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Monty Hall Problem | The Passion of IQ 228

  Рет қаралды 42,250

위니버스

위니버스

Күн бұрын

This is a video about the world's most famous mathematical probability paradox, The Monty Hall Problem. The Monty Hall Problem has been known to many people. But simply repeating the conclusion that 'the door has to be changed' like a parrot is not the core of the Monty Hall Problem.
Let's start with the world's highest IQ, Marilyn vos Savant, dealing with the Monty Hall Dilemma, and talk about the real issue.
-----------------
1. History of Monty Hall Problems
00:00 Summary of Monty Hall Problem
00:38 Savant's Commentary and Response at that time
2. Solutions to the Monty Hall Problem
02:15 100 doors
03:16 Simulation
03:42 Bayes theorem and conditional probability
3. The heart of the Monty Hall problem
05:38 Savant's Mistakes and Implications
-----------------
I'm planning to start Instagram.
it would be good to let you know about the progress of the video :)
/ weniver.se

Пікірлер: 106
@user-gq6dm8gk5j
@user-gq6dm8gk5j 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문의 바꿔야 한다가 결론이 아니라는 부분을 강조해 주신것이 많이 와닿았습니다. 아무리 좋은 이론이 있더라도 중요한 것은 본질과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Weniverse
@Weniverse 4 жыл бұрын
신재황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걸 정확하게 짚어주셨네요. 이번에도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GobdolIiiii
@GobdolIiiii Жыл бұрын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3 ай бұрын
애초에 사회자가 2번 문을 고정해서 열어주는 전략이 있다는 전제부터 이상한데, 차가 1번문 2번문 3번문 어떤 문에 있는지를 미리 알아도 참가자가 1번문 2번문 3번문 어떤 문을 고를지 모름 3번에 차가 있고 참가자가 무조건 3번문을 고르는 상황같은 특별한 조건이 추가로 전제되어야 50% 50% 확률이고 그건 이미 확률이라고 볼 수 없음. 똑같은 의문을 제기하는 다른 사람에 베이즈정리니 뭐니 책을 읽어봐라 하지만. 본인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 지금 이미 로또에 당첨된 상황을 놓고 로또가 당첨될 확률은 당첨 되냐 안되냐 50퍼센트다 라고 말하는 수준임. 일반적 상식적인 수준에서 게임에서 사회자가 전략을 수립하고 2번문을 열기로 계획한 경우에 참가자가 문을 바꾸는 행위는 매우 유의미함. 간단하게 무조건 2번문을 열기로 계획한 경우 참가자가 2번문을 고르면 사회자가 미리 짠 계획과 상관없이 1번문을 열어줘야 하고문을 바꾸면 100%가 되어버림. 나머지 1번 3번문을 고른 두 경우에 50%이고. 아이큐가 228인 사람에게 딴지를 건 통계학자 대학교수랑 같은 부류라 보면 됨.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3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말하는 50%의 확률은 모든 변수가 고정된 상태에서 유일한 변수 참가자가 선택을 바꿀거냐 말거냐의 변수의 50%를 얘기하는거나 다름 없음 영상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자기의 이상한 논리의견에 동조하는 댓글을 고정 달아놓은게 참 ㅋㅋ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3 ай бұрын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면 문을 바꾸는 경우에 일반적인 게임도 2/3의 승률 차가 무조건 3번 사회자가 2번을 열어주는 전략을 쓰는 경우에도 2/3의 승률이 나옴 영상의 50%확률은 모든 상황이 정해진 차도 3번 사회자도 2번 참가자도 이미 3번이라는 변수 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의 이야기이고 여기서 나오는 50%의 확률은 결국 참가자가 바꾸지 않는 결정 100% 참가자가 바꾸는 결정 0% 두가지 선택지로 인한 50%이고 이건 전혀 몬티홀 게임이나 조건부 확률 아이큐 228의 사반트가 말하는 것들과 하등 관계없음 동전을 굴려서 앞뒷면 나올 확률이 1/2이다 라는 당연한 이야기를 영상에 끼워붙인거랑 다름없는 경우임 누가 실수를 했니, 통찰이 없니, 너는 베이즈정리를 몰라서 그런다, 책을 봐라 네가 이해를 못한다 이러는데 이러한 문제 제기에 남보고 책을 읽으라 하지 마시고 본인이야말로 좀 책을 다시한번 정독하시고 확률에 대한 이해를 다시 해보시고 남들에게 책을 읽으라 권하길 바랍니다.
@threeship
@threeship 2 жыл бұрын
문을 바꿔서 자동차를 못 얻게되면 더 열받기 때문에 안바꾸겠습니다.
@ghdtmdgkswnj
@ghdtmdgkswnj 4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어요~ ㅋㅋ 설명을 쉽고 보기좋게 해주셔서 저같은 수포자도 이해가 쏙 쏙 되네요~!
