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L의 10분 충전에 400 km를 주행한다는 shenxing 배터리. 그 기술적 정체를 밝힙니다.

  Рет қаралды 3,968

Tech Trip

Tech Trip

10 ай бұрын

단 10분 충전에 400 km를 주행한다는 CATL의 Shenxing 배터리는 LFP 양극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초급속 충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들은 과연 어떤 기술을 적용하여 3원계 보다도 월등한 충전 속도를 확보했을까요? 그 기술적 background를 파헤쳤습니다.
#CATL #고속충전 #LFP

Пікірлер: 82
@존버나드
@존버나드 10 ай бұрын
안 좋다고 생각하는 LFP를 기어이 개발해서 좋게 만드는 중국인가봐요. 개발비용만해도 국내3사랑 많이 차이나네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존버님~ 이번 발표한 Shenxing 배터리의 핵심은 흑연 음극재의 표면 보호막입니다. 국내 3사는 음극에 실리콘을 첨가해 충전속도를 올리고 에너지 밀도를 키우는 방식을 쓰는데, 가격상승과 싸이클을 손해봅니다. 이들은 거의 가격 상승없이 엄청 빠른 충전시간을 확보해서 에너지 밀도나 용량에 신경 안써도 되는 전략을 택했네요. 완전 허를 찌른 느낌입니다.
@user-mi8ne1kd6k
@user-mi8ne1kd6k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튜브 권고로 배터리 관련 내용 보게 되었는데..최근 궁금한 내용도 소개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양산을 지켜봐야하겠지만 전기차 대중화 측면에서 반가우면서도 착찹하네요 ㅠㅠ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아직 게임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공장증설에만 정신이 팔린 것같고 남들이 생각치 못한 새로운 도전은 찾아보기 힘들어서 이런 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ajuksaek
@ajuksaek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상으로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쏙쏙..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ㅎㅎ 다행입니다~ 쉽죠?
@parkyongsuk777
@parkyongsuk777 10 ай бұрын
오랫동안 베터리 기술의 발전이 없다고 생각해왔는데 전기차의 시대가 되고 돈이 된다고 하니 기술 발전이 정말 빠른 것 같네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돈 되니까 난리도 아닙니다~ 그나저나 기술이 앞서야 할텐데...
@user-lz5sj6fu6x
@user-lz5sj6fu6x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현재 진행형 현상이 상당히 놀라우네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그동안 마치 기술발전이 한계에 접근하는 듯하더니, 오히려 가속화 되는 듯합니다... 누가 주도권을 잡느냐가 중요한데.....
@Stoic-vy3cu
@Stoic-vy3cu 10 ай бұрын
감독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예전에 CNT 합성 및 종류에 대해서도 영상에서 설명해주셨는데, CATL 이 쓴다는 토요컬러라는 회사가 더 특별한 것이 있을까요? 확실히 CNT가 도전성을 좋게 해주지만, 기존 카본 블랙의 양을 줄여주고 에너지 밀도 약간 올리는 정도로만 생각했었거든요. 그리고, M3P는 자체 개발하는 활물질 grade인가봅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언급하셨지만, 입자 크기 외에도 이 부분에 포인트가 있다면 LFP 후발 주자들은 따라가기 힘들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신 전해액이 정말 궁금합니다. weakly-solvated electrolyte 의 구체적인 정보도 있는지요? 영상 보고 아직 논문은 못찾아봤습니다만.. 이는 바로 힌트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리튬염의 종류에 따라, 첨가제에 따라 SEI layer 형태 및 그에 따른 저온 성능 및 급속 충전 영향이 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영상에서 양이온/음이온이 흑연에 같이 들어가는 것을 보고 플루오린이 포함된 첨가제가 SEI layer형성에 영향을 주는것이 생각났습니다. 정말 이런 영상 자료를 다양한 목적의 교육 자료로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Toyocolor는 자타가 공인하는 분산에 관련된 최고의 회사입니다. CNT 자체도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이들 특허는 분산자체에 관련된 것도 있으나 CNT 자체의 물성부분도 세분화 되어 있습니다. SEI에 관련해서는 dielectric constant가 낮은 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기존과 다르며 전해질도 LiPF6 계열이 아닌 것 같습니다. 쇠소한 다른 계열의 리튬염 첨가가 필요하며 불소 계열의 재료 혹은 전해액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aeyoonpark1413
@taeyoonpark1413 10 ай бұрын
