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편]배송비는 한국이 내고 돈은 중국이 번다? 알리·테무 급성장 뒤에 가려진 함정(2편) / 귀에 빡!종원 / 비디오머그

  Рет қаралды 417,448

VIDEOMUG

VIDEOMUG

Күн бұрын

돈은 중국이 벌고 무료 배송비는 한국이 낸다? 어디까지 사실인지 직접 알아봤습니다.
배송비 논란과 함께 일고 있는 '관세' 논란! 중국만 혜택을 보고 자국 기업이 역차별을 당한다며 전 세계에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국가 안보'까지 꺼내들고 있는 상황.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중국 업체에 강경 대응이 가능할까요?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업 간 경쟁이 붙으면 좋은 거 아닐까요? 혜성처럼 등장한 중국 온라인 쇼핑몰의 무서운 성장 뒤에 숨겨진 이면을 귀에 빡! 박히게 알아봤습니다.
00:00 알리·테무 급성장 뒤에 가려진 함정
02:41 김종원 기자 테무에서 15만 원 긁은 썰
06:25 중국 이커머스 무료배송비를 한국이 낸다? 팩트체크해 봄 (ft. UPU)
11:35 코로나19로 망한 중국 공장, '테무'가 다시 돌린다
(취재: 김종원 / 영상취재: 김현상, 주용진 / 편집: 김인선 / 구성: 조도혜 / 작가: 김채현 / CG: 서현중, 장지혜, 성재은, 권혜민 / 디지털뉴스제작부)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세계경제 #관세 #upu #우체국 #택배 #세금지원 #미국 #트럼프 #시진핑 #관세철폐 #해외직구 #아마존 #쿠팡 #쉬인 #네이버 #플랫폼법 #빡종원 #귀에빡종원 #비디오머그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videomug.co.kr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1 400
@videomug0
@videomug0 3 ай бұрын
1편입니다. kzfaq.info/get/bejne/Y5eigrl91b7aaIk.htmlsi=fYVhSnPK0wrhX-HF
@grass88107
@grass88107 3 ай бұрын
진짜 한국이 개 흑우인게 쿠팡이나 네이버에서 택갈이 하거나 OEM 한거 중국 알리 보면 가격 3분의 1 심하면 5분의 1수준으로 팜. ㅇㅇ 품질도 똑같고 단지 택 하나 차이인데 말이지 ㅋㅋㅋㅋ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뉴스에서 보지 못하는 시청자 입장에서 잘 대변해주시네요...이번 방송 좋았습니다..
@hanbyeongyeob
@hanbyeongyeob 3 ай бұрын
저는 테무에서 몇번 구입하고 죄다 쓰레기로 분리 수거했는데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구입해도 막상 상품 받아보면 조악하고 싼티가 나고 1회용으로 쓰기도 어렵습니다 호기심에 구입 해도 바로 손절 할 겁니다. 테무 주문 상품 받아보면 바로 다이소가 천하의 명품으로 보이게 됩니다. 다이소가 테무 알리 덕분에 명품이 되서 대박 날 겁니다
@rongyaowang1075
@rongyaowang1075 3 ай бұрын
뻔뻔한 악당의 마음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일부 한국인 한국 언론! 정말 광대! 나는 일부 한국인들이 사고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감사해요!
@rongyaowang1075
@rongyaowang1075 3 ай бұрын
뻔뻔한 악당의 마음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일부 한국인 한국 언론! 정말 광대! 나는 일부 한국인들이 사고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감사해요!
@crisylove
@crisylove 3 ай бұрын
이거 못막으면 한국은 동남아국가처럼 된다 ㅋㅋㅋ 쫭꿰들 수법이 일단 점유율 차지하고 장악 한다음 뒷통수 치는거
@vesim6420
@vesim6420 3 ай бұрын
윤재앙 쥴리천공
@baaraam1048
@baaraam1048 3 ай бұрын
유심히 보면 미국이 반도체 전쟁을 시작하면서 부터 중국의 공격적인 유통사업이 시작되었는데 중국의 의도적인 사업이라고 개인적으로는 봅니다.
@baaraam1048
@baaraam1048 3 ай бұрын
중국은 공산당 정부에서 자금을 무제한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정부와 개인 기업 간의 싸움임. 현실적으로 이기는 것이 불가능함. 그냥 정부 차원에서 차단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데 그렇게 하면 중국이 가만히 있지 않겠죠. 미중 경제 싸움에서 미국이 승리하기를 바라는 수밖에 현재로서는 방법이 없음.
@econandpower
@econandpower 3 ай бұрын
중국만 그런게 아니라 미국 한국 다 똑같음 쿠팡도 독점적 지위 이제 만들어가려고 하는데 알리 테무 끼어 들어온거지
@zoozeonja158
@zoozeonja158 3 ай бұрын
그건 어느 기업이나 마찬가지
@kiyongkim7651
@kiyongkim7651 3 ай бұрын
한국으로 정식수입을 하면 관부가세에 식기같은건 비용들여 안전인증까지 받아야함. 근데 직구로 싸게 사면 그 식기에 중금속이 검출되도 책임을 질 사람 아무도 없음. 정석대로 하는 정식수입자만 불리한 상황이지. 특히 식기나 애들 입에 들어갈수 있는건 조심해야함.
@user-ww1sk4gw5p
@user-ww1sk4gw5p 3 ай бұрын
알리 수입사 중 정식 수입 하는 곳이 얼마나 된다고요 ㅋㅋ 대부분 판다고 하고 대행수입사로 개인통관부호 요구합니다. 그런 업체가요?? ㅋㅋ
@kiyongkim7651
@kiyongkim7651 3 ай бұрын
애초에 알리 처음 가입시 통관부호를 입력해놓으면 그 후에는 따로 입력을 하지 않지요. 알리 익스프레스 자체가 이미 대행의 형태로 이루어진 플랫폼입니다. 스마트스토어나 쿠팡등에서도 개인통관부호 요구하는 판매자는 다 대행으로 보시면 될듯.
@user-oe3gn8jp9i
@user-oe3gn8jp9i 3 ай бұрын
그래서 절대입에들어가는건 사면안됨ㅋㅋㅋ
@yong--sa
@yong--sa 2 ай бұрын
인증 받아도 책임은 없고 솜방망이 처벌ㅠㅠ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보세요
@noda_atsusi8558
@noda_atsusi8558 2 ай бұрын
이거 쿠팡이라고 다르지 않은데? ㅋㅋㅋㅋㅋㅋㅋ 나만해도 쿠팡에 무슨 제품 있으면 같은 제품 알리와 테무 검색해보고 사는데. ㅋㅋ
@yeonhokim180
@yeonhokim180 3 ай бұрын
한국은 중국 직구 개방하고 한국물건은 중국에 들어가기 어렵게 만든 정부는 호구냐 . 한국에서 중국에 물건 보내 봐라 얼마나 어려운지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3 ай бұрын
기업들 떄문이지 ㅋㅋㅋㅋㅋㅋ. 일반인 쓰라고 그리 만든거 아님.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3 ай бұрын
중국이막으면무슨수로 뚫음 중국에 직접 싸울수있는 나라는 미국밖에엊ㅅ음
@ilac9244
@ilac9244 3 ай бұрын
ㅜㅐㅏ
@odoosung
@odoosung 3 ай бұрын
요즘 애들은 생각이란걸 못하나 흑자 포기하고 중국경제랑 맞붙어 보던가
@user-wy8dh3xv7f
@user-wy8dh3xv7f 3 ай бұрын
@@odoosung 요즘 우리나라 물건들 죄다 퇴출당하고 중국한테 흑자는 무슨 요즘 손해안보면 다행이다ㅅㅂ
@whale5493
@whale5493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요새 그냥 도매나 알리에서 상품페이지만 바꿔서 파는 분들이 워낙 많아서 이렇게 리뉴얼 한번 하는 것도 괜찮다고 봄. CS도 잘 안되고 검증해본 것도 아닌 물건을…
@jaepark6169
@jaepark6169 3 ай бұрын
❤국제간 모든 우편,소포 배달료 수입국,수령국에서 자국기준 부과❤모든 수입품에 관세(자유무역협정 미체결국가) 건당 1천원 이상 부과❤모든 통관물품에 품목별로 건당 1천원씩 통관 수수료 부과
@fisher100
@fisher100 3 ай бұрын
상세설명도 중국어 찍힌거 그대로 판매하는 업자도 수두룩 빽빽임 ㅋㅋㅋㅋ
@downhell9797
@downhell9797 3 ай бұрын
어딜가나 등판하는 되팔램들ㅋㅋ 머가리깨버리고싶노 ㅋㅋㅋ
@whale5493
@whale5493 3 ай бұрын
@@jjjjjjjjjjjjjjjjjjjjjjjjjjjjs2 배송도 중국에서 오고 KS마크 없이 파는 사람들은 그럼 다 신고 때리면 되나요?
