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없이 남들과 잘지내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이것' (정우열 원장)

  Рет қаралды 231,247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Жыл бұрын

「 오늘의 인물설명
생각과느낌의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우열 원장
-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회원
- 부부가족치료연구회 회원
- 전 순천향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 전 유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정
저서 『힘들어도 사람한테 너무 기대지 마세요』 등 」
■ 놀심 온라인 클래스
ㆍ어딜가나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심리 커뮤니케이션
[클래스101] 강의구성 보러가기
class101.app/e/psyup-class
ㆍ인터뷰 및 문의
nolsimpsy@gmail.com

Пікірлер: 209
@jungwooyul
@jungwooyul Жыл бұрын
한마디 한마디 경청해주고 적시에 적절한 질문 해주셔서 편한 마음으로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시청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되시면 좋겠습니다🙏
@Sigma-Male017
@Sigma-Male017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저도 가진게 없는 일반인인데 전 오히려, 독립심이 커서 상대방의 태도가 조금이라도 부정적이면 바로 손절하고 이래서 손절, 저래서 손절 다 관계를 차단하니까 이제 주변에 남은친구 아무도 없는데 이런성격은 우째해야 하나요? 항상 너 아니어도 그만이라는 마인드, 니가 그렇게 잘났어? 라는 마인드가 항상 존재하는데 어쩌죠 이런 성격은....
@user-ob5dm3xp7e
@user-ob5dm3xp7e Жыл бұрын
@@Sigma-Male017 친구 없어도 세상 사는데 아무 문제 없어요
@Sigma-Male017
@Sigma-Male017 Жыл бұрын
@@user-ob5dm3xp7e 심심하고 따분하고 중고등 시절 컴퓨터 게임으로, 무료함 보냈는데 나이30먹고 보니 게임도 질리고 벌써7~80데 노인마냥 공원에서 지나다니는 사람 구경이나 해야될 정도로 재미가 없네요 그리고 자기객관화 해서 보면 솔직히 저도 가진거 하나없는 별거 없는 일반인인데 항상 내가 너보다 못한게 뭐야 라는 한편의 피해의식? 상대방이 좀만 선 넘어도 개선보다는 손절을 선택하는 극단적 행동과 판단이 제 삶을 궁핍하게 하고 있는거 같아요 경제가 아닌 정신적인 궁핍
@clair07
@clair07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 받구 있어요... 감사합니다 😊
@user-yp1np8xw1b
@user-yp1np8xw1b Жыл бұрын
정우열 원장님 진짜 고맙습니다… 그동안 모르고 왜그런걸까 고통스럽게 살았는데 정답을 찾았습니다
@granmama3920
@granmama3920 Жыл бұрын
잘보이려고 하니까 오히려 거짓으로 포장하게되고 나 자신을 잃게되길래... 그냥 피해 안주는선에서 마이웨이로 사니까 마음에 여유가 생기고 스트레스도 그전보다 덜받더군요 남들과 잘 지내려고 할수록 내가 망가짐ㅋㅋㅋㅋㅋㅋ
@user-xk2jx2bk1r
@user-xk2jx2bk1r Жыл бұрын
따로만나 밥먹고 술먹고 놀러가고 그럴정도로 친해지고싶은건 잘지내고싶은게 아니라 깊은사이,친구사이,연인사이가 되고싶은겁니다. 진짜 그냥 말그대로 잘지낸다는 것은 상대방과 트러블없이 마주치면 인사하고 볼 일 끝나면 각자 갈길 가는 그런 관계인거예요
@metrocore13
@metrocore13 8 ай бұрын
제 고민이 이거였어요 완전 정확한 고민인데 아직도 답을 못찾겠어요 인간관계가 너무 어렵습니다 그저 사회생활, 친구관계 이런건 쉬운데 그 이상으로 깊이 있게 나아가질 못해요.
@son9291
@son9291 Жыл бұрын
호구를 떠나서 내가 상대를 편하게(선을 지키면서 함부로)대하는 만큼 상대방도 편안함을 느낍니다. 당연히 동등한 관계의 편안한 상대와 친해지고 불편한 사람과 멀어지고 그렇죠. 사람마다 선이 다르긴 하지만 선만 지키면서 내가 주관대로 하는 게 제일 좋습니다. 상대한테 맞춰주면서 너무 신경쓰면 호구를 떠나서 서로 불편합니다.
@user-ci9sv6qz3p
@user-ci9sv6qz3p 7 ай бұрын
이걸 모르겠어요
@user-it8zn8mo2i
@user-it8zn8mo2i Жыл бұрын
상대에게 잘 보이고 싶다 ? 인정받고 싶다?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ㅋ 그렇게 피곤하게 살 필요있을까 싶다 나 하고 싶은데로 내 바이브대로 지내다보면 알아서 자연히 만나게 될텐데 아니면 말지 뭐 ㅋㅋㅋ
@jeong_1851
@jeong_1851 Жыл бұрын
저는 저를 챙겨주는 사람만나면 보호해주고 싶고 잘해주고 싶은 마음만 들던데.. 호구잡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는 말씀이 너무 충격적이에요ㅠㅠ
@Idontcare-ly7cn
@Idontcare-ly7cn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그런데 그게또사실이란 불편한진실
@user-vc3en7qy8f
@user-vc3en7qy8f Жыл бұрын
크게 동감합니다. 너무 슬프네요. 부질없는 인생사 ㅡㅡㅡㅡㅡㅡㅡ 잘 지내보고자 인정받고싶어 다 퍼주고 마음아파하는게 바로 저에요....... 그래서 이런 이야기에 상처받으면서 또 주고 후회하고 눈물흘리네요
@jeong_1851
@jeong_1851 Жыл бұрын
네~ 남을 호구로 만드는 사람들 입장에선 편하다보니 본의 아니게 그런걸테고 그게 서운해서 문제가 발생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처음에 사람 파악하고 "호구잡고 싶은 마음" 이 든다는 것에 너무 놀랐어요 근데 저희 할머니도, 엄마도 정이 많아서 남 잘챙기시는데 누가 호구로 본다기보단 보답을 잘 받으시더라구요 인간관계에 정해진 답이 있는 건 아닐꺼에요~
@user-vc3en7qy8f
@user-vc3en7qy8f Жыл бұрын
@@jeong_1851 어머낫,..제가 듣고싶은말이에요, 복짓는 마음에서 저희엄마도 놀이터에 놀고 있는 저만 부르지않고 모르는 아이들도 불러서 아이스크림 물려서 집에 보냈는데.. 그런맘으로 살짝 베풀겠습니다. 역시나 내공이 깊으시네요.
