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 '개박살'내려고 무려 3년을 연구한 천재 과학자 아인슈타인

  Рет қаралды 3,117,273

리뷰엉이: Owl's Review

리뷰엉이: Owl's Review

3 жыл бұрын

코펜하겐 학파는 미시세계에서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건 없고 이를 확률로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으로 대표되는 고전역학파는이 세상의 모든 것을 수학으로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고 이 세상은 절대로 확률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믿었다.
마침내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싸움이 벌어지는데 그것이 바로 제 5차 물리학 솔베이 회의다. 하지만 5차 솔베이 회의에서 아인슈타인은 패배했고, 다시 아인슈타인은 6차 솔베의 회의를 준비한다.
참고 자료 및 서적 정보
terms.naver.com/entry.naver?d...
물리법칙의 특성- 리처드 파인만
김상욱의 양자공부 - 김상욱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3권 - 리처드 파인만
과학의 천재들- 앨런 라이트먼
부분과전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의 삶.- 월터 무어어

Пікірлер: 3 400
@BassistJJW
@BassistJJW 3 жыл бұрын
부엉이형, 요즘 잠이 안올 때 형 유튜브로 미시세계를 공부하다보면
@user-rr2ul6eq2l
@user-rr2ul6eq2l 3 жыл бұрын
잠드심
@smashitlikeatiger
@smashitlikeatiger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w-nc5fr
@jw-nc5fr 3 жыл бұрын
고오오오급 드립이네요
@benya3384
@benya3384 3 жыл бұрын
이미 자러갔냐고 ㅋㅋ
@user-xc1bi7ns2d
@user-xc1bi7ns2d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jt9cm6hq8c
@user-jt9cm6hq8c 3 жыл бұрын
이제 이채널이 영화채널인지 과학채널인지는 중요하지 않아졌다. 양자역학 이야길 이렇게 재미있게 들을수 있다는게 더 중요해졌다.
@onzhlaf
@onzhlaf 3 жыл бұрын
별생각없이 들어왔다가 epr이 너무 궁금해졌다
@user-jt9cm6hq8c
@user-jt9cm6hq8c 3 жыл бұрын
@@user-zl9wh1of1n 먼가 적으면서도 어색하더라니...ㅋ 제가 잘못적었네요. 감사합니다. 수정했어요
@abyssray
@abyssray 3 жыл бұрын
이게 영화다
@abyssray
@abyssray 3 жыл бұрын
@Qulaqu La 사람의 의식 역시 전자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건데 리버스되면 폐가 산소 흡수를 못해서 숨도 못쉬는데 생각은 왜 멀쩡하냐 이런말 나올 수 있음. 근데 놀란 형은 사람의 의식은 지금 차원을 초월한 개념으로 봐서 영향을 안 받는다고 생각하는거 같음. 인터스텔라에서도 주인공이 블랙홀에 들어가서 딸아이 찾아낼 수 있는 것도 사랑하기 때문임. 사랑은 시간이고 공간이고 다 뛰어넘기 때문에, 그래서 딸아이도 시계 움직이는거 보고 걍 바로 암. 듣지 못해도 보지도 못하고 다른시간 다른 공간에 있어도 걍 아빠인걸 알라버림. 테넷에서도 그런 설정인거 같은데.. 인간의 의식은 현차원을 초월한 어떤 개념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사람 생각은 역전이 안되는걸로 설정한거 같음
@user-rf3wj6uz6v
@user-rf3wj6uz6v 3 жыл бұрын
나도 중요하다 생각
@user-ke4zr8yf6r
@user-ke4zr8yf6r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어려운 것도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셔서 이해도 잘 되고 ㅎ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dm3ir6cu9o
@user-dm3ir6cu9o 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의 기초를 세운 사람도 대단하고, 그걸 부수려 칼을가는 사람도 대단하네ㄷㄷ 닐스보어의 아인슈타인 상자실험 반박때 ㄹㅇ 소름돋아버렸음...ㅎㄷㄷ
@user-gr9un2ii1r
@user-gr9un2ii1r 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부수려고 했지만 슈타인 형은 오히려 양자역학을 도와줌 ㅋㅋㅋ
@user-py3kn8wx2c
@user-py3kn8wx2c 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인식을 하고 있는냐 아니냐의 차이로 말할수 있겠군.
@user-sy1uh9dj8q
@user-sy1uh9dj8q 2 жыл бұрын
ㄹㅇ 닐스 보어 희대의 천재다
@user-ur3uy3tv1c
@user-ur3uy3tv1c 2 жыл бұрын
@@user-gr9un2ii1r 이 의견에 동의하는게 천재가 양자역학 이론에 반박을 함으로써 더욱 양자역학에 대한 정의가 성립되고 완벽해지는걸 느꼈음.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에 대한 개념자체를 완벽하게 성립하길 원한다고 느껴지지 그냥 딴지거는거라고는 느껴지지 않음.
@user-lc8sj1im2x
@user-lc8sj1im2x 2 жыл бұрын
잘은 모르지만 현대기술로도 아인슈타인의상자는 틀렸나요? 창문여닫는것만 하고 무게랑시간은 안에기록되게끔이나 다른곳으로 전송되게끔 하면 오류가무엇인가요?? 광자가 빠져나가는 사이 시간이빨라지는 것이 문제라면 광자의무게를 측정할만큼 미세한 저울위에서 실험해도 틀린건가요?
