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은 왜 영국의 오른쪽 핸들 정책을 선택했을까?

  Рет қаралды 56,717

취재대행소 왱

취재대행소 왱

9 күн бұрын

세계적인 관광대국 태국. 물가 싸고 여행하기 좋은 곳인데 유독 눈에 띄는 게 있다. 우리와 달리 자동차 운전대가 오른쪽에 있고 차량들은 좌측통행을 한다는 거다. 일반적으로 영국 식민지를 경험했던 나라들은 자동차 핸들이 오른쪽에 있지만 태국은 세계대전이 벌어졌던 20세기 제국주의 열강의 지배를 받았던 동남아에서도 독립을 유지한 나라였다. 유튜브 댓글로 “태국은 식민지가 된 적도 없는데 자동차 운전대가 오른쪽에 있는 이유가 궁금하다”는 의뢰가 들어와 취재했다.
#태국 #궁금증 #취재대행소왱
▼▼▼ 댓글로 취재를 의뢰하세요! ▼▼▼
- 링크 -
인스타그램 : / wng_project
페이스북 : / wngproject

Пікірлер: 186
@user-ym8pk9iv9c
@user-ym8pk9iv9c 7 күн бұрын
세계에서 가장 큰낭비라고 생각되는 일 중 하나 핸들이 왜 한쪽으로 통일되지 않았는지. 그리고 미국이 국제표준 단위인 m랑 kg 등의 단위를 안쓰는 것 이런게 전세계적으로 큰낭비라고 생각됨.
@user-gx5iv9qt6d
@user-gx5iv9qt6d 6 күн бұрын
미국 입장에선 국제표준에 맞게 바꾸는게 더 낭비임. 바꾸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드니까
@intelamd3076
@intelamd3076 6 күн бұрын
도량형을 바꾸는 건 돈이 그렇게 많이 들지도 않고,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도 않아요..대표적인게 우리나라 쌀 표기입니다. 예전엔 한 되, 한 말, 한 가마니로 셌지만, 지금은 완전히 kg으로 통일 되었죠...미국이 도량형을 바꾸지 않는건 오히려 미국만의 고유한 문화이기에 지켜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느끼는게 더 크다 생각합니다.
@3ae992
@3ae992 6 күн бұрын
나사에서 야드 파운드 때문에 로켓 하나 날려먹은 이후로 과학계는 미국도 미터법 쓴다네요
@user-xr2ki9bv7t
@user-xr2ki9bv7t 6 күн бұрын
​@@intelamd3076 무슨소리에요 ㅋㅋ 평과 제곱미터가 혼재되어 사회적으로 혼란 온다고 평을 없앴는데 아직도 사회적으로 평을 쓰고있죠? 근도 채소나 육가공점에선 아직도 쓰고있고요 가마니 되 섬 아직도 농산품 시장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도량형은 아니지만 윤석열이 한국식나이 없앤다고 만나이로 통일하자고 했는데 아직도 지지부진하죠? 그만큼 도량형은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바꾸기가 어려운겁니다
@user-xr2ki9bv7t
@user-xr2ki9bv7t 6 күн бұрын
​@@intelamd3076미국이 안 바꾸는 이유는 단 한가지 입니다 너무너무 불편하고 발생되는 비용도 많은데요 세계 초강대국인 우리가 바꿀순 없다 니들이 바꾸려면 바꿔라 우린 안 불편하다 이겁니다 즉 자존심 때문입니다 세계 1등은 우리 미국이니 너네가 우릴따라야지 우리가 너네를 따를순 없다 이겁니다
@hayeonkim7838
@hayeonkim7838 7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정보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shalessandro
@shalessandro 7 күн бұрын
태국의 운전대가.....오른쪽인건 영국왕실 영향
@user-mu9lt5it7k
@user-mu9lt5it7k 7 күн бұрын
역시 뭔가 거시기 하면 영국
@user-ob9kk2gu6e
@user-ob9kk2gu6e 7 күн бұрын
영국 또 너야?
