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대국 프랑스가 원전으로 고민하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Рет қаралды 130,861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Жыл бұрын

#국제이슈 #프랑스 #원전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강의가 마침내 출시되었습니다.
언더스탠딩 특강 1탄,
이철 박사가 총 10개의 강의로 전하는 중국 공산당의 100년 계획과 대만 통일 시나리오까지.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시진핑 연임으로 시작되는
중국의 변화를
가장 자세한 설명으로 만나보시죠.
👉 apps.3protv.com/3pro/home/lec...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삼프로TV+언더스탠딩. "삼프로TV 하이라이트" 네이버에서 검색하세요. contents.premium.naver.com/ba...

Пікірлер: 474
@user-qi3jb2ej9b
@user-qi3jb2ej9b Жыл бұрын
"내가 피해보는게 아니라고 방치하지 말자"는 말씀 너무 좋은 말이네요. 새겨듣겠습니다.
@sprigacacia
@sprigacacia Жыл бұрын
내가 피해보지 않으면 방치해야 합니다. 손대면 긁어 부스럼됩니다. 내가 피해보지 않는거라면서도 관여하는건 말은 그렇게 해도 내가 피해를 볼것 같거나 뭔가 얻는게 있어서 그러는 겁니다. 즉 나와 상관이 있다고 생각하는거죠. 당신은 우연이 아닌데 당신과 상관없는 일에 상관할 수 있습니까? 그건 불가능하며 우연히든 뭐든 어떤일에 엮였다먼 그건 상관있었던 일이었던거죠. 다만 내가 인식을 못했던 거지.
@user-rr3sk6nt3j
@user-rr3sk6nt3j Жыл бұрын
말장난임. 해상풍력이나 태양광으로 생기는 피해에는 기회주의자처럼 침묵히고 원전에만 피해를 본다고 주장하는 환경팔이 안전팔이들이 많은데 대체 무슨..
@user-ok4dr5lt1l
@user-ok4dr5lt1l Жыл бұрын
엔지니어 시각으로 보건대 원전은 에너지 개발의 중간기착지이고 결국은 재생 및 수소 핵융합 등의 신에너지로 진화합니다.
@wonjh12
@wonjh12 Жыл бұрын
요약: 프랑스는 원전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유지 문제(재건축 등)로 고민합니다.
@yuksain5035
@yuksain5035 Жыл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cooljslim
@cooljslim Жыл бұрын
프랑스에 살고 있는데 어소장님 진짜 디테일하게 준비 잘하셨네요. 오히려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당 ^^
@user-hi1hl6fx6g
@user-hi1hl6fx6g Жыл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러블리하심😊
@Youtube-User-K
@Youtube-User-K Жыл бұрын
대학다닐때 교수님이 하신 말씀중에 '남에게 설득당하는자는 노예와도 같다'라고 하셨는데 이프로의 시니컬한 진행이 정말 와닿습니다.
@user-nf4em5re2c
@user-nf4em5re2c Жыл бұрын
이해한 것을 남에게 설득당한다고 생각하고 무조건 비판적으로 보시는 분들도 있죠.
@spinoffnote
@spinoffnote 10 ай бұрын
물리학자들은 아인슈타인의 노예인가?
@user-kaczynski
@user-kaczynski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원전의 가장 큰 문제는 방사능 폐기물 저장소를 지어야 하는데 못 짓고 있다는 거죠. 어떤 지자체에서도 방폐장을 짓겠다고 안한답니다. 듣기로는 방폐장 건설 댓가로 지역 숙원 사업 수백억 짜리를 지어주겠다고 해도 다들 안한다고 한다더군요. 화장장 하나만 짓는다고 해도 혐오시설이라고 난리인데 방폐장 만들 곳이 과연 있을까요. 원전에 대해 설문을 해서 가장 원전 찬성 여론이 높은 곳에 방폐장을 짓겠다고 하면 과연 설문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ㅋ
@user-hu7vk6tq5z
@user-hu7vk6tq5z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이 정치를 못해서 그렇습니다. 원전 짓는 곳의 주민들에게 해마다 전력 생산한 것을 돈으로 계산해서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준다고 해 보세요.. 원하는 곳이 여럿 나올겁니다. 해마다 2천만원- 3천만원씩 통장에 딱 딱 꼿히면 눈 뒤집어 질걸요.. ㅋㅋㅋ
@heavensky1
@heavensky1 Жыл бұрын
@@user-hu7vk6tq5z ㅋㅋㅋ 너무 단세포이시네.
@user-if8up5le5w
@user-if8up5le5w Жыл бұрын
@@user-wc9ni4ib8g 탄소배출 줄이는게 목적이라 원전을 쓰는거임 돈 문제가 아니라
@user-hp4fj1zw8n
@user-hp4fj1zw8n Жыл бұрын
@@user-if8up5le5w 탄소배출? 알고나 댓글 답시다. 영국/독일이 원전 폐쇄 이유? 원전의 탄소배출 제외 조건중 고준위 방폐장도 일부임.