써니! 정말 Tech-Trip에서만 볼수있는 내용을 올리셨네요...ㅎㅎ...CATL은 VC같은 첨가제는 사용하는지....어떤 종류의 lithum salt로 전도성이 높은 SEI를 형성하는지 궁금하네요...sulfur 계열인가요? ㅋㅋ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안젤로, 링크에 붙인 논문 읽어봐요. 상당히 다양한 재료들이 속속 나오는데 이놈부터 보는게 좋을듯합니다. Regulating Interfacial Chemistry in Lithium‐Ion Batteries by a Weakly Solvating Electrolyte** - Yao - 2021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Wiley Online Library - 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nie.202011482
@taeyoonpark1413
@taeyoonpark1413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오래간만에 모닝 1논문했네요...써니 덕분에...ㅎㅎ...앙게방테...좋은 저널이죠....본 논문에서는 VC같은 첨가제가 미사용되었네요..VC 같은 첨가제로 graphite주위에 SEI형성해서 전해액분해를 억제하는걸로 알고 있었는데...새롭네요....그리고 논문에서는 Lithium salt는 범용적으로 사용중인 걸로 실험했네요..salt로 SEI도하구...충방전속도를 증가시킨다고해서 새로운 구조 salt가 아닐까 생각했는데...ㅋㅋ.그래도 오래간만에 논문을 보고...새로운 걸 알고가니...좋네요...ㅋㅋ...논문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써니! 다음 영상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ㅎㅎ...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taeyoonpark1413 이건 빙산의 일각이에요... Dioxolane/wekly-solvated electrolyte로 검색해 보면 엄청난 일들이 최근 2년 동안 벌어지고 있어요. Cathode쪽의 SEI도 이 방법으로 만들어서 고전압 3원계 혹은 다른 계열의 양극재의 수명을 향상 시키고 있는데 아마 CATL 내부에서 이미 양극재 쪽도 손 댔을듯... 안젤로 백그라운드가 전해액이었으니 눈여겨서 잘 봐요~
@Bigwing_J
@Bigwing_J 10 ай бұрын
LFP 배터리팩 전기차가 정확한 배터리 양을 확인할 수 없어 주기적으로 완전충전을 해 레벨링을 다시 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이런 부분도 기술 개발로 극복 가능한지 궁금하네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그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NO-pk4sr
@NO-pk4sr 10 ай бұрын
이게 사실이면 진짜 혁신적 기술이겠네요 배터리 수명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이런 개념은 존재해 왔었습니다. 고속충전은 가능했지만 수명 문제 있던 것을 해결한 것입니다~
@Oyster_Perpetual
@Oyster_Perpetual 10 ай бұрын
저렣게 연구개발비 때려넣어서 만든 LFP가 여전히 쌀까 싶기도 하고 LFP에 연구개발비 때려넣어서 상품성을 개선하는거 보다 NCM의 가격하락이 더 빨리 오지 않을까.. 싶네요. 국내3사의 특허를 비켜가기 위한 LFP투자라면 이해가 갑니다만. (주식안함)
@user-kx5di5wl1c
@user-kx5di5wl1c 10 ай бұрын
삼원계 배터리가격하락이 더 빠를거라는 의견에 저 역시 동감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배터리 셀 가격은 원재료비 이외에도 다양합니다. LFP가 앞선 부분은 원재료비입니다. 3원계가 양극재의 건식공정을 먼저 도입하고 4680을 높은 수율로 생산 가능하게되면 가격경쟁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리고 3원계의 장점을 최대화하여 5분 충전에 500km 주행한다면 역전하겠죠? 문제는 그것을 대한민국에서 하느냐, 아니면 중국에서 먼저하느냐의 싸움일 것입니다. 단순히 LFP vs. NCM이 아니라 KOREA vs. CHINA의 싸움입니다.
@hf9069
@hf9069 10 ай бұрын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디 그럼 앞으로 lfp양극재로서 철은 완전히 없어질꺼라고 보시나요? 그리고 m3p나 션싱 제제품이 ncm 배터리를 대체할수 있다고 보시나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M3P의 객관적 데이터가 나와봐야 확실히 알 수있을 것입니다만, CATL의 발표가 맞다면 구지 lfp를 사용해야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다만, 일부 알려진대로 알미늄, 아연, 마그네슘이 철을 치환했다면 가격 상승 요소가 있지요. 그래서 reverse engineering 이후에 확실해 질것 같습니다. NCM은 확실한 장점이 있습니다만, 원통형 기반으로는 CTP에 불리한 점이 있어서 프리스메틱 기반의 lfp에 밀리는 것 같습니다. NCM은 잘만 제작하면 5분 충전이 가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니켈 농도 올리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이 갠적으로는 답답해 보입니다.
@kimdr.5231
@kimdr.5231 5 ай бұрын
M3p는 luxeed s7이라는 화웨이계열 차량에 탑재되어 출시되었습니다. S7의 m3p팩 밀도는 163.7wh/kg입니다. 등록된 정보로 볼때 양극재로는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인산철, 망간 등이 주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ecobit1717
@ecobit1717 10 ай бұрын
ncm도 5분충전하면 500km갈수 있지않을까요? cnt첨가랑 입자크기 줄이면요 그럼 배터리용량줄이고 밀도는 높으니 더 좋지않을까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양극재의 성능은 뛰어나지만 흑연쪽도 손을 보지 않으면 덴드라이트 발생확률이 높아질 것같습니다. 흑연으로의 리튬이온 삽입이 늦어지면 쥐약이거든요... 흑연 밖에서 리튬이 석축되기 쉬워지니까요.
