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타이어 바람은 많이 넣는게 정말 더 좋은걸까?

  Рет қаралды 373,913

픽플러스

픽플러스

Жыл бұрын

#여름철#공기압#연비#제동거리
:: 내 차 팔 땐 픽플러스!
- www.pickplus.net/
:: 폐차할 땐 막차폐차!
- makcha.co.kr/
:: 촬영의 안전을 위해 관계자가 함께 동행하고 있습니다.
:: 실험 차량 중 모자이크는 협력 폐차 업체의 요청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실험 차량은 픽플러스와 협력 폐차 업체의 차량이며, 영상에 따라 폐차 차량으로 진행됩니다.
※ 비지니스 제휴 문의
info@pickplus.net

Пікірлер: 690
@user-jx7jb7dh5i
@user-jx7jb7dh5i Жыл бұрын
와 픽플러스 영상중에서 시트 에어백하고 그리고 이번영상 개문사고의 위험성이 3개 영상은 운전면허 시험보기 전 교육용 영상으로 써도 충분할 듯합니다. 좋은 영상고맙습니다. ㅎㅎ
@jsp5317
@jsp5317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과 관련해서 대부분의 차주들이 관리를 안하기 떄문에 서비스센터같은 곳에서 적정 공기압 보다 조금 더 넣어 둔다는 영상을 본적이 있네요.(보통 10%~20%정도 더 넣은다는 얘기였던것 같습니다.)
@skylinewan7654
@skylinewan7654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여름에 공기압을 많이 넣으라는 이야기는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여름이면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해서 오히려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보다 높아져서 뺴줘야 하는 경우가 많고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 공기압이 낮기때문에 추가해주는 경우가 더 많은데 예전 뉴스에서 저런 잘못된 정보를 뿌렸다는게 참 별로군요. 정확한 정보를 전해주는 픽플러스가 있어 참 다행입니다.
@Marunare
@Marunare Ай бұрын
그렇죠
@user-ihpls
@user-ihpls Ай бұрын
저도 유튜브에서 여름에 공기를 더 넣으란소릴듣고..상식적으로 그게 맞나 하는생각이 들었습니다..유튜브에 상식도 없는 정보가 너무 많이 돌아다님
@lauther58285
@lauther58285 Ай бұрын
열 받은 고무가 늘어나면서 그만큼 공기를 더 넣으라는 말이 나온 게 아닐까요?
@user-qy4bq3xz3k
@user-qy4bq3xz3k Ай бұрын
@@lauther58285 아니에요 좀 말같은 소리를...여름에는 적정을 넣어도 달리다보면 5-6은 올라갑니다. 바닥이 뜨거워서 자동으로 팽창합니다.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Ай бұрын
@@lauther58285네 아닙니다
@scottpark2075
@scottpark2075 Жыл бұрын
역시 적정공기압이 최고네요. 연비를 위해서라도 적정공기압으로 넣어야겠네요.
@miaou1136
@miaou1136 Жыл бұрын
역시 실험정신 갑 픽플러스 !!!!
@twoluna
@twoluna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차량에 적혀있는 적정 공기압은 냉간시 기준입니다. 차를 주차 후 밤 새 타이어 온도가 식은 다음 측정했을 때의 공기압.
@kimjiniinii
@kimjiniinii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래서 공업사에서는 그것보다 많이 맞춤 이미 열 받아있는 상태라
@user-ne3dg3lv9j
@user-ne3dg3lv9j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정보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user-ln7is4fq6b
@user-ln7is4fq6b Жыл бұрын
역시 많은 도움이 되는 영상입니다 잘봤습니다 수고하셨어요^_____^
@joshuakim6934
@joshuakim6934 Жыл бұрын
현직 자동차 정비사입니다. 타이어 공기압 주입기 사용시 적정 공기압 대비 1~2 psi 더 높게 잡으시는게 좋습니다. 공기압 주입기가 측정하는 공기압은 정확하지 않아 적정 공기압으로 주입했다 할지라도 다시 주입하면 세팅한 공기압 보다 1~2 psi 더 적게 나옵니다. 여름철에는 36~37 psi, 겨울철에는 38~40 psi 주입하시는걸 권장합니다. 아스팔트 지열이 높은 여름철에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주입한 공기압보다 더 높은 공기압이 측정되고, 겨울철에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수축하여 주입한 공기압보다 낮은 공기압이 측정됩니다.
@user-yt4rd6gu5c
@user-yt4rd6gu5c 14 күн бұрын
​@@user-ux4dh4ro5y여름 겨울 걍 다 40넣으세요 아무 상관없습니다
@moohangtv
@moohangtv Жыл бұрын
토요일에 픽플러스 영상이라니 잘 보겠습니다!😆
@saturn0927
@saturn0927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했던 공기압 문제 ... 궁금증 해결 역시!!! 픽플러스
@SNOWKANG-4404
@SNOWKANG-4404 Жыл бұрын
타이어마다 적정공기압이 다름..차량출고 공기압은 기본타이어용임.공기압은 냉간시 기준으로 함..주행후 공기 주입시 기준에 맞춰 조금 높아 보일 수 있으나 냉간시에 4~5 낮아짐...