@steampunk329
@steampunk329 Жыл бұрын
모든 사람이 착한 건 아니니까요. 그냥 그런 사람도 있다는 걸 알고 접근하시면 똑같이 베풀며 살아도 덜 상처받을 것 같아요. 돌려받기는커녕 해코지 당할 수도 있다는 걸 미리 알고 내가 행동한다는 점이 중요한 것 같아요 어린 아이처럼 아예 모르고 하는 것보다.
@user-pl4tu3hh5i
@user-pl4tu3hh5i Жыл бұрын
내 삶의 중심과 기준을 확실히 해놓고, 인생을 재밌게 살고, 다른 사람들한테는 예의 바른 모습정도만 딱 보이면 저절로 나와 맞는 사람들이 주변에 모여요 조금씩 조금씩 물들듯이 친해지고 또 아니다 싶으면 자연스럽게 거리두면서 멀어지고 그렇게 내 주변에 사람들이 왔다갔다 하는 거죠 누군가 다른 사람들한테 일부러 친해지려고, 잘 보이려고, 인맥 쌓으려고 애쓰는 모습 보이면 부담스럽고, 불편하죠
@user-dz6qg3yu1k
@user-dz6qg3yu1k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들 감사드립니다 :) 저도 예전엔 의존성이 높은 사람이었는데, 정우열선생님 말처럼 타인들이 나를 아무리 괜찮다해도 결국 내 스스로가 나를 괜찮지 않다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면 밑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제가 예전보다 현재 높은 독립성을 가지게 된 방법을 말씀드리면 그때그때 내 감정과 마음에 집중을 하고 내가 마음이 가는대로 해보는 거였어요. 정말 작은거라도 ‘ 지금 나는 물을 마시고 싶어. 지금 나는 이걸 하고 싶지 않아. ‘ 라고 마음이 든다면, 실제로 그렇게 행동하고 그게 쌓이다보니 오히려 마음이 편안해지고 다른사람 눈치를 많이 보지 않게 된 것 같아요. 오히려 그런게 습관이 되다보니 사람들 앞에서도 내 감정에 충실해지다보니 내 한계를 알게 되고 타인에게 정중한 거절도 잘 할 수 있게 됐어요! 그러다 보니 너무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하는 사람이 돼 버려서 이제는 조금 세련되고 상대방이 너무 상처받지 않게 배려하면서 표현하는 법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 같아요🤣
@user-qb4kb7ms7q
@user-qb4kb7ms7q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tojagga
@tojagga Жыл бұрын
저랑 똑같은 입장이시네요!!! 저도 이제는 상대방이 상처받지않게 말하는법을 연구중이에요•••
@user-gd3ye7eu7s
@user-gd3ye7eu7s Жыл бұрын
좋은 경험을 나눠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user-jm8ie7fe5k
@user-jm8ie7fe5k Жыл бұрын
부럽다
@user-dx3dt5zz5k
@user-dx3dt5zz5k Жыл бұрын
결국 인간관계는 고슴도치와 고슴도치의 관계와 비슷한 거 같아요... 너무 상대방에게 가까이 가려고 하면 상대의 가시에 찔리게 되고 상처 받게 되죠 사람들과 잘 지내려면 내 자신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가시의 길이 만큼 거리가 있어야 되고 자율성 독립성을 계속 키워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cashewnut1951
@cashewnut1951 Жыл бұрын
@@________________o 제일 마지막에 남을 찌를 수도 자신을 찌를 수도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을 지칭하는 걸까요?
@cashewnut1951
@cashewnut1951 Жыл бұрын
@@________________o 아네 제생각도 그래요ㅋㅋ 감사합니다
@saltguy
@saltguy Жыл бұрын
의존하다가 한번 아파보면 독립성을 갖게 되더라구요…!