@tiak4792
@tiak4792 3 жыл бұрын
다음 영상이 항상 너무 기다려져요! 정말 재밌게 잘 보고 있어요 ㅎㅎㅎ
@XXX-ll1iv
@XXX-ll1iv 3 жыл бұрын
저희는 양자역학 그전에 연구하고 발견해 오신분들이 작성해 놓은 책들을 읽어 공부하면 되지만 그당시 양자역학이 생소 할때 공부하신분들 정말 대단함 ...
@Per_mion
@Per_mion 2 жыл бұрын
들어도 들어도 재밌고 어렵고 알것도모를것도 같은 양자역학... 리뷰엉이님도 재대로 이해하신건지 모르겠단 말에 그저 뿌듯하네요. 내가 한참 부족한 사람이라 나만 모르나 했거든요.^^ 좋은 영상 늘 감사합니다
@user-kp5fv3uv3e
@user-kp5fv3uv3e 3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으론 아인슈타인이 질 수 밖에 없는 싸움이었음. 보어는 안된다를 증명하는거고, 아인슈타인은 된다는것을 증명하려는 것이었으니... 언젠가 먼 훗날 기술이 발전하고 인류가 방법을 찾는다면 아인슈타인이 옳았다!!라는 순간이 올거라 믿음.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3 жыл бұрын
난 양자역학 완전하게 이해했다. 그렇다고 나에겐 묻지마라 내 입에서 답이 나오는 순간 정답이 나올 수도 있고 오답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user-de6sr1tj3m
@user-de6sr1tj3m 3 жыл бұрын
올~ㅋ
@Warkytocky
@Warkytocky 3 жыл бұрын
천잰데ㅋ
@user-ci5wj7bm7b
@user-ci5wj7bm7b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 극대노
@user-zc7cv2cb9d
@user-zc7cv2cb9d 3 жыл бұрын
나는 이 문제를 증명할수 있지만 종이에 공간이 없기에 적지 않겠다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3 жыл бұрын
@@user-ec2gj8zk3k 루미가 넘 귀워여서 프사 만들었더니 갑수사건이 똭! 루미가 잘 지내길 기원합니다.
@Jmj-ww6nc
@Jmj-ww6nc 3 жыл бұрын
진짜세계관 최강자들의 싸움이다. ㄷㄷ
@user-mt3dz6qt1b
@user-mt3dz6qt1b 3 жыл бұрын
말 그대로임
@user-ry8zq3pz6f
@user-ry8zq3pz6f 2 жыл бұрын
하시라마 vs 마다라급
@bubbly5653
@bubbly5653 3 сағат бұрын
@@user-ry8zq3pz6f그게 뭐냐
@user-peterpan
@user-peterpan Жыл бұрын
이 정도 난이도라면 영화로 만들어도 볼 만하겠다 생각했네요. 간단하게 설명해주셔서 재미있었네요. 구간반복 조금 했지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dtp3444
@dtp3444 2 жыл бұрын
사고실험 리뷰 잘 봤습니다 역시 리뷰엉이!
@user-ip7ut7ql8w
@user-ip7ut7ql8w 3 жыл бұрын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꽃이 되었다. 춘수형님 이과도 잘하셨네여
@user-sq5ce2ks4d
@user-sq5ce2ks4d 3 жыл бұрын
김춘수 천재였구만
@user-cj1zw1ue5z
@user-cj1zw1ue5z 2 жыл бұрын
헉 그러네요.. 문과이과 전부를 섭렵한 분이시네..
@user-op4xo7ly8x
@user-op4xo7ly8x 2 жыл бұрын
ㄷㄷ이과문과 통합이론
@user-ny8uq4nb3e
@user-ny8uq4nb3e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예전부터 이 시가 단순한 구애의 시가 아닌 아주 철할적인 시라고 했었죠.
@user-vv2mb4mw4u
@user-vv2mb4mw4u 2 жыл бұрын
이거다
@MrLeeVJ
@MrLeeVJ 3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습니다!💕👍It's so much fun!
@jackjung5513
@jackjung5513 Жыл бұрын
진짜 과학자들 너무 귀엽고 멋지다. ㅋㅋ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서 어떻게든 근거를 마련할려고 하네
@user-tt6fe1rm5c
@user-tt6fe1rm5c 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풀이 해주신점 감동입니다. 많은기대 할께요.
@user-de5hr6ru1w
@user-de5hr6ru1w 3 жыл бұрын
이분한텐 외람된 말이지만 ㄹㅇ 과학채널로 바뀌고 나서 하루에 3영상씩 꾸준하게 본다 개꿀잼 ㅋㅋㅋ
@nickname-normal
@nickname-normal 3 жыл бұрын
과학이란게 참 신기한게 누군가 이론을 제시하면 다른 누군가가 반박함에 따라서 반박하는 것을 다시 반박함으로써 과학이 진화하는게 흥미롭습니다. 코펜하겐 해석도 어떻게 보면 불확실한 해석이지만 반박하는 고전역학파 덕분에 더 확실한 해석으로 자리매김 한 것처럼 말이죠!
