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探] 천년의 유산, 신라시대 건축에 스며든 과학과 역사 /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93,232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7 жыл бұрын

천 년의 유산,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신라의 상징인 건축 기술.
자연과 조화된 역사 속 신라의 건축 과학에 담긴 비밀은 무엇일까?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보다 발전 속도가 뒤처졌지만,
삼국을 통일하고 두 나라가 가진 선진문화와
뛰어난 건축 기술을 흡수하면서 찬란한 전성기를 맞이한다.
먼저, 신라의 첫 국가 사찰인 황룡사.
특히 높이 80m에 이르는 황룡사9층목탑에는
당대 고층 건축물을 쌓기 위한 기술이 사용됐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신라의 문화와 과학, 불심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석굴암.
뛰어난 석축기법이 총동원된 석굴암에는 정교한 과학 기술뿐만이 아니라
균형적이고 이상적으로 보이는 비율인 금강비 또한 적용돼 있다.
마지막으로 신라 왕경의 규모와 성격을 대표하는 월정교.
물의 저항을 이겨낼 수 있도록 배 모양 주형교각을 세우고,
물길로 인한 교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격자 모양의 나무에 돌을 엮은 세굴 보호공을 만들었다.
물길과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만든 것이다.
신라의 건축이 지금도 감동을 주는 이유는
과학과 지식 그리고 염원을 담았을 뿐만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는 정성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
과학 좋아하는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
YTN사이언스의 다양한 채널을 만나보세용! :)
홈페이지 ▶ science.ytn.co.kr/
페이스북 ▶ / ytnscience
인스타그램 ▶ / ytn_science
트위터 ▶ YTN_science?lang=ko
네이버포스트 ▶ m.post.naver.com/sciencepost

Пікірлер: 179
@user-rh3nf3fm7n
@user-rh3nf3fm7n 4 жыл бұрын
세계를 다 다녀봐도 신라천년의 경주의 문화권은 한민족의 자랑스런 지금까지 일부나마 잘 보존되고 빛나는 고도의 첨단문화. 동서를 연결시키는 당시의 웅비를 볼수있는 귀중한 유산. 기획다큐 즐감하고 와이티엔에 박수를 보냅니다
@sangdodong
@sangdodong 4 жыл бұрын
1000년뒤 조선이 더 못살았던걸 보면 사상과 이념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수있다
@tankman2153
@tankman2153 3 жыл бұрын
@너구리옴뇸뇸 ㄴㄷㅎ
@user-sr6eo9rv4j
@user-sr6eo9rv4j 3 жыл бұрын
너구리옴뇸뇸 전라도에서 검거
@LP_Nard
@LP_Nard 2 жыл бұрын
@너구리옴뇸뇸 조선시대는 오랑캐 침입이 겁이나서 신라시대에도 있었던 포장도로 하나 못깔았던 존나 치욕스러운 시대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너무폐쇄는 지금보면 쇠퇴죠 유럽이 아시아보다 못살았었지만 더 나아진걸보면 유교가 딱히좋은점을 ᆢ
@user-wg2oc8mn3o
@user-wg2oc8mn3o Жыл бұрын
조선이 신라보다 못한 거 분명한 사실임 조선은 드라마가 미화시켰음 1890년대 러시아기자가 조선에 와서 쓴 글이 있는데 조선인은 글도 모르고 힘은 쎄고 엄청 많이 먹는 짐을 나르는 짐승과 똑 같았다 얼굴은 새까맣고 옷은 모두 흰옷을 입고 있어서 눈사람이 걸어다니는 거 같았다고 기록함 그 후 조선 말 경에 선교사가 그림과 글로 남긴 것을 보면 조선인은 너무 잔인하고 죄인들이 처형당하는 모습을 그리고 글을 남겼는데 우리가 아는 처형보다 더 끔찍했음 죄인들을 목을 치는데 아주 무딘 칼로 여러 번에 처서 목을 쳤는데 죽어가면서 너무 고통스러웠다고 기록함
@lunarfreeman3998
@lunarfreeman3998 3 жыл бұрын
중딩때 수학여행가서 석굴암을 보았을때는 그저 그런가 .....잘만들었네 .... 그냥 그렇게만 보았는데, 나이가 좀 들어서 다시가서 찬찬히 보니 정말 기가막힌 돌조각 들이라는걸 깨달앗음. 어떻게 원형으로 돌을 다듬어 이가 딱 들어맞게 조각했는지....
@user-zi5qv4sx3h
@user-zi5qv4sx3h Жыл бұрын
다 그렇게들 말하죠...자금부터 수십년전 유명한 수학자 김용운교수가 제자들을 데리고 가 석굴암에 대해 정말 측정을 한 내용이 당시 kbs 월요기획에 방영 되었었는데요 거기보면 인체 중심서부터 원을 그리면 33개의 동심원이 나타난다고 해 모두를 놀라게 했죠 즉 인체공학의 극치라며 기하학이 발달치 못했을 당시 건축 기술로 저런 석불을 만들수 있었냐는거였죠...뿐 아니라 세계 최초의 돔지붕에다 습기 제거 기술등 과학이 집약된게 석굴암이라 합니다...
