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은 왜 3일일까?

  Рет қаралды 131,588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4 жыл бұрын

사흘이 3일인 이유는?
이 영상에서는 「사흘」이라는 낱말의 역사를 살펴보고 이것이 쇠하게 된 원인에 관하여 고찰합니다.
〈이용된 소재〉
이 영상은 いらすとや와 Pexels의 크리에이티브커먼즈 라이선스 하에 배포되는 소재 및 클립을 포함합니다.
BGM:
River Radio 92 3 WBPM by Unicorn Heads
The Future Ancient Now by Nathan Moore
#사흘
연락 및 문의 - bungbungnue@gmail.com

Пікірлер: 1 000
@user-iv2se7dp6d
@user-iv2se7dp6d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까 어느 일본인 분이 쓴 트윗이 생각나네요 세시 삼분이면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세시 세분이면 고깃집 예약판이라고...
@user-oh3tn8bw2b
@user-oh3tn8bw2b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rf1sv2ys3d
@user-rf1sv2ys3d 4 жыл бұрын
뭔가했넼ㅋㅋㅋㅋㅋㅋ
@Wook867
@Wook867 4 жыл бұрын
개웃기네 ㅋㅋㅋ
@user-hs1jo8pg7z
@user-hs1jo8pg7z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4 жыл бұрын
이름이 유키라는 일본남성이 쓴 것 본 적 있는데 재밌는 지적이더군요~
@user-lq1sm9mo7e
@user-lq1sm9mo7e 4 жыл бұрын
그 요런말 있더군요. 사흘이 3일인건 알지만 나흘을 쉬고 싶기 때문에 핑계대는 것도 있다.
@user-gk4gq6zy3n
@user-gk4gq6zy3n 3 жыл бұрын
@BISproportion93
@BISproportion93 Жыл бұрын
내 하루 돌려내!! ㅋㅋㅋ
@babayaga.desideratus2866
@babayaga.desideratus2866 4 жыл бұрын
문득 생각난 학문과 항문의 공통점 열심히 닦아야 한다
@user-wj5tp2xt3r
@user-wj5tp2xt3r 4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항문은 발전해 왔습니다."
@wriggled.
@wriggled. 4 жыл бұрын
아니 ㅋㅋㅋㅋㅋㅋㅋ
@fumi_
@fumi_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tj4xc4lq1f
@user-tj4xc4lq1f 4 жыл бұрын
으윽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r4um7vy2u
@user-lr4um7vy2u 4 жыл бұрын
1 하나 하루 2 둘 이틀 3 셋 사흘 4 넷 나흘 5 다섯 닷새 6 여섯 엿새 7 일곱 이레 70 일흔 8 여덟 여드레 80 여든 9 아홉 아흐레 90 아흔 10 열 열흘 이렇게 나열해보니 어려운 낱말은 아니였네요. 전 사흘 이슈에 대해 단순한 교육의 부재라고만 생각했는데... 서두에서 교육문제가 아닌 언어의 변화일 수도 있다는 의견을 듣고 새로운 관점으로 보게 되었네요... 많이 배워야겠습니다.
@gu-reum
@gu-reum 4 жыл бұрын
이흐레가 아니라 이레 이닌가요?
@user-lr4um7vy2u
@user-lr4um7vy2u 4 жыл бұрын
@@gu-reum 앗.. 맞아요. 제가 착각했네요 ㅋㅋㅋㅋㅋ 왜 이흐레라고 생각했지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user-lr4um7vy2u 영상 속 설명처럼 규칙성을 찾으려고 해서 그래요 ㅋㅋ
@user-du8fi1hh5k
@user-du8fi1hh5k 4 жыл бұрын
저걸 쭉 읽다가 15일을 열닷새라고 하는 애들 분명히 있음 '보름' 임
@gu-reum
@gu-reum 4 жыл бұрын
@@user-du8fi1hh5k 순간 뭐가 이상한거지 하고 생각했는디
@variousartist3825
@variousartist3825 4 жыл бұрын
언제 어디서든 이렇게 쉽게 접할 수 없는 지식들을 만나는 것이 유투브의 순기능이지...유익한 내용과 전문성을 갖춘 유투버...완벽한 조화다.
@gamtimerry5625
@gamtimerry5625 4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어림짐작으로 생각했던 내용인데 학문적으로 정리해주시니 훨씬 명쾌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려요!
@HyundaiDino
@HyundaiDino 3 жыл бұрын
중세국어 읽으시는 거 보면서 깜짝 놀랐습니다... 대학교 언어학 교수님들 말고도 유튜버에도 이런 언어 덕후가 있었다니... 재밌는 영상 보고 갑니다!
@user-kp8cq5ew5h
@user-kp8cq5ew5h 4 жыл бұрын
언어의 경제성이라고는 하지만 이런 순우리말이 점차 사라지는 건 언제나 안타깝네요 뉘앙스의 차이도 분명히 있고 또 쓰이는 용도도 다른 것 같은데 말이죠... 시 같은 곳에서 3일이라고 하는 것보다 사흘이라고 표현하는 게 더 어울리는 것 같고 좋았는데
@user-bk5oo2xe9c
@user-bk5oo2xe9c 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제 개인적인 뇌피셜로는 조선시대에 중국을 사대하면서 한자어 사용이 고유어 사용을 많이 밀어낸 거 같은데, 고유어의 뉘앙스가 점점 낯설어지는 게 안타까워요
@ecarte931
@ecarte931 4 жыл бұрын
영어의 경우에도 전통적으로 쓰이던 불규칙활용이 사람들이 '외우기 귀찮다' 며 규칙활용으로 변하는데요 뭐. 전세계 어디서나 일어나는 현상 같네요. 물론 저도 좀 안타깝게 느끼긴 합니다. 그리고 그걸 안타깝게 느끼는 사람도 전세계 어디에나 있더군요 :D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4 жыл бұрын
@@ecarte931 복잡한 규칙이 간소화하는 현상도, 그런 간소화 현상을 안타깝게 여기는 정서도 세계적으로 비슷하군요.