@Weniverse
@Weniverse 4 жыл бұрын
Sunkyoung Park 저도 댓글 달아주시는거 잘 보고 있습니다 :) 쭉 지켜봐주셔서 고맙습니다!
@lIlIlIlIlIlll
@lIlIlIlIlIlll 3 күн бұрын
결론이 특히 와닿네요.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
@ol7668
@ol7668 2 жыл бұрын
머신러닝+수학+개념설명+영상퀄러티 최곱니다! 어떤 가정과 모델인가가 문제이다.. 매우 고차원적인 강의, 직관적이고 깔끔한 설명.. 감탄합니다!!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의견에 공감해주셔서 감사드려요 :)
@day-night
@day-night 4 жыл бұрын
친구에게 몬티홀 딜레마를 설명하려다보니 정말 많은 방향으로 설명을 시도하게 되더라구요. 비협조적인 친구는 몬티홀 문제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 사회자의 전략과 확률의 관계에 대해서 미리 알았으면 좀 더 납득시키기 쉬웠을 것 같습니다.
@Weniverse
@Weniverse 4 жыл бұрын
낮밤 이런 주제로 같이 얘기할 수 있는 친구가 있으시다니 부럽네요! 또다른 영상인 넷플릭스 알고리즘을 설명하면서 슬쩍 몬티 홀 이야기도 다시 꺼내보면 어떨까요? :)
@user-jw9gh9ww1l
@user-jw9gh9ww1l 2 жыл бұрын
신기한 게 문제를 풀 때는 바꾸는 게 무슨 의미야 싶은데 직접 진행자가 되서 진행을 해보면 바꾸는 게 맞다는 게 직관으로 느껴집니다. 명쾌한 설명 고맙습니다. ㅎ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2 жыл бұрын
아 몬티홀 듣고 이게 뭔가 했는데 염소 문이라 하자마자 생각났네 ㅋㅋㅋㅋㅋ 천재는 설명듣고 바로 이해했다는 문제 ㅋㅋㅋㅋㅋ 그나저나 사반트 이야기는 또 몰랐네 사반트 괴롭히지마 ㅠㅠ
@user-fw6uh7zy5y
@user-fw6uh7zy5y 3 жыл бұрын
정말 올해의 채널,,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
@kwon3616
@kwon3616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채널이 있다니
@bontter
@bontter 2 жыл бұрын
매우 흥미로운 영상이네요 감탄하고 갑니다
@user-tr1sg9kg4g
@user-tr1sg9kg4g 4 жыл бұрын
그냥 바꾸라고 알고있었는데 ㅋㅋㅋㅋ 잘봤습니다
@Weniverse
@Weniverse 4 жыл бұрын
성a이름 이야기하고 싶었던 내용이 a님에게 잘 전달되었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 :)
@ceo2776
@ceo2776 3 жыл бұрын
올해발견한 최고의 채널이에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shrimp667
@shrimp667 3 жыл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제가 몬티홀 문제의 확장을 만들어 보았는데요, 하나는 일반항을 만들어 n개의 문 중 몬티홀이 m개의 문(이때,m은 1 이상 n-2 이하)의 문을 열어주는(차가 있는 문은 동일하게 1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차 1개 염소 3마리로 4개의 문에서 선택->문 공개->변경ox->문 공개->변경ox로 선택 변경을 두 번 하는 문제인데요, 두 문제 다 위의 정사각형으로 푸는 거나 베이즈 정리로 푸는 거나 잘 안되더군요. 혹시 위 문제들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나요?
@user-il9rb9jr6l
@user-il9rb9jr6l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고등학생이고 수학 잘하지도 못하지만 보면서 감탄하고 있어요 영상도 진짜 잘 만드셔서 이해가 잘 되는 거 같아요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보셨으면 좋겠네요!