@nickname-normal
@nickname-normal 3 жыл бұрын
@제환 엇 오타네요 ㅠㅠㅠ
@khk843
@khk843 3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 사이비
@user-ew3qw4ru7j
@user-ew3qw4ru7j 2 жыл бұрын
@@khk843 양자역학 사이비 사이비
@jhlee5096
@jhlee5096 Жыл бұрын
정반합이라고 하지요 ㅎㅎ 과학은 참 재밌는것같습니다
@user-ze9iw3qg2v
@user-ze9iw3qg2v 9 ай бұрын
역사가 다 그렇죠 성벽을 부수는 대포가 나와서 성벽이 사라지는게 아니라 대포도 버티는 성벽의 축조술이 발달한 것처럼
@gomkuma
@gomkuma 2 жыл бұрын
와 어제 침대에 누워서 이 시리즈 보다가 꿀잠 잠! 닐스 보어, 아인슈타인 고마워요!
@user-fl9jj7wj5m
@user-fl9jj7wj5m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양자역학이 없었으면 지금의 시뮬레이션,초끈이론,경관다중우주,주기적다중우주 이론들이 안나왔을거에요. 우주는 솔직히 이론이 있어야 재밌는데 하이젠베르크형님이 재미를 더해져서 고맙죠
@LEGO-kj5xz
@LEGO-kj5xz 3 жыл бұрын
내가 본 양자역학 영상중에 몰입도가 가장 높았다. 역시... 대립과 갈등의 구도가 녹아 있어야 재미있어지는듯ㅋㅋㅋ 슈타인이형땜에 다음편이 기다려지네ㅋ
@lIllIlIlllIlIlI
@lIllIlIlllIlIlI 3 жыл бұрын
0:59 과학계 전설의 짤.. 고전물리학에서 현대물리학으로의 세대교체의 시작을 알리는 짤
@johnlemon6068
@johnlemon6068 3 жыл бұрын
ㄷㄷㄷㄷ
@WilltoCreate
@WilltoCreate 3 жыл бұрын
ㄹㅇ 영혼의 한타라는 말이 잘맞음 ㅋㅋ
@couragedy89
@couragedy89 3 жыл бұрын
거의 정상해전 급이네... 근데 이 경우는 해군 입장인 쪽이 판정패 ㅋㅋㅋㅋ;;
@user-iu8pv8ny4j
@user-iu8pv8ny4j 3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웅장해진다.......
@whiteee3813
@whiteee3813 3 жыл бұрын
ㄹㅇ 웅장해진다
@user-dx4pv7vs8t
@user-dx4pv7vs8t 2 жыл бұрын
유투브이 순기능!이런 훌륭한 채널을 접하게되어 정말 감사합니다
@user-nb4bt3st4n
@user-nb4bt3st4n 2 жыл бұрын
1900년초반 물리학자들의 학문을 학창시절 배우는데, 배우면 정말 귀중한 지식이라는걸 깨닫게 됨. 그들의 학문에 대한 순수함과 열정, 치열함. 대중들에게 어떻게 이해할지에 대한 고민들 등등. 모든것이 아름다운 학자들의 시대.
@user-se8by9yu4q
@user-se8by9yu4q 3 жыл бұрын
요즘 영상을 자기전에 핸드폰으로 보면 개 꿀잠임... 나중에 보면 중간에 끊겨 있어서 다시 처음부터 봐야함 그래서 난 이해를 하기위해 애초에 노트북으로 앉아서 보고 있음 아무튼 리뷰엉이는 우리에게 영상으로 설명하고 있기에 이해하고 있을 수 있음. 하지만 이해했는지 관측하지 않는다면 이해하지 못한 상태도 중첩을 이루고 있음
@user-xw1yr7ko1f
@user-xw1yr7ko1f 3 жыл бұрын
고도로 발달된 물리학은 철학과 구별할수 없다..ㅎㄷㄷ
@_..-o00o-.._..-o00o-.._
@_..-o00o-.._..-o00o-.._ 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모든 학문의 뿌리는 하나이기 때문에...크으...
@user-vs6nj3kk6g
@user-vs6nj3kk6g 3 жыл бұрын
모든것은 하나로 통한다....
@Mega_Daesung
@Mega_Daesung 3 жыл бұрын
사람 생각이 그럼 거기서 거기지.. 무엇을 형상화하냐의문제일뿐
@시
@시 3 жыл бұрын
철학이 과학의 기초니까 당연한걸
@user-cw1wl8jb6d
@user-cw1wl8jb6d 3 жыл бұрын
원래 고대 그리스에서 철학자들이 자연을 해석하면서 과학이 생겨났었습니다. 그래서 물리학과 철학은 떼려야 뗄수가 없는 관계이죠.
@user-ix2bu1yr9n
@user-ix2bu1yr9n 2 жыл бұрын
진짜 꾸준히 틀어 놓고 보는 최애 영상이에요 너무 좋아요 ㅋㅋㅋㅋ
@titedios26
@titedios26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과학을 배웠으면 정말 기억에 잘 남았겠다..
@pepe.2
@pepe.2 3 жыл бұрын
영화 리뷰하던 과거뷰엉: 히히 인터스텔라로 조회수 땡겨볼까? (5차원에서 양자역학 리뷰하는 현뷰엉: NO! NO! STAY!!)
