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러진 재계의 풍운아.. 신기루처럼 사라진 사하라의 기적, 동아그룹/ 소비더머니

  Рет қаралды 956,793

소비더머니

소비더머니

Жыл бұрын

'세계 8대 불가사의'라 불리던 리비아 대수로 공사 등 해외건설을 기반으로
재계서열 10위권까지 성장했다가 IMF 외환위기 이후 무너진 동아그룹.
하지만 동아그룹의 이야기는 재계의 풍운아라 불리던 총수 최원석 회장의 사생활 이슈 등에 묻혀 신기루처럼 사라져버렸습니다.
잊혀진 사하라의 기적, 동아그룹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동아그룹 #동아건설 #최원석회장별세

Пікірлер: 951
@user-zw6iy7gr1o
@user-zw6iy7gr1o Жыл бұрын
2001년에 동아건설 부도처리 되자마자 2002년 바로 용도변경... 살인충동 나겠는데? 81년도부터 2001년도까지 20년간 통행요금 받을수있는것을 애국하는 좋은마음으로 내주었는데 어떻게 어려울때 매몰차냐
@user-hl8oj2lo4h
@user-hl8oj2lo4h Жыл бұрын
성수대교는 동아건설이 1977년 4월에 착공하여 2년 8개월만인 1979년 12월 완공한 한강의 열 번째 다리입니다. 총중량 32.4톤까지 통과할 수 있는 2등급(DB-18) 교량으로서 게르버 트러스(Gerber Truss)형 철구조물 다리로 설계되었고, 발주처는 서울시이고, 설계사는 대한컨설턴트였습니다. 이 다리는 준공된 지 15년째 (정확히 14년 10개월) 되던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38분 교각 5번과 6번 교각사이 길이 120m 중 중간상판(48m)이 힌지(hinge/pin)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 48m짜리 중간상판이 통째로 강물로 떨어졌습니다. 1975년 설계 당시, 북한의 청와대 습격사건 (1968년 1.21사태), 울진 공비침투 사건(1968년) 등 남북한이 군사적으로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던 상황을 고려하여 의정부에서 직통으로 내려오는 도로가 한강을 건너게 되는 다리여서 유사시 다리를 쉽게 절단할 수 있게 끔 2차대전시 독일의 교량공법이었던 게르버공법이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교각사이에 있는 상판 접합부위(힌지)의 양쪽 연결 핀만 뽑으면 다리를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두부 모 짤라 내듯 뚝 떨어졌던 것입니다. 사고전날 붕괴된 상판이 심하게 흔들렸다는 신고도 묵살되었고, 사고당일 아침 6시 성수대교를 통과하던 택시운전자가 상판 연결 이음새가 너무 벌어져 신고전화를 하기도 하였으나 서울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으며, 결국 사고가 아침 7시 38분에 터지게 되었습니다. 서울시가 1975년 성수대교를 설계할 당시 하루 8만대의 통행차량을 예상하고 설계하였으나 실제 하루 통행량은 16만대 이상이었고, 당시 2등급교인 DB-18로 설계하중이 32.4톤인 이 다리 위를 당시 성수대교 북단에 있던 삼표레미콘공장과 쌍용레미콘공장으로 골재를 반입하는 총중량 40톤 내지 50톤에 이르는 덤프트럭, 추레라 등의 과적차량이 하루 수백대가 10여년간 통과하여 이미 철강재 피로수명 200만회 (콘크리트 100만회)를 초과함으로써 피로파괴에 의한 붕괴는 이미 예견되어 있었다고 분석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실 박명석 박사의 지적을 인용하여 언론은 과적차량에 대한 안전관리 불이행이 사고원인의 주범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연합뉴스 1994. 10. 21) 성수대교에 32.4톤을 초과하는 과적차량이 하루 400회 통과했다면 13년 8개월이면 200만회 (400회/일 x 365일 x 14년 = 2,044,000회) 에 달해 피로수명을 다하게 되며 이 경우 붕괴될 수 밖에 없다는 논리입니다. 아무리 시공과 제작을 완벽하게 했다고 하여도 피로수명을 다하면 붕괴를 피할 수 없습니다. 우리 인간도 신체를 혹사시키면 단명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성수대교는 붕괴된 5-6번 교각뿐만 아니라 인접 4-5번 교각에서도 H빔의 똑같은 부위 2곳에서 세로로 갈라지는 균열이 생겨났고, 3-4번 교각의 같은 부위에서도 균열이 생겨 상판을 겨우 지탱하고 있었던 사실로 미루어 보아도 (한겨레신문 1994. 10. 28.자) 이는 과적차량에 의한 피로파괴가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었음이 명백하다 할 것입니다. 여기에 교량의 유지보수 책임을 맡은 서울시가 교량의 상판 연결 부위를 힌지로 연결하는 게르버공법 교량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연결부재의 균열 및 이음새가 벌어진 것을 발견하고 벌어진 틈에다 까치발(브라켓)을 대로 덧대기 용접을 함으로써 힌지 역할을 하지 못하게 만들어 상판 연결부위에 응력을 집중시키자 결국 균열이 급속히 진행되어 핀 연결부 수직재가 파단되면서 교각 사이이의 상판이 추락하는 사고가 생겨났던 것입니다. 위와 같이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과적차량에 의한 피로수명이 다하여 준공 15년만에 붕괴된 성수대교를 놓고 마치 동아건설의 부실시공으로 인하여 붕괴된 것처럼 오해 받아 온 점을 말씀드립니다.
@user-xy7sn5ck2p
@user-xy7sn5ck2p Жыл бұрын
교량이 다 비슷비슷 하겠거니 했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전문적인 정보 감사합니다!
@user-fq2xf3nr2g
@user-fq2xf3nr2g Жыл бұрын
이야기 듣고보니 서울시 책임이 크네요 ..
@user-kf9ny7pj5c
@user-kf9ny7pj5c Жыл бұрын
공법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시네요. 유사 시(전시)에 대비한 공법이라고 들었습니다.
@Myung98
@Myung98 Жыл бұрын
당시 서울시장은 이 원종 !!!! 이 희호가 작살낸 동아건설 !!!!! 정말 아까운 기업 동아건설 !!!!!
@Z_KOREA
@Z_KOREA Жыл бұрын
궁금하네요 서울시에게 교량에 대한 설명회? 이런자리가 없었던건지
@user-tz8xq5de9z
@user-tz8xq5de9z Жыл бұрын
회장님..존경합니다..리비아다니실때..모셨던.전직승무원입니다..회장님에그열정.우리나라를경제를살리신산증인이십니다..인생무상.쾌차하세요~~♡♡♡
@user-fl7hu8fj1k
@user-fl7hu8fj1k Жыл бұрын
아줌마 지금 몇살입니까?
@user-tq9xt9hz7t
@user-tq9xt9hz7t Жыл бұрын
저 또한 97년 비행기타고 리비아로 갔습니다. 당시 26살. 아직도 40대 끝자락이네요. 그 비행기에 계셨을지도.....전 비흡연자였지만 당시에는 한국에서 출발할때 도착때쯤이나 중간에서 기내에서 담배도 피었던 기억이 나네요.
@user-ln6lp2ff6v
@user-ln6lp2ff6v 11 ай бұрын
0:16 0:18 😮😢😢😢😅 0:24 0:27 😮😢😢😢😢😮😮🎉🎉
@user-rg4ti8fr9d
@user-rg4ti8fr9d 11 ай бұрын
​@@user-fl7hu8fj1k😊
@user-tz8xq5de9z
@user-tz8xq5de9z 10 ай бұрын
65살이다
@ohhanbouk3509
@ohhanbouk3509 Жыл бұрын
짧은 정치인들의 안목이 거목을 쓰러뜨렸네요 안타깝고 많이 아쉽습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그릇이 커지는 날이 속히 오기를 고대합니다
@LEELIFT
@LEELIFT Жыл бұрын
어머… 정부가 양아치네요 어쩜 저런일이
@user-wo6po9od8c
@user-wo6po9od8c 3 ай бұрын
대주이
@user-we4zh3sh9w
@user-we4zh3sh9w Жыл бұрын
인천 매립지는 절대 농지이므로 용도 변경 절대 안된다고 하던놈들이 회사파산 시켜놓고 용도변경해 땅투기 해처먹은 놈들 다밝혀 처벌하야합니다~~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용도변경해서 땅투기 하려던건 동아건설이고 국유지 용도변경은 그걸로 번 돈이 국민들에게 돌아갑니다만?
