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가능한가 액체 전해질 분리막 시장은 사라지나

  Рет қаралды 217,436

디일렉 THEELEC

디일렉 THEELEC

2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가능한가 액체 전해질 분리막 시장은 사라지나
00:4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03:04 리튬이온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03:56 액체 전해질에서 고체 전해질 변화되는 특장점
05:28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대해서
08:38 고체 전해질의 종류별 특성 및 장단점
13:16 전고체 전지의 시장 동향에 대해서
14:5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 개발한 자유변형 전고체 이차전지
19:25 고체 전해질 이온전도도
23:05 국내 전고체 전지 연구 동향
27:09 향후 전고체 전지 상용화에 대해서
#전고체 #전해질 #배터리 #분리막
-
리튬인산철 배터리, 기회인가 위기인가
사전링크 페이지
www.thelec.kr/eventConfig/html...
[오프라인 행사개요]
- 행사명 : 리튬인산철 배터리, 기회인가 위기인가
- 주최‧주관 : 전자부품 전문미디어 디일렉(www.thelec.kr)
- 일시 : 2022년 02월 10일(목) 13:30~17:00
- 장소 : 디일렉 5층 콘퍼런스 룸(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515 아승빌딩, 5층)
- 등록비용 : 22만원(부가세 포함)
- 규모 : 50명
* 행사와 관련된 문의사항은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 디일렉 사업국 : 02-2658-4707 이세진 과장, 박세혁 과장
[코로나19 안내]
- 행사장 인원제한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백신접종완료자만 참석이 가능합니다.
- 현장에서 모바일 COOV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방접종확인카드, 백신접종증명서를 반드시 제시하셔야 합니다.
※ 디일렉 멤버십
멤버십 안내 ( • 디일렉 유튜브 멤버십 개설했습니다. ​​)
멤버십 가입 ( / @theelec9812 )
※ 디일렉 멤버십 혜택
[디일렉 영상 하루 빨리 보기]
디일렉 영상은 기본적으로 모두 '무료'이지만, 후원해주시는 분들께는 영상을 하루 빨리 볼 수 있는 혜택을 드립니다.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Пікірлер: 105
@theelec9812
@theelec9812 2 жыл бұрын
리튬인산철 배터리, 기회인가 위기인가 사전링크 페이지 www.thelec.kr/eventConfig/html/event_inc.html?eventcode=event39 [오프라인 행사개요] - 행사명 : 리튬인산철 배터리, 기회인가 위기인가 - 주최‧주관 : 전자부품 전문미디어 디일렉(www.thelec.kr) - 일시 : 2022년 02월 10일(목) 13:30~17:00 - 장소 : 디일렉 5층 콘퍼런스 룸(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515 아승빌딩, 5층) - 등록비용 : 22만원(부가세 포함) - 규모 : 50명 * 행사와 관련된 문의사항은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 디일렉 사업국 : 02-2658-4707 이세진 과장, 박세혁 과장 [코로나19 안내] - 행사장 인원제한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백신접종완료자만 참석이 가능합니다. - 현장에서 모바일 COOV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방접종확인카드, 백신접종증명서를 반드시 제시하셔야 합니다.
@user-vu6vk3nz4l
@user-vu6vk3nz4l 2 жыл бұрын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
@kpphajeon3938
@kpphajeon3938 Жыл бұрын
나도 잘 견디고 있는 것이다 나 오늘 점심 은 더 비싼 거지 않을까 🤔 👀 😎 ㅗ 8 ㅡ ㅅ 갿
@user-bf5bl4do4y
@user-bf5bl4do4y 2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와 관련하여 아주 유익한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일렉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SS-cc8et
@SS-cc8et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알맹이가 꽉차고 전문적인 이야기를 이렇게 알기쉽게 들을 수 있는 곳은 쉽게 찾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ue1jp9jj1y
@user-ue1jp9jj1y Жыл бұрын
김해진박사님 말씀 감사합니다 전고체밧데리 상용화에 많은 기여를 부탁드립니다 김박사님이 애국자 이십니다
@kelvinmoon2043
@kelvinmoon2043 Жыл бұрын
김해진박사님의 쉬운 설명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가 뭔지? 그 원리와 지식을 잘 이해 할 수 있었습니다.