@user-wk5re6mv6h
@user-wk5re6mv6h 3 жыл бұрын
@Qulaqu La 왜케 도배함
@user-eb8ok1fz5q
@user-eb8ok1fz5q 3 жыл бұрын
@Qulaqu La 초기상태를 0,0 기존방향 + 로 가정해볼 때, 이것이 역전 되어서 방향이 -로 바뀌고 이것의 영향은 0,0 을 넘어 -x,-y로도 가게끔 한 것이다 이런 말임?
@vibraniumvr
@vibraniumvr 3 жыл бұрын
@Qulaqu La 당연한거 아님?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X 흐름의 순서만 바꾼다 O
@user-wg8ph7qr9h
@user-wg8ph7qr9h 3 жыл бұрын
@Qulaqu La 뭔소린지 모르겠는데 시간이 되돌아간다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구나 난 그냥 인버젼하면 시간이 반대로 흐르는구나만 생각하고 봤는데
@_Meteor
@_Meteor 3 жыл бұрын
관련 영상 태초부터 본 사람으로서 너무 기다렸던 솔베이 6차 회의... 개꿀잼이야 ㅠㅠ
@user-zz3td7ky9e
@user-zz3td7ky9e Жыл бұрын
개미챴다… 슈뢰딩거 고양이 영상으로 시작해서 5,6차 솔베이회의 영상 보는데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싸움관전잼… 어떻게 저런 생각들을 했을까 놀랍기도 하고 대단…👍🏻 보는 내내 철학같은 느낌도 들고 완전 재밌게 보고 갑니다
@user-je3ym3pf9z
@user-je3ym3pf9z 2 жыл бұрын
요즘 양자역학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 문과 학생인데, 이 영상으로 교양적인 지식을 잘 쌓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리뷰엉이 님 다른 영상도 시간 날 때마다 많이 보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Daniel1Park
@Daniel1Park 2 жыл бұрын
어디감히 문과충이
@angrycraft2138
@angrycraft2138 2 жыл бұрын
@@Daniel1Park 문찐이든 이과충이든 리뷰엉덩이의 맛만 좋으면 그만
@user-yj3kf4ot8c
@user-yj3kf4ot8c 2 жыл бұрын
문과가 감히 이과 지식을 논해?
@hskim5249
@hskim5249 2 жыл бұрын
?답글 왜 이래 말할 수도 있지ㅋㅋㅋ 이과가 그리 높으세요?
@user-rc8gk2bw3p
@user-rc8gk2bw3p 2 жыл бұрын
답글 이과부심 ㅅㄲ들 강남 대치동오면 평범한 수준
@user-hi5hc2gq3z
@user-hi5hc2gq3z 3 жыл бұрын
양자 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리처드 파인만
@user-gt4ci5tr1r
@user-gt4ci5tr1r 3 жыл бұрын
"고래 싸움에 내 대가리 터진다"
@user-qx8kw8xu2r
@user-qx8kw8xu2r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q5ce2ks4d
@user-sq5ce2ks4d 3 жыл бұрын
난 터질 대가리도 없었다
@jiyoo6448
@jiyoo6448 2 жыл бұрын
이 싸움 시리즈는 다시봐도 재밌네 ㅋㅋ
@_SICHA_
@_SICHA_ Жыл бұрын
과학이 발전할수록 철학이 되가는 느낌이네요
@user-ec5vz2ml7m
@user-ec5vz2ml7m 3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도 안봤고 엔트맨도 안봤고 양자역학은 전혀 모르는데 너무 재밌게 설명하심....... 양자역학이라고만 들어서 어려운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julius_chun
@julius_chun 3 жыл бұрын
헉 영화 채널이었나!... 잘봤습니다
@stmn8859
@stmn8859 3 жыл бұрын
ㅎㅎ 이분이 여기에 ㅎㅎ
@user-um7dp4mj5t
@user-um7dp4mj5t 3 жыл бұрын
댓이 두개밖에...
@user-yp7ml5pd8r
@user-yp7ml5pd8r 3 жыл бұрын
지식채널인데 최근에 영화채널인척 하더라고요ㅎㅎ
@MARK82_onyour
@MARK82_onyour 3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를 리뷰한 이후부터...사람이 바뀌었어요...
@feraltiger3
@feraltiger3 3 жыл бұрын
헉 댓글덕에 영화 채널인걸 알았어요.ㅋㅋㅋㅋ.
@user-vm6ho4uv4u
@user-vm6ho4uv4u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잘봤고 내용은 정말 좋습니다
@user-px4em8xl9d
@user-px4em8xl9d 2 жыл бұрын
양자 역학 전문 채널인줄 알았어요 감사합니다
@user-vt9jp2ny6i
@user-vt9jp2ny6i 3 жыл бұрын
빨리다음편 빨리!
@chordzin
@chordzin 3 жыл бұрын
영화채널이지만 다른 과학채널에서 봤을 때 고개를 갸웃거렸던 것까지 자세하게 설명해서 개꿀임.
@0k75
@0k75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재밌는 싸움은 처음이다
@lhk0186
@lhk0186 3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좋은영상 잘보고갑니다.