@rapidvit
@rapidvit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국내 배터리는 다원계는 향후 입자 크기를 마이크로에서 나노 단위로 낮추고, 단결정 양극재, 그리고 흑연을 제외하는 방향으로 갈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중국이 허풍 떠는 기술들을 떠들썩하게 발표하고, 정작 그 후에 나온 결과물에 대한건 조용하고 이게 중국을 경계해야하는 이유인가요? LFP에 다양한 시도하면서 발전할 수 있으면 당연히 다원계도 그렇다는건 생각 못하는건가요? 향후 쉔 뭐시기 배터리가 나오고 나서 리뷰하는 영상이 올라오길 바라겠습니다.
@hf9069
@hf9069 10 ай бұрын
삼성에서 발표한 lmfp와 m3p 성눙 차이가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것이 더 현실성이 있을까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LMFP는 LFP의 Fe의 일부를 Mn으로 대체해서 전압을 상승시킨 양극재입니다. 대신 무게당 전류먕은 낮습니다. 기존 LFP에 비하여 좋긴 하지만 M3P와의 비교는 잘 모르겠습니다. Guoxuan의 발표를 보면 M3P보다 월등한 LMFP를 개발한 것처럼 발표를 했는데 글써요... 그리고 LMFP를 위해서는 새로운 전해액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할 것 같습니다. Guoxuan도 그렇게 했다고 발표하긴 했습니다.
@jakewon284
@jakewon284 9 ай бұрын
삼원계 기술은 1970년대 부터 일본에서 발명되어 발전 시킨 기술로 제생각에 이미 많이 고도화된 상태라 더이상 발전하는 속도가 느린 반면 20년정도 된 LFP는 아직 연구 개발하여 개선할수 있는 여지가 많은거 아닐까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9 ай бұрын
니켈함량으로 봤을때 3원계는 올때까지 왔습니다. 다만, CAMX사에서 발표하듯이 동일 니켈 함량에서 안정성을 높인다던지 Onenano나 Tesla에서 시도하는 전구체 과정을 거치지 않는 제조방법 혹은 양극재 표면에 효과적인 SEI 층 형성 등은 나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LFP도 CATL의 M3P에서 보듯이 성능개선의 ㅇ지는 있는 것 같고요. 다만, 이번 영상에서 다뤘듯이 건식공정 같은 새로운 제조방식의 impact이 오히려 양극재보다 더 클것 같습니다~
@jjrosenlee
@jjrosenlee 9 ай бұрын
10분 충전이라는 말은 몇 C-rate인가요? 그리고, SOC는 20-80%로 보면 될까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9 ай бұрын
완충에 700km라고하니 400km는 완충상태의 57% 가량이겠죠? 그러므로 20/80이 아닐까요? 방전도 80/20? 발표 내용엔 없어서 확실치는 않습니다~
@kimdr.5231
@kimdr.5231 4 ай бұрын
24년형 지커001에 들어가는데, 방전 출력은 95kwh에 789마력으로 6.1C, 충전은 공개 안되었는데, 30~ 80%까지 11분이라고 하니 최고속도 일때 4C급이라고 봐야할듯 합니다.
@hf9069
@hf9069 10 ай бұрын
산화철은 이제 도대 되는걸까요? M3p로 전환한다면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전통적 LFP 양극재는 저온특성이 떨어지고 에너지밀도가 낮지만 pack의 온도조절 그리고 CTP로 만회해 왔었습니다. 하지만, M3P의 출현으로 새로운 계열의 LFP 개발 없이 기존 LFP만으로는 힘들어 보입니다. LFP 배터리는 BYD의 blade battery가 가장 주목을 끌었지만 이젠 CATL의 M3P를 사융하는 qilin으로 옮겨갔고 이번 shenxing은 M3P양극재 기반으로 다른 요소들을 업글한 것이라 상당히 위협적입니다.
@gracekim4397
@gracekim4397 10 ай бұрын
중국 반도체 영상도 만들어주세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역부족입니다~ 지송여~
@uwin-rj4rj
@uwin-rj4rj 10 ай бұрын
태슬라가 지금 그렇습니다. 0%에서 10분충전시 60%입니다. 100%시 750km갑니다. 중국기준으로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음~ 그럴 수 있겠네요! 중국 기준인 것을 간과했네요~ 감사합니다~
@user-iv6xe1ke3o
@user-iv6xe1ke3o 10 ай бұрын
CATL이 작년 2조몇천억 연구개발비를 썼는걸로 아는데 더 확대 되나보네요. 4분기 곱하면 3조2천억.... 중국 연구원들의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를 생각하면 도대체가...... 전기화학은 자원을 많이 때려넣고 많이 해보는 자가 위너가 되겠지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그렇습니다... 인당 인건비 고려하면 심각합니다. SK온은 1Q 기준으로 연구개발비가 CATL의 1/5 수준입니다.
@kimdr.5231
@kimdr.5231 10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샐러리 차이를 찾아보니 Catl의 평균 샐러리는 월 3만1000위안, 한화로 556만원, 연봉으로 치면 6600만원 정도인데 반해, K배터리 3사는 1억 정도라고 하니, 단순 계산해도 35%가 넘는 차이가 있네요. R&D 규모까지 감안하면 엄청난 차이가....