@bori0431
@bori0431 7 күн бұрын
왜이러지? 싶은걸 영국을 찍으면 대부분 맞는다고 한다 나는 이제 이 이야기가 무서울 정도다
@mjk6373
@mjk6373 6 күн бұрын
영국왕실이 왼손잡이니
@user-yh1gi8xc6m
@user-yh1gi8xc6m 6 күн бұрын
@@mjk6373그건 아님 영상에서 나오잖어 마차문화때문이라고
@user-sk5nz6fb4h
@user-sk5nz6fb4h 7 күн бұрын
태국에 일본차가 많은 이유는 태국현지에 자동차공장을 설립 .... 특히 도요타의 사업방식이 현지생산(제작은 아니고 현지 조립에 가깝고)이라 현지에 많이 팔림, 자동차회사중 해외공장이 제일 많은게 일본자동차 회사. 장점 : 현지생산 이라 관세없음(주요자재는 수입, 이게더 남는장사) 단점: 현지국민들은 자기나라가 자동차 생산하는줄 안다.(판매에 도움 되긴하고)
@user-sj8ug1fo6s
@user-sj8ug1fo6s 6 күн бұрын
덧붙이자면 관세 영향도 큽니다. 외제차가 일종의 사치품으로 분류되 어마무시한 관세를 매깁니다. 예를들면 카니발은 우습게 1억 넘어 갑니다. 부품역시 관세를 많이 붙이다보니 현지에서 부품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고 as 받을려고해도 부품을 받아서 고쳐야 하니 1~2주는 넘어가니 싸고 as 빠르게 가능 하고 튼튼하기 까지 하니 일본차가 많을수밖에 없습니다.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6 күн бұрын
태국은 아니지만 같은 우핸들 좌측통행인 말레이시아에서 운전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한국에서 운전했던 기간보다 말레이시아에서 우핸들 운전하는 기간이 더 길긴 한데 여전히 좌핸들이 편하긴 합니다. 기어조작이야 요즘에는 자동변속이라 상관없지만 중앙 센터페시아 조작할때 아무래도 오른손 잡이이다보니 좌핸들차량 오른손으로 조작할때보다는 좀더 신경쓰이는 편입니다. 무엇보다 발페달은 좌핸들 차량과 동일한 배치라 가운데 브레이크 오른쪽 엑셀페달인데 좌핸들 차량은 왼발 풋레스트에 좀더 추가적인 공간이 있어서 다리를 좀더 여유롭게 펼수 있는데 우핸들 차량은 풋레스트가 조수석과 운전석을 나누는 가운데 벽(?) 에 딱 달라붙어있다보니 왼쪽다리를 펼수 없어서 항상 벽에 다리가 밀착상태인게 블편하긴 합니다. 그리고 엑셀페달이 오른쪽에 있다보니 간혹 차량에 탑승할때 페달이 밟히기도 합니다. 클러치있는 좌핸들차량 탑승시 클러치페달이 밟히는것과 비슷한 상황이죠 그리고 특이한점이 우핸들차량들도 방향지시등과 와이퍼 레버가 좌핸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달려있는 영국식 우핸들 차량과 반대방향으로 달려있는 일본식 우핸들 차량들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일본차량들은 대부분 방향지시등 우측, 와이퍼레버 좌측 으로 달려있는데 유럽차들은 방향지시등 좌측, 와이퍼레버 우측에 달려있고 한국차들도 모델에 따라 레버방향이 제각각이라 만일 일본차에서 비일본차 혹은 비일본차에서 일본차로 차량을 바꿀경우에는 마른하늘에 와이퍼를 움직이거나 하이빔 쏴야하는데 워셔액 찌익 나오는 허탈한 상황이 나오기도 합니다. 외국인들뿐만 아니라 현지인들도 일본차비일본차 바꿀때 종종 실수를 합니다.
@user-oe5qg1dk5j
@user-oe5qg1dk5j 2 күн бұрын
와… 진짜 꿀팁 감사합니다
@fallInThai
@fallInThai 6 күн бұрын
태국에서 쓰는 영어기반 일상단어도 영국영어가 많음 엘리베이터(X) 리프트(O) 테이크아웃(X) 테이크어웨이(O) 1층(X) G층(O) 패키지(X) 파셀(O) 싸커(X) 풋볼(O) 이런거
@joohyungha
@joohyungha 6 күн бұрын
동남아는 전반적으로 영국식인거 같아요
@user-ym9zj2wo4t
@user-ym9zj2wo4t 6 күн бұрын
애초에 미국식 영어 배우는 나라가 적음
@newbalance90
@newbalance90 5 күн бұрын
테이크아웃은 어디서쓰나요? 투고아닌가
@fallInThai
@fallInThai 5 күн бұрын
@@newbalance90 일본 한국에서 씀 콩글리시 재플리시
@k-student7247
@k-student7247 5 күн бұрын
트레시캔->빈
@user-mf1gi1bp4l
@user-mf1gi1bp4l 5 күн бұрын
취재의뢰합니다! 삼거리 자동차 신호등을 보면 좌회전만 되는 신호에서 굳이 적색신호와 좌회전신호가 같이 점등될이유가 있나요? 좌회전만 점등되도 될거 같은데 궁금합니다
@LevinTrueno5672
@LevinTrueno5672 6 күн бұрын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의 과거 좌측통행 방식을 쓰게됐는데 지배했던 네덜란드는 우측통행으로 바꾼건 맞지만 정작 인도네시아는 그대로 냅둔겁니다.