@user-vr2rr2vk5x
@user-vr2rr2vk5x 2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고급 정보를…감사합니다! 디일렉님🙏🙏🙏 당장 전고체 자동차는 힘들군요ㅠㅠ
@sjyoon0603
@sjyoon0603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히 잘봤습니당!!!
@user-uz3kg8up2j
@user-uz3kg8up2j 2 жыл бұрын
정보 고맙습니다
@user-yo9cc9gr8o
@user-yo9cc9gr8o Жыл бұрын
전고체가 상용화될 시기에 대형차는 수소전기차가 대세가 되겠군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user-sh8gj6yv8q
@user-sh8gj6yv8q 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미래가 밝아요 .자랑스럽네요. 👏👏👏👏👏👏♨️🔥🎉🌿💯⚘✊
@user-bh4sb7tf5o
@user-bh4sb7tf5o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garion3344
@garion3344 2 жыл бұрын
얘기를 들어보니 자동차에 탑재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는 불가능하단 얘기나 마찬가지네요 차라리 기존 배터리에서 화재만 없앨 수 있는 첨가제를 발견하는게 현실적으로 다가오네요
@travellerworld8966
@travellerworld8966 2 жыл бұрын
배터리 화재는 실리콘 음극재 결함에서만 일어나는 게 아니기 때문에 화재를 첨가제로 없앤다는 건 불가능하지요.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Жыл бұрын
@@travellerworld8966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충전지에 화재는 그렇게 나는게 아닙니다 인산철이든 이온이든 액이 누설되서 화재가 나는거지.... 그래서 고체형식을 주야장천 추구하는거니까요.... 거기에 첨가제를 넣으면 무게만 늘어나겠죠 얼마나 넣는것도 액따라 용량이 올라가면 무게만 늘어나구요.... 방법은 안되는거 같습니다 액누설 화재기준....
@user-vw8xl4tl1y
@user-vw8xl4tl1y Жыл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jongheekim6685
@jongheekim6685 2 жыл бұрын
이런 연구기관이 지금 시점에서 우리나라에 최소 2군데는 더 있어야 하는뎅 요기 2년전에 가보고 정말 놀랐슴...
@user-km4cg2sp3w
@user-km4cg2sp3w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portal5704
@portal5704 2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너무 힘들죠. 현재의 배터리가 장기간 집권할겁니다. 분리막 회사도 큰 성장을 할거임.
@mckmc4916
@mckmc4916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cse532
@cse532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주제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r7ui6oc4d
@user-ur7ui6oc4d Жыл бұрын
인사이트를 주셔서 감사 합니다
@dean3887
@dean3887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화이팅!!
@user-rg2tr1mk6u
@user-rg2tr1mk6u Жыл бұрын
질 좋은방송 감사합니다.
@user-rf9mv7du5s
@user-rf9mv7du5s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는 가능하겠지만, 단가가 비싸서~~
@user-ci2sb3hb2d
@user-ci2sb3hb2d Жыл бұрын
이수화학. 대박나것다
@qunepos
@qunepos 2 ай бұрын
지금도 연구실 수준인데 6년 안에 상용화가 될지 의문이네.
@oooY2Kooo
@oooY2Kooo Жыл бұрын
뉴스보면 당장또는 내년이면 상용화가 될것처럼 보였는데.. 얘기 들어보면 30년 이후에도 힘들것 같다고 하니..흠.. 빨리 신소재나 혁신적인 기술이 나오면 좋겠네 수소도 좀 잘 되었으면..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무슨소리 전고체 지금 양산하는데 말이죠 리튬메탈도 충전지밀도가 2배인게 나오는데.... 어디에서 얘기를 들어봄.... 그러니 천박한 단어 찌라시 같은거 자주보니 거기에 몸이 가있는거죠....
@user-ge3jy6cm9f
@user-ge3jy6cm9f Жыл бұрын
고급형 보급형 이렇게 나눠지겠죠...
@user-px3gq5yg6r
@user-px3gq5yg6r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2차전지공장에거 화재사고 적게났는가요?2차전지 현장에서 일해본사람들 라인에서 셀이 불붙는거나 바테리 조립하다가 로보트가 양음극 정밀히 잘못접어져 화제사고 한달에도 여러번 나면서..불이나면 바테리를 염소수에 잠구지않으면 껄수도 없어요. K배터라가 화제안난다고 장담은 못하죠.
