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 일본과 소름돋게 같다. 일본의 부동산 버블, 한국 집값도 일본 따라갈까? (🏯먼나라 이웃나라 부동산) (호사카유지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288,408

월급쟁이부자들TV

월급쟁이부자들TV

25 күн бұрын

30년 만에 오르는 일본 부동산… 인구 감소와 집값은 관련이 없는 걸까? 인구 감소 시대 한국 부동산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면? link.weolbu.com/45gE2PI
오늘 호사카유지님께서 해주실 이야기는?
☑️ 부동산 버블이 터지기 전 일본에 있었던 일
☑️ 버블이 터지는 신호탄은 '이것'입니다
☑️ 최근 일본 집값이 다시 오르고 있다는데?
☑️ 일본이 한국 부동산의 미래가 될까?
호사카유지님께서 해주신 이야기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립니다.
#일본부동산 #부동산버블 #한국집값

Пікірлер: 215
@weolbu_official
@weolbu_official 23 күн бұрын
30년 만에 오르는 일본 부동산… 인구 감소와 집값은 관련이 없는 걸까? 인구 감소 시대 한국 부동산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면? link.weolbu.com/45gE2PI
@user-tn9xt1nh5l
@user-tn9xt1nh5l 23 күн бұрын
2:28 2:30 2:30 2:34
@liedown-bm7ow
@liedown-bm7ow 23 күн бұрын
일본 도쿄 부동산 미래 위기 뉴스 요근래 나오며 나온근거 "도쿄 출산율 1.4" 한국 출산율 0.7에서 0.6 ~ 디테일하게 서울로 비교하면 서울 출산율 0.5.... 일본은 출산율 상승중 서울은 얼마전 출산율 0.4까지 떨어졌었음
@parkseon7631
@parkseon7631 4 күн бұрын
😅😮😅😊😮 0:24 ​@@user-tn9xt1nh5l
@user-lk8zb2us1k
@user-lk8zb2us1k 17 күн бұрын
전세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하고도 재산가치 보전에 대한 임대제도라 함부로 평가해서는 안되고 전세금대출 자체를 없애야 합니다. 전세금대출이 겉보기에 서민을 위한것처럼 보이나 실은 부동산가격을 부추기고 금융기관의 이익만 불리는 서민착취로 본질이 변한겁니다
@jesad2001
@jesad2001 15 күн бұрын
기양 집을사지 와그라노. GDP와 최저임긍이 정신없이 오르고 도심밀집도가 높은 나라에서 부동산 안오를수 있나. 우리와 일본은 대운이 다른데 비교대상이 아니다.
@jsh12251225
@jsh12251225 13 күн бұрын
맞아여전세없애야되요
@kimsungdae100
@kimsungdae100 11 күн бұрын
서민용-전세(보증금용)대출 없애면 안되는데 ... 대출(금액/이자)-누진제 또는 일정금액내로 제한을 유지해야 ... 커지면 서민들 빚만 늘죠.누군가 떼워줘야 하는 돈이고 ...
@user-nq5my1xy3b
@user-nq5my1xy3b 9 күн бұрын
●한국의 독특한 전세제도● 역사적으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급전이 필요한 자작농이 토지를 담보로 돈(보증금)을 빌리고 담보목적물의 사용수익으로 이자를 갈음한 한 전당(典當)제도가 있었지만 그 대상은 토지였지 가옥이 아니었다. 조선시대 후기엔 전당의 목적물이 가옥에도 적용되어 이런 가사전당(家舍典當) 방식이 공증제도의 변천에 따라 발전한 것이 전세제도로 여겨진다. 도회지로 인구유입이 일상화되고, 제도권 금융이 없거나 여분의 가옥 소유자가 제도권 대출받기가 여의치 않을 시 소유권을 유지한 채 사용권 만 넘기고 자금을 무이자로 빌릴 수 있는 민간대출이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이뤄지던 전세 거래는 이후 점차 법적 제도로 인정받게 된다. 완전히 제도화된 건 미 군정기 직후인 1949년, 전세를 서구의 모기지(mortgage-구입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고 대출금을 차입자 소득에 근거하여 장기간에 걸쳐 상환해 나가는 선진국형 주택담보대출 )와 유사한 제도로 인식해 한국의 전세권을 정했다. 관습으로 성행하던 사적인 민간대출의 전세권이 민법제정으로 물건(物件)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이것이 부동산, 특히 아파트에 적용되면 월급쟁이가 평생 모아도 살 수 없는 서울시내 10억짜리 아파트를 자기돈 2억과 담보대출, 그리고 전세(민간대출)를 끼고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전세입자는 은행으로부터 전세자금대출로 자금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주택자금 레버리지제도로서 서울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근본원인이 되었다. 전세제도는 없어져야 하고, 없어질 것이다. 왜? 소유권도 없는데 그걸 담보랍시고 대출을 해 준다는 것이니...