@user-il9rb9jr6l
@user-il9rb9jr6l 3 жыл бұрын
시험기간이었어서 안 보다가 이제야 1주 지난 영상 봐서 머쓱하네요 아무튼 파이팅..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김채윤 고맙습니다. 제겐 의미있는 말이고, 힘이 나는 댓글이에요! 느리지만 꾸준히 영상 만들어나가겠습니다 :)
@fishcakeilike
@fishcakeilike 3 жыл бұрын
전 이래도 이해를 못하고있습니다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3 ай бұрын
내가 생각하는 몬티홀의 시사점은 몬티홀 문제에서 초기 선택 이후 사회자가 염소가 있는 문을 공개할때 그 공개가 초기선택을 고수할 경우 확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초기선택을 바꾸는 경우 확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조건부 확률에 대한 이야기임 사실 몬티홀 게임의 조건들은 명확함 사회자가 초기선택 이후 염소가 있는 문을 골라 공개하는 것임 후반부에 시사점 어쩌구 하면서 남들과 다른 인사이트를 뽐내고 싶었던게 목적이였는지 몬티홀 게임을 변형함 변형하는것 까진 좋은데 조건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건 오히려 본인임 마음대로 변형해서 끼워맞추고 싶었으면 조건이라도 더 명확히 설명해야 함 사회자가 무조건 하나의 문을 열기로 전략을 수립할때 사회자가 모든 문의 정보를 알고 있는지 없는지 사회자가 차가 있는 문을 열수도 있는지 없는지 만약 사회자가 차가 있는 문을 열면 어떻게 되는지 사회자가 미리 한 문을 열기로 선택했을 때 참가자와 문이 겹치면 어떻게 되는지 이런 가정이나 전제 하나 없이 이상한 전략을 가장한 하나의 경우를 뽑아놓고 이야기 하면서 “어? 이경우엔 베이즈 정리로 50%네?” 이런 설명을 하니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지도 불분명 하고 틀리고 모호한 설명이 될 수밖에 없음. 전제조건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었으면 전제조건을 명확히 설정해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못한게 실수임
@choicj4223
@choicj4223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다만.. "사회자의 전략과 상관없이 언제나 문을 바꾸는 것이 자동차를 얻을 확률을 증가시킨다고 하면 명백한 거짓이다" => 거짓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33%를 50%로 올리는 것도 아니고 항상 67%로 올립니다.(1-1/3=2/3). 컨텐츠 6:19에 나오는 매트릭스는 사회자가 두번째 문을 열어줄 확률이 2/3이다 라고 해석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사회자가 두번째 문을 열었다면 차를 얻을 확률은 첫번째와 세번째 50% 씩 아니냐.고 한다면 순서가 바뀌었습니다. 참가자가 먼저 문을 찍고, 사회자가 염소가 있는 문을 열어줍니다. 50% 확률이라고 말씀하신 두번째 문이 열린 경우는, 단지 차1 염소2 있을때 사회자가 염소 있는 문 먼저 찍어서 열러주고 나머지 문 2개 중에 차를 골라라. 고 하는 케이스입니다.(이 경우 50%). 이 순서를 뒤바꾸고 두번째 문이 열린 상황으로 한정하니까 문을 바꾸던 안 바꾸던 똑같이 50%라고 나옵니다. 문은 항상 바꾸는 것이 1/3 확률을 2/3 확률로 올립니다. :) 좋아요 눌렀습니다. 재밌었어요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2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이미 결정된 확률이라 볼수없는 1/2 경우의 수를 가지고, 결론을 이상하게 마무리하네요.
@Mathetraveling
@Mathetraveling Жыл бұрын
문이 여러개인 설명 참 좋아보이는데 정확히 뭐가 문제인지 잘 모르겠네요 ㅠ
@user-cc7yp6kb2u
@user-cc7yp6kb2u 4 жыл бұрын
몬티홀 딜레마...고등학교 확통 시간에 이해가 안 돼서 머리를 싸맸던 기억이 나네요ㅠㅠ
@Weniverse
@Weniverse 4 жыл бұрын
심현준 저도 마찬가지였지만, 위대한 수학자도 처음에는 잘 이해 못했다는 것에서 위안을 얻었습니다 ㅋㅋㅋ
@user-vf6dm1dv2l
@user-vf6dm1dv2l 2 жыл бұрын
결론: 3가지 경우의수 염소방2개 자동차방1개 1. 염소방선택 다른염소방열어줌 바꾸면 성공 2. 염소방선택 다른염소방열어줌 바꾸면 성공 3. 자동차방선택 염소방열어줌 바꾸면 실패
@user-fd3qd7df1e
@user-fd3qd7df1e 3 жыл бұрын
Strategy NO.2 에서도 2번 문을 열었다면 바꿀경우와 안 바꿀경우 승률이 반반이지만, 1번문을 열어줬다면 바꿀경우 승률이 100퍼센트가 되므로 사회자 전략과 상관 없이 바꾸는게 무조건 이득이 아닌가요? 왜 Strategy NO.2에서 2번문을 여는 경우만 놓고 사회자의 전략에 따라 바꿀경우의 승률이 50%/66.7%로 달라진다고 설명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무조건 1번 문을 열어주는 전략을 구사한다면 2번 문을 열어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승률은 50%입니다. 사회자가 두 가지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하면 무조건 문을 바꾸는 게 이득이라는 내용은 영상에 설명되어있습니다 :) 시간이 되신다면 제가 업로드한 ‘베이즈 정리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 영상과 ‘넷플릭스 알고리즘’을 참고하여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user-fd3qd7df1e
@user-fd3qd7df1e 3 жыл бұрын
음.. 그 뜻이 아니라 사회자가 2번 문만 열어주는 전략을 쓸 때 2번에 차가 있으면 어쩔수 없이 1번을 열어줘야 되는데 그럼 1번을 열어주는 경우는 바꿀 경우 무조건 차를 얻는 것인데 이 경우는 고려가 안 된것 아닌가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조건 자체에 있습니다. 참가자가 3번 문을 선택했을때, ㄱ.차가 3번 문에 있다면, 2번 문을 열어준다 ㄴ. 차가 2번 문에 있다면 1번 문을 열어준다. ㄷ. 차가 1번 문에 있다면 2번 문을 열어준다. 여기서는 ㄱ의 전략에 따른 확률을 언급하는 것입니다.