@hwanju94
@hwanju94 Жыл бұрын
햇빛 없는 그늘에 3시간 이상 세워놓고 (햇빛때문에 한쪽타이어만 압 높아지면 안되니까) 그상태에서 운전석 열면 적혀있는 표준공기압에 맞추시면 됩니다.
@samharkode
@samharkode Ай бұрын
와 감사합니다~! 진짜 좋은 영상입니다!!! 저도 공기업 더 넣으면 연비에 좋을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user-lr9xt5em2z
@user-lr9xt5em2z Жыл бұрын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ber-mensch
@Uber-mensch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 엔진오일 점도 수십년 전부터 통용되던 상식들이 픽플러스의 실험으로 교정되고 있네요. 이젠 제 수십년 경험과 선배들의 조언으로 알고있는 상식을 맹신하지 말고 제조사의 메뉴얼을 다시 읽어봐야겠네요. 또 앞으로도 잘못된 자동차 상식을 파괴해주세요~~
@jinj4304
@jinj430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fpxjs
@fpxjs Жыл бұрын
서비스 센터갔다왔더니 40 들어갔다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좋은정보 얻었네요
@JAPAN110
@JAPAN110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Donghyeon.90.30
@Donghyeon.90.30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BA-BAM-PPYAP
@BA-BAM-PPYAP Жыл бұрын
음... 제가 잘못알고있었네요 이때까진 여름은 온도가 높으니 공기가 팽창하니까 조금 적게 넣고 겨울은 온도가 낮아서 공기가 수축하니 조금 많이 넣어야 하는줄 알았는데 지금부터라도 적정공기압 맞춰서 넣어야 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xeno-99
@xeno-99 Жыл бұрын
오프로드의 경우 험지 돌파를 위해 좀 낮게 하는 경우가 있지만 평범한 경우는 정말 매뉴얼에 나온대로 하면 딱이죠 괜히 매뉴얼에 있는게 아닌데 말이죠 ㅋㅋㅋ
@n1ceman0
@n1ceman0 Жыл бұрын
네!!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jh6469
@kjh6469 3 күн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네요. 저는 여름에 오히려 공기압을 1-2psi정도 줄입니다. 추울 때는 주행해도 공기압이 잘 안 올라가죠. 겨울엔 그래서 더 넣습니다. 크면 열용량이 커서 더 좋을 줄 알았는데 늘 적정공기압으로 사계절 다니면 되겠네요.
@kcrollerskate3404
@kcrollerskate3404 Жыл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user-px7dl2kr6t
@user-px7dl2kr6t Жыл бұрын
요즘 휴대용 무선 공기압 주입기도 5만원 선으로 구입 가능하죠 국산차 등 보통 차량의 트렁크에 있는 시거잭을 꽂아서 쓰는 리페어킷 컴프레셔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르지만 여러가지 번거로움 때문에 안쓰게 되더군요 5만원 들여서 하나 구입하신 뒤 한 달에 한 번 정도 공기압 체크 해주면 정말 좋습니다~_~ 밤샘 주차 후 타이어가 열을 받기 전인 출발 전에 차량 운전석 도어 안쪽에 적힌 공기압 만큼만 넣어 타면 가장 좋습니다 블루핸즈나 오토큐, 기타 정비소에서 공기압을 40으로 맞춰주는 이유는 차량이 운행 중에 들어온거라 기본적으로 압력이 높을 걸 고려함과 동시에 휠 인치가 커지면서 편평비가 낮아져버린 요즘 타이어 특성상 공기 주입량이 적어서 적정 공기압을 넣으면 몇 달 못가고 공기압 경고등이 뜨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럼 차주 입장에선 공기압을 다시 충전하러 가야하는 번거로움(비용 발생)과 동시에 차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서는 왜 공기압 체크 안해줬냐라는 민원이 발생하기도 하죠.. 그런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그냥 40에서 42 정도까지 쑤셔넣어주는거지 그 수치가 차에 좋아서 올려 넣어주는 건 절대 아니에요
@ms...83
@ms...83 Жыл бұрын
전 그래서 차량을 미사용한 후에 적혀있는 공기압을 맞춰놓았네요. 원래 방법은 그렇다고 해서요. 그러니 여름에 39 까지 약 5 정도 상승 하더라구요. 겨울에는 약 2정도 올라가구요. 현재는 이 상태로 유지 중이네요.
@wnjqkq9179
@wnjqkq9179 Жыл бұрын
적정 공기압을.. 자동차 제조사 vs 타이어 제조사 어느 것으로 맞춰야될까요? 현재 타고 있는 차량 제조사의 적정 공기압은 35/30인데 반해 타이어제조사의 적정공기압은 38psi 더군요..