@Awesome-im1sf
@Awesome-im1sf Жыл бұрын
사실 상대하고 잘지내길 바라면 좋게 좋게 하다보니 상대의 무례함까지 그저 받아주거나 흘리는데 그러다보면 언제부턴가 만만한 사람으로 낙인 찍혀있음 ㄷㄷ 의존성을 자연스럽게 줄어든 케이스인데 확실히 의존성은 너무 과하면 안좋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같으면 절대 전처럼 언행하지 않을거에요 그렇게 했을때 부정적인 답이 나와서 다신 경험하고싶지 않더라고요
@kimmina9079
@kimmina9079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진짜 잘해주면 호구잡힘..ㅋ
@user-ye3dm8bs9w
@user-ye3dm8bs9w Жыл бұрын
알바한테 잘해주고 싶어서 머 하나라도 더 주고 그랬는데 절 호구취급하더라구요‥배려를 권리로착각‥전 그냥 잘 해주고 싶어서 상대방 입장을 너무 생각만하고‥그러니 ㅜㅜ
@jasonruby9244
@jasonruby9244 Жыл бұрын
저는 의존성이 적다고 생각했어요. 알바비로 내 생활비 쓰고, 하고싶은건 무슨 일이 있어도 하고 그랬는데, 돌이켜보면 정말 기본적인 부분에서 자기 확신이 정말 없는 편이에요. 14:45 부분을 듣다 생각나서 쓰는데, 저같은 경우는 제가 겪는 감정을 표현했을때 그게 아니다 라는 식의 거부를 많이 당했던거 같아요. 내가 맵다고 느끼는데 ‘넌 이거보다 매운 다른거 잘먹잖아. 맵다고 말하는건 거짓말이고 핑계야’ 라고 한다던가 내가 배부르다고 느끼는데 ‘그거 착각이야’ 라고 한다던가. 옷이 마음에 들지 않고 딱히 땡기지 않는데 엄마가 계속 ‘아니야 너 이거 잘어울린다’ 라는 소리를 들으면 흔들렸고, 그래서 막상 사놓고 입질 않았어요. 우유를 먹고 물에 씻어놓은 우유곽을 버리는걸 까먹은 적이 있어요. 가족을 부려먹고 싶어서 안치운게 아니라 정말 까먹은건데, 이거 나 엿먹으라고 그러는거냐고 그런적도 많았어요. 아니라고 해도 믿질 않고. 전적으로 제 말을 신뢰하지 않으시더군요. 제 감정의 표출에 대해 계속 검수 아닌 검수를 받다 보니, 제 자신이 뭘 좋아하고 싫어하는지에 대한 확신조차 없었던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px1ku9wh8y
@user-px1ku9wh8y Жыл бұрын
내가 그렇다는 걸 알아차리고, 그것이 무엇으로부터 비롯되었는지 가늠하게 되었다는 것. 그때는 어쩌지 못하고 감내해야했던 것들이 꽤나 부당했고 내가 나다울 수 없도록 옭아매왔다는 걸 이제는 안다는 것. 자기확신이 없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닌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자기확신이 있으시네요? 멋지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답글 달아요. 애초에 당연한 듯 주어졌다면, 운이 좋거나 팔자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그냥 부럽다 했을꺼에요. 하지만 멋있으시네요.
@Chj_29
@Chj_29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인정받고 사랑받고 싶어서 스스로 호구잡히는 모드로 먼저 행동하는 경향이 저도 있었슴을 오늘 알게되었네요. 마지막에 웃는 인생과 많이 쭉 웃으며 사는 인생중에 전자가 성공한 인생이라 믿고 살아왓는데 살아보니 후자가 더 성공한 인생이라는 어떤 90세 넘은 노인분의 인터뷰가 생각납니다. 어느 방식의 삶이는 불안보다는 자기확신에 기반한 시간이 더 많은 삶을 살다가 가고 싶네요
@MoonTarot-wt1xn
@MoonTarot-wt1xn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nq3zg2vu9v
@user-nq3zg2vu9v Жыл бұрын
좋은 이야기를 듣고 용기를 내어봅니다.😘
@user-tz5db8le2g
@user-tz5db8le2g Жыл бұрын
전 나름 조건없이 상대방에게 잘해주고 있다고 생각하며 살아왔는데 이상하게 사람에게 서운함을 많이 느끼는 요즘에 저의 무의식에 ‘이렇게 하면 날 좋아해주겠지?’ 라는 마음이 깔려있다 라는걸 알게됐어요 이거를 없앤다는게 쉬운건 아니지만…이유가 있다라는걸 아니까 희망이 생기네요 점차 나아지겠죠
@lee8851
@lee8851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bobokk1382
@bobokk1382 Жыл бұрын
완전 제얘기네요 ㅠㅜㅜㅜㅜㅜㅠ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bmkbcnmnvbkkbnb
@bmkbcnmnvbkkbnb Жыл бұрын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이 진짜 삶의 행복에 있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sinamin1103
@sinamin1103 Жыл бұрын
너무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Funhajini
@Funhajini Жыл бұрын
와….진짜 훌륭한 강의입니다 너무나 정확하셔서 큰 도움 됬습니다 최고!!!
@user-ix5ch7th9f
@user-ix5ch7th9f Жыл бұрын
인복을 타고나야 되는거같애요 진정성 1도 없고 이기적인데도 인복많고 정말 진정성 깊고 배려심 많고 멋진 사람도 인복 없더라구요 ㅠ 가식으로 포장된걸 캐치 못하는 사람들이 참 많더라구오ㅡ 딱 보니 알겠더만 !! 에휴
@koko-737
@koko-737 Жыл бұрын
100번 인정. 저 배려심많고 남얘기 엄청 잘들어주고 소위 착함 콤플렉스까지 있는데.. 인복 1도 없어요. 주변에 모여드는 사람들은 나이엄청 많은 할아버지, 할머니 또는 소시오, 나르시스트 성향있는 똥파리들 뿐. 직장동료 인복도 없고 연애도 마찬가지고요. 반대로 이기적이고 별로 인간관계 노력 안하는 직장 동기언니는 모든 동료들이 다 좋아해주고 먼저 찾고, 연애도 잘하고.. 요즘은 이게 현타가 와서 아무도 가까이 안지내고 싶고 어울리고 싶지도 않네요
@tothe4371
@tothe4371 Жыл бұрын
인간 자체가 강약약강이고, 허세부리는 사람에게는 뭔가 있나하고 다가가고, 겸손한 사람에게는 매력을 못 느껴요. 그게 인간입니다. 반면에 겸손한 사람끼리는 또 소극적이라 서로에게 먼저 다가서기 힘들어하죠. 결론은 친구에 대한 환상을 버리는 것이 맘 편합니다.
@koko-737
@koko-737 Жыл бұрын
@@tothe4371 맞말이네요. 주변에 보면 참 신기해요. 남자들도 연애대상 여자를 찾을때 착하고 바른여자보단 성격 사납고 약은 사람한테 매력을 느끼고.. 그건 친구관계에서도 동료관계에서도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약간 성악설을 지지해요. 이기적이고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들이 서로 자석마냥 끌리는것 같네요.