@yadontthink
@yadontthink Жыл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암 그라제 그러면 이재명 백현동 사건도 도민 이익을 위해 한거제?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ft2gy1rl6c
@user-ft2gy1rl6c Жыл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변명 참 거시기하당께
@user-bv4ie7jz8q
@user-bv4ie7jz8q Жыл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아암 그라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기네
@user-se4ng2sx7p
@user-se4ng2sx7p Жыл бұрын
아따 나는 태어나서 거짓부렁 한번도 해본적이 없당께요 액속을 안지킨것 뿐이지라
@shanma1644
@shanma1644 Жыл бұрын
다른 대기업들이 imf때 어떻게 쓰러졌는지 알았지만 동아그룹이 어떻게 쓰러지게된건지는 오늘 알게 되었네요 리비아대수로공사등 우리나라 건설산업에서 큰 역활을 해 온 동아그룹 너무나 안타깝네요 최원석 회장님 쾌차하시기를 바랍니다
@user-qx2wu4wo5g
@user-qx2wu4wo5g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 진짜 바른 언론 기자이십니다 모쪼록 바른기사 정상적 기사를 들려주시길 소망합니다 감사히 생각하고 구독 좋아요 눌렀습니다^^
@jyk6694
@jyk6694 Жыл бұрын
영상만보면 솔직히 성수대교 무너진거 책임 떠넘기기 실패하니까 보복성으로 용도변경 안해주는거로 밖에 안보여서 진짜 속상하다ㅠㅠ이런기업이 많았다면 솔직히 지금까지도 나라에 도움 많이 됐을꺼같은데ㅠ안타깝데잉 ㅜㅜ
@user-gl9nh3yv6h
@user-gl9nh3yv6h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는 한국기업이 진짜 재밌음
@yoidy909
@yoidy909 Жыл бұрын
ㅇㅈ 어디가서 누가 다망해서 사라진 기업을 알려줘
@Mbappe-better-than-jotland
@Mbappe-better-than-jotland Жыл бұрын
홍성추
@user-mb3rl6sz6d
@user-mb3rl6sz6d Жыл бұрын
ㅇㅈ
@copanson
@copanson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ev9sl6jf5e
@user-ev9sl6jf5e Жыл бұрын
추가로 기업비사
@Smilehouse_kr
@Smilehouse_kr Жыл бұрын
96학번 토목과 과대표였습니다. 그때 장학금을 받았는데 동아건설에서 줬다고 하더군요. 졸업하고 동아건설 입사하도록 노력해야지 싶었는데 군대영장 받을 쯤 동아그룹 회사어렵다는 소식에 많이 안타까웠던 기억이 있내요.
@fair-korea
@fair-korea 3 ай бұрын
그래도 입사하셨어야하지 않을까요? 은혜갚을 기회였는데
@user-fu1qi2do3b
@user-fu1qi2do3b 3 ай бұрын
​@@fair-korea무슨 말을 그리 쉽게하냐
@user-ib5uv7eo2d
@user-ib5uv7eo2d Жыл бұрын
리비아 대수로 공사는 기네스북에 올랐다고도 들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대단한 업적을 이룬 기업임에 비해 너무 쉽게 잊혀진것 같아 아쉽네요~
@user-vi9wb6ug9q
@user-vi9wb6ug9q 7 ай бұрын
최원석 회장님이 별세하셨네요..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doublel1093
@doublel1093 Жыл бұрын
돌아가신 아버지께서 1,2차 대수로공사 모두 참여하셨었는데 imf때 그 서슬퍼런 구조조정 칼날도 다 피해가시고 오히려 임원승진 대상자로 최원석회장 초청 오찬회도 참여할 정도였었죠 그렇게 잘될줄 알았는데 결국 회사가 법정관리 들어가면서 무너지더군요 그때 부모님 마음고생 참 많이 하셨습니다 아직도 아버지 리비아때 찍은 오래된 사진들 가지고 있는데 많이 보고 싶네요..
@pluto-fm5ig
@pluto-fm5ig Жыл бұрын
리비아 에서 최고로 공사를 하던 동아 대우 두회사를 고의적으로 처리 했다고 보면됩니다. 최원석 회장님 최근 모습을 동영상 에서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고김우중 회장님을 잊을수없읍니다.
@erp4046
@erp4046 Жыл бұрын
@@pluto-fm5ig 그럼 외국 입김이 작용했다는 건가요?
@user-ey2cv1fd4v
@user-ey2cv1fd4v Жыл бұрын
나쁜새끼들...슨상님..
@KINGAREU
@KINGAREU Жыл бұрын
당신과같은 영웅들이 우리나라를 일으켰고 지금의 경제대국을 만들었습니다 진심으로 존경하고 존중합니다
@user-do3nd2lg2c
@user-do3nd2lg2c Жыл бұрын
분명한 것은 정치권력에 의해서 동아그룹이 해체된 것이다. 졸지에 직장을 잃은 수많은 임직원들이 지금도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hj-mo1pu
@hj-mo1pu 3 ай бұрын
좌파가 멀쩡한 기업날림
@daniel-lc8tl
@daniel-lc8tl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아무리 재벌이라고 어께 힘주고 다녀도 정치인한테 꼼짝못하는 이유가 있는거다. 잘못보이면 한방에 가거든. 정치인들이 재벌을 키워주지는 못해도 망하게는 해준다 라는 말이 사실이네
@user-gx8im4sl1t
@user-gx8im4sl1t Жыл бұрын
정권의 미움으로 사라진 기업들 많죠. 국익보다 옹졸한 사적 감정으로.
@EdwinKJ35
@EdwinKJ35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또 디테일을 알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그 당시 농림부, 식량안보 확보를 이유로 토지용도변경 불허했으면 계속 식량안보에 매진하는 용도로 쓸 일이지 그걸 신도시 만드는 걸로 끝내는 용도변경을, 그것도 당사자 죽어나간 후에... 평생 암덩어리를 지고 사셨겠네 저 분은.
@user-hf4rv2tw5f
@user-hf4rv2tw5f Жыл бұрын
제갈때중이때 라도으 보복
@user-pf6vn1dr9m
@user-pf6vn1dr9m Жыл бұрын
최원석 동아건설회장 과거의 재벌이 한순간에 사라졌다 왜 그랬을까?
@user-se4ng2sx7p
@user-se4ng2sx7p Жыл бұрын
@@user-hf4rv2tw5f 윤대중 아니였어요 ???
@MingMing-bn6kn
@MingMing-bn6kn Жыл бұрын
진짜 가지고만 있었더라면.....어차피 부도날건데 그냥 다른 지인에게라도 넘겼더라면....ㅠㅠㅠ아니면 그 다리를 그냥 계속 유료로 해뒀더라면....ㅠㅜ 속상하고 안타깝네요
@user-zu1ck3yg2q
@user-zu1ck3yg2q Жыл бұрын
​@@MingMing-bn6kn 사생활이 엉망이라 안타까울건 없어요 아마 더 지져분하게 생할 하셨을듯
@victolee5043
@victolee5043 Жыл бұрын
결과를 보면 최원석 회장님께서 억울할 수 밖에 없었네요. 식량 안보...😂
@user-ye4yp3uq1e
@user-ye4yp3uq1e Жыл бұрын
아이고.. 얼마나 억울할까 .. ㅠㅠ
@user-dq1rm6vb5g
@user-dq1rm6vb5g Жыл бұрын
참으로 인생무상이네요 그토록 대단한 최회장님 였는데~~~
@jemerytim6507
@jemerytim6507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가 리비아 수로 공사로 3년간 해외출장 근로자로 리비아에 계셨대요. 더운날씨에 고생 많이 하셨었다네요. ! ^^ 소비더머니 독립 전 부터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v9ri2wn7v
@user-qv9ri2wn7v Жыл бұрын
성수대교 상판이 뚝 떨어져 내린이유...차량도 차량이지만 당시 삼표시멘트 레미콘차량이 수시로 드나들어 다리의 하중은 상당히 약해져있었다 레미콘트럭이 밤10시만 넘어가면 레이싱하듯 미친듯이 다니고 그 옆 응봉교를 걸어갈때 레미콘차량이 지나가면 위아래로 출렁거리니 참 30년지난 이야기지만 몸으로 격어봤으니 꿈같기도하고 끔찍한 시간이었다
@user-id1kk3pv3g
@user-id1kk3pv3g Жыл бұрын
최회장님 힘내시고 건강하세요
@daebufarm4806
@daebufarm4806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니 리비아 대수로 공사 2단계에 참여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tarrybaek8129
@tarrybaek8129 Жыл бұрын
아직 리비아 벵가지에는 동아 Street이 있고, 기념비도 있습니다. 대단한 회사였어요.
@abcomg7206
@abcomg7206 Жыл бұрын
역사의 현장에 계셨군요
@kyungmoodennisheo9201
@kyungmoodennisheo9201 Жыл бұрын
과거 속해있던 팀 담당지역이 이라크 리비아 알제리였었는데, 리비아 대수로 사업은 교과서적인 느낌으로 공부했던 기억이 있어요. 저도 중동 석유화학 수주도 해봤는데 그때 감정이 정말 애국자가 된 느낌이었습니다.