@user-nk9er2eb4c
@user-nk9er2eb4c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uk9431
@uk9431 2 ай бұрын
카센터 공기압은 40이 거의 표준 수준이죠. 적정 공기압이 보통 32~35 이내인데 그런거 신경 안쓰고 대부분 40으로 넣어줍니다. 제동거리 테스트에 40이 있었으면 좋았을텐데요
@jmpark0412
@jmpark041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제차 공기압보니 37~38 이네여 ㅎㅎ
@user-ps5my4gt7r
@user-ps5my4gt7r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에어컨 배관 보온재 씌웠을때 효과가있는지 궁금하네요 lpg 차량들같은경우는 공회전시 엔진열이많이나서 에어컨이 시원찮다는 글을 본적이있거든요 lpg 차량에 에어컨 배관 보온재로씌웠을경우 효과가있는지 궁금합니다
@analogman1271
@analogman1271 Жыл бұрын
연비나 브레이킹은 특별히 여름철에 한정되는 얘기는 아니고 제 생각에 여름철 공기압을 많이 넣어야 한다는 것보다는 너무 낮으면 안된다는 말이 있는 걸로 알아요. 그건 여름철에 공기압이 너무 낮은 상태에서 고속주행하면 스탠딩 웨이브 현상에 의해 타이어가 파열될 수 있다는 것 때문이지요. 계절에 따른 기온 차이가 공기압에도 영향을 미치니 계절이 바뀔 때마다 체크를 해서 상시 제조사 권장 공기압 수준으로 맞추면 될 일로 보입니다.
@user-vb3il8ig6s
@user-vb3il8ig6s Жыл бұрын
주유소나 충전소 구석에있는 공기압넣는기계는 상태안좋은거나 압측정표시가 이상해서 그냥 트렁크밑바닥에있는 화면에나오는 펑크수리킷 주입기계이용합니다 너무시끄러워서 단점이지만 정확함
@user-yl6uf4ge4z
@user-yl6uf4ge4z Жыл бұрын
테스트 순서를 바꿔 가면서 한건지 궁금하네요. 35, 45, 20 순서로 같다면 35가 젤 유리함 35,45,20,35 이렇게 하는게 좋을거 같네요
@Bluecloud3174
@Bluecloud3174 Жыл бұрын
항상 40pis 맞췄는데 적정 공기압으로 맞춰다녀야겠네요 이런 실험 항상 감사합니다.
@user-yt4rd6gu5c
@user-yt4rd6gu5c 14 күн бұрын
여전히 40넣으시면 됩니다
@Bluecloud3174
@Bluecloud3174 13 күн бұрын
@@user-yt4rd6gu5c 40넣다 정 기압 넣으니까 덜 통통거리고 운전 감이 좋더라구요
@user-yt4rd6gu5c
@user-yt4rd6gu5c 13 күн бұрын
@@Bluecloud3174 아 네
@user-gz1xo3rs8c
@user-gz1xo3rs8c Жыл бұрын
여름과 겨울철 초입에 한번씩 이라도 운전석B필러에 표시된 규정값 맞춰 주세요. 타이어는 안전벨트보다 더 중요한 생명이 달린부품!!! 타이어에 돈아끼지 말기...
@SUPER.TULDDAK
@SUPER.TULDDAK Жыл бұрын
@@freesia2507 멍청한소리 ㅋㅋ 차량마다 자기 휠 인치수에 따른 타이어규격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어느 타이어를 끼든 제조사 권장 공기압이 기준이 됨. 다른 타이어 규격을 껴도 상관없다고 생각한다면 또한 무지한 것. 하우스의 크기와 서스펜션의 장력에 따라 타이어의 크기를 제한함. 미쉐린이든 한국타이어든 공기압은 같다는 말씀~
@user-jt1se6qr7x
@user-jt1se6qr7x Ай бұрын
거기 써있는 공기압은 냉간시의 압력이에요...
@user-yt4rd6gu5c
@user-yt4rd6gu5c 14 күн бұрын
니 보지다
@tv-xd2eh
@tv-xd2eh Жыл бұрын
현직 타이어매장 운영중인데 그냥 평범하게가 제일좋은듯합니다
@monomato
@monomato Жыл бұрын
샤오미 전동 펌프 트렁크에 넣고 다닙니다. 간편하게 넣고 빼고 할수 있으니 좋습니다.
@user-cn5kk6sz4v
@user-cn5kk6sz4v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네요!
@GG999ggg
@GG999ggg Жыл бұрын
제동거리, 연비때문이 아닌 타이어펑크때문에 위험한거라고 댓글쓰려는 찰나 영상 맨마지막에 설명해주시는군요 ㅎㅎ👍
@user-wt1em7jp3i
@user-wt1em7jp3i Жыл бұрын
유막제거 영상보고왔는데 제가 예전에 카센터 갔을때 사장님이 유막제거에는 토치만한게 없다고 토치로 스치듯이 호로록화로록 하시더라고요 진짜로 유막제거 효과가있는지 궁금합니다
@GOOGOOCON
@GOOGOOCON Жыл бұрын
휴대용 공기 주입기 하나 구비해야 되겠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ad7400
@ad7400 Жыл бұрын
정비소 가서 공기압만 채워달라고 하면 눈치주는곳 있어서 전 저번에 하나 삼~ 간편하니 하나쯤 가지고 다니면 편할듯요~
@user-fc5yo9ir6r
@user-fc5yo9ir6r Жыл бұрын
몇몇 차 트렁크에 공기압키트 기본으로 주는거 있으니까 수납함 열어서 확인해보세요
@user-yt4rd6gu5c
@user-yt4rd6gu5c 14 күн бұрын
요즘차들은 트렁크에 공기압 측정주입기 다 들어있음
@hynn9478
@hynn9478 8 күн бұрын
@@user-fc5yo9ir6r 그거 겁나 시끄러워서 민폐임
@qkekwksel7784
@qkekwksel7784 8 ай бұрын
겨울일때도 한번 점검부탁할게요
@woops0423
@woops0423 Жыл бұрын
정비소에선 항상 많이 넣어주더라고요 그래서 공기압게이지로 적정공기압 마춰서 겨울엔 2pdi더 넣고 다닙니다
@murphy_cho
@murphy_cho Жыл бұрын
집근처 카센터나 세차장에서는 35 고속도로 주유소 셀프코너에서는 40 이렇게 맞추면 됨. 집근처 가까운데서 넣을때는 냉간이라 35 고속도로는 이미 열 올라왔으니 40 맞추면 딱 맞음.
