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발진 대처법

  Рет қаралды 827,970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4 жыл бұрын

급발진 3번겪은 카센터사장이 알려주는 급발진 대처법

Пікірлер: 1 800
@woo8006
@woo8006 3 жыл бұрын
급발진을 목격한 사람인데요 진짜 처음 듣는 엔진 소리였습니다 제조사들은 진짜 무조건 발뺌할 일이 아니란걸 인식해야 합니다
@Hotsun_Icecream
@Hotsun_Icecream 3 жыл бұрын
어떤소리였나요?
@user-ed9dr6ds5j
@user-ed9dr6ds5j 3 жыл бұрын
@@Hotsun_Icecream 부릉부릉 앙기모띠~ㅋㅋㅋㅋㅋ
@user-vm6sp9pw3n
@user-vm6sp9pw3n 3 жыл бұрын
저도 들은적 있는데 부아앙 이런 소리가 아니고 쇠소리?쾌에에엥? 첨 듣는소리가 나요
@jsmin3834
@jsmin3834 3 жыл бұрын
제조사.. 더이상 감싸주지 않아도 된것 같은데요....,
@boyssurf3164
@boyssurf3164 3 жыл бұрын
제조사 쒸 팔렴덜 나라 돌아가니 꼬락선이 보상도 없고 이딴 나라에 애 낳고 살고싶겠나
@user-vt4hw7fe7x
@user-vt4hw7fe7x 4 жыл бұрын
가장 큰 문재점은 운전자의 실수로 몰아가는 자동차회사들
@DavidLee-zv5sp
@DavidLee-zv5sp 3 жыл бұрын
대통령이 타고 급발진 나면 ~~ 법이 바뀔 듯~~~!!!
@user-nu6ro6fu1x
@user-nu6ro6fu1x 3 жыл бұрын
회사들(?)이 아니고 훙기 하나죠
@fastend300
@fastend300 3 жыл бұрын
부정부페 일삼는 정치인들이 한순간에 급발진 사고로 전부 없어지면 두마리 토끼 다 잡는데...
@user-tq6ml1sv7k
@user-tq6ml1sv7k 2 жыл бұрын
거기에 동조하는 알바들도 문제죠 피해자 조롱하기에 바쁜
@Yee_18
@Yee_18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예전에 비엠 그때는 인정한게 대단함
@jongyeoulji8455
@jongyeoulji8455 4 жыл бұрын
카센터 사장님 ...... 정확하게 급발진 원인(전자식) 을 짚어 주시네요.
@testtest-ir8wv
@testtest-ir8wv Жыл бұрын
급발진 겪은 사람입니다. 당시에는 이런 영상도 없어서 대처를 못했는데요 차키 돌리는 순간 차가 악마에 씌인것 같은 기분 차가 악마처럼 울면서 풀악셀을 밟습니다. 다행히 저는 바로 앞에 정차해 있는 앞차를 들이박았지만 멈추지 않고 죽음의 행진을 하듯 앞차를 밀면서 계속 풀 악셀을 밟더라구요 운전자는 까무러친다는 기분이 딱 맞습니다. 지옥이 영원 하다면 순간경험으론 지옥보다도 무서운 경험입니다. 지금도 차키 돌리기 전에 앞에 들이박을 것을 먼저 시야에 확보하고 차키 돌립니다. 트라우마고 노이로제입니다. 살아있는 것에 감사합니다.
@kanomora4950
@kanomora4950 4 жыл бұрын
사장님 말씀에 적극 동감합니다.기계적인 시스템에서 급발진은 없죠. 전자식으로 편리함이 추구되면서 가중되는옵션들로인한 시스템결함으로 이런 오류들로 엄청난 손실을 불러오는 급발진.정말 증명하기힘들고 내 잘못이 아님에도 내가 책임져야하는 불규명의 급발진.시동켜는 순간에. 끔찍하네
@xanaduz76
@xanaduz76 2 жыл бұрын
기계식의 경우도 간혹가다가 케이블브라이상으로 복귀가 안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tv-lz2vg
@tv-lz2vg Жыл бұрын
수십년동안 급발진 하나도 제대로 제어못하는 기술로 ai 자율주행 차량이 지배할거란 꿈좋은 소리는 뭔지..차량 전자장치 컴퓨터 미쳐서 통제불능 되어 사람죽이고 돌아다니는 자동차 보게 될수도..
@Nephenthes
@Nephenthes Жыл бұрын
접점부뢀제로 커넥터 청소 한 번 만 해주세요
@eeje2
@eeje2 Жыл бұрын
기계식이 급발진이 없는게 아니라 페달실수를 급발진이라고 우길 여지가 없는 거에요
@charltonheston6056
@charltonheston6056 4 жыл бұрын
저 2001년 2002년 둘다 아반테 XD 에서 저 정비사님과 똑같은 급발진 경험했습니다. 그래서 저 말씀 완전 공감 됩니다.
@hotgod4284
@hotgod4284 4 жыл бұрын
급발진을 대비해서 자동차에 비상정지 버튼을 설치해야합니다. 제조사에서 급발진을 인정하고 비상시 엔진을 정지시키고 브레이킹을 하는 비상 버튼을 달아 줘야합니다.
@eih3215
@eih3215 4 жыл бұрын
그또한 오류로 급발진 대신 급정지 사고 날수도? 애초에 급발진을 해결못했는데 새로운 시스템을 넣어서 그 시스템 또한 오류에 대한 리스크를 더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원인을 파악해서 원인을 없애는게 확실한 방법일듯합니다 ㅠ
@jj2094
@jj2094 2 жыл бұрын
동력을 끊어주는 수동 클러치를 만들어주면 되자나 ㅋㅋㅋㅋ 스틱운전해봤으면 알텐데 클러치 밟으면 기아가 몇단에 가있든 풀악셀을 밝고있든 동력전달 안된다는거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2 жыл бұрын
@@jj2094 실제로 지금도 달려있어요. 파킹 버튼을 한 3초에서 5초 당기고 있으면 엔진 꺼져요.
@Rooisve
@Rooisve 2 жыл бұрын
수동차 처럼 동력 차단용 페달이나 아나면 최소한 시동은 안꺼지지만 연료를 소량만 들어가서 시동은 안꺼지는데 속도는 안늘어나는 그런 연료차단을 해주는 퍼튼을 달아줫으면
@hotgod4284
@hotgod4284 2 жыл бұрын
@@eih3215 킬스위치는 오류가 날수 없습니다. 모든 생산기계에는 킬스위치가 달려 있습니다.
@kailash2857
@kailash2857 4 жыл бұрын
저분 말씀이 맞습니다. 항상 급발진이 생길수 있다는 생각으로 운전에 임해야 합니다. 전자식이라 100% 예방은 불가능합니다.
@user-fd4jg3vf8g
@user-fd4jg3vf8g 4 жыл бұрын
@@user-mc4in9dk3e 국내에선 외제차타도 급발진보상 못받음
@user-eq9rq9sx9k
@user-eq9rq9sx9k 4 жыл бұрын
반도체 순간적 오류 문제라 증명하기도 어려움
@user-ln1to1bd5m
@user-ln1to1bd5m 4 жыл бұрын
@@user-eq9rq9sx9k 증명하긴 쉬운데 그걸 공개 안합니다 눈가리고 아웅이죠
@Mr.people1010
@Mr.people1010 4 жыл бұрын
@경포대 자회사의 과실을 인정하면 이제껏 일어난 모든 급발진사고에대한걸 모두 보상해줘야것지요
@sjp4501
@sjp4501 4 жыл бұрын
기어를 N으로 빼버리면됨. 물론 SBW는 안됨
@Js-xu9zd
@Js-xu9zd 4 жыл бұрын
저게 정답이지 평소에 사람들이 아무렇지 않게 생각 하지만 차는 항상 무기라는 생각을 하면서 신중히 다뤄야함. 시간과 효율을 포기하더라도.