@user-us7oq9cj1k
@user-us7oq9cj1k 5 күн бұрын
요즘 가전제품을 렌탈을 많이 하는데 실제로 구매보다 렌탈이 카드할인까지 하면더 싸고 서비스 및 AS기간도 깁니다. 왜그런지 취재해주세요
@eugene249
@eugene249 5 күн бұрын
태국은 좌측통행인데, 국경을 맞대고 있는 라오스, 캄보디아는 우측통행임. 그럼 양국 자동차들이 국경을 넘어갈때 서로 좌우로 크로스 할 모습 상상하니 재미있음.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5 күн бұрын
실제로도 유튜브에 한국인인데 태국살면서 태국차량운전하는분이 라오스 국경 넘어서 우핸들 우측통행 하는 영상도 있고 한국차로 부산항에서 배타고 일본 건너가서 운전하는 영상들도 많아요. 반대로 우핸들 일본차를 한국으로 가져와서 운전하는 일본인들도 있구요.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6 күн бұрын
태국은 말이좋아 독립국이였지 식민지나 차이 없었지
@mjk6373
@mjk6373 6 күн бұрын
우핸들 스틱은 왼손잡이 전용차량일듯
@wdkim8407
@wdkim8407 5 күн бұрын
오른쪽 핸들 국가들 공식 행사 보면 왕이하 군인 간부까지 칼을 착용 함. 왼핸들 차량에 칼차고 운전 못함. 실제 운전보다 사고 기준이 결정권자들의 편의 기준.
@user-ht9em9sc4c
@user-ht9em9sc4c 6 күн бұрын
취재의뢰합니다. 요즘 자동차에는 기어봉대신 버튼이나 다이얼로 쓰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user-uw8ii7ok2u
@user-uw8ii7ok2u 6 күн бұрын
예전 자동차 트랜스미션은 기계식으로, 기어 직결포지션을 기어봉을 이용해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나 요즘의 트랜스미션은 전자식으로 자동차 CPU에서 기어변속 신호를 인식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버튼이나 다이얼등을 사용해도 상관없기 때문입니다. 기어봉을 통해 트랜스미션과 물리적인 연결이 필요 없어졌기 때문에 요즘 버튼이나 다이얼형식의 기어장치 밑에는 공간을 만들 수 있고 수납공간이나 개방감을 위해 공간을 비워놓는 게 가능한 디자인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Flash_bang_boi
@Flash_bang_boi 5 күн бұрын
위에 분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덧붙이자면 자율주행, 원격주차 등 운전자의 조작, 또는 운전석에 운전자가 없이 차량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전자식 기어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junyshin5843
@junyshin5843 7 күн бұрын
이거 보니깐 우린 일제시대도 겪었는데도 좌핸들에 좌측통행안하고 있는건 반감때문에 바뀐건지... 나 국민학교 다닐때만해도 좌측통행 이런 문구 많이 보긴했는데...
@Ycmjg37143
@Ycmjg37143 7 күн бұрын
사실 그것보다는 좌측보행이 불편해서 그랬을 겁니다. 사실 좌측보행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말이나 자전거 등등의 1인 이동수단에 맞는 제도거든요. 그래서 전근대시기에는 어느 나라든 다 좌측통행+ 좌측보행을 했었다고 합니다. 말이나 자전거를 탈 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넘기면서 타는 게 더 편했고 수신호를 오른손으로 하는 것이 더 편하다보니 좌측통행이 기본이었다고 합니다. 이로인해 보행자들도 당연히 좌측통행으로 다녔다고 합니다. 물론 보행자에게 편한 제도는 아니였죠. 왜냐하면 말이나 자전거 등등이 우선이었기 때문이에요. 근데 1인 이동수단이 아닌 다인용 자동차가 등장하고 거기에 기어를 조작하는 것이 등장하니 좌측통행이 불편해지기 시작했고 그러던 상황에 미국이 들어오면서 좌측통행 도로를 우측통행으로 바꾸는 사업을 시작했어요. 그러나 보행자 통행방식은 여전히 좌측보행이었는데 보행자들이 점점 전근대적인 좌측보행에 너무 불편해하기 시작하면서 정부가 우측보행으로 바꾼겁니다.
