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러 터빈 | 그 뒤에 숨겨진 흥미로운 공학 기술

  Рет қаралды 629,754

Lesics 한국어

Lesics 한국어

2 жыл бұрын

독불장군 엔지니어 니콜라 테슬라는 기계공학 분야에서도 공헌을 했습니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발명품 중 하나--날 없는 터빈, 또는 테슬라 터빈입니다. 테슬라 터빈은 심플하고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당시 증기 터빈의 효율 수준을 능가할 수 있었습니다. 일반 터빈은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와 고정자 부품의 블레이드가 갖추고 있어 설계가 복잡합니다. 니콜라 테슬라는 테슬라 터빈이 그가 가장 좋아하는 발명품이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심지어 이 터빈에 대해 97%의 효율성 수준을 주장했습니다. 이 흥미로운 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디자인 여정을 시작해봅시다. 마지막으로 테슬라의 효율성 주장도 검증해 보겠습니다.

Пікірлер: 376
@user-tq4dw2hf6r
@user-tq4dw2hf6r 2 жыл бұрын
캐릭터 정원 관리 잘하게 생겼네
@user-pj5im4jm7b
@user-pj5im4jm7b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SD-vz8sv
@SD-vz8sv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x8cm4pn7g
@user-lx8cm4pn7g 2 жыл бұрын
아.. 어디서 봤지 했더니만..ㅋㅋㅋ
@user-to3ez5qz2o
@user-to3ez5qz2o 2 жыл бұрын
ㄱ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v8jt8bd3r
@user-mv8jt8bd3r 2 жыл бұрын
꿈의 집.....
@youtnge7163
@youtnge7163 2 жыл бұрын
대학교 교양 물리 보다 훨씬 유용하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 이런 강의를 방구석에서 누워서 볼수있는 오늘날이 감사할뿐😍
@hoonicchoi385
@hoonicchoi385 2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하기 쉽게 잘 제작된 컨텐츠입니다. 학교 수업이 이런 식이였다면 한국엔 세계적인 공학자들이 넘쳐 났을 듯 싶네요.
@Allin7days
@Allin7days 2 жыл бұрын
거짓은 달콤하지만 학교에서 가르치지 못하지요.
@get2ya
@get2ya 2 жыл бұрын
깰놈깰못깰못: 깨우칠 놈은 뭘해도 깨우치고 못깨우칠 놈은 뭘해도 못깨우침. 사람마다 시기와 때가 있음. 어릴때 알았으면 본인이 천재 될 줄 아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은 그 당시의 자신이 여기에 관심이 없었을 뿐임. 과연 그 나이에 “나”는 이 영상을 집중해서 봤을까? 과연?
@jjshim1
@jjshim1 2 жыл бұрын
@@Allin7days 님이 이해 못한다고 해서 거짓이라고 하지마~ 너무 불쌍해
@user-qz7bg2zs4j
@user-qz7bg2zs4j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말하지 않아도 이해 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지금의 세상을 만들었습니다 ㅎ (이렇게 쉽게 말해서 이해하는 사람이랑 이렇게 얘기 안해줘도 이해하고 과학을 발전 시킨 사람은 아예 게임이 안된다는 말.. ) 빗대자면, 인구수 많은 나라가 올림픽 모든 종목 다 금메달 따야지요 라는 말이랑 비슷한거 같아요 ㅎ
@user-fd7kb9qy6y
@user-fd7kb9qy6y 2 жыл бұрын
@@user-qz7bg2zs4j 중국 메달 마니따자나유 그리고 과학에 접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쉽게 설명안해줘도 이해하는사람이 더 많아지지않을까유?
@ohouuch1333
@ohouuch1333 2 жыл бұрын
와.. 발상 쩐다.. 그리고 이런 초고퀄 이해 효율 만땅을 찍은 영상이라니.. 너무 감사합니다.
@user-fd7kb9qy6y
@user-fd7kb9qy6y 2 жыл бұрын
비전공자도 쉽게 설명되어있어서 보기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acequip1365
@acequip1365 2 жыл бұрын
비행기도 효율이 좋으려면 지금보다 훨씬 커져야 하고 활주로의 길이나, 이용자 수 등등 경제성 문제 때문이라던데 같은 느낌의 테슬라 터빈이네요... 효율은 좋지만 그걸 만족할 재료가 없다...
