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처럼 보이는 필연 (feat. 융의 동시성. 봄의 양자역학. 불교의 화엄사상)

  Рет қаралды 136,433

5분 뚝딱 철학

5분 뚝딱 철학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3년전에 올렸던 “동시성 현상과 홀로그램 우주이론”의 내용을 보완하고 음질을 개선한 영상입니다.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가끔은, 뭐라고 설명하기 어려운, 이상한 경험을 합니다. 태어나서 처음 가 본 장소인데 웬지 이전에 한 번 와 본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던가, 하루 종일 옛날 노래를 흥얼거렸는데 라디오에서 갑자기 그 음악이 나온다거나, 어느 날 꿈 속에서 할아버지가 나타났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할아버지가 그날 돌아가셨다라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겁니다.
보통 이런 이상한 일을 경험하면 대게는 “그냥 우연이겠거니”라고 생각을 하지 거기에 무슨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죠. 게다가 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더더욱 그럴 겁니다.
그런데 19세기 정신의학자 칼 융은 이런 이상한 현상에 주목했습니다. 융은 이러한 현상을 ‘동시성 현상’이라고 불렀는데요. 칼 융은 동시성 현상은 그냥 우연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모르는 어떤 작용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동시성 현상을 심리학적 논의하기도 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기도 합니다. 혹은 종교적 계시라고 믿는 사람도 있죠. 반면 어떤 사람들은 이것은 심리학도 아니고, 과학도 아니고 더군다나 종교도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저 우연한 사건에다가 뜬금없는 의미를 갖다 붙힌 사이비 이론이라는 거죠.
저는 이 영상에서 동시성 현상을 옹호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반박하지도 않을 겁니다. 다만 동시성 현상에 대한 심리학자 칼 융의 관점, 물리학자 데이비드 봄의 관점 그리고 불교의 화엄 사상의 관점을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동시성 현상을 우연으로 받아 들일지, 아니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일지는 여러분이 직접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297
@Blackrazor_Daystar
@Blackrazor_Daystar Жыл бұрын
순수수학자로서 한마디 하자면, 수학적으로 엄밀한 증명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인간의 상식, 직관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현상들이 한두개가 아니고 여러분야에 걸쳐서 많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여기서 다룬 내용만 하더라도 이게 현실의 진면목이라면 (아니 정확하게는 아니더라도 많은 부분 여기서 설명한 관점이 더 진실에 가깝다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 그리고 이 시공간속과 그것을 둘러싼 현실은 정말 놀라운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이렇게 현실을 이해 하여도 결국 테슬라 주식 사는것밖에 내가 할수 있는게 없음을 깨닫고 또 한번 인간으로서 한계를 느낍니다 ㅋㅋㅋ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a-jin1309
@a-jin1309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ㅎㅎㅎㅎ 우앙~ 수포자 입장에서 아주 조금 위로가 됩니다 ㅎㅎㅎㅎㅎ 화엄경사상처럼 각 나라도 정치경제가 그물처럼 이어진 구조이고 그렇다면 세계어떤 문제도 좌시할 수가 없을텐데, 생존에 특화된 인간의 뇌라.
@applecar6684
@applecar6684 Жыл бұрын
리만기설은 과연 언제 증명될까여
@user-hx3zd3gg4t
@user-hx3zd3gg4t Жыл бұрын
가까운 사람들의 심리상태를 공유하는 경험은 수도 없이 많이해서 이젠 놀랍지도 않아요 감정상태뿐만아니라 심지어 언어형태의 정보의 전달을 받은적도 있고요 가까운 사람이 아니더라도 오늘 누군가를 만날 것이라는 이미지가 머리를 때리면 실제로 그 사람을 만나게 됩니다 그렇다고 제가 무슨 무당같은건 절대 아니고요 계속 무의식을 들여다 보면 볼수록 관심을 가질수록 더욱 자주 경험할 수 있죠 아마도 계속해서 자신을 들여다본 사람들이 과거에도 수도 없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그것들을 공통적으로 말하게 된 걸겁니다 어느 종교 어떤 이론 어떤 사상에도 구애 받지말고 자신을 진실성있게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면 분명 알아차릴 거예요 저도 우리가 연결이 되어있는 것인지 아니면 애초에 분리되어있지도 않은채로 하나인 것인지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어쨌건 비슷한 체험을 하고 싶다면 자신이라는 좁은 것에서 자주 벗어나 보기 바랍니다 나의 과거를 지우고, 가족관계를 지우고, 나이도 지우고, 이름도 지우고, 나를 규정하는 모든 것을 지웠을 때 남는 것은 그저 존재하고 있는 하나의 의식입니다 어떤 철학자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했지만 사실 나는 생각이 있기도 전에 그냥 존재할뿐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지닌 행복감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그렇게 아이덴티티가 지워진 상태에서는 세상을 정말로 편견없이 투명하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무의식의 메시지도 더 잘 들을 수 있고요 집단 무의식이라는 것에 사실 이전엔 회의적이었지만 최소한 가족, 친척의 선에서는 같은 뿌리에서나온 무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것은 경험으로 확실하다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더 큰 범위에서는 어떤지 확신은 못하겠네요 제가 경험하지 않은 것을 확신해서 말할 수는 없으니까요 정말 어린시절부터 분명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이 있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느껴왔고 지금도 어리다면 어린 나이이지만 살아있는 동안에는 꼭 이 우주의 비밀을 풀어보고 싶네요 조회수가 별로 높지 않은 이 영상이 제 눈에 보인것도 우연이 아닐테고 이 글을 보고 뭔가를 느낄 사람들의 충동때문에 제가 이런 장문의 글을 쓰게 된 것일 수도 있겠네요 쓰면서도 왜 쓰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왜인지 모르게 글을 남겨 보았습니다 눈에 보이는것이 없으니 과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할수도 없고 결국 체험을 통해 정리해가야할텐데 제게 남은 인생이 50년-60년정도 되려나요 살아가는 동안에 깨달을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user-lr9uh4rd5y
@user-lr9uh4rd5y 27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erryberry7711
@berryberry7711 20 күн бұрын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그 의식. 무한하고 불멸하다는 것을 그냥 아셨을 겁니다. 이 세상은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어요. 그림이 하나의 종이 위에 그려져 있는 것과 같죠. 내 몸도 그 종이 위에 그려진 그림의 일부인 것이죠.