@ecarte931
@ecarte931 4 жыл бұрын
@@user-gw2zu5do2r kzfaq.info/get/bejne/qqyHatKjttmmpaM.html
@user-bk5oo2xe9c
@user-bk5oo2xe9c 4 жыл бұрын
@@user-gw2zu5do2r 언어뿐만 아니라 어떤 것이든 인류는 스스로 새것을 익히고 옛것을 잊어가면서도 그걸 슬퍼하는 것 같아요
@wi012
@wi012 4 жыл бұрын
요즘 많이 이슈가 된 내용을 다루셨네요. 덕분에 더욱 배워 갑니다.
@cfffe5
@cfffe5 4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 너무 좋아요ㅜㅜ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drmphy
@drmphy 4 жыл бұрын
나도 사흘나흘 처음 배울 때 헷갈리긴 했지만 '국민학교' 1~2학년 때 배웠던 것 같은데 곧 있으면 공학 박사 디펜스 할 애도 왜 사흘이 왜 3일이냐고 순진하게 묻는 걸 보면서 개인의 무식으로만 치부할 일이 아니다 싶었다 혼지 모르면 무식이지만 다같이 모르니까 사회문제가 되네ㅋㅋㅋ
@njdjwgu
@njdjwgu 4 жыл бұрын
저 중1인데 지금은 안배우는듯 합니다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가정교육이 아닐까요?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3 жыл бұрын
하긴. 지금은 알려주는 사람이 없었겠죠. 안써도 크게 상관 없기도 하고.
@bosun7302
@bosun7302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문장이 크게 와닿네요
@user-re2xc6oq9z
@user-re2xc6oq9z 3 жыл бұрын
@@njdjwgu 뭔 소리에요ㅋㅋㅋㅋ 지금도 배워요... 그것도 초딩 때 배우는데..
@moon-in7jb
@moon-in7jb 4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힘이 없으신데 어디 불편하신가요? 향문천님 목소리 들으니 귀에 더 쏙쏙 들어와요 우리가 흔히 쓰는말이지만 사흘이 3일인걸 모르는 분들이 의외로 많더라구요 향문천님 항상 행복하세요~~♡♡♡
@user-fh6wd2nk4h
@user-fh6wd2nk4h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영상은 혼자 볼 수 없지!
@juhyeog563
@juhyeog563 4 жыл бұрын
열이레날이 쉬는 날이라 참으로 재미납니다. 사흘동안 푹 쉽시다
@wushein
@wushein 4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up9pu1fc1w
@user-up9pu1fc1w 4 жыл бұрын
궁금했었는데.. 역시 또 유익한 영상 고마워요~^^
@in6th
@in6th 4 жыл бұрын
4:00 우리 문천이형 농담도 할줄 아네? 재밌어정말
@edcvbnji9186
@edcvbnji9186 4 жыл бұрын
0:06 신난다.
@LSMe-nj4et
@LSMe-nj4et 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onlyregretful
@onlyregretful 4 жыл бұрын
역시 누에님 트렌디해 ㅋㅋㅋ 이슈 콕 집어서 시의적절한 영상만드시네
@cotton_0610
@cotton_0610 4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을 보면 뭔가 특별해지고 똑똑해지는 것 같아...ㅋㅋ
@oogg7338
@oogg7338 4 жыл бұрын
더닝 크루거?
@aureovedma
@aureovedma 4 жыл бұрын
@@oogg7338 에렌크루거
@aureovedma
@aureovedma 4 жыл бұрын
@@point4548 니애미 홀수라는뜻아님?
@user-wj5tp2xt3r
@user-wj5tp2xt3r 4 жыл бұрын
@@point4548 댓글목록 보니까 가관이네 ㄹㅇ 수준ㅋㅋㅋ
@ItzSoulGD
@ItzSoulGD 4 жыл бұрын
@@point4548 이새끼 댓글 레전드네 ㅋㅋㅋ
@user-yv1xm8fh3q
@user-yv1xm8fh3q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슈왕같은 버러지 채널처럼 되지않고 이 마음 이런 영상으로 꼭 끝까지 담백하고 소중한 내용들만 올려주세요ㅠㅠㅠㅜㅜㅠ 항상 좋은 영상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향'문이 아저씨😍😍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코슈왕ㅋㅋㅋㅋㅋ
@하지말라면하지마
@하지말라면하지마 4 жыл бұрын
어딜 이런 귀한 채널에서 야스왕을 언급하지?
@Hawk_moth_kawaii
@Hawk_moth_kawaii 3 жыл бұрын
@@하지말라면하지마 그렇게 말하니까 되게 이상하네
@Mlbom
@Mlbom 3 жыл бұрын
결혼하지마? 야스왕은 잇섭아님?ㅋㅋㅋㅋ
@arda411
@arda411 4 жыл бұрын
고퀄리티 영상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이런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상 많이 볼 수 있으면 좋을것 같네요 (조회수도 많이나올듯 ㅎㅎ)
@sangyoungpark9060
@sangyoungpark9060 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ellogqhedi3989
@kellogqhedi3989 4 жыл бұрын
외국인들이 한국어 배울때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이 두시 십육분처럼 숫자의 고유어와 한자어 사용이라던데 ㅋㅋ 나중에 우리도 그렇게될수도있겠네요 이런식으로 하나 둘 잊기 시작한다면
@Che-rry
@Che-rry 4 жыл бұрын
일본어가 레전드
@parlepascoreen6059
@parlepascoreen6059 4 жыл бұрын
프랑스어로 99 quatre-vingt-dix-neuf 뜻: 20 네번에 10 하고도 9
@Che-rry
@Che-rry 4 жыл бұрын
parle pas coreen 걔네는 20진법이라...ㅎㅎ 수 체계가 다른거지 여러개가 혼용된건 아니쥬
@parlepascoreen6059
@parlepascoreen6059 4 жыл бұрын
@@Che-rry 정확히 말하면 켈트에서 따온 60이죠 그냥 생각나서 써봤어여
@user-jv4yl4cf2s
@user-jv4yl4cf2s 4 жыл бұрын
@@Che-rry 일본어 달력 숫자 레전드
@user-tt1nq5oi1s
@user-tt1nq5oi1s 4 жыл бұрын
보물과도 같은 채널 항문천. 애널스카이
@Hello-san-man
@Hello-san-man 4 жыл бұрын
Blow job
@kinokpico
@kinokpico 4 жыл бұрын
스멜스카이님은 으디 가셨지
@zihozeon410
@zihozeon410 4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뒤에 천 자도 왜곡됐어 큐ㅠ
@ailaoot
@ailaoot 4 жыл бұрын
뚫을 천(穿)입니다. 애널 f...