@formyfaterland
@formyfaterland 3 ай бұрын
저작권따윈 내다버린 제품들도 참 많음. 전부 누군가의 직업이 날라가는것임.
@catiger_
@catiger_ 3 ай бұрын
ㅇㅈ 중국은 신고도 어렵다는데 안타까움
@user-wi9ys5bc1z
@user-wi9ys5bc1z 3 ай бұрын
ㅇㅈㅇㅈ
@user-rn9kz5rw5p
@user-rn9kz5rw5p 3 ай бұрын
테무최고입니다. 테무직원 아니고 국민의 힘 지지자 입니다. 국민의 힘 만세
@min_s128
@min_s128 3 ай бұрын
​@@user-rn9kz5rw5p누가봐도 DDDlist 하실것같은 분이시네요 😂😂😂😂😂😂😂😂😂😂
@hawni_zpt
@hawni_zpt 3 ай бұрын
타로카드 값싸게살수있음
@brilliant_leah
@brilliant_leah 3 ай бұрын
몇 년전에 알리에서 직구를 몇 번 해봤는데 물건의 품질차이가 너무 커서 결국 버리게 되는게 많더라구요. 상세페이지 설명도 부실하고, 진짜라고 파는데 진짜가 맞는지 믿기도 어렵고.. (중국 브랜드 제품이라고 해도 못 믿겠다 싶을 정도니..) 결국 점점 구매 안 하게 되서 직구 안 한지 몇 년 됐네요. 저처럼 품질이 나빠서 구매 안 하게 되는 분들도 생기지 않을까 싶어요. 그나마 비교하자면 다이소 정도인것 같은데.. 다이소는 그래도 가성비 괜찮다! 라면 알리는.. 그리고 쇼핑을 온라인으로 하다 보니 버리게 되는 것도 많아졌는데, 버리는 것도 일이라 돈을 좀 더 주고라도 좀더 오래, 잘 쓸수 있는 상품을 사게 되더라구요.
@youseha562
@youseha562 3 ай бұрын
알리에서 2000원 하는거 동일한 제품 쿠팡오니 8000~9000원 하던대 50%정상이어도 이득인 상황이죠. 전자제품이야 인증도 필요하고 A/S도 가능해야하니 비싸지는게 이해가지만 단순한 프라스틱 덩어리를 그냥 가져와서 폭리를 취하던 한국업체는 없어지는게 낫죠.
@jhypark3712
@jhypark3712 3 ай бұрын
중국 브랜드 제품 원래 못 믿지 않나요? ㅡㅡ;;
@user-xq5et2di1d
@user-xq5et2di1d 3 ай бұрын
​@@youseha562이게맞지.
@johnkim760
@johnkim760 3 ай бұрын
어차피 우리나라에서 사는거랑 같은 제품인데 뭘 ㅋㅋ
@user-xl7nr6vv7t
@user-xl7nr6vv7t 3 ай бұрын
ㅋㅋㅋ 님들아 중국 그제품 떼와서 한국에서 브랜드 바꿔서 그대로 파는 제품이 수두룩해요 약품이나 샴푸등등 음식물 제외하면 개혜자에여
@user-lc2yg3rb5c
@user-lc2yg3rb5c 3 ай бұрын
입법 정책 연구도 없고, 정부나 국회가 놀고 있는거지 ...
@user-bp5gp5kl9y
@user-bp5gp5kl9y 3 ай бұрын
​@@frankjung1993여당은 김건희 방탄이지 뭔 부동산이야ㅋㅋ 정책 하나 생각 하고 내는게없는데
@user-xs8yg3mp6j
@user-xs8yg3mp6j 2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pnschoi
@pnschoi 3 ай бұрын
미국인 마동석이 광고하는 알리나 억만장자처럼이라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테무나 ... 아예 가입하지 않았다.
@raintree9872
@raintree9872 3 ай бұрын
중국산 무관세 당장 폐지해야 합니다. 이건 국내 유통 질서를 교란하고 파괴하는 중국의 노략질입니다.
@user-oy7ox9rx1x
@user-oy7ox9rx1x 3 ай бұрын
그럼 중국도 한국산에대해 무관세적용하면 과연 누가 손해일까? 무뇌야
@bluesky3844
@bluesky3844 3 ай бұрын
서민소비자는 싸게 살 권리가 있어요. 국내 판매하는 사업장에서 중국산 물품을 수입해와서 시장,매장, 백화점. 그리고 온라인까지 적게는 3~4배 많게는 10~15배까지 소비자속여서 파니까 문제인겁니다. 아무리 세금내고 장사한다지만 그래서 저는 메이드 인 코리아 적힌것만 살려고 노력해요. 천냥 백화점에도 한국제품 요즘 무지 많더라구요. 가격도 중국산과 차이도 별루없구요.
@user-hw5rt6nl2s
@user-hw5rt6nl2s 3 ай бұрын
중국산 무관세 전부 국민들 세금임~! 당장 폐지해야함~!
@weightmax4691
@weightmax4691 3 ай бұрын
소비자들만 죽겠네요 그럼 ㅋㅋ
@forzam3447
@forzam3447 3 ай бұрын
@@user-kc5qo3uk7b 네이버, 쿠팡 플랫폼 입점인데 인건비가 들어갈게 뭐 있냐? ㅋㅋ 그리고 온라인 수수료 20배가 20%다 말장난하지마라. 수입업체들 중국산 택갈이해서 이익 엄청 남겨서 외자체 끌고 다니는 애들 부지기수다. 이건 뭔 단통법 만들자는 소리랑 똑같은거지ㅋㅋ
@user-yx3jw7ew1m
@user-yx3jw7ew1m 3 ай бұрын
나는 네이버(자주) 알리(가끔) 둘 다 쓰는데 알리는 써보니까 가격이 싼대신 물건 질이 복불복이고(어떤건 심지어 아예 망가져서 옴), 배송기간 오래걸리고, 고객센터가 무슨 Ai보다도 말귀를 못알아듣고 그런 장단점이 있고, 네이버쿠팡은 좀 더 비싼대신 하루이틀만에 오고, 고객센터 잘되고, 물건도 어느정도 검증된게 오고 맘에 안들면 반품하면 되고. 내가 걱정 되는건 지금이야 싼맛에 좋다고 다들 쓰지만 나중에 네이버/쿠팡이 밀리거나 사라지고 알리/테무 두 개의 거대 중국 기업이 한국 온라인 시장을 장악하게 되면 그때도 과연 지금처럼 이렇게 싸게 팔까? 오히려 싸게 팔아서 손해봤던 부분들을 메꾸려고 지금의 네이버 쿠팡보다 더 비싸게 돼 버릴까봐 걱정됨..
@ojh0420
@ojh0420 3 ай бұрын
그렇게 될거임
@forzam3447
@forzam3447 3 ай бұрын
알리서 사야하는건. 한국에서 택갈이 하여 많이 팔려 검증 완료된 제품 사야됨. 네이버, 쿠팡 보면 제조사, 수입번호 있는데 이거 가지고 중국 어떤 기업에서 수입했는지 알면, 그 기업명 + 배터리, 이어폰 등 제품명 치면됨. 그럼 한국서 택갈이한 제품 적으면 20, 많으면 40프로 싸게 살 수 있음.
@user-qx2zx8nh1d
@user-qx2zx8nh1d 3 ай бұрын
옛날 쿠팡에 비해 현재 쿠팡도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면서 가격도 상당히 많이 높아져 있음. 이번 기회에 미국기업 쿠팡도 혼쭐 한번 나봐야함!!
@soondori3364
@soondori3364 3 ай бұрын
그러면서 알리에서 쇼핑하는 글쓴이
@yhy7861
@yhy7861 3 ай бұрын
@@forzam3447이게 나름 현명한 소비죠 안그래도 알리나 테무같은곳에서 택갈이해서파는 사업자들 엄청많앗는데 다 타격이커서 넘모좋네요 택갈이해서파는건 너무 양심없다고봐요
@user-rk6hs5tr7c
@user-rk6hs5tr7c 3 ай бұрын
중국제품 싸서 몇번 주문해봤는데 30% 정도는 한두번 사용 후 고장, 나머지도 짧은 수명 또는 매끄럽지 못한 작동, 광고와 너무 다른 성능으로 사용을 못함. 이제는 절대 구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AvengerC
@AvengerC 3 ай бұрын
테무는 전자기기, 기계등을 사면 안되는거 같음... 저는 옷이랑.. 핸드폰 케이스 사봤는데. 그럭저럭 만족 했어요
@Killer-cho
@Killer-cho 3 ай бұрын
저도 호기심에 이게 진짜 된다고? 시켰는데 이제 안시킬라구여.. 시킬때마다 우리나라가 배송비도 부담한다하고 여러모로 안좋음
@AvengerC
@AvengerC 3 ай бұрын
@@Killer-cho 영상에 배송비 관련내용 보셨어요?