@user-fd3qd7df1e
@user-fd3qd7df1e 3 жыл бұрын
음.. Strategy NO.2라는 것이 지금 말씀하시는 ㄱ,ㄴ,ㄷ 전략을 다 합친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ㄱ의 전략이라고 하시면 차가 3번 문에 있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이미 차가 3번에 있으니 바꾸면 0퍼센트, 바꾸지 않으면 100퍼센트의 확률로 차를 얻는 것 아닌가요.. 영상에서는 ㄱ과 ㄷ만 놓고 설명하신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이 부분에 관한 논증은 설명에 표시된 책을 참고하였습니다. 관심이 더 생기신다면 한 번 읽어보시고, 종현님의 생각과 비교해보면 더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hoboong28
@hoboong28 Жыл бұрын
확률의 총합이 1로 유지되는 것과 현재가 과거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내가 처음에 선택한 문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은 자명하게 1/3이며 이후에도 변화할 수 없는 상수값이다. (이후에 있을 사건이 영향을 주지 못함) 이후 염소가 나온 문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은 0이다. 따라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문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이 2/3으로 자동결정된다. 고로, 나머지 문을 선택하는것이 합리적이다
@hg8242
@hg8242 2 жыл бұрын
사회자가 어떤전략을 사용할지도 확률이기 때문에 바꾸는게 맞는거같음
@ekimtube
@ekimtube 4 жыл бұрын
오왕 대박~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문제랬는데 난 처음 들은 것부터 신선했다
@Weniverse
@Weniverse 4 жыл бұрын
E.Kim 재밌으셨나요? ㅋㅋㅋ 신선한(?) 영상들 꾸준히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xr1fj9dm3d
@user-xr1fj9dm3d 3 жыл бұрын
오~ 문제 찍을 때도 도움이 될 거 같기도 하고~ㅎㅎ 5선지에 3갠 정답이 아닌 게 확실한데, 직관은 a고 확률로 따지면 b로 바꾸는 게 옳고… 대부분 바꾸고 후회하느니 첫느낌으로 가긴 하죠! 어려운데 재밌네요~ ^^👍
@tsyi313
@tsyi313 Жыл бұрын
문을 열기 전에는 염소가 살아있는 상태와 죽어있는 상태가 공존한다는 뜻이군요!
@user-kf8tp7ik4c
@user-kf8tp7ik4c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 내용에 오류가 있는 것 같아 글 남깁니다. 6:05 부터 내용중 3번 자동차를 선택했을때 사회자가 어떤문을 어떤 확률로 열어주든 고려할 대상이 아닙니다. 2번문을 100% 오픈하기로 했다는 정보는 참가자가 알고있지 않고 자동차를 선택했다는 정보 또한 없습니다. 즉, 이경우는 1/2가 아닌 결과를 모르는 참가자 입장에서 2/3이 맞고, 선택을 바꾸면 실패 안바꾸면 성공의 결과에 영향을 끼지지 않습니다. 사회자가 어떤 전략을 가지던간에 1. 나머지 문 중에 염소문을 1개 개방한다. 2. 참가자가 자동차,염소중 어떤것을 선택하든 무관하게 선택을 바꿀지 제안한다. 두가지가 절대적인 가정이라 하면 1.자동차 선택 후 바꿔서 염소를 선택 실패 2.염소A 선택 후 바꿔서 자동차를 선택 성공 3.염소B 선택 후 바꿔서 자동차를 선택 성공 바꾸면 2/3 안바꾸면 1/3 의 확률에 영향을 끼칠 수 없습니다. 참가자는 두가지 절대적인 가정만 알 뿐입니다. 사회자가 어떠한 확률로 두 염소의 문을 개방하건 확률에 영향은 절대 있을 수 없습니다.
@user-kf8tp7ik4c
@user-kf8tp7ik4c 3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더, NO.2 상황일때 2번문 오픈이면 확률이 50%라 하셨는데 1번문 오픈되면 2번문 100% 아닌지요? 다만 100%를 고를 수 없는건 사회자의 전략의 정보를 인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어짜피 확률은 상계되어 바꿀때 확률 2/3는 변함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것을 복잡하게 생각하면 오류가 들어가고 그 오류를 찾아내기 힘들때가 있습니다.