@SB_ROH
@SB_ROH 3 жыл бұрын
닐스보어 관점에서 5, 6차 솔베이 회의에서의 심리묘사를 영화로 만들어도 손색이 없겠는데..? ㄷㄷ
@oneiro_kopelitsa
@oneiro_kopelitsa 5 ай бұрын
역시 영화리뷰 유튜버셨네 ㄷㄷ
@user-rh3wv8js6m
@user-rh3wv8js6m 3 жыл бұрын
영화 유투버에서 과학유투버로 전향하더니 이제는 연기까지 욕심을 내는 그는 대체...
@user-qx9wz6kh8x
@user-qx9wz6kh8x 4 ай бұрын
양자세계에서는 시간이 0 이기 때문에 즉, 시간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속도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당연히 시간이 흐른다고 여기는 우리의 거시세계관으로는 양자얽힘이 빛보다 빠르다고 착각?하는 거 같습니다만... 특수상대성이론은 빛보다 빠른건 있을 수 없다라고 하는데 양자미시세계에 시간이 없다면 속도는 의미가 없겠죠(속도 분수식에 시간을 0으로 대입하면...) 시간이 없다면 속도, 위치가 있겠습니까? 즉, 특정할 수 없겠죠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에서는 파동으로서 모든 곳에 동시에 중첩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겠죠... 상호작용으로 파동으로서의 양자세계가 깨져 입자화되어 시간(엔트로피)이 있는 거시세계로 구체화되며 속도, 위치 등이 특정되는 거 아닐까... 우리 거시세계는 모두 상호작용으로 이뤄지고 작동되는 것 같습니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없으면 엔트로피가 있는 우리 거시세계를 설명할 수 없을 거 같구요...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를 이해하기 어렵겠죠... 상호작용으로 시간이 생성되는게 아닐런지... 즉 상호작용이 곧 시간이 될 수 있겠네요! 빛과 관련해 보면 빛이 상호작용의 요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거시세계에 빛보다 빠른건 없다는데 빛과 상호작용하여 우주가 생성되는거라면... 우주는 시공간이니 그걸 만드는 우주 생성 요인보다 더 빠른건 거시세계에 있을 수가 없겠죠! 시간(=엔트로피 =상호작용)이 거시세계의 근본 같네요... 변화, 소멸, 죽음 등이 다 엔트로피 아니겠습니까? 거시세계의 특정존재가 소멸하면 파동화되어 시간이 없는 모든 가능성을 지닌 절대적인 미시세계(우리 인간의 관점에서 이 미시세계가 영혼의 정신세계가 아닐런지...)로 가고 또 어떤 계기로 상호작용해 시간이 있는 상대적인 거시세계로 입자화되어 나타나는듯... 마치 윤회처럼... "상호작용(관측, 관계)이 시간이다" 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동영상 참고!!! 논문
@Handleodd
@Handleodd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찾지못했을뿐이지 정확하고 완벽한것은 있을거같다..
@jok3ror0
@jok3ror0 3 жыл бұрын
요즘 너무 유익하고 재미.....zzz
@ONE_O.L
@ONE_O.L 3 жыл бұрын
자지마 ㅋㄱㅋㄲㅋㅋ
@USArd
@USArd 3 жыл бұрын
16:07 요약
@user-wl5xz9uo3v
@user-wl5xz9uo3v 3 жыл бұрын
그림 누가그렸습니까ㅋㅋㅋㅋㅋ너무 귀엽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
@tpdbsid1
@tpdbsid1 4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고 유익해요 부엉이 너무 귀여워여ㅋ
@healtube9786
@healtube9786 Жыл бұрын
다른 물리학 유튜버보다 훨씬 이해 잘 되네요
@user-ct4uh7dg8d
@user-ct4uh7dg8d 3 жыл бұрын
와 ㅋㅋㅋㅋ 보어 논리 진짜 대단하네요 친구가 앞에있어도 눈을감으면 사라지고 친구를 눈으로 볼 때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친구는 (친구의이름)가 아닌게 되는거네요
@billskarsgard2599
@billskarsgard2599 3 жыл бұрын
와 겁나 재밌다 형오빠형 나 영상에 나오는 브금들 다 알려줘 수학풀때 들을꺼야
@user-qp4ww5ve2k
@user-qp4ww5ve2k 2 жыл бұрын
수학,물리학은 언제 들어도 좋아요.
@user-dt9el3wi8h
@user-dt9el3wi8h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제가 진짜 물알못이라 그런데 보어가 반박한 거에서 요즘 기술처럼 디지털이 발달한다면 추를 관측을 안하고 눈금을 관측안하고 객관적인 값을 전달할 수 있을것같은데 디지털장치로도 똑같나요??
@ychj2189
@ychj2189 3 жыл бұрын
부엉이 뇌의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나는 잠을 잔ㄷ....
@user-yq9sr7of9l
@user-yq9sr7of9l 3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 처음 들었을 때 이게 뭔 뻘소리지 했는데 점점 설득되고 있어..
@user-sj3qp5ci4b
@user-sj3qp5ci4b 5 ай бұрын
양자역학을 이렇게 쉽게 정리해주시다니. 신기하네요.