@newkjm6549
@newkjm6549 Жыл бұрын
수고많으셨습니다 그리고 정말 감사합니다
@daebufarm4806
@daebufarm4806 Жыл бұрын
@@kyungmoodennisheo9201 맞아요. 세계 8대 불가사의 공사 타이틀이 달리기도 하는 등 많이 알려지면서 저 또한 그 느낌 없지 않았습니다. ㅎ 저는 약간 오지쪽에 있어 당시 한국의 집에 전화하려면 1시간 정도 떨어진 마을에 가서 겨우 교환원을 거치고 다시 국제전화 승인 기다려 통화했던 기억 조차 지금은 그립습니다. ^^
@avfsghfss3tgfsa
@avfsghfss3tgfsa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요.. 정말..우리나라 당시 근로자분들 기업가분들..진짜 대단한거같아여 문제도 있기는 하지만..우와 ..잘봤슴다
@user-nb8sm3ld4f
@user-nb8sm3ld4f Жыл бұрын
인생무상!최원석회장님건강하십시요.
@user-py8pg8cf2p
@user-py8pg8cf2p Жыл бұрын
최원석회장님 예전에 통크시고 멋있는 분이셨어요 카리스마있으셨고
@gamepad78
@gamepad78 Жыл бұрын
안타깝다.. 어짜피 농지로 안쓸꺼였으면 용도변경 해줬으면 어땠을까...
@disremember
@disremember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user-uc7zd1ro8d
@user-uc7zd1ro8d Жыл бұрын
지금 보면 저때 정부 개뻔뻔했음 자들이 잘못해서 IMF간건데 전부다 국민탓함 그리고 조금만 서포트하면 살릴수 있었던 기업도 여럿 있었는데 그냥 손 놓고 있어서 다 망함
@jei089
@jei089 Жыл бұрын
김대중 정권이었네요
@jmyoo3655
@jmyoo3655 Жыл бұрын
김대중 정권 대단하네요
@user-jn5ip6zt4k
@user-jn5ip6zt4k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용도변경 했어도 달라질 거 없음. 당시 동아건설은 재개발 사업 위주였는데 이때 자금난으로 이미 제2금융까지 최대한 땡겨쓴 상태였고. 이미 분식회계로 기업의 재정은 무너지기 직전이었음. 용도변경했어도 이미 살아나기엔 이미 곪을때로 곪은 상태.
@user-xy7sn5ck2p
@user-xy7sn5ck2p Жыл бұрын
동아건설의 잊혀진 전성기를 빼놓지 않고 간략하게 짚어 주셨군요. 그렇게 국제적으로도 좋은 회사로 알려졌던 회사가 한순간에 사라져서 구멍가게 수준으로 줄어서 회사 마크만 남았더군요. 좀더 전문적으로 접근하셔서 누가, 왜? 동아건설 죽였는지 추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화이팅!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9 ай бұрын
그렇게 하기엔 소비더머니도 힘이 없을 듯
@teampeace1
@teampeace1 Ай бұрын
아버지가 이번에 동아건설 40년 정년퇴직 하셨습니다 애기때 리비아 출장으로 어머니가 절 키우셨다고 했는데 말로만 들었지만 뭔가 자랑스럽네요
@mpsofficial9028
@mpsofficial9028 Жыл бұрын
30대 청년인데 지금 보면 최원석 회장님 대단하신분이시네요. 지금 네이버, 카카오 1년 매출이 10조가 안되는데 이당시 1차 공사 매출만 3조원이면 지금가치로 적어도 30조 아닌가요? 솔직히 한국 경제가 성장하는데 굉장히 크게 기여한건 사실이며 이러한 대우를 받는건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bloo_i
@bloo_i Жыл бұрын
‘30대 청년’ 댓글 특 30대 아님
@user-iy3uz1pp3o
@user-iy3uz1pp3o Жыл бұрын
어르신 티가 나십니다...
@homerjaysimpson6570
@homerjaysimpson6570 Жыл бұрын
30년전 30대 청년인가?
@Mini-xp1ri
@Mini-xp1ri Жыл бұрын
30대 청년 ㅋㅋㅋㅋ 개웃기네 지가 지입으로 청년이라하냐ㅋㅋㅋㅋ 나이먹을만큼 먹었다생각하지
@user-iy3uz1pp3o
@user-iy3uz1pp3o Жыл бұрын
@@Mini-xp1ri 어르신인데 극딜 박지 맙시다 뼈 부서지면 잘 안붙음
@TV-gc8zy
@TV-gc8zy Жыл бұрын
네 영상을 보니 마음이 아파옵니다/ 최원석회장과 동아건설은 우리대한민국 국위도 많이 선양했었는데, lmf파고의 시련을 결국 못 넘기고 파산한 것이 정말 안타깝습니다/ 용산대교사회기부 같은 좋은 기억도 있구요/ 최원석회장님 후손 중 다시 한번 대한민국 재벌가로 도약하는 사람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user-xs5nz5wi6c
@user-xs5nz5wi6c 11 ай бұрын
동아건설 아련합니다 ^^^
@user-yk4os3wj4f
@user-yk4os3wj4f 9 ай бұрын
😅
@user-kc1rl3qb9f
@user-kc1rl3qb9f Жыл бұрын
잘 살아보고자 눈물겨운 노력의 70-80년대의 부모님의 시간은 이제 2023을 맞이하는 군요
@jml4773
@jml4773 Жыл бұрын
몰랏네요 훌륭한 기업인들에 대한 재평가가 시급합니다
@kdm3509
@kdm3509 Жыл бұрын
용도변경은 안된다고 하더니 땅 헐값에 사자마자 용도변경해서 개발해버리다니...억울하겠네
@user-hl8oj2lo4h
@user-hl8oj2lo4h Жыл бұрын
성수대교 관련 댓글 제2-2차 (2023. 4. 4) 성수대교는 우리나라 최초로 게르버 트러스(Gerber Truss)형 공법으로 설계된 다리입니다. 게르버교는 인접한 두 개의 교각 위에 올려진 T자형 상판 (캔틸레버 경간) 사이의 중간에 매달린 상판(suspended span)의 연결부에 힌지(hinge)를 넣어 정정구조물(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로 만든 연속보를 말하며, 여기서 캔틸레버 경간의 한쪽은 처짐과 회전에 대하여 완전히 고정이고 다른 한쪽은 처짐과 회전이 완전히 자유스러운 구조물을 말합니다. 성수대교 북단으로부터 5번째와 6번째 교각 사이에서 사고가 났고, 교각 5번과 6번의 경간(교각과 교각 사이 거리)은 120m입니다. 교각 위의 T자형 상판 A와 B 사이에 48m짜리 상판 C가 연결 핀에 매달려 있는 구조입니다. (⊤ ⃩⊤, A+C+B). 교각 위 T자 상판 사이에 매달려 있는 상판 접합부위(힌지)의 양쪽 연결 핀만 뽑으면 상판 C가 뚝 떨어져 내려 다리가 끊어지는 구조입니다. 피로파괴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재료에 반복하중을 가할 때 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을 피로(Fatigue)라고 하며, 응력을 반복적으로 가하면 탄성한계에 이르기 전에도 이러한 “피로파괴(Fatigue Failure)”는 발생할 수 있고, 일례로 철사줄을 반복적으로 구부렸다 폈다 하면 철사줄이 끊어지는 현상을 피로파괴라고 합니다. 성수대교 사고 이후 정부는 한강의 전 교량들에 대해 안정성을 조사하였고, 당산철교에 문제가 발생되어 전면 재시공에 들어갔고, 광진교, 양화대교, 한남대교, 마포대교도 문제점이 발견되어 재시공되었습니다. 성수대교 붕괴 사고대책으로 안전관리 측면에서 종전에는 시설물의 관리자가 임의로 정한 기술이나 지침에 따라 관리하던 것을 1995년 4월 5일 「시설물 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하여 안전관리 체계를 법제화 하였고, 1995년 6월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업무지침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서울시는 성수대교 붕괴사고와 관련, 희생자 배상금 및 위로금으로 72억원, 다리 재시공비 780억원, 사고조사비 8억원 등 모두 8백60억여원을 지출했으며, 이를 보상받기 위해 1995년 6월 시공사 동아건설을 상대로 150억원의 구상금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는데, 5년만인 2000년 7월 21일 서울지법 민사합의12부(재판장 정장오)는 “동아건설은 서울시에게 21억원을 지급하라"며 서울시 일부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그동안 양측은 다리의 붕괴 원인이 `동아건설의 부실시공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서울시의 관리 소홀이 직접적인 붕괴 원인이다' 라며 맞섰으며 1996년부터는 양측의 사고책임을 규명할 형사소송의 확정판결이 날 때까지 2년간 재판이 중단됐었습니다. 