@user-vf6dm1dv2l
@user-vf6dm1dv2l 2 жыл бұрын
무슨말인지알거같네요 영상 예시처럼 일단 3번 자동차방을 택했다고치고.. 어차피 룰이 염소방을 열어주는것이라는 전제가 깔려있을테니 참가자입장에서는 1번방을 열어주든 2번방을 열어주든 상관x 라는 말이시죠? 그냥 염소방을 열어준다는게 중요한거지 1번이냐 2번이냐로 50%씩 나눠질 필요가없다는..?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3 ай бұрын
영상제작자는 자기가 맞다고 옹호하는 댓글은 고정 올리고 이런 댓글엔 오히려 니가 베이즈정리를 몰라서 그래 영상을봐 라는 식의 댓글을 다는게 참 이해안감 영상제작자가 말하는 50%확률은 참가자도 3번 차도 3번 사회자도 2번이라는 변수하나 없는 경우에 문을 바꾸냐 마냐의 두가지 경우의수 에서의 1/2 50%이지 몬티홀이니 뭐니 사반트니 베이즈정리니 조건부확률이니는 전혀 관계없는 이야기임 누가 누굴 가르치려 하는지 참 ㅋㅋ
@2w051
@2w051 2 жыл бұрын
염소를 보여준 후에 선택을 하는 거면 몰라도 염소를 보여주기전에 선택하게 한다음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는 건 염소를 본게 아무 의미가 없어지는 거니까 당연히 확률도 변할리가 없죠 그러므로 처음에 선택하지 않은 문이 남은 확률 2/3을 가지게 되는 것 일거구요..
@kyteris0624
@kyteris0624 3 жыл бұрын
뭐하시는 분이세요? 조건부, 베이즈 4개 영상 다 봤는데 진짜 핵고퀄이에요... 머신러닝, 딥러닝 공부하면서 베이즈 통계학 공부하는데 진짜 힘들었는데 큰 도움 받습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었다니 좋네요 :)
@leechanghyun
@leechanghyun 2 жыл бұрын
지친 전공자..?
@user-zx4es7nb3q
@user-zx4es7nb3q 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바꾼다는 전략을 가진 참가자라면. 첫번째 문을 고르는 순간 승패가 결정됨. 첫 문이 염소면 승리. 첫 문이 자동차면 패배. 염소 문을 고를 확률은 2/3니까. 무조건 바꾼다는 전략을 가진 참가자는 매번 2/3의 확률로 승리함. 사회자는 참가자가 선택하지 않은 두 문 중 하나의 염소 문을 열어주기만 하면됨. 열어주는 염소 문이 고정되어있든 변동이든 관계 없음.
@user-wp9gn6oe4o
@user-wp9gn6oe4o 3 жыл бұрын
이거 왁굳형이 영상올렸었는데 수학샘도 똑같은 문제 링크걸어주네ㅋㅋㅋㅋㅋㅋ
@ffqqetsc23
@ffqqetsc23 4 жыл бұрын
셜록홈즈 좋아하시는군요 ㅋㅋ
@Weniverse
@Weniverse 4 жыл бұрын
doctrine 알아봐주셨어...!!! 맞습니다 ㅋㅋㅋㅋ
@user-ji8fi6bb9p
@user-ji8fi6bb9p 2 жыл бұрын
옴몸모 알아본 사람이 또 있었군요...
@user-ey7bx7vk7h
@user-ey7bx7vk7h 2 жыл бұрын
98개의 문을 다른사람이 모르는상태로 염소가 들어있는 문만 열었을 경우을 알려주세요
@user-gm9ji7cg8p
@user-gm9ji7cg8p 2 жыл бұрын
둘다 1/2로 확률이 같습니다
@myway8872
@myway8872 Жыл бұрын
@@user-gm9ji7cg8p 당신이 100개의문중 하나를 고른 상태에서 양과 자동차의 위치를 모두 아는 사람이 98개의 염소방을 공개 하였을때의 경우만 첫선택지에서 다른 선택지로 바꿧을때 확률은 99/100이 됩니다
@skywalker0118
@skywalker0118 2 жыл бұрын
D.P 보고온 사람?
@user-kh4ou5rq3j
@user-kh4ou5rq3j 3 жыл бұрын
영상의 결론 부분에서 조금 부족함을 느낍니다. 몬티홀문제에서의 제가 생각하는 중요한 초점은 사회자가 염소나 차가 어디있는지 확실히 안다는 점입니다. 도전자의 1차선택 이후 사회자가 한개의 문을 열어주는데 이때 사회자가 어디에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야 염소의 문을 여는것에대해 알고있을때 염소문을 여는확률이 1이고 모를 경우 1/2 의 확률적 차이가 생기므로 사회자가 문 뒤의 상황을 안다는 전제하에서만 선택한 문을 바꿀때 66.7% 의 확률상승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사회자도 문 뒤의 어떤것이 있는지 모르고 사회자도 한번 그냥 열었을 때 염소가 나온 상황이라면 이때 도전자는 선택한 문을 바꿔도 50% 이고 안바꿔도 그 전 선택한 33.3%가 아닌 50% 이므로 바꾸나 마나 똑같은 상황이 되는 것이죠. 영상에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할때 필요한 사회자의 전략이라는 것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사회자가 문 뒤의 상황을 아는 전제로 컴퓨터 확률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이 때문에 영상 마지막에 무조건 바꾸는 것이 이득이다 50~66.7% 의 확률을 갖을 수 있다라는 말에는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회자가 문 뒤의 상황을 알고 모르고의 전제를 바꾸는 두가지 상황을 비교해서 무조건 바꾸는 것이 좋다라는 결론이 아니라 알고 있을때는 바꾸는 것이 좋고 모를 때는 바꾸든 말든 똑같다라고 결론이 나와야한다라고 생각합니다.