@user-nm7ki3vm6l
@user-nm7ki3vm6l Жыл бұрын
100퍼인정
@Rrrrrrrrrrrrrllllllllllllll
@Rrrrrrrrrrrrrllllllllllllll Жыл бұрын
@@koko-737 그냥 한국이 그런 환경이고 그런 사람들 천지에요. 님이 잘못되서 그런 거 아님
@user-ev2rg7pk7o
@user-ev2rg7pk7o Жыл бұрын
제가 좋아하는 두분이세용 ~!!!
@sa-qo8ij
@sa-qo8ij Жыл бұрын
스스로 결정하고 독립성을 길러야 한다.
@universe_4539
@universe_4539 Жыл бұрын
독립성 자기확신 가지는 연습 -> 감정일기
@user-th7qj3ox3e
@user-th7qj3ox3e Жыл бұрын
다 제 이야기네요 하나부터 열까지 다 공감했어요ㅠㅠ 막막했는데 알려주시는대로 일단 감정일기써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Jenis_Rosen
@Jenis_Rosen Жыл бұрын
회사 동료 생각 나네요 평소에 남을 돕고 배려하는 걸 너무 신경써서 스트레스 받더라구요 그분도 의존성 높은 사람이라하면 도움을 받는쪽 아니냐고, 자신은 남들을 도와주니 의존성 높은 사람 아니라고 믿어요 방향성만 다를 뿐, 타인을 지나치게 의식하니 의존성 높은게 맞는데 말이죠 진짜로 타인에게 도움 주려 했는데 거절 당하면 표정이 팍 죽더라구요 그리고 도움 주는거에 너무 집착합니다 불필요한 행동을 많이 하고 남 도와준다고 자기 업무도 제대로 못 할떄 있구요. 거기다 타인의 말도 타인은 아무 생각 없었고 말이 조금 딱딱했을 뿐인데 자기처럼 예쁘게 말하지 않으면 자신을 무시한다고 꼬아서 생각하더라구요 제가 옆에서 보고 상황을 차분하게 정리해서 그럴 의도가 없었다고 설명해도 꼬아서 생각하고 그걸 철썩같이 믿어버리니.... 점점 같이 지내기 힘들어요
@esfp3188
@esfp3188 Жыл бұрын
제 주변에 제니스님같은 분처럼 사려깊은 분이 있다면 정말 행복할거 같군요. 그러나 저의 의존적 성향으로 인해 제 주변의 제니스님같은 분을 또 힘들게 했겠죠? 여러 생각이 드는 댓글입니다.
@yvibes8863
@yvibes8863 Жыл бұрын
정우열 원장님 훌륭하시네요 개인적으로 많은용기를 얻었습니다 쉽고좋은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백번 봐야할 영상이네요♡
@user-hr2ux2yl8k
@user-hr2ux2yl8k Жыл бұрын
그 상대방 감정에 집중하는게 어린시절부터 성장환경 자체가 억압된 환경이나 가스라이팅이나 폭력에 오랜시간 노출됬던 사람들은 그게 힘들더라구요 정우열 원장님...ㅎㅎ
@user-vv1zo1ym8d
@user-vv1zo1ym8d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ㅎㅎ
@Iamshrimpkang
@Iamshrimpkang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쌩뚱맞지만 정우열 선생님 아빠어디가에 나왔던 후 닮으셨어요 ㅎㅎㅎㅎㅎ
@hjoo7022
@hjoo7022 Жыл бұрын
제가 왜케 위축되나 했더니 완전 의존형이네요..섬세하고 상처를 잘받는다생각했는데..감사해요
@user-yq8lj9qe6s
@user-yq8lj9qe6s Жыл бұрын
한마디 한마디 제 얘기를 하시는 것 같아서 깜짝 놀랐습니다. 주신 솔루션대로 실천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eu7lh5il9o
@user-eu7lh5il9o Жыл бұрын
0:07 처음부터 빵터졌어여😆ㅋㅋㅋㅋㅋㅋ
@jsbyun.
@jsbyun. Жыл бұрын
infp인 저한테는 정말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항상 눈치보고 야단맞기 싫고 손가락질 당하기 싫고 뒷담까이기 싫어서 착한척햇죠. 하지만 그럴 수록 저는 알파남이 되지 못했고 이렇게 덧글로 넋두리를 하고 있네요.
@user-lr8rm7ew3p
@user-lr8rm7ew3p Жыл бұрын
저도 INFP에요. 공감되네요!
@nakasi4684
@nakasi4684 Жыл бұрын
저도요., ㅠㅠ
@user-xq7tm8dd5t
@user-xq7tm8dd5t Жыл бұрын
착한 척 할수록 더 뒷담까입니다ㅋㅋ 오히려 두려운 사람이라는 인식이 박혔을 때 뒷담까다가 걸릴까봐 뒷담 못하지요.
@zxcvzxc
@zxcvzxc Жыл бұрын
알파남ㅋㅋ그런 픽업 아티스트들이 쓰는 단어부터 쓰지마요 찌질해보여요 나머진 화이팅!
@hjoo7022
@hjoo702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ㅜㅜ
@user-gj6cl8ol4u
@user-gj6cl8ol4u Жыл бұрын
제가 경청하는 두분의 만남에 반갑고 미소가 지어집니다 덕분에 오늘도 배우고 도움받네요 두분모두 평안하시길요~^^
@wisdom8484
@wisdom8484 Жыл бұрын
와 저를 위한 상담같네요 깜짝 놀랐어요 초집중해서 봤어요 감사합니다!!
@tjsghk-hj5cp
@tjsghk-hj5cp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찾을 필요가 없다는 말씀이 와 닿았습니다. 감정을 몰라서 20대 중반까지 혼란스러웠는데 제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거부했던 감정들을 알아가면서 독립과 자율성을 찾고 남을 이해하게 되는 것 같아요.