@jason_cha
@jason_cha 2 жыл бұрын
발전기로 사용하려고 만들었지만 너무 빠른 회전 때문에 실패. 하지만 유체 펌프로 재탄생! 좋네요~
@user-gl4tw6ww7y
@user-gl4tw6ww7y 2 жыл бұрын
컨텐츠 짱 좋네요. 공부가 되는 컨텐츠라니....
@dbfh1258
@dbfh1258 2 жыл бұрын
테슬라가 외계인이라는 설이 나올 정도로 대단합니다.
@Byeon_cat_7575
@Byeon_cat_7575 2 жыл бұрын
설마 자동차 브랜드 테슬라 말하는거 아니죠?
@arirangogero9806
@arirangogero9806 2 жыл бұрын
@@Byeon_cat_7575 ㅇ
@Byeon_cat_7575
@Byeon_cat_7575 2 жыл бұрын
@@arirangogero9806 본인임?
@wlwhsTlsk
@wlwhsTlsk 2 жыл бұрын
@@Byeon_cat_7575 그게아니라 니콜라 테슬라라고 인물이있어요
@Byeon_cat_7575
@Byeon_cat_7575 2 жыл бұрын
@@wlwhsTlsk ? 저도 알고있어요; 옛날에테슬라 브랜드가 외계인 기술 홈쳤다 라는 말을 하길레 설마 그 테슬라 이야기하는거 아니냐고 물어본거였어요 댓글좀 제대로 보시길
@user-rf9ep9pj4n
@user-rf9ep9pj4n 2 жыл бұрын
상당히 힘들지만 이해하지 못한게 많지만, 재미있습니다.
@YangYANG-vx9st
@YangYANG-vx9st 2 жыл бұрын
소재가 버티지 못할뿐... 사실상 테슬라 터빈은 미래 수력 발전기 최강...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жыл бұрын
재료공학이 발전한다면...ㄷㄷㄷ
@andrew3870ify
@andrew3870ify 2 жыл бұрын
그정도 평가를 받을만한 것 같진 않네요 초고속 유체가 필요하다면 수력은 오히려 일반 스팀터빈보다 안좋을수도 있어요. 영상에서 현용 터빈 모델 효율이 90%정도 나온다고 합니다만. 테슬라 터빈은 그거보다 약간 더 나은 정도에요. 만능이 아닙니다. 방식과 응용 분야가 달라 진보 가능성이 높다뿐이죠. 평가를 내리면 백년 다되가는 사람이 지금 기술로도 제대로 못쓰는 것들을 많이 만들어낸 희대의 천재죠...
@luft8774
@luft8774 2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소재 뿐만 아니라 통제가 힘들거같은데...
@YangYANG-vx9st
@YangYANG-vx9st 2 жыл бұрын
@@luft8774 통제는 디스크 숫자를 줄이거나 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발전기하고 연결되니 그거를 계산해서 속도를 처음부터 조절 해야 겠죠.. 문제는 깨끝한 물이야 한다는 점이니.. 거대 시설에서 회전 하는 힘으로 발전기를 돌리고 거기에 따른 일부 회전력의 힘을 펌프로 돌린다면.. 얼마 정도의 원하는 힘이 나오지 않을까요? 댐의 물을 이물질없이 끌어와야 곘지만 머 사실상 이물질이 큰게 아니라면 차단 될꺼고 미생물 걱정은 없겠죠..
@luft8774
@luft8774 2 жыл бұрын
@@YangYANG-vx9st 그렇게 해도 속도가 너무 빨라서 힘들거같은데요 마하넘으면 직접적으로 멈추는게 힘듭니다.
@user-qh8lv6vm1r
@user-qh8lv6vm1r 2 жыл бұрын
#중력에너지 #무한에너지 #중력만으로 150% 증폭 With gravity alone, the load test 150% ampl... - kzfaq.info/get/bejne/q8p4maaZktmXn4U.html&feature=share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2 жыл бұрын
우와....포기하면 안될 기술이네....열심히 연구해 봅시다. 설명 감사합니다.
@FactoryNo.592
@FactoryNo.592 2 жыл бұрын
와 테슬라 터빈 유튜브 검색해도 외국 영상만 나오고 우리나라 영상은 잘 안나왔는데 드디어!!