@findByEmail
@findByEmail 3 жыл бұрын
사회자가 문뒤의상황을 모르는상황에서 어떻게 염소가잇는 문을 정확히 열수있습니까? 사회자가 문뒤의상황을 모르면 애초에 몬티홀문제가 성립하지않습니다 첫번째선택이후 반드시 염소가잇는문1개를 열어줘야하기때문이죠 너무 멀리가심ㅋㅋ
@myway8872
@myway8872 Жыл бұрын
@@findByEmail 위에분말이 정확하게 맞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모든 정보를 알고있는 사회자가 반드시 양이 있는 문을 보여준다가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사회자가 모든정보를 안다는 전제가 붙지 않는다면 사회자가 임의의 문을 열었을때 염소가 나올수 있는 상황도 나온다는 거지요 이경우는 첫번째의 선택지를 바꾸든 바꾸지 않든 확률은 2/1 2/1 로 동일합니다
@user-xg4sj5dh4w
@user-xg4sj5dh4w 5 ай бұрын
@@myway8872무슨 말씀인지 다시 설명을 좀 해주세요. 사회자가 바꿀건지 묻는 상황과 무관하게 듣는자( 바꾸려고 하든 그냥 원래선택 유지하든)가 귀를 막고 있는 경우엔 이 경우가 성립하나요?
@user-xq8oz7ie2y
@user-xq8oz7ie2y 3 жыл бұрын
저는 도박적으로 접근하겠습니다 A와 B로 나누자면 A는 2~30% 당첨확률만 있어도 할만하다는 사람과 B는 100%가 아니면 이득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 나누겠습니다 A 입장에선 3분의1확률이 2분의1확률로 줄어들었기때문에 자기가 생각하는 2~30% 확률이상의 높은확률을 확보하여 결과값을 얻진못했지만 이득이라고 생각하는것이고 B입장에서는 100%가 아닌 단1%라도 돈을 잃을확률을 가질경우 이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33%확률에서 50%확률로 증가한들 이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것이죠 즉 이걸 이득이라고 생각을 안한다는분들은 극히 안전적이고 몸을사리고 계산적이라는걸 보여주는 문제라 생각하며 이건 사실판단이 아닌 가치판단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이상.
@findByEmail
@findByEmail 3 жыл бұрын
컴퓨터 시물레이션으로도 바꾸는게 당첨확률이 높다고나온마당에 무슨...
@user-od9jv5qt6v
@user-od9jv5qt6v 2 ай бұрын
66.7%로 바꾸는게 좋다는 것은 금방 나오는데 뒷 부분은 아무리 들어도 이해가 안가네요 설명을 잘못한 것 아닌가요? 그 가정이 '참가자가 염소가 있는 문을 골랐을 경우 사회자는 자동차가 있는 문을 오픈하는 경우 없이 반드시 염소가 있는 문을 오픈하고 참가자로 하여금 선택의 기회를 준다'가 아닐까요? 사회자가 이럴땐 이렇게 또 저럴땐 저렇게가 아닌 참가자의 선택 후 반드시 염소가 있는 문을 오픈하고 다시 한번 선택의 기회를 준다면 바꾸어서 자동차가 나올 확률은 66.7% 로 고정인것 같습니다 영상에서 말하는 참가자가 자동차를 선택했을 경우 무조건 2번 문을 오픈 하기로 전략을 짰다 하더라도 이건 이미 참가자의 자동차선택이라는 가정하에서 하는 것이므로 2번을 오픈하건 3번을 오픈하건 같은 결과이기 때문에 어느것을 고정하여 오픈한다 하더라도 참가자의 자동차선택이라는 가정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처음의 확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2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결론 부분이 이상하다는 사람이 엄청 많은데
@user-fk6ek8nz8n
@user-fk6ek8nz8n 3 жыл бұрын
사회자:3개의 문이 있습니다 어딜여시겠습니까? 나:1번째요 사회자:자 2번문 공개해 주세요! 사회자:아~ 2번문에서 염소가 나왔습니다 자, 여기서 문을 바꾸시겠습니까? 나:네! 네네네 사회자:자! 그럼 3번문 열어주세요 사회자:아~ 염소가 나왔습니다~ 나:아이씨 왜바꿧지? 사회자:당연히 1번문에 차가있으니까 바꿀기회를 드린거죠~ 1번에 염소가있었다면 바꿀기회없이 제가 열어버렸겠죠ㅋ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UNKNWON_ User 못된 사회자 같으니...ㅋㅋㅋ
@kampikrein
@kampikrein 2 жыл бұрын
5:38 이후 '사반트의 실수와 시사점' 이야기는 동의 하지 않습니다. 3가지 문에서 시작된 사건이 갑자기 2가지 문 중에 하나만을 선택 하는 상황으로 단절 시켰기 때문이죠. 몬티홀은 총 두번의 선택과 3가지 문을 가진 수학적 확률 계산입니다. 두번째 선택의 관점에서만 보면 1/2가 되겠지만 결과적으로 첫번째 선택으로 부터 찾을 확률 2/3와 실패할 1/3의 확률로 구별되는건 변함 없습니다. 일부러 두번째 선택 시점만을 관점을 고집하여 1/2의 확률이라 말하는 것은 몬티홀 문제의 전제를 뒤틀어 버리는 것일 뿐이죠. 몬티홀 문제의 구조는 3개의 문을 두번의 선택으로 자동차를 찾을 수 있느냐임을 기억해야합니다.