@teio748
@teio748 7 күн бұрын
정확히 말하자몀 미군정 들어서고 미국 영향으로 우측통핸을 선택한거죠
@user-oj9ez2us7e
@user-oj9ez2us7e 7 күн бұрын
찾아보니 일제강점기 때는 좌측통행을 하였다가 광복 후 미군정체제가 되면서 우측통행으로 바뀌었다고 하네요
@user-gx5iv9qt6d
@user-gx5iv9qt6d 6 күн бұрын
한국 철도 시스템은 지금도 일제시대 영향으로 좌측통행이죠. 인도네시아 같은 경우 영국 식민지 영향으로 도로 통행은 좌측통행인데, 이후 네덜란드 식민지 때 철도 시스템이 구축되어서 철도는 우측통행입니다. 우리랑 다 반대죠.
@javaxerjack
@javaxerjack 6 күн бұрын
그냥 미국.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6 күн бұрын
미얀마는 너무 무리하게 바꿔서 큰 사회문제가 되었습니다.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6 күн бұрын
게다가 우측통행 바꾸고도 일본이나 다른나라에서 쓰던 우핸들 차량도 계속 수입해다 팔았었죠
@Busan-sub
@Busan-sub 6 күн бұрын
가끔 가다가 코에서 숨을 크게 내쉬면 휘파람 소리가 나는데 이거는 어떤현상인지 궁금합니다!
@HARAHAUM
@HARAHAUM 6 күн бұрын
비강 코골이 입니다. 비강이 부분적으로 막힐 때 휘파람 소리 비슷하게 나기도 한다네요.
@jayyoo906
@jayyoo906 5 күн бұрын
한국사람들, 방콕 길 건너며, 차에 자주 치인다. 방콕길을 건늘 때 반드시 오른쪽을 먼저 보고 왼쪽을 보라. 서울에서는 왼쪽부터 보고 오른쪽을 보는게 자동화 되어 있다.
@idh1975
@idh1975 5 күн бұрын
취재 의뢰합니다 왜 공공기관,특히 지하철에서 행해지는 노점과 종교행위는 근절되는 게 어렵나요?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3 күн бұрын
지하철 노인무임승차때문입니다
@nothing_is_perfect
@nothing_is_perfect 5 күн бұрын
취재를 의뢰합니다. !! 감을 먹으면 변비에 잘 걸린데요 진짜인지 취재해주세요! ( 1일차
@user-nk2zr3gn5f
@user-nk2zr3gn5f 4 күн бұрын
가장 큰 이유는 일본의 차가 오른쪽에 운전석이 있다는 거다 태국에서의 자동차는 전부 일본의 자동차다
@JML-el2yf
@JML-el2yf 3 күн бұрын
거꾸로다. 일본이 동남아 거점 공장을 태국에 많이 지어서 태국에선 생산한 일본차가 많은 거다. 태국은 수입차 관세가 100%가 넘는다.
@user-hz9fk8uc8j
@user-hz9fk8uc8j 7 күн бұрын
아직 영상안봤는데 영국때문일듯
@Kimelic7
@Kimelic7 6 күн бұрын
종답이에용~
@mjk6373
@mjk6373 3 күн бұрын
세계사에서 혐성국은 🇬🇧
@user-qt5fe3sj1z
@user-qt5fe3sj1z 6 күн бұрын
일본은 1950년대에 우측통행 정책 폈으면 캐나다처럼 충분히 성공했을 거 같은데 거부한 건가
@user-fl7hk4do3x
@user-fl7hk4do3x 6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일본차가 잘나가지만 1950년 때는 미국차가 잘 나가서 오히려 미국차가 일본 시장 다 점령 할거 같아서 우핸들 고집한것도 있음
@sinla14
@sinla14 6 күн бұрын
🇯🇵🇹🇭🇬🇧 ❤
@user-yh3io9hr8k
@user-yh3io9hr8k 6 күн бұрын
일본도 1960년대 초반에 캐나다처럼 미국 지동차 시장의 영향으로 좌핸들 우측통행으로 도로교통법 바꾸려고 시도 했었는데 결국 무산 되었다고 합니다.
@mjk6373
@mjk6373 4 күн бұрын
영국 식민지, 사무라이 문화땜에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3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옛날에 차가거의 없었지만 일본은 그때 이미 자동차가 대중화된 시점이었습니다
@Saynunuhi
@Saynunuhi 7 күн бұрын
오 일본 영향일 줄 알았는데 영국 영향일 줄은 생각 못했네요
@junkl01
@junkl01 6 күн бұрын
히밥이 서브웨이에가서 100개 주문하는 숏츠보다가 궁금해 졌는데, 히밥이나 쯔앙처럼 대식가가 서브웨이가서 대량으로 구매하는 경우 점주나 알바입장에서 좋은지 안 좋은 지 궁금해요. 댓글을 보니 점주는 좋고, 알바는 힘들다는 이야기도 있고, 점주도 좋고 알바도 좋다는 소리도 있고, 기존 고객 때문에 단체 주문을 싫어한다는 소리도 있어서. (점주가 쓴건지 알바가 쓴건지 알 수도 없고.) 궁금해 졌습니다. 별거 아니지만, 취재거리 부족하거나 하면 한번 알아봐 줬으면 하네요.
