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헷갈려…지하철 출입문이 오른쪽, 왼쪽 둘 다 있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44,431

역쟁이TV

역쟁이TV

Ай бұрын

지하철 출입문은 왜 왼쪽, 오른쪽이 있을까요?
버스는 그렇지 않지만 지하철 출입문이
왼쪽, 오른쪽 있는 이유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하철 #왼쪽 #오른쪽

Пікірлер: 176
@out6844
@out6844 Ай бұрын
오사카 지하철은 양쪽을 열어버리던데 ㅋㅋㅋ 차장 죽어날듷
@L_ys
@L_ys 29 күн бұрын
과거 4호선 안산선구간이 1호선이었던 시절에도 금정역에서 실제로 있었습니다. 당시 안산~금정 구간만을 반복 운행하던 열차가 금정역 4, 5번홈 승강장에 있는 선로에 열차가 정차하여 양쪽문을 전부 다 열었었죠.
@user-uf9ni8pr1b
@user-uf9ni8pr1b Ай бұрын
6:45 대전 중앙로역과 같은 사례네요
@Gyodong
@Gyodong Ай бұрын
그래서 대전 1호선 중앙로역은 방향별로 열리는 출입문이 다르다고 하네요? 혹시 아시나요? 반석방면 : ○ / 판암방면 : ○
@user-gu7qj2um2e
@user-gu7qj2um2e Ай бұрын
지하차도 밑에 지하철역이 생긴 사례도 있을까요? 있다면 설계 난이도가 극명하게 올라가는지도 궁금합니다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Ай бұрын
고속터미널역 말씀하시는건가요?
@user-hj8dg7io8r
@user-hj8dg7io8r Ай бұрын
지하차도는 아니지만 우리나라에 비슷한사례로 9호선 고속터미널역이 있습니다. 3호선 승강장 밑에 바로 9호선을 위치 시켜야 했기에 엄청난 고난이도 공사로 꼽혔습니다.자세한 공법은 직접 찾아보시는게 더 도움될겁니다
@bjsr5678
@bjsr5678 Ай бұрын
​@@user-hj8dg7io8rkzfaq.info/get/bejne/fMhzZKeCv8_eeI0.htmlsi=iHIIPOj_mATg122I 이 영상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user-fi3lq6ij9p
@user-fi3lq6ij9p Ай бұрын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이요
@Youngje_
@Youngje_ Ай бұрын
부산 4호선 동래역 있습니다 내성지하차도 밑에 4호선이 있어요
@kimseongil--7449
@kimseongil--7449 Ай бұрын
여기서 언급이 없어서 하나 알려드릴게 있자면 급행열차 때문에 일반열차가 내리는 곳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9호선 동작역이 급행은 오른쪽으로, 일반은 왼쪽으로 타고 내리게 됩니다. 그리고 경의중앙선에는 국수역처럼 일반열차를 보내기 위해 다른 선로로 타서 오른쪽으로 타고 내리는 일이 발생합니다.
@user-mu5wz3kd6j
@user-mu5wz3kd6j Ай бұрын
저 7호선 보라매역 근처 사는데 보라매역도 섬식 승강장인데 여기는 왜 섬식 승강장인가요? 여긴 고가도로도 없는데요. 혹시 회차선 역인가요? 보라매역을 언급 안하셧길래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그리고 2면 3섬식 승강장은 7호선 수락산역도 있습니다.
@lch374213
@lch374213 Ай бұрын
보라매와 신풍역 사이에 회차선이 있어서 신풍역이 종점인 열차들이 씁니다.
@user-zz8hu4ww5v
@user-zz8hu4ww5v Ай бұрын
한국철도공사의 구간은 3호선만 빼곤 전부 좌측통행이라, 상대식 승강장은 왼쪽, 섬식 승강장은 오른쪽으로 문이 열리죠
@user-zh3es9zn5i
@user-zh3es9zn5i Ай бұрын
코레일 3호선은 특이케이스죠...코레일구간인데 직류에 우측통행인....
@Boramae.Joseph-Transport
@Boramae.Joseph-Transport Ай бұрын
그걸 이미 0:15 이 부분에서 설명하셨죠.
@Boramae.Joseph-Transport
@Boramae.Joseph-Transport Ай бұрын
​@@user-zh3es9zn5i 반대로 서울 지하철 1호선은 도시철도인데도 왼쪽인 특이 사례죠.
@i.d.p.1623
@i.d.p.1623 29 күн бұрын
⁠​⁠@@Boramae.Joseph-Transport서울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처음부터 국철 경부선과 경인선, 경원선과 직결하도록 되어 있었던지라 특이한 경우이긴 하죠.
@user-gv1oe9rg3l
@user-gv1oe9rg3l Ай бұрын
왜 오른쪽 왼쪽 출입문이 다른지 알게됬습니다 덕분에 궁금증 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co4xl4ri7y
@user-co4xl4ri7y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 드립니다.
