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설계자가 말하는 예열,후열

  Рет қаралды 793,475

금아[KeumTube]

금아[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예열 후열 논란도많고 갑론을박이 많이 이뤄지고있습니다 ^^ 자기만의 그런방법들이 다들 있겠지만 좀더 연료도 아끼면서 자동차 컨디션도 좋게 할수있으면 좋겠죠~ 전문가중 전문가와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여러분들도 영상보시고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Пікірлер: 1 900
@user-nk4ez2jq1e
@user-nk4ez2jq1e 4 жыл бұрын
이야!~~~~~~~~~~ 금아님!~ 친구한테 쓰는말투가 살아있네!~~~ 멋있습니다!~ 제가 모는차가 터보GDI 가솔린인데 예열후열 인제 잘알았습니다!' 그러면 처음시동키고 35초간 1500RPM게이지 있다가 떨어지면 바로출발하고 2000RPM넘기지 않고 주행하면서 온도오르면 속도좀 올리고 시내주행끝나도 후열하지 않겠습니다!' 금아님 같은 유튜브가 10만 100만 가야데는데...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너무나감사합니다 항상 힘이됩니다 수찬님..가솔린 GDI 터보면 엔진열이 일반차량보다는 많이납니다.압축비는 디젤보다 많이낮아도 가솔린 연료특성상 열량은 경유보다낮지만 휘발유가 발화점이높기때문에 폭발연소할때 엔진온도는 더올라갑니다. 그래서 후열시 조금 신경써주셔서(신호한칸정도더ㅋ) 타시면 오래오래 타실수있을겁니다^^ 댓글감사합니다~
@user-fv1ti9hq1r
@user-fv1ti9hq1r 4 жыл бұрын
@@KeumTube u
@sanghoonlee1875
@sanghoonlee1875 4 жыл бұрын
@@KeumTube 최근 날씨에 올리신 영상인데 지금은 저렇게 한다해도 겨울에도 저방식하고 똑같이 하나요?
@seongminseo4883
@seongminseo4883 4 жыл бұрын
*&
@Lord_of_Nightmare_666
@Lord_of_Nightmare_666 3 жыл бұрын
드라이브 와이드 사용 중에 앞차가 빠지자 자동으로 엄청난 급가속.... 급가속 안할렸는데.. ㅠㅠ
@user-xj8sh4rh6r
@user-xj8sh4rh6r 3 жыл бұрын
디젤차는 예열중요합니다 제친구는 여자친구바람낫는데도 5분예열하고 잡으러가드라구요
@jjj-vu7bz
@jjj-vu7bz 3 жыл бұрын
지아조 ㅋㅋㅋㅋㅋㅋㅋ 그건좀 심한듯 ㅋㅋㅋ
@timmykim6841
@timmykim6841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지아조 긋
@user-te8vd9vm4i
@user-te8vd9vm4i 3 жыл бұрын
이거 웃기려고 하는 말 아니고 찐이면 레전드 ㅋㅋㅋㅋㄹㅌㅎㅌㅋ
@user-jz1uc9fj6w
@user-jz1uc9fj6w 3 жыл бұрын
남의댓글 복붙 재미읍다
@user-kk6ix7gk6m
@user-kk6ix7gk6m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
@user-xs4rc7iq5h
@user-xs4rc7iq5h 4 жыл бұрын
기어를 바꿀 때(후진 또는 전진) 완전히 정차한 후 바꿔야 하나요? 아니면 조금 움직일 때 바꿔줘도 크게 이상없나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정지해서 바꾸시면 더좋겠죠ㅎ 클러치보호ㅎ
@hangisa
@hangisa 4 жыл бұрын
저는 보통 시동걸고 아침에 출근할 때, 1~2분정도 예열 후 출발 했었거든요. 여름에는 시동걸고 10초정도 예열 뒤에 출발해도 된다는거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영하 -10도까지 떨어지는 겨울같은경우에도 예열을 오래 할 필요없이 출발하면 되는건가요?? 차가 완전 꽁꽁 얼어있는데..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영하 10도까지떨어져도 엔진오일은 얼지가않습니다. 당연히 바디와 구동계부품들은 공회전을 5분을 하던안하던 얼어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시간을 조금더 1분정도 가져가주시면 엔진에 당연히 훨씬좋겠죠^^ 그리고출발하십시오~그래야 엔진온도 배기온도 히터온도가 빨리올라옵니다ㅎ그리고 젤중요한것은 겨울철 공회전시 디젤노킹현상이 잘일어납니다 매연도많이나오구요 정차중이니 실내유입도 잘되구요 호흡기에 좋지않습니다 .5분은 너무나 깁니다 그래서 좀밟으면서 빨리움직이셔야됩니다ㅎ 댓글감사합니다~
@hangisa
@hangisa 4 жыл бұрын
@@KeumTube 엔진오일도 점성이 떨어지고 얼수도 있지 않을까 했는데, 역시나 오일 만드는 회사가 바보가 아닌가 보네요..! 궁금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hangisa 제영상 엔진오일 종결영상 보시면 해결되실겁니다^^ 앞에 0w 5w 10w 이게 w가 윈터라는 뜻이구요 앞숫자가 낮을수록 어느점 -50도까지는 충분합니다. 5w만되어도 우리나라 4계절에선 아무상관없이 가능하고 시베리아 러시아정도는 0w사용권장하고 정불안하시면 강원도지역은 0w해주시고 똑같이 타시면됩니다.w숫자가 달라도 어짜피 엔진시동이후에 열간시에는 성분이 똑같습니다. 부동액 희석도 우리나라기본기준 (5:5) -30이상까지 세팅 해주시면 좋을것같아요ㅎ
@bonda809
@bonda809 4 жыл бұрын
이런정보들이 있다니 정말 놀랍네요^^! 정말 좋은 정보들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늘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리고 행복 가득한 하루되셔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본다님^^본다님덕분에 항상 많이배우고있습니다~즐거운주말되십시오
@user-zh9ww2dr5d
@user-zh9ww2dr5d 4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시동을 끄고 난 뒤 짧게 한 30분~1시간 정도 있다 다시 운행 시, 온도게이지가 그대로거나 한 한두칸 떨어졌을땐 예열이 필요할까요? 한 10초 예열 뒤 바로 밟아도 되는걸까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예열필요없습니다^^엔진열이 엄청남아있습니다ㅎ
@user-zh2zs9rp9d
@user-zh2zs9rp9d 3 жыл бұрын
@@KeumTube 예열의 목적중 하나가 엔진오일 순환 아닌가요?? 30분~1시간 주정차시 엔진오일은 중력에 의해 어느정도 바닥으로 가라 앉는데 10초의 예열도 없이 출발해도 되는건지요??