@user-tf9fq1oo6c
@user-tf9fq1oo6c 5 күн бұрын
쓸모없는 궁금증
@woo_lee
@woo_lee 6 күн бұрын
지하철 창문 위쪽은 왜 색이 다르나요? 서서 한강 보려면 파란샥으로 보여서 잘 안보여요
@mjk6373
@mjk6373 3 күн бұрын
자동차 앞유리처럼 된 편성을 타신거같네여
@user-pj1li9lh2h
@user-pj1li9lh2h 5 күн бұрын
중고차 수입하는 나라, 특히 동남아 도로에선 왼쪽, 오른쪽 핸들 차량이 혼재해 있을텐데, 차선 개념이란 있을지 궁금합니다.
@JML-el2yf
@JML-el2yf 3 күн бұрын
태국의 자동차들은 대부분 태국공장들에서 만든 자동차들입니다. 태국의 수입차는 관세가 100%가 넘습니다. 그래서 태국에 직접 공장을 만든 일본차들이 많은 거고. 그래서 태국에선 차선 개념 있습니다.
@user-pj1li9lh2h
@user-pj1li9lh2h 2 күн бұрын
@@JML-el2yf 태국 외의 나라는 딱히 기준이 없다고 보는편이 맞겠군요.
@user-iq2qj8tu4t
@user-iq2qj8tu4t 5 күн бұрын
ㅋㅋ 왼쪽에 있는것만 타다가 오른쪽에 있는차 타니 공간 감각사라짐ㅋㅋ
@user-fv4cx4un9f
@user-fv4cx4un9f 6 күн бұрын
태국가이드한테 들었는데 태국에서 현대차 끌고 다니는거 보면 로또사라고합니다~ 태국에선 도요타가 3~4천만원인데 현기차가 7천만원한다네요 그래서 일본차가 많습니다!!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6 күн бұрын
코로나전에 푸켓에서 렌터카 빌려서 다닌적이 있는데 스타렉스는 종종 보이긴 했었습니다. 아무래도 알파드/벨파이어는 일본생산이다보니 1억이 넘는차라 비싸고 그외 일본 승합차들은 옛날 봉고차형이다보니 대안으로 스타렉스가 어느정도 팔린듯 해요
@user-rt5ic7ob5g
@user-rt5ic7ob5g 4 күн бұрын
주로 섬나라들이 오른쪽 운전대네요..
@user-kl8ti7xi1t
@user-kl8ti7xi1t 7 күн бұрын
내 칼을 받아라 어원이나 기원이 뭔지 취재부탁드려요 일반적인 문장이 아닌데도 대중에 녹아들어서 계속 쓰이는데 막상 찾아보니 특정할 수 있는 어원이 찾아지지를 않네요ㅠㅠ
@sunpoya
@sunpoya 6 күн бұрын
셰익스피어 작품의 영향이 아닐까요? 햄릿이나 맥베스가 딱 떠오르는데.
@winner247
@winner247 3 күн бұрын
지방 광역시 동 인구보다 많고 인프라도 모여있고 여느 광역시 동급으로 좋은데 단지 놀고있는땅이 많다고 화성시에 읍으로 혜택보는거 왜 그러는지 취재부탁합니다
@Australia789
@Australia789 6 күн бұрын
홍콩, 마카오도 운전석 오른쪽
@nomatterhw
@nomatterhw 7 күн бұрын
우측통행이 생긴 이유와 우리나라가 좌핸들인 이유가 더 궁금하네요 전
@mjk6373
@mjk6373 6 күн бұрын
미국, 독일, 프랑스 영향때문
@user-vu9lr4qi6e
@user-vu9lr4qi6e 6 күн бұрын
1. 대부분의 사람이 오른손잡이이고, 기어봉의 위치가 오른쪽인 편이 편하기 때문 2.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 이후 미국의 영향을 받아 자동차 통행 방향이 바뀜 3. 그럼 미국은 왜 우측통행 좌핸들인가 하면 유럽에 비해 빠른 자동차 도입 등이 이유로 될 수 있겠지만 정확하게는 모름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3 күн бұрын
영국의 소형마차는 마부가 오른쪽에앉는게 유리했지만 미국의 대형마차는 마부가 왼쪽에앉는게 더 유리했으니까요
@MSIP-REI-M10-MWK08
@MSIP-REI-M10-MWK08 7 күн бұрын
왕정국가에서는 왕만 오른쪽 길로 다닐 수 있고 백성&서민들은 왼쪽으로만 다녀야 해서 그렇다고 들었는데ㅋ 카더라였나 보네
@jaehwanjung2286
@jaehwanjung2286 6 күн бұрын
말이 식민지가 안된거지 영국,프랑스 공인 공식 호구였음 땅떼어주고 길열어주고 자원퍼주고ㅋㅋ 태국 왕실이 당시에 박쥐짓 엄청 잘했음. 태평양전쟁때는 일본이 선전포고 하자마자 바로 항복하고 일본이랑 동맹 맺은적도 있음ㅋㅋ
@user-uf3zi3th6z
@user-uf3zi3th6z 5 күн бұрын
단지 식민지 지배뿐만 아니라 영국 속국과 다르지 않았다. 군사, 사법, 행정체계가 다영국식 조선 청나라 생각하면됨
@user-scplus
@user-scplus 5 күн бұрын
대충 쉽게 기억하는법 왕이 있는 나라는 좌측통행함. 100%는 아닐수 있지만 그냥 쉽게 생각하면 이정도로만 기억해도 꽤 맞음
@mjk6373
@mjk6373 3 күн бұрын
+대만 제외한 섬나라들
@dfdfsdfa
@dfdfsdfa 7 күн бұрын
영국 또 당신입니까?