@user-xr4vc5lq3y
@user-xr4vc5lq3y 8 күн бұрын
먼 대도안한 소리하냐 전세없는 외국도 부동산 잘만 오르는구만 일본만해도 집사면 은행에서 100프로 다 대출해주고 미국이나 유럽은 주택임대료 때문에 서민들 힘들어하누만 제도마다 다 장단점이 있는데 잘 알지도 못하면서 말하네
@user-kc9qy3nb6k
@user-kc9qy3nb6k 23 күн бұрын
호사카 교수님 응원합니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눈을 갖고 양국을 평가하는데, 공부 많이 됩니다. 이분은 심지어 한국 국적도 취득하신 분...
@workholic
@workholic 23 күн бұрын
이걸 보니 한국이 얼마나 비정상적이고 기형적인 부동산 관련 정책과 제도를 유지하는지 알겠다. 재정은 욕망이 아니라 현실에 맞게 보수적으로 운용해야한다는걸 뼈저리게 느낀다.
@_economy-oc2cz
@_economy-oc2cz 23 күн бұрын
와... 교수님의 설명 정말 세세하게 해주셔서 일본 뿐만아니라 우리나라 부동산의 현황에 대해서도 잘 알아 가는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mx3gn5cy5d
@user-mx3gn5cy5d 9 күн бұрын
호시카교수님의 인품을 존경하는 분들이(우리나라 국민들도) 매우 많을 듯 싶어요^^ 자주 뵈었으면 좋겠습니다 늘 健幸하시기를 기원합니다^^
@youngheeshin3780
@youngheeshin3780 23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축적된 부의 쓰임세에 대하여도 … 철학적인 견지에서 한번 생각해보기를 권고하시는 교수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y8rq4nb7p
@user-qy8rq4nb7p 17 күн бұрын
교수님 학부때 강의 들었었는데 그때도 좋은 인상이셨어요. 인구감소, 노령화는 우리나라가 더 급격하고 심해서ㅡㅡ
@kimyounginvalentino4335
@kimyounginvalentino4335 22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전세제도 없애고 선건축 후분양하면 아파트가격상승, 부실공사 둘 다 잡을 수 있을텐데
@user-eo4ge2fb5s
@user-eo4ge2fb5s 16 күн бұрын
선건축 후분양하면 오히려 분양가격이 비싸지죠. 선분양을 해야 건설회사의 금융비용이 줄어서 분양가격을 조금이라도 싸게 설정할 수 있는 겁니다.
@user-cq4hn2lc1p
@user-cq4hn2lc1p 15 күн бұрын
후분양하면 대기업 건설사 몇곳만 남고 나머진 다 파산함. 건설 물량이 줄어드니 집값은 당연히 더 오르게 되어있죠. 선분양이 리스크가 있는건 맞지만 그덕에 집값이 나름 선방하는거에요.
@user-cj9md5mc4j
@user-cj9md5mc4j 6 күн бұрын
대신 일본처럼 소규모 분양을함 후분양도 좋죠
@parksea121
@parksea121 3 күн бұрын
분양사만 배 불리는 거죠...확정 이익 먹고 선입금한 분양대금 관리 수수료 먹고,중도금 대출 알선 수수료도 또 먹고...먹고 또 먹고... 이 걸 절반만 토해 내도 분양가는 줄어들텐데...
@asdfqwer3445
@asdfqwer3445 Күн бұрын
5%~10% 자본으롤 무책임성 부실공사...믿을수가 없어요... 발골캐슬 순살자이 휜스테이트...
@user-wl2it4ij6f
@user-wl2it4ij6f 23 күн бұрын
호사카 교수님 존경스럽고 좋아합니다
@user-um7rv2xl4t
@user-um7rv2xl4t 23 күн бұрын
와 한국말 잘하시네요…좋은내용 감사합니다^^
@user-je2lz4qj3t
@user-je2lz4qj3t 18 күн бұрын
호사카유지 교수님 제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입니다!
@user-el6ry3lp8z
@user-el6ry3lp8z 23 күн бұрын
현재 한국 출생율 0.6 일본은 1.2임 일본의 부동산버블과 경제침체는 애교수준임 한국의 고령화 및 인구 감소는 몇배 더 심각한 후유증으로 작용할것임
@user-zw6xo3sg8p
@user-zw6xo3sg8p 22 күн бұрын
정확하신 진단입니다
@PRAHADAM
@PRAHADAM 18 күн бұрын
이건팩트맞음 도쿄 지금 0.99됫다하지만 아직 은퇴세대 우르르 올라간일본이랑 한국은 조금 달라보이지만 그대로 따라갈듯 그리고 우린 더낮으니까 더심할듯
@jay-124
@jay-124 17 күн бұрын
후유증을 넘어 30년만 지나도 국가소멸을 선언해야할 정도임.. 우러전쟁으로 인한 이주민들을 정책적으로 귀화시켜주는 것도 대안임...러시아의 불체자가 은근히 많음...우리나라 귀화제도가 너무 보수적이라 큰 문제....