@user-sj3zp4bz8u
@user-sj3zp4bz8u 3 жыл бұрын
금아님 안녕하세요^^ 올려주시는 영상들 잘보고 있습니다!! 꿀정보 감사합니다.👍 출퇴근시 예열후열 시간적으로 세이브 되겠습니다. 시동시 떨림과 끄르렁 소리나서(YF10년형 9만km) 카본청소 했는데, 예전처럼 시동 잘 걸립니다. 점화플러그도 교체 고려해봐야 할까요??
@dockogugum
@dockogugum 4 жыл бұрын
평소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독고구금님ㅎㅎ 좋은밤되십시용~
@chordzin
@chordzin 4 жыл бұрын
일반 가솔린 엔진인데 1분정도 예열했었는데 너무 꿀팁이네요. 감사해요.
@lemon8881
@lemon8881 3 жыл бұрын
전문가가 알려주시니 믿고 좋은 습관 들여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Sunshine_77v
@Sunshine_77v 3 жыл бұрын
k5 2.0 가솔린 차량인데 이 영상이 너무 공감되네요 항상 왠만하면 1~2분 정도는 예열하고 출발 했습니다만 결국 초반에 속도를 급격히 올려 버리면 엔진 소리가 정상적이지 못한것같고 rpm만 주구장창 올라가더라구요 힘을 제대로 못받고 무리하는 느낌이랄까요. 그래서 서서히 올려주는게 주행할 때 안정적인게 아닌가 이런 생각을 해왔었네요 좀 주관적이기도 한 생각었습니다만 이 영상보고 그게 맞다는 확신이 들어서 좋네요 결국 제 차같은 경우에는 예열 습관보다 주행 습관이 더욱 중요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자주 빠듯한 시간을 두고 차를 가지고 나가려니 시동 걸자마자 과속을 많이 했었네요 그 결과인지 모르겠는데 엔진소리 떨림 차량 내부의 어떤 덜덜거림 등등 심해진 것 같습니다 말이 길었는데 앞으로 주행 습관부터 고쳐야 겠다는 생각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SangGooReview
@SangGooReview 3 жыл бұрын
금아님!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연료첨가제는 넣어야 할까요? 엔진 청소는 솔직히 모르겠는데, 연료라인에 수분제거 때문에 겨울에 필요하다고 누가 하더라구요...ㅠㅠ
@Alex-qz8dj
@Alex-qz8dj 4 жыл бұрын
와.. 전문가는 어려운 말 쓰지 않고도 설명이 다 가능하군요. 멋지십니다. 구독 박고 갑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어려운말쓰면 일반인들 지루하자나여^^ 어려운말 싫어해요ㅋㅋ
@user-nr7xp2eh3g
@user-nr7xp2eh3g 4 жыл бұрын
내용 충실해서 감사하고 성님 말투가 넘 믓져서 구독합니다 ㅎㅎ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고맙십니더 땅호박님..호박따는컨텐츠도 가을에 준비해보것습니더ㅋ
@user-cu1sv5ve6w
@user-cu1sv5ve6w 3 жыл бұрын
금아님 영상 항상 도움 많이 되네요! 출퇴근거리가 5분 정도인데 예열안하고 서행으로 한달 정도 다녔는데 차가 덜덜거림이 생겨서 혹시 주행거리가 짧으면 예열을 해야하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
@user-mg4plrk
@user-mg4plrk 3 жыл бұрын
겨울에는 3분 여름철엔 1분 정도라고 알고 있어요
@hurryup82
@hurryup82 6 ай бұрын
너무 저속주행이시고 짧은 거리라면 한번씩 100키로 이상으로 쭉 달려주시는게 좋을지도 모르겠어요 디젤차라면 고속주행한번씩 해줘보세요
@jbm90973
@jbm90973 3 жыл бұрын
행님 맨날눈팅만하다가 첫차사고 더 공감가서 처음 댓글답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JJongAbum
@JJongAbum 4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여러 영상 말잋달라 고민이었네요 ㅜ 제가 잘 이해한게 맞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g80 2.5t 엔진인데 예열 같은 경우는 4계절 30초 정도면 되고, 후열 같은 경우는 일반 주행을 했다면 안해줘도 되는걸까요? 아니면 터보 엔진의 경우 2천 알피엠 밑으로 주행을 했다 하더라도 30초 정도 후열을 해주는게 좋을까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그렇게해주시면 좋습니다ㅎ 30초후열 해주면 더좋겠죠^^ 응용하셔서 사용하시면될것같아요..