@user-lt1kw8lo4d
@user-lt1kw8lo4d 6 күн бұрын
영토 일부가 아니라 반절은 날린거 같은데?
@fabco6005
@fabco6005 6 күн бұрын
단순히 왕실(영향)이 있는 국가는 우측핸들...이라고 생각했는데..ㅋ
@stbse9636
@stbse9636 7 күн бұрын
방콕에서 미쯔비시 버스보고 놀랐던 기억이있음 더 놀라운건 운행이 가능할까싶을정도로 낡은 버스들도 많았다는거
@user-mf3bn2pp2k
@user-mf3bn2pp2k 6 күн бұрын
운전대가 가운데 있으면 얼마나 불편할지 궁금
@OneRealTiger
@OneRealTiger 6 күн бұрын
멕라렌 스피드테일.. 운전석가운데 3인승임
@mjk6373
@mjk6373 4 күн бұрын
좌우측통행 호환될듯
@97PLUS3
@97PLUS3 6 күн бұрын
홍콩 우측운전대 좌측은 언급도 없는건가요…
@jayyoo906
@jayyoo906 5 күн бұрын
태국은 한국 중고차 수입금지다. 왜?
@user-tp8ce3yg6f
@user-tp8ce3yg6f 3 күн бұрын
취재의뢰합니다! 우리나라는 북한을 정부로 인정하지 않는데 왜 북한간부들한테 칭호를 붙이는건가요?
@djjcxsxjr
@djjcxsxjr 5 күн бұрын
미국도 마차 많았을텐데 거기는 마부들이 모두 왼손잡이였을까요?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3 күн бұрын
영국의 소형마차는 마부가 오른쪽에앉는게 유리했지만 미국의 대형마차는 마부가 왼쪽에앉는게 더 유리했으니까요
@LEE-xu7dt
@LEE-xu7dt 5 күн бұрын
일본 자동차회사들이 태국공장서 철수하는중인데 아시아의 디트로이트라???ㅎ
@user-pi5zh2sx3b
@user-pi5zh2sx3b 5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모든 거래에 화폐가 필요없는 전자거래 나라 라는데, 왜 계속 화폐를 찍어내고 있는 건가요 ?
@user-ji1ld2ug9t
@user-ji1ld2ug9t 6 күн бұрын
송파구 오금로 거여동사거리 주변 중앙분리대 아래에서 물이 나오는데 왜 나오는지 알아봐주세요!
@user-zm4xy6bl7j
@user-zm4xy6bl7j 5 күн бұрын
영국 호주 일본 좌측통행인국가들 다 섬나라인데??? 이것더 우연인가
@goodbyedpi
@goodbyedpi 6 күн бұрын
태국에 일본차 정말많던데.. 국산차는 찾아보기 힘듦
@user-gx5iv9qt6d
@user-gx5iv9qt6d 6 күн бұрын
미국, 유럽도 거의 일본차임
@goodbyedpi
@goodbyedpi 6 күн бұрын
@@user-gx5iv9qt6d 유럽은 안가봤는데 미국은 비교도 안될정도로 태국에서 국산차 찾아보기가 더 힘듦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6 күн бұрын
동남아에있는 일본차들은 승차감 옵션들은 쓰레기지만 고장안나고 오랫동안 잘굴러가는걸로는 최고죠
@diegochoi
@diegochoi 5 күн бұрын
죄송합니다만, 기아, 현대가 런던에서는 지난 10년간 더 많이 보입니다. 독일도 마찬가지 입니다.