@DangdolhanMacaron
@DangdolhanMacaron Жыл бұрын
와 이렇게 제 얘기같은 건 진짜 오랜만이에요 우열쌤이 말씀해 주신거랑 저랑 진짜 똑같아요... 근데 그게 저희 고유 성격을 감추고 살아서라는 말..넘나 공감 됩니다 근데 저도 어렴풋이 내가 스스로 선택을 하지 못해서 더 그러는구나 느껴가지고 혼자 선택해보려고 노력해보긴 했는데 역시 쉽지 않네요ㅠ 이 동영상 보기 직전까지도 남 생각만 신경 쓰고 제 감정은 무시해버렸는데
@Thehorizonbisang
@Thehorizonbisang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그동안 많은 동영상을 보면서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제가 저 자신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해주셔서 뜨끔하기도 했지만 (제 머릿속에 들어갔다가 나오신줄..) 조금은 더 자유로워질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제 자신의 모든 부분을 인정하는 것이 자신을 긍정하는 것이라고 하던데… 선생님 말씀처럼 제 자신을 그대로 인정하고 제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지도록 노력해봐야겠어요!! 저와 비슷한 성향(?)을 가지신 분들도 많이 보고 도움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rx8bh4cc9j
@user-rx8bh4cc9j Жыл бұрын
잘지내고 싶어서 뭐 하나라도 더 챙겨주게 되고 강의를 듣는데 저의 성격을 말씀 하는거 같아 100% 공감 했어요 아무리 잘지내려고 배려를 하고 나눠주고 해보지만 결국은 2년 넘게 살아온 남친도 떠나게 되면서 이용당한 느낑만 들었어요 오갈곳이 없을땐 저와 평생 살께요 라고 하구서 다시 직장이 생겨 가게 되니까 별거 아닌걸로 그냥 다툼이랄것도 아닌걸로 연락 하지말라고 그래서 이젠 이렇게 반복되는게 싫어서 저두 연락 안하고 정리중입니다 잘지내고 싶어서 그러는건데 왜 사람들은 이용하고 상처주고 그러는지 .... 이제는 마음을 많이 주고 싶지가 않습니다
@user-lk0610
@user-lk0610 5 ай бұрын
마음을 많이 주는건 좋은거지만 상대와 속도를 맞추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너무 급하게 다 주기만 하면 질려서 도망가더군요
@Urosie1.1o
@Urosie1.1o Жыл бұрын
본인의 부족함을 깨닫고 인정하는것부터가 시작이고 고착화된 생각을 조금더 말랑말랑하게 만들면 점점 변화하는것같아요! 제가 지금 그런상태예요! 성인이 된지 오래지만 이제 자라는 느낌을 받고 있어요!
@user-mc4fn8rk2w
@user-mc4fn8rk2w Жыл бұрын
우열쌤이 여기 나오셧넹 그럼 바야지 쿄쿄
@user-xu8up5zw9y
@user-xu8up5zw9y Жыл бұрын
헉 우열쌤이 ㅎㅎ
@looc631
@looc631 Жыл бұрын
와.. 내용이 진짜 너무 좋네요
@user-tw3fc9wm9b
@user-tw3fc9wm9b 11 ай бұрын
학창시절이나 사회나왔을때 아주 공통적으로 일치하는 부분을 우리는 볼수있죠 단언컨대 인복 인덕 이런것들은 어떤 후천적 노력으로 이뤄지는 영역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100% 세상에 태어날때 본인이 가자고 나오는 힘이고 능력입니다 별로 인간관계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주위에 마치 저석처럼 사람들이 모이고 또 많은 도움을 주는 경우가 있고 아무리 먼저 다가가고 있는거 없는거 퍼주며 인간관계에 정성을 기울이고 인맥을 넓히고 잘지내보려 발버둥을 쳐도 절대 사람이 붙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죠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요 결론은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노력으로 달성되는 영역이 아니라는 얘깁니다 세상에나올때 이미 결정되어지는 힘인거죠
@user-uy4tv6il2f
@user-uy4tv6il2f Жыл бұрын
제가 좋아하는 두분을 함께 보니 기분이 좋아요.
@user-nm2ge2oz3d
@user-nm2ge2oz3d Жыл бұрын
저두요자주나와주세요
@user-qe7zc1pk4z
@user-qe7zc1pk4z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내가 밥 먹듯이 보는ㅋㅋㅋㅋㅋㅋ채널의 두 분이 계시니까 시공간의 분열을 보는 것 같아요. 나의 채널 두개가 한 공간에 있어서 반가워용!!ㅋㅋㅋ넘 좋아요 히히🤭🫶🏻
@user-nm2ge2oz3d
@user-nm2ge2oz3d Жыл бұрын
저두요!!
@kimsiwonable
@kimsiwonable Жыл бұрын
다 봤어요. 이해받는 기분이라 행복해졌음 ^^
@user-mp2mu1ef7t
@user-mp2mu1ef7t Жыл бұрын
제가 관계에 있어서 타인 중심의 생각을 하고 그에 맞춘 리액션을 하려고 하는 것이 의존성이라는 한단어로 설명할 수 있다는걸 영상을 통해 배웠습니다. 대화시 항상 필터링하게돼서 말수도 줄고 인간관계를 회피하게 되어 더 큰 문제가 되었어요. 심지어 타인의 눈치를 보지만 대화의 시작이 긴장으로 연결되니까 티키타카가 잘 안된다는 느낌도 자주 받고, 그래서 2인 이상 모일때는 거의 말을 안하게 되고 그러네요. 소외감을 느낀다고 자각하는 순간부터 더 긴장되고 심장이 뛰고 머리는 뭔 말을 던질지 무한정 생각만 해서 복잡하고.. 앞으로 구독하고 영상 정주행하면서 나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연습을 많이 해야겠어요. 타인은 나와 다르게 완벽하고, 나는 부족한 사람이라고 자동적으로 생각해서 이게 악순환이 되는것도... 생각의 알고리즘을 바꿔보고 싶네요! 또 남과 나는 같을 수 없다는거랑 이사람도 나와 별반 다를게 없는 사람일 뿐이라는거...이게 그냥 제 생각으로 자리잡혔으면 좋겠습니다 ㅜㅜ 이러다가 친구 한명도 없이 외롭게 살거같아서 걱정이네요.. 연락을 아주 가끔만 하는게 편하면서도..😥 안읽씹하고 이런게 더 심해져서 미안하고, 또 친구가 만나자 밥먹자 하는 연락을 받으면 이런 나를 왜 만나자고 손을 내밀까. 내가 그정도로 괜찮은 사람은 아닌데 연락도 자주안하고 그렇게 재미있는 사람도 아니고. 어떠한 모종의 이유가 있어서 일거라고 그냥 알고리즘이 뼛속 깊이 자리 잡혀있는데..뭐 먼저 영상 여러번 보고 감정일기도 써보고 해봐야겠네요! 정말 감사드려요 그냥 외면만 하고 있던 저를 다시 밖으로 꺼내주신거 같아요. 저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다보니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감정일기 쓸때 이 댓글도 하나하나 분해해서 내가 왜 이럴까를 아주 깊게 뜯어봐야겠네요!