@user-gl6ur4cj5d
@user-gl6ur4cj5d 4 жыл бұрын
구독했습니다! 유튜브에서 엔진설계하시는분은 처음보네요 ㅎㅎ 저는 15년식 카마로rs 타고있습니다 (3.6 직분사 자연흡기) 저는 보통 4계절 공통 1분 D드라이브 예열(P는 당연하고 N은 예열효과가 별로없다고 들어서요)고수했었는데요 그리 할 필요가 없었네요 그런데 제 5.5세대 카마로같은경우 보통 20-30초정도만 지나도 바로 온도게이지가 움찔거리면서 올라가기 시작하는데 말씀해주신바와 같이 온도게이지가 움직이기시작했으니 3000rpm까지는 써줘도 될까요? 집 특성상 나가면 바로 60이상달리는 큰길이라서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노노 바로 풀악셀하시면 안됩니다. 사람과같습니다 자고일어나서 5분숨쉬고 속은 회전시켰는데 바로 뛰어가면 관절작살나죠ㅋㅋ.그래서 오랜공회전 예열차량들이 하체는 엉망이죠..왜 오일이 엔진에만 있다고생각하는지..써스 허브 등등 거긴 엔진10분을 예열해도 거긴 냉간인데ㅠ 그래서 2~3~분 서행해라는겁니다. 하체등 워밍이중요합니더.사실엔진은 차중에 내구성이제 강합니다~~5분예열 뻘짓입니다ㅎ
@user-gl6ur4cj5d
@user-gl6ur4cj5d 4 жыл бұрын
금아[KeumTube] 그렇군요 ㅎ 3분정도는 천천히 서행하여 주행한다는점만 기억하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maro6.2
@maro6.2 2 жыл бұрын
@@user-gl6ur4cj5d 봄가을 날씨정도로 엔진미션 전체에 열이고르게 가는시간이 15분정도 수온계가 올라갔다고 오일온도가 다 올라가질않아요 그러니 자제하는게 정답
@A_men_with_2_chicks
@A_men_with_2_chicks 4 жыл бұрын
바로 구독박아버리기ㅋㅋㅋㅋ a6 2.0터보 카니발 2.2터보 엔진오일 뭐넣어야 좋을까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제 영상보시면 엔진오일 규격영상 있습니다 거기맞추시면 아무거나 상관없어요^^
@A_men_with_2_chicks
@A_men_with_2_chicks 4 жыл бұрын
최고~
@wakaranaisong
@wakaranaisong 3 жыл бұрын
역시 이런 섹션별, 시스템별 내용은 메뉴얼 해석이 젤 중요한거 같습니다. 항공기도 메뉴얼이 제일 중요하듯이
@kinsevenb6735
@kinsevenb6735 4 жыл бұрын
사람마다 다 틀린말이 이영상을 보니 확실히 정리가 되었네여. 한가지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저같은 경우 항상 지하주차장에 주차해놓는데 저속으로 주행할 구간이 없이 바로 오르막길 올라야 하는데 그러면 2천알피엠 이상올라가는데 예열을 이렇게 짧게 하고도 알피엠 높이는게 괜찮은가요? 아니면 좀더 예열을 오래하고 오르막길 주행해야 할까요? 차량은 쏘나타 터보차량입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음..정불안하시면~1분정도 있다가 바로올라가셔도됩니다ㅎ
@natural-horsemanship-school
@natural-horsemanship-school 4 жыл бұрын
스원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제가다 고맙습니다^^
@lovelykim5687
@lovelykim5687 3 жыл бұрын
후열 이라는 말도 처음 들어봅니다. 배울점이 많은 채널 이네요.~^^👍
@jeehwapark
@jeehwapark 3 жыл бұрын
금아님 ~사투리 겁나 정겹슴니더~! 요즘 알고리즘에 들어와서 신나게 보고 있어요 ^^쉽고 좋은 설명 넘 좋네요! 브레이크를 홀드 기능으로 하면 연료절감이 되는가요 ?
@user-jk4hn4fu7m
@user-jk4hn4fu7m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질문이 하나있습니다. 저는 예열을 꼭 해야된다고생각해서 예열을 여름철1분정도 겨울철 3분정도 하고있는데요. 영상을보니 2천rpm미만 서행운행하면서 빠르게 열을올리는것도 좋은방법일거같다는 생각은듭니다만 제가사는곳이 항상 가파른언덕을 올라야하는데 가솔린에 1600cc라 무조건 2000rpm이상을 올려야합니다. 이 경우에는 예열없이 출발시에 무리가 있지는않을까요? 아니면 이런경우에도 최대한 rpm을 적게사용하면서 운행을해도 괜찮은걸까요
@user-cd1qm7kj8s
@user-cd1qm7kj8s 4 жыл бұрын
요즘차 말고 조금 연식 된 차도 시동 걸때 엔진에 오일을 뿌려줄까요? 02년식 같은 차량도 한 10초후에 출발해도 될까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아이고ㅋㅋ 그럼요ㅎ 몇일있다 영상올려드리겠습니다
@HH-rg9ou
@HH-rg9ou 3 жыл бұрын
진짜 유튜브 없었으면 이런 이야기 듣기도 어려운데 정말 좋다!!