@vincenty4615
@vincenty4615 10 ай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제가 전기자동차 사려고 배터리 계속 공부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이 베터리 테슬라에서 채용한다고 발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선생님은 차 사면 롱레인지(리튬이온) 를 사실껀지 유투브에서 설명해주신 베터리를 사실껀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충전속도도 빠르고 안정성까지 가지고 수명까지 길면 구지 롱레인지를 갈 이유가 있나 싶어요 특히 lfp는 100프로 충전이 가능하고 롱레인지는 20-80을 사용하면 갈 수 있는 거리는 비슷하여 고르지를 못 하겠습니다 선생님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자동차는 early adopter가 너무 불리합니다. 기다리셨다가 평을 들어 보고 구매하시는 것이 최고죠~ 저라면 그렇게 합니다~
@cellor20
@cellor20 10 ай бұрын
내년이라면 현재 양산차에 탑재된 lfp배터리는 1세대로 대우받지 못하는 신세로 전락하겠군요. 모델Y RWD가 Catl의 LFP 배터리인걸 감안하면 구매를 고민해봐야겠네요. 또 국내업체도 더 많은 연구개발투자로 1위자리를 굳건히 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네요.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LFP계열의 EV 구매를 원하신다면 기다렸다가 Shenxing이 탑재된 배터리를 구매하는 것이 나을 듯합니다. 저온특성, 고속 충전도 차이가 많이 나지만 곰곰히 생각해 보면 음극에서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이 그만큼 억제가 잘된다는 의미와 같으므로 폭발 위험성도 동일 조건어서 낮을 것입니다. 시청 감사합니다~
@kimdr.5231
@kimdr.5231 4 ай бұрын
현재 션싱배터리는 제법 비쌉니다. Catl의 인터뷰에 따르면 아직 생산량이 적어 가격이 비싸지만, 생산량 증가에 따라 가격이 싸질거라고 하니 기다려보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user-ey4dy6yy8q
@user-ey4dy6yy8q 10 ай бұрын
돈이 걸려있는 사람들이 많나봅니다 공격적인 댓글이 많네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아주 많을 것 같습니다... 일단 주식하는 사람들의 상당 수가 배터리나 양극재 회사 안건드려 분 사람이 오히려 적을 것 같은데요...
@user-ey4dy6yy8q
@user-ey4dy6yy8q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상처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user-ey4dy6yy8q 감사합니다~ 상처 전혀 안받으니 염려 마세요~
@danwlfn
@danwlfn 10 ай бұрын
한국이 반도체 신기술 개발할때도 홀대받던 원리를 개선한거 였음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시간 나시면 좀 더 상세히 설명 부탁합니다~
@danwlfn
@danwlfn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낸드 플레쉬 소자 개발할때 일부러 사용할수 없다고 생각되던 원소를 쓸수 없을까 하며 접근했다고 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danwlfn 아~ 그런 경우였군요~ 시도 안하고 말로만 공자왈 맹자왈하면 되는 것이 없죠... 감사합니다~
@danwlfn
@danwlfn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그래서 전력이 없어도 기억이 휘발되지 않는 메모리가 만들어진거죠. 그때만해도 메모리의 데이터는 없어지는게 당연한거였답나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danwlfn 그럼, floating gate 개념이 그때 처음 나온건가요?
@Therefore75
@Therefore75 10 ай бұрын
듣기로 앞으로 개량할 수 있는 한계로 봤을 때, 삼원계가 LFP 배터리보다 월등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LFP는 개선의 여지가 많지 않은 반면, 삼원계는 이제 시작이라더군요. 중국의 업체들이 발전할 때 국내 업체들은 더 빨리 발전하리라 예상합니다. 연구 개발비는 허수가 많습니다. 특히나 중국에서 나오는 통계는 그냥 듣고 흘리는 게 더 정확하죠. 연구 개발비만 보면, 우리나라의 미사일이나 인공위성 기술 수준은 말이 안 되거든요. 참고로 한국의 미사일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미국의 제재로 고체 로켙 개발이 좀 더뎠지만 지금 최고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죠. 