@user-by3pd3hu2u
@user-by3pd3hu2u Жыл бұрын
마치 주식에서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의 싸움을 보는듯한 웅장함이네요
@user-fn3be5ct8b
@user-fn3be5ct8b 3 жыл бұрын
아이슈타인의 열정이 미시세계를 열어준거네;;;
@user-co4sw3ul3h
@user-co4sw3ul3h 3 жыл бұрын
보어가 말을 쥰나 애매하게 해서 뭐든 다 성립되네 ㄷㄷ똑똑하다
@user-zm2gn3yj5l
@user-zm2gn3yj5l 3 жыл бұрын
이쯤되면 문이과 최상급은 되어야 물리할듯ㄷㄷ
@zoekim8456
@zoekim8456 2 жыл бұрын
변증법적으로 이야기 하면 대부분 피해갈 수 있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는거죠.. 결국 풀리지 않는 숙제라는 결론만 남을뿐
@Kim-yq6ku
@Kim-yq6ku 2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은 원리를 자신의 상상과 예측으로 증명해냈고. 사실 보어는 그현상을 발견하고 그것을그대로 정리해둔정도아닌가요. 갠적으로 대단한건 아인슈타인.
@user-ge6ey6gr6v
@user-ge6ey6gr6v 2 жыл бұрын
@@Kim-yq6ku 저는 보어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양자역학의 대가. 지금와선 보어의말이 다맞았죠. 아인슈타인이 인지도나, 상대성이론으로 유명해진건맞고 대단한 사람인건 맞습니다만, 20세기 물리학계에선 보어만큼 똑똑한사람은 없다보고 칼텍 물리학과 교수들도 가장존경한다 말할정도였죠
@irismarigold
@irismarigold 2 жыл бұрын
즉, 중의적표현을 일상에서도 써먹는 사람을 가까이하지마시오.
@Kamilia0421
@Kamilia0421 9 ай бұрын
마지막 상자속 시계 사고실험에서 굉장히 정확한 전자시계와 굉장히 정확한 전자저울이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그 값을 측정한다해도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가 적용될까요??
@pup5355
@pup5355 Жыл бұрын
하 이영상 3번째 본다.. 이제야 좀 귀에 들어오네..ㄷㄷㄷ
@seokyi8577
@seokyi8577 3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가 영화유튜버인지 과학유튜버인지는 시청자 각자의 알고리즘으로 처음 리뷰엉이를 관측한 영상으로 결정됩니다. 완벽한 이해 ㅇㅈ?
@user-ip5bp2te2z
@user-ip5bp2te2z 3 жыл бұрын
역시 이렇게 또 17분간 양자역할을 보고 나니 양자역학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겠네
@mingtube8470
@mingtube8470 Жыл бұрын
제가 영상을 본건지, 영상이 제 앞에서 틀어진건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한건지 안한건지 모르겠지만 마음속에서는 감사함이 나오네요^^
@user-pd9vk7vm6z
@user-pd9vk7vm6z Жыл бұрын
진짜 철학에서 양명학이 설명하는 이론과 너무 똑같아서 듣다보니 너무 재밌다,,. ㅠ
@user-mm8sd2si1y
@user-mm8sd2si1y 3 жыл бұрын
진짜 세계관 최강자들의 싸움이다..
@Unknownscience
@Unknownscience 3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에대해서 재밌게 설명하셨네요.^^
@NENE-to7pi
@NENE-to7pi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양자역학 영상으로 입덕해서 슈뢰딩거 고양이 다보고 여기까지 넘어왔어요 광광 과학영상 정말 좋습니다 다음 다음편도 기다릴게요!! 좋아요 구독도 눌렀어요 !!
@leagueoflegends_official
@leagueoflegends_official 2 жыл бұрын
첫번째 반박에 대해 상자가 유리로 되어 있다면 어떨까요? 두번째 반박에 대해 전자로 눈금의 위치를 나타낸다면 어떨까요?
@user-oq6kn4fv4f
@user-oq6kn4fv4f 3 жыл бұрын
둘다 천재여서 나만 대가리깨지네..
@smokemirror1583
@smokemirror1583 3 жыл бұрын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user-eo9rd6zd8o
@user-eo9rd6zd8o 3 жыл бұрын
어 그 다람이 그림 어디서남
@user-zl1me9kx6v
@user-zl1me9kx6v 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세기의 천재들의 대결이다
@user-rq9vc2gf3t
@user-rq9vc2gf3t 3 жыл бұрын
눈금에서 숫자로 표현하면 정확한 숫자로 표기할수있어서 대략적인게 아니라 대체가 가능하고 상자속 시계의 눈으로 확인하는것은 똑같은 시계를 2개를 만들어 한개는 상자안 나머지 한개는 밖에서만 확인하면 동시에 상대가 말한 반박을 다시 반박할수있음
@artkim5367
@artkim5367 3 жыл бұрын
진짜 천재다ㅋㅋㅋㅋㅋ 와 광자를 이렇게 측정한거였군아
@user-fq6pt1pl8q
@user-fq6pt1pl8q 3 жыл бұрын
과학과 철학과 논리의 만남... 웅장하다... 실재했던 영화 그 자체로다
@user-cu8xy7zu3y
@user-cu8xy7zu3y 3 жыл бұрын
오늘의 asmr 근데 양자역학을 곁들인
@user-lb5qu5fg5k
@user-lb5qu5fg5k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님 영상을 끊을수가 없어……..