@junyounglee7603
@junyounglee7603 16 күн бұрын
사실 집도 물건인데 시간이 지나면 값이 떨어지는 게 당연한거죠. 내 땅 있는 단독주택이 앞으로 대세가 됩니다. 불특정 다수랑 부딪치며 사는 것도 지긋지긋한 아파트 떠나와서 전원에 살면, 다신 아파트 돌아가시 싫어집니다.
@heaveninthesea4914
@heaveninthesea4914 15 күн бұрын
현재 서울과 경기도의 인구가 총 2,300만명 정도인데, 20년만 지나면 전국의 0~49세 인구가 2,080만명 정도로 계산 됨. (신생아 수가 년 24만명 일 경우) 하지만 실제 신생아 수는 더 감소하고 있음.
@sdk8424
@sdk8424 19 күн бұрын
교수라는 직함이 잘 어울리시는 신뢰가 가는 분이시네요. 말씀 잘 들었습니다.^^
@minan2222
@minan2222 23 күн бұрын
앵커분 정리 잘 해주시네요^^
@yoonseulmelody
@yoonseulmelody 23 күн бұрын
우와 새로운 코너인가요!!! 짱이다아.. 잘 듣고 갑니다 오늘도 똑똑해짐 ㅋㅋ
@kimjohansson5922
@kimjohansson5922 23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KANGBROS_
@KANGBROS_ 23 күн бұрын
국가를 초월하여 상당히 귀담아 들어야 할 부분도 있다. 지방소멸뿐만 아니라 도쿄 서울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소멸이 있을 수 있다는,,,
@issacjosh
@issacjosh 16 күн бұрын
존경하는 호사카 교수님을 이 채널에서 뵙네요. 감사합니다!!❤❤
@powerlkj120
@powerlkj120 16 күн бұрын
호사카 교수님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kuhyeonkim5478
@kuhyeonkim5478 17 күн бұрын
이런데도 집값오른다고 떠드는 토건족과 부동산부양하려고 하는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가 역겹다
@hks4843
@hks4843 22 күн бұрын
서울 수도권 핵심지.. 인구가 늘고있는곳 초등학교가 과밀인곳 땅이 넓지않아 공급이 한정된곳 이번 총선 국힘 당선된곳
@Chsk0800
@Chsk0800 2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집수요가 포화상태ㆍ여기서 건설언론사싀 위력이 대단함ㆍ
@user-re9ls3py7b
@user-re9ls3py7b 21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user-kq9vp3mi4u
@user-kq9vp3mi4u 17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gibeommin9046
@gibeommin9046 23 күн бұрын
23년도 일반계 고등학교ㅜ졸업자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62.2%입니다. 점점 내려가고 있으며 앞으로 더 내려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전망입니다. 40-50대 부모 세대의 인식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교수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user-hj1mq3ol9v
@user-hj1mq3ol9v 22 күн бұрын
우리가 스킵하고 성장만 봤던 것들 이제 압축 후유증만 남은듯 내 시절이 그 시기라는게 아쉬울뿐...ㅜ
@jay-124
@jay-124 17 күн бұрын
호사카 교수가 대단하다는 건 한국인으로 귀화하셨지만 한국문제에 대해서도 엄격하다는 사실..////////////////////// 지금 우리나라에 필요한건 이런 균형잡힌 비판의식임.... 이념과 지역으로 갈라져서 앵무새놀음이나 하는 지금에선 더더욱 중요함...