성수대교 사고 직후 서울시와 대한토목학회 소속 교수들로 구성된 성수대교 사고원인조사반이 구성되었고, 조사반장 서울대 장승필 교수는 “붕괴된 5∼6번 교각뿐 아니라 인근 4∼5번 교각에서도 H빔의 똑같은 부위 2곳에서 5분의 4 정도가 균열돼 간신히 상판을 지탱하고 있으며, 3∼4번 교각의 나머지 철재 빔도 곳곳이 삭은 채 균열이 생겨 조금만 힘을 주어도 철골구조물이 떨어져 나갈 정도여서 제2의 붕괴마저 우려된다”고 보고했습니다. (한겨레신문 1994. 10. 28.자) 사고 6개월 전 성수대교 안전점검 보수 경비 875만 원도 예산이 없다고 묵살한 서울시가 성수대교 붕괴에 대한 사고조사비로 8억 원을 썼습니다.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과적차량들을 15년간 통과시켜 피로수명이 다해 생겨난 붕괴사고의 책임을, 더구나 이동(회전)식 연결구조(힌지)를 고정지점으로 용접한 서울시가 책임을 동아건설에 떠넘기려고 많은 노력을 해왔고 그 결과 붕괴사고 원인이 부실시공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반인들은 동아건설이 성수대교를 설계까지 한 것으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성수대교를 경간 120m의 게르버 공법으로 결정하고 설계한 행위를 서울시가 하였고(게르버공법은 구조적 안전성 위험 때문에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공법), 성수대교를 DB-18 설계중량 32.4톤의 2등급교로 정한 것도 서울시입니다. 서울시가 경간이 120m인 교각 사이에 중간상판의 연결핀(힌지)만 손상되면 두모 모 짤라지듯 교량이 뚝 떨어지게 설계된 게르버공법에 대한 개념 없이, 사고 발생 1년 6개월 전 상판 이음새가 심하게 이탈되고 교각 2, 3, 4, 5번 사이의 이음새 철구조물이 심하게 균열되어 있음을 발견하고도, 사고 8개월 전 정기점검에서 성수대교의 이음쇠 등이 불량해 붕괴의 위험이 있다는 취지의 보고를 받고도, 또한 사고 1년 전 동부간선도로가 개통되면서 교통량이 폭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대책없이 방치하다가 사고가 난 책임을 15년 전에 건설한 시공사에게 부실시공으로 붕괴사고가 일어난 것이라며 그 책임을 뒤집어씌우려고 노력한 행위는 타당하지 않습니다.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진실이 왜곡돼서는 안 된다고 여겨져 긴 글을 작성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덧붙여, 성수대교 사고와 동아건설 부도, 파산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성수대교 사고 발생 4년 후인 1998년 5월 기업주였던 최원석 회장은 동아그룹의 경영에서 물러났고, 동아건설은 정부가 선임한 전문경영인에 의하여 1998년 6월부터 2년 5개월간 경영되다가 대한통운과 함께 2000년 11월 부도처리되었고, 6개월 후인 2001년 5월 파산처리 되었습니다. 따라서 성수대교 사고와 7년 후 발생한 동아건설 파산과는 사실상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user-rl3os6eu5l
@user-rl3os6eu5l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긴 글 남겨 주어 제대로 아는데 도움주셔서 .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9 ай бұрын
어릴땐 몰랐는데 직장 다녀보니 저렇게 리비아 같은 생면부지 국가에 사업 아이템을 찾아보는 안목은 도대체 어떻게 길러진걸까 부럽습니다 그리고 규모 면으로는 전혀 몰랐는데 당시 국가예산 10조인데 공사수주규모가 3조였다니 어마어마한 공사였네요
@unirone
@unirone Жыл бұрын
동아건설 임원으로 계셨던 아버지... 한순간에 회사가 사라지면서 아버지의 커리어도 끝나버렸고, 가세도 기울었죠.
@mankim9032
@mankim9032 Жыл бұрын
최원석 회장님 건강하세요 좋은말씀 감사드립니다.
@mmyname6
@mmyname6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난 영상 감사드립니다.
@danjjakchinguTV
@danjjakchinguTV Жыл бұрын
'동아그룹'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albertpark2731
@albertpark2731 Жыл бұрын
91년 대학 졸업 후 제 첫 직장, 동아건설...지금도 가끔 그 시절이 생각납니다. 선 후배님들과 입사동기들은 지금 다들 잘 지내고 계시는지 궁금하네요.
@piltongman
@piltongman Жыл бұрын
그 당시에 얼마나 근무하시다 이직하셨나요?
@user-kw8zb4hw2b
@user-kw8zb4hw2b Жыл бұрын
91년 대학 졸업 ㅎㄷㄷ 몇살이노 아직 관짝 안들어가셧어요??
@user-jo5xj4yr8j
@user-jo5xj4yr8j Жыл бұрын
@@user-kw8zb4hw2b 님 아부지한테 똑같은 이야기 ㄱㄱ 아부지 대학안나오셔서 애가 이렇게컸을라나
@user-sd3zl5nr1r
@user-sd3zl5nr1r Жыл бұрын
@@user-kw8zb4hw2b 니 애비는 관짝 들어갔나보네? ㅋㅋ
@vanila_milk9702
@vanila_milk9702 Жыл бұрын
@@user-kw8zb4hw2b 네 애비애미가 불쌍하구나
@asdasdads2321able
@asdasdads2321able Жыл бұрын
외국자본과 정치에 의해 양털깎기 당한 기업 저희 아버지도 당시 동아건설 재직 중에 리비아 파견가서 사막에서 땀 흘리며 일하셔서 더 안타깝네요 애국자는 신기루처럼 사라지는게 한국의 현실
@user-lr9ty7if7o
@user-lr9ty7if7o Жыл бұрын
??부실기업이 무너진걸 가지고..애국자가 왜나와요??
@ohmalub
@ohmalub Жыл бұрын
@@user-lr9ty7if7o 그러니까요 ㅋㅋ 마약에 특급 경제 사범 이재용도 재벌이니 애국자라고 하겠네
@sergio-xs1wq
@sergio-xs1wq Жыл бұрын
​@@ohmalub 구독채널 레게노 ㄷㄷㄷ
@user-rj2hb9pd8w
@user-rj2hb9pd8w Жыл бұрын
동아가 이렇게 큰 회사였는지 몰랐네...
@user-ie2pk3ii99
@user-ie2pk3ii99 Жыл бұрын
잼민이들은 모르지. 어릴땐 동아백화점이 최고엿음
@mooongcee
@mooongcee Жыл бұрын
정부에까불고사망😊
@jhkim8972
@jhkim8972 Жыл бұрын
@@user-ie2pk3ii99 동아백화점은 동아그룹이 아니라 대구에 화성산업이 세웠던 백화점이라 관계가 없습니다…
@user-hf9xx4gl7x
@user-hf9xx4gl7x Жыл бұрын
@@user-ie2pk3ii99 개망신 ㅋㅋㅋㅋㅋ
@yanggun1004
@yanggun1004 Жыл бұрын
대한통운이랑 동아건설로 대표되는 기업임. 대한통운이 지금 잘나가는거 보면...
@user-cp8qe2uw9j
@user-cp8qe2uw9j Жыл бұрын
저때정부가 노린거죠 정부에 돈주면 살려주고 아니면 부도나게 한거고 대우는 너무 빈깡통이라 망한거지만 동아는 그렇게 망하면 안되는 회사였어요
@user-cu8ir6bj5u
@user-cu8ir6bj5u 11 ай бұрын
0⁰08😊
@user-cu8ir6bj5u
@user-cu8ir6bj5u 11 ай бұрын
00⁰8⁸😅
@user-qb4cz2kx4j
@user-qb4cz2kx4j Ай бұрын
대우가빈깡통이라? ㅋㅋㅋㅋ 선경이 빈깡통이었지라
@pluto-fm5ig
@pluto-fm5ig Жыл бұрын
리비아 사하라사막을 가보신적 있나요? 당시 최원석 회장님의 별명을 리비아 정부에서 빅맨으로 불리었습니다. 저는 대우건설 도브룩에 있어지요.당시에는 대우건설이 아프리카 지역으로 제일 먼저 진출하였습니다, 고김우중 회장님 잊을수가 없어요..두분은 우리 나라 의경제 거인 입니다 '
@user-sh4lm3nk2n
@user-sh4lm3nk2n Жыл бұрын
리비아대수로공사에 참여한 사람 입니다. 리비아 오지 사하라사막 타자보에서 3년 근무했습니다.