@user-vm5eh9dh2k
@user-vm5eh9dh2k Жыл бұрын
만법유식. 일체유심조. 우주는 나라는 관찰자에 의해 오온으로 나타나는 공즉시색의 색즉시공의 세상입니다. 저는 이것을 화두로 우주를 경험해가는 중인데 오늘 아침 저의 경험과 이 강의가 너무나 맞아떨어져 안에서 자명한 희열이 터져 나오려고 합니다. 소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kiabu5193
@kiabu5193 Жыл бұрын
지금ㆍ여기에서 충실해야 하는 이유를 깨닫게 되네요. 부분과 전체ᆢ각자의 삶이 작아보여도, 비록 부분일지라도ᆢ 곧 전체임을ᆢ 어린시절ᆢ이런 영상을 볼 수 있었더라면 방황을 덜 했을것 같네요~ 우주의 진리에 접근해 있다는 느낌적 느낌. 감사합니다.
@dogok7319
@dogok7319 Жыл бұрын
동시성은 경험하지 않고서는 인정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자신의 마음과 우연의 사건을 잘 관찰하면 마음에 따라 동시성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momo-gk3jz
@momo-gk3jz Жыл бұрын
살아가다보면 신비로운 경험을 할때가 있습니다. 삶과 죽음 무의식과 의식의 세계에서 살아가며 이성만 강조하는 교육을 받아오다보니 저의 신비로운 경험을 무시하고 터부하게 되더군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결코 없다고 할 수 없음에도 세상에서 그러니까 제가 이상하게 느껴졌는데, 제가 이상한 것이 아닐수도 있겠네요. 많은 책을 읽다보면 가리키는 하나의 방향이 있거든요. 그게 딱 무엇이다. 라고 정의하기에는 아직 제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꼬집어 정의할 순 없으나 지식을 탐구하다보면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존재를 가리키고 있는것 같습니다. 과학도 철학도 정신분야도요.
@soyoungyoon6927
@soyoungyoon6927 Жыл бұрын
오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양자역학. 융의 동시성. 불교의 화엄사상을 이토록 조화롭고 깊게 강의 해주실 유일한 분 같아요. 더구나 쉽게 풀어서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과학을 합리성에 가두지 말라는 말을 설명해주신 것도 참 좋습니다.
@soupbaram
@soupbaram Жыл бұрын
이전 동시성 이론에 대한 영상이 흥미로워서 몇번이나 봤었는데, 새로운 내용으로 다시 올려주셨네요. 우리 모두 무의식으로 연결된 존재들 이며 소우주라는 생각이 드는데, 그런면에서 부분이 전체를 담고있다는거에 동의해요. (프랙탈구조) 우주를 담고있는, 우주(신) 자체인 우리듵. 위와같은 생각에도 내안에 저항이 느껴지지 않음이 기쁘네요. ㅎㅎ 영상감사합니다.
@user-wk2dq8hb3m
@user-wk2dq8hb3m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이런 열려있는 마음을 가지고 계셔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은 지켜봐야 할 것들이 많고, 토론해봐야 하는 것들이 많은 세상에서 하나를 무조건 맹신하거나 배척하는 자세는 최대한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런 것을 몸소 실천해주시고 계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끊임없이 배우는 자세로 열려있는 마음을 계속 유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다 늙고 죽는 그 순간까지도요.
@user-hd8tn2gb9b
@user-hd8tn2gb9b Жыл бұрын
동시성 체험이라는 개인의 신비한 체험에서 시작해 융을 통해 유적으로, 양자역학을 통해 물질적 으로, 불교를 통해 형이상학적으로까지 확장해 나가시다니... 20분짜리 논문을 한편 본 것 같습니다 교수님.
@wjlee2480
@wjlee2480 Жыл бұрын
오래전부터 생각해온건데 한번 조심히 적어봅니다. 부처의 마지막 유언중 " 그대들은 자신을 섬으로 삼고 자신을 의지하여 머물고 남을 의지하여 머물지 말라" 저는 이말이 인과율을 뜻하는 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살아있을떄 업을 바탕으로 생사를 되풀이하면서 윤회가 반복됨으로 소승불교적 삶을 통해서라도 윤회를 끝마치기를 바라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리나 소승불교적인 삶은 아무리 고립된 삶을 살아간다 할지라도 이미 태어날때부터 부모자식간부터 업이 발생되고 또 영향을 주고 받는 모든 삼라만상에 따라 불가능하다고 느끼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이에따라 대승불교적 차원으로 함께 업을 제거해 나아가지 않으면 끝낼수 없다는 생각으로 불교는 발전되어 온거 같습니다. 인과는 업이고 업은 윤회이다.