@user-jv4zw1te2z
@user-jv4zw1te2z 23 күн бұрын
프라자합의로 엔고가 되자 수출이 어려워지자 정부는 금리를 내려서 엔저를 유도한다. 이때풀린 유동성으로 부동산신화(부동산은 안떨어진다)가 만들어진다. 은행에서도 부동산에 투자. 파티문화활성화. 벼락부자많아짐. 정부는 대출규제를 했지만 부동산을 믿은 사람들은 계속 대출을 함. 하지만 1990년. 정부버블을 붕괴시키려고(?) 2.5%에서 1년동안(단기간에) 6%까지 올렸고 버블은 꺼졌지만 잃어버린 30년이 되버림. 즉, 금리를 갑자기 올리면 안된다는 교훈을 얻음. / 최근 일본부동산의 상승을 어떻게 볼까? : 주식바닥인 2008년부터 상승했고 부동산은 그 후 1~2년 후 상승하는것이 경향임. 요즘 일본의 도시부동산을 사는 주요 사람들은 외국인 특히 중국인. 3대도시(도쿄, 오사카, 나고야) 멘션가격은 2010년 기준으로 1.9배. 전국기준으로는 1.2배상승. 즉, 올라가더라도 물가상승률만큼./ 기본적으로 선건축 후분양임(분양프리미엄없고, 재건축거의 없다) 전세도없으니 갭투자못함. 부동산으로 돈을 번다는 개념자체가 거의 없다. 3대중심지만 오른것. 서울과 도쿄 멘션과 아파트를 비교하면 한국이 훨씬 비쌈. 도쿄구축멘션 5억이면 좋은거 살수있다. / 양극화+고령화의 문제가 있다. 양극화로 20~30대는 돈이 없거나 주택매입에 소극적임. 집을 살때는 30년 장기모기지론으로 집을삼(변동금리0.3%, 고정금리1%) 고령층은 죽지않으니 돈을 계속 갖고있음. 그들은 부동산이 꺼진걸 겪은세대라서 부동산에 투자안함/ 일본은 대출이 많아서 금리를 쉽게 올리지못함. /
@jays4705
@jays4705 2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요즘 집중력이 떨어져서 단편적인 단어들만 들리는데 깔끔하게 정리 잘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user-fn2xv2re5d
@user-fn2xv2re5d 23 күн бұрын
학생때 공부 잘했겠어요~^^
@1millionroyalties
@1millionroyalties 22 күн бұрын
긴 내용을 수정없이 정리하신 노력에 😊 😊
@3891-NOS
@3891-NOS 17 күн бұрын
덕분에 내용 이해 쏘옥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pr8mb9xn9f
@user-pr8mb9xn9f 17 күн бұрын
전세 갭투자 없애야함
@yuni265
@yuni265 16 күн бұрын
전세제도 없앨 필요도 없고 전세대출도 없앨필요는 없다. 가난한 서민에겐 정말 필요하므로.. 대신에 집수만큼 누진세율 적용시키면 된다. 실거주 목적이면 2~3채 가져도 상관 없는거다. 세금만 더 내면 됨. 중국인들 투기목적이나 소유목적인 집들 막아아함
@hyunbinpark8537
@hyunbinpark8537 23 күн бұрын
아저씨 말투 매력있다 "부돈산 바부르 (부동산 버블)"
@kaa746
@kaa746 21 күн бұрын
아놔.ㅋㅋㅋ 간만에 빵터짐
@user-uz9so1wy5p
@user-uz9so1wy5p 17 күн бұрын
어 발음을 못합니다.
@user-hg7cz2nn2p
@user-hg7cz2nn2p 13 күн бұрын
갑자기 웃었네여ㅎ
@user-dh5fr7hn5h
@user-dh5fr7hn5h 17 күн бұрын
은행이 전세자금 까지 빌려주는 지금의 대출 제도는 부동산 버블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CRPark-lq3gj
@CRPark-lq3gj 13 күн бұрын
호사카교수님이 일본에비해 한국의 올곧은 선비문화에 매료되고 한국인의 의사표현이 확실한 문화에서 희망을 찾은것 같습니다. 더불에 민주주의도 정반합에의해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유교문화도 긍정적으로 올곧게 발전한 것을 보고 한국의 미래가 더 낫다고 본것 같습니다. 탁월한 호사카교수님! 박수를 보냄니다.
@user-xt3lr2hi4w
@user-xt3lr2hi4w 18 күн бұрын
호사카 교수님 얼굴만 봐도 즐겁습니다.. ^^ 말씀하시는 내용도 정말 깊이가 있어요^^
@Beckybaby23
@Beckybaby23 23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전세가 없습니다
@user-nt3ez6pr1p
@user-nt3ez6pr1p 17 күн бұрын
부동산 해법. 취득세 1% 다주택자 5% 법인,외국인8% 양도소득세 15% 다주택자 20% 법인,외국인 25% 재산세 5% 다주택자8% 법인,외국인 10% 미국에서 부동산 재산세 위주로 잡는다
@user-iy9dd5jt3v
@user-iy9dd5jt3v 16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투기 자산으로 생각하면 답 없습니다.. 보유세 대폭올리고 양도소득세도 세율을 높여야하는데.. 정치적인 이해가 첨예하게 걸려있으니 정치권에서 어떻게 받아들일지..
@user-qg1tk1pj6l
@user-qg1tk1pj6l 13 күн бұрын
​@@user-iy9dd5jt3v 양도소득세 40프로 넘음 ᆢ혜택만 받아 보셨구려
@zip40
@zip40 13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말씀 잘들었습니다~^^
@didwjddk
@didwjddk 18 күн бұрын
호사카 유지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user-hw6vn7wk6n
@user-hw6vn7wk6n 1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집값은 몇년동안 횡보하다가 사람들의 인식이 "집으로 돈버는 시기는 끝났다"라는 분위기가 들때.............그때부터 서서히 장기적 우하향을 할듯합니다............................내 주위만봐도 집가격이 오르면 팔생각으로 빚내서 집을샀지..........끝까지 대출을 갚아서 내집으로 만든다라고 생각하는사람은 한명도 없으니까.........................언제까지? pir수치가 8~9정도로 내려올때까지...........