@Hondoko
@Hondoko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고 재미있네요. 어린 학생들도 쉽게 알수 았을것같아요.
@user-fi2tc4jn1k
@user-fi2tc4jn1k 2 жыл бұрын
진짜 테슬라는 인류역사상 천재거나 외계인이 아닐까? 이런 그가 고독사 했다는게 참 너무 안타깝다... ㅜㅜ 이 시대에 태어났다면 우주시대가 이미 만들어졌을지도 모른다..
@user-bm6sv5gy5e
@user-bm6sv5gy5e 2 жыл бұрын
너무 에너지가 크다. 참 이양반은 존경 안할수없내 항상 오버테크널라지. 외계인설의 선구자! 지구에서 힘드셨을듯. 빌런이셨음 지구정복하셨을텐데.
@jangyun6868
@jangyun6868 2 жыл бұрын
여러개의 터빈 판들이 터보임펠러로 진화 2차세계대전에서 미국승리로 이끌어낸 고고도 비행장치로 발전함 그리고 오늘날에는 우주로켓추진엔진에 쓰임
@D16H1ghr
@D16H1ghr 2 жыл бұрын
보시는 분들이 오해하는게 있는데 순수 “터빈” 효율로 봤을때, 테슬라 터빈이 현대 터빈에 비해 효율이 낮아 안 쓰는거지 뭐 엄청난 기술인데 받쳐 줄 소재가 없다거나 한 게 아닙니다. 터빈이란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로 “효율”이 절대 명제입니다. 만약 새로운 합금이 개발되어 기계적 강도를 만족해(이것도 몇십년.. 어쩌면 몇백년 내로 불가능) 테슬라 터빈이 원하는대로 몇만RPM으로 회전한다고 해도 동일 증기 에너지 투입시 출력은 현대 증기 터빈이 압승합니다. 물리학적으로 그럴 수 밖에 없으니까요. 고RPM 같은 이야기로 현혹 해도 RPM은 본질이 아닐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고RPM은 마찰이나 풍손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효율을 내는데 있어 거추장스러울 뿐이죠. 지금 스팀터빈도 부하 없고 마찰이나 효율 고려 안하면 몇만RPM 그냥 나올걸요? 테슬라의 업적이 대단하기 때문에 그의 모든 결과물이 오버테크놀러지인 것 마냥 부풀려지는 경향이 있는데, 조금은 걸러 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ps. 참고로 전 GE 직원이 아닙니다.)
@D16H1ghr
@D16H1ghr 2 жыл бұрын
@박제사 아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건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임. 증기의 엔탈피(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게 터빈임.
@user-pi7fw1wl4v
@user-pi7fw1wl4v 2 жыл бұрын
@박제사 운동에너지->전기에너지 는 터빈 샤프트에 연결된 발전기입니다
@philippe1200
@philippe1200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는 심장의 관상동맥에서 어떤 과정으로 동맥경화가 생기는지 그 원인을 물리학적인 요인에서 찾고있는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데요. 유체역학을 심도깊게 공부합니다. 근데 저 시대에 전단응력을 이용해서 터빈을 돌린다는 발상을 한다는건 오버테크놀로지가 맞다고 봅니다. 말이 안돼요 정말
@user-ch1nq8lq2d
@user-ch1nq8lq2d Жыл бұрын
ㄹㅇ
@shrimpsolar
@shrimpsolar Жыл бұрын
이런거 있음 많이 알려주셔요 감사합니다.
@user-cw1nj6fx2g
@user-cw1nj6fx2g 2 жыл бұрын
헉 이채널 영어채널구독해놓고 누가해석해줬으면좋겠다고항상생각했는데 한국어채널이있었군여!!!!!
@Gundam_RX78-2
@Gundam_RX78-2 Жыл бұрын
테슬라 전기전자만 탑티어인줄 알았는데 기계공학 그것도 유체역학까지도 탑이었다니..
@user-zz3vm6yx2p
@user-zz3vm6yx2p 2 жыл бұрын
과학을 배우기 가장 완벽한 정말 감사한
@user-nq3wf9nf7d
@user-nq3wf9nf7d 2 жыл бұрын
음... 제가 일에 수중펌프를 많이 쓰는데 지금 설명을 듣다보니 수중펌프가 그런 원리로 이루어져 있군요 테슬라터빈까지는 아니더라도 원반의 팬을 이용한 수압형성이 비슷해 보이네요....