@cathyhan124
@cathyhan124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에서 입자는 시공간을 초월하는데 명상을 하다보면 그 느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기 내면의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고 명상을 하다보면 자신이 어떤 것도 아닌 하나의 입자처럼 존재하는 것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감각 정보에 갇혀서 세상을 체험할 뿐이라는 생각이듭니다. 감각은 우리가 느끼는 모든 것과 상호작용을 하며 내적으로 비교하도록 만드는데 그 과정에서 서로의 연결성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불교의 연기나 양자역학의 양자얽힘 같은 것은 비슷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붓다는 명상을 통해서 계속 입자상태로 떠오르는 사고를 했고 그 차원이 높아지면서 자동적으로 홀로그램이론 적인 사고를 했을 것 같다는 추측이 듭니다. 어쩌면 양자역학도 불교 사상이 집단 무의식으로 작용해 동시성에서 떠오른 아이디어 아니었을까요?
@bis3284
@bis3284 Жыл бұрын
명상으로 보이는 그 광경이 트립과 어떤 유사성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Youtuby798
@Youtuby798 Жыл бұрын
저는 완전 호입니다~! 살아가면서 말로는 형언할수없는 일들이 정말 많은데 요가를 배우면서 인도철학,불교 우연히 접한 양자물리학에 관심이 생기더니 이러한 이론을 알고 난 후로 모든것들에는 이유가 있고 사회적 현상이나 개인적으로 겪는 일들이 왜 일어나는지 조금은 알것같아서 살면서 답답했던 마음이 많이 해소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w9fb9pb7r
@user-lw9fb9pb7r Жыл бұрын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은건 이성이 제일 못견뎌하는거죠~ㅎ 설명이 안되면 그냥 기적과 우연이라고 두리뭉실 말하지만 우리삶의 많은 부분이 이 우연과 기적 의해 움직이는걸 보면 그 이면엔 이성이 그렇게 좋아하는'법칙'이 있을수도.. 우리의 한계를 겸허하게 인정해야 더 큰 법칙도 보이기 시작하겠죠^^ 제 인드라망에 비춰주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VVWonders
@VVWonders Жыл бұрын
5분뚝딱철학의 주제 중 최고의 걸작입니다 작은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miraluna9966
@miraluna9966 Жыл бұрын
요늘 영상은 제가 경험한 체험이 결코 허구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주네요. 감사한 영상입니다.
@gjwlcjswo
@gjwlcjswo Жыл бұрын
동시성을 알고 체험하고 이해하면 이 험난한 세상 살기가 좀더 의미가 있고 재미도 있습니다. 다만 그렇다고해서....더 쉽다거나 안힘든건 아닙니다만 ㅋㅋㅋ 😅 박사님의 열린강의 흥미있고 매력적입니다.
@innermindhealing
@innermindhealing Жыл бұрын
너무나 귀한 강의네요. 진리는 쓰는 용어는 달라도 결국 같은 것을 가리키죠. 우리 인간은 오감이라는 감각 기관에 철저히 갇혀 있어서 3차원 넘어를 체감하거나 받아들이기 힘들죠. 감각기관의 한계를 벗어나몃 진리의 실체를 볼 수 있을거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allesgute6728
@allesgute6728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우리가 검증못한다고 비과학적이라고도 하구요ㅡ.ㅡ
@toreha9725
@toreha9725 Жыл бұрын
저번보다는 더 심층적으로 설명해주셨네요 영상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user-uq8bi2ks5s
@user-uq8bi2ks5s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ewa6245
@ewa6245 Жыл бұрын
우와 업그레이드 버젼 역쉬👍👍👍 다시 봐도 이 주제는 정말 신기하고 재밌고 흥미롭습니다. 여러 주제들 중 단연 탑이네요.😊 예전 영상을 볼 때는 도대체 왜? 어떻게? 특히 전자들이 슬릿을 통과할때의 변화는 정말 이해할 수 없었지만 새로운 버젼이 준비될 동안 저도 다양한 채널로 정보를 받아들여 이제는 마음 편히 이해할 수 있게 됐어요😊 전자들이 왜 그러는지😊 파이어 멘트의 마지막 의견 정말 동감되는 말씀이네요😊 영상 지금은 이해가 간것같지만 시간이 지나면 또 흐릿해지니 두고 보고 또 볼게요.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wissyuna5539
@swissyuna5539 Жыл бұрын
역시 ..김필영님👍 너무 잘 정리 해주시네요 한마디로 최고십니다 "5분 뚝닥철학" 덕분에 제 삶이 더 의미있어지는 느낌입니다 🦋
@user-jb8zf8sr1k
@user-jb8zf8sr1k Жыл бұрын
최고! 최고! 대박 멋집니다~^^ 사랑합니다~♡
@user-ul3li8lb2m
@user-ul3li8lb2m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도 너무 좋네요.요즘 5분뚝딱철학을 다시 읽고 있어요.새 책도 기대되네요^^ 이렇게 서로 연결지어 사유하는 것에 더 매력을 느낍니다!
@user-fu2pi3bp3c
@user-fu2pi3bp3c Жыл бұрын
화엄사상이 대단하군요 너무나 깊이가 있고 철학적입니다 영자역학을 쉽게 설명하시는군요
@icanhandlee
@icanhandlee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emilykim4316
@emilykim4316 Жыл бұрын
최고예요 👍
@ziggel369
@ziggel369 Жыл бұрын
오늘 아침에 본 영상인데. . . 알림이 떠서 헉? 했어요. 다시 잘 볼게요~
@user-dc8dv2tl9e
@user-dc8dv2tl9e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annabe2023
@Wannabe2023 Жыл бұрын
무아사상과 일심론은 정말 양자역학의 예언과 같을 정도로 유사합니다. 석가모니의 핵심 주제가 무아사상입니다. 나라는 존재가 없다는 겁니다. 그런데 의식이 착각해서 나를 구분하는 순간 모든 인생의 비극(108번뇌)이 시작된다는 것이지요. 일심론도 나인 것도, 내가 아닌 것도 없이 다 하나라는 겁니다. 음식을 먹으므로 내가 아닌 것이 내가 되고, 또 그것을 배설하므로 나인 것이 내가 아닌 게 되는 것이지요. 이 휼륭한 철학이 종교가 되면서 교세와 돈을 쫒는 프로그램이 되어버리고 말았네요. 가을철 설악산에 갈 때마다 저 사람들이 부처와 무슨 관계가 있는지 의문이더군요. 길을 막고 입장료를 받으라는 얘기가 화엄경과 금강경 어디에 나오던가요?