@kyung6115
@kyung6115 3 жыл бұрын
경주는 우리민족의 자긍심이다 유적하나하나 알고보면 엄청난 과학이다 천삼백년전 유물 잘보존해야한다
@gksaudgml78
@gksaudgml78 4 жыл бұрын
대바아아아악!!!!! 와우!!!! 정말 고퀄리티 영상입니다!!!!
@user-db4pu9ob9o
@user-db4pu9ob9o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cm2zs6qm5z
@user-cm2zs6qm5z 2 жыл бұрын
우리읫선조들은 대단한것같다 이러한정신들을 이어받아야~~
@topkorean4714
@topkorean4714 4 жыл бұрын
신라시대는 활발한 해외교역으로 너무나도 부유해서 경주땅에 단하나도 기왓집이 아닌집이 없었다죠 하지만 그 부에 너무 심취해서 권력다툼 사치 향락이 너무 심해져서 나라가 쇠퇴했지만요
@user-wo6jw1nl6k
@user-wo6jw1nl6k 3 жыл бұрын
신라가 삼국시대국가중에 불교전파가 젤 늦엇음
@topkorean4714
@topkorean4714 3 жыл бұрын
@@user-wo6jw1nl6k 신라가 삼국시대에 불교전파 제일 느린거랑 삼국통일하고 무역활발히해서 부 축적한거랑 무슨상관있음? 빡대갈이심?
@user-wo6jw1nl6k
@user-wo6jw1nl6k 3 жыл бұрын
@@topkorean4714 고구려가 삼국통일 햇어야 햇는데 코딱지만한 신라가 삼국통일해서 지금의 이런 코딱지만한 나라가 된겨
@topkorean4714
@topkorean4714 3 жыл бұрын
@@user-wo6jw1nl6k 그래서 뭐 어쩌라고 그게 지금 신라가 사치향락이 심했던거랑 뭔 상관이냐고 대가리 총맞았냐?
@topkorean4714
@topkorean4714 3 жыл бұрын
@@user-wo6jw1nl6k 그리고 꿈깨 역사에 if 가 어딨냐? 고구려가 삼국통일했다고 한민족 땅덩어리가 더 넒어졌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어 당장에 발해가 고구려보다 넓은 영토 차지했는데 결국 이민족 손에 멸망했지, 고구려가 통일했어도 그나라가 이민족 손에 멸망하지 않았을거란 보장은 없을 뿐더라 고구려는 만주지역 특성상 거란, 말갈, 돌궐 등 너무 많은 다민족 복속으로 구성된 국가여서 다른 민족이 너무 강성해져서 한민족 정체성도 지키지 못했을 가능성이 너무 높아 븅신아 역사를 그냥 땅따먹기로 보지말고 깊게 들여다 봐라 무식한 티내지말고
@user-oy9dv7gl3g
@user-oy9dv7gl3g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coolpin1985
@coolpin1985 4 жыл бұрын
스님 CG 존1나좋군 ㅋㅋㅋㅋ 문명 시네마틱영상같다 ㅋㅋ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4 жыл бұрын
석굴암 연구를 해서 복원작업이 이뤄졌으면 합니다..
@user-zr5fd2sf4f
@user-zr5fd2sf4f Жыл бұрын
석굴암 본존불은 너무나 안타깝습니다.앞을 볼수 없으니 말입니다. 최소한 떠오는 일출을 보며 국태민안을 위할것인데 말입니다. 이젠 앞을가로 막고 서있는 닷집을 옆으로라도 옮기어 본존불이 본연의 임무를 할수있도록 해야합니다 문화재청장님!!!
@blacksilk20
@blacksilk20 3 жыл бұрын
좋네요 ^~^
@user-bb4jd5ct8k
@user-bb4jd5ct8k 5 жыл бұрын
45:45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2 жыл бұрын
지진을 이긴 첨성대
@user-xe5oc9mq7w
@user-xe5oc9mq7w 4 жыл бұрын
일주일! 냬게 시간을 준다면..내나이 숸하고도 여덟! 끝까지 일곱이라고 사고싶은데..1963년새이니 쉰일곱인겨! 이나이이에 하고싶은 모든거 할 나인데...난 지금? 가보고싶다.내고향! 가면 되는데..마음의 여유가 왜 안될꼬? 답답하구나! 누가 나의 답답함을 풀어주나~~
@user-zi5qv4sx3h
@user-zi5qv4sx3h Жыл бұрын
반면 신라는 외국 문물을 받아들여 아랍권과도 교류하고 당에 많은 학자나 승려들이 공부하러 드나든데서 알 수 있듯 개방적이었고 국가의 발전을 위한거라면 거리낌없이 국제교류에 나서기도 했다
@user-wq5bp4vf9g
@user-wq5bp4vf9g 3 жыл бұрын
조선 싫다 삼국시대 역사가 더 궁금하고 신비로움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11 ай бұрын
신라가 갑자기 불교를 받아들이고 비약적으로 발전한 이유는 선진문화를 가진 연나라유민들의 유입이었고 그들이 고도의 문명세트를 신라에 뿌리내리게했기 때문에...신라의 화랑도도 연나라에 있었던 제도와 신라에 원래 있었던 제도와 융합되어 생긴 제도이고 불국사와 황룡사 석굴암등의 빼어난 건축석조기술은 촌구석에 있던 신라에서 나올 수 없던 문명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kimlucy5510
@kimlucy5510 3 жыл бұрын
이것이 경주김씨 ..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4 жыл бұрын
무슨 이유로 우리나라에는 신라 이후에는 석조건물이 거의 없게 되었읍니까? 비교가 되는 것이 유럽엔 강에 돌로 만든 아취다리가 있고 길이 있는데 우리선조들은 고작해봐야 징검다리 밖에 만들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오랜 세월동안에 성곽을 쌓듯이 석회와 돌을 사용해서 다리를 건설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돌을 움직이는 힘이 없었는지요?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도로와 교량이 발달 되지 못했고요 마차나 우차 대신 지게로 등짐으로 운송을하였나 봅니다.
