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디에나 있는 고속 열차가 미국에만 없는 이유(전쟁 때문..?)

  Рет қаралды 495,115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최준영 박사님과 함께 미국에서 고속철도가 발전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19 미국에서 고속 철도가 보이지 않는 이유
08:04 미국에 유독 자동차가 많은 이유
10:46 2차 세계 대전이 불러온 미국의 도시 구조 변화
16:16 일론머스크가 꿈꾸는 하이퍼루프 열차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미국 #철도

Пікірлер: 365
@8113lee
@8113lee Ай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강의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한가지 설명 드릴부분이 있습니다. 한국철도는 일본 표준궤로 최초 계획되었고, 아관파천때는 러시아로도 광궤로도 잠깐 변경되었습니다. 러시아가 극동의 물류중심지를 한반도로 생각했죠. 이후 일본이 주도권을 잡고 표준궤로 환원입니다. "표준궤를 만든건 일본군부였다"고 하셨는데.. 러일전쟁을 준비하던 일본군부는 본토에서 군수송이 급했기 때문에 표준궤보단 협궤를 원했습니다. 일본 탱크들은 협궤기준으로 제작되었기에 운송에도 큰문제 없었습니다. 일본철도설비와 대차등 철도부품도 협궤기준이었기 때문에 협궤가 유리했죠. 하지만 당시 일본에서 파견된 젊은 철도기술사 가사이가 한국은 중국과 대륙으로 뻗어나는 일본제국의 교두보임으로, 전쟁목적인 협궤가 아니라 표준궤이에야 한다고 본토를 설득했습니다. 전쟁준비로 재원이 부족했지만 가사이 설득으로 한국은 표준궤로 넣였습니다. 협궤나 표준궤나 일제 침략의 잔해임은 분명하지만.. 표준궤로 놓였기에 한국 철도발전에 유리하게 작용했죠. 현대 러시아는 철도강국으로 손꼽히는데, 한때 미국의 가르침을 받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러시아 광궤가 독일 군이 무서워서 놓았다고 흔히 알고 계시는데요. 정확한 이유는 초기 러시아 기술자들이 미국에서 광궤 기술을 배워서 광궤를 깔았습니다. 당시 19c초중반 미국철도는 50프로 정도가 광궤였죠.
@user-cg4mh6sy9z
@user-cg4mh6sy9z Ай бұрын
이분은 다양한 정보를 알기쉽게 정리하여 군더더기 없고 담백하게 전달해주시기에 제 교양이 약간이나마 넓어비조 관심가지게 해주셔서 좋아함
@paranrara
@paranrara Ай бұрын
고속철도는 비행기 보다 경제성이 없어서 안깐거고 화물 철도는 많다. 미국 화물 열차는 길이가 3키로 넘는게 보통이다. 기관차 여러 대 연결하고 화물칸 100~150개씩 달고 다닌다. 땅덩어리가 하도 넓어서 일반 여객 열차는 며칠씩 걸리니 인간은 비행기 타는게 훨씬 효율적이지만 화물은 열차에 어마어마한 물량을 싸게 싣고 갈 수 있다
@scyu13
@scyu13 29 күн бұрын
골프장 가다가 열차 만나서 지각한 경험이 ...
@notifier2Demo
@notifier2Demo 29 күн бұрын
@@scyu13ㅋㅋㅋ
@kwantaejeong5490
@kwantaejeong5490 29 күн бұрын
300개도 있습니다😅
@richardseo1451
@richardseo1451 23 күн бұрын
전에는 그많은 화물이 한진컨테이너였는데 지금은사라졌네요
@mskwon1564
@mskwon1564 21 күн бұрын
미국 화물열차가 하도 길어서 한번은 친구와 화물칸 세어보다가 포기한 적이 있음. 170~180량까지 센 거 같았음. 😕
@user-bw2kf8ep9e
@user-bw2kf8ep9e Ай бұрын
박사님.. 꾸부덩~~^^
@irenegicom0530
@irenegicom0530 Ай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Marin_Jung
@Marin_Jung 24 күн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물어보지만 뾰족히 답하기 애매했던 것들 조목조목 설명 잘해주시네요. 많은 사람들한테 보여줘야겠어요. 감사합니다.
@user-jx7gm8ow3i
@user-jx7gm8ow3i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재미있게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cielogrey
@cielogrey Ай бұрын
앗 박사님이시다😻
@user-gx5hy1px3w
@user-gx5hy1px3w Ай бұрын
이것은 보다인가 지구본연구소인가
@BK-im5hp
@BK-im5hp Ай бұрын
정프로만 왼쪽에 있으면 지구본연구소맞네요 ㅎㅎㅎ
@rainbowbridge4978
@rainbowbridge4978 Ай бұрын
미국에 철도가 없는 이유는 한마디로 '자유' 때문입니다. 미국은 자유를 중요가치로 두는 나라이기 때문에 '고정된 채로 바꿀 수 없이 움직이는' 철도에 대한 거부감이 느껴지도록 발전해온 나라입니다. 철도는 자유를 억제하고 통제하려고 하는 주체로 보기 때문에 철도에 대한 인식 자체가 나쁠 수 밖에 없었고 설상가상 미국에서 철도를 운영했던 사람들의 폐단과 독점의 욕심 때문에 반발심만 가져왔습니다. 미국은 무엇보다 '자유를 수호하는 나라'에 걸맞게 자신들의 문화에 맞춰 잘 적응해 온 나라입니다. 그 한 예로 '트럭커'라는 직업이 있을만큼 엄청난 크기의 트럭들이 철도로 운반할 수 있는 양의 대부분을 운반합니다. 오히려 대형트럭쪽으로 산업이 발전했고 더욱 자유롭게 물자의 왕래가 되며 철도로 인해 인구가 이동하는 현상도 없어 각 주마다 특색있는 문화가 꽃피는 나라가 될 수 있었습니다. 그 때문에 주마다 경제 규모 격차는 꽤 심한 수준이지만 그건 다른 나라에서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므로 특별히 미국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psalm2528
@psalm2528 23 күн бұрын
​@@rainbowbridge4978어디에 증명하셨나요?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19 күн бұрын
​그런가
@woshine
@woshine Күн бұрын
@@rainbowbridge4978 돈 이 되지 않아서 않하죠,,자유는 무슨 개뿔..