@pjw9247
@pjw9247 3 жыл бұрын
@@ailaoot 훈장님 진도가 너무 빨ㄹ.... 하아ㅏ아아ㅏ앙♥♥♥♥
@shhn5409
@shhn5409 4 жыл бұрын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enordschleif5447
@enordschleif5447 4 жыл бұрын
사도신경 중 "장사된지 사흘만에 다시 살아나셨으며" 여기서 예수가 4일만에 부활했다고 아는 사람 은근 많았다 사흘(on the third day)인거 말해주면 충격받는 사람 있었음
@gogijopchaeyong4348
@gogijopchaeyong4348 4 жыл бұрын
ㄹㅇ??? 놀랍다
@wushein
@wushein 4 жыл бұрын
놀랍네요
@user-rp4go5ts8j
@user-rp4go5ts8j 4 жыл бұрын
역시 종교인이라 멍청하네요
@hanbi3651
@hanbi3651 4 жыл бұрын
@@user-rp4go5ts8j 으이그!
@lsh6240
@lsh6240 4 жыл бұрын
알알 씹ㅋㅋㅋㅋㅋ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4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더 많은 고유어가 한자어로 대체되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한자어는 자주 쓰이지 않게 되더라도 한자 조금만 공부하면 그 뜻은 통하는데 고유어는 한 번 없어져 버리면 완전히 사장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또 한자어에 밀려서 비속어로 전락한 고유어 표현도 있죠. (계집, 놈 등)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좋은 고유어도 많이 생겨나야 할 텐데요.
@Yangmory
@Yangmory 3 жыл бұрын
계집은 집에 계시는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하던데.....그렇다면 이것도 줄임말로 봐야 되는거죠? 비슷한 걸로는 마누라라는 말도 원래는 상전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하더라구요.. 경상도 말에 가시나도 원래는 아내를 뜻하는 말인데 부부라는 뜻의 가시버시에서 알수 있듯이... 지금은 가시나 그러면 욕먹어요...ㅎㅎㅎ 언어는 변하는 거니깐...뭐 어쩔수 없죠....ㅎㅎ
@user-id8wb8hm3c
@user-id8wb8hm3c 2 жыл бұрын
시대에 맞추어 사라지는 것 뿐 기록으로는 남아있어요 그렇게 안타까우면 옛날 순우리말은 왜 안 씀 걍 다 사라질 거임 쓸 때 없음(실생활에 문제되는거 빼면)
@grapehc
@grapehc 4 жыл бұрын
하루를 1루라고 쓰는 사람도 있던데 또박또박 일루라고 읽어주고싶음 ㅋㅋ
@ailaoot
@ailaoot 4 жыл бұрын
야구?ㅋㅋ
@user-abc27
@user-abc27 4 жыл бұрын
ㄹㅇ극혐ㅋㅋㅋㅋㅋ 비슷하게 하나를 1나라고 하는사람도 봄
@user-sm1xo9jt9n
@user-sm1xo9jt9n 4 жыл бұрын
무슨 야구도 아니고
@kimsiu3587
@kimsiu3587 3 жыл бұрын
야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q9fv1vv9q
@user-vq9fv1vv9q Жыл бұрын
😂😂😂😂
@jiyongkim4222
@jiyongkim4222 3 жыл бұрын
와우~~ 진정성있는 영상 너무 멋있습니다
@user-lz1xj1fx1p
@user-lz1xj1fx1p 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당~
@user-om8qv9sf4v
@user-om8qv9sf4v 4 жыл бұрын
며칠도 몇일(몇日)로 헷갈려 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아요
@dcacao1
@dcacao1 4 жыл бұрын
몇 년, 몇 월, 몇 주는 쓰니까..
@KRW200
@KRW200 4 жыл бұрын
어원이나 발음규칙 상으로 며칠의 어원이 몇+日이 아니라고는 하는데, 솔직히 실생활에선 직관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죠.
@마키마카롱
@마키마카롱 4 жыл бұрын
@@KRW200 어원의식이 희박해졌다면서 며칠만 표준어가 된 게 아니였나요?
@DAYI_BASS
@DAYI_BASS 4 жыл бұрын
사흘 나흘의 -흘과 몇이 합쳐져서 몇흘 - 며칠로 바뀐 것 같아요
@user-wj5tp2xt3r
@user-wj5tp2xt3r 4 жыл бұрын
@@DAYI_BASS 오올ㅋ
@user-xp3jt1od4k
@user-xp3jt1od4k 4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게 되고 또한 사람들은 편한말을 더 선호한다고 생각이 드네요!
@user-vt1hj7nh7f
@user-vt1hj7nh7f 4 жыл бұрын
편한 말 선호라기보다 방송매체, 너튜브에 자주 나오는 말밖에 모르게 되는 현상 같습니다.