@xboxdvd36580
@xboxdvd36580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관련업계에 종사하시는분 의견으로는 전고체의 물리적인 한계 때문에 모두 회의적이더군요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그 관련업계 종사자들은 바보인가 봅니다 벌써 생산하는데.... 이글이 1년전것인데.... 저도 그쯤 그렇게 들었지만.... 세상은 알도가도 모를일.... 충전지 밀도가 2배인 리튬메탈도 나옴.... 어떻게 생각하심?
@sniper7176
@sniper7176 2 жыл бұрын
핵심은 이온인데 이온보다 뛰어난 물질을 개발하는게 더 빠르겠네!
@user-dn2hi6mw8j
@user-dn2hi6mw8j 2 жыл бұрын
배터리가 뭔지 모르시죠?
@hskim7584
@hskim7584 Жыл бұрын
이온은 개발한 것이 아님. 원자가 전기를 띄면 이온이 됨. 원자가 이온상태로 되어야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
@3minworld
@3minworld 3 ай бұрын
전고체는 ㅋ 시즌템.. 진짜 구체적인게 없는 희망회로.. 30년 되봐야 가격때문에 하이엔드 에나 적용돼요..그 점유율이라고 해봤자.. 3~4%될까.
@skp50208
@skp50208 Жыл бұрын
답이 없구만...문제는 만든다해도 싸냐는 것인데 전해액보다 비싸면 아무런 소용이 없을 수도...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천박하게 싸지르는 말투쓰니 답이 안보이는거뿐... 천박한데 뭐가 보이겠음.... 어차피 단가를 대량생산에 문제임... 하나에 단가가 아니라... 차츰 대량생산을 하고 널리퍼지면 그게 단가 줄이는 목적이죠... 천박하게 보면 오지 원시인밖에 안됨... 부끄럽다 아니죠 쪽팔린다죠 하는 순간 머리에서 생각은 딱 그거밖에 안보이는거임....
@skp50208
@skp50208 11 ай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무슨 말을 하는 거야? 글짜를 갖다 붙인다고 말이 되는 게 아니다. 어휴...
@user-rn3cp2uo5r
@user-rn3cp2uo5r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배터리 산업을 마치 삼성의 반도체 산업으로 생각하고 어마어마한 일자리 창출할거라 미래의 먹거리 어쩌고 그러는데 배터리 산업은 연탄공장이랑 비슷한거라 일단 개발이 끝나고 공장이 지어지고 수율을 잡으면 고가의 인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는 사업이야 그리고 기계화가 되어서 연탄 찍히듯 막 찍혀 나오는거 관리 감독하는 일자리만 필요하다 말이야. 연탄사업처럼 환경을 훼손하면서 광물을 채취해야 하고 그광물을 분리하느라 어마어마한 물과 화확 처리를 해야 하는데 그런 더러운 일은 환경법이 덜한 중국에서 다하고 있지 연탄사업인데 광물은 채굴하지 않고 완제 재료를 수입해서 기술력으로 배합해서 연탄을 찍어낸다는 거지. 그러니 반도체 산업과 달리 연탄산업이니 진입장벽이 낮아 어느 나라들 누구든 기계를 구입해서 공장을 차리고 중국에서 원자재를 구입해서 배합하고 분리막도 구입하고 하면 처음엔 어렵더라도 자꾸하다보면 좋은 연탄이 마구마구 찍혀 나온다 말이지 수휼이 잡히면 이득이 나기 시작하는데 공장 돌리는 인건비가 싸면 더 이득이고 원자재 가공에서부터 자체 기술 특허 최첨단 공장, 직접생산해서 자동차까지 완제품 판매.. 그래야 수익이 좋을거란 얘기지. 지금은 기술경쟁으로 핫하지만. 결국은 싸고 안전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그런 배터리가 대세가 될텐데..한국 파우치 배터리는 일단 원자재부터 비싸고 파우치자ㅐ가 공정이 어렵고 파우치의 접히는 부분이 몰려서 불이 잘나는 구조란 말야... 뭔가 시장을 오판했다고 해야할까... 그리고 전고체는 현재 단계에서 답할 가치도 없는 그냥 연구용 배터리. 비싸고 안정적이고 용량도 많고 하니 어딘가 쓸데는 있겠지. 완성되고 공장 차려지고 수휼잡히고 해도 일반 승용차에 탑제될 그런 용도는 아닐거란 말이지.