@user-wg2oc8mn3o
@user-wg2oc8mn3o Жыл бұрын
문무대왕 아들인 신문왕이 지금 대구로 수도를 옮기려했지만 귀족들이 반대해서 옮기지 못함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Жыл бұрын
몽골 불태운 황룡사 9층목탑 .슬픈니다.
@rosenwolf
@rosenwolf 4 жыл бұрын
중국 문물이 들어와서 신라가 발전했다는것은 무슨 논리인지요, 신라금관, 석굴암, 석가탑 이런거 비슷한거라도 중국에 있는지...
@user-po4ch3cp4q
@user-po4ch3cp4q 3 жыл бұрын
스키타이 금관, 윈강 석굴, 산둥성 사문탑
@rosenwolf
@rosenwolf 3 жыл бұрын
Tank man 그 예들은 중국산 김치 정도라고 보면 되겠군요
@user-po4ch3cp4q
@user-po4ch3cp4q 3 жыл бұрын
@@rosenwolf 김치 역시 고대부터 중국에서 저(菹)라는 채소절임이 유행했음
@rosenwolf
@rosenwolf 3 жыл бұрын
@@user-po4ch3cp4q 그랬군요, 알겠습니다
@user-zr5fd2sf4f
@user-zr5fd2sf4f Жыл бұрын
신라를 둘러싸고있는 9나라라고 설명하는데 이 9나라가 어느 어느 나라일까요? 백제.고구려.왜. 당.??? 9나라가 조공하려면 반도 동남쪽 조그만 나라가 아닌것같아요. 최소한 대륙에 위치하여야 하지 않나봐야합니다
@i_Love_Japan_01
@i_Love_Japan_01 4 жыл бұрын
제발 재건 좀 해라 고증힘들다고 ㅈ도 방치하지말고 상상이라도 섞어가면서 웅장하게 만들어야되는거 아니냐.
@user-po4ch3cp4q
@user-po4ch3cp4q 3 жыл бұрын
상상으로 문화재를 복원시키는건 복원이 아니라 파괴고 반달리즘임
@ijun8434
@ijun8434 3 жыл бұрын
찬성임. 중국이나 일본도 죄다 상상복원 시멘트 복원이고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정당성도 부여하고 있음. 유독 한국만 서구 유네스코 기준인 불변성에 집착함. 동양건축은 원래 빨리빨리 바뀌는 거임.
@inkoansong5909
@inkoansong5909 6 жыл бұрын
첨성탑이 납시었네 . 어디 에서 별을 봤을까 ?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Жыл бұрын
불국사에서 석굴암 걸어 갑니다.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Жыл бұрын
석굴암
@user-ob1vx6kj7d
@user-ob1vx6kj7d 2 жыл бұрын
19:28
@user-vq4pw2ii1h
@user-vq4pw2ii1h 4 жыл бұрын
석굴암이 루트 2의 비례미로 건축됐다는 신화를 여전히 믿는 '비 과학적' 보도라니... 1960년대 석굴암을 중수했을 때 실측치를 보시기를... 루트 2의 비례미는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제발 사실이나 알고 이야기를 합시다.
@user-wg2oc8mn3o
@user-wg2oc8mn3o Жыл бұрын
근데 왜 신라문화와 예술을 굳이 백제와 고구려를 연관 시킴 석가탑도 당나라 아사달이 만들었는데 백제후손이 아닌 당나라 아사달과 누이동생 아사달이 삼국사기에 등장하는데 그냥 당나라 아사녀가 오라버니를 만라러 왔다가 못만나고 발길을 돌렸다는 기록이 있는데 아사녀 아사달 이름인지 성인지 똑 같은 아사 라는 거다 소설 무영탑이 애절한 사랑으로 만든 허구임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Жыл бұрын
루트2는 과학이다
@user-kv8kg4wg8x
@user-kv8kg4wg8x 4 жыл бұрын
무슨놈의 광고가 이케 만아?? 집중을 못하겠네...