@s23song
@s23song 3 ай бұрын
지구에 쓰레기를 얼마나 더 추가해야할까..
@godgimchiC
@godgimchiC 3 ай бұрын
근데 고장나면 부분환불 다 해주는데 그리고 만원이상으로 사면 어느정도 값어치는함 그만큼 님이 개싸구리물건을 샀다는말임 ㅎㅎ
@nam2331
@nam2331 3 ай бұрын
물건 오래걸리는건 이해하지만 주문 상품이 아닌 다른 상품보내면서 교묘하게 시간 끄는 업체가 종종 있어서, 지금도 분쟁중인 물건이 두세가지 있어서 알리를 이제 '꼭 써야 할까?' 생각 중입니다.
@csk8082
@csk8082 3 ай бұрын
진짜 네이버쇼핑에서 판매하는 물건중 80퍼 이상은 중국산이고 다 테무에 있음 천원/이천원짜리 네이버 쇼핑에 올려놓고 만원이상받는 업체때문에 빡쳐서라도 테무부터 확인한다
@sinabro0357
@sinabro0357 3 ай бұрын
그래요? 네이버에서 거의 시키는데 이것들이
@jainlee8896
@jainlee8896 3 ай бұрын
중국으로 가세요..그렇게 중국산 좋으면
@user-dr6th4lh4k
@user-dr6th4lh4k 3 ай бұрын
@@jainlee8896 님 쓰는 물건 다 중국산이에요
@korea9811
@korea9811 3 ай бұрын
@@jainlee8896아니 지금 중국산이 좋다고하는게 아니잖아;; 경계성 지능장애인가
@pedric09
@pedric09 3 ай бұрын
그렇긴한데 또 잘 찾아보면 네이버쇼핑이나 중국 테무나 가격 비슷한것도 많더라구요. 그리고 가전제품이나 고가제품은 절대 테무에서 사는거 비추합니다. 사기치는 제품들도 엄청 많고 배송도 그냥 비닐에만 넣어서 발송하는 경우가 많기 땜에 물건이 망가져서 올 확률이 매우 높아요.
@ping3454
@ping3454 3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쿠팡에서 물건파는인간들이 거의중국산 가져다가 파는거라서 그게문제지 가격도 어떤건 거의 삼십배장사하는놈들도 있더라고 그러니 그걸 누가사 다 알리서 사지
@thrtleship
@thrtleship 3 ай бұрын
이거 중국인 단골맨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존내 밀고있음 이러니까 알리 써야된다 이 디 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wleyez
@owleyez 3 ай бұрын
맞아요. 국내유통 제품들 대부분 중국산입니다. 자체제작은 삼성, 엘지 정도나 하죠.
@hteacher4086
@hteacher4086 3 ай бұрын
30배 장사가 가능한가 ? 3배도 요즘 보기 힘들더만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3 ай бұрын
다이소도 거의 중국산 🤣
@cafe99days
@cafe99days 3 ай бұрын
​@@thrtleship 알리 안써봤나보네요. 한국에서 파는거 몇개 알리에서 구매했네요.
@yiitllill6804
@yiitllill6804 3 ай бұрын
나라 경제 입장에서도 심각한게 중국 쇼핑 서비스를 이용해서 중국은 이익을 취할수 있는데, 중국 소비자가 네이버나 이마트 같은 한국 판매자의 쇼핑서비스로 인터넷 접속 차단되어 있어서 우리는 팔아서 이윤을 남길 수 있는 기회조차 없는게 큰 문제입니다. 이미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 구매시장이 커진 상태인데 앞으로는 점점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birth10n18
@birth10n18 3 ай бұрын
그건 의미 없어요. 그게 의미있어지려면 중국의 실질 1인당 소득이 한국을 앞질러야합니다. 알리, 테무 등이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면서 자리잡은건 중국이니까 가능한 "초저가"공급입니다. 막말로, 네이버나 쿠팡등등 국내 쇼핑몰 보면 알리에서 싼거 하나 물어다 대단한것마냥 택갈이해서 몇천원에 사온거 몇만원에 파는 업자들 적잖이 있는 상황입니다. 모든건 현재 중국이니까 가능한 가격경쟁력때문입니다. 이걸 어떤 방식으로든 막아버리면 문제가, 소비자의 수입은 그대로인데, 지출이 늘어나요. 싼 걸 더 비싸게 주고 사게 만드는 정책이 되고, 그 차액은 정부가 먹겠다가 되는거라서요. 근로자 지갑에 들어오는 돈은 막았으면서 나가는 돈은 정부에서 숟가락 더 얹겠다고 하는 상황이 되버리죠.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3 ай бұрын
주식을 때려치울거면 모르겠지만 주식 계속할거면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반드시 보셔야할거에요 (짧아서보는데 무리없음) 주식으로 10만원을 30억을로 만든 은둔고수로만 추정하고있습니다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LxhLxh-so9dx
@LxhLxh-so9dx 3 ай бұрын
韩国有什么好的产品值得我付钱呢?😂
@heroa9075
@heroa9075 3 ай бұрын
알리는 점점 쇠퇴해 갈거임. 상품 누락시 증명 방법이 없는데 증거를 대라고 함. 아주 그냥 기가 참.
@user-nq9oc4iu3j
@user-nq9oc4iu3j 3 ай бұрын
타오바오는 그런거 없던데
@user-he3py2lh4y
@user-he3py2lh4y 3 ай бұрын
쓰레기 처리에 점점더 많은 금액이 쓰이는데.. 쓰레기를 돈주고 우리나라에 수입하는거 같은데요 결국 소비자는 싼가격보다 파기하거나 버리게된 물건에 배신감을 가지고 가는거니 시간이 지나면 초저가도 경쟁력을 오래 유지하지는 못할듯
@satellite4968
@satellite4968 3 ай бұрын
맞음 쓰레기 우리나라에 갖다버리는거임 ㄹㅇ 공감
@horang-horang
@horang-horang 3 ай бұрын
알리 옛날부터 썼는데 요즘 사람들 유입 많이 되니까 가격이 전보다 1.5배 올랐어요 점유율 더 높아지면 가격 올리는 건 기정사실이라고 봐요 이 싼가격을 원하면 의식적으로라도 한국기업을 조금씩 이용해줘서 버티게 해줘야한다고 봅니다
@jaeheekim5887
@jaeheekim5887 3 ай бұрын
알리 쓰지마라.. 너거조상ㅇ서방이냐??
@horang-horang
@horang-horang 3 ай бұрын
@@jaeheekim5887 애초에 11번가나 쿠팡 같은 한국 인터넷 판매점에서 파는 물건 대다수가 중국 알리에서 팔고 있는 제품을 라벨링하거나 그대로 가져와서 폭리를 취하는 상황이 많습니다. 한국 상인이 도매로 들여오나 알리에서 직구하거나 오히려 중국에 들어가는 돈은 더 적거나 비슷할겁니다. 오히려 창고적재로 인한 매몰비용, 관리비용 측면에서 이득이지요.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그러다보면 한국인터넷판매업이 죽어 알리의 독과점이 생기면 자연스럽게 소매가를 올릴 가능성이 있기에 의도적으로 조금씩은 사주자는 얘기였던겁니다. 이 경제흐름을 이해하신다면 이런 무지한 말씀은 더이상 안하실거라 믿습니다.
@thrtleship
@thrtleship 3 ай бұрын
​@@jaeheekim5887 ㄴㄴ 쓰고싶은사람은 쓰라고하셈 CCTV같은거 사서 가정 전 세계 LIVE 쇼 시작 😂😂😂😂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3 ай бұрын
주식을 때려치울거면 모르겠지만 주식 계속할거면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반드시 보셔야할거에요 (짧아서보는데 무리없음) 주식으로 10만원을 30억을로 만든 은둔고수로만 추정하고있습니다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user-ec4yc6rp6p
@user-ec4yc6rp6p Ай бұрын
​@@jaeheekim5887님 덕분에 국내 유통사들이 코리아 프리미엄 가격 대놓고 붙여서 내수용이 수출용보다 비싸게 팔리는 이유가 싫을 정도로 이해되네요. 쓰기 싫으면 님이나 쓰지 마세요.