@romanohan6836
@romanohan6836 Жыл бұрын
@@user-hu7vk6tq5z 고구마 100개 먹은 듯, 답답하네요
@miso-and
@miso-and Жыл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
@lljljljlljll
@lljljljlljll Жыл бұрын
와 좋다고 한꺼번에 막 지으면 노후화도 한꺼번에 막 되는구나 와 오늘도 뭔가 배우고 간다!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 Жыл бұрын
귀한 말씀에 많은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funzilim5828
@funzilim5828 11 ай бұрын
어소장님은 다시봐도 언제봐도 최고
@seongkwonhan4035
@seongkwonhan4035 Жыл бұрын
어 소장님나오시면 꼭 시청합니다.소장님 말씀은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감사합니다.
@yongdukcho5932
@yongdukcho5932 Жыл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응원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울랄라, 어호홍~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Жыл бұрын
국토 대비 한국의 원전 밀집이 가장 높지. 게다가 핵보유국도 아니고, 일본처럼 재처리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임시원전은 포화 상태고, RE100 은 방사장 없으면 적용 안되는데, 고준위는 그만두고 중저준위도 답이 없으니... 원전을 계속 돌리고 싶으면 핵폐기물을 어떻게 할 건지 사회적 합의를 먼저 해야 한다.
@jwkim5683
@jwkim568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이프로의 트랩카드는 유효하다.
@romancepower1482
@romancepower1482 Жыл бұрын
매우 따스한 흔적 투척 툭 데굴데굴 엎드려 터진다 빵
@user-nx7pf8no8m
@user-nx7pf8no8m Жыл бұрын
특정지역에 집중하니 문제.....수도권에 사용하는 전기는 수도권에서 만드세요~~~~
@user-gg5qq9tw3m
@user-gg5qq9tw3m Жыл бұрын
문제는 고준위방사선 폐기물 프랑스도 아직도 못하고 있다는데
@user-fl6vo9kw7v
@user-fl6vo9kw7v Жыл бұрын
헐 할딱고개? 깔딱고개입니다. 숨이 깔딱거릴 정도로 힘들다 해서 붙인 말이죠
@user-jy1rq8cm5f
@user-jy1rq8cm5f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 내용이 좋네요... 어예진소장이라..... 자주 볼것같네요... 좋은 기사 많이 많이 알져주세요
@choichoimj
@choichoimj Жыл бұрын
수퍼퓨전인가 하는 것이면 핵융합을 얘기하는 것 같은데, 거기서 말하는 투입대비 에너지효율은 플라즈마 상태에서 출력/입력이 1을 넘었다는 뜻입니다. 플라즈마를 유지하는 데 엄청나게 많이 에너지가 소모되어 상용과는 거리가 한참 먼 이야기입니다.
@misha8u
@misha8u Жыл бұрын
어소장님 환승연예 박나언 닮았어요 😊
@user-dc3st7zh7d
@user-dc3st7zh7d 11 ай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놓치는 문제가 방폐장도 문제지만 앞으로 원전부지를 어떻게 확보하는가의 문제이다. 다른 발전은 어떤 종류던 노후설비를 교체하고 연료를 공급하면 발전소 부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지만 원전부지는 일회용이라 40년쓰고(수명연장해서80년) 폐쇄되면 수만년(사실상 반영구적) 볼모의 땅이 된다. 한번 쓰고 버려야 한다. 도무지 재활용 방법이 없는 공백같은 땅이 된다. 그럼 전국민이 자기땅에 원전건설을 찬성한다는 전제 아래서도 원전부지로 사용 가능한 땅이 바닥나고 나면 어디서 땅을 구할까. 결국 땅을 연료처럼 공급해야 운용가능한게 원전이고 국토는 유한하고 지구마저 유한하다
@o1withu
@o1withu Жыл бұрын
원전의 위험성은 사고시 즉각적인 피해도 문제이지만 복구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사고 안나게 관리해야지 .ㅋ
@joseflada4449
@joseflada4449 Жыл бұрын
나도 원전 자체는 찬성한다. 하지만 원전 사고 발생 그 자체 보다도 가장 큰 문제는 핵폐기물의 장기적 경제성 문제임. 이걸 감안하면 결코 원전이 싼 것이 아님. 이 비용을 감안하지도 않고 추산하지도 않으니까 원전이 싸 보이는 것처럼 착각하는 것임. 이것도 원전 사고가 없다는 변수 하에 말하는 것임.
@user-nm7tj2jh3t
@user-nm7tj2jh3t Жыл бұрын
@@joseflada4449 핵패기물을 재처러해서 폴루토늄생산 원자력발전에 사용가능하나 핵무기전용을 우려해 미국이 이를 원천봉쇄하고있다
@minChominChoHae
@minChominChoHae Жыл бұрын
​@@BBB-ly6py 후쿠시마 원전은 관리 안 해서 터졌어요? 자연재해 고려하면 원전은 줄이는게 맞음. 후쿠시마 원전 터진지 11년 지났는데 그간 복구작업 뭐했나 보면 답이 나옴
@user-wl9cc8dk9b
@user-wl9cc8dk9b Жыл бұрын
@@minChominChoHae 그럼 원전 없으면 대책은요? 지금도 전기값 올린다고하면 난리치는데요.