@thekite3h
@thekite3h Жыл бұрын
그냥 우주로 나가서 백금 소행성 끌고 오면 다 해결됨.
@yru1702
@yru1702 Жыл бұрын
리튬이온같은경우는 초기 개발 단계에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점을 거쳐온 상태이고, 이제는 초고도화 수준의 개선들이 이루어지는데 전고체는 당분간은 쉽지는 않을 겁니다. 전고체 개발하는 동안 리튬 이온의 발전이 없다면 모를 일인데 그럴 리는 없지 않습니까. 파우치, 각형이 정답인듯 넘어가다가 테슬라가 원통형으로 혁신을 이루어내니 또 원통형으로 많이 가죠. 전고체의 이점들을 '양산'으로 구현해내기 이전에 리튬이온이 전고체가 가질 이점 중 대부분을 먼저 가져갈 가능성이 높겠죠.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테슬라가 원통형이 문제가 아니라 가격다운으로 인산철로 가는거뿐 발전도 아님.... 지금은 그런 모양이 중요한게 아니라 충전지 밀도임... 얼마나 10배 100배 1000배까지 갈수있냐.... 소재개발이 더 중요한거임....
@jsms3328
@jsms3328 Жыл бұрын
10녁지나면 상용화가능할까
@alphago410
@alphago410 Жыл бұрын
고체는 에너지밀도가 너무 떨어지니 반대로 갈거 같습니다. (예 : 바나듐 레독스 ) 전액체가 에너지밀도가 가장높고 전해질은 음극액과 양극액을 따로 보관해서 발화 가능성은 완전제로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근데 왜 전고체가 나왔고.... 리튬메탈소재 충전지 밀도가 이온보다 2배가 높음?
@JUGO7777
@JUGO7777 2 жыл бұрын
굿굿
@wisevet1
@wisevet1 2 жыл бұрын
전고체 양산 보다 기존 밧데리의 문제점을 다 해결하는 게 빠를 듯.
@hskim7584
@hskim7584 Жыл бұрын
전고체배터리가 좋다는 것이 확정된 결론이므로 거의 대부분의 연구는 전고체배터리로 집중.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드시 전고체배터리로 바뀜.
@ijk9546
@ijk9546 Жыл бұрын
​@@hskim7584 오토기어 유튜브보니까 전고체도 똑같답니다. 위험성이... 환상에 빠지게 만든 건 언론인 것 같고... 오토기어 추천합니다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ijk9546 사람은 백프로가 없음 이온보다 고체가 화재에 나아서 전고체로 가는거죠.... 그런다고 안감 리튬이온보다 전고체가 낫고 벌썬 충전지 밀도가 2배인 리튬메탈도 나오는데 말이죠... 전고체는 생산하구요 원통형으로....
@sia.T
@sia.T 2 жыл бұрын
토요타는 뭐가 되는겨?
@2000shinda
@2000shinda Жыл бұрын
상용화가 안됨.수소가 답이다
@kwonbongyoo8318
@kwonbongyoo8318 Жыл бұрын
수소 연료전지가 더 경쟁력이 높을듯..
@user-fg7bf6uf3l
@user-fg7bf6uf3l Жыл бұрын
그건 자동차에서는 0%ㅋ
@MsBigmuscler
@MsBigmuscler 2 жыл бұрын
전고체배터리 너무 개발이 어렵네요. 승용자동차는 아직은 가솔린+리튬이온배터리 하이브리드가 정답인것 같네요.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그게 더 불편한거임....뭐 하나만 하던지...무게만 늘어나고 단가만 올라가는거죠....하이브리드가 다 좋은게 아님.... 일부 하이브리드 주창하는 사람들에 논리는 주행중 사용하는 하이브리드가 아님 어떤 목적에서 연비를 낮출려고 시도하는 부분이 큼... 예로 정차시 과속할때 전기쓰고 주행중 내연기관을 쓴다던지 전기가 떨어질때 주행중 충전하면서 쓴다던지등등.... 이런거면 뭐하로 무게 단가 늘어나면서 먼저 돈내고 아낀다고 저 짓을 함.... 연비가 좋아진다 그럼 그 돈에 투자금은 누가 공짜로 줌? 먼저 설치금 내고 아끼는것에서 설치금 충당하는거 뿐인데.... 전기차를 왜 가겠음... 친환경차라? 친환경이란 표현도 말이 많지않음요.... 아직 그만한 표현을 못 찾으니 쓰는거지만요....