@user-zo6do7dh8z
@user-zo6do7dh8z 3 ай бұрын
직 구 문제 많음..더웃기건 전자제품 한국서는 인증을 받아야되지만 해외에서는 그런거 없음
@user-ho6tb6oj8u
@user-ho6tb6oj8u 3 ай бұрын
중국산은 사람이든 물건이든 쓰는게 아니다
@Sanae-daejangbu
@Sanae-daejangbu 3 ай бұрын
느그집 물건 80프로는 중국산일껄 ㅋㅋㅋㅋㅋㅋㅋ
@user-ip4vp6ud1s
@user-ip4vp6ud1s 2 ай бұрын
이러면서 밖에서 밥쳐묵을땐 중국산김치는 줫나 쳐먹겠지 ㅋㅋ
@user-ho6tb6oj8u
@user-ho6tb6oj8u 2 ай бұрын
@@user-ip4vp6ud1s 밖에 나가서 김치 안먹는다 이놈아
@user-zv5hx8kz9w
@user-zv5hx8kz9w Ай бұрын
위에 댓글들 메이드 인 차이나 중국산 김치는 어쩔 수 없음 중국 앱을 쓰지 말아야 함
@young406
@young406 3 ай бұрын
산업스파이질, 보이스피싱, 국가정보기관 해킹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는 중국을 믿기엔 많이 불편해.. 지구환경문제도 심각한데 덜 쓰고 덜 소비하면 환경에도 좋은 일 하는 거임
@user-dg7ip2ve3w
@user-dg7ip2ve3w 2 ай бұрын
국민이 알아서 중국산 불매운동 해야함 테무 알리 쳐다본적도 없음
@user-my6ds5mi8z
@user-my6ds5mi8z 3 ай бұрын
3분의2 만 정상이여도 구매 성공이라는 말은 3분의1은 결국 쓰레기를 만들어내는 기업이라고 봐야하지않나란 생각도 해봅니다. 환경적인 측면에선 불량및 폐기율이 많은 기업은 문제가 있는 기업이 아닐지... 생각해 봅니다 .
@rlarjsdn_kgw
@rlarjsdn_kgw 3 ай бұрын
그냥 저 기업에서 불량품을 안거르는거죠 생산쪽 문제를 유통에 책임을 묻는 건데 원래 걸려서 폐기 되어야 할걸 소비자가 폐기하게 하는거라 환경적 측면에서는 그렇게 보기는 힘들거 같기는 합니다.
@cuihao777
@cuihao777 3 ай бұрын
너무 어의없이 낮은 가격과 거의 구매량이 없는 물건이 아니라면 실패하기 힘들다고 봅니다.
@user-holloworld
@user-holloworld 3 ай бұрын
가격이 2분의1수준이라서 3분의1정도의 위험은 감수할만하던데요?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3 ай бұрын
지구환경에 큰 해악 탄소제로 한다더니 왜 중공 쓰레기대량생산은 제재하지않는지
@Koiqi98171
@Koiqi98171 3 ай бұрын
@@cuihao777어의가 없으면 어의를 새로 뽑으시지요 즈언하
@jaggogji
@jaggogji 3 ай бұрын
또 법 우리사람, 우리기업만 손해보는 구조로 만들려고 했나보네 ㅋㅋㅋ
@user-ov2eo6yv2i
@user-ov2eo6yv2i 3 ай бұрын
중국출장 많이 다닌 패션쪽 하던 사람입니다. 중국 출장 15년넘게 다녔습니다. 가면서 의류시장도 간적많았는데 , 아주 경악합니다. 아주 저렴한 옷들의 경우 원단들 찌거기를 합성해서 만든 옷들이 많습니다. 입으면 발진나는.. 그리고 엄청 더럽... 의류시장가면 바퀴 쥐들다닙니다. 매장에 먹다가 바닥에 그냥 버립니다. 위생이 전혀 안지켜지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없구요 천장 에어컨에서 물떨어져서 얼마나 찝찝하던지 ... 쥐들이 엄청커서..벽을 타고..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그후로 초저가 메이드인차이나는 절대 안삽니다.. 테무 알리에서 파는것들 초초저가는 대부분 그렇다고 보심 될것같습니다. 중금속 범벅인것들 등등 싸다고 마구사는것 너무 안타깝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가입하는 순간부터 이미 내정보를 어찌할지.. 불보듯뻔한데... 절대 가입안합니다. 너무 싸니까 속는셈치고 아니면 버리지라는 마음으로 구매하시는 분들 많으신것같은데요 환경오염이 너무 됩니다. 결국 그들이 과잉생산한 것들 다 사주고 몇번쓰다 버려지는 쓰레기가 되고, 생산하느라 더러워진 공기 우리가 다 마십니다....해외나 우리기업들 중국탈출해서 인도나 다른나라들로 다 서서히 빠지고 중국에서 생산많이 해서 남아있는것들 중국 경제가 안좋아지면서 내수에서 처리안되면 가격 땡가격이 될거고 그런것들 좋다고 우리한테 넘어와서 우리가 열심히 저렇게 사고, 우리가 공들여서 만든것들은 메이드인 코리아로 해외로 가는 슬픈 현상이 생기네요 .. 도대체 이게 무슨일인지요...씁쓸합니다.
@nathan373
@nathan373 3 ай бұрын
사람들은 오히려 이런 불편한 진실을 알고 싶지 않을거 같은데 어차피 테무든 알리든 돈아끼려고 일부러 싼거찾아 사서 쓰는건데요 . 그들에겐 돈 이나 가성비? 가 최고 우선사항이니 뭐 그런 건강이나 안정성 등등 이런거 신경 안쓰죠 . 알리 테무 에서 사서 쓰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 제품 질 성능 이런거 꼼꼼히 찾아보고 사서 쓰는 사람도 있고 뭐 그렇죠 .
@tsalvengi-jangpersimmon64
@tsalvengi-jangpersimmon64 3 ай бұрын
진짜 의류섬유쪽 사람 맞아요? 의류업은 그 자체가 수요에 따른 생산이 아니고, 수요를 일으키려고 생산을 하는 과잉생산 산업입니다. 어디서 만들던 버려지는 옷은 엄청난 양이 나오고, 면화경작시 사용되는 경작지, 수자원, 비료와 살충제, 염색공정에 사용되는 수자원과 화학약품들, 재단 후 버려지는 난단들(마카 형입시 효율이 70%만 나와도 엄청 잘 들어간거고, 보통 옷을 만들때 원단의 1/3은 사용 못 하고 그냥 버려지죠)은 그게 한국이든, 중국이든, 베트남이나 요르단, 과테말라, 니카라과를 가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쥐나 바퀴벌레는 베트남에도 있고 방글라데시는 입국하는 순간부터 지옥도가 펼쳐집니다. 굳이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고요. 님이 얘기한 환경오염 줄이려면 중국산 옷이 문제가 아니고, 아예 그냥 옷 소비자체를 줄여야하고요. 그러면 님 뿐만 아니라 이 산업에 종사하고 관련된 사람들의 직업이 사라지는거에요. 버려진 원부자재를 짜깁기해서 옷을 만든다고요? 아무리 중국 인건비가 싸도 미얀마가면 더 싸고요. 베트남에서도 원단은 A바이어 용으로 들어와서 생산후 남은 원단을 팔아버리면, 그 원단에 b바이어용 프린트 찍어서 사이공마트로 흘러가는거 많아요. 우리나라도 체계화 되기 전에는 쥐가 돌아다니는 가내수공업식 공장에서 옷을 만들었었는데, 그게 요즘 왜 안 되냐면 요즘엔 그렇게 원단짜깁기하고 버려지는 폐기물을 재활용해서 만드는 과정이 더 비싸서 그래요. 정확히 말하자면 우리나라에선 그냥 옷을 만드는 것 자체가 비싸서 안 만들고 못 만들어요. 의류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라 인건비가 높은 나라에선 못 만들거든요. 그래서 요즘 옷은 전부 남미, 서인도제도, 동남아에서 만들어지고, 거기도 비싸지면 아프리카에서 만들어야죠. 현대적 생산공정에는 표준화된 방식으로 대량생산하는게 제일 싸게 생산하는 방법입니다. 안 그래도 의류는 메인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아서 다른 디자인의 옷을 생산하려면 라인을 전부 갈아엎어야 하는데, 어느 공장에서 텍팩도 제대로 없는 옷 50벌 만들어주겠다고 라인을 갈아엎나요?
@lightl1318
@lightl1318 3 ай бұрын
그렇잖아도 알리나 테무같은 중국기업들 신뢰가 안 가서 아예 가입조차 하지 않았는데요. 이런 댓글 보니 반갑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하네요.ㅠㅠ 앞으로도 중국 기업 사이트는 절대 안 써야 겠어요.
@TV-xy3kd
@TV-xy3kd 3 ай бұрын
릴​@@user-rz2zw4gr4c
@user-xg3ei3en7q
@user-xg3ei3en7q 3 ай бұрын
오~~정답입니다👍👍👍😈​@@lightl1318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3 ай бұрын
마동석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면서 알리 이미지가 좋아졌구나... 나는 오히려 반대로 차이나 머니에 굴복한 마동석과 잔머리 굴리는 알리에 대한 이미지가 둘 다 추락했는데...