@wannasleep44
@wannasleep44 3 жыл бұрын
@@user-ck7hv5gs9g 어르신들도 유튜브만 보던데요 뭘 ㅋㅋ
@user-ve8vc2ps9k
@user-ve8vc2ps9k 3 жыл бұрын
@@user-ck7hv5gs9g 영상에서 언어의 경제성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전혀 이해를 못하고 헛소리 하네. 언어는 언제나 화자가 표현하기 편하며 청자에게 정확히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경제성을 지향하며 발전함. 사흘에 관련된 이슈도 이런 언어의 경제성에 의한 현상 중 하나로 보아야지 개인 또는 특정 집단의 능력 탓으로 돌리거나 무조건 부정적인 현상으로 보아선 안된다는 것이 이 영상의 골자라고 할 수 있음. 만약 당신의 논리를 따른다면 우리는 근대 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던 표현들을 많이 잊어버렸으니 근대 화자들보다 더 멍청하고 근대 화자는 더 이전인 15세기의 표현들 및 아래아, 반치음, 여린히읗, 후두 유성 마찰음 [ㅇ], ㅂㅅ, ㅂㅅㄱ 계 어두자음군을 유지하지 못했기에 15세기 화자들보다 더 멍청하고 교육이 안되었다고 보아야 함. 이렇게 보면 어휘의 소실, 퇴화 등은 교육의 성과를 보여주는 완전힌 지표로 사용되기에 무리가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언제나 언어는 우리의 내면적이고 추상적인 생각을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도구로서 취급되어야지 언어 자체가 그 사람의 능력을 완전히 대표한다고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user-vt3ot5wx5q
@user-vt3ot5wx5q Жыл бұрын
그쵸!!! 자주 듣는 말이면 아무리 불규칙이어도 안 잊는 말이죠! 아무 자연어에서나 자주 쓰이는 불규칙적인 말이 있답니다~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땡 ~ 어휘 선호도 오르는 게 아니라 그냥 무식한 거지. 비박을 아닐 비, 숙박 박으로 해석하는데 사실은 비박은 스페인어 독일어에서 온 말이고 한자어가 아님. 그냥 사전 찾아보기 귀찮으니까 패스~해서 생긴 거지... 무슨 어 휘 선호도..... ㅋㅋㅎ
@user-io2it2bl8t
@user-io2it2bl8t 3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숫자 막 익혔을 때 사흘 나흘을 열심히 외웠던 기억이 나네요 이틀의 이가 한자음의 이로 인식이 되서 헛갈려 했었는데 아이들에게 알려 줄 때도 이듬 부터 설명 한다면 훨씬 쉽게 이해 시켜 줄 수 있을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JungHoonRIM
@JungHoonRIM 4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dedododo9950
@dedododo9950 4 жыл бұрын
음력에서 고유어 날짜 쓰는 규칙은 처음 알았네요. 오늘도 하나 잘 배워갑니다.
@user-yg2ds5nu3y
@user-yg2ds5nu3y 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10일을 열흘 11일을 열하루 12일을 열이틀 이런식으로 가다가 15일을 보름 그리고 20일을 스무날 21일을 스무하루 이렇게 가다가 30일을 그뭄이라고 하죠.
@koreanajussi9332
@koreanajussi9332 4 жыл бұрын
15~19세기 국어 표기 1.(하루)ᄒᆞᄅᆞ,ᄒᆞᆯㄹ,ᄒᆞᆯㄴ,ᄒᆞ로,하로,ᄒᆞ루 2.(이틀)이틀,이ᄐᆞᆯ,잇틀,잇흘 3.(사흘)사ᄋᆞᆯ,사흘 4.(나흘)나ᄋᆞᆯ,나ᄒᆞᆯ,나흘 5.(닷새)닷쇄,닷새 6.(엿새)엿쇄,여쐐,엿새,엿ᄉᆡ,렷새 7.(이레)닐웨,닐에,니레,닐헤,니일해 8.(여드레)여ᄃᆞ래,여드래,여드레,여드ᄅᆡ,여들ᄋᆡ 9.(아흐레)아ᄒᆞ래,알흐래,아흐래,아흐레,아흐ᄅᆡ,아흐리 10.(열흘)열흘 15.(보름)보롬,보름 (달의 마지막날).(그믐날)그몸날,그믐날,금음날 참고:네이버 어학사전
@armudi5947
@armudi5947 4 жыл бұрын
닉네임 朝鮮ㅅ ㅅ나ㅎ.ㅣ로 해야 하지 않나요
@koreanajussi9332
@koreanajussi9332 4 жыл бұрын
@@armudi5947 어이쿠 ᄋᆡ로 착각했네요ㅋㅋㅋㅋ 지적 감사합니다ㅋㅋㅋㅋㅋ
@koreanajussi9332
@koreanajussi9332 4 жыл бұрын
@@user-he7eb9cp4n 아래아땜시 어째 발음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저도 아직 초보라서...ㅠㅠ
@koreanajussi9332
@koreanajussi9332 4 жыл бұрын
@@user-he7eb9cp4n 음...아래아(ㆍ)는 모르겠어서 어찌 설명을 못드리겠다만... 뭐 다른건 어찌 되겠죠 뭐... 일단 '엿새'의 15세기 중세국어 형태인 '엿쇄'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금의 한국어는 7종성법(ㄱ,ㄴ,ㄹ,ㅁ,ㅂ,ㅅ,ㅇ)입니다만 중세시대엔 8종성법(ㄱ,ㄴ,ㄷ,ㄹ,ㅁ,ㅂ,ㅅ,ㆁ)이라고 훈민정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세시대엔 종성에서 'ㅅ'이 발음이됬었다는걸 유추해볼 수 있죠. 그러니 '엿쇄'의 '엿'의 발음은 '여ㅅ'라고 생각해볼 수 있죠. 자,그럼 이제 '엿쇄'의 '쇄'를 봅시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엔 'ㅙ'를 '와이'라고 발음했다고 추측한다고 하네요. 그러니 '쇄'는 '솨이'가 되겠죠. 그러니 '엿쇄'의 발음은 '여ㅅ솨이'가 되는겁니다. 물론 이 또한 틀릴 수 있습니다... 제가 나무위키랑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생각해낸거니까요...ㅎㅎ 전 초보여서 잘모르기도 하구요... 일단 '엿쇄'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ㅎㅎ 이 댓글에 설명을 한대로 다른 단어들에도 적용해보시면 대충은 추측 가능하실꺼예요. 물론 아래아는 모르시겠지만... 아래아(ㆍ)의 발음은 'ㅓ'와 가깝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참 여러 의견이 많아서 헷갈리네요...ㅠㅠ
@koreanajussi9332
@koreanajussi9332 4 жыл бұрын
@@user-he7eb9cp4n 으허...이제 자야겠네용...