@UCpAv4h1Ymt
@UCpAv4h1Ymt 25 күн бұрын
이 분 INTP이 아닐까..? 내가 항상 지하철 타면서 궁금했던 모든 질문들을 어떻게 알았는지 다 알고 대답해주는 느낌이라 너무 좋다
@gurorapid
@gurorapid 24 күн бұрын
하나 빼고 다 다른데 찾아보니 또 맞는 부분이 많네요…😅
@TVU_Video
@TVU_Video Ай бұрын
신중동역 인근 주민입니다. 계남고가도로가 ㅋㅋㅋ 편도로 3차로라서 폭이 넓더라구요. 아마 계남고가도로 램프에서 받는 하중을 감당하기 어려워서 그랬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부천시청역은, 아무리 같은 섬식 승강장이라도, 일반적인 섬식 형태로 만들었더라면, 무지개고가도로와 신중동역(계남고가도로) 때문에 선형이 쓸데없이 굴곡져버리기 때문에, 일부러 신중동역의 폭에 맞춘 것 같아요.
@user-vw7lr4ih7e
@user-vw7lr4ih7e Ай бұрын
같은 부천사람입니다 까치울역부터 이렇게 지어놨던데 그쪽도 왕복 10차선(!)정도 되던 터라 이렇게 지을수밖에 없는 구조더라구요
@suinbundang_Kwangwoon_univ
@suinbundang_Kwangwoon_univ Ай бұрын
승강장의 뜻에 대해 알수 있는 영상이네요.
@choinamhee62
@choinamhee62 25 күн бұрын
애청자입니다. 뜬금없지만 고속도로 환승센터가 5호선 강일역 설치목적이었는데 흐지부지 되는 것 같아서, 아이디어 차원에서 환승수요가 있어 보이는 고속도로IC나 톨게이트 아래에 강일역처럼 전철역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인데요. 예를들면, 6호선 신내역 연장- 중랑IC역(세종고속도로), 경의중앙선로 겸용 구리역 정차- 경의중앙선 지선 추가해서 구리남양주톨게이트역(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을 만드는 것 어떨까 하는데요.
@user-vk1ut1cr3i
@user-vk1ut1cr3i Ай бұрын
일본의 한신본선에서 아마가사끼(尼崎駅あまがさきえき)역이 양쪽문이 다 열리는 유명한 역인데 승객들이 환승할때 일일이 플랫홈 밑으로 내려갈 수고를 덜어주기위해 열차문을 지나서 플랫홈을 건널수있게 해준 역입니다.
@EHCJFDL
@EHCJFDL Ай бұрын
​@IvaDesolad니가 휴지통임
@71jq
@71jq 23 күн бұрын
8:02 옛날에 역 지나쳐서 이런젹 있었는데 뭣 모르고 내려서 올라간다음 다시 내려와서 탐ㅋㅋㅋ
@-lugianhs4786
@-lugianhs4786 Ай бұрын
1:50 쯤 보면 상대식승강장에 비해 섬식승강장은 승강장 폭을 조정하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라고 적혀있고, 5:40 쯤 보면 섬식승강장은 승강장 확장이 어렵다고 명시되 있습니다. 제가봣을때는 (섬식승강장은 승강장 확장이 어럽다)가 맞는것 같은데 왜 1:50 에는 (섬식승강장은 승강장 폭을 조정하기 쉽다) 라고 적은건가요? 오히려 상대식승강장이 승강장 폭을 조정하기가 쉽고 섬식승강장은 승강장 폭을 조정하기 어려운데 (섬식승강장이 아니라 상대식승강장이 승강장 폭을 조정하기 쉽다)가 맞는거 아닌가요? 또한 07:49쯤보면 2면3선 승강장역들이 소개되었는데 수락산역, 박촌역, 3호선 수서역이 없네요. 참고로 박촌역, 수락산역, 3호선 수서역도 2면 3선 승강장입니다.
@gurorapid
@gurorapid Ай бұрын
섬식승강장은 짓기 전 폭을 일정비율 정해서 지을수 있지만 짓고 나서 확장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지하 공간에서 특히 어렵죠. 수서역 등 예시는 대표적으로 7개역만 넣었습니다~
@-lugianhs4786
@-lugianhs4786 Ай бұрын
⁠​⁠​⁠​⁠​⁠@@gurorapid상대식 승강장도 건설전에 폭을 일정비율 정해서 지을수 있고 지은 후에도 확장이 쉬워요. 영상을 보면 섬식승강장만 폭을 일정비율 정해서 지을수 있다는 느낌이 강하기에 이부분은 정정이 필요합니다.
@mashrabbit
@mashrabbit 29 күн бұрын
일본의 양쪽 승강장을 많이 찾으시는데, 일본도 시차를 두고 열어 하차 승객은 먼저 열리는 곳으로, 승차 승객은 나중에 열리는 문으로 승차하는 용도로 씁니다. 하차객은 기다렸다가 승차 승강장으로 내려도 되지만 승차 승객은 하차 승강장이 출입금지로 적혀 있어 못 가죠. 터미널식 종점이 대부분이고, 회차선 드나들 필요도 없이 많은 인원의 동선이 섞이지 않고 타고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럼 한국에 없냐 싶으실텐데, 인천공항 탑승동을 잇는 셔틀트레인, 용인 경전철 에버라인 구갈(기흥)역이 있습니다. 승강장이 셋이고 가운데가 승차 승강장으로 아무거나 골라타고 바깥쪽 승강장은 랜덤이지만 출입금지하면 하차객만 나가는 동선 분리가 됩니다.