@wprt2852
@wprt2852 Жыл бұрын
너어무 재밌어요 ㅎㅎㅎ
@user-hk8gg3tw1n
@user-hk8gg3tw1n 3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듣고 이해를한다면 제대로 이해못한 사람이다"
@user-cf7kn3wn8l
@user-cf7kn3wn8l 3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이해를 못한 사람도 이해를 못한 것이다."
@user-hk8gg3tw1n
@user-hk8gg3tw1n 3 жыл бұрын
@@user-cf7kn3wn8l "ㅅ발 왜만들었지"
@user-dw6bk5zw8u
@user-dw6bk5zw8u 3 жыл бұрын
@창조주아들 뭐노 닉값 오지게하네
@user-he9tr3so4v
@user-he9tr3so4v 3 жыл бұрын
뭔 개소리고 영상자체가 이해하라고 만든건데
@mybloodyvalentine2316
@mybloodyvalentine2316 3 жыл бұрын
@@user-he9tr3so4v 저거 원래 있는 말인데
@wddsnsd
@wddsnsd 3 жыл бұрын
슈타인형님이 코펜하겐해석을 싫어한다기보다는 반대되는 해석 논리 등을 계속 제시해줘야 틀린이론이면 틀렷다고 될것이고 맞는이론이면 더 완벽해지기때문에 계속 그러신게 아니셧을까 싶음 선의의 경쟁같은거랄까 쨋든 과학자들이 저렇게 싸우는건 좋다고봄 정치인들 싸우는건 국민만 피해보는데ㅠㅜ
@dook6523
@dook6523 2 жыл бұрын
미시...세계... 정말 꼭 가보고 싶네요
@lens8933
@lens8933 2 жыл бұрын
아진짜너무웃곀ㅋㅋㅋ마지막엨ㅋㅋ이해를하는지안하는짘ㅋㅋㅋㅋ 그 포인트에서 구독하고갑니다..
@user-fg8fy2tu7n
@user-fg8fy2tu7n Жыл бұрын
곀ㅋ엨ㅋ짘ㅋ거리넼ㅋ
@frhyewfwd2579
@frhyewfwd2579 9 ай бұрын
와 몰입감 미쳤다... 다음편으로 깊이감있게 이어지는 것도 채널의 퀄리티를 높이 사게 만드는 점
@user-cd9bd5xv5w
@user-cd9bd5xv5w 3 жыл бұрын
와따 아인슈타이 힌국말 겁나 잘하네
@koreawp
@koreawp 3 жыл бұрын
천재니까ㅋㅋ
@天魔
@天魔 3 жыл бұрын
힌국인급
@user-hi9xi7ff2r
@user-hi9xi7ff2r 3 жыл бұрын
근데 광자는 질량이 없지 않았나요?
@souvenior111
@souvenior111 3 жыл бұрын
@@user-hi9xi7ff2r E=mc^2에 의해 에너지인 광자는 질량입니다
@user-xn5nv5um2j
@user-xn5nv5um2j 3 жыл бұрын
@@user-hi9xi7ff2r 정지 질량은 0인게 맞아요 빛의 속도로 움직이면서 에너지를 갖음
@sinsiyun-1
@sinsiyun-1 2 жыл бұрын
존나 재밌네요. 이 대립 구조를 영화로 만들면 대박일 것같아요.
@glennj.h9441
@glennj.h9441 2 жыл бұрын
단순히 궁금한 점인데요, 6차 솔베이 회의에서 아인슈타인 사고회로의 '시계'가 창문을 열었다 닫은 시간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있다면 어떻게 반박할 수 있을까요?
@user-xk7rd7iz9z
@user-xk7rd7iz9z 10 ай бұрын
상대성이론에의해 반박됨
@user-ge6ey6gr6v
@user-ge6ey6gr6v 3 жыл бұрын
닐스보어 20세기 최고의천재.. 갠적으로 굉장히 존경합니다. 과거책을 보면 미친또라이수준으로 똑똑하죠 물리학 양자역학의 왕초. 나중에는 보어말이 다맞았죠. 해외교수들도 인정하는바.어릴때 원자모형 변천사보고 잘참조했던 기억이있네요.
@check9269
@check9269 3 жыл бұрын
비록 양자역학을 반대하기 위해서 열심히... 뭐... 그랬지만 아인슈타인은 진정 천재입니다.. 일반상대성이론 공부하면서 더 그렇게 느낌! 이렇게 명쾌하고 쉽게 중력을 기하학으로 표현할 수가 없음.. 기하학과 선형대수, 그리고 고급 calculus 공부했다면 양자역학보다 일반상대성이론을 더 쉽고 간단하게 공부할 수 있음. 그의 이론자체가 그렇기 때문.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거의 정확하다 싶을 정도의 적은 오차로 실험적으로 맞다고 검증되고 있음.. 그는 진정 천재임.. 공부하면서 책상을 몇번이나 쳤는지 모름, 그에 반해 양자역학은 이론을 수립하면서 삽질도 많이하고,, 옛날 걸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면서 나온거라 ... 좀 지저분한 느낌이야 배우기에도 뭐가 많아,,... 쩝.. 물론 둘다 위대하고 오묘한 지식들이지만 말이야. ㅋㅋㅋ 천체물리학은 이론적으로나 실험기구들면에서 이전에는 누리지못했던 엄청난 발전을 했고, 지금 사실 정점에 올랐어.. 앞으로 우주시대를 맞아하여 더 그렇게 될 것임.특히 대학 학부수준에서 양자나 반도체만 주구장창 연구하며 가르칠게 아니라 일반상대성이론을 교과목을 넣어야 할텐데.. 얘들아. 천채물리학과 우주론을 해라 앞으로 대세가 될것이다,
@hotpolarbear
@hotpolarbear 2 жыл бұрын
미쳤다 이 시리즈중에 상자속 시계 사고실험 첨 봤는데 반박하는 닐스 보어 주장에 소름이 돋는다 와 개 쩔어
@adadaddugen
@adadaddugen 2 жыл бұрын
세상 사람들이 모두 이 과학자들처럼 경쟁할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user-oy3sn2mr3b
@user-oy3sn2mr3b 2 жыл бұрын
이미 우주에 식민지 개척하고 있을듯
@setakwhoandgunzo3816
@setakwhoandgunzo3816 2 жыл бұрын
아니면 그 어떤 편견과 혐오없이 서로를 사랑할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sobanii
@sobanii 2 жыл бұрын
@@user-oy3sn2mr3b 식민지 뜻은 알고 말하는 거지? 식민지는 미개한 사람들이 만드는 거고.. 제대로된 지성인들이 식민지를 만들겠니..