@user-ii8ot6xi8q
@user-ii8ot6xi8q Жыл бұрын
소형원자로 서울에 구청 마다 하나씩 설치하시겠습니까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그럼 국가정부에 3경 1000조 있음 ?ㅋ 그지역을 반경 40키로를 다 사야 하는데 ?ㅋ 넌 세금도 안내잖아 ,ㅋ
@JohnnyRRR674
@JohnnyRRR674 Жыл бұрын
@@BBB-ly6py 그렇게 안전한데 왜 반경 40키로?
@bill_blackhands
@bill_blackhands Жыл бұрын
@@BBB-ly6py 원전 경제적이라서 쓰는거 아니에요? 3경이면 왜 쓰지 ㅋㅋ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bill_blackhands ㅋㅋㅋ 서울에 지을려면 서울시를 다 국가가 사야 하는건데 ?ㅋ 3경이 있냐고 묻는건데 ,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bill_blackhands ㅋㅋㅋ 니가 내게 3경 ?ㅋㅋㅋ
@user-xz5pl9sm6b
@user-xz5pl9sm6b Жыл бұрын
원전유지와 안전한 퇴역을 고려해서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거 아닌가요?
@kiminv
@kiminv Жыл бұрын
안기자님도 "아빠가 가께." 라고 했는데..... Oh poor Mr. Ahn.
@RYONG_VMG
@RYONG_VMG Жыл бұрын
고속도로 비유 쩐다 ㅋㅋㅋㅋㅋㅋㅋ
@kimseonghun6424
@kimseonghun6424 Жыл бұрын
원전 폐기물처리에 대한 답은 없고 정치적 이득에 따라 여론을 움직이려는 현실이 걱정이네요
@winwinlee7027
@winwinlee7027 Жыл бұрын
한국같이 공장 돌려서 수출해 먹고 사는 나라는, 기존의 원전을 유지하고 천천히 축소하는 방식을 찾아야지, 지난번 정권처럼 혼자만의 의지로 포기/축소하면 바보 같은 정책 입니다. 대체 에너지, 핵 융합 에너지가 나올때 까지는 보호/관찰 대상으로 유지는 해야 하고, 또한 외세의 침입에 대한 마지막 보루로서 핵물질을 다루어야 합니다. 세계를 이끌어 가는 국가중에 핵물질을 다루지 않는 나라는 없습니다.
@user-eq3fw6od4t
@user-eq3fw6od4t Жыл бұрын
나라마다 원전 폐기물 양도 어마어마 할텐데 어떻게 보관,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ijk9546
@ijk9546 11 ай бұрын
울 나라는 원전 안에 보관.. 꽉 차서 놔 둘 데도 없다함. 단 한 나라 핀란든가 거기만 동굴에 제대로 보관. 10만 년 보관해야 한다고 들음
@hy20120
@hy20120 Жыл бұрын
중국은 2000년대 중반까지도 일본의 ODA를 받았지요..게다가 인도네시아의 수도는 일본이 하고요
@busyhoneybee4517
@busyhoneybee4517 10 күн бұрын
원전에 수명이 없어요. 계속 관리하면서 사용하는거입니다.
@yssim4563
@yssim4563 21 күн бұрын
원전의 안전 문제를 비판하시는분들... 나도 걱정이지만 또한 전기세 높아지는건 어떻게들 보시는지요?
@jinseongseok3750
@jinseongseok3750 8 ай бұрын
발전단가가 싸다는 근거가 빈약합니다. 폐 원자로를 제대로 처리를 못하고 있고 사용후 연료를 모아둘 곳도 마땅찮고, 몇 십만년 보관해야 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deuxksy
@deuxksy Жыл бұрын
1:21 우와 정말 예쁘다!~ 아 물론 가방이요!~
@user-wl9cc8dk9b
@user-wl9cc8dk9b Жыл бұрын
근데 원전을 대체할만한게 없음. 솔직히 전쟁나면 원전만큼 위험한게 없긴한데. 어쩔수없이 쓰는거지.
@huisoksong9495
@huisoksong9495 Жыл бұрын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격이죠.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할 곳이 있다면, 찬성합니다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2016년 박근혜 고준위폐기물 계획발펴 햇는데 ㅋ 문제인이 안함, ㅋ
@user-hh3fe2nq4i
@user-hh3fe2nq4i 11 ай бұрын
한국인 유전자에 걱정이 있으니까 삼프로 언더스텐딩이 잘되고 있는거겠징
@user-yz7ly6lg6e
@user-yz7ly6lg6e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사고로 수만명이 한꺼번에 위험해지지는 않잖습니까? 밥먹다 체해서 죽으니까 밥 안먹는 거는 아니지요. 다만, 원자력은 수만명이 한꺼번에 죽거나 심각한 병에 걸릴 위험이 커서 너무 위험하죠.