@gogub
@gogub 3 ай бұрын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David-yn5ed
@David-yn5ed 3 ай бұрын
관세만 말씀하시는데 부가세와 소득세는 어쩌구요 ? 국내 수입업자 들은 인증 비용 관세 외로도 나라에 꼬박 꼬박 부가세 신고 납부하고 소득세도 납부하는데 중국 직구업체가 그런거 한푼이라도 낸답니까 ? 즉 저거 커지면 국부가 유출된다고 봅니다. 거기다 국내 도소매업 시장은 초토화 되고 관련된 수많은 자영업자들이 파산할 껍니다. 쿠팡 및 다른 오픈 마켓들도 매물로 나오겠네요.. 나중에 국내 도소매 시장이 다 중국으로 넘어가면 가격도 올려버리고 나중에 결재 시스템도 위안화랑 알리페이만 쓰라고 하겠습니다.
@audiojang768
@audiojang768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co9qx8ny7h
@user-co9qx8ny7h 3 ай бұрын
알리 오늘 지웠어요~ 가끔 썼는데 가격만큼 품질 거지같아서~같은 중국산이라도 돈 좀 더주고 국내판매자가 파는게 품질이 낫더라구요~
@scko933
@scko933 3 ай бұрын
테무와 알리에 회원가입 자료가 나중에 어찌 쓰일지 몰라 불안해 안사용합니다ㆍ
@bluesky3844
@bluesky3844 3 ай бұрын
중산층이상은 안쓰는게 맞아요. 서민들이나 계좌에 돈없으면 털려도 손해안보는 분들은 이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님말따나 알리같은 중국에서 들어오는 직구는 정보빼서 넘기는거 맞음. 저도 작년에 해외직구로 건강제품을 주문했더니 보이스피싱 국제전화가 3번 왔음. 그래서 건강식품 해외직구는 안함. 거기에 쓴 특정카드도 폐기하고 안씀. 해지함.
@nlee4759
@nlee4759 3 ай бұрын
그니까요. 별 필요도 없는 온갖 잡다한 싸구려 사들이느라 내 개인정보를 중공에게 넘긴다니... 정말 생각없이 사는 인간들 많음.
@yjch2445
@yjch2445 3 ай бұрын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으나 예전에 틱톡에 가입하면 돈준다고 해서 가입한 MZ들 개인정보 넘어가는지 모르고...세상에 공짜란 없는데
@key3910
@key3910 3 ай бұрын
중국싸이트 사기꾼 정말많음~ 말도 안되는물건들 보내고 돈받고~🤬🤬🤬🤬🤬
@rule1518
@rule1518 3 ай бұрын
알리쓰다가 계좌 털린이후로 손절쳤습니다 계좌 ㅈ되고싶으면 이용하세요
@id_z0
@id_z0 3 ай бұрын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쓰면 안털림
@kdh8609
@kdh8609 3 ай бұрын
테무는 거의사기급이던데 시스템도 탈퇴완전힘들게 되있음
@user-kr6fn4jw6s
@user-kr6fn4jw6s 3 ай бұрын
알리, 테무 싼 건 좋은데, 너무 싼 건 불량품이 너무 많음. 무료 반품이 안되는 제품은 구입 안하는 게 좋음.
@UKGRADE
@UKGRADE 3 ай бұрын
영상 유익하네요 구독합니다.!
@user-fr6es4tj9o
@user-fr6es4tj9o 3 ай бұрын
국내 유통기업이 무너지면 과연 새로운 시장 지배자가 된 알리나 테무 등이 그때도 여전히 한국인들에게 저가 판매를 계속할까? 중국과의 무역으로 한국이 덕보는 것도 없는 입장에서 한국이 왜 중국 눈치를 보면서 국내 기업 보호를 위한 규제를 못 하는가?
@gaon1405
@gaon1405 3 ай бұрын
이미 쿠팡이 계속 잠식해서 조만간 업계 1위 될텐데 그 쿠팡이 한국 기업임? ㅋㅋㅋ 이미 일본 기업 쿠팡한테 먹히고 있잖슴. 그리고 원래 수십년간 우리나라가 중국 상대로 압도적 흑자 국가였음. 이번에 굥총독이 주둥아리 잘 놀려서 중국 상대로 적자된 것일 뿐임. 우리나라가 이 상황에서 중국에 규제??? 중국에서 수입 못하면 바로 우리나라 물가 2배 폭등하고 굥총독 정의봉으로 때려죽여도 합법 되는거임. ㅋㅋㅋ
@user-do1kk4bw6g
@user-do1kk4bw6g 3 ай бұрын
이새기 직구 뜻 모르나
@truecolors2373
@truecolors2373 3 ай бұрын
제조업이 무너진 사회는 끝난 사회임. 영국이 끝난 이유, 가난하게 된 이유임. 영국산은 세계시장에서 눈을씻고 찾아봐도 없음 전멸임.
@user-ec4yc6rp6p
@user-ec4yc6rp6p Ай бұрын
누가 보면 미국기업인 쿠팡은 싸게 팔아온 줄 알겠어요.
@Killer-cho
@Killer-cho 3 ай бұрын
호기심에 한두번 사겠지만 지속적으로 사지는 않을듯. 보면 다 거기서 거기고 몇개 구매하면 정작 살수 있는 소재가 한정적임
@user-of8rg6yh4q
@user-of8rg6yh4q 3 ай бұрын
저는 테무는 설치하지 않았고. 알리는 딱 한 건 주문 후 삭제했습니다. 저놈들에게 회원가입한게 나중에 어떻게 앜용될지 생각할 수록 불안해 집니다.
@polabears-oo9ny
@polabears-oo9ny 3 ай бұрын
국내 통신사들도 고객정보 팔아먹은게 언젠데..ㅋㅋ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당한사람이 있는지 궁굼...
@user-oo8yx4bv5m
@user-oo8yx4bv5m 3 ай бұрын
주제도 재밌고, 시청자 반응도 재밌고, 무엇보다 빡!종원님 말씀 너무 재밌고~~
@user-gk7dt5td6x
@user-gk7dt5td6x 3 ай бұрын
기자님 취재제대로 하셔서 방송하세요. 알리에서 주문하면 대형소포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비자한테 배송은 우체국에서 하고잇습니다
@L5v2-amigo
@L5v2-amigo 3 ай бұрын
알리 테무 써보면 알꺼임 다이소 보다 쓰레기 라는거
@user-ik6ge9yt9b
@user-ik6ge9yt9b 3 ай бұрын
ㅎㅎ 아니던데요. 쿠팡,네이버 동일제품이에요. 한달도 안돼 테무에 몇십만원 썼어요. 쿠팡에 최소 1,2백 한달에 썼는데 이젠 2,3십만원 쓸려나 그래요.
@thrtleship
@thrtleship 3 ай бұрын
ㅋㅋ 중국들 말도안되는 냄새나는 반박 엄청 하겠네
@minhohan9457
@minhohan9457 3 ай бұрын
니가 이상한것만 골라서 그래
@bluesky3844
@bluesky3844 3 ай бұрын
다이소에서 사는게 편해요. 가격차이도 별루없구 알리나 테무는 배송이 2주일 걸려요. 그리고 파손되어 오는게 많음. 정신건강에 그냥 다이소가 편하긴함.
@user-xe1ip6or7z
@user-xe1ip6or7z 3 ай бұрын
나도 그런줄 알아서 보지도 않았는데 지금 쿠팡에서 파는거 다 싸게 알리에서 팜.
@mindbridge00
@mindbridge00 3 ай бұрын
12:38 이부분이 영상의 핵심이네요 소비자들에게는 경쟁을 통해 저렴해져서 좋은부분 하지만 국가의 세금이 들어가는것은 안된다!
@chan2gim
@chan2gim 3 ай бұрын
최근에는 우체국 국제소포가 아닌 대한통운이나 한진같은 민간 택배로 오고있고 우체국이 주로배송해오던시절은 물량자체가 많지 않고 UPU협약상 3등급 2등급인 중국과 우리나라는 비용부담이 그렇게 크지 않다네요 그리고 무관세 부분은 소비자 권익차원에서 주는 부분인데 이런 직구제품 재판매하는 사람들을 때려잡아야 하는 부분이죠
@molyholy9432
@molyholy9432 3 ай бұрын
저작권도 개똥으로 아는 나라이고.. 싸고 좋은건 없다는 말이 있는데 막말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에 독성,방사능 넘쳐나서 우리 몸에 무슨 영향을 끼칠지 어떻게 알고 좋다고 쓰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됨.. 이건 지능의 문제가 아닌가 싶음.. 인증,검증,테스트도 안된 아무리 생각해도 원가도 안나오는 금액들.. 조금만 비판적으로 생각해보면 답나오는걸 나는 아니겠지 나는 괜찼겠지 이런 마인드로 내 몸과 내 가족의 건강을 배팅하는 짓임
@KevinKim122
@KevinKim122 2 ай бұрын
그 방사능 독성 있을지도 모르는 “똑같은 제품”을 이나라 유통망 이용하면 몇배 더 내고 사는거라니까?? 어차피 같은거면 싸게 사는게 맞지 않냐???