@user-ff4ym4ru7u
@user-ff4ym4ru7u 16 күн бұрын
부동산 한국도 일본 따라갈 가능성이 높네요? 부동산은 투기가 아니고 그냥 가족들과 행복하게 사는곳으로 인식되어야 국민이 같이 잘 사는길인것 같아요! 결국 국민의 부동산에 대한 인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금리(통화량), 공급,수급량, 인구수 등에 따라 좌지 우지 될것 같군요?
@user-ge9mj8db4n
@user-ge9mj8db4n 9 күн бұрын
호사카 교수님 좋아요
@user-rf5pq6bb4r
@user-rf5pq6bb4r 18 күн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user-cj9md5mc4j
@user-cj9md5mc4j 6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을 바라보는 철학이 중요하다는 교수님 말씀 감사합니다~^^
@142biphos7
@142biphos7 17 күн бұрын
결국 일본은 개인을 위해 거품을 꺼트렸지만 한국은 정부가 세원 징수의 최대 수혜자로 결탁하여 버블이 천천히 꺼지더라도 내수침체는 지속될 것임 Gnp가 올라도 실생활이 어려운 건 현재 시장에 돈이 돌지 않는 것이 분명함
@user-oe2ir6yv7t
@user-oe2ir6yv7t 13 күн бұрын
부동산, 암울한 미래가 보이는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kkjh5450
@kkjh5450 17 күн бұрын
인간의 탐욕과 욕심은 응과응보이다
@user-jv4zw1te2z
@user-jv4zw1te2z 23 күн бұрын
고령화와 인구감소로만 보면 어느정도 닮아간다고본다. 중심지가 쉽게 내려가지는 않더라도 지방은 무료로 주기도한다. (보유하면 관리비와 세금이든다) 2040년이되면 전체 지자체의 43%는 인구가 만명이하가된다. 인프라가 무너진다. 지방은 어르신만 남아있다. 출산가능성있는 20~39세의 여성숫자가 중요. 출산율이 높아도 여성숫자 자체가 적으면 문제다. 아무리 중심지더라도 여성이 떠나면 의미없다.(안전, 쾌적, 육아에 좋은환경이어야) / 인구가 감소할수록 부동산값은 내려갈수밖에없다. 교육정책이 바뀌면 이것에도 영향받을것. 일본은 대학진학률이 50%지만 취업에 문제없다. 한국은 사실상 대학100%목표라서 일본은 어디에 살아도 괜찮은것=부동산이 안오른 이유. / 부동산=돈이라면 수입에대해 어디에 쓸지 철학적인 생각이 중요할듯.
@user-vu4sp2wu4c
@user-vu4sp2wu4c 2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Jeonie-m-Young
@Jeonie-m-Young 8 күн бұрын
진심 정직한 분, 반면 한국의 교수들은 날림 어용들이 판침
@leni21c81
@leni21c81 22 күн бұрын
일본에서 리폼해서 임대업을 하는데요... 중국사람 정말 무섭게 사는 것 같아요...
@jay-124
@jay-124 17 күн бұрын
한국 수도권 건물들 중국인들이 싹쓰리합니다... 거의가 중국은행 백프로 융자임... 사실상 중국정부가 한국땅과 건물을 사는 것... 한반도는 중국이 절대로 양보하지 않을 거임. 서해안 도시의 다운타운은 전부 중국인소유... 안산 시흥 화성 안중 평택 발안 당진 오산....
@user-ew2zk4rl4o
@user-ew2zk4rl4o 18 күн бұрын
금리상승에 버블이 꺼진거군요 국민이 금융노예가 되면 30년의 지옥이 시작된다는 이야기 ... 우리 정부는 일본의 경제역사를 알면서 일본과 똑 같이 반복하며 국민을 사지로 몰고있다
@cidhw82
@cidhw82 22 күн бұрын
호스트 추임세가 너무 많아서 듣기 힘들었었는데, 엄청나게 편집했네요. 이번엔 듣기 편합니다. 전문가 게스트의 말을 듣고싶지 추임세를 들으려고 클릭을 하는게 아니에요.
@user-gi4br5xx9c
@user-gi4br5xx9c 22 күн бұрын
추임새
@minsikkim6635
@minsikkim6635 17 күн бұрын
공짜 콘텐츠 들으면서 ㅋㅋㅋ
@user-cc4rn5fq8u
@user-cc4rn5fq8u 14 күн бұрын
집값오른다고 개뿔... 부동산봐바라 급매.. 거래도 거의없다? 어디까지 떨어질지 도저히 모르겠네. 정부나 기레기 새빨간 거짓말..?
@user-cj9md5mc4j
@user-cj9md5mc4j 6 күн бұрын
정부에서 건설사위한 대출로 호구들 열심끌어들여 집사게하니...ㅠ 죽는건 서민
@user-kl5bv9bn3j
@user-kl5bv9bn3j 15 күн бұрын
서민들 위한 전세 제도가 결국 돌고돌아 집값 상승으로 서민들 고통으로 돌아옴.