@kuroihako2
@kuroihako2 Ай бұрын
저도 똑같이 관리합니다. ^^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Ай бұрын
헛소리마라 고졸님아. 자동차 제조사가 알려주는 공기압으만 넣어라
@warriet29
@warriet29 8 ай бұрын
여름엔 적정 공기압을 넣어도 결국 공기압이 올라가죠. 겨울엔 반대라서 조향이 안 좋아지고요. 가장 좋은건 매뉴얼에 나온대로 유지하는 것. 요즘 차량엔 공기압도 뜨는데다가 샤오미 같은데서 무선 공기압 충전기도 잘 나오죠. 그런데 모든 타이어 제품이 다 똑같아요. 자전거, 킥보드, 심지어 유모차조차도 적정공기압이 중요.
@CBT_8
@CBT_8 7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카센터에 수치말하고 맞춰달라해도 항상 더 과하게 넣어주더라고요
@Chikcoffee
@Chikcoffee Жыл бұрын
압이 많으면 소음 및 진동이 심해지니 타이어 압 수치보고 유지하시면 됩니다 진짜 타이어의 공기압 알고 싶으시면 운행이 끝나고 시동 끈 1시간 후 공기압을 측정하면 진짜 공기압 입니다
@rain_cu
@rain_cu Жыл бұрын
전동시트 파워 테스트 해주세요. 뒷좌석에 숨어있는 강도가 목조를때 일반시트는 그냥 확 제끼면 풀려난다는데 전동시트는 천천히 넘어가긴하지만 뒷사람이 깔려 못 움직일 정도의 힘인지 궁금합니다
@user-vl2ln6vm3j
@user-vl2ln6vm3j Жыл бұрын
등받이각도는 그리쌔지않은데 앞뒤로 움직이는건 생각보다 쌔더리구요
@amorffatti
@amorffatti Жыл бұрын
뒷좌석에 강도가 왜있음 ㅋㅋㅋㅋㅋㅋ 허무맹랑한 상상그만
@user329e93oiiIiIiiI
@user329e93oiiIiIiiI 16 күн бұрын
국정원 다니심?
@user-hghghg
@user-hghghg Жыл бұрын
여름ㆍ겨울 모두 차량에 부착된 적정공기압을 정기적으로 체킹 하는것이 젤 좋습니다. 카센타 자주 가서 공기압 넣어 달라고 눈치 보이시는분은 셀프 세차장가면 무료 또는.기본소액으로 넣을수 있습니다. 저는 단골 셀프 세차장에 공기압은 무료라 1달 1번정도 4바퀴 귄장량으로 넣습니다. 자주 체킹 하시면 여름에 얼마? 겨울에 얼마? 고속시 얼마? 모두 권장 적정량 동일 하게 넣어 주시면 됩니다. 정답은 자주 지침서데로 넣는다입니다
@user-yt4rd6gu5c
@user-yt4rd6gu5c 14 күн бұрын
차 ㅈㄴ아끼나보네 ㅋㅋㅋㅋㅋㅋ
@user-wf5hj8ve8j
@user-wf5hj8ve8j 2 ай бұрын
저도 4개모두 35 숭차감도 좋고 맘에 듭니다. 기름값은 좀더 들어가겟지만 가족들의 승차감이 우선입니다 전.....
@user-aosdi8adifu0sdfa
@user-aosdi8adifu0sdfa Жыл бұрын
지난 번 공기압 테스트 영상보고, 출발 전에 문틀에 있는 권장 공기압으로 맞춥니다. 권장으로 낮춰도 날씨가 추워지면 자동으로 내려가서 더 넣어줘야하고, 날씨가 따뜻해지니까 조금 빼줘야하더라고요.
@user-fl8ih1ls9h
@user-fl8ih1ls9h Жыл бұрын
👌👌👌👌 굿~~
@YU_WOO_
@YU_WOO_ Жыл бұрын
택시 미터기 달고 동일 거리 1.풀악 풀브레이크 2.정상주행 요금이 뭐가 더 나오는지가 궁금합니다.