@user-xg4sj5dh4w
@user-xg4sj5dh4w 5 ай бұрын
동전던지기 이후 선택을 바꾸는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른가여?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3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이상한 조건들을 전제하여 몬티홀과 전혀 상관 없는 개인이 문을 하나 고르고 이 선택을 바꾸냐 의 두가지 경우의 수에 의한 50%의 확률 문제로 만들어 놨으니 당연히 베이즈 정리를 써도 당연히 50%로 나오는 거지 실상은 몬티홀이니 조건부 확률이니 베이즈정리니 하등 상관없는 문제입니다. 그러면서 이부분을 지적하는 댓글에 베이즈 정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보인다느니 책을 읽어보라느니 한다는게 참 ㅋㅋ 실수니 뭐니 시사점이니 뭐니 하는데 실제로 사반트는 몬티홀 문제에 대해 실수한 적도 없고 정작 잘 알지도 못하고 사반트를 지적한 여러 대학교수나 통계학자가 저지른 실수를 누가 반복하고 있는지 시사해야할 부분이라 보이는데 말이죠
@stylefactory4833
@stylefactory4833 29 күн бұрын
이 문제는 수학이 아닙니다 확률적 우위가 있다면 이미 응용프로그램이 산업계에서 쓰였죠
@Blue_Devil66
@Blue_Devil66 3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멸해 문이 3개가 있고 당신이 고른 문을 A라 하고 나머지 문을 B 라고 하면 사회자가 염소가 있는 B문 1한개를 보여주면 저희가 연 문은 1/3 확률이고 나머지 B는 2/3 확률 그대로죠 그럼 저희가 만약에 B문으로 선택지를 바꾼다면 그 문은 드대로 1/3 확률이고 우리가 선택한 문은 2/3 확률로 바꾸는것이 좀더 유리합니다.
@user-xg4sj5dh4w
@user-xg4sj5dh4w 5 ай бұрын
왜 유리하죠? 결과값을 실제로 바꾼지 여부와 상관없이 유리하다는건가요?
@NokDu12
@NokDu12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내용 먼소린지 잘 모르겟네요. 참가자는 자기가 자동차 골랏는지 어떤지 모르니까 걍 바꾸는게 좋은거 아닌가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조건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싶었습니다 :)
@user-ld8nt8ui8p
@user-ld8nt8ui8p 3 ай бұрын
영상 후반부 사반트의 실수와 시사점 어쩌구 하는데 상식적으로 전혀 이해할 수 없는 내용입니다. 베이즈정리니 조건부 확률이니 뭐니 관계없이 문 두개중 하나를 고르는 문제는 50%의 확률인 이야기를 왜 몬티홀 문제랑 엮으시려는지 이해하기 힘드네요 본인의 영상 설명엔 사회자가 미리 전략을 짠 경우라고 말하지만 그 미리 전략을 짠 경우에도 2/3의 확률이 나옵니다. 전혀 50%가 아니에요 본인이 설명한 내용처럼 나오려면 자동차의 문 사회자의 문 참가자의 문 모두 이미 골라져 있는 상황이여야 하는겁니다 이는 이미 확률 문제라기 보다 참가자가 고른 문을 바꾸냐 마냐의 50%고요 제대로 이해하고 이 문제를 지적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책을 읽을걸 권하지 마시고 좀..
@user-kl1jn4my7m
@user-kl1jn4my7m 3 жыл бұрын
당신은 세개중 하나의 문중 어떤것을 골라도 다머지 문중하나는 무조건 염소가있다. 애초에 선택지가 두개중 하나의 명제인데 이걸로 수학적으로 표현을하지못한다해서 66퍼의확률이라는게 아이러니
@user-ic3ic8sy5d
@user-ic3ic8sy5d Жыл бұрын
진짜 들어도모르겠냐..