@sianke1991
@sianke1991 27 күн бұрын
도시철도 개론을 듣고 있는 것 같네요. 훌륭하십니다.
@user-ub1sm9ji2n
@user-ub1sm9ji2n Ай бұрын
😂❤❤❤❤❤❤❤오늘도재밌는정보감사합니다
@TV-pi6ue
@TV-pi6ue 29 күн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DrabuIy
@DrabuIy Ай бұрын
싱가포르 철도는 역이 전부 똑같은 환승역 모양인데도 출입문이 양쪽에 있던데, 종착역에서 기지로 안 가고 그대로 회차하더군요, 기차는 언제나 신기해
@EHCJFDL
@EHCJFDL Ай бұрын
​@IvaDesolad꺼져 니가 이렇게 몰입감 좋게 악플달기 개좋음
@fjljfscndv
@fjljfscndv 23 күн бұрын
저는 오른쪽 왼쪽이 어느 쪽인지 중딩 때까지 햇갈렸는데 지하철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는거더군요
@Korail-wx1fy
@Korail-wx1fy Ай бұрын
섬식 승강장의 가장 큰 단점은 양 방향 모두 승객이 많을 경우 극심하게 혼잡하다는 점 입니다. 이런 역의 예시가 1호선 서울역과 3호선 종로3가역이죠. 서울역은 향후 남부내륙선 KTX와 GTX A선이 개통하면 훨씬 환승객이 늘어날 것이 분명한데 승강장 확장만 불가능한게 아니라 환승통로도 용산 방향 1-1에만 있어서(...) 앞으로 서울역 맨 앞은 진짜 지옥이 될 것 같네요. GTX환승통로는 중간에도 생긴다지만 글쎄... 상대식 승강장은 종착역에서는 좀 별로입니다. 7호선 석남역에서 당역종착 승강장으로 차가 와야 하는데 갑자기 지연되어 서울 방면 승강장으로 차가 오면, 좀 기분이 안좋죠. 내리고 타는 사람이 섞여서 매우 혼잡하고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Gyodong
@Gyodong 20 күн бұрын
4:00 ~ 4:24 17개 연속으로 섬식 승강장이면 승강장을 전/후로 다시 선로의 간격을 좁히지 않고 계속 넓게 유지하고, 터널 가운데에 굵은 기둥을 놓으면 되지 않았을까요?
@pjigongson
@pjigongson 29 күн бұрын
지하철역에 승강장이 섬식, 상대식 두종류로 설치되는게 궁금했었는데 넘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쏙쏙 되었어요. 특히 섬식 승강장이 개찰구 입구 구분 필요없는 등 장점이 많다고 생각했는데 공사공정이나 확장성 등 단점도 꽤 있다는걸 이제 알았네요.
@user-vw7lr4ih7e
@user-vw7lr4ih7e Ай бұрын
-그래서 1호선 신차들은 내리는 곳에 혼돈을 주기 위해 출입문 양쪽이란 걸 표시하기로 했어요-
@user-el7jz5qv8g
@user-el7jz5qv8g Ай бұрын
인천2호선,대구3호선:모두 오른쪽문 1:02 일부 환승역은,환승통로를 통과해야 반대편으로 건널 수 있습니다. (부산의 경우 서면역,덕천역,연산역) 6:40 신도림역의 완행 승강장 확장은 치도리(千鳥)식으로 만들었습니다. 7:49 대전1호선 시종착하는 판암역,반석역만 2면 3선식입니다. (중앙로역은 만들때부터 외대역처럼)
@user-qk3ox4jf5h
@user-qk3ox4jf5h Ай бұрын
좋은정보군요
@regular_pentagon
@regular_pentagon 25 күн бұрын
부산은 다 오른쪽문 열리는데 역이 양쪽에 있는데도 동해선만 왼쪽문 열려서 살짝 불편함…
@user-zy3nm6xj7y
@user-zy3nm6xj7y 3 күн бұрын
20년 넘게 7호선 노원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 영상 보기 전에도 이 영상 주제와 관련된 7호선의 고민거리가 있는데 그건 바로 섬식 승강장이 처음과 끝에만 몰려있다는 점입니다. (공릉역~ 천왕역 구간 섬식 승강장 단 2곳) 이게 정말 불편한 이유가 출퇴근 시간 같은 혼잡도가 절정일 때 계속 상대식 승강장이어서 한 쪽문만 열리니 열차 내 승객 간의 승하차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서 불편합니다. 지리적으로 7호선 구간은 섬식 승강장에 적합하지 않아서 그런 건가요?? 이 때문에 출퇴근 할 때마다 오른쪽 왼쪽 골고루 열리는 3~6호선역 근처로 이사가고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yeseulsweet
@yeseulsweet 22 күн бұрын
너무 신기하고 재밌어요
@user-wp7tx3kt7l
@user-wp7tx3kt7l 21 күн бұрын
병점,오산역은 계단,엘리베이터만 있습니다 수원역은계단,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3개 다 있습니다
@user-ml4fi5fw8h
@user-ml4fi5fw8h 28 күн бұрын
2면 3선 승강장은 종착역일때 가운데 선로에 종착해서 양 출입문 여는 방식으로 하면 괜찮을텐데 말이죠 ㅋㅋㅋㅋ
@user-bn3iw2cn3e
@user-bn3iw2cn3e 27 күн бұрын
1. 고속철로에는 왜 광역전철을 못 설치하고 일반철도에만 하는 지도 좀 부탁드려요 2. 일반열차하고 ktx하고 같은 거리를 갈 때 연비? 전성비? 차이도 좀 알려주세요
@gurorapid
@gurorapid 23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시속 300km 급 열차가 다니는 곳에 속도가 느린 일반열차를 투입시키는 것은 좀 그렇겠죠..?
