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다 남을 신경쓰는 사람이, 존중 받으면서 하고싶은 말 하는 방법 (이헌주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58,524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Жыл бұрын

「 오늘의 심리학자
연세대학교 이헌주 연구교수
- 연세대학교 대학원 상담코칭학 박사(Ph.D)
-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상담전문가
-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 한국코치협회 KPC
저서 『무례한 사람을 다루는 법』 」
■ 놀심 온라인 클래스
ㆍ어딜가나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심리 커뮤니케이션
[클래스101] 강의구성 보러가기
class101.app/e/psyup-class
ㆍ인터뷰 및 문의
nolsimpsy@gmail.com

Пікірлер: 51
@nolsim
@nolsim Жыл бұрын
▶ 이헌주 교수님 《무례한 사람 다루는 법》 link.coupang.com/a/bpPOxR 오늘은 이헌주 교수님과 할 말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타인에게 좋은 사람으로 보일 수는 있지만 자신에게 좋은 사람이 되지 못한다면 언젠가는 타인과의 관계도 틀어지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나의 욕구를 먼저 아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상단의 링크로 구매하시면 쿠팡으로부터 일정액의 수수료를 놀심 채널이 제공받아 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sallying4725
@sallying4725 11 ай бұрын
인간은 결국 모든 욕구를 절대로 채울 수 없어요.. 누군가와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 서로 한 발자국씩 번갈아 물러나는 걸 꼭 해줘야만 관계 유지가 가능한 것 같아요. 내가 아무리 내 욕구를 정중히 표현한다해도 결국 그건 상대 입장에선 자신의 욕구가 좌절된 거고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고요. 그냥 횟수나 빈도수로 내가 한 번 양보했으면 상대방이 다음엔 양보하고 이렇게 왔다갔다 주고 받는 게 제일 나은 차선책이 아닐까 싶네요. 치졸해보이지만 사람은 생각보다 너무 치졸한 존재가 맞아서 이렇게라도 해야 각자 억울함이 안 쌓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각자 한 번씩 양보해줬으니 각자 당당하게 할 말도 생기고요.
@user-ku4rz6fu8p
@user-ku4rz6fu8p Жыл бұрын
이헌주 교수님 말씀은 특히 저를 만만하게 보고 무례하게 구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셔서 지난주에 제가 교수님께서 알려주신대로 했는데요, 정말 이렇게 하는거구나 자신감이 생기고 속이 다 후련했습니다,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sarahstalk25
@sarahstalk25 11 ай бұрын
우아 직접 해보셨군요! 그 용기 진심으로 박수쳐드립니다!👏👏 저는 이유없이 괴롭히는 상사때문에 힘들었는데 그냥 완전히 무시했거든요 그리고 다른사람과 똑같이 그 사람은 대했었는데 본인이 민망한지 안그러더라구요. 직접 말하기가 어려워서 그렇게 한건데 행동 하신거 정말 멋지세요!!👍👍
@k9174
@k9174 11 ай бұрын
듣기만해도 제가 다 기분이 좋아져요. 마음 편해지셨다니 저도 용기를 가지고 꼭 성공하고 싶어요.
@WittyLuv
@WittyLuv 11 ай бұрын
조금씩 궁시렁궁시렁 거리는것이 중요한거군요. 거절도 표현도 매일 조금씩 연습하는 좋은 꿀팁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seiransg.6313
@seiransg.6313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조금씩 표현해야지 좋게 조용히 속으로 삭히려고 그냥 넘어가면 안에 담아두면 나중에 화산처럼 터지는 게 되더라구요 가장 어리석음 일있더라구요
@iam_fineapple
@iam_fineapple Жыл бұрын
제 얘기 같아서 집중해서 들었어요 타인중심적 성향이라 ㅠㅠ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이었어요~
@mossgreen5022
@mossgreen5022 Жыл бұрын
이헌주 선생님 팬입니다. 많이 나외주시면 악착같이 챙겨보겠슴당~^^
@Loveholic1990
@Loveholic1990 11 ай бұрын
사람들은 심리학에 굉장히 관심이 많은것 같아요 나이를 들어서도 인간관계 속에서 오는 갈등과 미묘한 심리전에 자유로울수는 없는것 같아요 이렇게 계속 이런 영상보면서 마음을 다잡고 계속 배우게 됩니다
@sobin1050
@sobin1050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인간관계의 유연성 유연하되 뿌리는 단단한 사람
@user-yo7zh2mk8t
@user-yo7zh2mk8t 11 ай бұрын
이현주 교수님 자주 모셔주세요.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sarahstalk25
@sarahstalk25 11 ай бұрын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해주셔서 정말 좋아요!