@mokakiki4959
@mokakiki4959 3 жыл бұрын
알고있었지만 이해가 잘안됬던거를 잘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궁금한게 있는데 주행중에 주행모드(스포츠나 에코)를 변경하는게 좋을까요?정차한다음에 하는것이 좋은가요?
@Monsa386
@Monsa386 4 жыл бұрын
저희집 1톤차 더블캡 24만 되고 처음 시동키면 히터 3단에 엔진 온도 올라갈때까지 기다리면 거의 10분이상 걸립니다. 그냥 기다리지 말고 주행하는게 좋은가요? 또 중고자 체어맨 있는데요 19만 정도 됫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시동키면 에엥 냉간소리가 큽니다. 휘발유 차라서 그런지 1분2분 정도 기다리면 엔진 온도가 찔끔씩 올라갑니다. 온도계 올라가는 것을 보면 참 재밌습니다. 집에 와서 1~2분 기다렸다가 시동 끄는데 제가 제대로 하는지 의문입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포터..원래 디젤차는 냉각수온도가 늦게 올라갑니다ㅎ 지극히정상이라생각들고요..그냥기다리지마시고 늦어도1분전에 타고가시면됩니다 그러면 오히려 예열을 더빨리시키고 효율적입니다.체어맨은 후열안해주셔도되구요..냉간소리는 첫시동시 공기압축온도가 많이 올라가있지않기때문에 완전연소가 되지않아 잠깐 시끄럽죠~ 큰이상없을것으로판단됩니다^^
@zahmi8012
@zahmi8012 3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역시 전문가소견을 들어야 하는거 같네요
@user-zf9kj2td3v
@user-zf9kj2td3v 3 жыл бұрын
차량유지관리에 좋은 꿀팁영상 잘 봤습니다 항상 유익한 영상 올려 줘서 감사합니다
@user-sb6wk5uy1v
@user-sb6wk5uy1v 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애독자 입니다. 엔진오일 교환은 주행 환경에 따라 많이 다르겠지만, 하루 왕복 30km정도 출퇴근합니다. 그래서 하루 1시간 정도 운전을 합니다. 시내운전이 60%정도를 차지한다고 하고 현재 6,500km 주행했습니다. 2023년 3월이 bsi 시기가 도래되고 아마도 누적 14,000km 예상됩니다. 차량은 2022년 11월 20일 출고 하였습니다. 지금까지 6개월 정도 탔다고 하면, 언제쯤 한번 교환해주는 게 좋을까요?
@allthatkim
@allthatkim 4 жыл бұрын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네요 많이 도움됐습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ㅎ
@Lim486
@Lim486 4 жыл бұрын
유투브에서 처음으로 제대로된 예후열 영상이네요. 학교에서 전공했을때 내용하고 상동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공학도님^^
@user-lu6nd3pw4n
@user-lu6nd3pw4n 4 жыл бұрын
유튜브 알고리즘이 나를 이곳 영상으로 이끌었다. 엔진설계자라는 말에 들어오지 않을 수 없었다. 레알 유익한 영상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알고리즘 고맙네여~
@lib.4935
@lib.4935 3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 알려주시어 감사합니다!
@user-fh5fj3jh6c
@user-fh5fj3jh6c 4 жыл бұрын
저도 람다터보3.3인데 처음타는 터보라 신경을 많이 쓰고있었는데 영상보고 구독 눌렀습니다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터보차량일 경우 말씀 하신거처럼 고온으로 인해서 일반자연흡기 엔진보다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짧게 잡고 있는데 메뉴얼상보면 일반교환주기와 가혹주기를 나누어서 설명되는데 가혹주기라고하는게 굉장히 애매하거든요 공회전이 안좋은건 알지만 보통 시내주행기준으로 터보엔진은 몇킬로마다 엔진오일 교환하는게 옳은것일까요? 메뉴얼상 일반주행 1만km 가혹주행 5천km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메뉴얼대로하시면될것같아요ㅎ 일반주행은 고속도로 좀쏘으고 시내타고 일상주행이구요..가혹조건은 서킷이나 와인딩같은것만 안하시면 일반조건으로 보시면됩니다^^1만에 교환해주셔되될것같아요~
@user-fh5fj3jh6c
@user-fh5fj3jh6c 4 жыл бұрын
@@KeumTube 네ㅋㅋ이렇다 저렇다 워낙 기준없이 말들이 많아서 출퇴근거리가 짧아서 가혹으로 해야된다 어쩐다ㅜㅜ 여튼 답변감사드립니다.
@user-tn4gv1it9m
@user-tn4gv1it9m 4 жыл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솨해용^^
@user-ox3ji1ff6o
@user-ox3ji1ff6o 4 жыл бұрын
와 좋은 설명 잘들었습니다..ㅠ_ㅠ 좋은정보알려주는 유튜버는 무조건 구독이죠! 경상도라 그런가 말이 되게 편하게들리고 좋네요 !ㅎㅎ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사투리가 단점인데 더노력하겠습니다^^좋게봐주셔서 감사합니다
@JHJeong-nr4lg
@JHJeong-nr4lg 3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엊그제 모닝 신차를 뽑았어요.. 날씨가 추워서 그런지 아침에 첫시동켜니 rpm이 1500 넘더군요.. 그래서 1천대 위로 똑떨어질때까지 2분정도 기다렸다 움직이는데..괜찮은 행위인가요..? 경차지만 10년타고 싶어 첨부터 관리 잘하고 싶네요...^^
@motif9485
@motif9485 3 жыл бұрын
깔끔한 팩트와 설명 감사합니다ㅋ 구독하고 갑니다 좋아요는 덤!!