@mun4946
@mun4946 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프리미엄 사세요.
@user-kv8kg4wg8x
@user-kv8kg4wg8x 3 жыл бұрын
@@mun4946 대답 엿같이 하네...
@user-kv8kg4wg8x
@user-kv8kg4wg8x 3 жыл бұрын
@j 까세요~
@ijun8434
@ijun8434 3 жыл бұрын
돈없으면 광고 쳐보면 되지 불만 ㅈㄴ 많아
@user-kv8kg4wg8x
@user-kv8kg4wg8x 3 жыл бұрын
@@ijun8434 돈 ㅈㄴ없는 것들이 잘난척 하기는 ㅉㅉㅉ
@mahanmojarradi7917
@mahanmojarradi7917 2 жыл бұрын
쉴라 제국 만세
@anjae-he2zs
@anjae-he2zs 4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상상으로 치켜세우면 뭐하냐 지금 복원 1도 못하는데 경주가보면 허허벌판이더만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Жыл бұрын
간다라 양식 불교문화 동서 화합
@user-qe9zd5ty5z
@user-qe9zd5ty5z 4 жыл бұрын
고급 외노자가 만든거임
@user-zl5sj3ei8i
@user-zl5sj3ei8i 2 жыл бұрын
??????????????????????????????????????
@korean650
@korean650 2 жыл бұрын
?
@user-pj3fx5rl5w
@user-pj3fx5rl5w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역샤왜곡의 중심중에 하나가 일본보다 드라마라는 사실을 아시는분~ 왕건 실재모습과 왕건역최수종이 전혀다르다는점. 세종이나 이성계역과 실재 모습과 전혀다르다는점은 또다른 역사왜곡으로 중대한 부분이란 점을 알려드립니다.사람이 바뀐거 이름이 바뀐거와 똑같다는 사실을 깨우쳐주세요.역사는 실재이지 드라마나 배우,연기가 아닙니다.제발좀 중국중심거짜韓국사
@user-eq1rq1mt6e
@user-eq1rq1mt6e 3 жыл бұрын
광고 앵가히 해라 짜증나서 못 보긋다.
@user-pf4lg3yq3v
@user-pf4lg3yq3v 4 жыл бұрын
광고 오지게 걸어놔네
@user-nt4eh8se7y
@user-nt4eh8se7y 6 жыл бұрын
문무왕 비문의 다른 내용은 접어두고, 가장 주목되는 7단계의 출자 부분은 이렇다. ① 화관지후(火官之后): BC 2300년대 ② 진백(秦伯): BC 650년대 ③ 파경진씨(派鯨津氏): BC 200년대 ④ 투후(瑙侯): BC 100년대 ⑤ 가주몽(駕朱蒙): BC 50년대 ⑥ 성한왕(星漢王): AD 20년대 ⑦ 문무왕(文武王): AD 660년대 옆에 덧붙인 연도는 문자학회 김재섭씨가 주장하는 것이다. 문제는 ①의 [화관지후]가 사람의 이름인지 당시의 관직 이름인지 ②의 [진백(秦伯)]이나 ③의 [파경진(派鯨津)]이 무슨 뜻인지 모호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후대가 모르고 있을 뿐이지, 신라 문무왕 당시에는 이런 글자가 무슨 뜻인지를 알았기 때문에 이렇게 새겼을 것이다. 일단 결론부터 추단해 본다면 ①의 화관지후는 BC 2300년 경 관직 이름으로 현재로서는 삼황오제(三皇五帝)시대의 임금인 순(舜․재위 9년 BC 2320~2312), ②의 진백(秦伯)은 진시황제의 20대 선조인 진 목공(穆公), ③의 파경진씨(派鯨津氏)는 진나라가 망하면서 안전지대를 찾아 경진씨를 파견한 휴도왕, ④의 투후는 김일제, ⑥의 성한왕은 김일제의 4대손인 김성(金星)으로 이 성한왕이 바로 김알지라는 것이다. 이게 사실이라면~, 중국에 고대사가 어떻게 되는 것 인가요? 우리가 직계후손이 되는것인가요?