@user-mi2hh5py4g
@user-mi2hh5py4g 6 күн бұрын
나라 국기를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영국은 진짜 미친 나라임
@mjk6373
@mjk6373 6 күн бұрын
왕의 나라 대부분이 왼손잡이니
@K_Postmalone
@K_Postmalone 6 күн бұрын
형왔다. 이영상 보니 형 태국 여행갔을때가 생각난다. 내 채널오면 영상있다. 기분이 죠낸 더럽다. 사실 태국에서 운전하다가 우리나라랑 반대라고 생각하고 죠낸 몰다가 박았었다. 그래도 커톳캅 하고 죠낸 빌었더니 봐주더라. 한국도 태국처럼 이런 정이 있었으면 좋겠다.
@GI-xw2hm
@GI-xw2hm 6 күн бұрын
다른 나라는 몰라도 태국이 우핸들인게 제일 못 마땅하다. 베남 중국이나 하지 참...
@bacc1920
@bacc1920 6 күн бұрын
요즘 누가 동남아에 관심있나???????
@NguyenVanDuy-cx3de
@NguyenVanDuy-cx3de 6 күн бұрын
한국 태국에서 운전해본결과 개인적으로 우측핸들 좌측통행이 더편했음
@yongsunlee9451
@yongsunlee9451 5 күн бұрын
우핸들 어렵고 힘듬! 적응안됨!
@mjk6373
@mjk6373 4 күн бұрын
오른손잡이(좌뇌형)이라서 그럴듯
@yhjang2804
@yhjang2804 6 күн бұрын
나가 태국가서 우측핸들차를 잠시 운전해봣는데 햇갈려 못하겟더라 ㅠㅠ
@sksmsz92
@sksmsz92 6 күн бұрын
아예 적응하려면 최소3~7일은 걸려요
@user-sd4qn7lt8b
@user-sd4qn7lt8b 7 күн бұрын
취재의뢰합니다. 주차난이라고 수십년째 하는대 왜 공공청사의 주차장은 지상주차장으로만 만들고 주차타워로는 안만드는지 취재해주세요.
@user-oh8rx3ct5q
@user-oh8rx3ct5q 7 күн бұрын
집중호우로 차가 물에 잠기면 차값 물어줘야 하고 지하가 건설비가 많이 들어서 지하를 뚫고 파넬빠엔 그만큼 높이 짓는게 건설비용.유지비 측면에서 유리함
@mymotherisalien
@mymotherisalien 6 күн бұрын
꾸준한 주차타워 취재의뢰 답변 13트째 1. [건설기간 주차공간 부족] 주차타워를 기존 주차장 부지내에 건설하다보니 자재적치, 작업차량 출입 등으로 인해 건설 기간동안 오히려 주차장이 크게 줄어듬. 이 기간동안에 불편이 너무 커지고 민원이 극심해서 건설 결정에 부담을 느낌 2. [건설비용] 주차타워 건설비용 생각보다 겁나비쌈 사람이 들어가 사는게 아닌 차량이 올라가다보니 하중이 커서 설계 강도조건도 더 강하고 이에따라 건설비도 오름. 주차타워 건설금액 예시 (조달청 입찰공고 추정가격 기준) - [분당구청 주차빌딩, 면당 3,870만원] 추정가격 (건축,토목,조경,기계 91.7억 + 전기 8.3억 + 소방 10.6억 + 통신 11.4억 = 총 122억), 315면 주차 가능 - [구리전통시장 제2공영주차빌딩, 면당 6710만원]추정가격 (건축,토목,조경,기계 182.5억 + 전기 24.7억 + 소방 12.8억 + 통신 4.8억 = 총 224.8억), 335면 주차 가능 - [대전서구 구청사 주차빌딩, 면당 6170만원]추정가격 (건축,토목,조경,기계 100.9억 + 전기 11.6억 + 소방 14.9억 + 통신 9.5억 = 총 136.9억), 222면 주차 가능 이 금액들은 전부 토지매입비용은 고려하지 않은 순수 건설비만을 토대로 계산했을때의 금액임. 민간부지 매입을 통해 지으려고하면 훨씬 큰 돈이 들어감.
@LUMINOX.
@LUMINOX. 6 күн бұрын
그만해라 좀
@wan-juyim1919
@wan-juyim1919 6 күн бұрын
왕과 나 ( 율브리너, 데보라 커 주연) 영화에 보면 태국 왕 과 영국 가정교사의 이야기 임. 말레이지아, 싱가폴 도 우측 핸들임.