@KeumTube
@KeumTube 3 жыл бұрын
큰힘이됩니다 감사합니다
@goodtimes3191
@goodtimes3191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처음으로 터보 엔진이 장창된 차종을 구입해서 여러가지 공부 중이었는데, 가장 필요하고 답답했던 부분을 속시원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동안 마눌님 구박을 받으며 3분만 기다리라고 하며 예열을 한 후 출발을 하고, 또 이게 뭔 짓이냐고 구박을 받으며 3분간 후열을 한 후 시동을 껐는데, 이제 마눌님의 구박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네요. ^^ 혹시, 연료 필터의 교환 주기에 대해서도 영상을 좀 만들어 주실 수 있나요? 국내에서는 연료 필터 교환을 해야 한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는데, 제가 지금 해외에 거주 중입니다. 여기서는 연료 필터도 주기적으로 교환을 한다고 하더군요. 근데, 제가 여기 현지어(터키어)를 잘 몰라서 정보를 찾아보기가 참 힘드네요.
@user-ek9jw8qq5z
@user-ek9jw8qq5z 7 ай бұрын
엔진설계 왜캐 ㅈ같이하는거죠?
@user-tx2gv4zp7y
@user-tx2gv4zp7y 4 жыл бұрын
와 그동안 동호회 카페에서 터보엔진 예열 후열 중요하다는 얘기가 하도 많아서 원격시동까지 달았는데 전~혀 필요가 없는 거였네요. 영상 고맙습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그돈으로...소고기..ㅋㅋㅋ
@user-zz8zy8sn7u
@user-zz8zy8sn7u 3 жыл бұрын
겨울철 여름철 미리 시동걸고 따뜻하고 시원하게 타는기능으로는 어떠신가요??
@user-tx2gv4zp7y
@user-tx2gv4zp7y 3 жыл бұрын
@@user-zz8zy8sn7u 제가 해놓은 원격시동은 시동만 되는거라서요ㅎㅎ...
@user-qm5ot3zr4u
@user-qm5ot3zr4u 4 жыл бұрын
알수없는 유튜브 알고리즘 때문에 자동차 엔진 설계자님들의 좋은 정보 알게됐네예~~^^ 꿀팁 감사합니데이~~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uo6fz1du4i
@user-uo6fz1du4i 4 жыл бұрын
이번 페리 스팅어 구매하려하는데.. 주말 서킷위주로 뛰려구 생각중인데 일반 자동차로 4~6천 알피엠 쓰는 스포츠주행은 내구성에 많은 악영향을 끼치나요? 오토바이는 2만정도 서킷주행하면서 아직 문제는없는데 자동차는 어떨지궁금하네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4~6천 이면 메뉴얼상에 적혀있는 오일교환 악조건에 약간 해당될듯하니ㅋ 엔진오일교환 주기만 조금 70프로정도 짧게 가져가신다면 문제없을것으로 판단됩니다^^ 바이크엔진보다 냉각시스템이라던지 내구성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davidlee3692
@davidlee3692 4 жыл бұрын
이런전문가가 직접 정리해주니 얼마나 좋습니까 ㅎㅎ 팁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ㅎ
@user-wz8mm7ii3r
@user-wz8mm7ii3r 2 жыл бұрын
디젤차 중고로 입문한지 한달차 입니다. 많은 영상과 관련 글들을 찾아보면서 차량관리에 신경쓰고 있었는데요. 이 영상을 통해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mo_yaaaaa
@mo_yaaaaa 4 жыл бұрын
구독자수와 조회수가 처음에 비교해 엄청 늘었네요 축하드립니다!^^ 벨엔DCT차량 타는중인데 고RPM 많이씁니다. 후열은 말씀대로 목적지 도착 10분정도 놔두고 정속 주행으로 하면 되나요? 전 항상 정속주행 및 도착시 보닛 열고 5분이상 열 식히고 시동끄고있는데 이렇게 해도 문제가 되지않는가요?(기름낭비말고..)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안되지만 너무나 귀찮자나요ㅎㅎ 그리고 아무리 고알피엠쓰셔도 3분만 후열하면 터빈베어링온도가 220도까지 내려옵니다..더이상할필요없습니다 낭비입니다^^
@user-qq1ti5yc5e
@user-qq1ti5yc5e 3 жыл бұрын
이야 정말 실질적인 팁입니다. 유용하게 이용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_20
@Q_20 3 жыл бұрын
따로 예후열시간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시동전후로 저속주행을 통해 급격한 변화를 주지 말라는게 핵심이군요
@gukguk7850
@gukguk7850 3 жыл бұрын
저도ㅎㅎ시동 후 2천알피엠 안넘게 주행. 도착지 근처오면 저속 주행
@user-bh3so8un6m
@user-bh3so8un6m 3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인듯 합니다. 알피엠 2천 안넘게 운전하면 예후열은 자동으로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user-np9kv9gx2i
@user-np9kv9gx2i 3 жыл бұрын
예열할때 사람들이 엔진온도만 올리는데 신경쓰지만 밋션오일도 같이 예열시켜야합니다 두개같이 예열하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더라구요 이영상에도 엔진예열만 강조하네요
@user-rz7jv6xz2b
@user-rz7jv6xz2b 3 жыл бұрын
지하주차장 자리 없어서 자리찾느라 서행하는데 뭐시여....이미 하고 있었던건가
@user-xo7rz3si3e
@user-xo7rz3si3e 2 жыл бұрын
@@user-np9kv9gx2i 저는 차시동키고 엔진 10~20초돌리고 미션 r에갔다가 n단놓고 20초정도 미션윤활좀시키고 d단놓고 출발하는데 어떤가유?