@deltax9471
@deltax9471 Жыл бұрын
싱가폴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이런데는 화교가 기득권 지역이라 그런가보네요
@user-fz4cd4zy9m
@user-fz4cd4zy9m Жыл бұрын
유럽은 문화 민족간 이질감이 없고 고립된 지역이 아니라서 위기 위헙이 있으면 공동화 현상이생길수도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Жыл бұрын
원전건설은 찬성하면서 방폐장을 우리 고장에 지어도 좋다는 사람은 거의 없다. 선거 때문에 방폐장 문제는 슬쩍 건너뛰면서 원전건설은 계속하겠단다... 미래세대에 미안하지도 않는지 모르겠다. 수명이 다한 원전을 폐기해도 난리를 피우는 나라에서 원전안전을 담보할 수 있겠는가?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응 한국은 산 70%임 ㅋ 거기에 지으면됨. 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미래세대가 널 ㅋ 생각하겠니 왜 자손을 팔아서 논리를 만들어 ?ㅋ
@user-bm6hj4wf5u
@user-bm6hj4wf5u Жыл бұрын
어흥~~~~ 어우홍 감독님그립습니다
@anhok169
@anhok169 11 ай бұрын
원전은 재건축 처럼 한꺼번에 교체하는게 아닙니다. 매년 숨차적으로 이미 정비와 부품교체를 적용해 왔습니다. 그래서 항공기를 주기적으로 정비해서 수십년 운영하는 식입니다.
@UnhasJ
@UnhasJ Жыл бұрын
누가 뭐라해도 원전은 필요악. 원전 없으면 현재 전기료의 적어도 3배는 올라감. 왜냐면 원전의 전기료가 압도적으로 쌈. 원전이 위험해도 각국에서 짓는 이유임
@Hatch4hour
@Hatch4hour Жыл бұрын
ㄴㄴ 재생이 제침
@UnhasJ
@UnhasJ Жыл бұрын
@@Hatch4hour 재생이 제친 건 유럽에서만인데다가 워낙 변동성이 심해서 완전히 대체는 못함 영국만 해도 해상 북해풍력이 안불어서 전기료 졸라 올랐음
@user-xm5qv5xw6k
@user-xm5qv5xw6k Жыл бұрын
울나라 원전 전기 20프로정도요
@heavensky1
@heavensky1 Жыл бұрын
원전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구만. 뭔 소리 선진국에서 새 원전 짓는 나라가 어디 있다고
@UnhasJ
@UnhasJ Жыл бұрын
@@heavensky1 영국이요.ㅋㅋ 미국 독일 프랑스 전부 연장함. 좀만 찾아봐도 나오는데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에 인구가 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국가의 부패나 시스템 부족 등이야 당연하지만, 마이단혁명이후, 러시아계(30% 정도)를 조직적으로 탄압하고 2등시민으로 만드는 정책을 취하는 데, 러시아계는 기회가 있으면 떠나지요.
@Soykiing
@Soykiing Жыл бұрын
노답국가였지요. 젊은이들은 기회만들어 자기나라 떠나려고 기를 쓰고 노력했었죠. 아마 이 전쟁을 환영하고 있을 거에요.
@user-so2lk5sh5m
@user-so2lk5sh5m 11 ай бұрын
원전이야 간단하지. 댐 하류에 세우면 되지. 중력으로 냉각수만 공급할수 있으면 안전함. 바닷가에서 1차 채수. 긴급 냉장수는 댐에서 공급
@lockinswinghard9005
@lockinswinghard9005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 인구급감 문제는 국가 존폐의 문제라고 인식해야하나, 전쟁으로 그 상황이 악화되었습니다. 폴란드와 합벙 애기도 흘러나오는 상황인데, 영국 이코노미스트 정도의 뉴스분석으론 통찰을 얻을 수 없습니다.
@user-xz5pl9sm6b
@user-xz5pl9sm6b Жыл бұрын
일본의 동남아시아 인프라투자는 전쟁의 추억이라고 할까? 대동아전쟁때 일본군이 물자공급을 위해 도로와 다리를 열심히 지었죠
@user-qj6ph5dl9m
@user-qj6ph5dl9m Жыл бұрын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 저장소 포화상태이고 저준위 방사능 페기물은 일반공장 창고에 보관중이다 화학공장 실험실등에서 나오는 폐기물도 일반창고에 보관중이다 경제성만 우선시하는 윤씨 정책은 잘못되었다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고준위는 지어진적이 없고 중준위 임, ㅋ
@younggun7002
@younggun7002 Жыл бұрын
베트남은 우리나라가 꽉 잡고있다고 했었는데 전혀 아니었군요. 동남아 가면 다 일본차밖에 없는데 앞으로도 힘들겠네요
@Soykiing
@Soykiing Жыл бұрын
베트남은 한국차가 일본차 꺾은 것 같던데요
@user-kn7hw7sd5c
@user-kn7hw7sd5c Жыл бұрын
다리끊어고 한강터널 무너져 수장되고 비오는날 지하철 수장될까 무서워 집콕들 하시던가.