@pluto-fm5ig
@pluto-fm5ig Жыл бұрын
@@user-sh4lm3nk2n 반갑습니다. 저는 80년에 대우건설 도브룩현장 근무하고 리비아 남쪽 수단과 국경인 우조비행장 현장에서 마치고 82년에 귀국 하였습니다. 건강하세요.
@user-sh4lm3nk2n
@user-sh4lm3nk2n Жыл бұрын
네 반갑습니다 2013년도에 리비아에 한번더 같습니다 대우건설로 벵가지에서 지중해 바다를 끼고있는 남서쪽 140Km 떨어진 즈위티나지역 복합화력발전소 건설로 근무중 리비아 내전으로 2014년도 다시 나오게 되었습니다. 공정율은 72% 입니다 다시 공사재개 하는것으로 리비아 합의는 한다고 합니다.
@wooramyu7481
@wooramyu7481 Жыл бұрын
행복은 번개치듯 짧고 고통은 마라톤처럼 길게 느껴진다...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참 존경하는 분중에 한분입니다
@msk6276
@msk6276 Жыл бұрын
사실 사생활문제로 더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듯
@memmem2249
@memmem2249 Жыл бұрын
보통 건설쪽에 양아치들 많다는데 정치인들이 더 개 양아치인듯. 기업은 나라 곳간이라도 채워주지..정치인들은 지들 곳간만 채움~~
@user-eo8pe3fl9f
@user-eo8pe3fl9f Жыл бұрын
우리 나라 정치인들 수준이 좀 아쉬워요
@user-tn8lb8vc5u
@user-tn8lb8vc5u Жыл бұрын
너무 아쉬운 기업이네요. 어차피 용도변경 할 거,.... dj 정부 한테 밑보였나보네요 찾아보니 회장이 1997년 이회창 후보를 공개 지지하기도 했고요
@moonp3890
@moonp3890 Жыл бұрын
@jkp5659
@jkp5659 Жыл бұрын
안타깝네요. 진짜 너무나 아쉽습니다..ㅜㅜ
@3pmkorea
@3pmkorea Жыл бұрын
김대중한테 뺏긴거네
@moonih007
@moonih007 Жыл бұрын
Ys정부때 용도변경한해준거에요
@user-nd7fv4po2l
@user-nd7fv4po2l Жыл бұрын
동아그룹 회장이란인간이 사생활이 아주 더럽지 사업하는 사람이 여색을밝히면 사업망하지 본부인버리고 😊가수배인순델꼬살다가 아나운서 장은영과도 살았지 그리고 수많은 연예인과 염문설이 끈임없이 나돌았어 망하게 되있어
@user-pb7yz3cz9b
@user-pb7yz3cz9b Жыл бұрын
땅 용도변경!!! 대박이네요,,,,
@user-li1cw2id4s
@user-li1cw2id4s Жыл бұрын
김대중 으이그~~~~~~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user-li1cw2id4s 기업 하나에 신도시급 토지 용도변경 특혜 몰아주는건 뒷돈 수백억씩 받는거 아닌 이상 절대 불가능한 일인데 막말로 그거 해줬으면 대장동 민간개발 전환 특혜보다 수십 수백배 더 큰 이익 남겨주는건데 그걸 안해줬다고 욕을 함? 존나 얼탱이 없노ㅋㅋㅋㅋㅋㅋㅋ
@61yunhr
@61yunhr Жыл бұрын
대전에 동아공고가 있었는데, 규모가 어마어마하죠! 그 재단이 동아그룹이었음...
@user-kf9ny7pj5c
@user-kf9ny7pj5c Жыл бұрын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로 교명변경해서 아직 있습니다 ^^
@long16535
@long16535 Жыл бұрын
대학교 부지 같이 큼
@user-hx8iw4ny4f
@user-hx8iw4ny4f 4 ай бұрын
이시대의영웅들은다돌아가시네요 다시태어나셔서이나라를위해서노력해주세요
@wbno34
@wbno34 Жыл бұрын
최회장 저승가시면 김대중이랑 달콤한 인생 찍으시것네 "말해봐요, 그때 나한테 왜그랬어요.....?"
@user-pw5rk4mb3g
@user-pw5rk4mb3g Жыл бұрын
먼저 가신 김우중 회장이 이미 찍었을듯요. 97년 가장 많은 대선 자금 주고도 대우 안지켜줬으니
@user-co2te2wx5r
@user-co2te2wx5r Жыл бұрын
저승에서라도 죽빵한번 날려주길
@tarrybaek8129
@tarrybaek8129 Жыл бұрын
김우중 회장, 최원석 회장이 같이 김대중 전대통령과 얘기 좀 해야 겠네요.
@sunpoya
@sunpoya Жыл бұрын
​@@user-pw5rk4mb3g 대우그룹은 분식회계와 부채규모가 지켜주고 자시고 할 한계치를 넘어도 까마득히 넘어버렸음.... 삼성그룹이 대우랑 전자-자동차 계열사 빅딜 추진하면서 일본 노무라 증권에게 대우그룹 재무상태 좀 조사해달라 했다가 기겁을 하고 손 털고 나올 정도면 뭐 말 다한거.
@user-pw5rk4mb3g
@user-pw5rk4mb3g Жыл бұрын
@@sunpoya 불법대선자금은 조사했었어야
@user-ij9ud7xn6k
@user-ij9ud7xn6k Жыл бұрын
기업과 정부는 싸울게 아니라 도와야 한다는 걸 절실하게 보여주는 사례네요
@user-eo8pe3fl9f
@user-eo8pe3fl9f Жыл бұрын
진정 그렇습니다
@user-tq9xt9hz7t
@user-tq9xt9hz7t Жыл бұрын
도우면 선진국 싸우면 후진국
@user-nn1pj2kz5n
@user-nn1pj2kz5n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유구한 전통이 있죠. 바로 정경유착 재벌집 막내아들에서 진 회장이 그러죠. 우리는 장사꾼이다. 하나를 내놓으면 하나를 주셔야 한다. 긴급 수혈자금은 한정되어 있으니 각하 말 잘듣는 기업에게 세금 혜택도, 정부 지원도 긴급 자금수혈도 해주라고요. 당장 대우는 김우중 회장이 최대 분식회계를 저질러 놓은 상태였기 때문에 문제였으나 전두환 때 국제그룹부터 시작해서 정권 입맛에 따라 날라간 기업이 한 둘이 아니죠.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9 ай бұрын
애초에 싸운게 아니라 김영삼이 동아 건설 죽이려고 작정을 했다고 봐야죠 용도 변경 하면 살 수 있는데 안 해준다고 해서 싼값에 매각하니까 바로 용도 변경해서 먹는거 보면 답 나오잖습니까? 1998년이면 김영삼 대통령 아직 할 때임
@stevenlee8805
@stevenlee8805 Жыл бұрын
서울대졸 87년말 동아건설 사직하고 도미 미국전문직 36년차 근무중이네요. 근무중 최회장님 속으로 훌륭, 감~사하게 생각했습니다. 저의결혼시 뭐 새마을금고인지로 후한 촌지도 주셨고 84년초인가 회장님 표창도 (저의 상관분들 추천으로) 받았어요. 참 남자 다우신 분 분명. 평생 저의 중요 employers have D initial. DongAh, Deloitte, & Discus. 회장님 건강하시고 평강함께 하십시오.
@stevenlee8805
@stevenlee8805 Жыл бұрын
현재 결혼 만40년 됐네요. 삽십대 두 아들 두었어요. 회장님 연로모습 뵈니 마음쓰리고 눈물이 납니다. 하나님의 가호가 함께하시길~~
@user-we7ux5fd6k
@user-we7ux5fd6k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도 면접보고 동아건설 들어가셨는데 해외유학도 보내주고 리비아 대수로 공사 현장 사무실에서 근무하셨다고 말씀들었습니다~ 국내 단 2명 뽑는 면접이었는데 서울에서 1명, 부산에서 1명 뽑아 유학보내줬다고 그렇게 자랑을 하셨는데 대단한 회사였군요ㅠㅠㅋㅋㅋ
@homeless353
@homeless353 Жыл бұрын
자랑질
@user-we7ux5fd6k
@user-we7ux5fd6k Жыл бұрын
저도 당했어요..ㅠㅠㅋㅋㅋ
@user-vk1pi3uk3j
@user-vk1pi3uk3j Жыл бұрын
​@@homeless353 왤케 꼬여있냐... 너의 아비는 도망가셧니? 왜이렇게 꼬여있어
@user-dh4hw8gn6u
@user-dh4hw8gn6u Жыл бұрын
동아건설은 현재 SM그룹이 인수해서 아직 존재합니다. 강릉역 등 여러 아파트현장 및 대구 토목현장 등에서 여전히 건설업을 하고있어요 SM동아건설산업이라는 이름으로요
@user-vb1zf2vn7o
@user-vb1zf2vn7o Жыл бұрын
라이크 텐이라는 아파트 브랜드 소유 중입니다
@user-nn8mu5mf6n
@user-nn8mu5mf6n Жыл бұрын
옛날에 동아건설에 포함돼있던 한 회사에서 일하고있는 근로자로서 잘 봤습니다^^
@patrickyu8552
@patrickyu8552 11 ай бұрын
많은 이들이 재벌을 욕하지만 어디 중소기업 아니 1인기업만 해도 졸라 바쁨. 먹고자는 것도 어려움
@abcomg7206
@abcomg7206 Жыл бұрын
이룩한 업적에 비해 참 안타까운 대접인듯
@moto9424
@moto9424 Жыл бұрын
IMF 전에는 ~ 국내 최대 건설사는 현대지만~ 건설회사중에 ~최고 연봉은 동아건설~
@sobang08
@sobang08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가 동아건설에서 일하셨는데 파산되서 나름 아쉬웠습니다...