@user-ut4mo8ck4c
@user-ut4mo8ck4c 13 күн бұрын
리스펙
@user-ph5lo8qt2i
@user-ph5lo8qt2i 15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아파트값이 너무 고가로 이미 위험수위에 달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자주 나온다 그 이유도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ㆍ인구는 계속 줄고있으나 젊은 인구는 서울 경기 집중하는 이유 살펴 인구 분산책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을 여야가 정부와 같은 심해야한다 ㆍ사람들 인식도 우선 주택 소유않고 전세 살 면 재산세 없고의료보험료도 싸고 앞으로 집값은 내려가 집 팔걱정안해도 된다는 소리도듣는다 ㆍ족ㅁ씩 변화하는것같다 ㆍ
@user-gf7ve9xi6g
@user-gf7ve9xi6g 1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지금 도쿄 아파트를 아무나 싸게 살 수 있는지 보면.. 답이 나옴.. 일본에서도 인프라 잘 되어있는 도심 아파트는 여전히 비싸요...
@user-lu8pg8zw5w
@user-lu8pg8zw5w 12 күн бұрын
도쿄도 5억이면 괜찮은데 산다잖아요
@johnkim3220
@johnkim3220 23 күн бұрын
앞으로 10~20년후 한국의 모습은?
@yunraecho9343
@yunraecho9343 16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비정상적이다
@leni21c81
@leni21c81 22 күн бұрын
일본은 론제도가 잘 되어있어서 직장만 있음 얼마든지 집 살 수 있어요... 그리고 모기지론이 좋은게 명의자가 암이라던가 죽으면 갚지 않아도 되요...
@kimroses8690
@kimroses8690 8 күн бұрын
출산할수 있는 여성도 없는게 문제지만 진심으로 안전하게 맘놓고 아이를 키울수 있는 주변 환경과 치안이 가장 와 닿네요 여성들이 좋아하는 도시.지역.구.동이 되면 정말 좋겠네요 귀가 쏠깃 했습니다
@user-lg9ir5ft5x
@user-lg9ir5ft5x 15 күн бұрын
선건축, 후분양, 참건강한 부동산제도네요.우리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네요
@user-sv5mj3tw4x
@user-sv5mj3tw4x 22 күн бұрын
서울 시내도 폐교됩니다.
@Park-YoungJin
@Park-YoungJin 6 күн бұрын
21:50 어떤 시대건 어떤 이유건 집은 돈 버는 목적이 돼선 안 된다 탐욕스런 인간 내면을 탐구하지 않으면 지옥밖에 될 게 없다 증거. 근거가 한국 온 사방에 지식산업센터 자료를 같이보며 2부 까지 가보자 -------------- 인간이란 생명체를 탐구하지 않고 정책을 내놓으면 끝없는 실패 뿐이다
@user-yh6yc3sc7m
@user-yh6yc3sc7m 17 күн бұрын
일본을따라가는개아니라 일본보다 빨리 저출산 고령화가온다
@leehyangje
@leehyangje 16 күн бұрын
우리 나라 지방도 = 특히 창원시
@KJ-fn9dh
@KJ-fn9dh 23 күн бұрын
이분은 진짜 섭외 잘했네요 듣기쉽고 내용도 좋고 매우 착하고 젠틀해요 아주 좋으신 분이네요 자주 출연시켜주세요 😅😅😅 중국 공산당 없애야 세계 평화가 옵니다 일본 한국 모두 힘을 모아 중국 공산당 없애자 😅😅😅 일본 무료 집에 가서 살자 😅😅😅
@user-li9nd7hq8q
@user-li9nd7hq8q 13 күн бұрын
.....호사카유지교수님......안녕하십니까......한결같이..잔잔한강의가..즐겁습니다.....오래오래......백세장수.하시길......염원합니다
@jasonhan6184
@jasonhan6184 18 күн бұрын
호사카유지 교수님은 이제 대한민국의 애국자가 되셨습니다 자주 나오셔서 이처럼 좋은 정보를 자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user-ut4mo8ck4c
@user-ut4mo8ck4c 13 күн бұрын
최대한 빠르게 된다
@user-ut4mo8ck4c
@user-ut4mo8ck4c 13 күн бұрын
우리가 추월하는 것이 마땅한 도리이나 아직 경황이 없어요 ㅋㅋ
@heaveninthesea4914
@heaveninthesea4914 15 күн бұрын
현재 서울과 경기도의 인구가 총 2,300만명 정도인데, 20년만 지나면 전국의 0~49세 인구가 2,080만명 정도로 계산 됨. (신생아 수가 년 24만명 일 경우) 하지만 실제 신생아 수는 더 감소하고 있음.