@user-lv6ek7jx8v
@user-lv6ek7jx8v Ай бұрын
와 박사님 등장❤
@pianoman3810
@pianoman3810 Ай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드디어 보다 오셨다
@user-pm9pq8mm9q
@user-pm9pq8mm9q Ай бұрын
재밋어용
@roanga
@roanga Ай бұрын
미국은 철도가 발달하지 않은게 아닙니다. 여객철도가 거의 멸종이고 화물철도망은 넘사벽입니더. 50량 80량짜리 화물 열차들 넘쳐나고, 미국 철도망은 고속도로 총연장에 2배에 가깝습니다. 워렌버핏도 미중부 철도회사 인수해서 엄청난 수익을 거두고 있습니다.
@user-lm2jz8ws4h
@user-lm2jz8ws4h Ай бұрын
애시당초 땅이 너무 넓고 크다 보니까 구석 구석 철도나 교통시설 깔기가 힘든데 전세계에서 자동차 보급이 가장 빨리 일어났고 기름값이 물값보다 싼 나라였으니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이유가 없지. 그렇게 자동차가 문화가 되어 버리니까 더더욱 대중교통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그리고 뉴욕 지하철 꼬라지만 봐도 알수있지만 부랑자나 마약중독자들 모이는 장소가 되업 버리고 관리도 개판임.
@kokonara3497
@kokonara3497 Ай бұрын
맞아요.집집마다 넓은 주처장을 보유하고 있으니 내집에서 바로 차를 타고 넓게 뚫린 대로로 직장을 다니고 놀러갈땐 우리나라 고속버스 개념의 공항을 이용하고 공항에서 렌트카를 이용하는 문화죠.과거의 자동차가 없이 도보로 이동하던 다운타운은 이민자,관광객,저소득층의 공간이고 지하철을 이용안하니 투자가 없고 마약 중독 부랑자들이 가득하죠.그래서 가끔 한국의 지하철은 깨끗하고 미국인들이 부러워 한다고 하는데......사실은 대다수 미국인둘은 지하철은 물론이고 대중교통 자체를 이용을 안하기때문에 그냥 태어나서 처음 대중교통을 이용해보고 신기할뿐 부러운건 아니죠.
@SeilPark89
@SeilPark89 Ай бұрын
전 뭔가 미국 뉴욕지하철도 타봤지만 총기규제가 안되는 나라라..무서움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Ай бұрын
​@@SeilPark89뉴욕지하철가보고 미국을 판단하는 한국인들의 어리석음. 대다수의 미국사람은 그런 대도시에 안살아요. ㅋㅋㅋ
@jimong2ga
@jimong2ga Ай бұрын
최박사님~
@user-fc5gh6ee3f
@user-fc5gh6ee3f Ай бұрын
우와!! 최준영박사님이시닷!!! 오늘 지구본도 업로드되는 날인뎅~ ㅎ 잘 보겠습니다!!
@user-ko9te4jj4u
@user-ko9te4jj4u Ай бұрын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사업... 브라이트라인 기업 주도 고속철도 사업... 텍사스 고속철도 사업 검토... 이런데 하이퍼루프의 미래...? 미국 자동차 회사들의 로비에 대한 내용은 쏙 빠지고 전쟁이 끝났으니 철도는 소멸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뇨... 아무리 고속도로가 있다고 한들 철도가 인기를 끌지 못할 이유는 없구요, 미국도 1950~60초 까지만 해도 미래 철도의 컨셉을 공개하고 여기에 미국 시민들도 열광했던 핵추친 열차 같은 다양한 연구도 많이 했습니다. 그것 이외에도 철도 선로의 민영화도 큰 문제로 작용을 했습니다. 사실상 4개의 회사가 철도를 독점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는데, 최대한 저렴하게, 유지보수는 최대한 낮게, 그나마 돈이 쏠쏠 들어오는 화물 선로만 남기게 되다보니 지금 이지경까지 오게 된겁니다. 많은것이 비어 있는 내용의 영상이네요...
@jkha7915
@jkha7915 Ай бұрын
언급이 없는게 아니라 그게 주된 원인은 아니라 말하고 있네요
@Shinkansen.JR-500.w1
@Shinkansen.JR-500.w1 Ай бұрын
미국은 현재 플로리다에 브라이트라인 고속철도,북동간선에 아셀라 익스프레스와 아벨리아 리버티라는 고속철도가 생겨 미국도 고속철도 시대에 들어서게 됬습니다.
@user-en3hp7rd7m
@user-en3hp7rd7m 28 күн бұрын
그렇군요. ('됬습니다' -> 됐습니다 (되었습니다의 줄임))
@tom2j494
@tom2j494 16 күн бұрын
그게 아니라…. 기차역에서 집에 까지 가는 교통편이 없어요~~~~ 그럴바에는 아예 내차 끌고 다니지. 한국같이 동네 동네 많은 대중 고통들을 이용 할 수 없어요.
@user-mj2iy5nr1w
@user-mj2iy5nr1w Ай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
@user-hi7fx2mr8s
@user-hi7fx2mr8s Ай бұрын
화물운송은 어떤가요? 100량의 화물철도가 지나가는거 한 10년전에 본거 같은데..
@roanga
@roanga Ай бұрын
캘리포니아 주민입니다.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LA-샌프란간 5번 고속도로 옆에서 열심히 공사중입니다. 2028년 LA올림픽 이전까지 샌프란-베이커스필드 공사 완료예정입니다. 계획은 샌프란-LA-샌디에고 입니다. 초창기 하이퍼루프가 검토되었으나, 수송량 폭망으로 탈락했습니다. 노반 공사만 진행중이며 고속철도 차량선정은 아직 안되었지만, 미국현지 철도차량공장이 있는 지멘스 선정 유력입니다.
@OrangeCountyGlider
@OrangeCountyGlider Ай бұрын
저도 캘리 사는데요... 다시 찾아보시면 Madera to Bakersfield 로 단축 되었답니다.