@user-ny1zk7xm4i
@user-ny1zk7xm4i 3 ай бұрын
근데,, 여전히 알리랑 테무는 가격도가격인데 시간이 ㅈㄴ 오래걸려서 안씀..
@bluesky3844
@bluesky3844 3 ай бұрын
개인정보 빠져나가는거 확실. 보이스피싱 국제전화 오는거 저기에서 개인정보빼감.
@KimMouse
@KimMouse 3 ай бұрын
3년쓰는데 한번도 안옴 오히려 선거전화가 더 많이옴
@electric_cat.
@electric_cat. 3 ай бұрын
​@@bluesky3844국내 바이럴임 믿거
@sony7sony7
@sony7sony7 3 ай бұрын
일주일안에 배송오구만...
@johnkim760
@johnkim760 3 ай бұрын
5일배송인데
@user-zc9uk3mc5b
@user-zc9uk3mc5b 3 ай бұрын
알리 커지는거 경계해야한다
@newlovewaver
@newlovewaver 3 ай бұрын
새로운 시각과 지식 덕분에 지각(知覺)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tonnny7908
@tonnny7908 3 ай бұрын
이런말듣고 트럼프지지하면않됨. 바이든이 되고나서 지금 중국이 계속나락으로가고있음. 중국이 마지막희망이 트럼프덩선. 동맹와해시키고할것임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여기 댓글 거의 봤는데 한번 이용한 사람들은 품질에 실망하고 욕들 많이 하고. 이용 안해본사람도 다 부정적이고..그 수가 대충 2/3 정도 되네요.. 반면 이용해 본사람들은 여기 저기 비교해보고 만족 스럽게 구매하는 사람도 있네요. 저도 가끔 이용하지만 한국도 검색해서 쿠팡이 더 쌀때도 있어서 거기서 구매합니다. 쿠팡이 더 싼건 알리익스가 아니라 알리바바로 도매 구입하기에 더 싼겁니다. 알리익스가 알리바바보다 평균적으로 2배이상 비싼거죠..그래서 수입업자가 알리바바에서 떼어오면 마진 붙여도 알리보다 싸게 파는거죠.. 여러모로 한국 시장은 중국손에 넘어갈 날이 오겠죠.. 그러나 소비자 아니 국민은 스스로 깨달아야 고쳐지는거지 말로는 안되는겁니다. 그때는 늦어버리겠지만. 우리는 다른 길을 찾아야 할껍니다.
@newlovewaver
@newlovewaver 3 ай бұрын
@@Oizman 그런가요? 한국이 지지 않아야겠네요. 길게 적어주셨네요.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user-qe5yd6pb3u
@user-qe5yd6pb3u 3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STORMFIRE-rb2vu
@STORMFIRE-rb2vu 2 ай бұрын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최저가 공급망 통한 국내 유통시장 장악으로 국내 내수경제 파탄에 이은 공멸을 범정부 차원에서 막아야 합니다. 중국 공산당의 근본적 야욕이 바로 대한민국 내수경제 붕괴니다
@dotkabi
@dotkabi 3 ай бұрын
싸다고 이것저것 주워담고 세일기간에 카드할인 이것저것 붙여봤지만 나중에 보니 다이소가 가격이나 퀄리티가 훨씬 좋은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말 많이 해봐야 소용없고 직접 경험해봐야 아는 일이겠지요. 경험을 사는 비용이 많지 않으니 큰 걱정은 안합니다. 한국 소비자들 합리적이고 계산적이고 똑똑합니다. 영상 마무리처럼 지금은 유통시장에 경쟁이 계속 발생하는 것이 나쁘진 않다 정도로 생각하고 지켜볼 일 같습니다.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3 ай бұрын
중국 전기차에도 보조금 최대로 주는데 뭘... 버스보면 죄다 중국산임
@user-ec6to2dv1f
@user-ec6to2dv1f 3 ай бұрын
국내 전기차 사라고 보조금 더 준다고 합니다 다만 버스회사들이 돈이 많이 없어서 보조금 더 주는 국내 전기차보다 저렴한 중국 전기차를 산다고 해요
@wia7879
@wia7879 3 ай бұрын
근데 국내업체에서 물건을 찾을려고 해도 안나오는경우가 허다해요. 멀티캠 웨빙스트랩을 구매하고 싶은데 국내에는 아예없더군요. 그나마 찾은게 알리익스프레스 심지어 사이즈도 큰걸 써야하는데 국내업체는 찾기도 어렵습니다.
@user-pd9lr4oh7k
@user-pd9lr4oh7k 3 ай бұрын
작년에 청소기구매했는데 3월달 배송예정이다. 알리
@hgytgytrftrguh
@hgytgytrftrguh 3 ай бұрын
우리가 구매하면 미세먼지로 돌아온다
@audiojang768
@audiojang768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중국산 구매하면 중국 업체들 성장시키고 미세먼지는 더 많이 한국으로 날아 오게 됩니다.
@ski4912
@ski4912 3 ай бұрын
긍께 같은 세금 내고 알면 싸게 사고 모르면 비싸게 사고 라떼는 우체국으로 오다가 이사 가면서 바뀌길래 지역마다 다른줄 알았는데 업체가 아예 바뀐거군요
@yongsookim623
@yongsookim623 3 ай бұрын
어짜피 중국에서 마진붙여 떼다파는데 되팔렘들 안거치고 사는게 무슨문제?
@user-vx9wq1lk3j
@user-vx9wq1lk3j 3 ай бұрын
호기심에 알리에서 몇번 구입해봤지만..결국 싼이유는 있다...몇번 못쓰고 몇일 못쓰고 아예 못쓰고 결국 쓰레기통으로 다 들어갔다..차라리 저가 제품 찾을려면 다이소가서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사는게 현명하긴하지..
@mondainwizard3216
@mondainwizard3216 3 ай бұрын
알리보다 테무가 더 위협적
@user-iu9ox2ht5u
@user-iu9ox2ht5u 3 ай бұрын
하도 난리길래 알리 가입하고 물건 1개 구입했는데 한달 넘어서 받음. 그래서 안씀
@bluesky3844
@bluesky3844 3 ай бұрын
보통 2주안에 오긴하는데 어떤건 3개월 길게는 6개월도 걸리지요^^. 그래서 일반인은 급한거는 다이소에서 사고 3~6개월 걸리는 제품도 있기에 여름껀 봄에사고 겨울껀 여름에 사는게 ㅎㅎㅎ
@user-pu9vq7ot8d
@user-pu9vq7ot8d 2 ай бұрын
국가적으로 철저히 차단해야함
@investorkorea
@investorkorea 3 ай бұрын
알리 가짜 송장으로 사기당해서 고생한거 생각하면 개빡친다 고가제품 사기 많고 저가 제품은 가짜나 쓰레기 아니면 내용물은 없고 빈포장박스만 온다던가 메모리 용량사기는 그냥 웃음만 나오고 암튼 10번 주문하면 몇번은 그냥 돈버리는거
@user-cy3bp8gs1n
@user-cy3bp8gs1n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일반 제품 제조하는 업체들이 너무 부족하죠... 이런 업체들 세금 대폭 삭감해서, 경쟁력을 키워서 우리나라에도 판매하고, 중국에도 많이 판매할 수 있게 키워야함 중국 판매 업체 들어오는건 다 중국에 제조업체들이 있기때문에 경쟁력이 생겨서 저렇게 할 수 있는거
@isolife1749
@isolife1749 3 ай бұрын
몇년동안 창업해서 제조업하고있지만 너무 열악합니다... 많은 창업대표들이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한국에서 개발하고 금형파고 생산판매까지하고있지만 알게모르게 사라지는 업체들이 부지기수입니다. 10개 창업하면 1개 살아남을까말까입니다. 몇년동안은 혼자서 갈아넣어서 개발하고 하지만 곧 지치게되고 투자라도 유치못한 상태에서 직원쓰다가 손익분기도 못 맞추고 개인파산하는 경우도 너무 많이 보았습니다... 해결책은 모르겠네요.. 유통기한이 있는 음식.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화장품. 정도가 살아남을거같고 나머지는 컨텐츠 사업해야하는건가 싶습니다.. 가랑비에 옷 젖는다고 수수방관하다가 당장 구매할때는 싸겠지만 그만큼 일자리도 없어질거같아요
@user-rtsd655
@user-rtsd655 3 ай бұрын
테무 알리 개인정보 악용될까 한번도 사용 한적없음 이용했던 주변인 얘기로는 물건이 허접해서 다신 주문안한다고
@9zziller413
@9zziller413 3 ай бұрын
개인정보래봐야 집주소밖에 없음
@user-ie4hs5yp3r
@user-ie4hs5yp3r 3 ай бұрын
헐 이런 자주 이용했는데 아하…
@goat_2222
@goat_2222 3 ай бұрын
테무... 괜히 썼다가 지금 스팸전화 미친듯이 옴... 심할 때는 10분 간격으로 옴.... 스바...