@user-fg1kr5id2q
@user-fg1kr5id2q 2 жыл бұрын
싼거면 그냥 원심펌프일거고.. 아마 단가가 좀 비싸면 그럴수도 있습니다
@user-nq3wf9nf7d
@user-nq3wf9nf7d 2 жыл бұрын
@@user-fg1kr5id2q 아... 원심펌프겠군요...우리같은 자영업자가 비싼걸 쓸 수야 있나요? 걍 우물에 물 푸는데 쓰다가 한 일이년이면 한번씩 갈죠 ㅎ~ 꿈 같은 얘기들을 배우니 보는 것 만으로도 신기하고 신나고 그렇네요 ㅎ^^
@abyssray
@abyssray 2 жыл бұрын
단순한 구조 안에 몇가지의 원리를 넣은건지... 쌉오진다 진짜
@gimeuro1
@gimeuro1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해쏙쏙 되네 재밌다
@minhyuklee8127
@minhyuklee8127 2 жыл бұрын
가상배기음 만드는방법에 대해서도 올려줄수 잇나요?
@LionMitchell123
@LionMitchell123 2 жыл бұрын
ssd가 나오기전 고성능 서버 워크스테이션 분야에 사용한 하드 디스크는 당시 일반용 하드가 5400~7500rpm이 주류였고 이속도는 현대 하드 디스크라고 다르지 않고 같은속도를 사용 하지만 서버 워크스테이션 분야 하드는 기본 1만rpm또는 1.5만 짜리 사용 하는 하드디스크를 사용 했죠. 1만 rpm까지는 기존 3.5인치 디스크로 어케저케 버틸 수 있는 크기 였지만 1.5만급되면 디스크가 버티질 못해 진동이 발생 하고 이는 표면적을 떠다니는 헤드와 마찰이 발생해 그대로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는 현상이 나와 1.5만급 고속 하드디스크는 내부 디스크 크기를 2.5인치 디스크를 사용 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죠. 저장 용량보다 성능이 우선이 되는 곳이라 1만5천 rpm급 하드디스크는 외형은 3.5인치 베이에 장착이 가능한 크기지만 내부 디스크는 2.5인치를 사용 해 시장에 출시 되었습니다. 뭐 이후 SSD 급속 발전으로 시장에서 많이 사라 지긴 했지만 아직 데이터 센터등에선 SSD쓰기 한계등 이유로 이런 고성능 하드를 많이 사용 하고 있고 뭤보다 아무리 디스크 크기가 작아졌다고 해도 현존하는 SSD보다 용량에서 쩜쩌 먹을 수준이라. 현대 공학으로도 초정밀 분야인 하드 디스크의 크기가 3인치 이상 되는 디스크로 1만 rpm넘기는게 기술적으로 불가능 한데 테슬라 터빈으로 5만 rpm을 유지하는 터빈을 버틸 소재는 현재까지도 개발 되긴 힘들죠.
@ewlim9750
@ewlim9750 2 жыл бұрын
유체역학때 배웠던거를 더 이해하시쉽네요
@newjhun1343
@newjhun1343 2 жыл бұрын
이분 말투보니까 밀리터리채널하시던 그분같은데???? +_+ 특이한 말투.. 많이 고치셨네 ㅎㅎ
@joungmyoungpark5061
@joungmyoungpark5061 2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콘텐츠는 무엇으로 어떻게 만드나요 모든 콘텐츠가 이렇게 만들면 학교가 필요 없다
@joshuabhoul2016
@joshuabhoul2016 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뭐냐, 어려운 개념을 3d 모델링까지 하면서 이렇게 쉽게 알려주네...
@user-ye8qb9xv3i
@user-ye8qb9xv3i 2 жыл бұрын
장난아니다. 점착효과와 원심력을 활용해서 저런걸 만들다니;
@FGSRL
@FGSRL Жыл бұрын
8:11 마하 1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국내 그 어디에도 설치 반대가 일어날 소음이 기대되는 수치...