@user-bn3iw2cn3e
@user-bn3iw2cn3e 23 күн бұрын
@@gurorapid ktx급 열차를 전철로 쓰기엔 열차가 비싸서 그럴까요?
@cyanogen03
@cyanogen03 21 күн бұрын
⁠@@user-bn3iw2cn3e 모든 교통시설은 이동성(Mobility)과 접근성(Accessibility)이라는 특성을 갖는데, 이 둘은 상충되는 개념입니다. (체크포인트가 많아지면 당연히 그만큼 표정속도가 줄어들겠죠?) 지하철은 접근성을 최대로, 고속열차는 이동성을 최대로 하기 때문에 성격이 완전히 반대됩니다. 물론 최근에는 고속선인 수평선에서 운행하는 지하철(GTX A선)도 있습니다만, 이는 일반 지하철에 비해 이동성을 월등히 높인 것으로 따라서 요금도 일반 지하철보다 비쌉니다.
@user-bp5yr1bx8o
@user-bp5yr1bx8o 26 күн бұрын
경의선이랑 경춘선에선 맨날 있는일 "우리 열차는 도착선 변경으로.. 하면서 방향 확 바껴버림"
@cyanogen03
@cyanogen03 21 күн бұрын
2복선 쌍섬식 승강장인데 상급열차 추월대피 때만 대피선으로 들어가서…
@user-qh6ej3gg7n
@user-qh6ej3gg7n Ай бұрын
아현은 다르죠 아현은 상대식인데도 상대식이였죠 그이유는 아현역 건설당시에는 아현역 위에는 아현고가도로가 있었죠
@Coweol
@Coweol Ай бұрын
​​@IvaDesolad 이 시빌놈이 여긴 철도라고 기차길에서 뭐하냐고
@TVU_Video
@TVU_Video Ай бұрын
아현고가도로가 붕괴되지 않도록 선로와 선로 사이에 벽으로 가로막은 경우죠. 왜 상대식을 택했는 지는 모르겠지만...
@utaker502
@utaker502 Ай бұрын
상대식인데도 상대식이었죠는 무슨 소리죠
@Gyodong
@Gyodong Ай бұрын
'상대식인데도 상대식' ? 무슨 말씀이죠?
@Gyodong
@Gyodong Ай бұрын
혹시 '상대식인데도 섬식 같죠' 라는 말씀 아닌가요?
@hyunyk
@hyunyk 29 күн бұрын
가끔 정말 붐비는 역에 가면 차량이 가운데 들어오고 양쪽으로 내리고 탈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었어요. 졸거나 사람에 밀려서 한 정거장 더 오거나 방향을 착각해 반대로 잘못 탄경우 가운대로 내려서 편하게 반대쪽으로 환승도 하고...
@boodleboodlehooduldul
@boodleboodlehooduldul Ай бұрын
9호선&공항철도 김포공항역 케이스도 넣어주실줄 알았는데, 그건 빠졌네요 ㅎ
@user-wp7tx3kt7l
@user-wp7tx3kt7l 21 күн бұрын
1호선 병점,오산,수원역은 전철(열차가) 오른쪽,왼쪽에 정차하는경우가 있습니다
@i.d.p.1623
@i.d.p.1623 29 күн бұрын
지상 구간 중에서 1호선 화서역은 지금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라서 문이 좌측에 열리지만, 역 구내에는 지금은 폐쇄되어 쓰지 않는 섬식승강장이 하나 있죠. 이 승강장이 쓰일 때에는 문이 우측으로 열렸지만, 1980년대에 선로 복복선화인지 뭐를 하면서 지금과 같은 상대식승강장을 만들고 난 이후부터는 더 이상 쓰지 않죠. 혹시 화서역과 같은 사례가 더 있을까요?
@mashrabbit
@mashrabbit 29 күн бұрын
구일역 알아보세요. 복복선화 이전에 쓰던 승강장은 급행통과선이 되어 사실상 못 들어가는 시간이 대부분입니다. 다만 화서역과 달리 가끔 쓰이는데, 기지입출고선이 연결되어 있어 구일역까지만 운행하거나 시발 열차이면 이 승강장을 씁니다.