@user-qv2ex4tm9m
@user-qv2ex4tm9m Жыл бұрын
최근 우리나라에서 신규 건설하는 원전 수명은 60년이고, 연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독일에서 프랑스에서 전기를 수입하는데 프랑스에서 독일로부터 전기를 수입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은 없습니다. 원전은 가장 안전하고 저렴한 청정에너지 입니다. 물론 새로운 기술개발로 더욱 안전할 것입니다.
@dhmoon6637
@dhmoon6637 Жыл бұрын
원자력은 안전, 저렴, 청정 과는 거리가 멀죠. 그냥 효율이 좋으니까 쓰는거지. 방폐장 강남 에 짓는다고 해봐요. 안전-저렴-청정? ㅎ
@user-zf3wx1bc9t
@user-zf3wx1bc9t Жыл бұрын
당신이 강남에 땅을 적합한 땅을 찾으면 지을텐데
@user-qt8sh8df8z
@user-qt8sh8df8z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서밤 언론은 그쪽 논조가 있어.
@changsungpark460
@changsungpark460 Жыл бұрын
제목은 '프랑스 원전에 대한~' 내용은 제목과 관련이 없는 분량이 절반 이상~~ 참 이상한 오늘 언더스탠딩@@
@oveliscempire6476
@oveliscempire6476 Жыл бұрын
6:22
@hyun4154
@hyun4154 Жыл бұрын
원전 없애는 나라특징이..다른 나라원전 에너지 사서씀.ㅋㅋㅋㅋ자기들 착한척하는거지.ㅋㅋ
@heavensky1
@heavensky1 Жыл бұрын
ㅋㅋ 바보 인증. 착한 척할려고 원전 한다는 논리 쌈박하다. 와우. 초딩이지?
@hackang4183
@hackang4183 Жыл бұрын
나는 아주 오랜 기간 동안 New York City 와 Suburb 에 살고 있는데, 1979년 3월 28일 Pennsylvania 주의 Three Mile Island 에서 발생하였던 원전사고 를 경험하였었는 데 실시간 Emergency 방송을 들으면서 상당히 긴장하여 New York City 에서 탈출준비 를 하였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후 미국의 Nuclear Power Plant Policy 가 바뀌기 시작하면서 Nuclear Power Plant 를 새로 짓지않고 점차적으로 폐쇄 하는 정책으로 바뀌어 왔으며 2011 년 9월 11 일 사건이후 급격히 원전을 폐쇄 하는 정책을 집향하여 현재 New York City 인근에는 가동중인 원전은 하나도 없습니다. 원전들이 주변에 있어 사고시 비상탈출을 준비 하여야 하고 탈출로를 숙지하여야 하는 부담에서 살았었습니다만, 원전이 완전히 없어 진후로는 의식적 무의식 부담감이 완전히 없어 졌고 얼마나 마음이 여유 갖게 되었는지 아시나요 .
@mcsquareneo4472
@mcsquareneo4472 Жыл бұрын
원전주 특히 두산에너빌리티를 천천히 사도 된다?? 지금 SMR, API1400등 주기기 발주가 점점 늘어나는데 공급이 딸리면 계약시 선수금이 점점 높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skyline0167
@skyline0167 Жыл бұрын
소장님 예쁘십니다 와이프 다음에~♡
@user-rc2gc4vn6f
@user-rc2gc4vn6f 11 ай бұрын
아이고 meltdown의 뜻은 원자로가 녹는 대형 원전 사고를 의미 하는것인데
@user-jb1dr7cz3h
@user-jb1dr7cz3h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사고는 한시적 일시적 위험 원전 사고는 영구적 위험
@Unicusmomo
@Unicusmomo Жыл бұрын
원전이 깨끗하단 건 완전 헛소리, 원전이 안 터져도 어딘가 묻어야만 하는 폐기물 생각은 안 하게 하는 홍보의 결과물
@jiyongshin6279
@jiyongshin6279 Жыл бұрын
원전폐기물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효율적이라고 할 수도 없음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프랑스가 100년 동안 나온 원전 폐기물이 축구장 7개임 .ㅋ 즉 개오바임. ㅋ
@user-ir3ky3xf8b
@user-ir3ky3xf8b Жыл бұрын
@@BBB-ly6py 프랑스는 재처리가 가능한데, 한국은 미국이 핵무기 때문에 막고 있음. 그래서 폐기물이 엄청 싸이고 있어, 재처리 시설을 만들던지, 전세계에서 가장 큰 폐기물 보관 장소를 만들어야함.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user-ir3ky3xf8b 아님 규모 자체가 원전폐기물이 축구장 7개 크기라고 함, 폐기물로 핵탄두 안 만들었음 ㅋ 없는 사실은 말하지마 .ㅋㅋㅋㅋ
@hunter-2023
@hunter-2023 Жыл бұрын
@@BBB-ly6py 그런데 폐기물 한컵도 엄청난거임. 한방울 줄테니까 100년동안 처리해볼래. 즉! 개쌉소리임 ㅋㅋㅋㅋ
@soba3818
@soba3818 Жыл бұрын
@@BBB-ly6py 재처리때문에 그정도밖에 안나오는거에요 우리는 재처리를 못하니 폐기물양이 그 10배를 넘구요
@taesukim79
@taesukim79 Жыл бұрын
폐기물 얘기는 안하시나요..?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박근혜가 2016년 고준위폐기물장 건립 계획수립 하고 발표 했는데 문제인이 안한것임 신재생을 한다고 해서 그래서 한전 30조 적자 된것임,
@birdsky8622
@birdsky8622 Жыл бұрын
원전건설비와 해체비용까지 합하면 원전이 태양광이나 풍력등 신재생에너지보다 더 비싸졌다고 하더만~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태양광 풍력 해체비용은 ? 그리고 20년 마다 교채비용은?ㅋ 거미줄같은 선로 비용은 ?ㅋㅋ
@boricora
@boricora Жыл бұрын
이런 거짓말을 아직도 믿나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boricora 저거다 시민단테 애들이 태양광패널 중국산 제일 싼거 그거 통계 낸서 때문에 저러는 것임.