@user-pz3yh5bu5g
@user-pz3yh5bu5g 5 жыл бұрын
신국은 신라국이죠.신라국이 신국말에 신국지도층과 황족,고대조선유민,고구려계가 경주로 이동해 신라국건국.하여 북방훈족과 고대조선이 결합돼 과히 상국이라할수있소.중한족한나라와 신국은 별개요.신국왕망은 북방훈족정체성찾아 한나라제압했고 김일제포로잡은 일을 되갚아주고자했소.하여 중한족과 신국은 별개고 그때에 신국은 고구려를 상국으로 모셨소.그때에 태왕이 신국황제를 윤허했다는 기록이 있소. 하여 신국은 신라국한국사입니다.문정부는 역사를 바로세워야하오.신라국은 황제국이오.이는 백제국 가야국을 병합했고 일본백제계를 밀고 일본을 담로통치했소.하여 황제국이라해야하오.이는 고려국 김부식삼국사기에 신라국을 황제국으로 기술했소.또한 황금보검 삼태극,이는 단군조선의 고유문장이고 보검중 보검이요.이는 신라국이 북방민족의 상국이라는 보여주고 신라국 금관도 그러하오.웅장하고 예술성 다른나라와 비교불가요.금관보면 배달조선신라국을 보여줍니다.북방훈족은 배달국이후 동이구이족으로 부여국과 같이 단군조선의 제후였소.북방훈족에 삼수문화 있고 부여국의 온돌방식이 돌궐지역에 유적으로 있소.또한 돌궐때 부여유민과 고구려유민이 돌궐과 연합해 서쪽진출시 돌궐의 지도층되어 고구려의 철기병개마무사를 도입해 유럽헝가리 까지 진출했소.하여 터어키에서는 돌궐시대 왕급릉 비문에서 고구려를 발견하고 왕급릉 주인이 고구려인으로 연구돼 터어키에서는 교과서에 한국을 형제국으로 기술하고 있소.한국고구려와 돌궐은 동맹국이고 수나라때 연태조막리지가 돌궐과 동맹,연개소문막리지때도 동맹등 이웃국가였다.단지 고구려시대때 유연유민을 고구려가 수용하고 연유민을 수용하거로 전투가 좀 있었다.허나 돌궐이 서쪽진출할때 고구려유민이 돌궐과연합해 지도층으로 돌궐이 서쪽진출하는데 지대한 공헌한다.
@user-pz3yh5bu5g
@user-pz3yh5bu5g 5 жыл бұрын
박선생,문무황제 비문을 확실히 해독한겁니까? 실제 비문에 그런내용이 있다는 것이 놀랍고 상고시대를 볼수 있소.화관지후,진백,파경진씨,관해 합리적인 해독을 연구했는지 궁금하오.북방훈족하면,북방부여국,단군조선하고 관계있고,북방훈족과 진시왕 진하고는 대적관계로 진이 북방훈족한테 많이 패해 조공바친역사가 있소.이는 한유방까지 그런 조공을 많이했고.진시왕 북방출신이라하지만 북방민족과 척을 둔 남방 황하서남쪽이다.북방훈족과 진시왕 진은 적대적관계로 보고,솔직히 진시왕 진 역사비중없는 장안,낙양지역의 소국이었다.화관지후는 관직명인데 신국때 기술된것같다.불화자를 쓴것보면 부여국하고 관련있다고도보인다.훈족과 부여국은 몽골지역에서 이웃국가이니.또한 사기가 1차사료라 보편 보는데,사기도 한나라 위주로 쓰였기에 신중히 접근해야한다.진백보면 진백은 관리로 볼수있는데 인명이라 확인했는지도 궁금.진관리,진파견관리,로도 해석할수있는데 사료적인명으로 나오면 그게 사실일거고.파경진씨 진말에 기록있으면 휴도왕과 관련됐고 북방훈족과 진은 적대적관계고 조공관련해 훈족도독부가 있었을수 있고.아무튼 비문에 내용은 신국훈족과 연관있다본다.그리고 신국은 신라국의 시작이다고 보고 신국,사로국과 함께 신라국한국사이다.하여 번조선상나라은 도 동이족,동이국가고 부여국과 같이 단군조선의 동이제후국이다.기자조선있는데 기자가 상고문헌에 나오니 역사적인물로 보고 상나라출신이니 동이족이다.그리고 상나라가 번조선장쑤성,산동지역인데 서주,주가 침입해서 기자는 하북성지역으로 이동했겠지.기자조선은 중한족놈들 조작한거고 기자는 하북성조선의 단군신하 중 하나였다고 본다.그리고 그리 덕망있는 인사는 아닌걸로 보고,만일 기자가 단군반열과 덕망있는 신하였다면 팽오,고시처럼 오늘날 한국에 문화로 전해졌을것이다.팽오는 단군신하고 덕망높아 사람들이 성황당 당산나무에 오방색끈을 묶어 기렸고,고시 또한 덕망있는 신하로 고수레하고 지금도 문화로 이어지고 있다.하여 기자는 하북성조선의 단군신하였다고 보고 후에 요서고죽국의 선조가 된다고 한다.상나라은 이 번조선지역이니 고대조선이엇거나 단군조선의 동이제후국이었다.하여 기자는 동이족이고 기자조선이 있었으면 하북성조선의 신하로 보고 기자조선도 한국사에 넣어야하고,다만 상나라은 출신기자고 하북성기자로 바로기술해야한다.단군조선은 삼조선이고 번조선 진조선,막조선으로 진조선에 단군이 있었다.또한 나라가 커서 신하가 중했고 신하가 왕권에 준한 권력을 가졌다봐야지.진조선은 서부여 북부여동부여로 나뉘어 번조선 위만정권 황하산동에서 무너질때 서부여가 북경으로 전진배치했다본다.그때에 낙랑군 없었다.사기에 구체적내용없다.하여 황하산동을 위만가가 분할통치한걸로 전쟁종료.후에 고구려때 낙랑군 나오니 낙랑군은 요서에 있고 미천태왕때 낙랑군격퇴하고 포로6000명 수도평양 여기서는 국내성정도로 압송 신민으로 삼았다.하여 장수태왕기준 고구려평균강역은 몽골황하상류동쪽몽골,황하위중앙내몽골,동황하동북쪽,북경,서안평,요서평주북평,부여만주,연해주,최씨낙랑국까지다.투후 이후내용은 거의 알고있소. 역사에 자세한연구 찬사를 보냅니다.박선생,역사시대는 문헌을 참고로 유적 유물답사로 역사사실을 공부하고 조명하는데 문무황제비문을 자세히 해독했으면 합니다.문무황제는 신국역사와 같고 신국사는 우리신라국한국사입니다.신국,사로국,호태왕궁전,번조선상나라은,기자,고죽국,옥저,낙랑,부여국,숙신,읍루,말갈,여진아골타,최씨낙랑국,가야국,탐라까지 우리한국사에서 빠지고 소홀히 한역사를 바로써야합니다.