@stepan2k_history
@stepan2k_history 26 күн бұрын
3:24 아현역도 당시 아현고가차도가 있을 때 만든 역이라서 상대식 승강장임에도 불구하고 두 방향 사이에 공간이 비어 있죠. 그 가운데에 고가도로 교각이 있어서 땅을 팔 수가 없었다고... 물론 지금은 고가도로를 헐었지만요. 5:33 섬식 승강장으로 만들었다가 최고로 낭패를 본 역 중의 하나는 신도림역인 것 같아요. 2호선 본선이 섬식 승강장이라서 더욱 헬게이트가 되어 버린 역... 성수역처럼 쌍섬식으로 만들었으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네요. 7:30 방화역, 상일동역, 봉화산역, 온수역 등은 가운데에서 한 쪽 문을 열어서 열차 운행을 마치고 승객들을 내보낸 다음, 바로 반대 방향 문을 열어서 돌아가는 승객을 받는 구조였죠. 방화역과 봉화산역은 차고지를 갈 때 양 끝 선로를 이용하고 상일동역과 온수역은 추가 연장 노선을 운행하는 열차들이 양 끝 선로를 쓰고 있죠. ※ 번외 : 김포공항역의 지하3층 9호선 동쪽 방향 타는 곳은 지금은 공항철도와 바로 평면환승이 되는 쪽 문만 열고 있는데, 아직 쓰고 있지 않는 반대쪽 타는 곳의 문을 동시에 열 수 있는 구조라고 하죠. 나중에 공항철도와 9호선 직결 운행이 되면 동선 분산 차원에서 쓰겠다고는 하는데, 언제 쓸지를 모르겠어요. 아마 9호선 열차들 중 개화역 차고지로 안 가고 김포공항역까지만 운행했다가 바로 다시 운행할 열차들이 생기면 쓸 듯... ㅋㅋ
@Colors_MINJONG92
@Colors_MINJONG92 Ай бұрын
양쪽 다 열리는 역에서 한번에 양쪽이 다 열리면 재밌을거 같기도하네요
@tv-rt8qh
@tv-rt8qh Ай бұрын
일부러 섬식으로 만든 것도 또 있는데, 만덕역이 무려 지하9층에 있어서 섬식으로 지어졌습니다. 또 굵은 기둥도 많습니다.
@Ycmjg37143
@Ycmjg37143 Ай бұрын
4호선 남태령역은 어쩔 수 없이 섬식승강장이 된 케이스에요. 오이도에서 선바위까지는 코레일 관할이라 좌측통행이고 남태령부터 진접까지는 서울교통공사 관할이라 우측통행입니다. 근데 꽈배기굴이 시작되는 선바위역이 상대식 승강장인데다가 꽈배기굴이 사구간이라 전기가 통하지 않고 관성으로 운영하는 구간인데 곡선이거든요. 그러다보니 남태령역을 상대식으로 만드는 것보다 섬식으로 만드는 게 효율적인데다 사고날 확률을 줄일 수 있어서 섬식승강장이 된 거라고 합니다. 그리고 5호선의 경우 하남본선 상행선과 마천지선 상행선이 강동역 이후에 합류되기에 강동역도 2면 3선 승강장이 됩니다. 상행 2선, 하행 1선입니다.
@L_ys
@L_ys 29 күн бұрын
남태령역에 대한 재미있는 사실이 있는데, 승강장의 구조가 코레일 관할구간(예 : 과천선, 분당선)에서 볼 수 있는 역명판 띠가 천장쪽에 있는 특이한 형태이죠. 원래 남태령역은 과천선이 금정~사당 구간으로 계획되어 코레일(당시 철도청)이 설계하고 시공하였으나, 완공 이후 서울시에 양도하게 되고, 이에 현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지하철공사)의 관할이 되면서, 분명히 서울교통공사 관할이지만, 코레일 느낌이 나는 기묘한 역이 되었죠.
@user-yk5dk2zk4e
@user-yk5dk2zk4e Ай бұрын
5:07 반대로 왼쪽 사이 오른쪽의 사례는 5호선 애오개역이 대표적인데 유독 애오개역만 상대식으로 지어진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했는데 이걸로 해결이 되었습니다.
@somangpiano
@somangpiano Ай бұрын
오...상대식을 쓰는 이유가 있었네요 역시 흥미로운 지하철
@user-uu9jv1rh9t
@user-uu9jv1rh9t Ай бұрын
대구의 안심역은 안심하세요~
@insanesceptor
@insanesceptor Ай бұрын
실제로 그 의미 맞습니다. 안심동의 이름은 태조 왕건이 팔공산에서 견훤과 공산 전투를 치르고 패배한 뒤에 도망치는 과정에서 안심까지 도달한 후, 여기까지 왔으니 "안심"이다... 라고 불러서 생긴 지명입니다.
@jimin_sosin5-4bus
@jimin_sosin5-4bus 10 күн бұрын
1. 신분당선: 논현역빼고 다 왼쪽으로 열림 2. 서해선: 일산역빼고 다 왼쪽으로 열림 3. 경강선: 여주역빼고 다 왼쪽으로 열림 4. 8호선: 복정역빼고 다 오른쪽으로 열림 5. 4호선: 코레일 구간인 금정역빼고 다 왼쪽으로 열림 6. 인천2호선: 전구간 오른쪽으로 열림 7. 신림선: 전구간 오른쪽으로 열림 8. 우이신설선: 전구간 오른쪽으로 열림 9. 김포골드라인: 구래역빼고 다 오른쪽으로 열림 10. 1호선: 종로선의 서울역, 청량리역빼고 다 왼쪽으로 열림 11. 2호선: 신정지선의 까치산역빼고 다 오른쪽으로 열림, 성수지선의 성수역빼고 다 오른쪽으로 열림 12. GTX-A: 수서역, 동탄역빼고 왼쪽으로 열림 13. 공항철도: 서울역과, 인천공항T2역이 양쪽으로 열림 14. 1호선: 경인선의 완행열차가 구일역빼고 다 오른쪽으로 열림(다를 수 있음) 15. 1호선: 장항선이 천안역과 천안아산역빼고 다 왼쪽으로 열림 16. 경의중앙선: 파주역에서 탄현역까지 8연속이나 왼쪽으로 열리고, 중랑역에서 지평역까지 19연속이나 왼쪽으로 열림
@jpos2480
@jpos2480 Ай бұрын
외대앞역 처럼 김포공항역도 그렇게 돼있지않나요?