@user-dh5nc3ux1e
@user-dh5nc3ux1e Жыл бұрын
님 ㅂㅅ임? 어디서 그런말을 믿는거야
@user-tj8hw1br6k
@user-tj8hw1br6k Жыл бұрын
일단 용산에 하나 지어보고 얘기해보자
@asaris5327
@asaris5327 Жыл бұрын
일단 원전이 싸다는 건 그냥 개소리임
@slesher86
@slesher86 Жыл бұрын
제펜타임즈가 이름만 그럴듯하지 일본 업계쪽에서의 포지션은 영자공부용 학습 신문 취급입니다.
@kingjungsu
@kingjungsu 10 ай бұрын
중국은 항구만 뺏었는데 우리나라는 미군이 땅까지 빼앗고 항구도 빼았었는데.
@user-xm5qv5xw6k
@user-xm5qv5xw6k Жыл бұрын
원자력은 폐열료및기타 원자료 쓰레기 문제인거지..처리못하니
@user-zg1nb1xh6m
@user-zg1nb1xh6m Жыл бұрын
40년 경력의 전기공학도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입장에서는 원자력발전의 대안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예진소장님이 언급한 인공태양이 원자력 대체 미래 에너지라고 알고 있습니다.
@soba3818
@soba3818 Жыл бұрын
인공태양에 중국이 진짜 진심으로 한다더라구요
@jp-vx8nu
@jp-vx8nu Жыл бұрын
팩트 -고민안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kn7hw7sd5c
@user-kn7hw7sd5c Жыл бұрын
차를 어찌탈까? 달리다 차바뀌 빠져나가면 살까? 죽을까? 겁나면 집콕하고 아나오면 되겠네.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Жыл бұрын
원전 재건축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원전 재건축 가즈아 ~
@user-id1ym8sl3p
@user-id1ym8sl3p Жыл бұрын
수도권에 원전 지을수 있다면 찬성. 좋은것은 웬만하면 서울에 다 들어서니
@heavensky1
@heavensky1 Жыл бұрын
에잉 때구죠. 원전 음청 좋아하더만요
@user-rr3sk6nt3j
@user-rr3sk6nt3j Жыл бұрын
재밋는게 원전은 폐기물비용이 얼만지 모르니까 하지말자는 인간들이. 미래에 수소나 태양광 등이 효율이 좋아질지도 모르니까 하자는 이중잣대를 부여한다는것임. 기술은 지속해서 발전하고있는건 다들 알것임. 방사는 폐기물도 처리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있디고봄. 원전은 현재 싸게 쓸 수 있는 유일한 탈탄소 대안인점 + 앞으로의 기술개발 두 가지 합쳐지면 당연하게 원전이란기술이 지속가능한 합리적인 에너지가 아닐까? 라는 물음에 환경팔이 안전팔이들이 대답좀 해줬으면 좋겠음.
@user-vz6fh7qi1r
@user-vz6fh7qi1r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는 진짜 전쟁 끝나고 피난갔던 여자 아이들이 다 부서진 우크라이나로 안돌아오고 오히려 남자들이 더 나갈 듯... 그러면 나라가 과연 유지가 되려나...
@danggolkim1663
@danggolkim1663 Жыл бұрын
코딱지만한 나라에서 원전은 아니다. 가슴에 손을 얹고서 본인가족을 원전주변에 가서 살라고 하면 선뜻 가겠는가? 그리고 원전폐기물을 본인집 근처에 묻는다면 찬성하겠는가?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고딱지 만한데 신재생을 할만한 면적은 있어 ?ㅋㅋㅋㅋㅋ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원전폐기물 니 집앞에 묻었다는 증거를 가져와봐.ㅋ
@user-ci2ox3ul5g
@user-ci2ox3ul5g Жыл бұрын
프랑스하면… 이다도시🤗
@jun-sikum9549
@jun-sikum954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사실상 섬나라인데요??? 북으로는 못가잖아요 ㅋㅋㅋ
@user-eo2gi2cd1e
@user-eo2gi2cd1e Жыл бұрын
프랑스 하면 울라라지....ㅋㅋ 울라라라
@joosungjin
@joosungjin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보다 출산률이 낮은 국가가 어디다?