@zenics033
@zenics033 4 жыл бұрын
시동걸고 알피엠이 1000으로 유지 되는 경우가 있는데 1000밑으로 내려올때까지 기다리다 출발 하는게 좋은가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많이기달릴필요없이 30초정도 있다 출발하십시오ㅎ 공회전때 매연도심하고 실내유입되기때문에 호흡기에도 좋지않습니다. 5분예열한차와 1분안에 출발한자동차의 차이는...아마..10년지나서 보면..기름값차이말고는 없을겁니다^^
@veln9011
@veln9011 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럼 역으로 궁금한게 있습니다! 저는 항상 10분정도 예열 했습니다 ㅠ 겨울엔 무조건 10분이요.. 여름엔 5분이요 이렇게 길게 하면 기름낭비 말고 차에 안좋은게 있을까요? 영상 보는 중간에 댓드립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네 좋을것이 없습니다 설명드릴께요ㅎ 오히려 예열에는 서행예열이 엔진에 도움이됩니다.그리고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는것이 엔진 온도만 기다린다는것이죠..오일이 엔진에만 있는것이 아니고 허브 써스 각종 마찰되는부분에 다 들어가있는데(구리스포함)...엔진 예열만 주구장창5분이상하고 올라가면 밟아버립니다. 아무리오래 엔진을 예열해도 다른곳은 전부 냉각상태그대로입니다. 그래서 그런차들 하체부싱이 오히려 더 빨리상하게됩니다. 사실자동차에서 엔진이 가장내구성이좋습니다 소모품보다도...겨울철에도 똑같이 서행예열해주시면 다른각종 부품들까지 워밍시켜서 훨씬좋습니다^^숙지하시면 도움되실겁니다~~감사합니다 ㅎ
@user-yv4lg6ei6o
@user-yv4lg6ei6o 2 жыл бұрын
후열이 궁금했는데 이제 좀 제대로 알게 되었네요 굿 영상입니다.
@Beramcahe
@Beramcahe 4 жыл бұрын
금아님 자가용도 리뷰해주세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네 다음에 한번해드릴께요^^
@user-ed5yk8yt9k
@user-ed5yk8yt9k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동영상 잘 봤습니다. 추천 꾹!! 저는 QM5 15식 유로5 디젤인데요, 자동 후열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꺼도 괜찮을까요? ^^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자동후열기능 좋네요^^크게 과격한 운동아니시면 꺼도 될것같습니다ㅎ
@darae8412
@darae8412 3 жыл бұрын
상시 몆번 발았는데 그럴필요 없었네요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user-ht8un3hs6m
@user-ht8un3hs6m 4 жыл бұрын
우선 보자마자 구독박앗습니다 남은영상도 정주행하겟습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큰힘이됩니다 100만가즈아~~~ㅎㅎ 감사합니다^^
@user-pq7rh4qz5k
@user-pq7rh4qz5k 4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시네요. 다음번엔 자동차 오일류 교체 시기와 소모품 점검및 교체시기를 다뤄 주셨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ㅎ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예 꼭 해드리겠습니다 흥부님^^ 감사합니다~
@user-xv2vv4ee7b
@user-xv2vv4ee7b 4 жыл бұрын
자동차 매뉴얼에 적혀있는 그대로가 연구원들이 만든 것 일텐데 다들 다른데에서 정보를 얻길 원하는게 제 생각으로는 항상 의아해요
@windingkingBH
@windingkingBH 4 жыл бұрын
@@user-xv2vv4ee7b 그리고 다른 전문가들도 영상 ㅈㄴ 올리는데 꼭 다른영상보면 계속 같은놈이 비슷한 댓글 계속담
@sondo_boy7
@sondo_boy7 4 жыл бұрын
상당히 도움되는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네 제가다 고맙습니다^^
@a44078565
@a44078565 4 жыл бұрын
시청잘했어요^^ 질문이 있는데 최근 올뉴그랜저 2.5 엔진 엔진오일이 감소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있는것 같습니다. 그랜저를 구입할려고 하는데 이부분은 혹시 어떤 상황인지 한번 여쭤봅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제가 신형그랜저를 아직 생각못하고있었는데 한번 짚어보겠습니다ㅎ
@dalkom539
@dalkom539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운 겨울에도 동일하나용??? 저도 가솔린인데 어차피 rpm 1까지 일분도 안걸려서 금방 출발하긴하지만...