@user-sj2239
@user-sj2239 Жыл бұрын
연비랑 브레이크 시험은 기계식이 아닌 사람이 할때는 오차가 크게? 다르게나오죠 악셀 밟는 압력이 다르고 속도도 다를테고 브레이크도 마찬가지
@tekjin8058
@tekjin8058 Жыл бұрын
제동거리 테스트라는 단면만 보고 타이어 공기압의 기준을 잡는다는게 이게 맞나? 하는 생각이듭니다. 차량이기에 지속적 주행중 타이어 열간시를 고려하는게 마땅해보이고 특히 여름철에는 공기압이 낮으면 접지면이 늘어나면서 매우 높은 열을 받게 되고 반대로 높으면 타이어 접지면이 좁아지면서 타이어가 받는 높은 열을 줄여준다고 알고 있었어요. 또한 우천시에도 팽팽해진 타이어가 트레드로 물을 잘 흘려버려서 덜 미끄럽게 하는 잇점도 있다고 들었고요. 이런 부분들도 모두 고려해서 종합적인 실험을 통해 여름철 공기압의 기준을 제시해주시면 더 큰 도움이 될것같아요
@sazi2239
@sazi2239 Жыл бұрын
겨울철이든 여름철이든 적정공기압을 계속 유지 해주는게 좋은게 아닐지 다만 여름에는 노면온도 때문에 금방 공기압이 많이올라가니 조금 적게 넣어주고 겨울에는 조금 많게 넣어주고..
@MrBruceKorea
@MrBruceKorea 8 күн бұрын
아닌데요? 여름엔 더 넣으라는데요?
@honterian7907
@honterian7907 Жыл бұрын
4륜구동 자동차의 앞뒤휠크기 차이가 나면 어떤결과가나올지 궁금합니다
@gubooko1262
@gubooko126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공기압이 35 40 45 라기보다는 승용차는 36 투싼 같은 suv는 38~40 카니발 같은 rv는 40~42 가 적정 할거 같네요 자주는 아니더라도 가끔씩 체크 해주는게 좋구요 과한 공기압은 팽창으로 인해 타이어 트레드 소모가 가운데만 이루어 지고 적은 공기압은 수축으로 인해 타이어 트레드 소모가 양 사이드가 이루어 지게 되니 그냥 시내 운전이든 고속 운전이든 적정한 공기압으로 넣고 TPMS로 체크 하시고 없으시면 가끔씩 체크 하시면 될것 같네요
@solarll7715
@solarll7715 Жыл бұрын
적정 공기압은 타이어 온도 냉간?시 공기압이고 주행시 열이 발생해서 높아진다 알고있어요 하지만 일정 시간 거리 를 주행 해야 공기압 측정이 계기판에 나와서 불편하고 주행하다 확인해보면 약간 높게 나와서 그렇죠 😑 😐
@JAYAJOA
@JAYAJOA Жыл бұрын
여름에 뜨거운 아스팔트와 기온때문에 물러진 고무가 고속주행시 스탠딩웨이브를 쉽게 일으킨다는것도 맞고 공기압이 높을때 트레이드 간격이나 타이어의 형상변화에 따른 장점은 우천시 노면과 타이어사이 빗물 배수가 유리해져 고속주행시 수막현상도 줄어든다고 들었는데 거기에 대한 실험과 댓글들은 안보여서 아쉽네요 너무 늦어서 아무도 안볼거같은 글이지만 끄작여 봅니다😢
@user-fu6oo2lb5c
@user-fu6oo2lb5c 10 күн бұрын
트레이드는 씹;; 타이어 거래하냐? 트레드 좀
@user-db6oh7yq2n
@user-db6oh7yq2n Ай бұрын
여름철 장마로 수막현상 때문에 조금 더 공기압을 넣는다고 알고있습니다. 타이어가 지면에 눌리면 타이어 배수 패턴홈이 줄어드니깐? 젖은노면 테스트 해보면 좋을거 같네요.
@user-zr7yj3zh6q
@user-zr7yj3zh6q Жыл бұрын
차량 운전석에 공기압 표시가 되어있는데 공기압을 맞출때 운행하고 나서 계기판에 뜨는 공기압을 기준으로 맞춰줘야 하나요? 아니면 운전시작전 공기압 상태에서 맞춰줘야 하나요?? 어렵네요 공기압 ㅠㅠ
@Jay_Zey
@Jay_Zey Жыл бұрын
냉간시 공기압 입니다. 냉간=운전전 타이어가 식은상태.
@user-zr7yj3zh6q
@user-zr7yj3zh6q Жыл бұрын
@@Jay_Zey 감사합니다!!
@user-er4mi9jq1u
@user-er4mi9jq1u Жыл бұрын
서비스센터랑 타이어가게에 이미 적정 공기압이 세팅 되어 있어서 그냥 알아서 넣어 주시더라고요. 수년간 그렇게 넣으며 타왔는데 불편함 없었어요. 펑크 나거나 공기압 부족하면 계기판 경고등으로 알려주니 참 편하더라고요.
@user-qw7ql4gk8u
@user-qw7ql4gk8u 8 ай бұрын
카니발 차량 오너인데 가족들 6인이상 타게되면 공기압 넉넉히 채운다고 44정도 넣고 운행하는데 몇일 지나면 41~42로 내려가더라구요?? 일부로 더 넣지는 않고 계속 운행하는데 고속도로이고 탑승 인원이 많아졌을때 공기압을 넉넉히 채우는거 잘못된걸까요??