@jakeshin1782
@jakeshin1782 Ай бұрын
샌버나디노ㅡ바스토우ㅡ라스베가스 구간이 건설된다고 합니다만, LA 거주민들이라면 LA에서 샌버나디노까지 가서 열차타고 두시간 반걸려서 라스베가스 도착해서 우버나 대중교통 이용할거면 그냥 자가용 운전해서 가는게 낫겠네요. 요즘 차들은 앞차와 차량간격 유지하며 주행 보조하는 기능도 있으니... 아무래도 올림픽 등으로 외국에서 유입되는 자차없는 관광객들이 주 이용 고객이 될듯.
@ssssss7112
@ssssss7112 Ай бұрын
관광객들도 렌트해서 반자율 주행 77마일 고정해놓고 유튜브 보면서 가는거 정말 개꿀입니다 ㅋㅋ
@SeilPark89
@SeilPark89 Ай бұрын
제발 이런것들은 공항처럼 관리를 했으면 그래야 안전하지..
@ahndre7
@ahndre7 Ай бұрын
50년 걸릴 겁니다…
@user-ik2pd6cj2u
@user-ik2pd6cj2u Ай бұрын
미국 철도 역사 이야기 하자면 독점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미국의 철도는 독점이라는것을 통해서 물류와 운송을 통째로 가지려고 했죠. 그 당시 20세기 미국은 JP모건의 US스틸과 철도 회사를 통해서 싹쓸이 하려고 했고 다른쪽 유대인 자본가 제이콥 쉬프의 철도 회사의 독점 경쟁이 있었습니다. 둘 다 다른 철도 회사들의 인수를 위해서 엄청난 자본경쟁을 했습니다. 주식시장이 엄청나게 요동칠정도로 심각했으며 서로 손잡고 노던 시큐러티스라는 회사 설립을 하여 빛을 보려 했으나 독점 반대주의자 미국 대통령 테디인 시어도어 루스벨트에게 셔먼 반독점법으로 무너지게 됩니다. 현재도 미국은 독점이라고 하면 칼을 들게 된 원인이죠.
@userganada
@userganada Ай бұрын
독재나라임? 독점을하게?
@user-ml5jd9mb4p
@user-ml5jd9mb4p Ай бұрын
자본주의의 끝은 독재자가 나오는거임​@@userganada
@user-cs1ru7qq5r
@user-cs1ru7qq5r Ай бұрын
​@@userganada형 난독증있어? 독점을 막기위해서 그만큼 노력한다는 거잖아 저걸보고 어떻게 독재얘기가 나올수가 있는거지?
@clousewitz
@clousewitz Ай бұрын
@@userganada 난독증 아니면 첫줄만 읽고 댓글다는 ㅋㅋㅋㅋㅋ
@happyhour2133
@happyhour2133 Ай бұрын
MS로 컴뮤터 soft 웨어를 장악한 빌 게이츠도 독점금지법 때문에 곤욕을 치뤘고 결국 믾은 돈을 기부하는 좋은 재벌이 되는 계기가 됐죠, 카네기 록펠러등 유명한 미국재벌들도 당시엔 독점에 의거해 막대한 부를 쌓았으며 결국 안티 트러스트법 제정으로 위기를 맞자 부의 사회환원형식으로 위기를 극복한 현재는 칭송받는 기업가로 기억되고 있죠.
@SHKim-uv4wo
@SHKim-uv4wo Ай бұрын
이제 최박사님의 관심사는 제레미 니프킨 처럼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한 설명과 예상으로 ~~~ "노동의 종말"도 ~~~
@casajo6673
@casajo6673 25 күн бұрын
미국 철도는 시골 구석 까지 있다. 단 화물용 철도. 그외 비행장 역시 각 도시 시골도시까지 있다. 효율성을 따지면 철도는 화물 사람은 비행기 이런 느낌.
@azerc6459
@azerc6459 Ай бұрын
와 보다보다 보다에 박사님이 오셨네 시청자들 지식수준을 주단위로 5%씩 업그레이드 해주시는
@maatpon
@maatpon Ай бұрын
ㄷㄷㄷㄷ 최준영 박사님이라니 보다 채널 폼 무쳤다;.
@user-px9kd5er9s
@user-px9kd5er9s Ай бұрын
닥터최는 못참지
@kollmorganjkelly
@kollmorganjkelly 13 күн бұрын
한반도에 표준궤(1435㎜)로 결정한 이유는 만주지역 찰도와 그대로 연결하기 위해서 라고 합니다. 한국에 있어서는 천만다행 결정이지요. 러시아는 광궤인데 한때 아시안 하이웨이 구상하면서 궤도폭 때문에 많은 연구논문이 나오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user-qp7bp5bz7i
@user-qp7bp5bz7i 5 күн бұрын
거의 누워서 가는열차가 나올거에요 진공으로 덮을이유도 없고 누워서 가는 열차로 한뒤 탑승이 완료되고 가동이전에 열차가 피스톤움직임으로 하여금 층고를 낮춘뒤 이동하는거에요 당연히 공기저항을 덜받으니 더 빠르게 이동할수 있고 거기에 자기부상열차처럼 조금 띄워서 운용하면 더욱 빠르게 운용가능합니다. 전기소모를 극적으로 낮출수 있고 운용비용을 대폭 낮추면서 빠르게 이동합니다 거기에 ktx를 타신분들은 아시겠지만 거의 젖혀서 가거든요 그냥 눕게 해주죠 층고를 낮춰서 더 빠르게 이동하고 그냥 도시간 이동에선 일반적인 고속으로 움직이는 자기부상열차가 더 빨리 나올거에요 자기부상열차가 도시에서 더 최적인게 소음이 적잖아요 거의 안들립니다 쿠궁소리 안들려요 그리고 제로백시간이 매우 짧습니다. 최대시속까지도 시간이 5초밖에 걸리지 않을겁니다. 그리고 그렇게 더 빠른열차를 급행열차에서도 운용할수 있는거에요. 외부환경을 보기가 어려울수 있다? 급행으로 타시는 분들은 그딴거 없고 진짜 역간의 시간을 10초라도 줄이기 위해 타는거에요 하나를 건너뛰잖아요 그 급행열차에 고속 자기부상열차를 더 운용할수 있습니다 ktx자체는 해봤자 어느때에 타요? 추석때 설날때 부산으로 갈때 빼고는 거의 안타잖아요 그리고 서울에서 외곽으로 서울을 통과해야만 하는노선을 줄이고 기타 철도 위에 간선으로 진짜 급한사람들을 위해 통크게 2~3정거장 건너뛰는 급행 고속 자기부상열차를 하는거에요. 좀 듬성듬성있고 나머지는 버스가 커버하는겁니다
@user-mu2cf8nc9b
@user-mu2cf8nc9b Ай бұрын
시카고에 사는데 미네아폴리스 갈때마다 생각합니다... 고속철도만 있더라도 3시간안에 갈 수 있는데 왜 공항까지가서 시간 낭비를 해야 될지... 보스턴 뉴욕 디씨 그쪽은 그나마 240킬로에 달리는 acela가 있어서 다행이지만 다른곳은 비행기 탈 수 밖에없음...