@user-mp2mu1ef7t
@user-mp2mu1ef7t Жыл бұрын
아 2인 이상일때 말을 못하겠는 이유가 타인중심적 생각때문일 수도 있겠네요. 방금 든 생각인데 1:1로 대화하는것도 그렇게 눈치를 보고, 매초마다 상대의 감정을 확인하려고 드는데 2인이상이면 그들을 모두 충족하고 감정 하나하나를 확인하려고 하니.. 절대 불가능한 일인거 같네요..
@hjoo7022
@hjoo702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cilunking
@cilunking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언젠가 지나가리라.. 믿고 힘내요 우리🥲
@pumbadle
@pumbadle 11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화이팅❤
@rahehe9075
@rahehe9075 10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갑니다.... 말을 자꾸 필터링하게된다는 말도요ㅜ
@Mandumpling
@Mandumpling Жыл бұрын
소름 요새 필요한 내용이었어요
@user-lr8rm7ew3p
@user-lr8rm7ew3p Жыл бұрын
완전 공감되네요ㅜㅜ 노력은 하는데 사실 힘들어요. 타고난 기질, 그동안의 에피소드가 큰 것 같아요. 다시 태어날수도 없고. 그런 나를 의식하고 알아차리고 독립성을 가지고 진정한 자유인이 되도록 욕심내지않고 슬로우하게 노력해보렵니다! 저랑 비슷하신분들 계시면 같이 힘내봅시다 :)
@user-pr1eo1ho4h
@user-pr1eo1ho4h Жыл бұрын
@user-bk9ru3px1d
@user-bk9ru3px1d Жыл бұрын
사티어 의사소통유형 회유형에 대한 설명이네요 자신을 무시하는.. 자존감에 있어서 자신을 존중하는 건 중요한 것 같아요. 감정일기 넘 좋은 방법인데 꾸준히 하는게 어렵네요😅 제가 원했던 조합으로 뵐 수 있으서 너무 좋네요!! 오늘도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alice85850
@alice85850 Жыл бұрын
잘지내고싶어서 잘보이는노력들을하게되는것같습니다
@user-sn3wf2do8u
@user-sn3wf2do8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도움많이받구 있어요
@JKL1014
@JKL1014 Жыл бұрын
와 딱나다 남들하고 친해지고 싶어서 호구 같이 행동하다 겉과 속이 다른사람같고.. 집에오면 현타오고
@user-bh1pu4zq8q
@user-bh1pu4zq8q 7 ай бұрын
인간관계에서 자연스러운게 서로에게 가장 좋은거 같아요~ 남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선에서 편하게 나대로 있는게 정답인듯. 말하고 싶음 하고 안하고싶음 안하고.. 저도 연습 중인데 만족감을 점점 느낍니다. 나 자신이 스스로 편해지기도 하고요. 그리고 정말 이런면이 있어야 사람을 더 끌어당길 수 있는 거 같아요. 정말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더 잘보이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그사람과는 멀어지더라고요… 결론은 나자신에게 집중하는 사람이 되자ㅎㅎ
@bangtong5438
@bangtong5438 Жыл бұрын
눈빛만 봐도 이미 서로 어떤 스타일인지 잘 알고 친한 사이신거 같은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j9kr2kd2p
@user-yj9kr2kd2p Жыл бұрын
조언 감사합니다
@Better-ri3xj
@Better-ri3xj Жыл бұрын
도움되는말씀과 영상 감사합니다!
@daemandmva
@daemandmva 8 ай бұрын
제 감정에 솔직하지 못하고 스스로 편견을 가지고 비난하며 스스로 자존감을 깍으며 살았던것같아요. 말씀하신대로 안테나도 밖으로만 놓고 그러니 편할수가 없었던것 같습니다. 당장 편안한 사람이 될순 없을지 모르지만 스스로 즐겁고 편안해야져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가오는 사람들을 밀어내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수 있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Eun-en6fq
@Eun-en6fq Жыл бұрын
쌓이다가 이상한데서 팍 터져.
@StrikerM9310
@StrikerM9310 Жыл бұрын
있는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며 그 장점을 살리는것에 집중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자존감이 올라가고 더 행복한 삶을 살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yunseul6255
@yunseul6255 Жыл бұрын
일기를 쓰는데 나 왜 이런 생각을 하지, 이렇게 쓰다보면 그런 사람이 되어버리는 거 아닌가 하는 고민을 한 적이 있어서 너무 도움이 되었어요 와닿는 말이 많네요 감사해요
@jk6273
@jk6273 9 ай бұрын
내가 남한테 좋게 보여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편인데 그러다 보니 별 생각없이 잘 살아요.