@anarkylast1262
@anarkylast1262 Жыл бұрын
이온전도도 1/1000에서 잘 웃고갑니다.
@longguocao9442
@longguocao9442 Жыл бұрын
근데 왜 전기차발전기에대해. 연구를. 안하지?차가달리면 ㅂㆍ람이 생길거고 바람이용해 발전기가 돌아가면서. 발전하고.
@user-xb6cl5vp8t
@user-xb6cl5vp8t 11 ай бұрын
전고체는 상용성이 떨어진다 차값이 2억이상 이걸탈수가있나 일반인들은
@aeses11
@aeses11 Жыл бұрын
8:45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Жыл бұрын
전고체밧데리 ? 아무리 생각해도 실체없는 연구용밧데리가 맞는 것 같다 . 어떤 사람은 5년후,어떤 사람은 10년후 . . . 이게 사기지 뭐가 사기냐 ? 나도 10년후 전고체밧데리 생산한다 . . .
@user-ci8cn1kb8w
@user-ci8cn1kb8w Жыл бұрын
전고체 테마주 띄우는 여의도 업자들 이런 사실 알고도 딴소리 하는지 모르고 떠드는지 너무한거 아닙니까.
@yyb7887
@yyb7887 Жыл бұрын
개미? 말려들지 마셈. 물은 위에서 아래로, 돈은 아래서 위로 흐른답니다.
@user-zz5zn7cm1g
@user-zz5zn7cm1g 2 жыл бұрын
이미 수소충전소를 많이 건설한 일본도 점점 수소차 포기하고 있는걸 보면 세계는 앞으로 순수 배터리 전기차로 가면서 부족한 부분은 기존 화석연료 차가 보완하다가 순수 배터리 전기차만 남을 겁니다.
@user-et8se3od1p
@user-et8se3od1p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도 잠깐 언급이 있었지만, 운송수단이 대형화 될수록, 그리고 장거리를 이동해야 할수록 2차전지 보다는 수소연료전지 쪽이 더 합리적이 됩니다. 예를 들어 대형 선박을 배터리로 운항하려면 배 무게의 절반을 배터리로 채워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죠. 그러나 수소는 훨씬 가벼우며, 고압으로 압축해서 운반하기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수소선박이 2차전지 선박보다 훨씬 개연성이 높은 것이죠. 이와 같은 논리는 대형 트레일러나 열차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충전시간을 고려해도 그렇고, 주로 고속도로를 계속 왕래하는 대형 화물트럭의 경우는 전기차보다 수소차로 가는 것이 합리적이죠. 물론 일반 승용차의 경우는 수소차보다 전기차가 더 합리적이고, 그래서 현대도 최근 제네시스의 수소차 모델을 개발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일본이 수소차를 포기하고 있는 이유는 수소차의 생산 단가를 낮추는데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현재 기술로는 팔릴 만한 가격에 생산할 수가 없는 것이죠.