밀리터리에 조금만 관시있어도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미사일 예산이나 인력을 보면 매우 적고 소수입니다. 연구 개발비는, 특히나 중국에서 발표하는 건 그냥 무시하는 게 좋습니다. 결과만 보세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무기관련 산업은 정말 대단하죠~ 말씀하신 미사일 이외에도 AESA 레이더 개발도 그렇고 4.5세대 전투기도 그렇고요~ 정말 얼마 안되는 인력과 돈으로 이정도를 해 낸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2차전지 관련해서는 중국에 비하여 일찌감치 과감한 투자를 했었습니다. 특히 LG화학이 그랬었고 이것은 1990년 후반, 구본무 회장의 과감한 결단으로 밀어 붙인 결과를 지금 결실을 맺은 것입니다. 오랜기간 막대한 적자를 보면서도요... IMF 당시 어려운 환경에서도 구본무 회장은 배터리 관련 연구원 전원을 괌으로 휴가를 보내줬었습니다. 사기 진작 목적으로요. 많은 신사업에서 구본무 회장은 본인의 생전에 이익 볼 생각 안한다고 자주 이야기하셨고, 이제야 그 결실을 맺은 것이지요. 그 과정중에 많은 CEO들은 그러한 적자 투성이 사업을 엄청 싫어했었고요. 마지못해 하는 실정이었지요. 그리고 결실을 보고있는 다음 세대는 그 다음 세대를 위하여 또 다른 준비를 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꼭 배터리 이외의 것이 아니더라도, 배터리의 경쟁력 있는 미래를 위하여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중국에서 발표하는 숫자는 말씀처럼 신뢰성은 떨어집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는 신기술들... Cell to Pack, 나트륨 배터리, 반고체 배터리, M3P 양극재 그리고 금번 발표한 Shenxing 등 귀가 따가울 정도입니다. 반면 국내 회사들의 발표는 니켈 함량 올리는 것, 그것도 이젠 거의 한계에 와있고요... 그 이외에는 니켈이나 리튬 자원 확보, 생산시설 증설... 그것이 아니면 LFP도 하겠다, 아니면 4680 개발 이슈 등 새로운 것은 거의 보이지가 않습니다. 우리는 절대 중국 애들에게 당해서는 안됩니다. 미국이 IRA를 철폐해도 미국에서 중국과 경쟁해서 월등히 이겨야 합니다. 그러나 지금의 준비상태로는... 글쎄요... 내년 미국 대선에서 혹시라도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면 악몽일 것입니다. 배터리 아저씨 말대로 실제 적용되는대는 3년이 걸리니 적어도 3년은 괜찮다는 말, 일리가 있지만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는 끔찍한 말이죠. 말이 길었습니다~
@rapidvit
@rapidvit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LG화학이 2차전지를 시작한건 90년대 초 1992년 입니다. 테크 유튜버를 자칭하면서도 기술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같네요. 어째 중국이 발표하는건 빠삭하게 아는것처럼 얘기하는데, 한국 기업이 발표하는건 모를까요? 한국 기업이 발표하는게 새로운 배터리 기술이 없다고요? LG엔솔이 2차전지에 대해 갖고 있는 특허가 2만 8천건이고, 삼성SDI가 2만 6천건 입니다. 그에 비해 CATL이 몇개의 특허를 갖고 있는지는 알기는 하십니까? CATL이 갖고 있는 특허는 고작 4천여개 입니다. 특허는 해당 기업이 해당 산업에 대해 갖고 있는 기술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다양한 연구와 시도를 해봤고 그 결과물을 갖고 있다는 거죠. 물론, 특허가 적은 기업도 물론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내서 잘 나갈 수 있죠. 근데 그러려면 해당 기술이 미래에 유망한 기술이어야 됩니다. LFP 가지고 뭘 한다 한들 LFP 한계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국내 배터리가 지금 울트라 하이니켈을 만든건 2016년경이고, 이게 5년간 테스트를 받아 양산을 하게 되는 겁니다. 향후 배터리에 대한 로드맵은 이미 다 공개되어 있고, 하이엔드급은 다원계 배터리가 프리미엄 시장을 차지할거고, 엔트리 급은 향상된 LFP나 망간리치(하이망간)으로 저가시장을 잠식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미래 배터리로 주목 하고 있는게 대체로 전고체 배터리인데 LG엔솔의 경우 리튬황 배터리를 게임체인저로 주목하고 개발하고 있습니다. 리튬황의 경우 큰 드론에 탑재해서 시험적으로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아직 대중화 하기엔 단점이 있어 그걸 개선하는데 주력하고 있죠. 본인이 모르는걸 한국 기업들이 안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객관적인척 하면서 중국 편향적으로 영상을 만드는데 양심적으로 사세요.