@user-rq9cu7yv8y
@user-rq9cu7yv8y Жыл бұрын
동아그룹의 파산은 재조사 되어야한다. 지금의 청라지구는 청라국제도시로서 몇백조의 가치가 있을것이다. 왜 정부는 그때 그리 용도변경을 반대했을까? 남이 하면 특혜고 자기가 하면 용도변경인가?
@user-em5jh7po7x
@user-em5jh7po7x Жыл бұрын
원래 그짝식 내로남불 모르는교
@cafedumond85
@cafedumond85 Жыл бұрын
역시 ㄴㄹㄴㅂ
@homerjaysimpson9110
@homerjaysimpson9110 Жыл бұрын
노인네, 용돈변경을 가정한 담보반금 대출 영끌 했던게 동아다ㅋㅋ 그리고 지금의 가치로 평가 받고 싶으면 지금까지 퍼텼어야지 ㅋㅋ
@jisangpark8085
@jisangpark8085 Жыл бұрын
김대중 묘지도 용도변경해서 쓰레기 매립지로 바꿔야지 ㅋㅋㅋㅋㅋ 아 그게 원래 용도인가? ㅋㅋㅋㅋㅋ
@hskorea6517
@hskorea6517 Жыл бұрын
용도변경이 근데 애이름인가 땡깡부린다고 바꿔주는게 이상한거아님? 농지에서 용도변경되면 땅값이 대체 몇배증가인데?
@riochoi4727
@riochoi4727 Жыл бұрын
진짜 아깝다. 동아건설
@user-fs7if8il9j
@user-fs7if8il9j Жыл бұрын
세계8대불가사의라고 칭하는 리비아 대수로 공사와 스포츠, 예술분야의 강국으로 도약시킬만큼 사회적 기업이었네요 적극적인 해외건설 진출로 외화획득과 국위선양에 이바지한 당신은 자랑스러운 기업인이십니다 회장님의 쾌유를 빕니다
@seouldot
@seouldot Жыл бұрын
감동
@elen196
@elen196 Жыл бұрын
예전 기업들은 해외에서 외화벌이 해오면 국내에 투자하고 인프라 구축에 기여했다면 요즘엔 내수시장 좀 커졌다고 해외진출은 뒷전이고 독과점에 서민들 등쳐먹기.
@billpark2726
@billpark2726 Жыл бұрын
카카오ㅋㅋ
@user-ys9gp3gw8t
@user-ys9gp3gw8t Жыл бұрын
동아매립지를 청라국제도시로 변경해서 땅투기 죽일놈들.
@user-mu4fz4cp5m
@user-mu4fz4cp5m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이좁은 땅위에 아파트, 지산, 상가, 다세대, 쏟아붓고 공실천지로 만들고 있으니 개탄스럽습니다!!!........
@user-qq3ih4eh6f
@user-qq3ih4eh6f Жыл бұрын
​@@user-mu4fz4cp5m 동감입니다 ㅠ
@Thebattleofsalsu
@Thebattleofsalsu Жыл бұрын
기업의 명암이 있지만 미국의 조지 소로스가 만든 imf 사태에 무너진 우리나라 기업들이 안타깝습니다. 죄를 만든 이는 처벌 받고 기업은 생존하여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에 계속 기여 가능했을 건데 ㅠㅜ
@jisangpark8085
@jisangpark8085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그 조지 소로스랑 절친한 사이였던 게 김대중 ㅋㅋㅋㅋㅋ
@ohmalub
@ohmalub Жыл бұрын
@@jisangpark8085 imf 일어난건 김영삼 정권인데 김대중은 그래도 10년 예상 imf를 3년만에 극복해서 대처를 잘한건데 친해서 뭐가 문제라는거지?
@ohmalub
@ohmalub Жыл бұрын
@파리 꼴깝떤다
@user-hl7gn2gp5o
@user-hl7gn2gp5o Жыл бұрын
기억 나네요. 정부에 잘못 보이면 국제상사 동아건설처럼되죠... 지금도 잘보여야해요.. 정부에...
@user-tq9xt9hz7t
@user-tq9xt9hz7t Жыл бұрын
이보세요... 그렇게 따지면 지금 만주당이 돈요구 한겁니다. 보수세력이 키운 해외건설붐이예요. 당시 중동에 있었던 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user-kf9ny7pj5c
@user-kf9ny7pj5c Жыл бұрын
건설업계의 전설이자, 대한탁구협회의 전설적 존재죠. 당시 정권에 찍혀서 내리막을 탄 건 공공연하게 알려진 사실이고요. 외화벌이 하는 동안 회장님댁 강도질 했던 사람은 지금 국회의원인 사람도 있고, 참 할말 많으실 겁니다.
@user-jn5ip6zt4k
@user-jn5ip6zt4k Жыл бұрын
당시 정권에 찍혀서 내리막을 탔다는 건 동아건설측의 변명이고. 그동안 다른 대기업은 뭐 정권에 안찍혔나? 정권 들어설 때마다 다들 한 두번씩 기업 흔들기 했던 건 그 동안의 관행인데. 동아가 내리막길 탄 건 자업자득임. 해외수주로 외화 열심히 벌어온 건 잘했다만. 국내건설에서는 문제가 많았음. 부실공사로 인한 성수대교붕괴 이후로 건설면허 취소 소송이 길어지고. 이런 이유로 동아는 국내에서 재개발 위주의 사업밖에 따내질 못했는데 이걸 또 과감하게 규모를 키움. 근데 재개발이라는 게 이주보상비 철거비 등등 초기에 자본이 많이 들어가서 자금이 부족했던 동아는 제2금융으로 무리한 차입경영을 했는데. 이때 부족한 자금 확보하려고 분식회계. 그와중에 금융위기 오니깐 자금난은 더 심해지고 망할 수 밖에. 정부에서 김포 농지 용도변경을 괜히 안해준 게 아님. 어차피 용도변경 해줬어도 동아 입장에서 이걸 시행할 능력이 없었음. 당시 진행중인 재개발 사업도 자금 후달려서 분식회계로 대출받는 판국에 뭔.. 망하고 나니깐 정권의 희생양인양 왜곡을... 성수대교 붕괴는 관리가 부족했던 서울시 과실도 있지만 명백한 부실공사였고 이때 죽은 사람이 32명임.
@user-ym7jy1xh2f
@user-ym7jy1xh2f Жыл бұрын
군포시 국회의원 이학영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Жыл бұрын
@@user-jn5ip6zt4k 어느 쪽이나 다 사실임... 결국 나중에 정부는 동아건설에서 받은 자산을 원칙을 내세우던 과거와 달리 용도변경하고, 개발하고, 매각했으며 정치인들에 의한 압력이 재판 과정에서 사실로 밝혀지기도 했음. 게다가 재판에서 판결이 났듯 성수대교 붕괴사건은 동아에게도 잘못이 있지만 서울시 또한 잘못이 있는 게 법적인 사실임. 따지고 보면 과거 경영 문제가 재벌 중 가장 심각했던 기업집단인 삼성 그룹은 군사 정권 시절 거센 비난여론과 절차를 무시하고 도와준 덕에 살아났고 그 과정에서 불거졌던 회계 부정, 비자금, 뇌물 문제도 결국 해결했음. 그리고 현재는 범삼성가가 대한민국 통화량의 32%, 국가 총 생산의 24%, 국가 경제 1/3을 차지하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1위 재벌이 됐음. 이게 옳고 그르다를 판단하자는 건 아니고 정권의 희생양이라는 건 더더욱 아니지만 삼성처럼 문제가 생겼을 때 도와줬으면 살아났을 가능성 또한 높았단 얘기임. 물론 같은 문제도 아니고 동아는 이전에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켜서 사안이 다르다고 볼 수도 있지만 동아 입장에선 그렇다면 왜 이제와서 원칙을 찾냐는 핑계도 댈 수 있는 거지. 사업이 진행되는 건 차순위고 자산 매각이라도 허가해주든지, 용도 변경이라도 해주든지 해야 일단 유동성 위기를 넘길텐데 그 조차 넘기기 힘들었다는 건 물론 동아 측 잘못이 가장 크지만 원칙 뒤에 숨어 정치적인 판단을 한 정계도 잘못이 없다고 할 순 없음. 원칙적으로 했다면 정부는 국민들과 당사자들에게 왜 그 원칙이 모두에게 지켜지지 않았는지 납득할 수 있도록 설명을 했어야 함.