@user-zg7ob8ns2l
@user-zg7ob8ns2l 3 ай бұрын
되팔렘들은 빨리 처벌해야지.
@sandrapak1981
@sandrapak1981 3 ай бұрын
15만원어치 쓰레기겠죠..ㅋㅋ 당하면 기분나뻐요
@mindbridge00
@mindbridge00 3 ай бұрын
물건 사지도 않았는데 요즘에 인스타에 태무광고로 도배가..ㄷㄷㄷㄷㄷ
@jyh790804
@jyh790804 Ай бұрын
경제를 위해서도 우리나라업체가 잘나가야 하는디 ㅠㅠ
@user-rf5vg4td8l
@user-rf5vg4td8l 3 ай бұрын
초저가라고 해도 3분의 1이 쓰레기면 거기를 쓸 이유가 있나요? 저라면 불안해서도 못 쓸 것 같은데요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쓰지마세요..큰일 납니다..저도 테무 들어갔다가 일주일도 안되 10만원 결제 했네요.. 정말 들어가면 큰일납니다...
@polabears-oo9ny
@polabears-oo9ny 3 ай бұрын
그런대 아이러니한건 그 쓰레기를 한국 중계상이 자기들 마진 넣어서 쿠팡, 아마존에서 팔면 믿고 사시더라구요 ㅋㅋ 괜히 코리아 프리미엄이 있는게 아니죠. 아직 한국에서 돈 버는거 할만 할것같습니다. 앞에서 중국산 욕하고 뒤로 끌어다가 마진 30%이상 먹으면서 팔면 개꿀이죠.
@user-uu6wd5hs6s
@user-uu6wd5hs6s 3 ай бұрын
너무 비싼것만 아니면 그냥 살만 합니다. 근데 요즘 예전보다 비싸진거 같아서....ㅠ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현실은 미국 일본 유럽등 전세계 사람들이 어마어마하게 이용합니다..품질도 조금씩 좋아지고 있네요. 그리고 잘 보면 한국산보다 훨씬 좋은 물건도 많아요..디자인도 좋아지고요.. 키보드 마우스는 한국은 발끝도 못쫒아 올정도로 가격 품질이 좋습니다. 부품들도 엄청저렴하고요..한국에는 못구하죠. 취미생활자들은 알리가 천국인 셈이죠.. 부품 천지에 가격도 싸고 없는게 없으니 알리를 버릴 수 없는거죠.. 사람이 많이 이용하면 다 이유가 있는겁니다. 그사람들이 바보가 아니죠.
@weightmax4691
@weightmax4691 3 ай бұрын
후기보고 사면 괜찮던데 ㅇㅇ 한번실패함
@user-he8ns1ie7w
@user-he8ns1ie7w 3 ай бұрын
알리 배송 5일에서 최근 10일로 늘었음
@falogocine
@falogocine 3 ай бұрын
우정사업본부가 손해본 금액이 비공개인가요? 큰 손해본것이 없다는 상대적이네요
@user-fp6iw2mk4o
@user-fp6iw2mk4o 3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려는 와중에도 뜨는 테무 광고...
@wisdom1819
@wisdom1819 3 ай бұрын
쓸만한 제품들은 알리나 쿠팡이나 가격차이 거의 없습니다. 배송은 알리가 한참이나 더 걸립니다. 당연히 사후 문제 생길때 AS 대응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구요.
@qoa0828
@qoa0828 2 ай бұрын
엇.. 가짜네일 알리 400원이었는데 쿠팡 4천5백원이었음.. 그리고 환불도 바로 해줌.. 배송 기본 1-3개월인걸 인정..
@pmike8060
@pmike8060 3 ай бұрын
유튜브에 테무광고보고 쇼크를 받았었는데 당장은 공짜다 초저가다 해서 좋겠지만 시간지나면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한뒤 한국의 대형 유통 플랫폼고사, 중국에 상품의존도 올라가고 시간지나면 지금까지 저가였던 제품가격을 서서히 올려 중간유통자가 마진을 먹던짓을 알리나 테무가 하리라고 봅니다. 지금 당장 관세등을 올려서 대응하지 않으면 관련업계들의 수많은 고사가 예상됩니다.
@cs_english
@cs_english 3 ай бұрын
어차피 지금 국내업체들도 알리나 테무에서 구매해서 되파는 게 대부분입니다. 소비자가 왜 똑같은 물건을 몇배나 더 내고 구매해야 하죠?
@econandpower
@econandpower 3 ай бұрын
쿠팡도 그거 노리고 지금 독점적 지위 구축한거임 애국주의냐 소비자 편의냐 선택해봐야 마지막엔 님 말대로 똑같이 됨
@grass88107
@grass88107 3 ай бұрын
뭐래 삼사 통신사 독점하거나 휴대폰 시장 삼성 독주 하는거 봐라. 소비자 입장에선 그냥 경쟁이 답이다. 또 어설프게 기업 도와주는 법 처 만들었다가 결국 소비자만 호구 되는 그런 경우가 ㅈ나 많아서. 별 신경안씀.
@user-xj6ql1kx7b
@user-xj6ql1kx7b 3 ай бұрын
그때되면 안사면 되는건데 뭐래
@nathan373
@nathan373 3 ай бұрын
한국 사회속에 짱깨이 들이 자연스럽게 많이들 녹아들었네
@user-zs6gd1wu4l
@user-zs6gd1wu4l 3 ай бұрын
ㅋㅋ그동안 보따리상들 얼마나때먹었을까
@hojuilsang6138
@hojuilsang6138 3 ай бұрын
호주는 몇년전부터 이미 알리에 관세를 부가해서, 소비자가 물건을 사면 텍스 10% 내야합니다
@user-wp3ky2nn6u
@user-wp3ky2nn6u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 중국 제품 사랑 아마 전세계에서 최고일 겁니다. 다이소 중국 중소 제품들 화웨이, 샤오미 온라인 마켓에서 아무 제품 검색해 들어가면 전부 중국 제품이 판매 1위임
@user-sq4wb8rn3u
@user-sq4wb8rn3u 3 ай бұрын
다이소는 이제 인도네시아산이 다 먹었어요... 중국산이 고품질임
@user-hp5sx5yi5f
@user-hp5sx5yi5f 2 ай бұрын
빡교수님, 시장 분석 쵝오~👍
@mjl7042
@mjl7042 3 ай бұрын
살 때는 싸게 산 느낌이 드나 막상 받아보면 돈 엄청 아까운게 알리,, 알리 10여년 전부터 최근 1년전쯤까지 구매한적 있지만 사진만 고퀄을 사용하고 실물은 쓰레기가 아직도 여전히 많아서 시간이 지나도 개선될 여지는 없는듯,,
@dk-hq6ms
@dk-hq6ms 3 ай бұрын
테무 알리 쓰는 사람이 이렇게 많다는건 또 처음 알았네요 개인적으론 11번가 안쓴지도 오래됐고 거진 쿠팡 아니면 네이버인데 이런 세계가 또 있었다니ㄷㄷ 물론 별로 손이 가진 않습니다
@user-vs6vy8sd9h
@user-vs6vy8sd9h 3 ай бұрын
근데 간접적으로 쓰고 있을거에요 식품과 일부 생활용품(세제, 휴지등)제외 쿠팡 네이버에서 사도 알리거 오는게 태반임
@user-uj7sv9uy3c
@user-uj7sv9uy3c 3 ай бұрын
중국에선 아직도 길에서 똥싸나요?😮
@user-xv2vg4ge6d
@user-xv2vg4ge6d 2 ай бұрын
네 아직도 쌉니다
@user-xl6lq2sk8o
@user-xl6lq2sk8o 3 ай бұрын
사지마라
@sunny-dz8sx
@sunny-dz8sx 3 ай бұрын
테무 장점이 합 1만3천원 정도치만 사면 배송비가 무료.3000원 짜리 볼펜을 한국 이커머스애서 사면 3000+2500 그런데 테무는 내가 주문한 서로 다른 제품이 묶음배송됨. 그많은 모든 제품을 선 매입 하고 있단 얘긴가?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거대 창고에 선매입이 산처럼..보면 입이 떡
@user-qr3co3be1l
@user-qr3co3be1l 3 ай бұрын
테무는 싼가격만큼만함 재질이
@dayafterday0
@dayafterday0 3 ай бұрын
중국 시진핑 개xx가능합니다. 이거 깔고 얘기해보자면 그냥 소비자가 현명한 선택을 해서 경쟁구도 계속 이어나가게 해야합니다. 쿠팡뿐만아니라 우리나라 유통업체들 싹 다 마진 ㅈㄴ붙여서 팔고 중간유통업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있습니다. 결국 가격 부담은 소비자구요. 쿠팡이라고 ㅈㄴ 모범적 기업인가요?그것도 아니죠. 결국 지들끼리 경쟁하게 소비자들이 양쪽에서 현명하게 소비해서 경쟁 시켜야죠. 자본주의는 가격, 품질, 서비스등 전방위부분에서 경쟁을 통해 소비자가 이득보는게 가장 건전하다고 봅니다. 현명한 소비합시다.