@user-zx3gd6nc6i
@user-zx3gd6nc6i 3 жыл бұрын
전자장치가 너무너무 많아요 수동으로 가야해요 옛날 포니 엔진 내부 보면 장치가 별로 없어서 정비하기 좋아요
@user-db3dj4ju9x
@user-db3dj4ju9x 4 жыл бұрын
대처법 :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박을 장소를 물색해서 냅따 드리박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차량 속도는 급격하게 빨라짐
@purplegreen211
@purplegreen211 3 жыл бұрын
그냥 아무대나 처박어야지. 돈 아낄려다가 저승감.
@daeqgglo
@daeqgglo 3 жыл бұрын
@@purplegreen211 상가나 사람이있는데로 가버릴수있으니 그냥 앞 옆에있는 차나 벽 가로등에 들이박아야할듯요
@user-wi4pj4hk4z
@user-wi4pj4hk4z 3 жыл бұрын
기어 중립 안배움?
@user-yg2oi6cg1i
@user-yg2oi6cg1i 3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임 살제로 회사 차고지에서 굉음과함께 서있다가 기어바꾸는 순간 튀어나갔는데 기사가 담벼락으로 핸들 돌려 참사를 막을수 있었지 정면에 건물이 있었는데 그두꺼운 정문기둥이 산산박살 80여대 차량중에 처음 겪는일이었고 기사 자가용중에도 그런일이 있었다고 그이후로 회사차고지에 cctv 각 각도마다 설치 현대에서 나와도 별말을 못들었으니
@user-zp3wl8iz1o
@user-zp3wl8iz1o 3 жыл бұрын
그러다가 100:0몰림
@SwordMasterZeroSpeed
@SwordMasterZeroSpeed 4 жыл бұрын
레이 급발진 보고 나니 이 아저씨가 3번 겪었다는게 진짜 같다
@user-je7by2st7c
@user-je7by2st7c 4 жыл бұрын
예전 자동차 명장님이 알려주신 팁이라면 자동차 급발진은 시스템적인 문제로 발생하는게 대부분이다 요즘 자동차들은 대부분 컴퓨터라고 보면된다 컴퓨터는 습기에 매우 약하고 잘 고장이 난다 그러므로 야외 주차시 도면이 흙보다는 포장이 되있는 곳에 주차하거나 실내주차를 권장한다 라고 하셨는데 방법보다는 고장에 대한 사전방지정도 뿐이 현재로선 없는것 같네요 ㄷㄷ
@getduked9055
@getduked9055 4 жыл бұрын
급발진 영상보면 시동걸면서 훅 나가는 경우보다는 서행에서 가속하는 시점에 이루어지는것같던데요. 그런데 급발진 후에 최대한 빨리 중립기어 넣으면 기어 빠지지 않아요? 그럼 엔진만 최대회전수로 돌고 실제 가속으로 이루어지진 않을텐데.. 엔지니어라면서 이런 부분에 언급은 없네요. 전자부품 이상이라 중립기어가 들어가지 않는다면 제 지식부족이지만 수동기어차량을 다뤄본 경험으로 본다면 이런 대처가 자동적으로 나올것같거든요.
@user-7eg3651
@user-7eg3651 4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이네요 누구든지 당황하게 하는 급발진 속도 더 나오기 전에 ......하루빨리 방지되는기술이 나오길 바랍니다
@youth587
@youth587 4 жыл бұрын
차가 움직일때 앞 뒤에 있는게 아니고 옆에 서서 차가 나오는걸 봐야 됩니다
@user-wk2kj2ib3o
@user-wk2kj2ib3o 4 жыл бұрын
대형버스판매하는사람입니다 차종을떠나서 많은지식을 배우고갑니다 겸손하시고 딱부러지십니다
@user-zz5tu2te9f
@user-zz5tu2te9f 4 жыл бұрын
1.급발진은 운명이다 고로 차를 잘뽑아야한다 2.시동걸 때 주의해라 바로시동걸지말고 브레이크 밟지않을 상태에서 acc모드만 하고 계기판에 점검등이 점검 후 없어지고나서 브레이크를 밟고 시동을 걸기만해도 급발진의 절반은 줄어든다네요. 박병일 명장님말씀
@user-uc7rm9bw3m
@user-uc7rm9bw3m 4 жыл бұрын
점검등이런게 있나요? 점검등 검색해보면 경고등에 대한 것들만 나오는데요.
@flashlightning4374
@flashlightning4374 4 жыл бұрын
@@user-uc7rm9bw3m 스마트키를 이용한 버튼의 경우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스마트키 버튼을 한번 누르면 준비단계, 두번 누르면 경고등(이게 점검등)이 뜨면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스마트키 버튼을 눌러 시동을 켜시면 급발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하네요..
@eunyulji2587
@eunyulji2587 4 жыл бұрын
@@user-hs6sy3qn9t 키 on만 해놓으시고 시동걸지 마세요
@ksami222
@ksami222 4 жыл бұрын
@@user-hs6sy3qn9t 키 방식도 완전히 돌려야 시동이 걸리고, 중간만 돌리면 전원만 ON 되는 상태가 있습니다.
@yumeo8516
@yumeo8516 4 жыл бұрын
제차가 2012년도식? 아반떼엠디인데요~~시동이 버튼식일경우 한번말고 두번을 눌려라는거죠? 전 여지껏 한번만눌리고 음악소리 끝나면 브레이크밟고 시동걸었었네요ㅠㅠ
@achtung8530
@achtung8530 4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정치인들이 나서서 자동차 회사 불러서 청문회도 하고 급발진 못일어나게 장치도 개발해서 설치하게 법도만들어야 되는데...
@jurashin8404
@jurashin8404 4 жыл бұрын
전자식이면 급발진확률이 0프로는 될수없다고 들었어요
@user-fs1nf1cu5h
@user-fs1nf1cu5h 4 жыл бұрын
니가 정치인 해라.
@seunghyunchoi7556
@seunghyunchoi7556 4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은 돈 먹고사는 사람들이기때문에 힘들죠...
@jj0412
@jj0412 4 жыл бұрын
정비사들도 급발진을 인정하는데 .제조사에서 인정안한다고. 그걸 법적으로 방관하는 유일한 나라에서 우리는 살고있는데. 글로벌시대이고 첨단시대에 미개한 나라인듯 ㅡ 하루빨리 급발진과 차량결함등을 제대로 제조사에서 양심적으로 바로잡고 리콜등으로 소비자에게 신뢰받는 회사사 되였으면 하네요. 항상 씁쓸하네요. 우리나라가 .....
@kadett-e1652
@kadett-e1652 4 жыл бұрын
차가 문제가 생기나 마나 관용 고오급차 뒷좌석에서 엣헴엣헴 하는 정치인이 저런거 관심이나 있겠음?
@user-mz9bg6qd4i
@user-mz9bg6qd4i 4 жыл бұрын
이게 중요한거 같네요. 항상 급발진이 일어날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야 되고 급발진이다 싶으면 바로 브레이크 밟고 시동끄기. 참고로 저는 급발진이 ecu의 전자식 결함 같다는 어떤분의 얘기를 봐서 ecu에 습기 안차게 코팅하고 다닙니다. 그나저나 지금 급발진도 못잡고 보상도 안해주는데 요즘 핸폰 어플로 시동걸고 끄는차들 나중에 해킹당하면 더 가관이겠습니다.
@ssunshine4952
@ssunshine4952 4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자는 고속도로 달리는 중에 급발진걸렸는데 , 겨우 갓길로 가서 담과 전봇대를 들이받고 겨우 섰습니다...ㅎㄷㄷㄷ
@user-dh9sj2go5s
@user-dh9sj2go5s 2 жыл бұрын
저도 염소 5마리 쳐죽이고 섯습니다
@mymotherandfather
@mymotherandfather 2 жыл бұрын
헐 ㅠㅠ 무서우셨겠어요ㅠㅠ 무슨 차였나요?ㅠㅠ 많이 안다치셨나요?ㅠㅠ
@gncfeb9175
@gncfeb9175 3 жыл бұрын
저도 2년전에 제주도가서 렌트했을 때 주차하고 시동거니 급발진해서 시동 바로 꺼버렸었는데 그때 생각하면 지금도 아찔하네요.