@user-lx8qv6sy1r
@user-lx8qv6sy1r Жыл бұрын
전기 싸게쓰고 싶어. 그럼 대안은 있어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먼데 ?ㅋ
@user-fk3bb9pu8d
@user-fk3bb9pu8d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다른나라 인구 주는걸 걱정할 처지는 아닌 듯.. 오히려 우크라이나에서 우리나라 출산율을 보면 한국은 이제 끝이구나 생각할 듯...
@heyme4087
@heyme4087 Жыл бұрын
건강보험이랑 국민연금만 없애면 노령화 걱정할 필요없어요.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Жыл бұрын
@@heyme4087 그쵸.. 년봉 10억씩 버시면 되요..
@kekw3271
@kekw3271 Жыл бұрын
@@heyme4087 민주주의 국가에서 그거 못없애죠 ㅋㅋ. 젊은층에 세금 계속 올라갈꺼고 똑똑한 사람들은 이민가죠. 독일이나 캐나다 등등 선진국들에서 젊은층 잘받아줍니다.
@user-bm6hj4wf5u
@user-bm6hj4wf5u Жыл бұрын
헉 이푸로가 옷낸만에 한마디했네. 잘했쪙 이프로
@jongssori954
@jongssori954 Жыл бұрын
대통령제 X 이원집정부제 O 사소해 보이지만 보고 듣는 사람 많은 만큼 이런 거 틀리진 맙시다
@daviddk9290
@daviddk9290 Жыл бұрын
안전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우리나라 원전 문제 중 자꾸 놓치고 있는 부분이 진정 원전이 경제적인가라는 점입니다. 원전이 정상 가동 중일때 발전단가는 원전이 싸지만, 문제는 (아직 해본적이 없는) 원전의 폐쇄비용이 얼마가 들지 모른다는거에요. 폐쇄는 고사하고 당장 고준위페기물 처리장 하나 못 만들고 있는데 어떻게 원전의 경제성을 평가할수가 있을까요. 다만, 탈탄소라는 관점에서 원전이 분명 장점이 있기때문에 향후 에너지 정책에서 좀 더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할 것입니다.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1. 폐쇠비용 포함된 가격임.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2. 2916년에 박근혜 고준위폐기물장 성립계획수립발표 함, 문제인이 안한것임.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3.원전 설비 비용이 태양광 설비 비용하고 같은데 현시점에서 원전에 비해서 효율은 29프로 임 고비용은 이걸 봐도 신재생이 고비용임. ㅋ구라좀,ㅋ 참고로 국토부 발표임.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4. 문제인은 탄소중립이라고 하면서 탄소를 발생하는 태양광 풍력을 한다는것이 모순임.ㅋ
@daviddk9290
@daviddk9290 Жыл бұрын
@@BBB-ly6py 폐쇄를 해본적이 없는데 폐쇄비용이 얼마인지 어떻게 알고 반영하나요
@user-gb4pq7hd8h
@user-gb4pq7hd8h Жыл бұрын
원전은 건설 운용비용보다 폐로 비용이 엄청 클껄로 알고 있어요... 이시장을 개척하면 좋은시장인데... 너무 어려운 기술인지라...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폐로비용 전기세에 포함 되어 있다고 한전이 10년에 발표함,ㅋ
@user-gb4pq7hd8h
@user-gb4pq7hd8h Жыл бұрын
@@BBB-ly6py 폐로 비용이 벌써 반영 되어 있다는거군요 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할 곳 선정하지 못한걸로 아는데 기밀로 정해져서 운용하고 있나요? 이것도 운송하는 비용도 전기세에 포함되고 있다면 우리 정말 저렴하게 계속 저렴하게 전기 써도 되겠네요...
@gilboslbg
@gilboslbg Жыл бұрын
폐로비용이 계속 상승하고 있어요. 한전적자임. 산업용 전기세 올리지 않는이상 항상 적자예상. 님들 같은면 옆집에 방패장 건설하고 싶나요.
@user-qe2ek5op9j
@user-qe2ek5op9j Жыл бұрын
@@BBB-ly6py 뭐 개소리야...독일에서 지금 원전 폐로 20년째 하고 있는데... 앞으로 얼마나 더 들어 갈지도 모른다고 하고...폐로 자체를 못 하고 있는데.. 뭔 포함을 해...개소리도 참...
@giantrabbit75
@giantrabbit75 Жыл бұрын
@@BBB-ly6py 그 폐로비용을 적립 중인가요? 현재까지 얼마나 모였죠?