@user-cc5gv3xr7o
@user-cc5gv3xr7o Жыл бұрын
인간 관계에서 안정감을 많이 경험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절감하고 있습니다 사회생활하는데 진짜 꼭 필요한 경험이더라구요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wi9ys5bc1z
@user-wi9ys5bc1z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
@Mghjfhjkk
@Mghjfhjkk Жыл бұрын
사람이 고쳐지나요.ㅠ 그냥 타고나는거같아요. ㅠ 배우자 잘못만나면 신세계가 열리죠.. 결혼할때 집안을 꼭 보세요. 다 타고납니다.
@user-vu5fs5ip2u
@user-vu5fs5ip2u Жыл бұрын
부정하고 싶지만 부정할 수 없는 진실. 집안을 보더라도. . 본다는 게 뭔지 모르시지요. . ? 제가 시어머니, 시아버지를 키우고있는 느낌 이랄까요? ㅎ ㅎ 저는 그렇다고요. . 먹는거, 습관, 외모. . 모든것이 그러네요. 일어나는 시간까지요. 멀리 살아도 . . DNA는 바꿀 수 없네요. 키울수록 더 그래요.
@user-sr5cr7oi2e
@user-sr5cr7oi2e Жыл бұрын
저를 더 잘 이해할수있는 내용이였어요 감사합니다~~
@2anc1aran
@2anc1aran Жыл бұрын
듣자마자 완전 요즘의 저라는걸 깨달았어요 .. 들어간지 얼마 안된 직장에서 그런마음이 들어 열심히 하려고 노력했는데 상대방에서는 그러지 않고 오히려 저를 공격하고 싫어한다고 느꼇어요. 결국 저는 그걸 솔직하게 얘기했고 퇴사를 하게 되었어요. 참다가참다가 빵 터지는 .. 이제는 완전 끝장난거같아요. 이렇게 나쁘게 나가고 싶지 않았는데 결국엔 제잘못인건가 그치만 제가 분명히 상처받았고 .. 새삼 어려워요. 나이도 어리지 않은데 악순환의 굴레에 들어가버린거 같아서 자존감도 많이 낮아지고 사실 자신이 없어요. 전부 . 그래도 최근에 선생님 영상 찾아보면서 저에대해서 파악하고 있습니다. 눈물나고 답답하지만 저도 모르는 나자신에게 한번 집중해봐야겟어요 내가 어떤사람인지 내마음이 어떤지요. 영상 잘봤습니다
@ggoodbtt5099
@ggoodbtt5099 Жыл бұрын
저도 호감형이고 싶은데~~ 어렵네용🎉🎉🎉
@kangsoo2949
@kangsoo294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kfcompany6033
@hkfcompany6033 9 ай бұрын
내 마음까지 사회화가 될 필요가 없었는데 너무 스스로를 다그치고 있었던것 아닌가 싶어서 저에게 미안해지네요. 나에게 좀더 자유를 주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sunrise1498
@sunrise1498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렇게 살았어요..저의 10~30대의 삶이 저랬어요 지금도 그런 모습이 좀 남아있지만 이제 할 얘기는 해요.. 예전보다 나아지긴 했어도 부족하죠.. 이런 채널 저에게 너무나 큰 도움이 되요..^^ 감사합니다 저도 조금씩 희망을 갖고 변화하겠습니다.
@user-ci9sv6qz3p
@user-ci9sv6qz3p 7 ай бұрын
도움좀 받고싶어요 상대에게 잘보이려고 애쓰는 제가 너무 싫어지네요
@user-of3tl4su3t
@user-of3tl4su3t Ай бұрын
65세되고보니 평생 내성격을 바꿔보려 상담도 받아보고 종교에 매달려보고 안해본 노력 없는데 이제야 느낀다 자신이갖고 있는 성향으로 가장 잘하는걸 하고 범죄아니고는 친구 잘 지내려 너무 노력할 필요없다 혼자잘살아도 된다 이렇게 생각하면 장점이 많다 다들 아무걱정 말고 있는 나로 잘살다 갑시다
@user-ts4ti5yb9c
@user-ts4ti5yb9c 9 ай бұрын
누구던. 너무 기대면 안될것 깉아요 거리감을 항상 둬야 될것 같아요
@user-ny1rx5bj4c
@user-ny1rx5bj4c Жыл бұрын
제목이 넘 맘에드네요
@user-on8wc5iu5n
@user-on8wc5iu5n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평소에 의존성이 강한 사람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최근에 연인관계에서 크게 의존하며 안좋은 결과로 이어지게 되어, 마음이 크게 불안해 졌습니다. 이제와서 삶을 돌아보니 언제나 누군가를 크게 의존하며 살아왔던거 같아 자신을 재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아직 갈피를 못잡겠지만 자신의 마음을 인정하고 확신을 하며 살아보고 싶네요.
@Lovely_rose_
@Lovely_rose_ Жыл бұрын
저도 비슷한데요. 직장도 인연인줄 알앗던 사람과도 헤어지고나니 막막햇어요. 한달이 다 되어가는 지금은 처음보단 마음이 많이 단단해진 걸 느끼게 되고 앞으로 무얼하며 어떻게 살아가는지는 주위에 친한 친구나 지인들 통해서 깨우쳐가고 알아가고 잇어요. 사람은 누구나 결국 혼자고, 또 혼자서 해내는 성취감이 용기를 주고 둘이보단 혼자인 게 차라리 덜 외롭고 덜 슬픈것 같아요. 과거를 돌아보면 제자신이 참 싫엇는데, 지금은 제자신이 소극적이고 남의식이 심하지만 지금은 장점도 잇다는 걸 깨닫고는 60프로는 제자신이 좋습니다. 기운내시고 앞으로 잘될테니 걱정도 하지마시고 아무생각이 나지않는다면 잠시 쉬어간다라고 생각해보세요. 화이팅입니다~~!!^-^
@user-bx3yg9lw6f
@user-bx3yg9lw6f Жыл бұрын
와..와.......와,,..