@miyuki457
@miyuki457 3 жыл бұрын
앞으로 히후미쌤이라 불러야겠네요 항상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berry_lucky
@berry_lucky 4 жыл бұрын
형 기다렸다구~~
@user-lq6nc2xx6z
@user-lq6nc2xx6z 4 жыл бұрын
저는 내심 어떻게 그걸 모르나 무시하는 마음을 갖고 있었는데 영상을 보고나니 그런 제가 부끄러워지네요,,,언제나 새로운 관점을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olot7365
@tolot7365 2 ай бұрын
그냥 우리나라 독서율이 최저라서 그래요. 공장식 인재 찍어내기를 지금도 고집하고있는 교육청 책임이 큽니다
@say-tc7dr
@say-tc7dr 3 жыл бұрын
2년전 한글맞춤법 관련 교양 수업을 들으면서 언어의 변화 과정을 정말 흥미롭게 들었는데 이런 것을 다루는 학문이 있었군요! 더불어 우리말 뿐만 아니라 세계 언어의 역사도 다루셔서 영상 정말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이 채널을 너무 늦게 알게 되었네요ㅠㅠ 이번에는 사흘의 뜻이 논란이 되어 이 영상을 만드셨겠지만, 우리가 자주 쓰는 다른 단어들에 대해서도 다루면 정말 재미있을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숟가락과 젓가락에서 받침이 달라진 과정이라던지, '기역 니은 디귿 리을 ...'에서 기역과 디귿, 시옷만 뒷글자가 규칙성을 따르지 않는 이유라던지요. (
@Cargold_
@Cargold_ 4 жыл бұрын
진짜 ㄹㅇ 유익하다...
@licht6887
@licht6887 4 жыл бұрын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캬취한다
@캬취한다 Жыл бұрын
그냥 화자들의 어휘 선호도가 달라지는거라는 향문천님 주장이 납득이 가요! 이 영상이 올라온 2년전에도, 지금도 젊은세대의 어휘력에 대해 논쟁이 있는데 전부 교육의 부재, 특정세대에 대한 결점으로만 그 해답을 찾으려는 모습, 왜 세대갈등이 과열되는지 추측해볼수 있는 현상인것같아요.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어휘선호도 오르는 게 아니라 그냥 무식한 거지. 비박을 아닐 비, 숙박 박으로 해석하는데 사실은 비박은 스페인어 독일어에서 온 말이고 한자어가 아님. 그냥 사전 찾아보기 귀찮으니까 패스~해서 생긴 거지... 무슨 선호도..... ㅋㅋ
@tut2627
@tut2627 4 жыл бұрын
교육적이야 너무 귀여워
@solmilo444
@solmilo444 4 жыл бұрын
유익하다 유익해~
@user-lq6cn2tv9c
@user-lq6cn2tv9c 4 жыл бұрын
오, 마침 궁금하던 거였는데 P.S. 누에님 아웃트로 이쁘네요 ^^
@einradida-doba-badida8813
@einradida-doba-badida8813 4 жыл бұрын
언어학은 인간의 언어 습관을 연구하는 학문이지, 타인의 언어 습관을 놀리거나 무식하다고 비판하기 위한 학문이 아닙니다. 이렇게 좋은 영상을 보고 나서도 나와는 다른 언어 습관을 가진 새로운 세대가 출현한 것을 하나의 언어 현상으로서 받아들이지 못하고 '무식하다'고만 하지는 맙시다.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4 жыл бұрын
여기가 문과 최고 아웃풋이라는 그곳인가요?
@user-gy2zp4vo4r
@user-gy2zp4vo4r 4 жыл бұрын
지겹지도 않나?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4 жыл бұрын
@@user-gy2zp4vo4r 그럴리가 ㅋㅋ 너같은 개꿀잼 악플러들이 넘쳐나는데
@acb5972
@acb5972 4 жыл бұрын
헐 대박 진짜 궁금햇던건데...!!!
@Lsjun_reo
@Lsjun_reo 4 жыл бұрын
사흘, 나흘 이런 건 일상적으로 대화할 땐 안 쓰긴 하지만 소설 같은 거 보면서 좀 접한 것 같네요. 여기서 말하는 소설 같은 것은 굉장히 넓은 범위를 말하는 겁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는 문학 인접 분야 등을 다 포괄해서요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3:22 요새 사람들 고유어보단 한자어를 더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제가 어릴 적만 해도 "하나도 모르겠다"라고 했던 문장이 "일도 모르겠다"라고 점점 바뀌어 쓰여가는 것을 보고 우리말이 점점 새삼 낯설게 느껴집니다.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4 жыл бұрын
1도 모르겠다는 누가 그냥 장난처럼 썼는데 유행처럼 퍼져서 다들 쓰는 거예요. 젊은 사람들도 "하나도 모르겠다"가 자연스러운거 알아요 ㅋㅋㅋㅋ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user-fk5kr9gx6q 그렇군요 ㅎㅎ 우리말이 사라질까 많이 걱정했답니다~~ ^&^
@ailaoot
@ailaoot 4 жыл бұрын
'1도 모르겠다'는 말은 유행어이긴 한데 원래 '하나도 모르겠다'를 아는 사람한텐 상관 없는 거지만 어린애들은 '1도 모르겠다'가 당연히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더라구요ㅠㅠ 제대로 아는 애들도 많겠지만 모르는 애들이 생각보다 많아서 이런 유행어 안 생겼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ㅠ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ailaoot 이런식으로 고유어가 점점 사라져가는 것 같아 마음이 아파오네요 ㅠㅠ
@Neky_Hina
@Neky_Hina 4 жыл бұрын
@@ailaoot 바로 이거죠. 당연히 10대 후반이나 20대들이야 '하나도'가 자연스럽단 걸 알지만, 문제는 어린 세대입니다. 얘네는 한국어가 여전히 발달 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때 '일도'를 접하면 그냥 그게 언어 뇌에 박혀서 뿌리내립니다. 걔네는 성장해서도 왜 윗세대가 '일도 모르겠다'를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지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hagosari
@hagosari 4 жыл бұрын
누에형이 돌아왔다♥ 누붕이들은 행복합니다
@jmiunghu
@jmiunghu 4 жыл бұрын
제주어붕이들
@user-rq5ge5ls7s
@user-rq5ge5ls7s 4 жыл бұрын
누에 붕알들?