@Gyodong
@Gyodong 20 күн бұрын
1. 2:09 ~ 2:14 2. 4:00 ~ 4:24 이래서 대구광역시는 '상대식 승강장' 과 '섬식 승강장' 을 대표하는 노선들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타이틀이 있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ㅎㅎ!
@AdrianWChung
@AdrianWChung 16 күн бұрын
아... 어릴적에 지하철 타고 다니면서 삼성역, 서울대입구역 같이 한때 종점이었던 역은 왼쪽이 열리더라... 라는 가설을 세우고 있었는데, 그게 회차선때문이었군요. ^^
@user-ky8vz2sh2v
@user-ky8vz2sh2v 24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지하철 안내방송 중에 한국어 - 영어 방송은 기본으로 다 나오는데 중국어 일본어가 나오는역이 있고 안나오는역이 있는데 기준이 뭔지 궁금하네요
@gurorapid
@gurorapid 23 күн бұрын
보통은 외국인들이 많이 찾을법한 곳 위주 같아요. 코레일은 기차역 위주이구요!
@koreabusan777
@koreabusan777 Ай бұрын
부산에도 오른쪽 왼쪽 열리는 역 도 있습니다
@wub2ggwu
@wub2ggwu Ай бұрын
호포역?
@koreabusan777
@koreabusan777 Ай бұрын
@@wub2ggwu 예스
@ianoptics72
@ianoptics72 24 күн бұрын
외대역은 휘경역이던 1980년대에도 저런 식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이용객이 많아서 그렇게 지었는지는 의문인데요. 언제 확장이 되었나요?
@gurorapid
@gurorapid 23 күн бұрын
1980년대이기는 한데 정확한 시점은 모르겠네요😢
@hee-jungpark9939
@hee-jungpark9939 27 күн бұрын
그러고 보니 2면 4선식은 많지가 않네요. 전 성수역 밖에 생각이 안 나네요
@cyanogen03
@cyanogen03 21 күн бұрын
코레일 노선 들어가면 많습니다
@JhyunCho
@JhyunCho Ай бұрын
3호선 도곡역이랑 대치역 사이에도 회차선이 있는데 신기하게 도곡역은 상대식이던데 이게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HJ-sl8ed
@HJ-sl8ed Ай бұрын
도곡역은 분당선 환승이 예정되어 있었기에 혼잡 우려로 상대식으로 지었습니다. 대신 대치역이 섬식이죠? 비슷한 예로 7호선 신풍역과 보라매역이 있습니다. 당시 보라매역은 환승 계획이 없었지만 신풍역은 10호선이 들어올 예정이었거든요.
@cyanogen03
@cyanogen03 21 күн бұрын
@@HJ-sl8ed 그리고 그 10호선은 신안산선으로 대체되었죠
@user-qx5vg6vi5x
@user-qx5vg6vi5x Ай бұрын
2면 3식 승강장이라고 해도 동시에 모든 문을 열어놓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HJ-sl8ed
@HJ-sl8ed Ай бұрын
청소해야해서요
@user-jw4lc1kv1x
@user-jw4lc1kv1x Ай бұрын
대구2호선의 대부분이 그래서 섬삭이네요
@unh8910
@unh8910 22 күн бұрын
22일 수요일날 1호선 수원역은 심지어 전광판이랑 반대쪽문 열림...ㅋㅋ 사람들 갸우뚱
@bluepants135
@bluepants135 Ай бұрын
이거 섬식승강장 그건가
@yj810104
@yj810104 11 күн бұрын
한쪽만 주구장창 열리면 출입문 수명 때문에 번갈아가면서 열리는 줄 알았습니다. 아니엇네요. ㅎ
@user-eo9yp3lj7x
@user-eo9yp3lj7x 13 күн бұрын
어쩐지 대구2호선은 출구로 나갈 때 길고 멀더라.....
@Minerva908
@Minerva908 29 күн бұрын
웃자고 한 소리중에 섬식 승강장은 기관사가 승강장 반대편 기관실 문을 열어 급한 용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ㅎㅎㅎ 새로지어진 도시철도 섬식 승강장은 그래도 넓이가 넓지만 2호선의 섬식 승강장들은 폭은 좁은데 양쪽으로 열차가 다 도착하면 사람들이 진짜 미친듯이 쏟아져나와서 체증이 엄청나요ㅠㅠ
@user-zh3wi6fe4k
@user-zh3wi6fe4k Ай бұрын
섬식 승강장 중 특히 서울 2호선 홍대입구역, 삼성역,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등의 경우 승강장 폭이 양 끝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설계되어있는데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user-vw7lr4ih7e
@user-vw7lr4ih7e Ай бұрын
주관적인 의견이지만 공사가 어려웠던 곳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제한된 공간에서 승강장을 만들어야 했을테니 말입니다.