@lalakim9026
@lalakim9026 4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수동기어로 돌아가는게 급발진이나 전기회로 복잡화로 인한 요즘음 여러 문제들의 근본적 해결.
@stubbypencil
@stubbypencil 4 жыл бұрын
제조사들이 수동차를 안팔려고 하죠. 물론 소비자들이 수동차를 안 사려 하고 자동변속차 선택하는 비율이 95%이상이라 제조사에서도 수동차를 팔지 않으려 하는 것 같아요.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 수소차 등에 수동변속기가 적용된 것을 본 적이 없네요
@huhdavid5990
@huhdavid5990 3 жыл бұрын
최근 시동을 켜다 급발진 경험으로 골절 당한 사람으로서 , 급발진 대처법을 보고 싶어 들어왔다가, 방법이 없다는 말에 낙심과 더불어 두려움이 앞섭니다... 정말 당해보지 않은사람은 모릅니다... 저분 말처럼 인사사고 안나고, 제일 가깝고 피해가 적은곳에 박는것밖에는 방법이 없군요...
@aesjiofasdjfkajdv
@aesjiofasdjfkajdv 2 жыл бұрын
반복해서 급발진에 대처 방법은 없다 라고 말씀주시니까 머리에 박히네요... 답이 없구나
@MrOBking
@MrOBking 3 жыл бұрын
급발진은 공도에서 주행중에도 비일비재 일어나는데 사장님은 시동걸때 일어난다고 제한적으로 말씀하시네요....시동때만 급발진 발생하면 절대 사망사고 안납니다. 앞차를 박거나 앞벽을 박을수 있기때문에....주행중 일어나는 급발진이 젤 무서움
@user-uy9gq6my8h
@user-uy9gq6my8h 7 ай бұрын
사장님은 주행중에 일어나는 급발진 사고는 아예 없다는 식으로 말씀하시는데 주행중에도 급발진 사고는 일어나고 주행중에 일어나는 사고가 무서운 사고임
@Clockman_77
@Clockman_77 4 жыл бұрын
저분 말처럼 급발진이 생기면 가까운 어딘가 박아야합니다. 피해주기싫어 요리조리 피해다니다 더큰 사고가 납니다.
@user-xu6lf4et1c
@user-xu6lf4et1c 4 жыл бұрын
경험에 의한 자신감에 응원 합니다. 건강하시죠 청주 삼원카모아 입니다
@anssem.driving
@anssem.driving 4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d9x9pK6FtsyriXU.html 급발진 대처법 영상 이거 보면 답을 찾을수 있어요 기어 중립 N 브레이크 꽉 밟고 시동 꺼주면 됨 저는 급발진 두번 경험해 봤는데 두번다 기어 N으로 변경해서 사고 안남 기어 N이 제일 중요해요 정말 잘못된 영상 ㅠㅠ 이 카센터 사장님때문에 여러사람이 죽을수도 있겠네 ..
@Ktax
@Ktax 4 жыл бұрын
안쌤의운전스쿨 그게 반복 숙달 되지 않으면 절대 못합니다. 박는게 나을 확률이 높죠
@goldminerism
@goldminerism Ай бұрын
@@Ktax 자동변속차량 운전자들이 평소에 D --> N 할 일이 언제 있겠습니까? 그렇죠. 후진하기 위해 D-->N-->R 할 때 뿐입니다. 그거 말고는 N을 쓸 일이 없어요. 이걸 잘 생각해 보시면, 급발진 의심사고 모음 영상에서 브레이크가 안 듣는다 하소연만 하지 N 시도는 왜 안보이는지 이해하실 겁니다. 저는 그 이유가 아래의 두 가지라고 봅니다. 1. 시도를 하신 분은 사고가 안나고 해프닝으로 끝났기 때문. 2. 평소의 운전습관상, N까지는 생각이 못미쳐 사고남.
@baekgol
@baekgol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영상입니다 너무잘봤어요 저도 일어날지 모르는일이니 그래도 이영상으로나마 대처를 할 수가 있겠네요
@user-lv2wm5cb9k
@user-lv2wm5cb9k 3 жыл бұрын
명언 입니다.... 시동 동시에 급발진 준비 해야 한다...
@niaenia
@niaenia Жыл бұрын
아 미리 급발진 시 어디에 박을지 생각하고 시동을 걸라는 말씀에 한표입니다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solgaram
@solgaram 2 жыл бұрын
급발진 예방 방법, 이건 매뉴얼에서도 강조해 주면 좋겠는데, 아마 많은 분들이 그냥 브레이크 밟고 Start버튼 눌러서 바로 시동을 거는 걸로 압니다. 몰랐을 때는 저도 늘 그랬으니까요. 그러나 그 이전에 Acc단계를 반드시 거치는 겁니다. 즉 브레이크 밟지 않은 채로 Start만 일단 누르면 계기판만 켜지며 여러가지 점검을 하죠. 그렇게 5초쯤 기다리면 조용해 집니다. 그 때 브레이크를 밟고 Start를 눌러 시동을 거는 겁니다. 그러고 나서도 RPM이 적어도 1이하로는 떨어질 때 천천히 출발하는 겁니다.
@seongkang5756
@seongkang5756 3 жыл бұрын
급발진엔 기록이 풀악셀이라고 나오던데 . 악셀을 90% 이상 못밟게 장치를 하고 기록상 95%넘게 밟으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게 설계하면 좋겠습니다
@zehn-4019
@zehn-4019 4 жыл бұрын
제목 - 급발진 대처법 내용 - "응 그딴거 없어 ㅋㅋ"
@user-jw3nf1rb3j
@user-jw3nf1rb3j 4 жыл бұрын
40년정비하시는분이 노답결론을 낼정도면 이건 백퍼 회사들 책임인거죠 급발진은 어느분이든 당황스럽죠 ㅠ
@HAPPYLOVEFREE
@HAPPYLOVEFREE 3 жыл бұрын
ㅎㅎ
@user-js8qb5le5o
@user-js8qb5le5o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w7li3si8e
@user-ew7li3si8e 3 жыл бұрын
@@powerjs000 레이 역주행 영상보시면 사이드 채운채로 1분넘게 풀악셀상태로 달립니다 ㅋㅋ한번보세요
@user-zo9si2iv7d
@user-zo9si2iv7d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ㅋㅋ
@user-jq5er6jd1p
@user-jq5er6jd1p 4 жыл бұрын
저도 두번의 급발진을 겪었습니다. 20년전 쯤 대우차량 프린스로 목적지 도착후 동승자 하차후 주차중에 전면 건물 벽을 충돌후 후진하며 뒤 옹벽을 받고 차량이 대파된 사고가 있었고,(앞뒤 간격은 약 5M정도) 그후 5년쯤 지나 대우 프린스 가스차량으로 주행중 늦은시간 (PM 10경) 갑자기 굉음을 을리며 앞으로 돌진하길래 아! 또 급발진 이구나 하고 한산한 직선도로 여서 브레이크도 소용없고 어쩌다 오토 기어를 중립으로(N)하니까 엔진소리가 떨어지며 위기를 모면 하였씁니다.