@crimecatdog
@crimecatdog 4 жыл бұрын
신라왕은 흉노족의 후손이라는게 팩트
@whitehospital3523
@whitehospital3523 4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유명한 사람을 자신의 조상이라 칭한 경우가 많았음 고려만 봐도 당숙종이 왕건 증조부라 했잖아요
@user-yq3sb9ud2m
@user-yq3sb9ud2m 3 жыл бұрын
고구려신라백제가 삼한의유민에서출발했지만 그초기쯤지나 유럽게스키타이쪽이와서 정권잡고 그전에인도해양세력이섞이고 ... 분명한건 백제고구려 부여하고는이질적이지 무덤양식 일상문화언어문자 인종이다른건확실해 신라의화랑이 분칠하고화장하고전쟁코미스타투(아리안족무사)의사상으로강력한전사로서삼국통일의기반이되었어며 이민족의 정체성을만든신라
@user-sm8ms4nd7n
@user-sm8ms4nd7n 4 жыл бұрын
1:27 모전석탑? 당나라 벽돌탑따라만들려고 쌩돌을 벽돌로 갈아만들어서 외관이 투박하다.
@user-zr5fd2sf4f
@user-zr5fd2sf4f Жыл бұрын
신라시대에 중국이란 나라가 존재하였나요 교수라는 사람이 학문적으로 말해야지 남들이 하는 그냥얘기를 인용하듯 말하면안되죠 즉 중국이아니라 당이면당. 수면수나라라고 해야지 당시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중국이라는것은 당시 신라를 지금의 한국이라는것과 무엇이 다른지요
@ps-kv5qs
@ps-kv5qs 3 жыл бұрын
ㅇㄴ 이걸 언제 정리해서 언제 필기하는데 ㅅ1발
@sangdoo_luv
@sangdoo_luv 4 жыл бұрын
사십몇분짜리 동영상에 광고가 10개이네 진짜 돈을 그렇게도 쳐벌고싶더나 이 좋은영상에 광고를 그것도 2개 연속 쳐봐랴하네 진짜 개짜증나게
@sangdoo_luv
@sangdoo_luv 4 жыл бұрын
진짜 ㅈ같아서 못봐주겟네 18..
@sangdoo_luv
@sangdoo_luv 3 жыл бұрын
샀으니까 5개월전 댓글에 답달지마세요 ㅋㅋㅋㅋ
@jypsespinkle
@jypsespinkle 4 жыл бұрын
석굴암 물샌다 ㅋㅋㅋ
@aa-bz8jg
@aa-bz8jg 7 ай бұрын
ㅋㅋ 뚜껑올리다 깨진거 귀엽노
@inkoansong5909
@inkoansong5909 6 жыл бұрын
조상의 문화는 한글 빼면 시체 .
@user-rs1ds4xt7m
@user-rs1ds4xt7m 5 жыл бұрын
공감
@user-lz9gz3yj2q
@user-lz9gz3yj2q 4 жыл бұрын
참..무슨 광고를 이렇게 넣는지..볼만하면 광고 뜨네.돈애 환장했나..ytn도 방송사 아닌가?
@user-oc8mv6lj4o
@user-oc8mv6lj4o 3 жыл бұрын
신라시대 건축이나 구조물, 영상, 화면, 경관 등을 밀도있게 보여주면서 설명도 자연스레 곁들여지는 줄 알았더니 이건 이놈의 전부 쭈그렁한 인간들 면상만 하루종일 비추면서 인터뷰하는거 뿐이네.. 이럴거면 차라리 100분토론을 하지 왜?