@SIGNIEL
@SIGNIEL Жыл бұрын
​@@user-jn5ip6zt4k이 댓글 공감됩니다 용도변경 어찌어찌 됐다 해도 오히려 거기에 돈 쏟아붓고 파산은 못피할거 같네요 청라가 한동안 미분양의 무덤이였는데...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박정희마냥 맘에 안드는 멀쩡한 기업 강제로 도산시키기를 한 것도 아닌데 빚 그런식으로 져놓고 망할 거 같으면 도와줘 정부에몽~~ 하다가 정부가 안도와주면 정부탓 하면 되니까 재벌 기업 경영하기 존나 쉽네ㅋㅋㅋㅋㅋㅋㅋ
@koleanan1001
@koleanan1001 Жыл бұрын
1997년 대선 때 최원석이 이회창만 지지해서 당선된김대중이 이에 대한 정치보복을 했다는 정황이 유력하긴 합니다.
@hatshepsut273
@hatshepsut273 Жыл бұрын
유력한게 아니라 본인이 직접 얘기했음
@werkjhgfd7
@werkjhgfd7 Жыл бұрын
자기 변명이지머
@raza744
@raza744 Жыл бұрын
@@werkjhgfd7 깨끗한척 하면서 뇌물, 정치보복 하는거 좌빨 종특임ㅋㅋ
@user-bf3xg2yw3k
@user-bf3xg2yw3k Жыл бұрын
그럴리는 없고. 망한 회사 회장의 변명이지
@ch6970oo
@ch6970oo Жыл бұрын
@@user-bf3xg2yw3k 그럴리가 있지 ㅋㅋㅋㅋㅋㅋ 없긴 왜없어 ㅋㅋㅋ 다이쥬면 쌉가능 ㅎㅎ
@noohij17
@noohij17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를 통해서 여러 기업의 역사를 배웁니다.
@ninani143
@ninani143 Жыл бұрын
리비아 대수로 공사도 할 정도의 회사가 부실시공 했다는게 믿기지가않네
@user-to2cn9pc8p
@user-to2cn9pc8p Жыл бұрын
파산후 정부에서 용도변경 이거 일반 사람 당하면 화병나겠는데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기업 하나에 신도시급 토지 용도변경 특혜 몰아주는건 뒷돈 수백억씩 받는거 아닌 이상 절대 불가능한 일인데 막말로 그거 해줬으면 대장동 민간개발 전환 특혜보다 수십 수백배 더 큰 이익 남겨주는건데 그걸 안해줬다고 욕을 함? 정부가 개발하면 개발이익 전부가 국민들 것이고 민간기업이 개발하면 용도변경으로 얻는 이익이 모두 총수 일가에게 돌아가니 그게 더 큰 비리 그 자체임 근데도 이거 안해줬다고 욕하는게 존나 얼탱이 없노ㅋㅋㅋㅋㅋㅋㅋㅋ
@leeChosim
@leeChosim 3 ай бұрын
영상을 끝까지 시창하고 보니 동아건설은 정부에 의해 무너졌다 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네요
@user-ql2vl6us3f
@user-ql2vl6us3f 25 күн бұрын
맞죠 이랬든 저랬든 정부에 의해 무너진 것은 맞죠
@aloha314
@aloha314 Жыл бұрын
동아아파트는 정말 튼튼하고 견고하게 잘 지었죠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모르겠지만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원흉입니다. 시공사 동아건설의 부실공사...수십명의 아까운 청춘들
@tyk6521
@tyk6521 Жыл бұрын
​@@user-rk9qh5ke5m 솔직히 말하자면 부실시공으로 따지기가 애매합니다. 처음 예상 교통량에 맞추어 시공한 다리가 생각보다 많은 중량부하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를 서울시 측에서 정비, 혹은 교통량 통제등을 해야했던 일이었어요. 하지만 성수대교는 지속적으로 위험하다고 전문가의 경고가 있었음에도 한번도 정비 및 통제가 없었죠. 물론 처음 교통량을 잘못 계산하고 시공한것도 잘못이 있지만 관리감독면에서 문제가 더 크다고 볼수도 있을듯합니다. 그리고 부실시공 이라기엔 동아에서 건설한 다른건물, 시설을 보면 다른곳은 아직도 멀쩡하다는게... 기술력이 없는곳도 아니라는걸 생각해보면 성수대교는 관리감독 부실쪽으로 왠지 더 많이 기울게되네요.
@leonardodicaprio4561
@leonardodicaprio4561 Жыл бұрын
​@@user-rk9qh5ke5m 애초에 전쟁이 일어나면 유사시 끊어버리는 다리로 현재 공법과는 다르게 지었는데 서울시 공무원들이 관리 안한 책임이 더 큼..
@user-zp6sb1lg7p
@user-zp6sb1lg7p Жыл бұрын
윗 다른 댓글 보니 공법자체가 다리상판을 끊어 내리기 쉽게 하는 방식이라네요. 저도 중학교 때 버스로 등교하는 중에 라디오로 들었던 비보였지만, 당시에도 서울시 책임 논란이 강했습니다. 그 때 생각 하니 또 눈물 나올려하네요.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Жыл бұрын
@@leonardodicaprio4561 동아 와 서울시의 서로 책임 떠넘기기 기억납니다. 법원 판단도 반반씩 책임있는걸로...당시 관공서들 탁상행정에 주먹구구식이라 그럴만하죠.. 게다가 공무원들 뇌물도 많던시절이라
@user-qk8ix9wu8e
@user-qk8ix9wu8e Жыл бұрын
국제그룹도 한번 다뤄주세요 공중분해의 표본
@thom777
@thom777 Жыл бұрын
틀딱 경상도 그리고 보수가 들고일어나서 안됨. 군사정권이나 전두환 때가 살기좋았다고 하는 애들인데
@user-pz5hd1ts8o
@user-pz5hd1ts8o Жыл бұрын
전대갈작품
@cruise2337
@cruise2337 Жыл бұрын
@@user-pz5hd1ts8o 국제그룹 뿐만 아니라 동명그룹도 그렇게 사라졌습니다.. 만약 재계 10대그룹이었던 국제, 동명이 살아있었다면 지금같이 수도권 쏠림 현상은 덜했을겁니다... 부산 역시 일본 오사카처럼 지역기업들이 경제를 받쳐줬을테니까요...
@yadontthink
@yadontthink Жыл бұрын
전두환이 개자식이긴 해도 국제그룹은 오너가 그냥 잣같아도 참았으면 안날아갔음
@user-se4ng2sx7p
@user-se4ng2sx7p Жыл бұрын
@@user-pz5hd1ts8o 핵대중 이 날린 기업이 더많은디 ㅋㅋ
@user-hc8zv6ii9z
@user-hc8zv6ii9z Жыл бұрын
당시 농림부가 토지 용도변경을 했다면 지금 정계의 모습이 다른 모습이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네요.
@Pitien
@Pitien Жыл бұрын
IMF때 도대체 몇개의 기업을 날린거야… 동아… 기아… 대우…
@dyobyanplay6510
@dyobyanplay6510 Жыл бұрын
동아아파트에 들어가서 살던 기억이 있어 집중해서 봤네요
@user-hg6mf3cc9h
@user-hg6mf3cc9h Жыл бұрын
공무원들의 무사안일괴 정치꾼들의 교활함으로 거목이 쓰러졌네요.