@goodhoi33
@goodhoi3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오늘 강의 잘 들었습니다..우왕 재밌어요..우린 하나이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존재란 뜻이겠죠..다른 사람이 아프면 나도 아픈것을 느낄때가 있는것처럼요..우주의 질서안에는 우린 서로 떨어져 있지만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그물망 같은곳에서 존재하는 삼라만상...이 강의안에 우주의 진리가 다 담겨있는것 같습니다..평상시에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것들을 이렇게 입증하고 설명해 주시니 너무나 좋네요..감사합니다~^^
@rimgrace2818
@rimgrace2818 10 ай бұрын
박사님 강의 넘 좋아요~ 종종 열심히 들으며 배우고 있습니다. 음성도 넘 특이하시고 강의도 쉽게....*인드라망* 넘 멋져요~^^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다! * 대단히 고맙습니다🎉 ❤❤❤❤❤
@tpag20
@tpag20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교수님의 용안을 뵈니 감개가 무량합니다!
@user-pq9cy8hu7b
@user-pq9cy8hu7b 7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재미있는 영상이긴 하지만 사람들이 비과학적인 것을 지나치게 몰입해서 현실을 외면하고 공상에 빠져 사는 것도 경계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공상의 세상이 아니라 결국 현실의 세상이니까요. 제 주변에는 이런 것들을 탐닉하며 마치 진리인냥 거기에 완전히 빠져서 공상 속에서 사는 답답한 사람이 있어서 걱정이네요. 현실을 보라고 해도 말이 안통해요..... 저도 예전에는 철학에 관심이 있어서 여러종류의 책도 재미있게 봤지만 결국에는 철학은 철학이고 현실은 현실이더군요. 그래서 저는 철학을 현실에 적용하려고 하기 보다는 생각의 폭을 넓혀주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baramillseo5610
@baramillseo5610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아요. 많은 생각을 일으키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hye8084
@hye8084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모두 하나이다.' 라는 말을듣고 궁금해하던 중 우연히 이 영상을 접하게되었네요
@user-tl1be7mc3u
@user-tl1be7mc3u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감사합니다. 찾아보고 싶었던 내용이라 가려운데 긁힌 기분이에요. 제가 어렴풋이 생각했던 내용들이 구체화되어서 이론으로 만들어져 있다니 심장이 두근거립니다. 파이어 아벤트의 말도 정말 동의합니다. 카프라의 책이 정말 궁금해지네요. 감사합니다 :)
@studying_jinju
@studying_jinju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ViViDWorLD
@ViViDWorLD Жыл бұрын
불교에 대해 잘 모르지만 모든 진리와 연결이 되어 있는 것 같아요. 선생님의 영상중에서 자료들과 선생님의 모습이 중첩되어 있는 화면을 볼때 많이 웃었습니다〰
@younghan6259
@younghan6259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등 현대 과학은 부처님말씀과 모두 일치해요 2천5백년전사람이 어떻게 알았을까요
@user-ls1dr4dv8q
@user-ls1dr4dv8q Жыл бұрын
@@younghan6259 영상 마지막 파이어아벤트? 라는 과학자의 말처럼 과학도 진리탐구의 방식 중 하나라고 하듯이 그 옛날 불교도 진리탐구의 방식 중 하나로서 잘 기능했나봐요.
@I_love_philosophy
@I_love_philosophy Жыл бұрын
진짜 영상이 명품입니다 ㄷ ㄷ
@goodluck3269
@goodluck326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trytemandala7577
@trytemandala7577 Жыл бұрын
아주 훌륭하신 설명이십니다 물론 아주 드물고 일상적인 현상은 아니지만 동시성은 분명 존재합니다 과학은 일상적이고 재현 가능한 반복적인 보편성을 추구하지만 과학에도 엄연히 예외적인 현상과 법칙은 늘 존재해 왔습니다 시공간의 기준과 정의로부터 기존 과학과 학문은 체계를 이루고 발전해 왔습니다 그런데 시공간이 하나의 기준점에 있다면 모든 것이 모레알처럼 무너질수도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뉴톤 과학이 설명하기 힘들었던 양자세계나 정신세계의 현상을 사실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던 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윗글의 이러한 동시성을 설명하는 이론들은 지금까지 설명할수 없었던 현상들을 속시원하게 설명해 주는것 같습니다 왜 지금까지 극히 일부의 사람이나 장소에서 4차원 세계의 현상이 일어났는지 쉽게 이해할것 같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학문을 제3과학이라고 부르고 싶군요 언제가 좀더 탐구하고 발전시킨다면 인류의 발전에 회기적인 도약을 가져다 줄수도 있겠습니다.....
@user-jq5tn9ku2m
@user-jq5tn9ku2m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Macrocosmnouveauriche
@Macrocosmnouveaurich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mezzocantar
@mezzocantar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어려서부터 동시성이나 꿈 모든것은 하나로 연계되있는듯한 체험들을 자주했지만 현실과는 너무 동떨어져 삶은 그거 딜레마 그 자체였습니다. 이젠 과학, 무의식연구 , 종교... 등으로 설명이 되는 세상에 살수있어서 삶에 대한 제 이해와 태도가 달라졌습니다. 짧고 쉽게 영상으로 만들어 주셔서 더 좋은 세상으로 여겨지네요.