@lillilllilllnlilill
@lillilllilllnlilill 3 ай бұрын
저장 장치 반도체는 절때 주문하지마세요 다불량났어요 개싸구려 칩을 박아놨더라구요 정식유통 쓰세요
@rockchamchi
@rockchamchi 3 ай бұрын
소비자가 원하는 물건의 가격을 싸게 구매할 수 있다는 건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테무처럼 끼워팔기로 쓰레기같은 물건을 굳이 사야하는 것이 말그대로 ‘쓰레기’를 만들어내는거라 환경보호 측면에서 정말 최악인 것 같습니다. 쓰레기같은 물건을 만드는데 환경이 오염되고, 그걸 버리게되어 오염되고.. 악순환입니다.
@user-im6wm2fm1k
@user-im6wm2fm1k 3 ай бұрын
싼 맛에 산다라고들 하던데 ..흠 글쎄.. 저는 알리 테무 이런데 가입 조차 하지도 않았고 구매를 해 보지도 않았지만 주위 분들 구매 한거 보면 멀쩡한게 많아 보이지는 않더라고요 앞으로도 구매 계획도 없지만 사려는 제품에 완성도가 너무 낮으면 절대로 구매 안할꺼 같아요 ㅎㅎ
@user-wg2vq8sx1q
@user-wg2vq8sx1q 3 ай бұрын
싸긴함 다이소에서 사는 느낌이라
@bluesky3844
@bluesky3844 3 ай бұрын
님말이 정답이에요. 직접 보고 구입. 다이소에서 사는게 편해요. 배송이 기본 2주걸리고 늦으면 3개월도 걸려요 ㅋㅋㅋ 개인정보 중국 보이스피싱애들에게 다 넘어가는거 확실해요. 국제통화라고 번호 긴거 3번 연락옴. 86만원 결제하신게 문제가 되어 환불해준다고 하고 휴대폰에 자기가 불러준 앱을 깔라고함. 거기에 따라 불러주는대로 이동해서 클릭하고 이상해서 컴터에 켜서 조회를 해봤는데 전화번호와 금액이 같거나 당하신 분이 있던거 같더군요. 조선족이라 한국말 잘하더군요 ㅋㅋㅋ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한번이라도 발 들이면 안사고 못베김...절대 들어가면 안됨
@shimts1972-hp1od
@shimts1972-hp1od 2 ай бұрын
완성도는 낮지만 그걸 커버할정도로 저렴합니다. 저의 체감상 다이소보다 저렴한거 같네요. 그래서 한번 구매 시작하면 계속 사게 될거에요. 저야 테무 한번 사고 안사고 있지만 별로 온라인 쇼핑을 안하는 사람이라서 그런거구요 온라인 쇼핑 잘하는 사람은 못 끈을 것 같군요!
@user-nz6lp9zs3k
@user-nz6lp9zs3k 3 ай бұрын
우체국을 쓴다면 결국 세금이 나가게 되는거네요.
@iloveabook
@iloveabook 3 ай бұрын
쿠팡이 경쟁에서 이기려면, 가격을 지금보다 저렴하게 하되, 입점업체에 출혈가격을 요구하지 말고 수수료를 대폭 낮춰라.
@sunnie6012
@sunnie6012 3 ай бұрын
알리에서 1천원대 상품 구매했는데 배송이 무료더군요. 이게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LxhLxh-so9dx
@LxhLxh-so9dx 3 ай бұрын
这有什么难的?我是中国人,我在阿里买一块钱的东西都会包邮到家😊
@user-xy1qo5nb9t
@user-xy1qo5nb9t Ай бұрын
그것이 함정인줄은 모르는 어벙이 들이다
@tokklty
@tokklty 3 ай бұрын
가격 경쟁을 통해 소비자가 혜택을 보는건 좋은데...가격 차이가 해도해도 너무 하다는게 문제...차이가 거의 안나는 상태에서 경쟁하며 내리면 좋은데 이건 한국 유통 체제를 완전히 무너지게 할수도 있는 건데...그거에 대한 피해가 훨씬 크고 부작용도 심해서 오히려 지금 싸게 산다고 좋아 하다가 한국 유통망 망한 다음에 중국 업체가 한국에서 가격 올려치기 하면 업체도 나락 소비자도 당하는거지....반듯이 해결을 해야 한다고 봄...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3 ай бұрын
나는 한국 유통을 무너뜨리고 다시 해야된다고 봄 ㅋㅋㅋㅋㅋ. 진짜 존나 해먹음. 이 기회에 터뜨리고 정부가 해서 세수 받아먹어라.
@tokklty
@tokklty 3 ай бұрын
@@user-ou3uc4pb6f 한번 무너지면 끝이야..설사 다시 도전 해도 최소 10년은 더 걸리는건데...장난 하냐?
@user-xn9xg4ii7o
@user-xn9xg4ii7o 3 ай бұрын
첫번째로고쇼핑몰에서 폰케이스 주문햇는데 한달동안오질않아요 윈래그런가요?
@ghiuyfcv7gghh
@ghiuyfcv7gghh 3 ай бұрын
알리에서 이것저것사봤는데 못쓰는제품들 장난감같은 제품들. 지금은 끊었슴
@hjk2411
@hjk2411 3 ай бұрын
반대로 이야기 해서, 1/3 쓰레기가 발생해도 감수 할 만큼, 한국과 알리의 동일 제품의 가격 차이가 심하다. 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알리, 테무 등등을 많이 해본 사람은 상당수가 공감 할 겁니다. 한국에서 팔리는 공산품 대부분, 중국에서 때다가 포장 갈이 같은 OEM 방식으로 판매하는게 정~~말 많았구나... 한국의 생활 공산품 제조 능력은 이제 절망 수준이 되었구나... 몇몇 중국 회사 전자 제품도 한국 유통사가 A/S 명목 하에 2배 장사 해왔구나... 즉, 알리에서 잘 찾아 본다면 100% 완전히 똑같은 물건을 알리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 알리가 이런 이유 때문에 한국에서 높은 순위 까지 갈 수 있었지, 단순하게 싸다고 사람들이 무지성으로 구매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저렇게 부러져서 오는 경우, 판매자에게 한국 말로 그냥 문의만 넣어도 바로 환불 해주거나, 재발송 해주는 경우가 99%입니다. (저도 생각보다 모든 판매자들이 친절해서 매우 놀란 부분입니다.) 알리에서 모든 물건을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한국에서 검증된 물건을 알리에서 찾아보는 구매 습관을 들이거나, 후기 사진만 잘 찾아 보아도, 30-50% 는 한국 보다 싸게 구입이 가능합니다. 이게 알리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인 겁니다.
@user-jo2jq2ut1w
@user-jo2jq2ut1w 3 ай бұрын
알리, 테무가 유통망 완전히 장악하면 그때부터 헬게이트가 열리는거지.. 지금 싸게사서 좋다고 히죽거릴게 때가 아니란 소리임..
@Oizman
@Oizman 3 ай бұрын
그게 고쳐질것 같지는 않고...
@mongd3385
@mongd3385 3 ай бұрын
쿠팡도 저런식으로하다가 개작살날 난다 짭과 쓰레기 상품 천국 쿠팡. 어느순간부터 쿠팡에서 주문 안함
@koreaking1004
@koreaking1004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 알리 쓰는거 보면....ㅋㅋㅋ 안 그래도 인구 급감인데 중국한테 다 먹히는거 거의 확정ㅋㅋㅋ 싼게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물류시장을 통째로 중국에 넘겨주게 생겼는데 "아몰랑~ 싼게 최고지!!! 우리나라는 천원짜리를 만원에 떼서 팔잖아!!! 빼애애애액~" 진짜 학교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맞나 싶다
@user-de9we1mp5i
@user-de9we1mp5i 3 ай бұрын
쿠팡 11번가 지마켓 옥션 등등 알리에서 싸게들여온 물건을 두세배이상 비싸게 파는거부터 막자
Chips evolution !! 😔😔
00:23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Joven bailarín noquea a ladrón de un golpe #nmas #shorts
00:17
원전에 올인했는데, 동해에서 석유가 발견됐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6:1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53 М.
[가라테 가타 국가대표선발전 결승전] 박희준 선수
4:19
대한가라테연맹
Рет қаралды 2,2 М.
Chips evolution !! 😔😔
00:23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