@hs73311
@hs73311 3 жыл бұрын
효율적이면서, 비싼 기름까지 아낄수있는 걱정을 싹 씻어주는 컨텐츠네요. 기존에는 금아님처럼 운행을 했으나, 최근에 디젤터보차량으로 바꾸면서 유튜브를 보니 자꾸만 디젤터보차량은 예열.후열을 꼭해줘야한다는 영상을 계속보니...일반 시내주행 80km미만으로 운행을한 경우에도 매번 예.후열을 해왔답니다. 쓸데없이 기름만 남용했네요...ㅋㅋㅋ 주행조건에 따라 조절을 하면서 타야할 거 같아요. 터보차저에 냉간시 시동걸면 5초면 된다는 말에 깜놀했네요^^ 저속(RPM2,000미만)으로 웜업하면 되겠습니다~ 쓸데없는 낭비도 낭비지만, 환경오염에도 너무 좋지가 않으니까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
@danawac9538
@danawac9538 4 жыл бұрын
시동걸고 알피엠이 상승하는거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는데 시원하게 이야기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ㅎㅎ.. 저는 습관이 예열하기 싫어서 시동걸고 저알피엠으로 슬슬 운전하고 목적지 도착전 저속으로 차를 몰고 바로 끄고 했는데 계속 이 습관 지켜야 되겠네요 ㅎㅎ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멋진습관이었습니다ㅎㅎ
@user-vh2xk3ys4p
@user-vh2xk3ys4p 2 жыл бұрын
정확한 진단답변 감사합니다 다음에 엔진오일 관련 영상도 부탁드리겠습니다
@user-ul7zo1jk8y
@user-ul7zo1jk8y 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이야기 있는데.. 감사하네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ㅎ
@yopingo2
@yopingo2 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현재 자동차관련직종에서 재직중이며 R, GAMMA2, 신U, TAU, NU, KAPPA, A, DELTA 엔진들을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예열, 후열 중요하죠 현재 R엔진 12만키로째 타고 있는데 터보엑츄에이터 고장빼고는 무리없이 타는 중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와우 관리잘하셨네요ㅎ 오래오래 타시길바랍니다ㅎ
@user-ew9tk1lx5v
@user-ew9tk1lx5v 4 жыл бұрын
제일 알아듣기 쉽게 항상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댓글 너무나 감사합니다 ㅋㅋㅋ 님^^
@user-ke2zl5te4x
@user-ke2zl5te4x 4 жыл бұрын
깔끔한 정리 감사 합니다. 지금껏 잘못된 후열을 했네요...ㅎ 휴게소 도착 10km 100km주행 아주 고맙습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_b_ba
@_b_ba 4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보게 된 영상이지만, 평상시에 궁금했었던 걸 알게 되었네요. 고맙습니다. ^^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제가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_b_ba
@_b_ba 4 жыл бұрын
@@KeumTube 아이고.. 선생님이라뇨.. ㅎㅎㅎㅎㅎㅎ 비슷한 연배로 뵈는데요.
@mygilhit3201
@mygilhit3201 4 жыл бұрын
속이 시원~~해서 구독박고 갑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아이고 감사합니다ㅎㅎ 날도덥은데 시원하셨다니 다행입니다 Hit님^^
@skkagukbap1175
@skkagukbap1175 3 жыл бұрын
저는 선박 초대형 디젤엔진 전문 엔지니어로서 말씀드리면, 엔진이 스타트 되고나서, 오일이 엔진,터보차저에 다 도는데 시간은 10초도 안걸립니다. 근데, 냉간시동시 점도가 높은 차가운 엔진오일이 각부에 순환되고 그 상태로 바로 운전하게되면 엔진에는 조금이나마 무리가 가게 됩니다. 그래서 엔진 시동 후 공회전하여, 각 기통의 배기온도를 고르게하고, 또 젤 중요한 엔진오일 온도를 높여 점도를 낮춰 엔진 각부 윤활을 좀 더 원활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쉽게 말해서 낮은 온도, 즉 점도가 높은 끈적끈적(극단적으로말해서)한 오일이 윤활이 잘 될까요, 아니면 온도가 어느정도 올라 미끈미끈한 오일이 잘될까요?. 당연히 미끈미끈한 오일이겠죠?. 이게 아무것도 아닌것 같지만 시간이 1년 5년 시간이 지나면 피스톤 및 링, 실린더라이너 등에서 마모로 인한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차를 아끼신다면, 특히 겨울에는 냉간 시동 후 rpm 진정할때까지 1~2분 정도는 예열을하고, 예열 후 운전시 급격한 rpm 증가는 피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후열도 중요한데, 후열의 목적은 엔진의 온도를 서서히 식혀 주기 위함입니다. 특히 겨울에는, 예를들어 엔진이 350'C까지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운전 후 바로 시동을 꺼버리면, 겨울철 외부 온도에의한 급격한 엔진의 온도강하로 인해 엔진 각 부품들(특히 각 부품 가스켓, 고무오링 등 패킹부품)이 변형을 일으켜 파손을 일으키게됩니다. 여기서 누유 누수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죠. 오랫동안 예열,후열 안한 엔진들, 가스켓과 고무오링을 만져보면 경화돼서 과자처럼 부숴집니다, 차량에 방지턱같은 조금의 충격만 가해져도 가스켓이 부숴질수도 있고, 거기서 누유누수가 발생하는거죠. 제 생각에는 자동차 관리의 제일 기본은 예열 후열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gl7go3kw9s
@user-gl7go3kw9s 4 жыл бұрын