@jeppy9851
@jeppy9851 Ай бұрын
미니애폴리스
@bond9620
@bond9620 Ай бұрын
​@@jeppy9851그건 국어표기법이고 재미교포들은 미네아폴리스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단다 잼민아.
@777-ve4dr
@777-ve4dr Ай бұрын
철도가 있어도 공항비행기 뷰다 별로 편리하자 않습니다. 오헤어 공항 위치가 도심에 있는데 고속철듀 깔아도 접근성이 공항뷰다 낫지 안ㅅ습니다. 가격도 더 비싸드고요. ~~~~~~ 일본 유럽이 철도가 발달한 것은 공항 위치가 개판이기 때문이며 중심역은 매우 위치가 좋기 때문입니다.
@user-en3hp7rd7m
@user-en3hp7rd7m 28 күн бұрын
@@jeppy9851 현지 발음이 그렇군요! Minneapolis [mìniǽpəlis]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 Ай бұрын
하이퍼 루프는 여러대 열차를 집어 넣으면 안돼죠 시속1000Km인데 딱 2대만 넣고 운영해야죠. 20명 타는게 아니라 500명 정도 타는 캡술로 제작해야 돼고요. 그런데 사실은 한국에선 그렇게 필요하지도 않음. 달나라 같은데서나 필요하고 유용하죠.
@user-cr8bi7wh3t
@user-cr8bi7wh3t 18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좌우 해안가와 북쪽 한곳에만 집중적으로 인구가 많아서 입니다. 중간 중간에 인구가 많은 대도시들이 있어야하는데 서부. 동부.그리고 북부 시카고 지역말고는 없지요. 따라서 열차의 장점은 빠르게 중간중간 경유하는 도시가 많은 땅에서 유리한데 그게 없어 비행기로 3~4시간에 그냥 이동하는겁니다. 그리고 미국인들은 예로부터 좌.우.북 대도시로 이동하는게 해외로 나가는 것만큼 인식이 불편했지요. 30년전만해도 뉴욕에서 샌프란 La로 이동하는건 이민하는것처럼 느껴졌으니까요. 자신의 지역에서만 자동차로 이동한겁니다. 경제적으로 철도는 중간중간 경유할 인구가 있고 도시가 있어야 타산이 맞습니다. 서울에서 홍콩 필리핀 가는데 우리도 누가 기차를 타고 가고싶을까요? 자동차와는 상관없습니다. 중국이 열차가 성공한것이 중간중간 거치는 도시들이 많고 유동인구또한 어마어마 하기에 성공했지요. 또한 미국은 자동차는 어차피 그지역에서 돌아다니는 한정적 용도니까요. 열차는 자동차가 아닌 비행기와의 경쟁이었지요. 보잉사의 로비라면 모를까~~~ㅎㅎ
@hexus2002
@hexus2002 13 күн бұрын
경제성 때문입니다… 지금 암트랙도 가격이 장난 아닌데 고속철도면? 비행기보다 세배는 비싸질텐데? 게다가 미국은 대부분 고속도로 무료라서 자동차의 경제성 우위가 한국보다 더 우수
@smp2484
@smp2484 Ай бұрын
모르겠는데... 최준영 박사 라는 말에 그냥 끊까지 보아요.ㅎㅎㅎ
@neomaya78
@neomaya78 Ай бұрын
이번에 LA (랜쵸쿠가몽가)에서 라스베가스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철도 사업이 첫 삽을 떴습니다.
@Chonghyeon-fw1kz
@Chonghyeon-fw1kz 26 күн бұрын
Yessss brightline Co for Los Angeles Olympic 2029. Biden approved 3 billions and California, Nevada spent 9 billions. I'm very excited!!! (Sorry writing in English) From Las Vegas.
@Kenny-fh3om
@Kenny-fh3om 26 күн бұрын
뉴욕-워싱턴 DC , 뉴욕-보스턴 ..고속철도 라인 있어요..😅😅 미국은 고속도로뿐 아니라..항공산업이 엄청 발달했어요..😅😅😅
@fluteer
@fluteer 27 күн бұрын
하이퍼루프는 하게 되면 기존 철도처럼 상행,하행 2개 선로로 하는게 아니라 작은 캡슐이 오가는 것인 만큼 상행 3~4개 하행 3~4개를 복층 배치하는 형식으로 해야 전체 용량이 어느정도 나올 거라고 봅니다.
@kenneth7206
@kenneth7206 Ай бұрын
아까 보다가 갑자기 영상 내려갔어서 당황...
@user-ui4pg8hi2e
@user-ui4pg8hi2e 29 күн бұрын
개인교통수단이 좋으니 철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것같네요 땅이넓어 시간도 많이 걸리고요 대중교통으로 비행기가 교통수단으로 발달한모양이죠
@sunhokim303
@sunhokim303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나라도 작은데 너무 많아요 다 국민 부담으로
@learjet3871
@learjet3871 24 күн бұрын
미국에 고속철도가 없는 이유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면 금방 이해됩니다. 화물은 거의 철도로 운송합니다. 보통 컨테이너 2 층으로 올려서 200량씩 다닙니다. 아직은 가장 저렴한 운송수단이죠. 철도 주식이 수익성이 대단히 좋습니다. 배당금과 주식 분활 포함해서
@DOBBANG_
@DOBBANG_ Ай бұрын
보다 BODA
@fire_poong6129
@fire_poong6129 26 күн бұрын
진짜 척척박사님 모르시는 것이 없음!