@ryankim7532
@ryankim7532 4 жыл бұрын
이 사장님 실력자시고 바른말하셔서 마음에 듭니다 구독 박고갑니다
@Lazer_Han
@Lazer_Han 3 жыл бұрын
조진웅님이 세월이 지나 어느덧 멋진 정비공이 되셨구나
@alexanderkang5126
@alexanderkang5126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진짜 빼다 박으셨네
@yangyang9542
@yangyang9542 3 жыл бұрын
이 댓글보고 3초 생각후 다시 영상을 보닌순간 터졌다
@user-mq3mh3bh2j
@user-mq3mh3bh2j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하 진짜
@user-mm1kl4fx9l
@user-mm1kl4fx9l 2 жыл бұрын
아씨...보면볼수록 웃겨죽겠넼ㅋㅋㅋㅋ
@user-mt9sy6fx7n
@user-mt9sy6fx7n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nr5005
@nr5005 4 жыл бұрын
운전면허 실기과정에 이런 갑작스런 상황 대처법도 넣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차에서는 급발진이 100% 안나게 할 수 없으니 만약의 상황에서 운전자가 최대한 대처 가능하게 연습시켜 놓는게 좋을것 같아요 일단 살고 봐야죠
@kiyjy7
@kiyjy7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급발진은 일어나면 아무리 운전경력 몇 십년 되어도 대처를 잘 못하는 경우가 많대요..워낙 순식간에 일어나서 사람의 정신력으로는 불가능...
@user-gd8qr8yk6b
@user-gd8qr8yk6b 4 жыл бұрын
단지내에서 좌회전하자마자 속도가 올라갔고 택시가 도로에서 약한 접촉사고후에 속도가 무섭게 올라갔고 세차장에서 나오자마자 엑셀을 살살밟은후에 속도가 올라간것이 제가 본 급발진이에요 저속이나 출발직후에 많이 일어나나보네요 급발진 직감직후 최대한 안전한곳을 박아야겠네요 무서워요ㅠㅜㅠㅜ
@Gurumi99
@Gurumi99 4 жыл бұрын
최근에 레이 고속도로 주행중에 급발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가요
@user-js3iv1ol7p
@user-js3iv1ol7p 4 жыл бұрын
난 항상 생각한다.급발진 생기면 무조건 박고 끝내자. 그러지 않으면 속도가 너무 올라가서 대처가 쉽지않다. 무조건 박아야한다고 인식하면 됨..
@user-yy6mi2oe9k
@user-yy6mi2oe9k 4 жыл бұрын
무니옹 최대한가까윤 곳으로
@user-hb9uk3nt5f
@user-hb9uk3nt5f 4 жыл бұрын
이말 ㅇㅈ
@armshero
@armshero 4 жыл бұрын
속도 붙는데까지 몇초 걸릴텐데 몇초안에 급발진이다 확신하고 고의로 박아버릴 수 있을까? 본능적으로 요리조리 피해보고 안되겠다 싶을땐 이미 늦었는데
@user-vb2uj2tj1x
@user-vb2uj2tj1x 3 жыл бұрын
박는게 정답이죠. 아무리 급발진이라고 하지만 몸으로 체감은 할 수 있겠던데요. 왜냐면 오십키로 백키로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계속 백오십 이백 맥시멈까지 치솟고 올라갑니다. 갑자기 7~80키로만 넘어가도 어느 정도 몸으로 느낄 수 있죠. 그때는 박으면 살 수 있지만 백오십키로가 넘어가면 방법이 없죠.
@yaYa-ix2mh
@yaYa-ix2mh 3 жыл бұрын
@@armshero 1~3초만있어도 이상하다는걸느낌.. 그럼 여기서 멍때리냐 꼬라밖냐 빠르게 판단해야함. 문제는 이미 110이상으로 달리고있는상태에서 급발진되면...최하 차마다 다르겠지만 120~이상으로 꼬라밖아야함......
@Toheavenboy
@Toheavenboy 4 жыл бұрын
그냥 대처법은 시동걸기전에 인식하고 있다가 d에 넣었다가 다시 n으로 바로 돌리고 문제없음 출발하고 급발진 걸리면 바로 시동꺼야되고 남은 동력이 있으면 빈곳에다 박아야죠 첫시동시 d-n은 무조건 습관화 시동 끌 마음의 준비도 하고있어야함
@llllIIIIlllIIIlll
@llllIIIIlllIIIlll 4 жыл бұрын
2:45초 말씀 처럼.. 항상 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대비라는건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하고 대처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거죠. 급발진으로 인해 차량이 제어가 안된다 싶으면 '기어 중립'으로 바꾸는 연습이 필요 할 것 같네요. 차라리 도심같은 경우 장애물이 많아서 주차 후 시동이 켜지면서 발생하는 급발진은 속도가 높아지기 전에 멈출 수 있기 때문에 다행이지만 도로에서 급발진은 정말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들어요. '기어 중립'을 명심합시다.
@user-yc7dp3ky1q
@user-yc7dp3ky1q 4 жыл бұрын
저도한번경험해서 압니다..사장님말씀이 맞아요.저도 시동걸때 주변살피고 알피엠 점검하고 조심스럽게기어변속하고 발을뗍니다. 저도 로이로제걸려서 항상조심합니다요..대책이없어요.순간 발생하는거라 정신이하나도없어요...지금도 운전하지만 무서워요..다른차 시동거는소리만들어도 가슴이퉁쾅거려요. 막뛰어 피한답니다..자동차 회사에서 이런거방지해서 만들면좋겠어요..제발요.
@GrayPlayerx
@GrayPlayerx 4 жыл бұрын
질문자가 사람이 앞에 있을때 시동을 걸지 말라는 말이 가장 좋은 대처같은데...
@martin774
@martin774 4 жыл бұрын
모든 제품이 100% 불량 없이 생산되긴 힘듭니다. 전자식으로 만들어진 이상 불량이 생겨서 이상 신호를 보낼 확률도 아주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놈의 원가절감도 문제인데 아주 조금 아끼려고 저질 부품을 쓰면 쓸수록 불량률이 더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BlueTiger8226
@BlueTiger8226 4 жыл бұрын
반도체에 저가 부품을 쓴다는 논리는 도데체 어디서 나오는건지 모르겠네요 모든 전자 제품에 쓰여지는 콘덴서 저항 탄탈 IC는 동일한 제품으로 만들어 집니다. 그럼 고급 외제차 급발진은 어떻게 설명할건가요 ???? 10억이 넘는 자동차도 급발진일어 납니다. 박명장님도 말하신것도 전자화되면서 급발진이 일어나는 횟수가 더 늘어 났다고 하고 있구요 모든 반도체는 동일합니다. 저항에 F급 J급 으로 나누어져 있어 저급 부품을 쓴다 생각할수 있는데 이것은 제품의 질을 나타 내는 것이 아니라 J급저항은 1k옴 2k옴과 같이 정수에 가까운 값을 갖은 저항이고 F급은 이보다 정밀한 소수점 값을 가지고 있는 저항 입니다. 1.23k옴 같이 정수가 아닌 소수점이하 까지 표기 되는 저항을 F급 저항이라 부릅니다 이는 재료의 품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을 보고 저가 부품을 쓴다고 하는 것은 전자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고 하는 말입니다.
@user-paradise19
@user-paradise19 Ай бұрын
정보를 조금이라도 알려주심 감사합니다
@user-kn6lw7ud6c
@user-kn6lw7ud6c 3 жыл бұрын
그냥 시동걸기전에 항상 밖을 포인트를 정해놓고 걸라고 하는게 최선이네요. 차 타면 가장먼저 안전벨트가 아니라 밖을 곳을 정해두고 벨트 시동 출발 하면 되겠네요.
@PARKBS
@PARKBS 4 жыл бұрын
이 사장님 참 말씀이 중독성이... ㅎㅎㅎ
@seven-ce5cc
@seven-ce5cc 4 жыл бұрын
일반인이 가장 빠르게 하는조치는 시동걸고 d로 넣고 있는순간도 미션에 손을때지 았고 있다가 급발진이다 하면 부조건 앞으로 미세요 n으로 갈때는 기어봉 누르지 않고 바로 엔으로 바꿀수 있습니다 동력차단해서 저속으로 피해를 막거나 브레이크로 버티는 방법입니다 미리 미리 연습 시켜주시는게 좋습니다
@bcdefga4507
@bcdefga4507 4 жыл бұрын
seven 급발진이다하면 무조건 n으로 바꾸라는 말씀이신가요?