@ruri4715
@ruri4715 Жыл бұрын
얼마 전에 동시성을 겪었어요 일 하면서 유튜브 알고리즘에 뜬 영상속 음악을 듣고 있었는데 음악이 좋아서 반복적으로 듣고 있었어요 일 끝나고 볼 일이 있어서 나갔다가 집에 오는 길에 그 곡을 들으면서 오고 있었는데요 앞에 남학생이 강아지 산책을 하고 있는 거에요 그런데 그 학생이 입고 있는 티셔츠에 Rusty라고 적혀있었거든요어디서 본 글자네? 하고 듣고 있는 곡 제목을 보니까 똑같은 거 있죠 너무 신기했어요
@user-og8md4hd4n
@user-og8md4hd4n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철학을 넘나들면서 보는 넓은 인식의 지평이 참 인상깊습니다^^
@iwasborntosurvive5396
@iwasborntosurvive5396 Жыл бұрын
과학과 철학을 항상 추합해봐야하죠.. 진리는 같은 이야기로 귀결될수 밖에 없으니까요.. 어디 하나가 다른 소리를 하고있다? 어딘가 잘못된 맥락을 짚고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때문에 이런 과학과 철학이 함께 나오는 이 채널이 참 좋습니다 이런 작업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user-yu7lk6uo1b
@user-yu7lk6uo1b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gbs7755
@gbs7755 Жыл бұрын
굉장히 굉장히 재미있네요
@user-kp2pe7fk7y
@user-kp2pe7fk7y 11 ай бұрын
최근 동시성 현상을 여러번 경험하면서 그것이 실제라는 생각이 듭니다' 전에는 우연의 일치겠지~했습니다' 화엄세계 우리는 인드라망속에서 서로 비추고 영향을 끼치고 있군요. 일아나는 일들은 모두 일어날만해서 일어난거라 생각합니다
@StCivilian
@StCivilian Жыл бұрын
어려워도 재미지네요..
@NEO-sz6ff
@NEO-sz6ff Жыл бұрын
파이어아벤트의 주장에 적극공감합니다 !!! 모르는 것을 아는것처럼 행세 하는것은 무의미 하지요 그저 가능성으로 열어두는게 현명 하다고 봅니다.
@KimBakTarot
@KimBakTarot 10 ай бұрын
마지막 이야기해주신 파이어아벤트의 이야기들이 특히나 더 마음에 남습니다. 철학과 심리학, 양자역학까지... 너무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
@user-re3wz2ft8u
@user-re3wz2ft8u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좋네요!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user-od8qf8ke2x
@user-od8qf8ke2x Жыл бұрын
저는 그 동시성체험이란게 의식의 양자적 얽힘이라고 느꼈거든요. 왜냐하면 의식이 우리뇌신경 속의 신호 즉 뇌파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전생을 기억하는 중국소수민족마을 이라던가 전혀 연고가 없는 사람이 꿈에 나왔는데 알고봤더니 가까운장소의 살해피해자라던가...
@user-or8en6ez8v
@user-or8en6ez8v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user-fv6lz3uh2i
@user-fv6lz3uh2i Жыл бұрын
동시성현상 인정합니다 저도 어쩌다 경험하고 듣기도 했어요 ~
@PatrickJKim-bl1nm
@PatrickJKim-bl1nm Жыл бұрын
😁 잘들었습니다.
@nammikim8609
@nammikim8609 Жыл бұрын
동시성 현상은 사실 자주 겪으며 머지.. 하는 의문이 들던터라 조금 이론적으로 풀린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기분이 묘하기도 하고 재밌습니다 살면서 무질서같이 보이지만 묘하게 질서가 있다고 느껴졌는데 이런 이론이 있다는거에도 먼가 설레네요 요즘 철학에 엄청 관심이 생겼는데 재밌는 강의 감사합니다 ~
@kimjulie2355
@kimjulie2355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최고
@npdrss
@npdrss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입니다
@iallalli5223
@iallalli5223 Жыл бұрын