@jmiunghu
@jmiunghu 4 жыл бұрын
@산호썸 누붕쿤!
@User_subung
@User_subung 4 жыл бұрын
박종현! 박종현! 박종현!
@User_subung
@User_subung 4 жыл бұрын
@산호썸 그립읍니다...
@heedongdong_S2
@heedongdong_S2 4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사흘을 왜 사흘이라 할까 궁금했는데 찾아볼 생각은 안해봤네요 ㅎㅎ 이런 이유였군요... 👍🏻
@taeoklee7346
@taeoklee7346 Жыл бұрын
일기예보에서 양력과 음력을 같이 말해주는 건 사소하지만 여러모로 좋은 것 같네요
@cozydreamproduction
@cozydreamproduction 4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좋아 이게 향문천넴이지
@user-mw9ol1bt7v
@user-mw9ol1bt7v 4 жыл бұрын
@zihozeon410
@zihozeon410 4 жыл бұрын
쉰 권이라고 하니까 아얘 못 알아먹는 게 의아했음. 지들이 모르는 주제에 50권이라고 고치게끔 교정하던데 그게 어이가 없었음. 한 번은 할머니 같은 말 한다는 말도 들음. 말이 돼 이게? 나중가면 갑을병정도 까먹을 듯
@ailaoot
@ailaoot 4 жыл бұрын
교정ㅋㅋ 요즘도 초등학교때 배우는 건데;;; 그런데 아얘가 아니라 아예입니다ㅎㅎ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ㅉㅉ 우리말이 사라져가는 구나..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모르면 배우면되는 건데 자긴 모른다고 알고있는 사람을 뭐라하다니.. 미래가 어둡네요.. 훗날 우리나라는 모르는 게 당연한 나라가 되어있겠네요 ㅉㅉ
@musiccafe8895
@musiccafe8895 3 жыл бұрын
@@user-tz2ol1hw1f 그럼 그때 젊은 세대가 우리한테 틀이라 하겠네요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3 жыл бұрын
@@musiccafe8895 꺄르륵 그러게나 말인 것이야요~
@Michaelcoffee
@Michaelcoffee 3 жыл бұрын
ㅎㅎ 열나흐레 입니다 듣기 너무 좋다
@user-qe6pb5gn8m
@user-qe6pb5gn8m 4 жыл бұрын
반갑습네다.
@es_ist_unmoeglich
@es_ist_unmoeglich 4 жыл бұрын
3:59 학문천
@user-wh2in1bt9n
@user-wh2in1bt9n 4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모아이돌 그룹의 아버지와 조부모가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때 '조부모' 역시 실검 1위를 찍었었는데요. 사망사건이라는 충격적인 소식과는 별개로 조부모 단어 자체를 몰라서 벌어진 일이었죠. (아버지는 검색어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야스쿠니 신사참배에서 신사가 신사숙녀할 때 신사가 아니냐는 시민들의 인터뷰도 있었구요. 이건 역사의식이 부족하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단어 이해력이 딸린다고도 볼 수 있겠죠. 이런 해프닝들이 생길 때마다 많이 답답합니다...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한문교육이 필요하겠군요!
@beer20
@beer20 4 жыл бұрын
그건 ㄹㅇ 무식한 것 같은데
@bardgold4553
@bardgold4553 4 жыл бұрын
@@user-tz2ol1hw1f 그냥 영어 쓰자 ㅋㅋㅋ 한국 사람들 한자 개 싫어하잖아. 한국에서 한자=중국/일본/친일파/꼰대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bardgold4553 나라이름부터 한자인걸요 ㅠㅠ
@user-om8qv9sf4v
@user-om8qv9sf4v 4 жыл бұрын
@@bardgold4553 한자 싫어하면서 정작 자기 이름에 대해서는 아무 생각이 없음
@lIlIlIlI-gs2qx
@lIlIlIlI-gs2qx 4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한글의 미래를 예측하는 영상을 만들어주세요!!
@tubsgus6148
@tubsgus6148 4 жыл бұрын
집중력 떡상
@BB-df9wt
@BB-df9wt 3 жыл бұрын
2:09 신기하네요... 옛날사람
@awandariselatan
@awandariselatan 3 жыл бұрын
언어학 전공자가 아니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언어학 전공 대학원생 뺨칠 정도의 실력을 갖고 계시네요.
@yaong_i
@yaong_i 4 жыл бұрын
그리운 목소리!!
@user-nd8ts9ss7b
@user-nd8ts9ss7b 4 жыл бұрын
수학땜에 그런가 다 한자로 읽으니깐
@yeon0911
@yeon0911 4 жыл бұрын
우리말이 최고
@Wook867
@Wook867 4 жыл бұрын
맞는지 모르겠는데 저 제주사람인데 우리 할머니는 나흘을 "소일" 이라고 하는게 기억납니다.
@segru3558
@segru3558 4 жыл бұрын
네. 아마 현대 제주어 발음은 그럴 걸요. 아래아가 ㅗ로 변했으니까.
@Darayomi
@Darayomi 4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지시다 뇌섹남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4 жыл бұрын
와 향문천 선생. 당신의 논리를 듣고 있으면 분탕질에서 벗어나 넓디 넓은 수평선을 바라보는 것 같소. 누붕이인게 자랑스럽소이다.♥
@마키마카롱
@마키마카롱 4 жыл бұрын
체육 수행평가 때 줄넘기 예순 네번했다고 하니까 애들이 왜 일부러 어려운 말을 쓰냐고 타박받았던 기억이 있네요... ㅋㅋㅋ 아무리 사람 심리가 그렇다지만 그래도 고유어가 사라지는 것은 아쉽네요... (근데 고유어를 뜻하는 고유어가 뭔지 지금은 왜 안 쓰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user-wj5tp2xt3r
@user-wj5tp2xt3r 4 жыл бұрын
초딩때였나 보네요ㅋㅋㅋ
@마키마카롱
@마키마카롱 4 жыл бұрын
@@user-wj5tp2xt3r 현재 중3이고 작년에 있었던 일입니다...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4 жыл бұрын
애들 셀 때 겁나 웃겨요 ㅋㅋㅋㅋ 하나 둘 셋 넷 하면서 세다가 열아홉 이십 이십일 이십이 이십삼 ... 이럼 ㅋㅋㅋㅋ
@마키마카롱
@마키마카롱 4 жыл бұрын
@므에엥 토박이는 土박이입니다.