@HJ-sl8ed
@HJ-sl8ed Ай бұрын
영상에 소개되었듯 섬식 승강장 이후 선로가 합쳐지기까지 버려지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승강장 끝부분이 좁아지도록 지어졌을거라고 추측합니다.
@mashrabbit
@mashrabbit 29 күн бұрын
선로 사이를 띄울 이유가 없는 쪽은 다시 두 선로가 같은 터널로 버려지는 공간을 최소화해서 빨리 합쳐져야 하니까요.
@user-zh3wi6fe4k
@user-zh3wi6fe4k 23 күн бұрын
아하! 그렇군요!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
@its_me_wongyu
@its_me_wongyu Ай бұрын
02:30 상대식은 터널 1개, 섬식은 터널 2개라는 개념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요~ 승강장 형태에 관계없이 터널은 하나만 있는 것 같아서요~
@mashrabbit
@mashrabbit 29 күн бұрын
섬식 승강장이 끝나고 열차가 달리기 시작하면 두 선로가 따로따로인 쌍굴을 한동안 달리다가 다시 합쳐져서 상대식 역에 들어가거나, 합쳐지지 않고 두 터널인 채로 다음 섬식 승강장 역에 들어가게 됩니다.
@user-id8lz4xp4u
@user-id8lz4xp4u Ай бұрын
👍
@user-kr9yt5tm9r
@user-kr9yt5tm9r Ай бұрын
썸네일보고 처음으로 본인 등장하는 줄
@_esai
@_esai Ай бұрын
7호선 청담역은 회차하는 역도 아닌데 왜 2면3선식으로 되어있나요?
@user-ln3hl9fc1r
@user-ln3hl9fc1r Ай бұрын
일부 열차가 종착하거나 주박(막차 운행이 끝나고 다음날 첫차 운행이 시작될 때까지 차를 세워둠) 용도인 것 같습니다.
@wreocul2192
@wreocul2192 Ай бұрын
막차시간 청담행이 주박하는 용도입니다
@HJ-sl8ed
@HJ-sl8ed Ай бұрын
청담대교 공사가 늦어져서 한동안 건대입구~청담 구간 연결이 안될걸로 보고 온수~청담 구간을 따로 굴릴 계획이었는데 의외로 빨리 지어져서 그렇게 되었다네요.
@mashrabbit
@mashrabbit 29 күн бұрын
청담역 직후 바로 커브 돌아 한강으로 나오고 8량 열차 회차선을 만들기에 좋은 평평하며 충분히 긴 거리가 나오지 않습니다. 임시든 막차 시간용이든 강남에서 열차를 되돌리는 설비로 지금처럼 만드는 게 최선입니다.
@gurorapid
@gurorapid 23 күн бұрын
답글에 답이 있네요! 원래 청담대교 건설이 늦게 될 것을 대비해 한동안 시종착역으로 계획되었다 합니다.
@lilliliilillll
@lilliliilillll Ай бұрын
섬식으로 다른노선 환승이 가능하게 해야함
@user-ln3hl9fc1r
@user-ln3hl9fc1r Ай бұрын
이제 8월이면 8호선 연장선 별내선이 개통하는데 그럼 8호선 혼잡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러면 8호선 열차를 기존 6량에서 8량으로 증량해야 되는데 상대식 승강장이면 6량 기준인 승강장 길이를 8량으로 확장하는 공사를 해야 할 수도 있겠네요. 상대식이면 승강장 길이를 늘리기 수월하지만 섬식이면 승강장 길이를 늘리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8호선은 다행이 복정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상대식이고 앞으로 개통될 별내선도 모든 역이 상대식이라 승강장 길이를 8량으로 늘리기 수월할 것이고 섬식인 복정역도 아래층의 분당선이 10량 길이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승강장 길이를 8량으로 늘리기 수월할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별내선 개통되면 승강장 길이를 8량으로 늘려서 8호선 열차를 8량으로 운행하면 좋겠습니다만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user-ln3hl9fc1r
@user-ln3hl9fc1r Ай бұрын
아니면 승강장 길이를 확장하는 공사를 하지 않고 8호선 열차를 8량으로 증량한 후 맨 앞칸과 맨 뒤칸은 문이 안열리게 하고 '맨 앞칸과 맨 뒤칸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칸으로 이동하여 하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방송을 하는 건 어떤가요? 이건 5,6,7호선이 10량으로 증량했을 때 8량 기준인 승강장 길이를 확장하지 않아도 되고, 1,2,3,4호선이 12량으로 증량했을 때 10량 기준인 승강장 길이를 확장하지 않아도 되서 좋은 방법이라 생각했는데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ㅎㅎ
@user-generated5123
@user-generated5123 Ай бұрын
​@@user-ln3hl9fc1r 한국에서 그러면 민원폭탄 날라와요 지들이 못듣고 갑질하는 미개토인들
@user-xk8oq5ec7i
@user-xk8oq5ec7i Ай бұрын
그렇게되면 빌런이 길막할경우 싸움날수도있겠네요..그리고 8량으로 할려면 열차를 더 사와야하는데 그 비용도 만만치않을뿐더러 안전규격문제도 있겠죠(별내선 개통지연이 여기서 나옴).