@chrishan5949
@chrishan5949 20 күн бұрын
영상만 보고 무조건 믿지 마세요. 다른 댓글들을 읽어보세요. 미국도 안 가보고 떠드는 소리입니다.
@kangsj1977
@kangsj1977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철도는 화물수송수단으로 우선 쓰이죠. 미국에서 여객열차가 화물열차에 양보하는 경험이 기억나네요...
@user-en3hp7rd7m
@user-en3hp7rd7m 28 күн бұрын
여객열차가 화물열차에 양보를 한다 : 기사거리가 될 특이현상이네요 (사람이 개를 물었다는 경우처럼).
@jongpark272
@jongpark272 3 күн бұрын
미국의 철도는(주와주를 연결하는)처음부터 개인 회사에서 자기들 돈으로 건설했음 지금도 몇개의 회사가 소유중임 현대에 들어와서는 주정부에서 건설중임(아주 짧은구간임) 그런데 비용은 그지역(경전철)이용가능 주민들한테 부담을 시킴(공사 하기전에 11월에 투표를해서 50%이상의 지지율이 나와야지만 공사가 가능함,비용은 부동산세,자동차세에 추가 부담을 시키는중임 그래서 주민들 불만이 굉장히많음 많은지역이 무조건 반대함
@chrisjohn6270
@chrisjohn6270 Ай бұрын
뱅기가 더 싸고 빠르니까!!
@user-mi2lm9pu4s
@user-mi2lm9pu4s 17 күн бұрын
미국 대륙의 규모와 시차의 규모상 비행기가 압도적으로 발달할 수밖에 없음. 그리고 미국이 최대의 소비국 아닌가? 자가용 구매와 이동을 많이 선호하고 차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 나라인 걸로 암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11 күн бұрын
없는지도 몰랐네 놀랍군
@dddk236
@dddk236 Ай бұрын
Brightline이라고 마이애미-올랜도간 3시간 반에 주파하는 고속철(최고 속도 200km 지만) 운행한지 좀 되었고 암트랙 Acela Express(보스톤-워싱턴 DC)도 일부 구간 240 km주행하는데 팩트를 일부 수정해야 하는거 아닌가 생각된다
@chunggakdan
@chunggakdan 29 күн бұрын
사실 한국철도는 일본의 대동아 확장시기에 건설된 경부선 경의선등이 대표적인 전쟁물자 수송용으로 협궤는 건설기간이 짧지만 수송량이 적고 광궤는 수송량이 많지만 건설기간이 길죠. 그 중간인 표준궤로 맞춰 건설한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간선을 제외한 지선은 협궤로 지은 노선이 많았습니다. 수려선, 수인선이라던가 경동선(대구선, 동해남부선의 전신)이라던가 마산선(삼랑진~남마산) 같은 구간들은 협궤로 건설되었다가 표준궤로 개궤된 구간들입니다.
@hyounkim8815
@hyounkim8815 29 күн бұрын
에구, 넓은 땅에 가는데 마다 비행장 있는거는 모르고 말하네요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Ай бұрын
미국은 다른나라외 비교해서 중앙정부 및 국가적인 공공서비스를 해야 할 영역을 지나치게 지자체차원이나 민간서비스로 떠 맡기는 풍토와 상관관계가 크다고 봅니다. 철도사업의 예를 든다면 우리나라나 보통의 국가들 상식선에서 도시철도던 간선철도던 공공부분 사업으로 공기업에서 운영을 맡아야 한다라고 인식하지만 미국은 그것을 민간사업으로 떠맡기다 보니 민간기업처럼 수익성을 찾는 성향이 강할수밖에 없습니다.
@hololo1452
@hololo1452 29 күн бұрын
전세계비행량보다 미국국내선 비행량이 더 많을만큼 잘돼있는데 굳이 있을필요가. 저항도 훨씬 덜받는 경제적 수단인데
@KimCholmin
@KimCholmin Ай бұрын
미국이 생각보다 인프라 깔기가 좀 애매합니다. 중부에서는 토네이도 불지요. 동부/서부 해안가에서는 때되면 태풍 불지요. 10년쯤 전에 고속철도망 건설해놨으면 벌써 3번은 부서졌을 겁니다. 자연재해가 미국이 일본보다 더 심하다고 들었습니다. 아마 제 생각에는 앞으로도 고속철도는 건설하기 어려울 겁니다. 영상 내용처럼 수요도 그닥 많을 거 같지도 않고 번돈보다 수리하고 유지보수하는 비용이 더 많을 듯 하네요..
@melafragile
@melafragile 26 күн бұрын
브금이 쓸데없이 웅장함
@OrangeCountyGlider
@OrangeCountyGlider Ай бұрын
미국도 서부에 고속철도 건설 중 입니다. 원래는 샌프란시스코에서 LA까지 계획이었으나 Madera to Bakersfield 로 단축 되었죠. 아무튼 진행중 입니다.
@Jake-superman
@Jake-superman 28 күн бұрын
인구 밀도가 낮으니 그렇죠
@jeong-uchoe86
@jeong-uchoe86 23 күн бұрын
KTX도 빠른데 만들려면 돈많이 들겠네요 특허있어 버는사람이나 벌겠지 대출해 만들어서 상환하려면 얼마나 걸리나요?
@unclux
@unclux 21 күн бұрын
플로리다에 있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브라이트라인인가?
@jameslee3566
@jameslee3566 28 күн бұрын
저렴한 고속 철도의 발전 속도 지방 소멸 속도는 비례함. 좋타고 봐야 할까요?
@lionlamb688
@lionlamb688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는 모르겠고 땅덩어리가 길지않은 우리나라 지형상 하이퍼루프는 기술력 난제나 안전성 문제는 둘째치고 운송량 한계, 초고속으로 인한 차량 간격 문제 등으로 상업적으로 마진을 뽑기 힘든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건설도 쉽지 않은게 단선은 절대 안되고 평범한 시민들도 타고다닐 수 있는 가격대로 대중성을 염두에 둔다면 최소 4개의 복선을 깔아야 어느정도 수익을 얻을듯 한데 그럴려면 부지 매입 과정부터가 빡셀듯..하이퍼루프는 최대한 직선주로로 깔아야 해서 일반 열차처럼 비싼 부지를 피해 노선을 빙돌아갈수도 없으니 직선로 땅주인이 안팔거나 알박기하면 부르는게 값이 될수도...