한없이 열려고 하니 참 좋네요. 이것은 필영님 자기자신 내가 바로 나뿐이기에 필영님의 세상 삼라만상은 언제나 필영님 자기자신 나랑 동체동시로서 나타난다고 님에게 전하고 싶네요. 세상 사람들은 자기자신을 그 육신 몸뚱아리 또는 그 마음 또는 혹시나 그 두뇌의 어느 부분일 거라고 짐작하거나 생각하지요. 여러분 자기자신 나는 여러분의 육신이 아무리 이리저리 변화하드래도 영원히 절대로 변화하지 아니하는 동일체입니다. 여러분 자기자신 나를 여러분 자기자신 나 스스로 자각하고나서 보면 온 세상 온 삼라만상은 틀림없이 여러분 자기자신 나뿐입니다. 내가 다이니 다는 나입니다. 이 일구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게 아니고 온 삼라만상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시내산에서 모세에게 전해진 하나님의 그 자기선언 바로 아이엠 웥에버 아이엠 절대 유일자 생명주인 여러분 나에 대한 선언이지요. 절대유일 생명주인 하나님에겐 나 아닌 것이란 있을 래야 있을 수가 없으니까요. 예수의 산상수훈과 요한복음서는 딴 뜻이 아니고 여러분 자기자신 나에게 돌아오는 바른 길을 서술한 거이고요. 여러분 나속에 구세주 예수가있고 여러분 자기자신 나속에 하나님 내가 있으니까요. 불교의 화엄경도 법화경도 유마경도 금강경도 열반경도 원각경도 초전법륜경도 사문과경도 똑같은 취지입니다. 그래서 여러분 자기자신 내가 바로 천상천하유아독존 즉 천상천하절대유일독존이기에 자등명법등명하라고 하는 것이지요. 석가모니의 입적시의 유언인 자등명법등명을 영문으로 표기하자면 아이엠 웥에버 아이엠 이라고 표현되네요. 자등명법등명이면 여러분의 세상 온 전체도 낱낱도 양자도 립자도 파장도 빅뱅도 웜홀도 화이트홀도 블랙홀도 바로 여러분 자기자신 나입니다. 여러분의 생노병사 역시 여러분 나뿐이지요. 여러분 나에게서 나와서 여러분 나로 살다가 여러분 나에게로 돌오오는 여러분의 인생을 반복하고 있네요. 이와 같은 거를 말한 서양 철학자중에 헤라클레이토스나 파르메니데스가 있고 소크라테스는 평생 자기자신 나를 스스로 궁구하였고 그래서 세상 사람들도 자기자신 나를 스스로 돌아볼 수 있도록 산파술이라고 알려진 대담으로 진리를 나누었던 거이네요. 오늘날의 세상 사람들이 보고 있는 노자가 아니지만 본래 노자는 여러분 자기자신 나의 도와 덕에 대하여 말하였어요. 장자 역시 여러분 나 자기자신에 대한 말이고요. 장자내편 소요유 제물론 양생주등등이 여러분 자기자신 나에 대한 거이지요. 공자 이후로 주희를 비롯하여 유명하다는 학자들이 주역에 대하여 말하지만 주역이란 바로 여러분 자기자신 나를 나 스스로 찾는 점놀이게임이라고 보드래도 무방합니다. 노자의 권유로 공자가 쉰에 지천명하였다는 말이 바로 주역에서 천명이 있음을 알았다는 말이니까요. 이것이 보기에 왕양명은 오히려 주역에 대하여 해설을 하지는 않았지만 주역의 본지에 통하고 있다고 보이드군요. 격물치지는 왕양명의 이해가 올바른 거이고 주희처럼 분열된 견처로는 격물치지의 본지를 모르기 때문이었네요. 격물치지하면 바로 장자의 물화에 통하지요. 장자의 물화에 통하면 동체성동시성에도 통하게 될 거이고 리사무애 사사무애 만법귀일 일통만통에 여러분 자기자신 나 스스로뿐이니 생노병사가 상락아정이라 닐리리 필리리 하겠지요.
@siriusa1207
@siriusa1207 Жыл бұрын
전 영상 마지막의 한마디가 모든 것을 zip 해주는거 같네요. ‘이성이여 안녕~’ ! 서양의 과학이 발달할 수록 동양의 철학이 증명되는 거 같아요 👍👍👍 결국 표현할 수 있는 언어의 한계가 가장 큰 문제이지 않을까요?
@user-zv5tp9mc6t
@user-zv5tp9mc6t Жыл бұрын
동시성경험을 자주하는사람으로써 이영상이 정말 반갑습니다 이런현상을 자주접하고 저두 양자역학이나 불교의가르침등 의 책들을 많이읽고 내린결론은 태초에 한 에너지가 진화하여 지금의 이세상이되었고 그래서 모든것이 연결되어있다는것이 맞는 이론이라생각합니다 그리고 이세상에서 가장 중요한것이 인식(생각)이라고생각합니다 ( 성경 창세기1장에 말씀으로 세상이창조되었다라는것과 사람은 창조주와 같은 성분의 영으로되어있기에 )사람의 생각이힘이있고 생각자체가보이지않는물질이라생각하기에 그 개인의생각이 얼마나 태초의 그 창조에너지에 조율되어 있냐에따라 개인의생각도 태초의 그 에너지의힘과 하나되어 창조할수있는힘이 있다라는것과 그래서 동시성현상과같은 일들이 일어날수있고 현상만연구하고 태초의근원과에너지까지 생각하지못하는 과학자들은 말씀하신대로 사이비이론이라생각할수있다고봅니다
@kangjaeyoung
@kangjaeyoung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항상 감사히 보고있습니다. 저는 요즘 Don Edward Beck과 Christopher Cowan 쓴 spiral dynamics라는 이론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영어를 잘 하지 못하기에 깊이 읽거나 이해를 하지는 못하고 있어서, 혹시 5분뚝딱 철학에서 이 내용에 대해 다루어 주신다면 재미 있을것 같아서 댓글 남깁니다. 그리고 이번 영상은 개인적으로 최고의 영상이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a-jin1309
@a-jin1309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로운 주제네요. 책 시크릿 내용과 교차하는 부분도 있고. 제 경험에서도 저런 동시성 현상이 나타날때(호랑이고 제 말하면 온다는 속담처럼) 가끔 혼란스러워요. 그래서 불안이 많은 제가 어떤 상황에 대해 안좋은 상상을 시작할때, 가능한 상황을 상황그대로 받아들이려 노력 할 때도 많아요. 불안은 본인은 물론, 주위사람들까지 괴롭히니까요. 그럴땐 큰 도움이 된답니다. 하지만 이 이론이 맞다, 그러다로 결정짓기는 무린거 같아요. 가령 제가 어떤 단어나 문장을 새로이 습득했는데, 그 단어나 문장이 간판이나 티비자막에 나왔다면, 그건 제가 아는만큼 보여서 일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거든요. 아무튼 오늘 내용 정말 좋네요. 상쾌해지는 기분이예요.