@c-fire
@c-fire 4 жыл бұрын
다 일본에서 만들어 줘서 신라인들이 아직까지 신처럼 떠받는다고 하던데
@user-yq3sb9ud2m
@user-yq3sb9ud2m 4 жыл бұрын
이거는무슨미친...소리야
@lllk155
@lllk155 4 жыл бұрын
뭔 이상한소리냐... 일본은 역사상 신라의 발톱때만큼 넘어선적이 단 한번도없었다
@ka_ming_
@ka_ming_ 4 жыл бұрын
갠가? 개소리하노
@tankman2153
@tankman2153 3 жыл бұрын
ㄴㄷㅎ
@user-yq3sb9ud2m
@user-yq3sb9ud2m 3 жыл бұрын
개또라이쌔끼 일본의저명한학자가 일본유명방송에나와 그것도황금시간대에 일본의카타가나가 신라의구결문자라고 밝혀냈다 학자적인양심으로 진실을 말한것이다 뭐일본에서만들어줘서 신라가받든다고??그리고일본의사무라이문화가 신라화랑도에서나왔고 일본고대어는고구려부여계통에서나와말이거의똑같고 문화의총체적역할과 정치적바탕 혈연관계 와미개인죠몬문화를선진문화로만든게백제인이고 고대에이미 신라방고구려방백제방이라는지역자치구도있었다 제발헛소리좀하지마라
@user-rz3ce2bf6f
@user-rz3ce2bf6f 4 жыл бұрын
석굴암은 인도의 석굴보다 못한 것이다. 규모나 화려함만으로도 비교가 안된다
@user-us9rq1fm1x
@user-us9rq1fm1x 4 жыл бұрын
시도 그런거임?
@solarsailer6129
@solarsailer6129 5 жыл бұрын
천년의 상징 건축 기술ㅋㅋㅋㅋ 남아있는 거라곤 석축건물인 석탑, 첨성대 정도 밖에 없으면서 ㅋㅋ 건축기술이면 동시대 지어진 호류지, 도다이지등이 아직도 건재한데 경주는 뭐가 있냐?ㅋㅋ
@xkdzlf75
@xkdzlf75 5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외세침략이 3번이 전부랍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침략을 수천번 당한나라지요. 거기다 국교가 유교로 넘어가면서 불교문화재들은 방치 또는 파괴되어 왔습니다. 그에 반해 일본은 불교가 메이지유신 전까지는 신토를 능가한 종교라서 대우가 다릅니다.
@solarsailer6129
@solarsailer6129 5 жыл бұрын
@@xkdzlf75 ㅋㅋ? 그래서 지금 남아 있어요? 없잖아요ㅋㅋ 부서지면 복원이라도 하나? 일본애들도 자국내 전란이라던지 화재, 2차대전 등으로 부서진 건물들을 복원하기도 하고 사료가 거의 없어 복원이 힘든 건물들은 고증과 상상을 섞어가며 중건이라도 하는데 한국은? ㅈ도 없는데요ㅋㅋ
@xkdzlf75
@xkdzlf75 5 жыл бұрын
@@solarsailer6129 저도 그건 동감합니다. 5년 전에 갔던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등도 훼손이 70~90%에 달하는데 비해 복원은 정말 손톱만큼하는게 너무나 섭섭합니다. 한양도성도 적극적으로 성곽을 복원해야하는데 더뎌서 유네스코 등록도 취소되고 말이죠...
@quixc
@quixc 5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으로 400여년간 의도적으로 방치함 결과 : 폐허됨
@user-us9rq1fm1x
@user-us9rq1fm1x 4 жыл бұрын
도다이지는 여러 번 사라지고 복원한 절인데......
@entn8769
@entn8769 2 жыл бұрын
안으로 안으로 쪼글아들어 뻔데기가 되어 1000년이나 잠자면서 오로지 불교에만 의존했던 못난 신라국..답답하기도 했을텐데 경주라는 꼴짜기에 처박혀 만족하고 산 못난 시기가 있었다는게 한심하기 짝이없다.
@vous3584
@vous3584 5 жыл бұрын
누가 들으면신라가 대제국인줄 알겄다잉...땅 다 내주고 반도 남쪽에 찌그러져 조뺑이치던 코딱지 주제에 ..
@PELLACO.
@PELLACO.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싫다는거야?
@PELLACO.
@PELLACO. 4 жыл бұрын
말하는 싸가지 없는 새끼가 어디서 건들여 그렇게 싫으면 한국을. 떠나세요 우리나라에 왜있음?
@junchun8064
@junchun8064 4 жыл бұрын
한반도 제일 선진국 시기인건 맞음. 개노답 조선에 비하면 훨씬 낫긴했지
@y.n.g.7600
@y.n.g.7600 4 жыл бұрын
@@junchun8064 고려
@user-sr6eo9rv4j
@user-sr6eo9rv4j 3 жыл бұрын
전라도보단 낫제잉
@user-ey7st3fj2v
@user-ey7st3fj2v 3 жыл бұрын
웃기지마세요~~ 신라인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아니죠 백제인들에 도움을 받아겠죠~~~!