@seven-ce5cc
@seven-ce5cc 4 жыл бұрын
@@bcdefga4507 네 N 은 어떠한 장치 없으 위로 밀면 됩니다 R 은 누르고 해야하니 무조건 올리면 되죠 동력을 차단해야 피해가 적습니다
@user-ci8qw7ch7c
@user-ci8qw7ch7c 4 жыл бұрын
@@seven-ce5cc 차알못인데 p나 r에 두면 안되나요?
@user-bo2pm6rq4b
@user-bo2pm6rq4b 4 жыл бұрын
일단 급발진이 시작되면 풀악셀급으로 동력을 주고있어서 빠지지가 않는대요 괜히 이런저런 시도하다 속도 올라가면 위험하니 앞에 제일 가까운곳에 때려박으시는게 최선이에요.
@user-le9gl9op5m
@user-le9gl9op5m 3 жыл бұрын
@@user-ci8qw7ch7c ㅇㅇ 주행중엔 r p 기어 자체가 안들어감...n은 미숀에서 기어가 빠진 상태이기 때문에 동력전달이 안되어서 동력에 의한 가속이 붙지않음...그래서 급발진때 기어를n으로 하라는 거임...이것마저 안된다면 가속붙기 전에 시동끄고 기도하는수 밖에...시동꺼도 핸들 약간은 먹힘
@cutewolf1123
@cutewolf1123 3 жыл бұрын
왠지 모르게 오른손을 기어봉에 습관적으로 올립니다. 갑작스럽게 사고 터질때 기어 빼기도 하고 블랙 아이스 같은 사고가 터질때는 수동기어 조작할 생각을 하고 있어서요. 그리고 예전에 시동 걸때 나타나는 급발진은 정상적인 파킹이 제대호 안되서 일어났다는 얘기도 많이 있어서 늘 정석대로 파킹을 해왔습니다(중립 사이드 파킹 순) 다만 제일 두려운 순간은 내가 급발진으로 나와 또 타인이 크게 다치는 상황일거 같아서 급발진 영상은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꼭 보게되네요.
@user-sk4tx8bi3h
@user-sk4tx8bi3h 2 жыл бұрын
잔인하지만 냉정한판단력을 요구합니다!
@user-zt6ki4fp8q
@user-zt6ki4fp8q 4 жыл бұрын
시동걸기전에 악세사리 위치에 놓고 2초후에 시동거는 습관을 들여야합니다 대부분 바로 시동걸던데 그러면 급발진 확율 높아집니다
@wooyadec
@wooyadec 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늘 하던대로 클러치 페달만 밟으면 변속기 축과 엔진 축을 물리적으로 때어놓을 수 있다는 걸 가장 큰 이유로 수동변속기 차량만 타고 있지만, 나이를 조금씩 먹어가니 자동변속기로 바꾸고는 싶은데 겁은 나고 그러네요. 그래서, 자동변속기 차량에도 늘 쓰지는 않더라도 비상용으로 변속기 축과 엔진 축을 물리적으로 떼어놓을 수 있는 장치를 의무 적용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비상시 외에는 상시 연결되어 있는 반영구적인 클러치를 넣어서, 비상시 대쉬보드 아래에 손으로 당기거나 발로 밟는 레버에 의해 클러치가 떨어지게 한다든가 하는 식으로요. 비용 상승은 되겠지만, 사람의 급발진도 아닌 자동차의 급발진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더더욱 충격적이고 허망하며 힘든 일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꼭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goldminerism
@goldminerism Ай бұрын
클러치 없어도, D -> N 이거 하면 클러치 밟는 효과와 동일합니다. 한번해보세요. 만약 이거 안 되는 차가 있다면, 그 차가 문제인거죠. 그런 차는 구입하지 마세요.
@wooyadec
@wooyadec Ай бұрын
@@goldminerism 동력이 끊어지는 부분만 보면 동일하지만, 구조적으로는 엄밀히 다릅니다. 클러치를 밟는 건 변속기에 기어가 들어가 있건 중립이건 엔진과 변속기를 아예 물리적으로 떨어뜨려 놓습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레인지 셀렉터와 인히비터 스위치가 기계적으로 연걸된 차라면 중립으로 놔버리면 동력이 분명 끊어집니다. 그러나 최근 우후죽순 늘어나는 전자식 셀럭터 방식인 경우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클러치나 기계식 셀럭터와는 달리 동력을 '물리적'으로 '강제'로 끊을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중립 시그널이 정상적으로 들어가서 액츄에이터가 정상적으로 중립 기동을 해줘야 합니다. 만일 전자장비가 오작동 하고 있고 하필 중립 시그널이 안 먹히는 상황이라면 차는 계속 폭주할 것이고, 그 상황을 다스리려면 물리적으로 강제로 동력을 끊어야만 합니다. 그 경우 수동 차량에 달린 것과 같은 기계식 클러치라면 클러치 페달마저 고장난게 아닌 한 완벽하게 해결이 됩니다.
@goldminerism
@goldminerism Ай бұрын
@@wooyadec 한 번이라도 해 보고 하시는 말씀인가요? 장황하게 써 놨지만, 결국은 '급발진시는 중립도 안먹힐 수 있다.' 라는 가설인데... 중립도 안먹히더라는 동영상이나 증언이 있는 동영상이 있다면, 링크를 걸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기계는 생명체가 아닙니다. 보면, 뇌가 미치면 흥분지수와 심장 박동수만 달라지는 게 아니라 수족도 말을 안듣는 그런 유기적인 생명체로 과대평가하는 부분이 큽니다. 그리고 우연을 자꾸 말하는데, '연료공급장치가 고장인데, 그 때 하필이면 중립 시그널도 안 먹히는 고장이다.' 이런 주장은, '운전하는데 벼락이 쳤는데 하필이면 내 차에 내려꽂혔다' 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런 저런 상상력 발휘는 좋겠지만 현실적인 논쟁에서 무의미하다는 건 본인도 잘 알 겁니다. 여하간에, 그런 우연과 벼락치기를 걱정하신다면, 중립을 전장으로 제어하는 그런 차는 구매하지 마세요. 아니면 아예 운전을 하지 마시거나, 클러치가 반드시 필요한 수동 변속차량으로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goldminerism
@goldminerism Ай бұрын
@@wooyadec 그리고 기계식이라고 해서 고장이 안 나는 건 아닙니다. 노후화되어 삭은 클러치 케이블이 끊어지면 클러치를 아무리 밟아도 동력이 안끊어져요. 만능 치트키로 사용되는 '하필'이란 단어를 사용해보자면, '급발진인데 하필이면 그 때 케이블이 끊어졌다.' 그 경우엔, 클러치도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물론 그럴 확율은 제로에 가깝지만... 자동변속차량 운전자들이 평소에 D --> N 할 일이 언제 있겠습니까? 그렇죠. 후진하기 위해 D-->N-->R 할 때 뿐입니다. 그거 말고는 N을 쓸 일이 없어요. 이걸 잘 생각해 보시면, 급발진 의심사고 모음 영상에서 브레이크가 안 듣는다 하소연만 하지 N 시도는 왜 안보이는지 이해하실 겁니다. 저는 그 이유가 아래의 두 가지라고 봅니다. 1. 시도를 하신 분은 사고가 안나고 해프닝으로 끝났기 때문. 2. 평소의 운전습관상, N까지는 생각이 못미쳐 사고남.