@Ycmjg37143
@Ycmjg37143 23 күн бұрын
근데 8호선은 지하역사라 증량공사하기 힘듭니다.
@cyanogen03
@cyanogen03 21 күн бұрын
@@user-ln3hl9fc1r 이미 인천공항1터미널 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user-ex1ip3uw1o
@user-ex1ip3uw1o Ай бұрын
삼성역 불편해…ㅜㅜㅜ😂
@f_min
@f_min 21 күн бұрын
삼성역 헬게이트 되는 건가 ㄷㄷ
@Gyodong
@Gyodong Ай бұрын
2:09 ~ 2:14 이거 언급하는 댓글 달으려고 했는데, 소개해주셨네요.
@user-cv9jj7hd5d
@user-cv9jj7hd5d Ай бұрын
예전에 이영상 본것 같은데?
@YDSnim
@YDSnim Ай бұрын
처음인데요
@SPRITELEFT
@SPRITELEFT Ай бұрын
@@YDSnim 리메이크형식으로 올라온거같음
@YDSnim
@YDSnim Ай бұрын
​@SPRITELEFT 처음보는건데
@YDSnim
@YDSnim Ай бұрын
​@user-tjwns처음보는건데요
@SPRITELEFT
@SPRITELEFT Ай бұрын
@user-tjwns 영상을 지우신거같음
@Ping_to_tv
@Ping_to_tv Ай бұрын
gtx a 는 좌측통행 아닌가요
@gurorapid
@gurorapid 23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Ycmjg37143
@Ycmjg37143 23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다만 (주)SR과 서울교통공사가 같이 참여했으나 (주)SR이 유지보수 권한이 없고 그러니 운영을 포기하고 서울교통공사가 단독으로 운영하기로 결정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가 GTX-A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물론 통합역사인 동탄역만 (주)SR이 운영합니다
@pujols2004
@pujols2004 29 күн бұрын
8:03 이렇게 실제로 사용하는곳이 인천공항에서 제2터미널갈때 사용하져ㅋ좋은정보 감사합니다
@seungjun481
@seungjun481 28 күн бұрын
광주 도시철도 3호선 계획중인거 다뤄주세요!
@yhjang2804
@yhjang2804 8 күн бұрын
당연히 양쪽에 있어야징
@secondcarrier5061
@secondcarrier506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멋진 영상 잘 봤습니다👍 저희는 모바일 스탬프를 수집할 수 있는 앱을 운영하는 세컨캐리어 팀인데요, 지하철 2호선의 스탬프를 모두 모으면 완주를 기념할 수 있는 승차권 굿즈와 티머니 교통카드를 드리고 있어요 ㅎㅎ 관심있으시다면 지하철 여행하시면서 교통카드 스티커도 수집해 보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YDSnim
@YDSnim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SPRITELEFT
@SPRITELEFT Ай бұрын
인천 지하철2호선은 모든역이 오른쪽인이유좀 알려주셉요
@kairoskdy
@kairoskdy Ай бұрын
삼성은 섬식 아닌가요?
@user-qy3ff6je8d
@user-qy3ff6je8d Ай бұрын
신림부터 낙성대까지 섬식 아닌가요??😊
@user-mt9ni4vj7h
@user-mt9ni4vj7h Ай бұрын
신도림도 섬식 아닌가요?
@TypoFoundry
@TypoFoundry Ай бұрын
홍대입구역 왼쪽임다!!
@-lugianhs4786
@-lugianhs4786 Ай бұрын
@@user-qy3ff6je8d낙성대역은 상대식승강장이고, 나머지 서울대입구, 봉천, 신림은 섬식승강장 입니다.
@YDSnim
@YDSnim Ай бұрын
오~ 1빠 2연승이네
@Daejeon_is_U
@Daejeon_is_U Ай бұрын
🎉
@user-ow2xx2lt9i
@user-ow2xx2lt9i Ай бұрын
6:34 외대앞역의 승강장과 선로 그림이 한칸씩 밀렸네요 그리고 지하철 어플에선 외대앞역의 출입문은 양쪽 이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인천방향은 오른쪽문이 열리고 의정부 방향은 왼쪽문이 열립니다. ------------------------------▷---------------▷------------------------------------------------- ---------------------------------------------------------------------------------------------------- 인천방향 승강장 --------------------------------------------------------------------------------------------------- -------------------------◁---------------------◁-------------------------------------------- ------------------------------------------------------------------------------------------------ 의정부방면 승강장 ------------------------------------------------------------------------------------------------
반세기 동안 무서운 기세로 확장중인 것
9:08
역쟁이TV
Рет қаралды 51 М.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10년 넘게 1위, 강남역 이를 쟁탈하려는 어느 역
10:44
역이 너무 외곽에 있는 짜증 유발역들
8:58
역쟁이TV
Рет қаралды 145 М.
인천에서 잠들었는데 눈 떠보니 경기도 연천?
7:25
역쟁이TV
Рет қаралды 229 М.
출입금지된 지하철역이 만들어진 이유|크랩
4:12
크랩 KLAB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