@user-yh6we6lr8i
@user-yh6we6lr8i Ай бұрын
하중이 높은상태에서 공기 넣으면 하중이 없어지면 공기압이 낮아지는게 당연합니다. 반대로 하중이 없는 상태에서 적정공기넣고 하중이 더해지면 공기압이 올라가구요. 공차 상태에서 적정 공기압 맞추고 다니시는게 제일 좋을듯 싶네요.
@dargoo0951
@dargoo0951 Жыл бұрын
요즘 고성능 타이어는 (승용기준) 맥시멈51psi입니다..고로 노멀기준38~40psi가 가장 좋습니다 TPMS가 없는 차량은 사제로도 장착하시는게 좋습니다
@nopay_noplay
@nopay_noplay Жыл бұрын
뭔 개소리야
@juncikmoon1891
@juncikmoon1891 Жыл бұрын
같은조건으로 젖은노면 제동거리 알려줘요. 공기압에 따른 젖은노면 물웅덩이 제동거리. 장마때는 어떻게?
@_Luck2024
@_Luck2024 Жыл бұрын
스포티지R 2015년 타고다니는데 앞 37 뒤40 으로 넣고 있어요. 이렇게 넣어야 승차감이 괜찮더라구요
@lokii5815
@lokii5815 Жыл бұрын
여러 실험 환경(공기압상태)을 운전자가 인지하지 않은채 블라인드 테스트해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겠죠….??
@theGreatEngineer
@theGreatEngineer Жыл бұрын
경험상 대부분의 정비소, 심지어 타이어샵들도 38psi로 주입합니다. 문제는 주행 얼마안한 타이어가 냉간에 가까운 상태에서 38을 주입하면 여름철은 42, 43까지 그냥 올라갑니다. 차도 통통튀고 승차감 안좋은건 물론이고 여기서 다루신것과 같이 안전상 오히려 위험합니다. 요즘은 차량에 tpms다 있으니 적절히 빼고들 다니시기를
@user-dt2bh4ci6q
@user-dt2bh4ci6q Жыл бұрын
적정 공기압에 주행 컨디션에 가장 좋습니다. 추운날 공기는 수축되니 조금 더 넣어 주시는게 좋지만 여름에는 공기가 팽창하니 조금 줄이셔도 괞찮습니다. 다만 공기압을 넣을때에는 냉간시에 넣어주시는게 좋습니다.
@hdcho4486
@hdcho4486 Жыл бұрын
적정 공기압에 주행 컨디션에 ---> 적정 공기압이 주행 컨디션에
@user-dt2bh4ci6q
@user-dt2bh4ci6q Жыл бұрын
@@hdcho4486 감사합니다^^
@user-ce2dz6ok7e
@user-ce2dz6ok7e 10 ай бұрын
이건 추워지기전 더워지기전 공기압체크할때 이야기인듯
@thkim8748
@thkim8748 Жыл бұрын
공기 압에 따른 젖는 노면 수막 현상에 대한 실험이 궁금합니다.
@user-eq7wg8tr3f
@user-eq7wg8tr3f Жыл бұрын
전 4계절 36으로 돌아왔습니다.. 40 psi랑 승차감 차이 많이 납니다 괜히 실내 잡소리도 줄은 것 같구요 제조사가 항상 권장을 설정해놓는건 그 권장이라는게 나름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인데 그 큰 의미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오일은 보통 1년 1.5 혹은 2만키로까지 설정되어있고 타이어는 33 되어있는데 센터에서 오일은 6개월 마다 교환 타이어는 40psi가 기본이더라고요
@user-rb2ss8ep5j
@user-rb2ss8ep5j 11 ай бұрын
40psi , 공기압 ,수치40 말하는 거죠
@HeewoonKIM
@HeewoonKIM Жыл бұрын
휴대용 타이어 공기주입기도 있었구나.. 사야겠다.. 밑에 댓글보니 샤오미 추천하던데.. 괜찮나요?
@user-qp2sp4tq2o
@user-qp2sp4tq2o Жыл бұрын
샤오미 또는 아이나비등이 있는데, 휴대용 구입해 사용중이며, A/S등 고려해 국내유통 아이나비 사용중인데(작년에 고장으로 새재품으로 교환 받아봄) 보통 휴대용은 에어 채우는 속도가 좀 더디고, 소음이 있지만, 나름대로 편하긴 하더라구요. 휴대폰 충전하듯 같은 C타입으로 편히 충전도 하구요. 튜브나, 자전거, 축구공,오토바이, 차량등 잰더들도 들어있어 지금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gantry82
@gantry82 Жыл бұрын
차량에 표시되는 기준으로 냉간시 36 넣음 딱 좋아요~
@user-up6cz4fi1x
@user-up6cz4fi1x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오는 시거잭에 꼽아서 사용 가능한 컴프레셔가 인터넷 구매 기준 3~5만원이면 삽니다. 요즘 정비소나 타이어가게들도 공기압 보충비용을 달라고하니 차라리 구매하셔서 봄 가을마다 공기압 맞추세요. 안전하고 경제적입니다.