@user-os6bw7ts9s
@user-os6bw7ts9s 2 жыл бұрын
다른 영상들 보니까 확실하게 썸네일러(및 어그로 끄는 제목 만들어줄 사람) 구해야 할 채널 같네요
@martharodriguezyvariedades
@martharodriguezyvariedades 2 жыл бұрын
Dios te ama 🇨🇴🙏 bendiciones 🙏
@user-rw5pu6mx4z
@user-rw5pu6mx4z 2 жыл бұрын
과학적인 사람들은 테슬라 를 존경하고 사업적인 사람들은 에디슨을 존경합니다!
@user-di9vh1xv5n
@user-di9vh1xv5n 2 жыл бұрын
에디슨이 성공할수 있었던이유가 에디슨의 상상을 테슬라가 실현시켜서가 아닐까요?
@o2boy
@o2boy 2 жыл бұрын
둘다 존경해요
@user-yy8pm2tf2o
@user-yy8pm2tf2o 2 жыл бұрын
웨스팅하우스는 어떤가요?
@haim7512
@haim7512 Жыл бұрын
@@user-di9vh1xv5n 에디슨은 이미 있는걸 더 좋게 만드는 역활이였어요. 에디슨: 촛불 대신 빛나는게 있네? 더 좋게 만들어보자 해서 나온게 전구 테슬라: 자기장이라는게 있네? 전파통신이 가능하게 만들어보자 또는 지구의 날씨를 바꿔보자
@user-fp1pe8wl7p
@user-fp1pe8wl7p 2 жыл бұрын
토크 컨버터도 저 원리 인가요?? 비슷하게 생겨 보여서 ㅎㅎ
@user-qz7bg2zs4j
@user-qz7bg2zs4j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결국 지금 가정에서 대중적으로 ac를 쓰는가 dc를 쓰는가 테슬라는 난놈인건 분명하다
@konem58
@konem58 2 жыл бұрын
와 터빈이 이해가 됐어요....와우!!!!!!!
@Eastsea2
@Eastsea2 Жыл бұрын
유도 전동기 같은 느낌이네요. 나는 돌테니 너도 돌든 말든 맘대로 해라. 하지만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chaparrallee1534
@chaparrallee1534 2 жыл бұрын
지금의 소재기술로도 불가능하다니... 테슬라는 22세기에 태어났어야 했을까요?
@erp4046
@erp4046 2 жыл бұрын
아~ 고속에 유리한 이유가 증기,물을 받는 바가지가 없으니 저항이 없어서 그렇군요. 용하시네~~
@user-dq9xk6rc3s
@user-dq9xk6rc3s 2 жыл бұрын
저런 공장에서 펌프가 어떻게 움직이지 했는데 워후 저거였네...그래서 감속기가 필요 했던거구만~
@user-nk4fl7ex3o
@user-nk4fl7ex3o 2 жыл бұрын
현재방식도 90프로의 효율이 있기에 경제성이 아직까지는 없고 소재분야 발전 후에도 제법 시간이 걸리겔네요
@user-lb8bb7zv8y
@user-lb8bb7zv8y 2 жыл бұрын
테슬라의 천재성 ....
@abdulmansur8819
@abdulmansur8819 2 жыл бұрын
야호~!
@ccycca5380
@ccycca5380 2 жыл бұрын
현제 나온것이 더 작은 RPM 에서도 90% 효율이 나온다니 꼭 저걸 사용할 필요는 없을듯. 만약 작은 사이즈로 만든다면 내구도 문제는 해결될듯. 근데 어디다 쓸까 작은걸?
@goldenbuglab
@goldenbuglab 2 жыл бұрын
근데 구조가 복잡해서 장비가 더 쉽게 파손되죠. 가령, 우리나라 화력발전소에서 효율이 너무 떨어져서 뜯어봤더니 터빈 날개 10 개가 있어야 할 자리에 2 개만 남아있다거나 한 경우가 있다고 하네요. (숫자는 이해를 위해 대충 써 본 것)
@user-eu7gh7en5y
@user-eu7gh7en5y 2 жыл бұрын
진짜 썸네일 너무 공대생같아서 웃김ㅋㅋㅋㅋㅋㅋ 강력함!