@wooyadec
@wooyadec Ай бұрын
@@goldminerism 흥분하신 나머지 시비조로 말씀하셨는데, 정상적으로 반론해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user-od5dt6rf1o
@user-od5dt6rf1o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저도 한번 호되게 당했습니다!소리에 놀랬는데 다행히 D→N처리하고 30초정도 지나고 조용해졌어요
@user-uh2gg2iu9l
@user-uh2gg2iu9l 3 жыл бұрын
무섭습니다 이때문에 혹 급발진이 생길 우려감 때문에 이같은 영상을 자주 봅니다 한문철 프로나 직업의 모든것도 이때문에 보는거죠
@jjinman
@jjinman 2 жыл бұрын
오토는 브레이크 안밟고 스타트버튼 누르면 Acc로 뜸 그상태에서 5초후 스타트버튼누르면 On으로 뜸 다시 5초후에 브레이크 밟고 스타트버튼 누르고 시동걸면 됩니다 이게 급발진 예방이 된다고하네요
@Adrian-vb8ln
@Adrian-vb8ln 4 жыл бұрын
1.예방-- 평소 차량 관리 철저와 3단계 시동법 생활화 (1) 평소에 본넷 내부 cpu가 이상 작동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한다. 예를 들어 cpu에 물기가 안 닳게 한다든가 기타 차의 컨디션을 나쁘게 하는 일체의 행위(평소에 주차시 부주의로 P단 이외에서 시동을 끈다든가 하는)를 조심한다. (2) 혹시 모르니까 시동 전에 전방에 사람 없을 때까지 기다린다. 이때 혹시 급발진시 박을 장소를 모색하여 둔다. (3) 노브레이크로 시동 버튼 1회 누른다. (4) 계기판 이상 작동 여부를 보고 이상 없으면 5초 후 노브레이크로 1회 더 누른다. (5) rpm 게이지등 계기판 이상 작동 여부를 보고 이상 없으면 5초 후 브레이크 밟고 시동 건다. (6) 시동 건 상태에서 계기판 이상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전방에 사람 없는 걸 또 확인 후 기어를 D로 옮기는데, 이 때 급발진 확률이 제일 높다고하니 급발진시 기어봉을 N 으로 바꾸거나 시동을 끌 마음의 준비자세를 한다. 이동 중 시동 끄는 방법은 시동버튼을 길게 3초정도 누르고 있거나 3회 연속으로 짧게 누른다. 자기 차량설명서 참조. 2. 주행 중 급발진 대처 (1) 가속되기 전에 본인이 혹시 악셀 밟은게 아니라면 브레이크를 있는 힘껏 밟으면서 동시에 사이드 브레이크를 체결하면서 앞차나 적당한 장애물에 박는다. 대형 트럭이나 사람 있는 인도 돌진은 피한다. (2) 박는데 실패하면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기어N-> 안되면 수동변환 후 저단 체결->안되면 시동 끄기를 재빨리 한다. 이때 시동꺼지면 핸들 안 돌아가는 건 각오해야 함. (3) 그래도 안되면 차 옆면으로 벽을 긁으면서 설 수 있도록 해보자. 3. 이 모든 작업이 귀찮으면 기술 발전으로 급발진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대중교통이나 자전거, 오토바이, 도보로 이동수단을 선택하거나 수동기어 차를 구입한다.
@user-xc1hc8xj6u
@user-xc1hc8xj6u Жыл бұрын
귀한 정보 꼼꼼히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seulgilee483
@seulgilee483 4 жыл бұрын
너무나 현실적인 조언이다.. 근데 다 맞는 말씀이라서... 급발진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그 확률이 낮아서 그렇지... 평생 모르고 사는 사람도 있고 차를 많이 시동을 켯다 껏다 하는 사람일수록, 운전을 오래 하는 사람 일수록 시스템 결함을 겪을 확률이 높지.. 게다가 무엇보다도.. 요즘엔 블랙박스가 보편화되었지만 예전에 우리가 들은 알 수없는 원인의 사고들.. 사실 알고보면 차량 결함이였을 확률이 존재한다.... 이래서 운전하겠나.. 운전대 잡은 게 죄지 ㅜㅜ
@user-sh7fj8zu5e
@user-sh7fj8zu5e 4 жыл бұрын
기도하는 수밖에... 언제쯤 고쳐지려나.
@manner1128
@manner1128 4 жыл бұрын
운전자:급발진 어떡할꺼야 죽을뻔했잖아 현기차:주작하지마라 그런거없다 차는 이상무
@koreanentertainer3765
@koreanentertainer3765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흉기차, 쿠킹호일, 각도민감 에어백~
@bca6664
@bca6664 2 жыл бұрын
한국만 그런거 아님
@user-zj2iu5hp7u
@user-zj2iu5hp7u 4 жыл бұрын
저같은 경우는 습한날에 신호 대기중이었고 창문 열고있으니까 rpm이 갑자기 올라가면서 앞으로 나가더라고요.. 놀라서 브레이크를 쎄게 밟으니까 다행이 멈추긴했습니다.. 그뒤로 비오거나 습한날엔 절대 창문 안엽니다..
@ky992
@ky992 4 жыл бұрын
참 어의없구나 급발진이 방법이 없다니......... 절망적이다는 말이 와닿는다.
@user-wz1fk2tq2z
@user-wz1fk2tq2z 2 жыл бұрын
요즘 급발진에 관련한 대처를 알고 싶어서 찾아보고 있습니다. 근데 브레이크 밟고, 사이드 브레이크나 기어는 어떻게 하고서 시동을 끄는게 좋을까요?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4 жыл бұрын
그발진 시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주는 것도 팁입니다. 기어중립으로 엔진이 바퀴에 전달하는 힘을 차단하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밟힐겁니다.
@harper7489
@harper7489 4 жыл бұрын
노후된 차가 더 급발진할 확률이 높은가요? 12년된 차를 소유중인데 ecu인가? 그것이 노후화되서 더 오작동 생길위험 있지 않을까요?
@wjl8771
@wjl8771 2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해진게 생겼습니다! 주행 중 급발진이 일어나면 급발진을 잘 대처해서, 차 손상없이 멈추고 시동을 끈 후에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아직 길 위일텐데.. 보험을 불러야되나요? 레카를 불러서 차를 집에다 데려다 놓고 다른 교통수단을 타고 가야될까요? 아니면 시동켜고 이 차를 다시 타야할까요?
@mochaloving789
@mochaloving789 Жыл бұрын
얼마전에 뉴스에 나온 할머니와 손자가 타고 있던 급발진 사고는 주행중에 일어난 부분입니다. 그리고 직접 해보지는 않았지만 이미 유튜브에 급발진 때 멈추는 방법이 여러개 나와 있습니다. 다만 급발진이 일어나면 당황하기 마련이고 갑자기 일어나는 부분이라 대처를 할 수 있느냐가 문제인걸로 보이네요.
@user-zs6pz8kd8h
@user-zs6pz8kd8h 4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제가보기에 가장 현실적인 대처법이네요.... 급발진대처는 속도가 붙기전에 장애물에 걸려멈추는게 포인트입니다 장애물도 잘골라야죠...저렴한걸로....ㅎ
@IOO-wg6ky
@IOO-wg6ky 4 жыл бұрын
워....사진 대단한거걸어놨네....
@wonseok3389
@wonseok3389 4 жыл бұрын
@@IOO-wg6ky 왜유?