@user-bv7wr7ed2o
@user-bv7wr7ed2o Жыл бұрын
몇년동안 오디오북 으로 애청하는 영국 목사님의 강론을 산책하면서 즐겨 듣거든요~거기에 나따나엘이 내 게 물었다 라는 성경구절이 나오는데~어느날 산책하면서 듣는데 그 대목에서 귀 가 아프더라구요~ 이어폰을 빼고 쫌 걷다가 모퉁이를 도는데 나따나엘 부동산이 뜨억!!!! 그 길을 자주 산책하는데 그 날 처음 봤습니다 저 는 이런 현상을 자주 경험합니다 제 생각은 어떤걸 찰나로 느끼면 즉시 발현 하는것 같아요^^
@jenn3761
@jenn3761 Жыл бұрын
@@user-bv7wr7ed2o 저도 하루에 한번꼴로 이런 현상이 생겨서 검색하다 이 영상까지 보게 됐어요.. 혹시 이란 현상이 자주 일어나서 스트레스 받지는 않나요?
@stevenjohn7763
@stevenjohn7763 Жыл бұрын
화엄사상 설명 넘 재밌습니다 이건희 회장님이 말씀하신 백만명을 먹여살리는 한명. 교수님을 두고 한 말 같네요
@user-em3rk3lg6r
@user-em3rk3lg6r 11 ай бұрын
잘 듣고 갑니다
@user-gk9wy3xr3n
@user-gk9wy3xr3n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 잘 들었습니다
@user-jg2pl2nr9c
@user-jg2pl2nr9c Жыл бұрын
재밌는 정보에요 감사합니다 쓰신책도 쉽게 이해할수 있을거같아서 사보려구요
@hoya0322
@hoya0322 Жыл бұрын
현생을 걷어내고 보면 교수님에게 고마움이 가득합니다. 철학툰도 쉽게 도전해 볼게요!
@jiangzhe9648
@jiangzhe9648 Жыл бұрын
흥미롭습니다.
@user-bw2ce1jn5j
@user-bw2ce1jn5j 7 ай бұрын
자주그래요 ᆢ 뭘생각하면 티비에 꼭나와요 며칠동안 누가 쓱 날터치하는듯 느낌이 있었는데 늘 밥주는 길냥이가 아무것도 없는 허공에대고 싸우고 털세우고있더라고 난감합니다
@idaidee
@idaidee Жыл бұрын
제 주변에는 확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자신의 기도에 연관해서 설명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저는 그것들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제가 어려움을 당하게 되어서 전심으로 기도하게 되었는데, 확률적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사건이 연속으로 다수 일어났습니다. 그것들은 저를 더 편한 길이 아니라 의미를 위해서 고통받는 길로 인도하였습니다. 어려움은 그대로이지만, 내가 보는 관점이 전적으로 달라져 그 고난을 감사하게 되었습니다. 이 일들을 통해 제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그 의미에 충실한 삶을 살고 싶습니다.
@toolhead2461
@toolhead2461 Жыл бұрын
김필영 교수님의 음악 세계관도 보고 싶네요 저번 툴 커버에 이어 킹크림슨 커버까지 매우 반갑네요😌
@user-nq1cw6lx6r
@user-nq1cw6lx6r Жыл бұрын
심리학 과학 불교의 용어를 떠나 우리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건 확실한거같습니다
@dlee5338
@dlee5338 Жыл бұрын
매불쇼 통해 여기까지 왔네요. 철학이야기 재밌어요😊
@ionlyibocky
@ionlyibocky Жыл бұрын
심리학+물리학+종교의 특별한 콜라보래이숑 더하기 구입한 철학툰 여섯 권 모두 교수님 친필 싸인 재중~ 복 받은 행복한 나와 내 제자들~ 김필영교수님, 맨소래담 필요할 것 같은 당신의 싸인한 팔뚝과 손목에 치얼쓰🎉 고맙습니다 ^^*
@user-im3ce2my3b
@user-im3ce2my3b Жыл бұрын
이성이여~안녕^^ 감사합니다~
@unknownpleasure858
@unknownpleasure858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해석인것같아요 :)
@user-wp9jb2ji1w
@user-wp9jb2ji1w Жыл бұрын
이성의 논리에 빠지면 빠져나오기 힘들다. 완전한 논리만큼 재미없는 것도 없다. 그런 의미에서 하나의 질문을 한다. 논리적으로 보면 완전하지 않은 삶이 없다. 우연이 결과적으로 필연이 되기 때문이다. 완전한 질서 속에 있는데 당신은 왜 지금 번뇌속에 있는가. 지금도 번뇌가 일어나고 있는데 그것을 벗어나기 위해서 완전한 논리를 만들어 그속에 그 번뇌를 감춘다고 그 번뇌가 사라지겠는가. 이런식으로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다.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살아있다면 살아숨쉬는 동안 자신에게서 일어나는 일들에 집중하자. 삶은 길지 않으니 죽고나면 더이상 느끼지못하리니.