@user-sh3ns6qc9n
@user-sh3ns6qc9n Жыл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user-fq8uw4io5z
@user-fq8uw4io5z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h7cg5ss1r
@user-nh7cg5ss1r Жыл бұрын
어머 내 얘기넹 ~ 슬푸당... 참 이런 핑계 대면 안되는데.. 이런 거 느낄 때마다 ㅎ 엄빠가 너무 상관하는 삶을 살고 저 멋대로 하게 두지 않아 그렇게 된 거 같은 생각이 드네요 ㅎ 독립을 일찍 했어야했는데... 너무 과순응적이고. 어찌해야허나.
@user-nh7cg5ss1r
@user-nh7cg5ss1r Жыл бұрын
혼자 결정해버릇 해야겟엉
@user-nh7cg5ss1r
@user-nh7cg5ss1r Жыл бұрын
말 잘 듣기 싫엉 ~~~
@wisdom8484
@wisdom8484 Жыл бұрын
저도 제 이야기입니다~!! ㅎㅎ 자신을 직시하는건 큰 용기가 필요한거같아요. 힘내세요!~~^^
@miki-ob2ro
@miki-ob2ro Жыл бұрын
저희 어머니도 그러셧어요 학창시절때 과순응했어야했는데 동의해요
@user-es1kw2el5i
@user-es1kw2el5i Жыл бұрын
저도요
@ejp9485
@ejp9485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의존적인 사람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amy5586
@amy5586 Жыл бұрын
정말 제 얘기같네요… 정말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tkchoi8586
@tkchoi8586 Жыл бұрын
좋아요~^^
@user-dy2kc3yq1r
@user-dy2kc3yq1r Жыл бұрын
전 제가 좋아하는 사람한테만 의존성이 커요 근데 인간관계에 막 집착하는 것도 호에만 그렇거든요 그래서 제가 누굴까 해요ㅋㅋㅋㅋㅋㅋ결국은 의존성도 독립심도 다있나봐여ㅋㅋㅋㅋ 의존성이 느끼는 불안함 어서빨리 메꿔야겠어요
@user-mc4fn8rk2w
@user-mc4fn8rk2w Жыл бұрын
의존+의존 = 대환장 파티 >> 둘 중 하나 죽지않는이상 못떨어질거같은 관계됩니다. 둘 중 하나는 착취당하는 관계 ㅡㅡㅡ 의존도 두가지가 있더라고요. - 관계에 의존적인 타입. - 사람에 의존적인 타입. 관계에 의존적인 타입은 그 관계를 유지 시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이 없고 (요구, 내 필요성을 강조, 너의 역할강요) 사람에게 의존적인 타입은 내가 사람에게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수단과 방법이 없습니다. (자해 or 정신분열을 일으키는 관심과 돌봄받기 위한 형태) 이건 의존적기질(무의식)이고 의존적성격성격이랑은 좀 다른 부분이긴하지만
@kimsiwonable
@kimsiwonable Жыл бұрын
저 너무 의존적이고 ..................................................내가 부족한것 같아서요. 이제 벗어날래요 ^^ !!!!
@twinkle077
@twinkle077 Жыл бұрын
정우열선생님은 사랑 입니다 ㅎ
@hjoo7022
@hjoo7022 Жыл бұрын
👏🏻👏🏻👏🏻
@user-ez4uw5sb2m
@user-ez4uw5sb2m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제 스토커 아니쥬?? 나에 대해서 말씀하시는 거 같아 ㅠ
@user-jj6rn4kw9v
@user-jj6rn4kw9v Жыл бұрын
나는 의존성이 굉장히 높은 사람이었네
@user-tt3kd2kr6p
@user-tt3kd2kr6p 10 ай бұрын
꼬드김을 잘하죠.
@user-in8ow2mh2y
@user-in8ow2mh2y Жыл бұрын
남자들는 다 애기 애기로 보여유
@yeon2466
@yeon2466 Жыл бұрын
놀심님 방송 보면 매번 게스트쪽 보시느라 허리를 한쪽으로 틀고 계시거든요. 차라리 조금 더 게스트와 거리를 두고 바른 자세로 진행하시면 어떨지요? 척추에 문제 생기는것 아닌가 방송때마다 저 혼자서 괜히 신경써봅니다..-.-
@user-mf3fr6ul4c
@user-mf3fr6ul4c Жыл бұрын
나구나 ㅜ ㅜ
@yundooh868
@yundooh868 7 ай бұрын
사회화를 마음속 까지 한다라... 딱 나였네.
@_-_v
@_-_v Жыл бұрын
정우열 원장님 말씀 스타일이 병주고 약주는 타입이시네ㅋ
@user-bw4tx5zc1y
@user-bw4tx5zc1y Жыл бұрын
하나부터 열까지 나네!~~ㅠㅠ
@user-jx8yo1cz1m
@user-jx8yo1cz1m Жыл бұрын
원장 말하면서 의존성있는 사람들 웃으면서 어이없다는 행동을 하는데 거북스럽네. 안타까워하는 행동으로 바꾸면 좋겠네.
자기 자신은 모르는 예민한 사람들의 의외의 능력 (정우열 원장)
20:03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126 М.
남들과 잘 지내려고 애쓰지만 매력없는 사람들의 특징 (신재현 원장)
17:39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자존감, 이 영상 하나로 마스터하세요! 자존감 몰아보기
24:51
정신과의사 뇌부자들
Рет қаралды 19 М.
다 큰 자녀와 사이가 틀어지는 부모들의 특징 (김경일 교수)
13:44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73 М.
주변을 '서서히 떠나게' 만드는 유형들의 말버릇 (김윤나 소장)
20:32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244 М.
평범한데 인기있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말 습관 (누다심 소장)
18:52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574 М.
바닥난 자존감 높이는 3가지 방법
34:04
닥터프렌즈
Рет қаралды 154 М.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