@user-kg7cz5lj1e
@user-kg7cz5lj1e 10 ай бұрын
원재료비의 낮은 원가를 복잡하고 수율높이기 어려운 공정을 사용함으로서 출력이 아닌 가격이 NCM 에 근접해 가는 LFP 배터리. 코나 EV도 무충전 3000km 를 갈 수 있었습니다. 얼마나 무거운 물체를 얼마나의 속도로 400km 를 갈 수 있는지 언급이 없는데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일리 있는 말씀입니다만~ 1.공정 자체의 변화는 없어 보입니다. 핵심은 음극재 표면에 있으며 전해액 변경으로 가능합니다. 2.Toyocolor CNT 도입은 가격 상승요소이지만 MWCNT의 일종이므로 가격은 그리 높지 않을 것 같습니다. 3.기존 3원계는 급속충전이 가능하게 위하여 5% 가량의 실리콘 음극재를 사용하는데 단지 흑연 표면의 SEI로 해결한 것이 새로워 보입니다. 4.현재 시장에 깔린 LFP는 BYD의 blade가 주로 많고 CATL의 qilin이 올해부터 깔리면서 중국 이외의 LFP portion을 늘려가는 마당에 다시 upgrade version이 나온 것이고 그동안 문제시 되어왔던 저온특성과 급속충전이 크게 향상된 것이므로 단점을 또 다시 개량했다 는 의미가 큽니다. 5. 종합하자면 3원계와의 gap을 더 좁힌 것이란 결론이 맞지 않을까요? 물론 3원계도 실리콘 음극재 도입과 nickel 함량 증가로 업글을 하고 있으나 안정성이 사실 걱정됩니다. 올해 Ford에서 SKon의 ultra high nickel 양극재 사용한 배터리가 출시 이전에 폭발해서 생산을 중단했었고 얼머 후 LFP도 병행하겠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제 사견이고요, 제 관점은 무엇보다도 "어떤 기ㅜㄹ을 사용했느나"를 찾고 알리는 것이지 절대적 판단을 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대한민국 배터리의 분발과 확실한 격차를 가져 갔으면 하는 바램이지, 중국 배터리 홍보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user-kg7cz5lj1e
@user-kg7cz5lj1e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음극재를 실리콘으로 코팅을 해서 리튬이온을 더 잘 수용하게 만들어서 출력을 높이고 M3P는 LMFP는 인산철 올리빈구조의 철 일부를 망간으로 대체해서 전하이동속도를 높이는데 망간용출을 막기 위한 코팅을 또 해 줘야 합니다. 그만큼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시간도 늘어납니다. 변화가 생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한가지 더 저런 추가된 공정에 따라서 기존 LFP가 가졌던 NCM에 비해 안전하다는 장점이 유리될 수 있을지도 앞으로 검증을 해좌야 합니다. 결국은 새로이 도입되는 여러 기술들이 배터리내의 화학반응을 더 활발하게 만드는 쪽이거든요. NCM 도 실리콘을 음극채에 코팅하는 방식입니다. 실리콘의 부피가 팽창이 너무 커서 음극재에 섞는게 아니라 코팅의 방식을 씁니다.
@user-kg7cz5lj1e
@user-kg7cz5lj1e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포드의 배터리 폭발은 금시초문이군요. 정작 EV9은 그런 문제가 없는 상황이고 그건 결국 배터리가 아니라 포드의 기술력 문제라고 봐야 되겠죠. 님말씀대로 NCM이 발전하듯이 LFP도 발전하는 건 당연하겠습니다만 그게 LFP의 장점을 잃지 않은 상태에서의 발전인지는 더 지켜봐야 합니다. LFP에서 철을 모두 망간으로 대체를 하면 그 때부터는 LFP도 아니고 올리빈구조도 무너집니다. 결국 망간을 섞는 비율은 한계가 존재하고 그 때문에 발생하는 이중전위는 배터리 메모리 이펙트를 높일 가능성이 큽니다. 당연히 올리빈구조도 더 쉽게 파괴죌 수 있습니다. 음극재 실리콘코팅은 NCM 이든 LFP든 당연히 출력전하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을 하지만 여전히 이온의 전하이동속도는 NCM 에 비해 느릴 수밖에 없고 또 여전히 저장전하밀도 또한 NCM 보다 뒤쳐질 수 밖에 없는 LFP가 현재의 NCM 을 능가하는 충방전 성능을 동일한 조건에서 내는지 당연히 확인을 해야 합니다. 그전에 판단하는 건 매우 성급하고 그 판단을 다른 사람들에게 얘기하는 것도 매우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봅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user-kg7cz5lj1e CATL의 배터리가 LMFP라고 이야기한 적이 없습니다. LMFP는 중국의 Guoxuan (or Gotion)이 개발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있고요, 에너지 밀도가 240Wh/kg 이라고 발표하고 있는데 CATL의 m3p는 그것과는 좀 다른 종류로 보입니다. 그리고 Guoxuan은 그런 에너지 밀도에 4000싸이클 수명을 확보했나고 하니, CATL의 Shenxing은 그것에 비하면 겜도 안되지요~ 그리고 확실히 그들은 LMFP라고 했고 2024에 양산한다고 합니다. Pack level에서는 NCM을 능가한다고 하는데, 이 에너지 밀도와 수명은 저도 반신반의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CATL이 최근 2~3년간 발표했던 것 중에 심한 과장이 있었던 것이 있었다면 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나름 자신들이 announce 했던 것들과 상당히 유사하게 진행되는 것 같아 눈여겨 보는 것이고, 아시겠지만 제 채널은 주식관련 채널이 아니라 기술적으로 쉽게 풀어서 설명해 주는 채널이며 여러 회사들이 단순히 announce한 내용을 특허 등을 조사하여 그 기술의 정체를 파헤치는 것입니다. 그것이 무책임한 것인가요? ㅎㅎ 무책임한 가짜들은 정치관련 채널이나 작전세력들이 올리는 것들이죠~ 혹시 관련 업계에 계시다면, 제일 먼저 가져야할 자세가 어떤 경쟁사의 발표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고 내막을 파헤쳐보고 만반의 준비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아직 못하거나 생각치 못한 것을 남이 했다고 진짜 상황이 닥칠때까지 믿지 않고 놔두는 것이 제일 위험합니다~
@user-kg7cz5lj1e
@user-kg7cz5lj1e 1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CATL의 배터리가 LMFP인지 M3P가 LMFP인지는 제가 넘겨 짚은 측면이 있습니다만 그게 제 짐작과 다른지는 모델3배터리를 분래래 보면 알 수 있겠지요.