@user-yh4it7mw2w
@user-yh4it7mw2w Жыл бұрын
겨울에는 온도낮으니 수축해서 미리 더 넣어놓고 날씨 따뜻해지면 온도높아서 팽창하니 오히려 공기압 낮춰다녀요 스탠딩웨이브 안올만큼만 넣어놓으면 될듯하네요
@colt7057
@colt7057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ssamjbs3785
@ssamjbs3785 Жыл бұрын
미리 덜넣고 많이 넣어도 되긴하지만 이 말때문이 오해하는 사람 너무 많아요. 그냥 추워지거나 더워진 온도 하에서 적정압력만 넣어주면 되는데 굳이 더 넣어야지 덜 넣어야지 라고 하니까 고입/저압으로 다니시는 분들 너무 많고, 점점 기본압력이 높아짐.
@catsqutie
@catsqutie 3 ай бұрын
반대 아님?? 겨울철에 높게 넣어야하는걸로 아는데 이건 뭐지
@Stell-ml3jj
@Stell-ml3jj 2 ай бұрын
@@catsqutie이게 그 말이에요. 겨울에 더 넣는다잖아요..
@catsqutie
@catsqutie 2 ай бұрын
@@Stell-ml3jj 반대로 적어서 수정한거임
@onyourway09
@onyourway09 Жыл бұрын
공기압 항상 적정으로 칼같이 맞추는데 타이어가게도 그렇고 공업사도 그렇고 죄다 40에 넣더라구요 하다하다 지쳐서 이젠 타이어 공기압 조절하는거보면 그냥 나오자마자 다시 맞춥니다
@wowwl
@wowwl Жыл бұрын
금아님이 알려준거긴 한데 전 여름34 겨울 38넣고 다닙니다 편마모에 유리합니다
@momokim7840
@momokim7840 Жыл бұрын
타이어 미세 균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조 일자 기준 3 년 4 년 5 년 된 타이어 미세균열과 운행시 문제점 사이드월 짤라서 확인 실험해주세요.타이어 정보 중에 미세한 균열에 대해 정확하고 확실한 정보가 없네요.카센터 포함.터이어집이나 제조사에선 이상 없다고하는데...
@doctorjustice
@doctorjustice Жыл бұрын
비와서 수막현상 일어날때를 실험하셔야 할것 같은데요? 타이어 제조사에서 장마철엔 수막현상 억제 하기 위해 공기압을 2-4psi 더 넣으라고 합니다. 그리고 타이어 공기압이 주행후나 양지에서 태양열에 달궈진 후 측정하면 안되죠. 주행전 공기압이 중요한거죠
@leomin3385
@leomin3385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패드 컨디션도 동일했었나요?
@user-gw2xy6iy9j
@user-gw2xy6iy9j Жыл бұрын
궁금해결👍
@kokkili
@kokkili 7 ай бұрын
주로 공기압을 냉간시를 기준으로 표기하는데, 주행을 기준으로 해야 함. 요즘은 주행 때에도 공기압이 표기되니.
@vegetablejedi
@vegetablejedi Жыл бұрын
냉간시 기준으로 동절기에는 앞 38/뒤 36, 하절기에는 앞 36/뒤 34넣고 타는데, 좀 낮춰도 될 것 같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jh8294
@jh8294 Жыл бұрын
왜 앞뒤 다르게 넣나요?
@vegetablejedi
@vegetablejedi Жыл бұрын
@@jh8294 앞쪽이 더 무거워서 타이어가 더 많이 눌리니까요. 타이어 접지면이 어떤 모양이 될지 생각해보면 되요.
@jh8294
@jh8294 Жыл бұрын
@@vegetablejedi 오 그렇군요 정비하러가거나 타이어가게가면 다 똑같이 넣어주던데요
@POOMBAKIM
@POOMBAKIM 7 ай бұрын
​@@jh8294별말없으면 똑같이 넣어줄겁니다. 신경안쓰고 타는 분들이니깐....
@007polarbear
@007polarbear Жыл бұрын
고기주입기의 저 노란 버튼이 바람빼는건지 처음 알았네요ㅎㅎ
@user-go2xm3dt8b
@user-go2xm3dt8b Ай бұрын
저도 내일 적정공기압으로 바꿔야겠습니다
@HJuneOh
@HJuneOh Жыл бұрын
저는 시내 주행시 위주일 때는 공기압 상승이 2~3psi 정도로 적은 편이라 계절에 상관 없이 적정 공기압 하고, 고속/장거리 주행일 경우 공기압이 4~5psi 정도 상승하다보니 적정 공기압에서 -1~2psi로 맞추고 타게 되더군요. 그 외에는 트레드 마모 상태에 따라서 ± 하기도 합니다.^^
@yonghokim8424
@yonghokim8424 Жыл бұрын
적정공기압은 냉간시 기준입니다 (30분 이상 주행하지 않았을 때). 그리고 고속 주행에서 더 상승하는 것을 감안하고 적정공기압이 정해집니다. 영상에도 있지만 부족시 스탠딩웨이브 현상 우려가 있으니, 고속과 시내주행 가리지 말고 적정 공기압만큼 넣어주세요. 시동 전 냉간시 넣는게 아니라 주행 이후 다른 곳에서 넣는 경우라면 내부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있으므로 적정공기압에서 10% 정도 더 넣으시면 됩니다.