@user-rs1ds4xt7m
@user-rs1ds4xt7m 5 жыл бұрын
신라는 중 국이 세운 나라 김 알 지가 중 국사람입니다 신 라는 중 국 자손이다
@user-pz3yh5bu5g
@user-pz3yh5bu5g 5 жыл бұрын
우광석 간신,소돌대가리냐?신라국은 북방천마기마민족이다.신라국은 신국,사로국부터시작이다.신국은 북방훈족,부여국과 같이 단군조선의 동이제후국었고 북방 휴도왕 태자 김일제 후손 왕망이 한나라제압하고 신국건국하고 북방민족우대하고 훈족계 남하시키고 위구르,고구려계를 고위직에 내정했을거고 그때에 고구려를 상국으로 모셨다.신국말에 신국지도층과 황족,고대조선유민,고구려계가 경주이동해 신라국을 건국한다.하여 중한족하고 신국은 다르다.중한족은 한나라 헌원후손이고 신국은 북방민족이고 신라국의 시작으로 보아야한다.하여 신라국시작은 중본토 신국부터 잡아야한다.신국역사는 신라국한국사이다.우광석 역사를 알고 떠들어라.신라국은 북방훈족 김일제태자 후손 신국황족가 김알지가 경주이동해 박석김 라운딩으로 임금에 오른다.신라국은 북방천마기마민족으로 북방민족의 상국이고 북방스키타이 시작이다.신라국의 황금보검,삼태극 이것은 단군조선의 문장이다.하여 북방민족과 단군조선의 결합,과히 상국이라할수 있다.신라국의 문무황제,오만한 당군 안동도호부를 정예기마병결성해 한성서 요양쪽 안동도호부를 공격했다.하여 신라국은 압록강,백두산까지 진견했고 발해국과 압록강 경계로 신라,발해국 남북조시대를 열었다.신라국이 북방기마민족의 상국은 황금보검,금관이 있는데 신라국 금관은 전세계금관 14개 있는데 한국에 10개가 있다.또한 개수뿐만 아니라 웅장하고 예술성이 다른나라하고 비교불가다.신라국은 돌궐이 서쪽으로 진출해도 계속 교류했고,발해유민 이동지역인 동국조선 멕시코문명과도 교류했다.신라국은 신국부터고 신국은 중한족이 아니다 북방훈족이지.신국왕망이 중한족 한나라가 북방훈족 공격해 김일제가 포로되는데 후에 지도층으로 가지만 김일제후손 왕망은 북방훈족의 정체성찾고 중한족에 포로로 잡힌 선조를 위해 한나라제압하고 신국건국했다.하여 중한족한나라와 신국은 별개고 북방훈족이고 신라국시작이고 신국,사로국역사는 신라한국사이다.
@user-eh4zv8zw4v
@user-eh4zv8zw4v 5 жыл бұрын
신라엔 김씨만 살은것처럼말하내..김씨시조가 중국 사람일뿐이지
@kk-di2qh
@kk-di2qh 4 жыл бұрын
그런 식이면 쿠데타 일으키고 위만조선 세운 위만도 중국사람이니까 우리 모두 중국 자손이네ㅋㅋ 설마 위만이 고조선으로 넘어올 때 상투를 틀고 왔다고 한민족의 후예라고 믿는건 아니겠지ㅋ
@user-yq3sb9ud2m
@user-yq3sb9ud2m 3 жыл бұрын
삼석님은 김알지의 바로 고조부되는분이 기마아리안족 스키타이와섞인조상 인걸알아야지 중국?그때무슨중국이있었나 지나족들이 백년조금지난쯤에 쑨원이이름갖다붙인거고 신 라는아리안계 금을숭상하고 금의문화를가졌던기마전사민족 중하나였음이들이지배계급이되어삼국통일을주도한것임 어떤역사가들은 고려의당숙종과연계된같은뜻의숭조사업숭조의식이라는데 아무리봐도신라는부여계통과섞인거임
@user-yq3sb9ud2m
@user-yq3sb9ud2m 3 жыл бұрын
@@user-pz3yh5bu5g 아..맞네요 이민족의실질적삶의공간을출발한위대한신라 통일신라때에고려조선대한민국과우리가존재하지요 이제 지나족이쪼개지면 남북한이하나되어 고구려 부여고조선의우리고토를수복하고시베리아철도 아메리카철도를놓으면됩니다
토목과 건축의 백미, 미륵사지 석탑 / YTN 사이언스
40:26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53 М.
[BTN 다큐멘터리] 동서양 멀티컬쳐 불후의 성전 석굴암
49:25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Рет қаралды 12 М.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84 МЛН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역사추적 - 광개토대왕 청동호우 왜 경주에 묻혔나
47:20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543 М.
KBS역사스페셜 - 묵서지편의 증언, 석가탑이 무너진 까닭은?
47:50
금관의 왕국, 비밀을 풀다 / YTN 사이언스
43:3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28 М.
후백제, 역사 속 사라진 45년 / YTN 사이언스
48:05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19 М.
KBS역사스페셜 - 대성동 고분의 비밀, 가야인은 어디서 왔는가
47:14
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의 비밀/ YTN 사이언스
41:4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백제 역사를 새로 쓴, 무령왕릉 / YTN 사이언스
45:1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29 М.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8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