын
아직 어린것같은데,참 지혜롭네. 내나이50대. 왜 저나이때 저런생각을 못했을까나.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4학년인데 나도 2년전에 이런생각 했었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럴수 있지..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Ай бұрын
부모집에 살면 세이브 할수 있는게 꽤 많음. 독립하면 손해, 독립하면 개고생
@user-nb9xl1cf4m
@user-nb9xl1cf4m Ай бұрын
제가 부모고 능력이 있다면 자식에게 같이 살자고 먼저 조심스럽게 말을 꺼낼 겁니다. 그러면 자식이 돈을 좀 모아서 나중에 나가겠죠..
@biggatekim2062
@biggatekim2062 Ай бұрын
캘리포니아 패스트푸드점 알바비 최저임금이 시급20달러 입니다... 비싼월세만큼 임금도 상승해서 걱정이 안됩니다... 뭐가 문제인가요...한국은 최저임금은 쥐꼬리만큼 올랐고 월세 부동산은 급등했고 독립이 힘드지요. 임금대비 물가가 어떤지 비교도 부탁 합니다... 미국요..유럽요... 임금대비 월세비싼거 아닙니다...
@user-cv9bv8zg5g
@user-cv9bv8zg5g Ай бұрын
유럽이랑 우리나라랑 임금 차이 별로안남. 유럽이 월세 더 비쌈
@user-hc3jc7nr4l
@user-hc3jc7nr4l Ай бұрын
​@@user-cv9bv8zg5g 1.5배 이상차이나는게 이게 얼마차이안난다는ㅋㅋ남 100벌때 저긴 150이상버는건데ㅋㅋ
@user-cv9bv8zg5g
@user-cv9bv8zg5g Ай бұрын
@@user-hc3jc7nr4l 같은 수준의 사람이 독일살면 실제 모을 수 있는 돈은 한국이 더 많아~
@sosomi777
@sosomi777 Ай бұрын
외국은 성인되면 거의 독립해서 더 큰일처럼 느끼는 듯. 예전에도 자식이 독립 안해서 부모가 고소한 사건 보고 놀랐었음ㅋㅋ
@NinaKim-es1fs
@NinaKim-es1fs 9 күн бұрын
탕감은 졸업후 연방정부직 직장에 취업하면 학자금 대출 삭감
@user-hr4qn7mo8e
@user-hr4qn7mo8e Ай бұрын
ㄷㄷ 아 평생 부모님 밑에서 살고싶은데
@user-qu3im7ec1d
@user-qu3im7ec1d Ай бұрын
부모세대는 월세로 돈을벌고 자녀세대는 월세로 가난해짐 결과적으론 누구도 돈을 벌지 못하는 상황
@tls9045
@tls9045 Ай бұрын
제대로된 직장이 있었으면... 대기업 수준이 너무 올라서 중소로는 아무것도 못해
@normal77079
@normal77079 Ай бұрын
나이를 먹었으면 나가서 살기를 라떼는 imf 터지고 얼마 안됐지만 독립했음. 다같이 살아봐야 힘드니까 그냥 독립한것도 있지만 최소한 결혼전이든 30대이전이든 정서적 경제적 독립을해야 뭐라도 할 수 있음. 집에서 해주는 밥, 빨래 안락한 환경 때문에 독립을 꺼리면 결국 나이먹고 부모 등골 빼먹는거임. 나이를 먹었으면 부모도 이제 양육에서 벗어나 본인들 인생을 살아야지. 다커버린 자식들 뒷치닥거리 해주는 부모들 많이 보는데 그게 결국 독배라는걸 모르는것 같음. 나가면 먹고 살기 힘들고 괴로운거 알지. 그런데 그게 인생임. 내 몫으로 들어오는 인생을 왜 부모에게 의지해 해결하려나 싶음.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Ай бұрын
지금은 30대가 되어도 자기 집까지 살려면 시간이 좀 더 걸린다고 보입니다. 투자를 잘 하면 거의 40대가 되어야 겨우 집 하나 마련할 수 있다고 봅니다.
@Y__FAMILY
@Y__FAMILY Ай бұрын
썸네일보고 순간 슈카인줄 ㅎ
@starshining2153
@starshining2153 Ай бұрын
쫓아내야 독립해서 가정 꾸린다. 안쫓아내면 그러다 늙어서 부모가 계속 돌봐줘야함
@check725
@check725 29 күн бұрын
부모도 늙으면 활동제약 많은데 자녀 도움 받는게 서로 좋지않나
@YJ--
@YJ-- Ай бұрын
미국도 농경사회 때 큰 집 같이 지어서 다같이 살았지. 전통사회로 회귀 ㅎ
@user-dm6ly8zl4o
@user-dm6ly8zl4o Ай бұрын
경제성장시대에 부자안된 부모들 탓임 부자되었으면 자식들이 집에 안살지 아님 부자 될 자신없으면 자식을 낳지 말던가
@user-bw2oe1wm4k
@user-bw2oe1wm4k Ай бұрын
인간이 너무 많다는 증거다! 인간이 줄어야 인간답게 살수 있다 !
@MrZugul
@MrZugul Ай бұрын
애 안낳는 게 답이다... 이건 기득권이 다 헤쳐먹으니까 그렇지...ㅋㅋㅋ
@chaostar88
@chaostar88 26 күн бұрын
월세랑 물가가 말이 안되잖아...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The most impenetrable game in the world🐶?
00:13
LOL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333법칙 붓질 때문? 교촌이 치킨 가격 올린 진짜 이유
20:32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