@user-xm6hz6oz6m
@user-xm6hz6oz6m 12 күн бұрын
인구초집중도시는오르고나머진내리겠죠.
@Chuck_Liddell
@Chuck_Liddell 8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분명히 한국말인데 일본말같은 느낌이 있네요 ㅎㅎ
@user-fb6hl4jg4k
@user-fb6hl4jg4k 22 күн бұрын
홋카이도는 오른다는데요 눈때문에 전세계 스키어관광객들 몰려와서 쭉쭉 오른데.
@74chriss12
@74chriss12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착각속에 있는게 우리나라가 저력이 있다고 생각하는것임 우리나라는 일본을 따라갈수 없음 맨날 정신승리만 하려는게 꼭 조선말기 같음 하찮게 생각한 일본한테 당한게 분해서 더더욱 미처날뛰는 것 말고는 딱히 내세울게 없음 반도체 등등 다 미국이 기회를 준건데 이제 미국도 슬슬 발을 뺄 조짐이 보임 근데 오로지 부동산만 생각하는거 같아서 안따까움
@EIEI_061
@EIEI_061 12 күн бұрын
맞말
@user-jf6is9bt5x
@user-jf6is9bt5x 13 күн бұрын
우린 일본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는걸 알아야 함 강남 30평대가 3~4억에 나와도 고민하게 되는 그런 붕괴가 조만간 오게될것임 20년전에 애들이 없어서 초등학교가 사라지는 그런 생각 해보기나 했었나? 거품붕괴...무엇을 상상하던 그 이상을 보게될것임
@h.y9387
@h.y9387 14 күн бұрын
잘 경청했습니다. 일본과 우리의 비교. 시사하는 점이 많네요. 공중파 방송에서나 볼수 있는 특급 아나운서 이상의 목소리로 차분한 진행을 하시는 분. 훌륭하십니다.
@user-mn3pz5jv9l
@user-mn3pz5jv9l 17 күн бұрын
👍👍👍
@freebird721
@freebird721 18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까?? ...
@user-lw4yx3hy3y
@user-lw4yx3hy3y 5 күн бұрын
한일사이에서 좋은 가교가 되어 주세요
@user-lg9ir5ft5x
@user-lg9ir5ft5x 15 күн бұрын
일본,전세가 없다구요? 희한하네
@user-tq1gj9jb1v
@user-tq1gj9jb1v 5 күн бұрын
어차피 오늘까지의 과거는 과거입니다.. 기대감도 미래의 현실에서 반영되는 부분으로 기대감을 갖는거라 생각합니다.. 많은분들이 집을 사둔 상태이며 이자를 내고 있지요.. 일본처럼 잃어버린 시간을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곧 달러벌이 입니다.. 달러벌이는 곧 우리나라 경쟁력으로 이루어 지는것이며 짧은 역사에 빠른 성장을 이룬 이유 이기도 하지요..어떠한 경제든 인플레는 껴있다고 생각합니다..이 인플레를 지속적인 성장으로 유지하려면 아니꼬와도 대기업들의 포지션이 너무 큽니다.. 그게 현실이며 역사 였으니까요..그것이 우리가 현 상황에서 살수있는 방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의 태도와 국민들의 태도가 정말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것이 우리가 혹은 밑에 자녀들이 살 방법입니다.. 우리 나라는 과거부터 좁은땅 좁은 인구로 힘겹게 살아왔던 나라이기 때문 입니다..
@KIMGIHOON-ft1vz
@KIMGIHOON-ft1vz 1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나라의 모든 재정을 쏟아 부어서 부동산을 살리기 때문에 일본 처럼 되려면 오래 걸릴꺼 같아요
@fhslmdue
@fhslmdue 7 күн бұрын
일본 도쿄는 부동산가격이 떨어지지않았음. 그리고 현재는 일본전국 부동산가격 상승중임.
@peterhan4173
@peterhan4173 17 күн бұрын
결국 우리나라도 다문화로 가겠구먼... 방법이 없으니까요. 기득권층들은 본인들 기득권을 절대 내려놓지 않을테고 본인들 집값하락은 싫으니 인구감소 해법으로 해외 이민자들 수백만명 받을듯... 안봐도 비디오 😅 다들 영어공부들 많이들 해두세요.
@user-jx4pn3tq9c
@user-jx4pn3tq9c 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이민오는 사람들 조선족 ,우즈벡같은 이슬람권, 베트남 인데 영어무슨 소용 ? 그나마 필리핀이나 필리핀영어쓰겠죠
@user-xq5et2di1d
@user-xq5et2di1d 23 күн бұрын
도쿄에 5억이면 좋은거산다..
@user-ve9cp9gm9p
@user-ve9cp9gm9p 22 күн бұрын
도쿄 23구 중에 어디요?? 도쿄 23구 합치면 경기도 보다 큰데,, 우리가 가길 원하는 서울 중심지 같은 도쿄 신주쿠 시부야 까지 갈것도 없고 나카노 쪽도 평당 7천에서 1억해요. 도쿄 중심지 히로오 같은 부촌도 45년된 멘션 7억대에요. 도대체 5억에 어딜 산다는거에요? 우리나라도 경기도 외곽 가면 5억말고 3억에도 괜찮은집 삽니다.