@user-kx5di5wl1c
@user-kx5di5wl1c 10 ай бұрын
LFP는 잘나봤자 결국 LFP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그렇긴 합니다~ 그러나 가만 놔두고 보기만 한다면 토끼와 거북이 우화 같이 됩니다~
@user-rl7ye6vu1d
@user-rl7ye6vu1d 10 ай бұрын
세계최고라 자랑하던 기린배터리는 어디로 가버리고 쉔싱배터리 라고???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음...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네요~ 기린 (qilin)은 배터리 팩의 구성을 말하는 것이고, 내부에 m3p라는 LFP 계열을 넣던지 아니면 3원계를 넣던지 하는 것이고... Shenxing은 그중 m3p 계열의 LFP를 먕극재를 사용하면서 양극재층에 cnt 음극재 층의 sei 그리고 전해액을 바꾼겁니다. 고속충전에 딴지 걸리던 것을 개량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kimdr.5231
@kimdr.5231 4 ай бұрын
션싱 셀로 기린배터리 만들어서 판매중입니나.
@rapidvit
@rapidvit 10 ай бұрын
LFP는 어차피 LFP입니다. 여기에 CNT와 다양한 소재를 넣으면 가격이 저렴하겠습니가? 중국이 LFP의 다양한 기술들 자랑했지만, 블레이드만 해도 가격이 비싸서 NCM에 근접합니다. 그런데 LFP 단점 때문에 성능이 NCM보다 좋지도 못하죠. 에너지밀도, 용량이 낮아도 빠르게 충전하면 상관없다? 어찌보면 그럴싸하게 들립니다. 근데 예를들어 몇 키로 타면 연료가 바닥나서 10분씩 주유소에서 기름 넣는다고 비유를 해보죠. 그 차를 사실겁니까? 전기차의 핵심은 저렴한 전력으로 낮은 유지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다 입니다. 전기차가 비싸더라도 전기차를 사는게 이득인 이유는 2-3년만 타면 유지비용, 소모품비용, 세금 등에서 저렴하기 때문에 비싼만큼 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근데 무거운 LFP로 전비가 나쁘고, 자주 충전해줘야 하고, 겨울엔 주행가능거리가 떨어지는 LFP가 전비가 좋을까요? 전 그렇지 않다고 보는데요. 한국 기업은 이미 울트라 하이니켈 이후의 방향성까지 다 정해져있고 개발중 입니다. 이걸 모르는건 본인이 모르는거지 한국 기업이 자만하고 있는게 아니죠. 다른 채널 중에도 이런식으로 전문가인척 하는 채널이 있는데, 잘 모르는 사람들은 속일 수 있어도 조금이라도 알면 속일 수 없습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10 ай бұрын
아이고,잠도 안주무시고 새벽에 많은 댓글을 다셨네요. 일단 도배를 많이 하신것 같아 대부분 지웠고 이 댓글에 답변드립니다. 제 영상에 상당히 반대되는 내용이지만 댓글 작성시 반말 찍찍 갈겨 놓지 않아서 감사드립니다 (물론 일부 내용은 좀 그렇긴 하고 기술적 내용과 관계없는 댓글은 삭제했으니 양해 바랍니다). 아마도 제가 올린 여러 영상을 보셨다고 생각되니, 아시게지만 배터리 회사들에서 발표한 내용들 중에 impact이 있는 것들 중심으로 그들이 과연 무슨 기술을 개발했는지에 대하여 특허나 논문을 가지고 분석한 것입니다. 신문이나 계속 똑 같은 이야기를 가지고 재생산되는 내용을 다룬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당연히 중국편을 들고 그 기술을 홍보하려는 것은 전혀 아니고요. 자, 이제 제 생각을 말씀드리지요. LFP는다들 아는대로 3원계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기술이었습니다. Cycle life는 뛰어나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아서 전기버스에나 적합한 배터리였든데 오래 전 올린 영상에도 다뤘지만 BYD에서 blade라고 불리는 배터리를 생산하면서 부터 조금씩 살아나기 시작했죠. 그것을 개발한 연구자원이 말하길 3원계 811과 도저히 경쟁이 될것 같지 않아서 고민하다 생각난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겼다고 합니다. BYD의 blade가 나왔을 때만해도 Nickel 80%급이 상용화되던 때였습니다. 물론 blade가 811보다는 여전히 성능적으로 낙후 되었지만 gap은 줄었습니다. 저도 다른 채널들의 내용을 듣고 있는데 K 배터리를 일방적으로 치켜 세우고 LFP를 일방적으로 까내리는 내용도 봤습니다. LFP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1. 에너지 밀도가 3원계에 비하여 낮다. 2. 저온에서 성능이 급격히 떨어져서 겨울이 없는 더운 지방에서나 사용 가능하다. 3. C-rate가 떨어져서 급속 충방전이 안된다. 4. 중국 애들 발표 다 거짓말이다. 5. 누가 중국 배터리 쓰겠는가. 다 중국 공산당에 잘 보이려고 하는 짓이다. 위 내용 중, 4와 5는 기술적 내용이 아니므로 넘어가고 1/2/3에 대하여 생각하보면 1. 에너지 밀도는 여전히 3원계에 비하여 낮으나 상당히 많이 쫒아왔습니다. 추격을 당하고 있다는 표현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BYD가 blade로 시작하고 CATL이 그것보다 더 개량된 LFP를 내놓고 있습니다. 물론 CATL의 배터리는 blade보다 비쌀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3원계 보다 가격 경쟁력이 있어 보입니다. 