@jklee580
@jklee580 Жыл бұрын
현재 원전 생산 단가가 재생에네지 보다 높습니다! 한수원의 노후 원전 관리가 엉망인 상황에서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까! 또, 방폐장을 건설할 수도 보관할 공간도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원전 지속은 문제라는 것! 지금의 대형규모의 원전은 지양해야 된다고 본다!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국토부 21년 자료에 설비비용은 원전하고 신재생하고 같다 근데 효율은 원전하고 비교하면 29%이다 ,ㅋ 즉 설치비용은 싸다고 해도 효율은 4/1이다 .ㅋ 그리고 태양광 할 공간은 있고 원전 할공간이 없다고? 원전이 더 적은 면적을 차지 하는데 ㅋ?ㅋㅋㅋㅋ
@jklee580
@jklee580 Жыл бұрын
프랑스를 봐라 원전 56기 만들어 놓고 그 반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아시는지...그리고 방폐장 해결 못하면 원전 지으나 마나한 애물단지 된다는 것 모르시나! 소형원전이 대안이나 그것도 아직 미진한 현실~ 그리고 RE100요건 에서 언제 퇴출될지 모르는것이 원전이다!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jklee580 반도 운영울 못한다는 근거부터 제시해 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jklee580 방폐장 지으면 된다 그건 지으면 해결 되는건데 ?ㅋ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jklee580 원전을 해야 소형원전을 개발하는 기술이 생기는ㄱ ㅓ아님?ㅋ 갑자기 어디 서 생겨 ? 연구도 안하는데 ?ㅋ 한국이 원전1위인데 니들 문제인때문에 10위밖으로 밀려났잖아 .ㅋ 그래서 사우디에서원전 안하다고하니 ㅋ 사우디에서 호출하고 난리도 아니였지 .ㅋㅋ
@theochemsRE
@theochemsRE Жыл бұрын
영국은 북해유전, 풍력등 자연의 혜택이 있고, 독일은 러시아 가스에 의존하다 신재생 에너지의 길을 가기 위해 노력중. 원전이 싸다? 터지면 국가가 존립할수 없는데도 싸다? SMR이 효율적이다? 핵페기물은 어디 버리고? 서울에다?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11 ай бұрын
핵폐기물? 백령도 해안가에 존치시키면 됨 땅꿀 팔필요 없음
@JH-mq6us
@JH-mq6us Жыл бұрын
진행자들의 집중이 필요해보이네요
@user-mk7lj8op4p
@user-mk7lj8op4p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원전 벌써 수명 끝? 야 원전 몇개나 더 지을 수 있나??자리 있냐?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프랑스 한반도에 두배 반임,ㅋㅋ
@user-hw4dm4zm6q
@user-hw4dm4zm6q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원전이 40기는 될걸요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25개 다 .ㅋ
@user-wo1uo4bw2r
@user-wo1uo4bw2r Жыл бұрын
23기 일걸요????
@user-hw4dm4zm6q
@user-hw4dm4zm6q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전기세 7월쯤 되면 전기세 100%될것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신재생때문에.
@user-fr3pq9le6b
@user-fr3pq9le6b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존경합니다.
@hayden_song
@hayden_song Жыл бұрын
전쟁터 갔다온 남자들를 저렇게 대우하네
@user-sl1fv8yu8o
@user-sl1fv8yu8o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원전의 비교는 재래식 포탄과 핵폭탄의 관계 어차피 죽일것 핵폭탄 쓰면돼지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확증편향 오지네 /ㅋ
@user-sl1fv8yu8o
@user-sl1fv8yu8o Жыл бұрын
@@BBB-ly6py 잘나서 좋겠음
@BBB-ly6py
@BBB-ly6py Жыл бұрын
@@user-sl1fv8yu8o 원전 설비 비용이 태양광 설비 비용하고 같은데 원전에 비해서 효율은 29프로 임 고비용은 이걸 봐도 신재생이 고비용임. ㅋ구라좀,ㅋ
@user-sl1fv8yu8o
@user-sl1fv8yu8o Жыл бұрын
@@BBB-ly6py 위험도를 같은 화력 신재생 원전으로 같은 목적의 설비로 비교해야하고 나는 원전해도되는데 있는곳에서는 멀리 살고싶음
@user-sl1fv8yu8o
@user-sl1fv8yu8o Жыл бұрын
폐기물 해체비용은?
원전에 올인했는데, 동해에서 천연가스가 발견됐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6:1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의외로 쌓아놓은 돈 많은 미국인의 문제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1:08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8 М.
WHY IS A CAR MORE EXPENSIVE THAN A GIRL?
00:37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柴犬ASMR]曼玉Manyu&小白Bai 毛发护理Spa asmr
01:00
是曼玉不是鳗鱼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미국은 왜 한국 원전에 딴지를 거나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4:0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92 М.
중국 해수면이 심상치않은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0:3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71 М.
실손보험 당장 없애야 합니다 (홍콩과학기술대 김현철 교수)
55:2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90 М.
대만이 중국을 무서워하지 않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1:1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90 М.
(1부) 러시아 임산부가 아르헨티나로 가는 이유 f.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5:50
미국 원전의 푸틴 죽이기 시작됐다 (서병수 애널리스트)
56:4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41 М.
유료 콘텐츠가 갑자기 많아진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2:38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9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