@IOO-wg6ky
@IOO-wg6ky 4 жыл бұрын
이원석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user-ll6zj3cz4l
@user-ll6zj3cz4l 3 жыл бұрын
피자먹고싶다
@user-pi6tw2cz1u
@user-pi6tw2cz1u 4 жыл бұрын
급발진 50프로 감소 예방 방법 1.곧장 브레이크 밟고 시동 걸지말고 브레이크 밟지않고 Acc 모드에서 5초~10초 간 기다리고 브레이크 밟고 시동 걸기
@user-rq4xm1mc8x
@user-rq4xm1mc8x 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acc모드에서 경고등 주의등 다꺼질때 시동거는습관이 중요함
@tv-fw3zl
@tv-fw3zl 4 жыл бұрын
상식인데 이렇게 안거는 사람도 있나
@Heptagon0935
@Heptagon0935 4 жыл бұрын
길고양이tv ㅇㅇ 제가 아는 사람 다그래요
@jeonhaejin7582
@jeonhaejin7582 4 жыл бұрын
Acc모드가 뭔가요? 제 차는 브레이크를 밟고 있을 때만 시동이 걸려요
@user-qo3yx9tc5j
@user-qo3yx9tc5j 4 жыл бұрын
원래 예전 차량들은 키로 시동을 걸었습니다. 키를 꽂고 살짝돌리면 걸리게 되는데 이때가 acc이며 시동이 걸리지 않은 대기상태입니다. 계기판 정보 및 실내등 라이트 네비 오디오 사이드 밀러 등등 조작이 가능합니다. 요즘 차는 버튼식 스타트라서 브레이크 밟지 않고 누르먄 acc모드입니다
@user-xo3dg4oj8y
@user-xo3dg4oj8y 4 жыл бұрын
전문가님도 대처가 힘들다 하시고,급박하다고 하시는데.. 요즘 차량리뷰하는 일부 유투브는 풀브레이킹 하면 급발진도 대처 할수 있다고 하시는데..그게 쉽게 될까요?
@user-fv2yn6ly6h
@user-fv2yn6ly6h 4 жыл бұрын
급발진이 전자 제어화로 인해서 생겨나는 문제군요 스틱차량은 급발진이 여지것 들어본적 없던거 같네요 급발진이 비상버튼을 만들면 좋겠네요 클러치 밟았을때 처럼 ..
@kennethkim9798
@kennethkim9798 3 жыл бұрын
질문자:그게 ㅎ삐--차였나요? 전문가:네 삐--dㅐ차였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seanincanada4587
@seanincanada4587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웃기네
@kaye11222
@kaye11222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j6hb2zl6f
@user-rj6hb2zl6f 4 жыл бұрын
1:44 정말로 박는 수 밖에 없습니다
@HoyaGod
@HoyaGod 3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를 쎄게 밟고 기어 N단 넣으면 멈춘다는 유튜버분들이 많이 계신데 이건 잘못된건가요...?
@OO-ek4vp
@OO-ek4vp 3 жыл бұрын
@@HoyaGod 시도는 해봐야죠
@user-ed7eg7wo4j
@user-ed7eg7wo4j 3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가 안밟힐걸요;;;;시동끄고 핸드브레이크ㄱㄱ
@Jinho_Sung
@Jinho_Sung 3 жыл бұрын
@@HoyaGod중립이 안될 수도 있지만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봐야죠.
@user-jz2mx3ei7b
@user-jz2mx3ei7b 3 жыл бұрын
수동 기아1단으로 내리고 엑셀 계속 밟는담에 사이드 브레이크 계속당겼다 놨다 하면 멈춰요
@user-zs4co9st8g
@user-zs4co9st8g 3 жыл бұрын
그냥 차가나올때 운전석 페달쪽을 보이게할수있는 그러한장치가 (액션캠이라던지 블랙박스라던지..) 장착이되어나온다면 제조사들도 그러한 발뺌같은거할필요도없고 소비자입장에서도 입증해야하는 그러한번거로움이 없을듯한듯한데... 그러한게 설치가어려운게아닐텐데 말이죠..;;
@youngmee02
@youngmee02 3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이분 또 나오셨네요~
@hijoony9200
@hijoony9200 4 жыл бұрын
급발진 예방은 시동 온(부르릉) 하기전에 전자기기등 불들어오고 내비게이션 켜지고 하잖아요 그때 몇초간(약 5초) 놔두시고 부르릉 하세요 이럼 된다가 아니라 아주좋은 예방법입니다
@kkim2533
@kkim2533 4 жыл бұрын
저도 예전 차에서 급발진 비슷한걸 겪어봤네요 LPG 승용차였는데 전 파킹하면 사이드까지 채우는 버릇이 있어서 차가 튀어나가지는 않았습니다. 증상은 시동 켬과 동시에 풀악셀 밟듯이 rpm이 비정상적으로 5천 6천까지 치솟으며 엔진 괭음이 나길래 바로 시동 껐습니다(버튼식 아니고 키 돌리는 방식) 처음 증상 나타나고 한동안 괜찮다가 두어달마다 한번씩 그런 현상이 몇번 나타나다가 또 안나타나더라구요. 킬로수도 좀 많았고 결국은 폐차했습니다.
@user-pg8ud5iw3e
@user-pg8ud5iw3e 2 жыл бұрын
......ㄷㄷ
@ssangk9999
@ssangk9999 2 жыл бұрын
제차도 키돌이인대 시동걸자마자 그런적이잇어여 너무놀래서 시동끄긴햇는데 내가 악셀을 밣앗나? 그런생각이 들정도로 악셀과 브레이크가 햇갈릴순업죠 시동걸면서 결국 한번 급발진하면서 그대로 때려박더라구여 브레이크 패드가 떨어져나갈정도로 밟앗는대 소용없엇음 근대 그차를 아직도 타구당김 무섭지않나요 여러분 ㅎㅎ
@ssangk9999
@ssangk9999 2 жыл бұрын
신차출고대기중인대 패달블박 설치할것임
@creon11
@creon11 3 жыл бұрын
그냥 빠르게 안전한 곳에 박는게 최선임. 왠만하면 정면으로 박는게 좋음..
@user-oc4oj4vk1h
@user-oc4oj4vk1h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무섭네요 가지고 있는 차량 없애고 대중교통 이용 해야겠네요 혹시 급발진 경우 실내에서 연료 차단하는 방법을 생각해 봤습니다
@kimdidwnrns
@kimdidwnrns 4 жыл бұрын
기어중립 브레이크밟고 키는acc로 돌려요 평소에 습관이 돼야겠지요 당황하면 생각이 안나니깐 시동시 두번에 나눠서 키세요
@user-ol7iy7cc1j
@user-ol7iy7cc1j 3 жыл бұрын
나도 차시동켤때 반자동(acc)켠다음 브레이크밟고시동 켭니다
@PLANNERTP
@PLANNERTP 4 жыл бұрын
한문철TV에서.. 이번 H 차 급발진 법원 판결 나온거 보시면... 곧 판도가 바뀔 듯 합니다.
@casstera6910
@casstera6910 4 жыл бұрын
기사떴나요? 어디가면 볼 수 있을까요?
@justinim9775
@justinim9775 4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한 변호사
@user-rh6cg9go7i
@user-rh6cg9go7i 4 жыл бұрын
대형차처럼 머플러에 가변밸브 달면 어느정도 해결됨.다만 작동시 매연발생.엔진 연소가 잘 안되게 하는 원리임.
@younsikchung26
@younsikchung26 4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정확하게 말씀하고 계시네요 급발진. 1. 브레이크를 밟아 피해를 최소화 2. 시동을 끈다. 당황하지 말고. 어어어. 이런소리 할시간이면.이 2가지 할수 있다 막상 당하면 정신 똑바로 차려야할 문제 이긴하다. 브레이크 밟는다. 시동 끈다. 그런데 정신없어 이거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mbongstudio
@mbongstudio 3 жыл бұрын
저분 말이 정답! 솔직히 주행중에 급발진이 안난다라고 할순없지만 워밍업의 중요성을 여기서 또 느끼네요. 박병일 명장님 말씀대로 예열 후열 요즘엔 진짜 필수입니다. 차가 어무리 잘나와도 필수인거같습니다! 자동차는 진짜 별거아닌거 같이 보이지만 소중하게 다뤄줘야합니다. 예열: 사람으로 치면 준비운동이라고 하죠. 사람도 준비운동안하고 운동하면 심장에 무리가 갑니다. 차도 똑같을겁니다. 유튜브 이리저리 보면서 느낀거지만 여름철 예열 최소 30초 겨울1분은 해줘라는말 동감합니다. !