@user-tm2te1gv4q
@user-tm2te1gv4q 11 ай бұрын
동영상 보고 관계에 관하여 어려움이 있었는데 지혜로운 말씀 주셔서 많이 공감되었습니다. 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걸 깨닫게 되는 영상이었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sunhwa1960
@sunhwa1960 Жыл бұрын
정말 인간 관계에서 자존감을 지키고 자존심에 상처 받지 않을 말씀 잘 들었습니다 많이 도움 되네요 감사합니다🍀💕
@sarahstalk25
@sarahstalk25 11 ай бұрын
진짜 도움 많이 받고 가네요!!
@user-op7kr8yv3s
@user-op7kr8yv3s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다음에 또 모셔주세요.
@user-bu3wk4kk2d
@user-bu3wk4kk2d 11 ай бұрын
요즘 저의 상황에 딱 필요한 강의네요!!
@jajiteol
@jajiteol Жыл бұрын
좋네유😂🎉
@BRITNEY-ou9vt
@BRITNEY-ou9vt 11 ай бұрын
교수님은 진짜 실생활에서 썩먹을 수 있는 방법을 많이 알려주셔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user-ch1bu9sv9g
@user-ch1bu9sv9g 11 ай бұрын
이 얘기를 제가 힘들때 들었으면 정말 잘 적용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ㅜㅜ 그때 저렇게 대처할지 후회가 드네요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incrediblyblessed
@incrediblyblessed Жыл бұрын
완전 저예요 😂
@user-bc9bj4lc5j
@user-bc9bj4lc5j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실 생활에 적용할 수있게 말씀해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JK-jf9gc
@JK-jf9gc 11 ай бұрын
영상이 있을법한 예시도 구체적이고, 실용적이라 현실적용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user-dc3fq6xg6j
@user-dc3fq6xg6j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요..실생활에 도움 너무 많이 되요❤
@sarahstalk25
@sarahstalk25 11 ай бұрын
정말 실생활에 도움될만한 말씀이라 더욱 공감이 갔네요
@user-rv3gh1hr9x
@user-rv3gh1hr9x 11 ай бұрын
와 너무감사합니다❤
@Vericher
@Vericher 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jsghk-hj5cp
@tjsghk-hj5cp 11 ай бұрын
많이 배워갑니다 😊
@simbada8
@simbada8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angchunYouTube
@NangchunYouTube Жыл бұрын
이헌주 교수님 영상은 늘 챙겨봅니다~~
@bella__swan
@bella__swan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charmingmyun
@charmingmyun 11 ай бұрын
아...제 이야기여서 잘새겨들었습니다 ~ 전 자아성찰 하는 게 일상이 되어버려 자괴감에 하루하루 힘든 날이였는 데 교수님 말씀으로 힘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당 😊 ❤
@sarahstalk25
@sarahstalk25 11 ай бұрын
정말 힘이 되는 말씀 해주셔서 좋아요!