@user-si8ks7qk6r
@user-si8ks7qk6r 9 ай бұрын
터빈 테슬라 에어로 강 물을 예를 들어 늙은 할머니 👵 도 이해가 됩니다 대단해요
@sd68127
@sd68127 2 жыл бұрын
공학적으로 가능하게 된다면 미래엔 테슬라 터빈이 훨씬 각광받겠네요..
@user-su8cq7cx3g
@user-su8cq7cx3g 2 жыл бұрын
윌리스캐리어도 한번 해주십쇼 형님
@user-tj4vz7gg8m
@user-tj4vz7gg8m 2 жыл бұрын
아 그렇구나 확실히 이해했어~!!
@user-xj8nl9nj7i
@user-xj8nl9nj7i 2 жыл бұрын
물로 하면 간격 몇미리 띠워야돼나여? 기체는 0.4미리인데 물은요?
@svythk8477
@svythk8477 Жыл бұрын
멋지다. 아이디어
@user-fb8ie4gx3n
@user-fb8ie4gx3n 2 жыл бұрын
디스크 표면을 파형으로 코팅할 기술을 추가해도 좋을듯 또 마찰과 진동을 무시하기 위해 자기장 배어링이 필요함
@andrew3870ify
@andrew3870ify 2 жыл бұрын
파형으로 코팅하면 표면에서 와류 같은 현상이 일어나서 효율이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user-fb8ie4gx3n
@user-fb8ie4gx3n 2 жыл бұрын
@@andrew3870ify 디스크 끼리 각도를 달리해 파형을 유지할 공간만 있으면 되는것 아닌가요?
@loejack4667
@loejack4667 2 жыл бұрын
아니 그게 문제가 아니라 너무 빠르다잖어 디스크가 견딜수 없는 속도로 돌아야 좋은 효율이 나오는디 에초에 그 속도를 이용할 분야도 없고 그니까 5만RPM견디는 디스크 재료를 찾고 응용분야도 찾아야 쓸 수 있는 기술임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40km까지 점프 가능하게 해주는 신발이 있다 쳐봐 놀랍게도 높이 올라가는데 쓸 분야가 없어
@user-zb7mu3kd7m
@user-zb7mu3kd7m 2 жыл бұрын
유체 언급된 시점에서 디스크 표면처리는 이미 고려했을거임. 근데 유체가 점성력 크게 발휘하는 것 만큼이나 유체가 원활하게 유출되는 것도 중요한지라 와류크리 맞으면 ㅈ됨. 그리고 님이 말한대로 디스크 배치를 점성력을 최대로 발휘할 디스크 포면처리까지 고려해버리면 필연적으로 구조적으로 복잡해짐. 고rpm이 필요한데 구조적으로 복잡함은 곧 안정성이나 신뢰성 하락으로 이어지고 마찬가지로 구현하기 어려워질듯
@user-ut4tp5nx3b
@user-ut4tp5nx3b 2 жыл бұрын
@@loejack4667 ㅋㅋㅋ 비유 ㅆㅅㅌㅊ
@user-th1si9my1f
@user-th1si9my1f 2 жыл бұрын
그럼 RPM 은 그냥두고 터빈직경을 줄이면 어떨까요?..디스크 장수는 엄청늘리고요,
@user-sq8rl8do5j
@user-sq8rl8do5j 2 жыл бұрын
테슬라가 아직살아있었으면 아직도 전기를 이렇게 힘들게 만들어? 라고 했을게 분명함
@user-sg3yc7yp8e
@user-sg3yc7yp8e 2 жыл бұрын
극강의 효율 ㅎㄷㄷ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 2 жыл бұрын
오토미션에 쓰이는 토크컨버터랑 비슷하군요…^^
@user-mn9jt6nu7m
@user-mn9jt6nu7m 2 жыл бұрын
이론적으로는 엄청난데 아직 실현시킬 소재가 없다는 게 문제라니.... 너무 슬프다.
@Dear_Bloom
@Dear_Bloom 2 жыл бұрын
도대체 테슬라는 얼마나 앞서간거냐 ㅋㅋㅋㅋㅋ
@user-th2ls5gz6v
@user-th2ls5gz6v 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천재는 천재야
@jemin098
@jemin098 2 жыл бұрын
물의 유속을 줄이거나 90도 낙차가 아니라 70도 80도로 각도 바꾸면 안되나요???