@rlaqbxotlrl
@rlaqbxotlrl Ай бұрын
솔직히 하이퍼루프는 통일 이후면 모를까 지금은 실효성이 없는....
@michiganlee
@michiganlee 25 күн бұрын
사실 미국에서 GM음모론은 사실, 실제 역사였습니다. 그리고 GM이 정치 로비도 하였구요. 미국교통의 큰틀을 짤 때, 비행기와 자동차로 짜도록 정치권이 합해여 움직여 법과 시스템의 체계를 만글었습니다
@user-lb3qk4ge9v
@user-lb3qk4ge9v Ай бұрын
총기 자유화에 따른 영향도 없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허허벌판 달리다가 강도로 돌변한다던가. 그 걸 방지하기 위해 비행기처럼 검사하면 차라리 비행기 타는게 빠르고
@BS-wm8fi
@BS-wm8fi 25 күн бұрын
한국의 로직으론 미국을 이해 못 합니다. 미국은 합중국으로 50개 주가 마치 50개 나라처럼 조금씩 다른 법과 행정권을 갖고 있어 설계서부터 시공 또 관리가 엄청 복잡합니다. 또 워낙 개개인의 자유가 우선시 되는 나라라 자유로운 차 여행을 엄청 선호하여, 기차 타기를 싫어합니다. 그래서 미국 철도회사가 정부보조금 받아도 적자운영입니다. 새로운 고속전철의 그 어마어마한 투자비를 연방정부에서 다 낼 수도 없고, 개인 기업이 손해보는 사업에 투자 하지 않을거구요. 화물운송은 고속이 아니어도 별 지장없으니 고속전철은 일반 국민이 원치 않습니다.
@user-hs5rx9ej4c
@user-hs5rx9ej4c 26 күн бұрын
상하이 마그레브같은 자기부상열차는 공사비가 관건이지 만드는 건 열차위에 전기공급선도 필요없으니 정말 쉬움
@koranokis
@koranokis Ай бұрын
물론 교수님이 더 잘 알고계시지만 저의 미국인 친구들에게 옛날에 물어본 기억이 있어 저도 적어봅니다. 기차가 아무리 빨라도 비행기보다 느리고, 서부에서 동부 가는 저가 비행기 혹은 비행기가 많아서 기차를 타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각주마다 법이 달라서 기차 선로 관리가 어렵고 , 미국은 같은경우는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이 운영해야 하기에 비용도 상당 하다고합니다. 지금도 대륙횡단 기차가 있는데 횡단 비용이 비행기 표보다 비싸서 중간에 내리지 않는경우 잘 타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마 제일 큰 이유가, 미국은 자차 보유 비율이 높고, 기차보다 비행기가 더싸게 먹혀서 고속 열차 필요성이 없어 보인다고 하네요 .
@yoongheekwon8655
@yoongheekwon8655 27 күн бұрын
미국에 고속철이 없는 이유는 첫째 수요가 거의 전무하다 시피하기 때문이고 땅이 너무 넓다보니 너무 비 효율적이기 때문이고 한국 일본과는 달리 땅이 너무 넓다보니 그 건설 비용이 너무 마니 드러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텍사스주 휴스턴에 Zoning 있습니다. Zoning = 상업지역 공업지역 거주지역의 구분이 없는곳은 휴스턴과 같은 데 도시가 아니라 City Limits 박입니다.
@youngchung922
@youngchung922 26 күн бұрын
도시간 거리가 너무 멀고.도시자체도 인구가 밀집되어 있지않아서 시내 대중교통도 거의없어서 철도는 너무 불편하고.시간은 비행기보다 너무 걸리는반면 비싸고.또 한가지 범죄때문.대도시 시내 지하철을 보면 냄새나고.더럽고.범죄온상입니다.
@youngchung922
@youngchung922 26 күн бұрын
근데.대중교통이 글케좋은 한국도 집집마다 차가 또 두대씩 잇자나
@kimbigsky
@kimbigsky Ай бұрын
인도는 광궤를 사용하는 나라 아닌가요? 인도에서 기차를 타보면 레일폭이 확실히 넓은게 바로 느껴집니다.
@downmancalm5758
@downmancalm5758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전에 워렌버핏이 철도 주를 사서 큰돈을 벌었다는걸 봤는데 그건 어떻게 된건가요??? 철도가 미국에서 성공하지 않았다면 그런일이 어떻게 있을수ㅜ있죠??
@Vesperado0131
@Vesperado0131 Ай бұрын
그거 화물열차입니다.
@downmancalm5758
@downmancalm5758 Ай бұрын
@@Vesperado0131 아 제가 헷갈렸네요 감사합니다
@hb2030
@hb2030 Ай бұрын
방금 깨달았습니다. 결국엔 수요대비 공급이라는 자본주의법칙. ㅋ 같은 땅덩어리 크기에 인구수가 7~8배차이, 수요부족 돈이 안되요~
@user-yg9ux6sy7u
@user-yg9ux6sy7u Ай бұрын
LA - 라스베가스 고속철도 28년에 개통한다던데...
@user-xn1vc1vz2j
@user-xn1vc1vz2j Ай бұрын
재래선 다닐수있는 신칸센은 미니신칸센 자기부상열차로 만드는건 리니어 신칸센
@user-ef9ox3qi5c
@user-ef9ox3qi5c Ай бұрын
철도가 애매한게 중장거리로 가면 항공에 비해 메리트가 없음
@downmancalm5758
@downmancalm5758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전에 워렌버핏이 철도 주를 사서 큰돈을 벌었다는걸 봤는데 그건 어떻게 된건가요??? 철도가 미국에서 성공하지 않았다면 그런일이 어떻게 있을수ㅜ있죠??😊
@yeongh5899
@yeongh5899 Ай бұрын
고속철이 없다지 화물열차 시장은 매우 큽니다
@user-rr8gp5mw1g
@user-rr8gp5mw1g 25 күн бұрын
상온 전도체가 발견되고 그걸 상업적으로 이율이 날 정도로 가성비가 생겨야 자기부상 열차가 제대로 나오지 않으려나 이것도 쉽진 않을듯
@user-js2br3xg2t
@user-js2br3xg2t Ай бұрын
내용을 안보고 제목만 보고쓰는데 땅이넓어서 비행기가 더싸게 먹힌다고 들었는데.....