@user-wd7or5je4n
@user-wd7or5je4n Жыл бұрын
모든 틀린 답에 열광하고 있군요. 이건 3지선답형에서 2지선답형 문제로 바뀐것입니다. 3분의1 확률에 목숨걸지 마세요. 다음조건(사회자가 염소를 보여준 사건)은 3분의1과 인과관계가 없습니다. 50:50확률입니다. 거꾸로 문제를 내볼께요. 1번 2번문이 있습니다. 1번을 선택했습니다. 사회자가 없던 3번문에 염소를 보여줍니다. 확률이 바뀌었습니까? 3분의1을 버리지 못하는 순간 딜레마에 빠져서 헤쳐 나오지 못합니다. 3개중에 하나 찍으라고 했다가 선심을 베풀어 오답을 하나 없애준것으로 2개중 하나만 찍으면 끝입니다.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닙니다. 앞에 3분의1을 선택했다는 결과가 없이 첫번째 조건을 무효화 시키는 2번째 조건이 나왔기 때문에 첫번째 선택과 인과관계가 없는것입니다. 이건 수학문제도 산수 문제도 아닌 말장난 그 자체입니다.
@user-wd7or5je4n
@user-wd7or5je4n Жыл бұрын
66%의 확률이 높아질경우는 내가 오답을 선택하고 사회자가 내가 선택한 답을 보여줬을때의 확률입니다.
@arate0896
@arate0896 3 жыл бұрын
크흠..오른쪽 문 위에 221B..셜록홈즈 ㅋㅋㅋ
@user-cq6ch2ut1w
@user-cq6ch2ut1w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안바꾸는게맞음 문제자체가 결과적인 경우의 수를 계산한거기때문에 의도에 대한 경우의수 가 들어간다면 사회자가 정답을 골랐을때만 문을 열어줄경우, 상관없을경우, 득정 문만 열어서 보여주려했울경우까지 생각하면 안바꾸는게 확률이높음
@baq394
@baq394 Жыл бұрын
이미 수학적으로 바꾸는게 확률적으로 유리하다는 결론 났다고 영상에서 다루고있는데 뭐본거노
@sihoonoh9021
@sihoonoh9021 Жыл бұрын
@@baq394맞는 말인데? 사회자가 정답을 골랐을때만 문을 열어줄경우 : 바꾸는게 좋을 확률=0 안바꾸는게 좋을 확률=1 상관없을경우=영상에서 말한데로 특정 문만 열어서 보여주려했울경우(그 특정 문에 자동차가 있다면 열지 않는다는 뜻)= 50대 50 '이미 수학적으로 바꾸는게 확률적으로 유리하다는 결론 났다고' 이거는 '상관없을 경우'에 대해서만 말한거임
@user-tn1lp9vj1r
@user-tn1lp9vj1r Жыл бұрын
보면서도 이해가 안되요 ㅠㅠ
@ShootLikeBee
@ShootLikeBee 3 жыл бұрын
나는 디게 쉽게 알았는데.. 어렵게생각하는사람이많구나
@RubatoMelody
@RubatoMelody 2 жыл бұрын
몬티홀 문제 는 잘 고르면 공짜로 차를 받을수 있다 에서 남은 두 문중 어디에 너의 전 재산을 걸건가로 문제를 바꾸면 갑자기 다들 똑똑해짐
@user-hm4el5ii4q
@user-hm4el5ii4q 2 жыл бұрын
끼워맞추기식 확률계산. 모든 문에 자동차가 있고 없고는 1/2
@user-px3vw5ml5l
@user-px3vw5ml5l 2 жыл бұрын
로또에서 당첨될 확률도 당첨되거나 안되거니까 1/2이군요
@user-xg4sj5dh4w
@user-xg4sj5dh4w 5 ай бұрын
@@user-px3vw5ml5l저건 다르지 않나요? 저건 마치 동전던지기해서 앞/ 아니면 뒤인데, 동전이 옆으로 설 확률을 억지로 끼워넣은 느낌이 드는데,
[지식in] 몬티홀 딜레마
17:36
이상엽Math
Рет қаралды 49 М.
[SUB] Netflix Empire, AI and Algorithm | Naive Bayes Classifier
7:10
SHE WANTED CHIPS, BUT SHE GOT CARROTS 🤣🥕
00:19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BRUSH ONE’S TEETH WITH A CARDBOARD TOOTHBRUSH!#asmr
00:35
HAYATAKU はやたく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SUB] Entropy Explained |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9:12
위니버스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당신이 몰랐던 인셉션 엔딩의 진실
9:13
빨강도깨비
Рет қаралды 629 М.
[SUB] The Secret Recipe of Moderna | mRNA Vaccine Revolution (4K)
10:00
SHE WANTED CHIPS, BUT SHE GOT CARROTS 🤣🥕
00:19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