@D301ful
@D301ful 2 жыл бұрын
성우!? 나레이션 설명듣기좋은데 말 끝맺음 " 다~" 바름을 평소 말하실 때에의 말하듯이 바름으로 힘을 뺴고 " 다 " 말끝맺음으로 자연스럽게 바름 해주시면 더 자원스러운 전달듣기가 될거 같습니다. 실례된 되고 도움이 안된 지적이었다면 미안합니다.
@leviseo9536
@leviseo9536 2 жыл бұрын
너무 강력함!
@davidweb8251
@davidweb8251 2 жыл бұрын
쩐다....
@fhana97
@fhana97 2 жыл бұрын
공학적인 사고방식이랑 나래이션이 똑같은데 TTS 툴같은건가?...
@jaeyoonshim
@jaeyoonshim 2 жыл бұрын
~합니다!
@spinit2250
@spinit2250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있는데요...테슬라터빈 배기구에 또다른 테슬라터빈을 장착하면 효과가 배가되나요?
@user-zb7mu3kd7m
@user-zb7mu3kd7m 2 жыл бұрын
에너지 손실은 기관상 당연히 발생하는데 직렬로 연결해버리면 그 효율을 제곱근으로 깎아먹겠죠.
@openai99
@openai99 2 жыл бұрын
와우.. 테슬라터빈으로 발전기를 만들면 전기생산도 어렵지 않겠다..
@andrew3870ify
@andrew3870ify 2 жыл бұрын
기존 터빈이 90% 이상 효율이라는데 테슬라터빈이 극적으로 상황을 변화시킬것 같진 않네요
@user-sj9lp1gi6x
@user-sj9lp1gi6x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도 나와 있듯이 회전력을 버틸수 있는 재료가 없어요...
@lq01
@lq01 Жыл бұрын
너무 강렬한 썸네일!
@park5532009
@park5532009 2 жыл бұрын
best of best
@user-gp4ox4ym3g
@user-gp4ox4ym3g 2 жыл бұрын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테슬라씨는 공학천재다....
@user-bt2ct6or4s
@user-bt2ct6or4s 2 жыл бұрын
제가 아이큐 85 인데요 이헤하기 쉽게 풀어주셔서 많은 도움 됬습니다..
@arirangogero9806
@arirangogero9806 2 жыл бұрын
'됐습니다'
@rlsooe
@rlsooe 2 жыл бұрын
과학과 공학의 차이가 여기서 나네요 ㅠㅠ
@user-xj9yi6xu2w
@user-xj9yi6xu2w 2 жыл бұрын
다!
@user-yc6xw4ek2p
@user-yc6xw4ek2p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생활에서 극복에 대한 상상을 하고 실현도 한게 압력... 근데 인간의 인류상 상상력을 동원해고 해석과 상상을 못하는게 가장 진리가 온도 .. 절대 온도 이하에서의 물리 ,모든 종교든 존재든 우주든 과학이든 물리든 차원 이동이든 시간이동든 전생이든 절대로 넘어서지 못한 데 절대 온도임 ,,, 그래서 아직 인간이 만든 지식 지혜레서 절대 진리는 온도임 ,,,
@user-ub6td7pc7r
@user-ub6td7pc7r 9 ай бұрын
이엔진이,저항력을 높혔을때도,운전이,될까요
@server6614
@server6614 2 жыл бұрын
왜 직경이 2~3미터가 필요하나요? 효율성 문제인가요?
@user-ii5wo9qh1k
@user-ii5wo9qh1k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으로 테슬라 터빈을 잘 이해할수 있습니Dah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2 жыл бұрын
테슬라 밸브 설명원합니다.
@kmp5122
@kmp5122 2 жыл бұрын
50000rpm은 거의 단조 망치로 두두려 펴는 수준 보다 쎌듯. 디스크 판이 점점 원심력에 의해 펴질듯 합니다. 허나 요즘 신소재로 만들면 혹 가능할지도 모르겠네요.
@kimsukyu
@kimsukyu 2 жыл бұрын
더 높은 알피엠에서 폭발. 그리 오래 버티지 못함
@user-yf5od5pi2l
@user-yf5od5pi2l Жыл бұрын
더 진보한 방법이 있습니다 같은 관 끝에 줄임 관을 부착 하면 유체의 특성이 발현 되어 관 속의 유체가 모두 빠져 나갈려는 힘이 작용합니다 그러므로 그 줄임관 속에 흐르는 유체는 속도가 증가 합니다 이를 이용 하면 또 다른 비행기나 차량이나 연료 절감이 가능한 동력 장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brok3nnn
@brok3nnn 2 жыл бұрын
유체기계에서 배운 터빈펌프구만.