어떤분이 자기가 다 아는데 LFP 가격이 더 비싸다고 주장하던데, 울트라 하이니켈이라도 이게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 저온 특성은 그동안 배터리 pack의 heating에 의존하여 왔으나 이번 Shenxing은 이것을 개선했다고 하였고 -10도에서도 충전 시간이 짧다고하니 더 이상 이 부분을 LFP의 약점으로 부각 시키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3. C-rate 역시 개선되어 10분 충전에 400 km라고 하니 이 역시 크게 개선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위의 발표내용을 믿고 안믿고는 개인들에게는 크게 상관 없습니다. 물론 투자자라면 다르겠지만... 그러나 대한민국 배터리 업계 입장에서는 만약 저런 내용이 사실이라면 그래서 Tesla를 넘어 현대기아/ 폭스바겐 벤츠 등이 저가 차종 이외에 그 확대 폭을 넓히게 된다면 그 파장은 작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미국 공화당이 정권을 잡는다면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변호 추이는 지금과는 다르게 됩니다. 다른 댓글에서 언급하신 LMFP의 경우 Gotian이 이미 240Wh/kg을 개발 완료하여 내년 양산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다만, 이 내용은 정말 뜬금 없어 보이고 Gotian은 여러번 발표와 실제가 어긋나는 경우가 달라 다루지 않았습니다만 그 기술은 대한민국 뿐 누구나 다 개발 중이며 벨기에의 Umicore가 가장 많이 집중하고 있기에 구체적 양산 발표 시점이 있어야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LG 엔솔의 리튬 황 배터리는 오래 전부터 내부적으로 연구되어 왔기에 가장 앞서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얼마전 빌표도 있었기에 조만간 기술적 내용을 특허 중심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그러나 아시겠지만 리튬 황 전지를 상용화하려면 선결되어야 하는 것이 전고체 전지입니다.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중간 과정으로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불과 몇달 전 LG 엔솔의 발표 뉘앙스는 전고체 전지의 상요화는 2030년은 되어야 한닥고 했기에 거기에 난이도가 다시 한두 단계 높은 리튬 황은 2030을 훨씬 넘어야 가능한 기술일 것으로 생각해 왔습니다. 다시 돌아가 한마디 더 하자면, 불과 2년 전쯤 LFP는 국내 배터리 회사들이 저급제품으로 치부해 왔으며 얼마 후, ESS용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가 이제는 저가 전기자동차용으로도 개발하겠다고 변화되고 있습니다. 저가에 맞는다면 울트라 니켈을 사용하고 pack 용량을 작게 만들면 해결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왜 그렇까요? 상대가 유럽이던 일본이던 아니면 중국이던, 상대방을 무시하고 눈을 감아버리게 되면 위험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를 두려워할 필요는 없으나 경계를 푸는 순간 위험을 닥칩니다. 그게 제 개인적 생각입니다. p.s. 이 체널은 기술적 이슈들을 기반으로 다루는 채널입니다. 정치 유튜브에서나 볼 수 있는 내용들은 삼가했으면 합니다. 기술을 잘 아시는 것 같으니 기술적 반론은 언제든지 대환영입니다. 저도 많이 틀려왔었으니까요~ 좋은 하루 되시길~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2 ай бұрын
매우 삐딱하네 주식하는 모양새네
Shenxing Superfast Charging Battery Europe Launch
17:01
DEFINITELY NOT HAPPENING ON MY WATCH! 😒
00:12
Laro Benz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Какой Орган самый длинный ? #shorts
00:42
Survival skills: A great idea with duct tape #survival #lifehacks #camping
00:27
K배터리 압살하는 끝판왕? CATL 기린 배터리
19:09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74 М.
전기차에 풀베팅한 대한민국(?)
16:45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509 М.
하이브리드 열풍 "2025년부터 확 꺾인다!"
19:17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282 М.
Телефон-електрошокер
0:43
RICARDO 2.0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Klavye İle Trafik Işığını Yönetmek #shorts
0:18
Osman Kabadayı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Сколько реально стоит ПК Величайшего?
0:37
Samsung laughing on iPhone #techbyakram
0:12
Tech by Akram
Рет қаралды 635 М.
Battery  low 🔋 🪫
0:10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Top 50 Amazon Prime Day 2024 Deals 🤑 (Updated Hourly!!)
12:37
The Deal Guy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