@windhawk94
@windhawk94 Ай бұрын
난... 이분 말씀...공감 되는 부분은 있지만.. 100% 모두다 공감하긴 어려운 부분이 있네.....
@BBangGGuBottle
@BBangGGuBottle Ай бұрын
자동차 회사 때문이라고 미국 사람이 그러던데 ㅎ 영상에서 하신 말씀은 팩트 체크 된 내용이신가요? 아니면 개인적인 생각이신가요.
@Smile_loop
@Smile_loop Ай бұрын
상하이 - 서울 - 도쿄 하이퍼 루프 놓으면 지릴 거 같다.
@beginofsquare
@beginofsquare Ай бұрын
미국 철도 역사 신기하네ㄷㄷ
@user-om5qm4wv7z
@user-om5qm4wv7z Ай бұрын
0:36 여기는 어디예요? 도시 이름이?
@JISEUNG328
@JISEUNG328 Ай бұрын
뉴욕입니다
@user-si9jg4xm5d
@user-si9jg4xm5d Ай бұрын
미국에 고속열차가 없다는게 신기하네요
@suribilee4886
@suribilee4886 Ай бұрын
하이퍼루프는 그냥 사람보다 물류에 써야할듯
@jambread848
@jambread848 Ай бұрын
일본은 1930년대 만주에서 이미 당시로서는 고속열차라고 할 수 있는 ‘아시아호’를 개발해 운행한 경험이 있었고, 고속열차라는게 아주 성공적이라는 걸 이미 알았습니다. 당시 경부선이 겨우 60킬로인가로 달릴 때 만주 고속열차는 150-180킬로로 달렸어요.
@user-di9zx4od9y
@user-di9zx4od9y 11 күн бұрын
인도는 산간지역 일부만 협궤이고, 대부분 광궤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hs5rx9ej4c
@user-hs5rx9ej4c 26 күн бұрын
프랑스같이 고속열차를 기존선로에서 이용하려면 당연히 선로에 커브가 많으면 안 되는데 스페인에서 한번은 프랑스가 부러웠던 한 기관사가 고속열차도 아닌데 코너를 시속180키로로 꺾다가 초대형참사가 일어났었죠...
@zonnage2877
@zonnage2877 5 күн бұрын
과거 비행기 인프라를 위해서 일부러 승객용기차엔 투자를 줄여버렸죠 그로인해 디트로이트같은 대도시들이 파산하는데 일조했다고 여겨지고있습니다
@hyunjoonshin274
@hyunjoonshin274 Ай бұрын
진짜요?...근데 L.A에 살고 있는 저는 왜...렌트가 비싸서 힘들까요?..집은 미친듯이 만들고 있는데...
@sunhokim303
@sunhokim303 13 күн бұрын
없는게 아니라 타당성 연구후 경제성이 없어 안하는거지요 우리나라는 정치끝발로 밀어부쳐 타당성 관계없이….
@koyote7239
@koyote7239 Ай бұрын
경부선 철도 대한제국때 만든거 아닌가요?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Ай бұрын
텍사스 휴스턴 달라스간 고속열차 만든데요. 미국은 열차타러 정거장까지가는게 불편해요. 어딜가도 내차타고 가는게 제일 편하죠. 한국가면 제일 불편한게 교통뭄제예요. 여기같으면 집 바로앞에서 내차타면 30분이면 갈수있는 곳을 한국은 1시간 이상이 걸리고 전철타러가는데만 10분 이상이 걸리고 전철에서 내려서 목적지가는데도 10분이상 걸리니 얼마나 시간이 걸리고 힘든지 몰라요. 거기다 공기도 더러워서 더 힘들게 만들어요.
@user-cw1op7fg6v
@user-cw1op7fg6v Ай бұрын
막힐 때 서울에서 차 안몰아봤나요?? 같은 강남 가는 것도 서울내애서 차로 1시간 넘게 걸릴때도 많아서 지하철이 더 편할 때가 많아요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Ай бұрын
@@user-cw1op7fg6v 그러니까요. 지하철타러 다녀야하는게 너무 불편해요. 미국에 비하면 한국교통 정말 최악이예요.
@scyu13
@scyu13 29 күн бұрын
좀 걸어야 건강에 좋습니다 ~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29 күн бұрын
@@scyu13 서울에서 걷는게 건강에 좋다고요? 운동은 깨끗한 공기속에서 해야지요.
@kjblueskyjp
@kjblueskyjp 2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공기의 품질이 한국보다 최소 10배 이상 품질이 하이쿠알러리 이기에 한국사람 피부에는 너무 좋은 미국의 공기 품질이 더 않조아요
@stayy5
@stayy5 Ай бұрын
미국의 물류가 철도 대신 도로 위주로 변한 가장 큰 이유로 꼽히는 게 스탠다드오일의 도로.자동차 활성화 전략입니다. 20세기 초반 LA등 서부 해안도시들이 근대화될 때, 당연히 대륙횡단철도(캘리포니아 주도인 새크라멘트가 종점)를 통해 물류가 서부로 이동했으나 거대재벌인 록펠러가 석유를 팔기 위해 자동차 위주의 도시 건설을 지방정부에 제안했고, LA의 거대한 인터체인지 등 도로 시설을 시공, 기부하는 등 서부지역이 철도가 아닌 자동차 위주로 건설되도록 유도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공공재의 민영화가 가져올 수 있는 폐해의 대표적인 예로 거론됩니다. 이렇게 도시계획이 짜이고 건설되면 나중엔 못 바꿔요. 수도나 전기, 고속도로, 철도 등이 민영화되면 단기적으로는 가장 효율적일 수도 있지만, 거시적인 계획성을 기대할 수는 없는 거죠. 그 당시 미국에서 30년 정도를 내다보는 주지사나 의회, 대통령이 물류의 미래를 결정했다면 철도를 선택했을 수도 있었을 겁니다. 그러나 LA는 재벌이 공짜로 지어주는 도로를 택한 거죠.