@user-so1qc5bb5k
@user-so1qc5bb5k 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취재 의뢰하기 어디로 연락해아 하는지 몰라 이곳으로 글 올립니다. 만일 잘못 찾은 것이라면 올바른 연락처 알려주세요. 취재 의뢰할 사항은 대상포진 예방주사 비용이 50만원(25만원x2회)이라는데 왜 이렇게 비싼지, 왜 건강보험으로 커버가 안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r7no8tx8c
@user-rr7no8tx8c 6 күн бұрын
또 그 나라ㅋㅋㅋㅋㅋ
@JayKimJr
@JayKimJr 6 күн бұрын
일본 따라함
@kloudgim3322
@kloudgim3322 6 күн бұрын
일본 영향 없었다 따지고 보면 우리나라도 일본 식민지였다 운전 핸들 방향 반대잖아
@user-ce2ze6en1k
@user-ce2ze6en1k 6 күн бұрын
20세기 초반 그땐 자동차가 별로 없었고 막 대단한 트래픽 시스템 구축하기 이전이고 한국전쟁 터지고 그마저도 초기화됨 그후 여러모로 트래픽 시스템도 미국 영향을 많이 받음 가장 최근에 미국 주로 편입이 된 하와이주도 원래 좌측통행이었는데 우측통행으로 바꿈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6 күн бұрын
일본식민지겪은 대만도 우측통행입니다
@OneRealTiger
@OneRealTiger 6 күн бұрын
왕정국가들이나 좌핸들임. 우리나라 왕이 없는게 다행임.
@mjk6373
@mjk6373 4 күн бұрын
자동차 통행방향은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미국식민지 때문이지
@user-hu9se4vc5r
@user-hu9se4vc5r 5 күн бұрын
태국은 영국에 반 식민지였음
@coinwhere
@coinwhere 5 күн бұрын
영국의 식민지가 되고 싶어서?
@user-nc2tc5ty5e
@user-nc2tc5ty5e 7 күн бұрын
빵빵이 짤툰 장삐쥬 같은 유튜브 애니메이션에서 욕이 밥먹듯 나오는 이유 취재 (10트)
@user-hy1cr7zb2w
@user-hy1cr7zb2w 7 күн бұрын
자극적이니까 사람들이 보는거지
@ssk00069
@ssk00069 7 күн бұрын
그걸 보는 시청자들이 어리고 욕설을 좋아하니까요
@SundayGood-qu5qg
@SundayGood-qu5qg 6 күн бұрын
우리도 사실상 섬나라 이니 좌측통행 우핸들 도입해야 할듯
@user-gx5iv9qt6d
@user-gx5iv9qt6d 6 күн бұрын
그럼 우리가 해외갈때 너무 불편함
@SundayGood-qu5qg
@SundayGood-qu5qg 6 күн бұрын
​​@@user-gx5iv9qt6d 영국 일본 호주 인도 뉴질랜드 태국 갈때는 편하잖아
@feverpitchxx
@feverpitchxx 6 күн бұрын
화폐개혁보다 좌측통행으로 바꾸는게 돈 더 들거 같은데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6 күн бұрын
타이완도 우측통행입니다
@sksmsz92
@sksmsz92 6 күн бұрын
@@SundayGood-qu5qg그나라들 빼곤 전부 우측통행에 좌핸들인데?
태국은 왜 선진국이 되지 못했을까? 태국과 한국의 차이점.
16:05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해산물을 많이 먹게 되었을까?
4:27
취재대행소 왱
Рет қаралды 21 М.
캄보디아 국경 간 인신매_저널IJM_Ep.2_취업사기/온라인피싱
5:55
International Justice Mission Korea
Рет қаралды 408
스코틀랜드를 멸망으로 이끈 식민지 프로젝트
18:4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2030은 왜 운전면허학원에 가지 않을까?
3:52
취재대행소 왱
Рет қаралды 6 М.
제일 잘 사는 게 이 정도라고?
11:20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636 М.
독일차는 왜 정비하기 어렵게 만들까?
3:38
취재대행소 왱
Рет қаралды 101 М.
그저 자유에 미친 나라
11:45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Pedro 😰😰😰😰😰
0:59
Jane & Sergio 🥰
Рет қаралды 69 МЛН
Он сладок, как поцелуй Горгоны…
0:58
Havran Show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The little girl just wanted to help 😭😳😔
0:45
Family Fast Five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Невестка с приколом 😱
0:23
ТРЕНДИ ШОРТС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СТИЛЬНЫЙ ЧЕХОЛ *из клея*🤓💧
0:50
polya_tut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Final muy increíble 😱
0:46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