@user-zz5zn7cm1g
@user-zz5zn7cm1g 2 жыл бұрын
@@user-et8se3od1p 그냥 지금처럼 LNG 추진선 사용하면 됩니다. 굳이 한 번 더 공정을 걸쳐서 수소를 LNG에서 추출하면 오염 물질도 같이 배출되고, 처리 단계를 거친만큼 더 비싸집니다. 지금도 수소는 디젤보다도 몇 배 비싼 연료인데 세금으로 간신히 디젤과 비슷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적이라면 비용을 감당하겠지만 수소 추출 시 오염물질이 너무 나와서 그렇지도 않네요. 수소충전소 하나 건설하는데 30~50억씩 듭니다... 왜냐면 수소는 워낙 원자가 작아서 자재들의 원자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파괴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일반 자재보다 거 비싼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이고... 여기에 국내 기술이 없어서 해외 업체 제품을 들여오기 때문입니다. 이래서 한 번 고장나면 수리 기간이 몇 개월~1년씩 걸리는 이유가 됩니다. 이걸 더 늘리자는 것은 세금 지원을 이용하는 것 밖에 안 되는 소립니다. 수소 충전소는 일정 압력으로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를 이용해서 압력을 높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시간 때문에 자가용만 충전하는 상황에서도 재수없으면 한 시간 넘는 대기 시간이 필요합니다. 게다가 트럭이라면 일반 수소 충전소에서 몇 대 충전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수소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예약하고 가야하지요. 그리고 트럭은 수소탱크를 수십개 주렁주렁 매달고 다녀야 합니다. 당연히 짐 싣는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습니다. 수소는 너무 고압으로 압축해서 넣으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넥쏘도 자가용인데 수소 탱크를 3개를 달고 있습니다. 현재 기술로는 수소를 자동차로 이용한다는 것은 세금 도둑과 같은 겁니다. 일본 정부도 정유사의 기존 휘발유와 같은 공급 체인을 고수하기 위해 수소를 밀었고...수소충전소를 많이 건설했지만...소비자에게 외면 받고 있습니다. 혹시 수전해를 통해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수소 생산이 가능해 졌다고 하더라도 수소차는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발전소 근처에서 수전해를 통해 만든 수소를 이용해서 발전하고 그 전기를 현재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전기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charismaham
@charismaham 2 жыл бұрын
@@user-zz5zn7cm1g lng가 영원히있는 연료가 아니니까 이런 논의가있지 않겠는지요
@user-zz5zn7cm1g
@user-zz5zn7cm1g 2 жыл бұрын
@@charismaham 지금 LNG에서 공해물질 배출하며 수소 추출하고 있어요. 부생수소라든지..수전해 이야기는 모두 거짓이에요. 솔직히 물에서 친환경이며 경제성 있는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면... 수소의 취성 문제, 해외 수입 수소 충전기 문제, 백금 연료전지 스택 문제등등 어느정도 감내해야 할 문제라고 말하고 싶네요.
@chickenmayonese
@chickenmayonese Жыл бұрын
저도 수소차 알아보다 그 실상을 파악했죠.. 오솔길님이 수소차라는 허울좋은 미래에 현혹된 사람들을 구출해 주고 계시네요
@user-fx1rb7ve4e
@user-fx1rb7ve4e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가능한가 액체 전해질 분리막 시장은 사라지냐? 아님말고 ㅋ;
@jinboklee4033
@jinboklee4033 Жыл бұрын
마바라들이 이 방송을 아주 싫어하겠네
@user-mr5te1gl4c
@user-mr5te1gl4c 2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잘못하네
@user-gr6wx5nw4r
@user-gr6wx5nw4r Жыл бұрын
전고체는 돈이 안되요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지금 전고체도 나오고 충전지 밀도가 2배인 리튬메탈소재도 나옴.... 시간은 빨리감.... 100배 1000배 충전지밀도가 나오지 않는 법도 없을거 같음요... 아마 핵융합에너지에 지금에 시점을 본다면요 전기차도 과정이 아닌 내연기관처럼 하나에 스토리가 나올거 같아요^^ 전 과정으로 갈줄 알았고 수소차도 아마 하나에 방편으로만 볼지도 않았는데 또 수소는 수소나름 활용이 장난이 아닌거 같음요 아직은 시기상조지만 시간이 문제인거뿐.... 활용가치가 보면....
@user-sn6ui7kv1j
@user-sn6ui7kv1j Жыл бұрын
반고체 폴리머 젤 전해질을 개발 사용해서 단점을 보완 하다가 전고체로 갈것 봅니다.
@shutupandtakemymoney9422
@shutupandtakemymoney9422 Жыл бұрын
이분이 그 꿈의배터리 만든분 아니신가?
@user-gl4ht3hy2o
@user-gl4ht3hy2o 2 жыл бұрын
답답하다.
@user-cx4vy3kc3s
@user-cx4vy3kc3s Жыл бұрын
전고체 에너지밀도가 낮다는 것을 알려주지 않네요. 전고체 의미 없습니다. 곧 LFP가 대세가 될거예요. 테슬라가 46800 LFP로 적용할거예요.
@hl2dus1
@hl2dus1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인산철 좋죠
@ijk9546
@ijk9546 Жыл бұрын
​@@hl2dus1 오토기어 보세요... lfp.... 재활용 안되서 안됨.... 돈 무지 든데요 ㅈㅎㅇ 하려면... 현재 하고 있는 삼원계 가 대세라고 하던데... 언론이 문제.. 자국의 것의 장점을 잘 모르니.