@Macrocosmnouveauriche
@Macrocosmnouveaurich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hi9zi5xk2e
@user-hi9zi5xk2e 6 ай бұрын
와 정말 신기하네요 굿
@user-hh6el2qq8s
@user-hh6el2qq8s Жыл бұрын
굳굳. 음 제생각에는 이 우주가 가상세계 같아요
@user-yi7ic4iu7f
@user-yi7ic4iu7f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지식과 목소리에 매료돠어 있는 구독자 입니다. 2023년 새 해 건강하시고 좋은활동 많이 하시고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요 며칠전에 서울대 강성용 교수님을 알게 되었는데 인도에 대한 전문가 시더라구요 감탄하며 보고 있습니다 혹시 김필영 교수님의 철학연구에 도움이 되실까 해서요 혹시 모르고 계셨다면 강성용 교수님 추천 드립니다~~아 참 철학툰 책 구입하였습니다^^
@DuskMad
@DuskMad 11 ай бұрын
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을 평범히 공부했습니다. 어느 수업 시간에 교수님이 상대성 이론에 대해서 간단히 말해주시면서 카프리 교수 같은 연구에 대해서 인류학자들이 빠지기 쉬우니 주의하고 조심하라고 연구윤리에 대해서 강의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여전히 교수님의 강의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융-양자역학-불교의 이론을 하나로 묶는 것은 언어적 실수라고 생각합니다. 곤충의 날개와 조류의 날개 그리고 호버 크래프트가 본체를 날개하는 건 동일하지만 구조나 작동원리가 다르듯이 융-양자역학-불교를 같이 묶어서 생각하는 것은 비약이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여러가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불교 사상에서 화엄사상을 두고 양자역학과 관련 짓는 것은 60년대 낡은 사회 구조를 비판하며 새로운 정신 문화와 사상을 세우고자 했던 미국의 히피 운동과 그것이 뿌리를 둔 오리엔탈리즘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혹시 괜찮으시다면 철학과 사상을 공부할 때 필요한 연구 윤리 등을 다룬 영상도 제작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berryberry7711
@berryberry7711 20 күн бұрын
모든 진리는 하나로 귀결됩니다. 어떤 길로 가든 그건 상관 없어요.
@DuskMad
@DuskMad 2 күн бұрын
@@berryberry7711 그건 알 수가 없습니다. 알 수가 없는 것에 대해서 믿고 행하는 건 종교이지만 철학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user-wj4wo6vo5p
@user-wj4wo6vo5p Жыл бұрын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一微塵中含十方....仍不雜亂隔別成...의상대사의 화엄경 법성게중에서.
@younghwanjeong753
@younghwanjeong753 Жыл бұрын
깨어있으신 분 ❤
@virtuosoji1
@virtuosoji1 Жыл бұрын
사실 엊그제 지인과 차 마시면서 대화를 하던 중 "우리가 종(species)적으로 전혀 관련 없는 생물들의 표정이나 행동을 보면서 그것의 감정 상태나 기분 등을 거의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굉장히 놀라운 것이다. 이 우주 자체가 어떤 하나의 원리에 의해 생겨났거나 이 세상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며칠이 지난 지금 이 영상을 보네요ㅎ 기분이 묘합니다^^
@user-xd6ce9ed3l
@user-xd6ce9ed3l Жыл бұрын
우연처럼보이는필영 딱딱 와닿는 철학
@JB-iq3je
@JB-iq3je 10 ай бұрын
영화 테넷 이 생각나네요 조만간 다시봐야겠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hh2ln3nr9o
@user-hh2ln3nr9o Жыл бұрын
어려운건 잘 모르겠지만 흥미롭고 관점을 전환해서 생각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hojai74
@hojai74 Жыл бұрын
와, 영상을 아예 새로 만드셨네요. ㅎㄷㄷ
@user-mg4ow1zq6m
@user-mg4ow1zq6m Жыл бұрын
저도 과학은 세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인문학에 포함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과학의 정의를 단순히 실험하는 영역에만 국한시켜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조상들이 현대인보다 어리석고 미숙해서 종교를 믿은것이 아니라 그들도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충분히 할수 있었을거란 생각이 드네요
@mmnnoomn
@mmnnoomn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이 동시성과 비슷한 것 같아요
@ke1555
@ke1555 Жыл бұрын
전자 실험은 흥미롭네요 …
@user-vt4uj9vw3i
@user-vt4uj9vw3i 11 ай бұрын
13:23 여기서 예로드신 글리세린과 잉크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그런데 궁금한점이, 글리세린과 잉크기에 다시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원래모습으로 돌아오는데 만약 물에 잉크를 넣으면 원래모습으로 안 돌아오지 않나요? 한마디로 글리세린이 아닌 물이라면 말씀하시려는 메시지에 모순이 생기지 않을까요??
@johanyu380
@johanyu38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과학은 유용하지만 삶의 모든것을 설명하지는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양자역학이나 엔트로피나 이세계는 확률로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극히 낮은 확률의 사건을 기적이라고 부르지만, 제로가 아닌 이상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동시성은 가능한 사건이라고 봅니다.
@user-es5pz6bt5y
@user-es5pz6bt5y Жыл бұрын
처음 영상보는 순간, 양자역학이랑 불교가 같이 있길래 거부감과 오늘 5분뚝딱 철학 흑역사 구나라고 지레짐작햇는데 레전드였네요. 섣불리 판단하면 역시 안되나 봅니다
@user-xx2ok3cb8q
@user-xx2ok3cb8q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재밌게 보았습니다. 영상 내용이 엄청난 영감 덩어리 네요! 설명하신 영상 내용들이 데자부와도 연관이 있을까요?(제가 종종 데자부 현상을 겪는데 처음에 놀랬는데ㅋ 지금은 그러려니 합니다 ㅋ) 그리고 혹시... 이 내용의 영상이 기독교적인 관점과도 설명되어 질 수 있는 부분이 있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말랑말랑하게 만든 무시무시한 헤겔의 정신현상학
31:33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61 М.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Which one of them is cooler?😎 @potapova_blog
00:45
Filaretiki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칼 융 : 분석심리학
14:33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380 М.
알베르 카뮈 - 부조리한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
26:44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심리학의 거장 칼융이 겪은 초자연적 경험 5가지
15:53
미스터 리의 미스터리
Рет қаралды 103 М.
How to understand Buddhism through quantum mechanics. Amazing science contained in the Heart Sutra
9:45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