@southkoreamountaincountryl1839
@southkoreamountaincountryl1839 6 ай бұрын
회장님 악당들한테 당하셨네요 인생 멋지게 사셨네요
@user-ho3kk1jz9y
@user-ho3kk1jz9y Жыл бұрын
리비아 대수로 공사 브레가 대한통운 자재운송사업소에서 2년 있었는데 그때가 그립네...86~87년도쯤 되는거 같은데
@hyunghaechoi7015
@hyunghaechoi7015 Жыл бұрын
참 그때 정부가 빌런짓을 많이했네요..😢 계속 남아있었으면 그래도 좋은 방향으로 나아갔을텐데요..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기업 하나에 신도시급 토지 용도변경 특혜 몰아주는건 뒷돈 수백억씩 받는거 아닌 이상 절대 불가능한 일인데 막말로 그거 해줬으면 대장동 민간개발 전환 특혜보다 수십 수백배 더 큰 이익 남겨주는건데 그걸 안해줬다고 욕을 함? 존나 얼탱이 없노ㅋㅋㅋㅋㅋㅋㅋ
@user-vt8fi8qz9v
@user-vt8fi8qz9v 24 күн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그럼 재계 순위 10위 동아건설이 하루만에 망하게 생겼는데 안도와줌?ㅋㅋ그리고 안해줘놓고선 지가 매각하고선 용도 변경 하니 도로 욕먹는 거임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24 күн бұрын
@@user-vt8fi8qz9v 부채관리 개같이해서 망하게 생겼는데 국가가 책임져야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니네집 망해도 국가 탓이냐? 어이가 없네
@user-do6en1dr5s
@user-do6en1dr5s Жыл бұрын
아무리 훌륭한 좋은기업이라고해도 한국에서 정부에게 밉보이면 회사는 망한다 라는 진리를 보여준 컨텐츠였네요~
@user-ow2vi9lc3x
@user-ow2vi9lc3x Жыл бұрын
한국은 기업하기 어려운 국가입니다. 자유민주주의 국가라기보다 내면에는 사회주의가 깔려있습니다. 기업,개인 또한 자유로울 수는 없고 가장 호의호식하는 인간은 5적입니다. 기업인은 애국자입니다. 방송언론은 매국노로 봐야합니다.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기업 하나에 신도시급 토지 용도변경 특혜 몰아주는건 뒷돈 수백억씩 받는거 아닌 이상 절대 불가능한 일인데 막말로 그거 해줬으면 대장동 민간개발 전환 특혜보다 수십 수백배 더 큰 이익 남겨주는건데 그걸 안해줬다고 욕을 함? 존나 얼탱이 없노ㅋㅋㅋㅋㅋㅋㅋ
@jisangpark8085
@jisangpark8085 Жыл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찢^
@user-ii9hm7qw1n
@user-ii9hm7qw1n Жыл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대중이 처빨면 뭐 나옴? 강도짓한거맞잖아^^
@kyongkwak9193
@kyongkwak9193 Жыл бұрын
인간사 모두 다 똑같읍니다 ..부디 행복한 나날 되시길빕니다
@user-ki7db6cz3e
@user-ki7db6cz3e 9 ай бұрын
건강하세요
@thepeters75
@thepeters75 Жыл бұрын
모든 사람에겐 여러가지 면이 교차하듯 최원석회장도 마찬가지. 아마 당시 리비아대수로같은 사업은 최원석이니까 가능했을듯. 늘 명절은 리비아현장에서 직원들과 같이 먹었다고 하고. 물론 여성편력과 몰락과정에서 벌어진 일들은 암이겠지요.
@myunggo6575
@myunggo6575 Жыл бұрын
성수대교 붕괴는 동아건설입장에서는 조금 억울한 부분도 있을것 같네요.. 원효대교도 민자로 지어서 헌납했는데, 지은지 오래된 다리에 서울시가 시공사에 책임을 물으니..
@user-cp1uz7fn6x
@user-cp1uz7fn6x Жыл бұрын
시공이 잘못된건 팩튼데 뭔개소리야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지은지 500년 넘은 다리도 안 무너지는데 현대 기술로 지은 다리가 근 15년만에 무너진게 억울함? 말도 안되는 논리네 15년된 아파트 무너져도 건설사가 억울하다고 말하고 다니세요
@gjl4180
@gjl4180 Жыл бұрын
위에 둘다 멍청이들이네... 서울시에서 어떻게 개판으로 운용했는지는 생각해봤냐? 철강구조물로 된 교각에 눈온다고 염화칼슘 뿌리고 레미콘차 수십만대가 아무렇지도 않게 통과해도 아뭇소리도 안하고 엉망진창으로 운용했는데 다리가 성하겠냐?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9 ай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지은지 500년 넘은 다리도 유지 관리를 해줘야 안 무너지겠지 어디 관리도 안해주는데 다리가 500년 가는 사례가 있냐 이 무식아 ㅉㅉㅉ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9 ай бұрын
@@seungwooham3204 로마 멸망하고 관리 1도 안된 수도교도 멀쩡한데, 현대 건축학 지식을 가지고 지어제낀 다리는 홀라당 무너져버린게 말이 됨?ㅋㅋㅋㅋㅋㅋ 다리를 그 정도 수준으로 지은거지
@kimhuicha5524
@kimhuicha5524 Ай бұрын
편이쉬십시요🎉❤
@mydailylife9579
@mydailylife9579 4 ай бұрын
대학생 시절 과외 알바할 때, 갑자기 알바하는 집 가장이 실직했다고 했던 기억납니다. 동아그룹에서 40대 후반까지 근무했었는데..그 집 어머니가 탄원서 서명좀 부탁한다고 해서 대학교 과에서 탄원서 서명 돌렸던 것도 기억나네요..
@user-yk8dn3gb8b
@user-yk8dn3gb8b Жыл бұрын
성수대교는 성수 = 부실 이라고 머릿속에 넣어두고 있었는데, 1979년 완공이면 말이 다르지 않나? 다리가 무너진 1994년하고 1979년의 하루 차량통행량이라던지, 차량종류, 동시간대에 다리에 가해지는 무게같은건 비교할수 없을 만큼 차이가 날거 같은데.... 일부러 개떡같이 지은건지, 79년도에 동아건설의 능력이 그거 밖에 안된건지는 따져봐야 할 일 아닌가 말이야... 김포 용도변경은..... 이건 그냥 뺴박 정부가 양아친데? 농지로 쓰기로 하고선 농지로 쓰지도 않다가 상업 및 주거 용도로 사용한다? 거 너무 짜치지 않나?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Жыл бұрын
더 오래되고도 멀쩡한 다리들 많습니다. 통행량도 성수대교와 별차이없고..사고 당시 왕복4차선 밖에 안된데다가...중간중간 점검하며 보수공사를 했어야 했는데 당시 전조증상이 있었음에도 그냥 넘어간게 화근이라고 당시 뉴스에서 나왔었죠..개인적으로 다리는 현대건설이 제일 잘 건설한다 생각합니다. 또한 제일 많이 짓기도 했고요
@sunpoya
@sunpoya Жыл бұрын
근데 무너진 성수대교 조사한거 보면 용접도 날림으로 하고, 모양 짜서 착착 끼워넣어야 하는 강재를 대충 현장에서 그라인더로 갈아내서 얹어놓고 뭐 그냥 시공부터가 개판 오분전이긴 했음.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Жыл бұрын
앞으로 15년된 아파트 무너져도 건설사가 억울하겠다고 말하고 다니세요^^ 대장동은 그렇게 욕하면서 대장동 몇십배 크기 청라 땅은 용도변경 특혜 안줬다고 욕하는 것도 웃기네요.
@user-yk8dn3gb8b
@user-yk8dn3gb8b Жыл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아파트는 원래 무너지면 단되구요. 성수대교는 통행량과 하중이 몇 십배는 늘었구요. 시당국과 회사가 둘다 잘 못한걸 왜 한쪽이 독박써야 되는지도 모르겠네요? 무너지기 수개월 전부터 위험신호가 온건 덤이구요. 대장동은 민간업자와 관이 쇼부쳐서 수천억을 해먹은거고, 청라땅은 용도변경이 특혜이면 농지로 남아있어야 특혜지요. 농지로 쓴다고 고집하다가 농지로 쓴것도 아니고 쌩으로 남겨두다가 2년만에 용도변경? 이건 사기죠. 무식하면 배우세요. 아무대서나 아는척하지 마시구요. 꼭 뭣도 아니면서 일침날리기 놀이 하는 자들이 많더라구요.
@ch6970oo
@ch6970oo Жыл бұрын
@@principle_of_money 리짜이밍네 가정부다!!!
@user-lm1hw7pp2l
@user-lm1hw7pp2l Жыл бұрын
80년대 국민학생 모두가 쓰던 동아전과~~~
@tycoonthemaestro
@tycoonthemaestro Жыл бұрын
그 동아는 동아출판사이며 다른 회사이고 두산그룹의 일부였습니다. (구 두산로고를 사용했고 이후엔 두산 그룹에 가족같은 느낌으로 묶을려고 두산동아로 사명이 변경되었죠)
@user-fx8vm7bb7l
@user-fx8vm7bb7l 11 ай бұрын
통큰 회장님이셨네요. 감춰진 진실이 아름답네요.
@user-ue4bc9zq8x
@user-ue4bc9zq8x Жыл бұрын
참... 아쉬움이..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