@loooook
@loooook 2 жыл бұрын
@@sobanii ?
@user-ug6wp2te7m
@user-ug6wp2te7m 2 жыл бұрын
@@sobanii ? 그게 뭔
@5niper_
@5niper_ 3 жыл бұрын
난 분명 과학관련 영상을 보고 있는데 왜 사단칠정이 떠오르는걸까
@user-xijinpingping
@user-xijinpingping 3 жыл бұрын
세상에 도움이 안되는 논쟁vs 도움이 되는 논쟁
@whoisit-
@whoisit- 3 жыл бұрын
그럼 이 채널도 내가 발견하기 전까진 존재하지 않는 채널인 것인가
@user-jj3mc7hs1n
@user-jj3mc7hs1n 3 жыл бұрын
관측자는 인간에 한하지 않아욤!
@roacp2217
@roacp2217 3 жыл бұрын
내가 봤기 때문에 존재하는 채널임. 저를 믿으셈
@user-kc4tf5df3c
@user-kc4tf5df3c 3 жыл бұрын
데이터 이기 때문에 적용 논외일수도...?
@deidara_senpai
@deidara_senpai 3 жыл бұрын
기민석 데이터는 누가 관측할건데
@Withshrimp
@Withshrimp 3 жыл бұрын
채널 만든 사람이 가장 먼저 보죠.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2 жыл бұрын
솔베이정모 이야기는 다시 봐도 재미있어요. ㅋㅋㅋ
@hoapacharm1928
@hoapacharm1928 Жыл бұрын
무게 바늘이나 속도 시계를 눈으로 관측하지 말고 순간적인 디지털 기록장치로 기록해 외부에서 보면 관측으로 인한 영향을 안받고 무게와 속도를 알 수 있고 무게가 줄어서 시간이 빨라진 건 그에 따른 수학적 보정을 하면 가능하지 않을까여.. 그런 보정식은 아직 안나왔을까여ㄷㄷㄷ
@concialist4976
@concialist4976 3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이 이렇게 꿀잼이라니 ㅋㅋ 노잼을 꿀잼으로 만드는 능력이 있으시네요. 감탄하면서 봤습니닼ㅋㅋ
@udrking
@udrking 3 жыл бұрын
과학을 이렇게 재미있게 만들다니 ㅋㅋㅋㅋㅋ
@user-bz9bo4kb1s
@user-bz9bo4kb1s 2 жыл бұрын
이제부터 이 채널은 미시세계 그 자체다
@user-wc2qm6tb6v
@user-wc2qm6tb6v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시절 양자역학에 대해 흥미가 생겨 공부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보어의 천재성에 깊게 감탄을 했었음 흔히들 아인슈타인이 천재라고 하는데 그 천재의 논리에 정확한 논리로 반박 할 수 있는 사람 또한 천재 일텐데 그게 보어였음 그때 양자역학의 발견 과정과 학회에서의 연설에 얼마나 감탄했으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 뉴턴이여서 뉴턴 사진을 가지고 다녔는데 보어로 바꿔버림
@Atrocityexhibition2016
@Atrocityexhibition2016 Жыл бұрын
보어 아인슈타인 둘 다 과학사 통틀어서 다섯손가락에 뽑히는 초천재들이라고 생각함... 다시 나올까 이런과학자들이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2 МЛН
Can teeth really be exchanged for gifts#joker #shorts
00:45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아인슈타인, 그를 아십니까? 아인슈타인의 삶과 업적
15:06
안될과학 Unreal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495 М.
원자를 이해하는 가장 우아한 방법
35:33
DMT PARK
Рет қаралды 477 М.
The Solvay War! And Schrodinger Cat! - Quantum Mechanics Last Part
23:03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732 М.
Телефон в воде 🤯
0:28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Идеальный чехол для iPhone! 📱 #apple #iphone
0:36
Не шарю!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1$ vs 500$ ВИРТУАЛЬНАЯ РЕАЛЬНОСТЬ !
23:20
GoldenBurst
Рет қаралды 660 М.
Урна с айфонами!
0:30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