@abn-rw5ir
@abn-rw5ir 2 жыл бұрын
정보,감사합니다 😄 PC의,블럭체인,가상화폐 1세대 ㅡ 비트코인 2세대 ㅡ 이더리움,리플,스텔라 스마트폰의 블럭체인,가상 화폐 3세대 ㅡ 파이코인 😀
@stickyricecake8967
@stickyricecake8967 2 жыл бұрын
배터리만 문제인 것 같지? ㅋㅋ 전기차는 아직 그 문제점을 전혀 보여주지 않았다....많이들 사서 시장을 키워주라. 그래야 전기차가 어떤건지 사람들이 보고 활딱 데이지...
@solimooth2321
@solimooth2321 2 жыл бұрын
사실 전기차의 진짜 문제는 전기 수급을 어떻게 원활하게 할 것인가이지 ㅋㅋㅋ 원자력은 폐기물 리스크 때문에 주된 에너지원으로 쓰기 어렵고, 재생 에너지는 기후 리스크 때문에 발전 리스크가 너무 심하다는 문제가 있음. 산업이 전기에 의존하면 의존할수록 전기 수급 문제는 대두될텐데, 딱히 수급을 해결할만한 수단이 없다는 게 제일 큰 문제지
@namulaw2
@namulaw2 2 жыл бұрын
@@solimooth2321 깔끔한 정리임
@wkaud97
@wkaud97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봐도 태양광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이 아니고선 원자력 밖엔 답이없는듯..
@user-nf3fj2cm8s
@user-nf3fj2cm8s Жыл бұрын
북한이 전고체 핵미사일 쏘는거보면 전고체개발이 어렵지 않을것 같은데...
@superzubu
@superzubu 2 жыл бұрын
고체 배터리 소재개발 성공 레몬
@user-xq2gc2ql2p
@user-xq2gc2ql2p Жыл бұрын
아자씨 개발은 진작댔는데 상용이 안대유~~~ 기업이 이윤이 남아야는데 이거 상용화되면 적자납니다유
@user-no3bz8wn6f
@user-no3bz8wn6f 2 жыл бұрын
화질이 흐리다 눈이 아플정도로... 이런 화질로 유투브하는 사람은 생각은 있나.
@hihisnoopy
@hihisnoopy 2 жыл бұрын
화질 좋은데.. ?
@user-io7wo4cr3e
@user-io7wo4cr3e Жыл бұрын
apoww
@sky82007
@sky82007 11 ай бұрын
무지한사람들이많구만
@user-po4lo7up8x
@user-po4lo7up8x 2 жыл бұрын
죄송하지만 너무 장황합니다 힘드네요 보는게
@user-tz6ex7kb1f
@user-tz6ex7kb1f Жыл бұрын
도요타가 이미 개발했는데 뭔 개소리지
@user-xq2gc2ql2p
@user-xq2gc2ql2p Жыл бұрын
삼성도 만들고 만든곳은 많다~~~ 단지 상용이 안될뿐 비싸도 너무비싸
@simonjeon2527
@simonjeon2527 2 жыл бұрын
Can I ask a question? I hope that what I am saying is not rude. If you die tonight, where will you live forever? The Bible says that if it is not heaven, you will go to one of the hell. Would you like to think about it today? May God bless you!’ To be saved while living in this land I pray and bless you in the name of Jesus Christ for eternal life. Jesus Christ is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0190James
@0190James 2 жыл бұрын
🙏
@jongtaekim109604
@jongtaekim109604 2 жыл бұрын
거짓말
@yangjin4625
@yangjin4625 11 ай бұрын
불가능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I CAN’T BELIEVE I LOST 😱
00:46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전고체 배터리 찾아 한국 온 BMW...삼성과 협력하나
15:42
디일렉 THEELEC
Рет қаралды 67 М.
500년 볼트 역사 뒤바꾼 신개념 볼트 창안한 볼츠원
34:59
디일렉 THEELEC
Рет қаралды 19 М.
Собери ПК и Получи 10,000₽
1:00
build monsters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WWDC 2024 Recap: Is Apple Intelligence Legit?
18:23
Marques Brownlee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Will the battery emit smoke if it rotates rapidly?
0:11
Meaningful Cartoons 183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Samsung S24 Ultra professional shooting kit #shorts
0:12
Photographer Army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