@tybe846
@tybe846 2 жыл бұрын
나는 오토바이여도 최소 2~3분 예열하는데
@9_9_9_9-9
@9_9_9_9-9 2 жыл бұрын
예열하고 급발진 전혀상관없어요
@user-sq4rd8mx9e
@user-sq4rd8mx9e Жыл бұрын
​@@9_9_9_9-9 상관이 왜 없나요? 상관이 없다고는 할 수 없죠
@9_9_9_9-9
@9_9_9_9-9 Жыл бұрын
@@user-sq4rd8mx9e 엔지니어를믿으세요 존문가들을믿으세요? 본인이판단하세여
@user-sq4rd8mx9e
@user-sq4rd8mx9e Жыл бұрын
@@9_9_9_9-9 영향을 전혀주지않는다고 생각하나요? 그럼 한번에 시동거시고 달리셔요
@user-tm6rl5hf7d
@user-tm6rl5hf7d 3 жыл бұрын
급발진이 아직도 겁이나는건 아무런 조치도 무용지물이 된다는겁니다. 블레이크는 물론 시동이 꺼지지도 않는다는 것입니다. 저는 에어백도 터지지 않았습니다. 아무튼 여러분들에게는 그런 사고 없기를 바랍니다.
@baskiing
@baskiing 3 жыл бұрын
빠른속도에 에어백도 안터졌는데 살아계셔서 다행이네요... 크게 다치신데는 없으셧는가요?
@user-ty1vw8js1t
@user-ty1vw8js1t 3 жыл бұрын
시동이 안꺼진다는건 처음 듣는데
@user-lh7lk7rs3d
@user-lh7lk7rs3d 3 жыл бұрын
@@user-ty1vw8js1t 키 뽑아도 엔진 미쳐 날뛰는 영상들 있어요
@Jinho_Sung
@Jinho_Sung 3 жыл бұрын
@@user-ty1vw8js1t 저도 키를 뽑아도 시동이 안꺼지더군요. 당시 수동차량에 신호대기중이라 브레이크를 밟고 있었고 기어는 중립 상태였습니다.
@wonjonghyuk
@wonjonghyuk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들은예기인데 급발진 시작되자마자 3초안에 기어를 중립으로 두라던데 진짜로 하면 가능한거에영??
@user-yv8ut9wf4j
@user-yv8ut9wf4j 8 ай бұрын
하늘에 운명을 맡겨야 하나요?...우연히 이 방송을 보고 남의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djeje44u4uru4
@djeje44u4uru4 3 жыл бұрын
가속붙기전에 그냥 냅다 어디다 박아버리는게 젤현실적이다
@choihyeoncheol849
@choihyeoncheol849 4 жыл бұрын
급발진 검색해서 영상 많이 보길 바랍니다 시동을 검과 동시에 급발진이 일어나서 본인만 그리 느끼는거지 검색해서 잘. 보길 바랍니다
@user-cg6ns2jt7t
@user-cg6ns2jt7t 3 жыл бұрын
얼굴과 목소리가 가수 *진성*님과 너무나 닮았어요. 노래도 잘하실것 같아요.
@BlueTiger8226
@BlueTiger8226 4 жыл бұрын
저도 ECU가 문제일거라 추정 하는데요 다만 다른분들 차량용 칩셋이 따로 있다라는 식으로 말씀하시는데 그런거 없습니다. 모든 전자 제품에는 반도체를 사용 하는데 저항에 F급 J급 저항 이런것 때문에 저가형 쓴다고 생각 하시나요 ? 그건 소수점이하 까지 있는 건 F급 저항 J급은 소수점이 없는 저항 힙니다. 하드웨어 생산할때 리드가 100여개 달린 IC가 뒤틀림 5%민 넘어가도 불량 처리 됩니다. 모로섬 비틀림 미삽 역삽 다 디지털 카메라로 잡아 내는게 무슨 하드웨어문제입니까?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하드웨어 보다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오작동으로 추정 될뿐입니다. 다만 프로그램이 수 천만 분의 1초로 지나가는 거라 오류가 순식간이 일어나는 거겠지요 하드웨어는 말 그대로 IC 단자중 단자에 전압을 보내면 1 안보내면0 으로 2진법으로 움직이는 부품입니다. 이는 불량율이 적습니다.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보면 불안정한 요소 입니다. 소프트웨어가 오류가 발생하면 다른 값이 나오지만 하드 웨어는 비교적 쇼트가 나는 것이 아니라면 불량 률이 적습니다. 전자 쪽 조금이라도 공부한 분 이라면 아마도 비슷한 생각 하실거라 생각 합니다
@zasepro
@zasepro 4 жыл бұрын
전자식 차량에는 비상스위치를 설계해서 운전석 근처에 배치해야 합니다. 주먹쥐고 꽝 내리치면 전원이 끊기도록 설계해야 됩니다.
@misomp3276
@misomp3276 3 жыл бұрын
편의장치는 괜찮아도, 주행과 안전에 관계되는 부분은 기계식이 안전한 듯
@sohgyu
@sohgyu 3 жыл бұрын
사건과 사고가 있어야 돌아가는 기업 및 사회 구조도 한 몫을 함.
@user-sj4bl1rw8o
@user-sj4bl1rw8o 3 жыл бұрын
급발진 경험자로써 순간 대처능력이 미숙하거나 당황하면 사고를 피할수 업슴 일단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고 기어를 중립으로 변환시키고 시동을 끄면 사고를 막을수 있습니다 즉 정신 똑바로 차리면 사고를 예방할수 있습니다
@user-qq1xp1et6n
@user-qq1xp1et6n 4 жыл бұрын
방법은 !!! 기어내버를'' D에서 N으로'' 순간 앞쪽으로 치면 빠집니다 단지 말둑식 레버일때만 입니다 버튼식 일때는 안해보았습니다 !!
@THAAD-01
@THAAD-01 4 жыл бұрын
파킹모드에서도 시동과 동시에 고rpm 증상이 보이면 바로 시동 끄세요. d 넣고 브레이크 때는순간 급발진확율 다분함.
@HanwhaEagles-
@HanwhaEagles- 2 жыл бұрын
겨울 시동걸때 시스템이 일부러 알피엠 올리지않나?
@user-kb3jd3lh2v
@user-kb3jd3lh2v 2 жыл бұрын
어떤 영상에서 운전자 한분이 급발진 원인에 대한 힌트가 될만한 단서를 하나 제공했는데 그분도 급발진을 경험했고 RPM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현상을 보았고 그 이유를 찾다가 스로틀 바디 케이블쪽에서 접촉불량이 일어난거 같다는 제보를 해준 영상이 있음. 그걸 다시 제대로 끼우니 급발진이 안일어났다고 하던데 이게 중요한 하나의 힌트 같음. 그 영상을 한번 보시는걸 추천드림.
@user-to4un5dk4u
@user-to4un5dk4u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요즘은 천천히 서행중에 갑자기 급발진 차들도 많던데.. 이것도 전자기기가 이상작동하는거죠?
이래서 부자들은 돈 더주고 외제차 탑니다
7:14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94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리스업자가 리스 비밀 다 공개합니다
12:36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Black Car Owner's Driving Skills in Response to Rapid Starts
5:17
JTBC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981 М.
외제차 함부로 샀다가 인생이 망해가는 과정 5부 [카푸어]
10:15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차알자 Q&A] - 타이어 앞 뒤 교환 절대 하지마라!?
11:49
차집아저씨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의왕 모녀 급발진 사고 8개월 간의 이야기를 추적합니다
12:59
박병일의 명장본색
Рет қаралды 400 М.
What experts say about how to respond to sudden acceleration ☞
5:47
JTBC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МАМА И STANDOFF 2 😳 !FAKE GUN! #shorts
0:34
INNA SERG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Technical error 🤣😂 Daily life of a couple #couple #shorts
0:25
1❤️ #shorts
0:17
Saito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