@마키마카롱
@마키마카롱 4 жыл бұрын
@@user-fk5kr9gx6q ㅋㅋㅋㅋㅋ
@Spector_Cheese
@Spector_Cheese 4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진짜 생명체같다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이성이니 뭐니 하지만 걍 똑똑한 동물이지 ㅋㅋ
@atdt1008
@atdt1008 3 жыл бұрын
예전 초등학교(국민학교) 다닐때 몇번 국어시험에 나왔던 기억이 있네요. 그땐 매번 문제를 맞추지 못했던..
@izl9191
@izl9191 4 жыл бұрын
따끈따끈한 새 영상이네요 역시 열심히 닦아야죠 학문말이에요 학문
@thepackman6741
@thepackman6741 4 жыл бұрын
3:30 자막에 '구어에서 구어에서'라고 적혀있습니다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4 жыл бұрын
다른 단어지만 ' 일부러 ' 를 요즘 애들은 '일부로' 로 쓰는 경우가 꽤 많더군요. 특히 만화책이나 인터넷 댓글에서...
@user-ou5jh1us2k
@user-ou5jh1us2k 4 жыл бұрын
일부러 함부로 폭발 폭파 헷갈리는 사람들 많습니다. 오죽하면 폭팔이라고 적을까요....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4 жыл бұрын
@@user-ou5jh1us2k 국어 선생님들이 더 애써야...ㅋㅋ
@user-ou5jh1us2k
@user-ou5jh1us2k 4 жыл бұрын
Ji Sung Park 국어선생님 보다는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 문제 이닐까요? 선생님들이야 교육 시스템에 맞춰 가르치기만 하면 되니까요. 근데 사실 제일 중요한 건 학생들이 배우고자 하는 의지가 없어서 문제지요 ㅠ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4 жыл бұрын
@@user-ou5jh1us2k 어차피 의지박약한 아이들은 수업시간에 침흘리고 잔다죠. ㅎㅎ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4 жыл бұрын
그런 글을 보면 나까지 잘못써지게 되는
@user-ib7oo6gw6u
@user-ib7oo6gw6u 4 жыл бұрын
저도 거의 성인 전까지는 사흘을 4일로 알고 있었다가 3일이란 걸 알았을 땐 왜지? 싶었는데 이렇게 3년만에 의문을 해소하네요ㅋㅋㅋ 감사합니다
@wallnut1972
@wallnut1972 4 жыл бұрын
이 떡밥을 안 다루실 줄 알았는데 결국 다루시는군요
@zombiuk89
@zombiuk89 4 жыл бұрын
중세국어의 방점은 가로쓰기시에는 글자 윗쪽에 붙이는게 더 읽기 좋을 것 같아여
@namutnipp
@namutnipp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맞아요
@user-bf8fd3or3b
@user-bf8fd3or3b 4 жыл бұрын
1일 후 -> 하루 뒤 -> 내일 2일 후 -> 이틀 뒤-> 모레 3일 후 -> 사흘 뒤 ->??? ???는 글피입니다. 이거 모르는 사람도 많더라구요ㅠㅠㅠ
@Hobak_Goguma
@Hobak_Goguma 4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 저도 요즘 알게 됐는데 내일모레는 모레와 똑같은 말이래요! 진짜 쇼크였어요
@Home_gravity
@Home_gravity 4 жыл бұрын
추가로 4일 뒤는 그글피입니다 그끄저께랑 비슷한 양상
@grapehc
@grapehc 3 жыл бұрын
@@Hobak_Goguma 그런데 '엊그저께'는 또 그저께가 아니라 3일 전이라는 뜻임 ㅋㅋㅋ 대환장파티
@landmark254
@landmark254 3 жыл бұрын
발화가 아닌 문자를 사용하는 SNS 상 소통이 많아지면서 과거보다 언어의 경제성이 더 부각된 면이 크다고 봅니다. 뿐만 아니라 세대간 소통이 점점 단절되면서 과거로 부터 이어지던 다양한 어휘가 일상에 자리잡지 못한 면도 크다고 생각되네요.
@MrZiachi
@MrZiachi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질 높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의뢰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우연한 기회에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땅이라는 단어가 지금 중앙아시아의 땅이라는 단어인 스탄과 비슷한 쓰땅이라고 발음되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혹시 내용이 사실인지 확인 가능할까해서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ser-cy3ok7vx4d
@user-cy3ok7vx4d 4 жыл бұрын
지식이 늘엇다....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백만 넘긴다
@yungchos
@yungchos 4 жыл бұрын
유익
@호랑좌
@호랑좌 4 жыл бұрын
0:44 시작 4:54 마침
@kimsiu3587
@kimsiu3587 3 жыл бұрын
@@Polooon1972 특이하게 여기만 한글로 번역함ㅋㅋㅋㅋ
@ailaoot
@ailaoot 4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마실 간다고 했다가 친구한테 말 특이하게 한다는 소리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ㅎㅎ 숫자도 백마흔두 개 이런 식으로 센다고 욕먹은 적 있는데ㅠ 그거 지적한 놈은 백사십두 개라고 하더라는...
@user-bf8fd3or3b
@user-bf8fd3or3b 4 жыл бұрын
백마흔둘, 백사십이 도 아니고 백사십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4 жыл бұрын
엌.
@dolgum826
@dolgum826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요즘 애들은 마실도 모르더이다.
@lilixzv9644
@lilixzv9644 4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선생님이 사흘동안 잘 쉬고오라했나 그래서 내가 삼일인데 어떻게 사흘동안 쉬고오냐 이랬었는데 한글이 딸린다고 했나 그래서 아직도 머릿속에 남아있음 ㅅㅂ 진짜
@ailaoot
@ailaoot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gq5nl5dl1c
@user-gq5nl5dl1c 4 жыл бұрын
누붕쿤..