@kainl4622
@kainl4622 Ай бұрын
철도망이 세계에서 가장 촘촘한 일본, 한국도 철도는 화물물류를 거의 담당하지 않습니다. 여객에서는 철도가 좋지만 물류에서는 너무 애매하죠.. 트럭으로 철도역까지 가서 기차에 상차하고 도착하면 다시 하차해서 또 트럭으로 옮겨야 하고.. 물류를 철도로 운송하려면 그만한 도로가 또 필요합니다. 한국이나 일본도 철도 안쓰고 화물트럭이 물류의 거의 전부를 담당합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죠 트럭이 가장 많은 화물을 담당하고, 화물이 많으면 아예 배 띄워서 파나마운하 건너서 뉴욕 LA왔다갔다 합니다. 그게 철도보다 싸게 먹히거든요. 빨리 가야 하는건 화물비행기 띄우면 되고. 땅이 너무 넓어서 철도가 사장된 케이스라고 보는게 더 맞을 것 같습니다. 도저히 철도가 도로보다 경제성이 좋게 나올 수가 없습니다
@qrop9775
@qrop9775 Ай бұрын
진심 개소리임 위에분이 잘 설명했듯이 국가간 물류는 선박이 압도적이고 국내 물류 수송은 차량이 압도적임 효율면에서 기차는 차량에 비해 엄청 떨어짐
@Minehouse895
@Minehouse895 Ай бұрын
록펠러는 1800년대 후반 사람이고 이미 철도 시대에 사망 미국 철도는 거의 화물 위주인데 바다가 맥시코와 남미대륙에 막혀서 해양운송이 어려워서 화물철도를 엄청나게 굴리고 있음 지금 미국 동서부간 화물운송은 예나 지금이나 거의 철도라고 봐도 무방함 애초에 그 넓은 땅을 건너서 트럭으로 운반하는건 불가능에 가깝고 항공기는 짐만 운반 하기에는 너무 비싸고 해운으로 운반하면 파나마까지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미국 철도가 아예 망할 일은 없음 오히려 나름의 포지션을 지키고 있고 철도회사의 주가도 많이 떨어지지 않았음 하지만 여객분야는 다름 지금 철도기술로도 동서부간 여객운송을 철도로 전환하기에는 한참 역부족임 비행기가 훨씬 효율적이고 빠르고 저렴함 고속철도가 아무리 무리해서 500km/h를 찍어봐야 일반 여객기 속도의 절반밖에 안 되는데다가 유지비만 더 들고 사고위험성만 높아짐
@user-qh9om5sv9o
@user-qh9om5sv9o Ай бұрын
모든걸 재벌의 음모로만 생각하니 이해가 안되는 것이지요. 그럼 철도재벌 밴더빌트는 뭐하고 있었을까요? 재벌들도 서로 경쟁을 하고, 자동차와 비행기가 미국의 인문 지리적 상황에 더 적합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입니다. 자동차 박물관 가서 초기의 자동차를 한번보면 그냥 마차에서 말대신 엔진 붙인 것과 비슷합니다. 말타고 마차타고 널리 퍼져서 독립적으로 살던 사람들이 기차를 탈까요? 역까지는 어떻게 가고~~ 동네마다 기차역을 만들까요? 몰려서 사는 사람은 적고 도시들 사이 거리는 먼데 공사비용은? 미국에서 고속철도는 교통량이 많은 일부 대도시 지역(보스톤, 뉴욕, 필라델피아, 워싱톤 DC, LA, 샌프란시스코)정도를 빼면 경쟁력이 없습니다.
@user-ge7xq4oj5q
@user-ge7xq4oj5q 29 күн бұрын
​이해되고 일ㄹ 있는 의견입니다.
@user-gr5hn6py7g
@user-gr5hn6py7g 21 күн бұрын
미국에는 열차보다는 운화발달했다. 배 이동 문화도 명절이 한국 중국 처럼 설날 추석 춘절 " 독일도 러시아도 열차 발달했다. 과거 러시아 배 발틱함대 지역마다 지리마다 특색
@anniekim-yn4en
@anniekim-yn4en Ай бұрын
이번에 la에 하나 생기는데...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Ай бұрын
한국도 70년대 이후 철도를 등안시 했습니다. 70년대 이후 고속도로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지만 간선철도에서는 새로운 간선망 확충및 복선화에 매우 소홀했습니다.
@Maseemaro
@Maseemaro Ай бұрын
아니 이거슨 지구본을 보다?
@pcvipkr
@pcvipkr Ай бұрын
시속 200킬로미터만 넘어도 여객철도로 충분하지 않을까........속도경쟁을 하는 고속철도는 어쩌면 시장의 1위를 차지하기 위한 생존경쟁으로 보이기도 하고........대한민국에서도 서울 부산이 2시간만에 갈 수 있다면 충분한 것 아닌가........
@user-ir9vg1so7l
@user-ir9vg1so7l 25 күн бұрын
철도는 짧은 거리를 가는 것이고 미국은 뱅기와 우주선이지. 긴 거리니까.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Ай бұрын
일본은 섬으로 단절되 있었지만 한반도는 만주로 대륙으로 연결될수 있다는 지리적 차이가 있습니다.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혹시 이동 거리가 너무 긴 것 아닌가요? 중국도 우루무치까지는 고속철 아니라 일반 철도 겨우 연결하는 것 같은 데요. 유럽국가들보다 미국중국이 심지어 일본이 이동거리가 길어서. 이동거리가 너무 길면 바퀴에 무리가 간다던지(아무리 중금속바퀴지만) 또는 기관차에 무리가 간다던지(시베리아횡단철도는 혹시 기관차를 1000km마다 교체할?)
When someone reclines their seat ✈️
00:21
Adam W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This is the American Train made by South Korea
13:0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KTX가 시속300km로 달려도 안전한 이유는? / YTN 사이언스
4:39
I Know How To Get My Favorite Ice Cream From My Mom🤭😎
0:17
Giggle Jiggle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Cute 🐒😂💞👍😱
0:11
Tuğkan Efe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