@hanjiney
@hanjiney 9 күн бұрын
@@user-ve9cp9gm9p도쿄 젤 비싼 멘션 50억대던데요 황궁주변 서울엔 백억 넘는 곳이 많은데
@kfx8029
@kfx8029 11 күн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의 문제는 민간자금의 대부분이 부동산 대출에 묶여 있어서 소비할 여력이 거의 없다는 것이고 이것 때문에 내수가 박살나서 체감경기가 바닥이라는 건데 아직도 부동산 불패를 외치고 있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버블이라는게 터지기 전까진 계속 커지고 언젠가 터지는 날이 있기 마련인데 그 날까지 환상속에서 살면서 나만 아니면 돼라는 심리가 팽배해있다. 일본도 1990년에 금리를 급격히 올리지 않았으면 부동산 버블은 한없이 커졌을 것이고 결국에는 더더욱 회생 불가능의 상태로 빠졌을것이다.
@user-bc8th6vs7y
@user-bc8th6vs7y 11 күн бұрын
아니 우리 배우이신줄알았네
@grandslam5635
@grandslam5635 2 күн бұрын
우리보다 더 선진국인 나라들도 대학 취학률이 50% 유럽은 공짜인데도 30%가 안되는데 고도성장 시절 90년대도 아닌데 한국 대학 진학율이 90%라니 ㅍㅎㅎㅎㅎ 진짜 웃낀다
@skmty61020
@skmty61020 17 күн бұрын
여기서 정신승리하며 안도하는 사람들 덕분에 오히려 일본과 다르다는 확신이 생기는데
@user-no6wn8fx7b
@user-no6wn8fx7b 23 күн бұрын
급상도 급락도 원하지 않는다 물가 상승분 따라서 조금씩 조금씩 우상향
@jay-124
@jay-124 17 күн бұрын
한국 수도권 건물들 중국인들이 싹쓰리합니다... 거의가 중국은행 백프로 융자임... 사실상 중국정부가 한국땅과 건물을 사는 것... 한반도는 중국이 절대로 양보하지 않을 거임. 서해안 도시의 다운타운은 전부 중국인소유... 안산 시흥 화성 안중 평택 발안 당진 오산....
@user-ii4jh9of6y
@user-ii4jh9of6y 6 күн бұрын
변동금리 0.3% 원금으로 30 년 나눠서 내는 원리
@user-qj1he3md5e
@user-qj1he3md5e 6 күн бұрын
일단 지방에서도 서울 중심으로 몰리는이유가 있구나...
@user-NG8Z7WMRAY3rsK1a
@user-NG8Z7WMRAY3rsK1a 15 күн бұрын
저 0엔짜리 부동산 ㅋㅋㅋㅋ 실질적으로는 수십억엔짜리입니다 ㅋㅋㅋㅋㅋ 지방세/재산세 체납되서 저거 인수하는 순간(=0엔에 구입), 그동안 쌓인 세금을 한순간에 청구당합니다. 0엔인데도 안팔리는 이유가 이겁니다.
@logue153
@logue153 8 күн бұрын
최초의 정부는 서민을 돕고자했지만 점차 변질되기 시작한거네요..
@user-tr5kc5by2s
@user-tr5kc5by2s 9 күн бұрын
호사카 교수님 감사합니다.
@user-qp8sd5rr7u
@user-qp8sd5rr7u 13 күн бұрын
중심지 도쿄 오사카 나고야 세군데는 오르는구나... 일본은 현금 부자니깐... 우리나라랑 비교 안되지...
@jhha6984
@jhha6984 11 күн бұрын
폭탄돌리기 하는한국 ㅎㅎ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Homemade Professional Spy Trick To Unlock A Phone 🔍
00:55
Crafty Champions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ОСКАР ИСПОРТИЛ ДЖОНИ ЖИЗНЬ 😢 @lenta_com
01:01
The joker's house has been invaded by a pseudo-human#joker #shorts
00:39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급등하는 도쿄 아파트, 놀라는 일본인들
22:3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64 М.
핵전쟁 직전까지 갔던 중국과 러시아!
22:2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223 М.
한때는 '성지'였다가 '나락'으로 가는 부동산.(5월 마지막 주 몰아보기)
34:56
표영호 tv / 경제적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Рет қаралды 168 М.
나는 중산층이다 (연봉 1억을 받으며..)
19:58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750 М.
슈카쌤 "설마 이걸 모르지는 않겠지"
19:54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솔직히 이렇게 다 말해도 되나 모르겠습니다.
17:11
재테크읽어주는 파일럿
Рет қаралды 406 М.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