@Luiges
@Luiges 3 жыл бұрын
한국어...
@user-lg3lc5ym3j
@user-lg3lc5ym3j 3 жыл бұрын
어... 선생님이 참스승이시네...
@mhl2841
@mhl2841 5 ай бұрын
스승의 은혜
@tfwefeaqef
@tfwefeaqef 4 жыл бұрын
이참에 현재의 언어에서 표준문법과 다르게 사실상 발음의 차이가 없는 ㅐ와 ㅔ, ㅙ와 ㅚ의 차이등등 한국어 진화의 현재 상황을 알려주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joonyongkim3184
@joonyongkim3184 4 жыл бұрын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예전부터 궁금하다가 북한 일기예보 영상 보고 댓글 남깁니다. 혹시 나중에 시간 되시면, 북한 지역에서 왜 ㅓ, ㅕ 발음 계통을 우리보다 입을 더 오므려서 ㅗ, ㅛ와 비슷하게 발음하는지에 대한 영상을 제작해주실 수 있나요?
@kingbear540
@kingbear540 4 жыл бұрын
항문천님께 드리는 질문글. 날을 세는 말인 그저께, 어제, 오늘, 내일(来日), 모레, 글피에서 왜 내일이라는 낱말만 한자어인지 궁금합니다.
@blackcafein
@blackcafein 4 жыл бұрын
그런데 '내일' 자체가 한자가 아닌, 고유어 바탕의 어휘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내일은 한자로 明日로 쓰고, 來日이라고 쓰면 tomorrow가 아니라 앞으로 올 날들의 의미하며, 나아오다의 '나'에 '날(日)'을 뜻하는 '흘' (잍흘/사흘/나흘/ 열흘)이 붙어 나알>나일/내일에서 우연히 음가가 같은 한자어 來日과 통합되어 사용된 것이라 합니다. 라고도 나오네요 신기하네요!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어떤 사람은 내일의 순우리말이 후제, 올제 이러던데
@growlermaverick2589
@growlermaverick2589 4 жыл бұрын
어릴 때 넘어져서 무릎을 다치면 어머니께서 '후~~제에 낫는다' 라고 하셨던 기억이 나네요. 그런데 '내일'의 순 우리말로 '후제' '하제' '흘제'를 든다하니 신기합니다. . 다른 분 말씀처럼 내일은 오늘의 다음날이 아니라, 앞으로 올 날의 뜻이 아닐까요. 중국어도 明天, 일본어도 明日로 쓰고 분명히 우리도 明日(명일) 이라는 말을 쓰니까요. (물론 요즘은 거의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만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4 жыл бұрын
@@growlermaverick2589 후(后)제 하(下)제 라는 의견도 있어연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4 жыл бұрын
내일을 뜻하는 옛 우리말 어휘가 "할제", "하제" 말고도 "올제"였다는 가설이 있는데 여기서 "올" → 來(올 래), "제(때)" → 日(날 일)로 그대로 치환했을 수도 있겠네요.
@leeahcl6942
@leeahcl6942 4 жыл бұрын
이런거 틀리고살거면 한글날에 한자어쓰지말자니 뭐니 하지말자고
@ailaoot
@ailaoot 4 жыл бұрын
옳습니다.
@user-gy1vg5pk7b
@user-gy1vg5pk7b 4 жыл бұрын
아예 국한문혼용쓰자ㅋㅋ 병신들 보기도 역겨움ㅋㅋ
@fc-nl6ik
@fc-nl6ik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한글날은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든 날인데 무식한 놈들이 언어 얘기 하지 ㄹㅇ 맞춤법이나 공부하든가
@user-vc7hi3xc7z
@user-vc7hi3xc7z 3 жыл бұрын
@@rakimmayers2002 ㅇㅈㅋㅋㅋㅋㅋㅋㅋㅋ
@marlintaylor6943
@marlintaylor6943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user-yx7pb6qd7l
@user-yx7pb6qd7l 3 жыл бұрын
뇌도 섹시하고 목소리도 섹시해요
@user-hs1jo8pg7z
@user-hs1jo8pg7z 4 жыл бұрын
형아 왔다!
@youngbinlee5527
@youngbinlee5527 4 жыл бұрын
난 형이 중세국어 단어 발음할때 제일 섹시하더라 ❤️
@winnesbogum
@winnesbogum 4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의 해요체는 정확히 어디서 기원했고 언제 처음 쓰였나요?
@xeniabichler5103
@xeniabichler5103 3 жыл бұрын
하다=>하여요=>해요 하엿사와요=>하였어요=>했어요
@user-cx2hb7jp4l
@user-cx2hb7jp4l 4 жыл бұрын
음력날짜 알려주는거 신선하고 괜찮은데? 소중한 우리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배울 점인듯
@chogeukchoigang
@chogeukchoigang 2 жыл бұрын
4:19 저는 초하룻날 처럼 ㅅ과ㄴ이 연달아오는 경우를 빠르게 읽다보면 가끔 반시옷[z]처럼 발음하기도 하는데 창제 당시에도 이런 현상이 있었을까요?
창씨개명이 바꾼 것들
12:03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398 М.
[한글날 기념]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
13:09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48 М.
Опасность фирменной зарядки Apple
00:57
SuperCrastan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Summer shower by Secret Vlog
00:17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Llegó al techo 😱
00:37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한글이 소중한 진짜 이유는?
4:29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77 М.
신라는 왜 무슬림들의 이상향이 되었는가?
10:16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07 М.
사라져 버린 순우리말 지명의 비밀
6:01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160 М.
영어 철자를 정상화하려 한 사람들: 철자 개혁론
14:45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60 М.
중국과 일본은 왜 아직도 한자를 사용할까? 「한자폐지론」
12:23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처음 듣는 마르크스의 실체
25:13
써에이스쇼 sirace show
Рет қаралды 69 М.
도기 보나 - 단어 123개의 미니멀리즘 언어
6:16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19 М.
일본 궁중 음악 속에 숨겨진 고대 한국어
8:15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46 М.
Опасность фирменной зарядки Apple
00:57
SuperCrastan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