@Lacomida
@Lacomida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km4ot7uf9z
@user-km4ot7uf9z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sujiney
@sujiney Жыл бұрын
영상의 제목의 가진 사람이 이헌주 교수님께서 말씀 한것처럼 느끼는 타인들이 이 세상에 존재는 할까요 없습니다.이래서 눈치를 보게 돼죠.그냥 타고난 성격이고 본성같아요
@user-fq1zq8iy4t
@user-fq1zq8iy4t 11 ай бұрын
너는 너고 나는 나다 이렇게 생각하면 됨
@rinriple
@rinriple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눈빛도 닮고 싶어요 함부로 저를 못대하게 뭔가 카리스마도 있어야할것 같아요
@user-qr2zm4zp8d
@user-qr2zm4zp8d 11 ай бұрын
내 생각에는 사람,가정마다 다를 거 같은데 자식이 몸이 아프지 않는 이상은 나이가 30대인데도 취업도 못하고, 능력도 없어서 독립도 못하고 부모님이 편찮으시거나 아버지가 하시는 일이 안 될 경우에 아무런 도움도 못 드리는데 부모한테 의사표현, 감정표현하면서 살 수 있을까
@larhen39
@larhen39 10 ай бұрын
1회성으로는 대처할 수 있을지 몰라도 결국에는 자신감을 키우셔야겠죠 자신감이 높다는 것의 의미는 도대체 뭘까요? 남들이 나한테 나쁜 행동을 할 때의 대처법이 있고 남들에게 아쉬울게 없다는 거겠죠 조금 극단적인 비유이기는 하지만 구걸하는 사람이 자신감을 갖기는 상당히 어려울 겁니다 "돈을 주던 말던 너네 마음대로 해, 그거 말고도 나는 다른 거 많아"가 아니라 "제발 돈 좀 줘, 돈이 아니면 안돼"라는 태도가 자신감이 없는 거죠 회사에서도 보통은 짤릴까봐 하고 싶은 말을 못하는 걸텐데 짤려도 무관하다면 자기 생각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겠죠 (회장 같은 경우는 자기 생각을 말해도 짤릴 일이 없으니 비교적 자유롭죠) 자기가 이런 소리(객관적으로 보더라도 정당한 소리)한다고 해서 멀어질 사람이면 그냥 멀어지도록 놔둘 수 있는 사람이 자신감 높은 사람일 겁니다 자기 생각(취향, 의견)을 말한다고 해서 나쁘게 생각하는(감히?, 너랑 안놀아) 사람이 나쁜 사람 아닐까요 그런 사람과는 빨리 멀어지는 것이 좋을 겁니다(윈윈이 아닌 착취자에 가까울테니)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자기계발을 열심히 하고(무한한 잠재력을 확인하는 기회들) 운동할 때도 악바리 근성으로 끝부분에 자기 한계치보다 10%정도 더 할 수 있는 근성이 있어야겠고 그 누가됐든지 "덤벼(아무한테나 시비거는 것이 아닌 적대적인 사람에 한정해서)"라고 할 수 있는 것 이런 상태가 자신감이 높은 상태일 겁니다 자기는 마음만 먹으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마음이 자신감이겠죠
@massanaguzimme3695
@massanaguzimme3695 Жыл бұрын
👏👏👏👏👏👍👍🙏🙏
@nowbird
@nowbird 14 күн бұрын
인간관계는 얻는것보단 잃는게 많다
@user-vq1mr6ym2v
@user-vq1mr6ym2v 11 ай бұрын
마음을 나누면 이용해 처 먹을려해서 손절했어요
@The_prestige17
@The_prestige17 Жыл бұрын
3:25
@user-rc6rd2vl7u
@user-rc6rd2vl7u 7 ай бұрын
반사회성이 아닌 자기한테 빠져있는 부류, 즉 자페😢성 기질의 사람은 내가 원하는 것을 표현해도 거절 및 발끈 공격하고 저 좋을대로만 함
@user-gr3tf4qc9t
@user-gr3tf4qc9t 11 ай бұрын
7:57 놀심님 질문에 교수님이 답하셨는데 약간 질문의 논지를 벗어난 느낌이 들어요 ! 해답의 일부일 수는 있는데 핵심은 좀 빗겨나간 답변 주신 거 같아요
@user-us9zx9ns7c
@user-us9zx9ns7c 6 ай бұрын
알고리즘은 내가 오늘 누군가에게 치이고 열받아서 이걸 검색할걸 어떻게 알았을까
@radio1102
@radio1102 11 ай бұрын
14:00
@user-ks6vk9dj8x
@user-ks6vk9dj8x 11 ай бұрын
ㄴㄷ
@aspirating4594
@aspirating4594 Жыл бұрын
오늘 운동 중 이유도없이 욕지거리를 해대는 여자를 발라버렸음.
타인에게 존중받고 싶다면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 (이인수 원장)
16:46
모두에게 좋은 사람은, 아무에게 존중받지 못하는 이유 (이헌주 교수)
15:19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He sees meat everywhere 😄🥩
0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인간관계에 집착하는 사람들의 세 가지 특징 (이헌주 교수)
17:30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427 М.
말 못하는 예민한 사람들이 당당하게 말하는 방법 (박재연 소장님)
17:50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