@managementkia3470
@managementkia3470 3 ай бұрын
숟가락 올리기는 니가먼저 유튜브에 올렸어야지
@amd6027
@amd6027 2 жыл бұрын
테슬라 터빈으로 터보차져 만들어서 인스톨 해보고 싶다.
@jambread848
@jambread848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이런 것이??!!!!
@jinjan-qd9si
@jinjan-qd9si 2 жыл бұрын
정말 천재다.
@kwakjongsun
@kwakjongsun Ай бұрын
점성효과 이걸 거꾸로 선박 동력으로는 못 쓸까요?
@diaragon6
@diaragon6 2 жыл бұрын
너무 빨라서 실패 했다니.... ㅎㄷㄷ 역시 테슬라...
@Eastsea2
@Eastsea2 Жыл бұрын
9:00 저 세개 중에 상황에 맞는 걸 골라야 하는 거죠?
@micstars
@micstars 2 жыл бұрын
입자들 손 잡는 것 완전 귀엽네
@TSOTKB
@TSOTKB 2 жыл бұрын
재료공학이 더 발달하면 이 기술이 빛을 발할까요?
@user-vw7pw9dl9f
@user-vw7pw9dl9f 2 жыл бұрын
그레핀이나 탄소소체가 더 발달하면 가능하다는 거네요 ㄷㄷㄷ
@user-fg1kr5id2q
@user-fg1kr5id2q 2 жыл бұрын
공학계의 신
@user-sg7ch8cy6r
@user-sg7ch8cy6r 2 жыл бұрын
대단하다 구독눌르개되네 더궁굼함 ...
@user-lx3ry3qs3o
@user-lx3ry3qs3o Жыл бұрын
크으 내 이론을 견뎌줄 물질이 없다니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жыл бұрын
8:11 마하13이 어떻게 공학적으로 불가능하단거에요...? 할수도 잇는거 아닌가여...? 재료 내구성도 좋은걸로 하고 해서...
@odyyx9e6osydyodyo75
@odyyx9e6osydyodyo75 2 жыл бұрын
재료 내구성 좋은게 없어서요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жыл бұрын
@@odyyx9e6osydyodyo75 재료공학 많이 발전해서 .. 훗날 가능하지 않을지요?
@thouxcv
@thouxcv 2 жыл бұрын
마하13으로 회전할시 340×13^2/1.5 = 약38307m/s의 가속도를 받는데 중력가속도로 환산하면 약 3909G 입니다. 중력의 3900배나 되는 힘을 견디어야 하죠 고층건물들은 그정도 버티지 않나요? 라고 질문하실텐데 그건 압축되는 방향이고 회전에서는 찢어지는 방향입니다.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жыл бұрын
@@thouxcv ㄷㄷㄷㄷㄷ찢어지는방향...
@hmlolar5164
@hmlolar5164 2 жыл бұрын
좋은발명이다.
@Today-mq3ni
@Today-mq3ni Жыл бұрын
아 10분 뭔가 본거 같은데 뭐라는지 이해하기까진 10년 걸려야 할거 같다 ㅠ
@choiharlym9723
@choiharlym9723 2 жыл бұрын
재료만 버텨주면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준 테슬라
@handayuong
@handayuong 2 жыл бұрын
시대를 너무 앞서간 괴학자...아숩...
테슬라의 지진 기계 | 그 뒤에 숨겨진 완전한 물리학
10:14
이 기계는 무료로 적분 해줍니다.
18:56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Is it Cake or Fake ? 🍰
00:53
A4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UFC Vegas 93 : Алмабаев VS Джонсон
02:01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204 М.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빛의 속도는 왜 불변이며 절대적인가? - 광속 불변의 원리
24:11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423 М.
SynRM | 전기 세계의 새로운 거물
11:04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554 М.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29 М.
팬터그래프 뒤의 뛰어난 엔지니어링!
9:50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158 М.
CPU는 어떻게 작동할까?
21:48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