@Ya-feelsogood
@Ya-feelsogood Жыл бұрын
뭐든지 적당한게 최고지
@user-lp1if5lo4t
@user-lp1if5lo4t Жыл бұрын
행님 여름에는 조금 모순이있쥬 고속도로는더욱 자기가40 으로 하고 다니면 여름에 고속도로 달리면 못해도45는 나올듯한데....그래서 겨울에는 기준치보다 더넣는거고 운전석문짝에넣으라고있는것도 여름에는 고속도로달리고 측정하면 더나오는건 ....
@user-pq5bo4sr9t
@user-pq5bo4sr9t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올 35~ 3개월 마다 점검하고 보충도 합니다.
@IlIlllIlIIllllI
@IlIlllIlIIllllI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은 이미 해당 기온의 팽창률이 적용된 값이니 냉간, 열간시 상황에 맞는 기압으로 주입하면 됩니다.
@tnalsl2329
@tnalsl2329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적정 공기압몇?
@Shine_kk
@Shine_kk Жыл бұрын
​@@tnalsl2329 적정하게 넣음됨
@tlqkf_toR1
@tlqkf_toR1 Жыл бұрын
​@@tnalsl2329 차에 써져있는대로
@BBGlyn
@BBGlyn Жыл бұрын
@@tnalsl2329 차에 운전석 쪽 붙어있어요
@user-bv4kp1bh3g
@user-bv4kp1bh3g Жыл бұрын
@@tnalsl2329 적정공기압은 차에 써있는 대로 넣으세요 ^^
@JHK-mt6ru
@JHK-mt6ru Жыл бұрын
같은 목적지인데 무료도로가 기름적게먹는지 아니면 고속도로 비용을 내면서 고속도로타는게 기름적게 먹는지 궁금합니다
@Nnogary
@Nnogary 7 күн бұрын
안막힌다는 전제하에 고속도로가 무조건 유리합니다 차는 정지후 출발할때 연료를 가장많이 소모합니다.
@user-fu7go8we5h
@user-fu7go8we5h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가 살짝 밟혀진 상태로 장시간 운행하면 불이 나는지 안나는지 궁금합니다 최근 신형그랜저 브레이크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고 원인으로 양발운전을 지목했다고 합니다. 실제로도 그런지 실험해주세요.. 그리고 양발운전하는 분들에게도 경각심을 심어주고 싶습니다
@JD2-hm2qn
@JD2-hm2qn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패드 마모 상태도 궁금하네요
@user-lp4xi8tf8r
@user-lp4xi8tf8r Жыл бұрын
양발운전은 왜 이리 고집하는지 모르겠네요
@Cycops1
@Cycops1 Жыл бұрын
차가움직이지 못할정도로 과적하려면 얼마나 실어야 하나요 픽플에서 실험 가능할까요
@jerrychoi1983
@jerrychoi1983 Жыл бұрын
요즘과 같은 30도가 넘어가는 더위에서는 34psi 기준 고속도로 30분 이상 주행시 2~4psi의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는점 운전자분들은 염두하여 주행하셔아야 할것입니다. 타이어 온도에 따라 2~4정도 추가될 수 있는점 염두하여 적정 공기압을 주입하기!
@user-nm9jo8my6h
@user-nm9jo8my6h Жыл бұрын
서킷에서도 접지늘리려 공기압을 빼고타죠
@123lyra5
@123lyra5 Жыл бұрын
매뉴얼 4짝 33이 기준인데 34정도 넣습니다 열간시 앞 37 뒤 36 됩니다
@user-yt2eg8we7d
@user-yt2eg8we7d Жыл бұрын
@user-pk7dl5jg2p
@user-pk7dl5jg2p Жыл бұрын
코너링에 좋던데
적정공기압 33psi 인데 왜 40psi 를 주입할까?
10:24
슬기로운 자동차 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사용한 엔진오일이 새 엔진오일보다 엔진 마모가 덜 될까?
4:38
엔진오일의 불편한 진실 [엔불진]
Рет қаралды 211 М.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90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명장명답] 타이어 공기압, 넌 얼마나 넣니? (Feat. 타이어마모)
3:49
박병일의 명장본색
Рет қаралды 475 М.
타이어 공기압 얼마나 넣으면 될까요?
17:38
싼타TV
Рет қаралды 98 М.
Воспитываем пешеходов 😠 #shorts
0:29
FRENCH RIDER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It's double shovel summer baby 🎥: @duke_211  #construction #asphaltpavement #pavingasphalt
0:14
PavePro Asphalt Solvent and Release Agent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3rd time’s a charm 😅 #bugatti #dodge #daytona #americanmuscle #muscle #musclecar
0:31
pitstops practice in Perth #supercars #pitstop #racecars
0:10
Brandan Trudinger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Choose a car for Grandma ❤️ #car #carlover #automobile
0:16
Drive Vibe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Воспитываем пешеходов 😠 #shorts
0:29
FRENCH RIDER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