배기온도도 올라감에 따라 흡기압과 배기압의 비율과 상관이 있는건가요? 배기압이 먼저 맞춰야 흡기압이정상 범주에 들어오는건가.. 엔진 온도가 높아야 흡기유량이라던가 오일순환이 더 잘되는 차가 있는거 같던데 엔진온도상승-> 배기온도 상승 및오일 순환상승 -> 흡기압 및 유량 상승 이런 사이클인지 생각하게되네용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배기온도가 짧은시간에 올라간다는건은 충분히빠른열이 발생한다는 증거이구요..흡배기압은 ecu에서 조절을합니다.흡기량을소폭올려배기온도 맞추는것도 일리가있습니다^^
@refddr
@refddr 4 жыл бұрын
구독했습니다 앞으로도 차에 대한 좋은 정보들 부탁드립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큰힘이됩니다 좋은정보들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종헌님^^
@user-ky9vt7nq7t
@user-ky9vt7nq7t 4 жыл бұрын
야아~~ 엔지니어분이 이렇게 설명하니깐 댓글이 고분고분하네요.... 다른곳 같으면 아는척 하느라 몸이 달아오르는사람들이 많은데... 전문가의 카리스마를 여기서 한번 더 느낍니다... 설명도 쉽게 하시고 재미있네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그런분들 특징이 좀 똑똑하시고 했던방식에 자부감에.. 정말좋은정보가있어도 인정하지않고 배우려고하지않죠..하지만...내려놓고 배우고 인정하고 낮추어야 발전하고 성공할수있습니다^^ 댓글감사합니다~
@user-yc6cf3mt9j
@user-yc6cf3mt9j 4 жыл бұрын
2.0 가솔린인데 아침에 20초정도 예열하고 바로 경사라서 rpm을 바로 2.8~3.0 정도로 10초 정도 주행하는데 엔진에 안좋겠죠?..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네 괜찮아요..저도 거의 3천정도 쓰는것같아요..방송에서 보편적 더안전한방법 시청자분들의 자동차에 적용하시라고 보여드렸습니다ㅎ
@user-or9es5he3p
@user-or9es5he3p 4 жыл бұрын
금아님! 좋은 정보의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정말 추운 날에도 영상 속 금아님의 예열방식을 고수해도 괜찮을까요~?ㅠㅠ 엄청 추울 때는 시동과 동시에 떨림이랑 소음이 확연히 크게 느껴져서 왠지 더 예열을 오래해야 할 것만같은 걱정이 ㅠㅠ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조금더 가져가주시면 나쁠건없겠지요^^1분하면 충분할것같아여
@romg45
@romg45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금아님. 저같은 경우에는 스파크인데요. 고알피엠으로 주행하고 시동 끄면 엔진룸에서 통통 튀기는것같이 맑은 쇳소리가 납니다. 고알피엠으로 주행 후 정속주행을 하면서 후열을 충분히 안해줘서 그런걸까요? 서비스센터에 물어봤더니 엔진이 식으면서 나는 소리라고 하는데 바로 시동을 꺼서 그런 소리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바로 구독했습니다ㅎㅎ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정상적인 소리입니다ㅋㅋ 제 B사차량은 정말 많이납니다..팅팅팅~ 그냥타셔도 아무상관없습니다 안전운전하셔요^^댓글감사합니다ㅎ
@romg45
@romg45 4 жыл бұрын
금아[KeumTube] 궁금했었는데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금아님도 안전운전하셔요ㅎㅎ
@newyynable
@newyynable 4 жыл бұрын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 드려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네 꼭해드리겠습니다ㅎㅎ
@bentu9
@bentu9 4 жыл бұрын
하브차량 레디뜨면 출발해도된다고 그러던군요.
@datazerobio7260
@datazerobio7260 4 жыл бұрын
과학적인 설명ᆢ 설득력있습니다 멋지네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제로님^^
@Mr1978sexy
@Mr1978sexy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진짜 도움 되는정보가 많습니다!!최고최고^^ 근데 제차가 LPG 차라서요!! 동일 한가요?
@user-tt4lf6im4v
@user-tt4lf6im4v 3 жыл бұрын
이번에 k5 1.6 터보를 신차로 삿는데 정말 유익하네요 유튭 첨으로 구독누르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주유할때 후열을 해줘야하나요??.. 1~2분 천천히 주요소 진입하고 바로 시동 꺼두 상관없으려나요...
@KeumTube
@KeumTube 3 жыл бұрын
편히 후열하시면됩니다 서행으로요^^
@ceylontea4845
@ceylontea4845 4 жыл бұрын
혹 lpg차랑도 동일한가요? 얼마전에 lpg차로 바꿧는데 엔진온도가 가솔린에비해 더 빨리올라간다고 얼핏 들어서 여쭤봅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네 그럼요
@user-tt9ex9gy1m
@user-tt9ex9gy1m 3 жыл бұрын
@@KeumTube lpi하이브리드는 어떻게해야하나요~?
@user-tc6if8hn1z
@user-tc6if8hn1z 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X4m40i
@X4m40i 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덕분에 배움+1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선생님^^
@hanyonglee4878
@hanyonglee4878 4 жыл бұрын
영상하나로 구독하고갑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큰힘이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li4xu8xz2w
@user-li4xu8xz2w 4 жыл бұрын
와.... 묘하게 계속 보게 됩니다. 19년식 싼타페 디젤인데 겨울이던 여름이던 예열5분정도, 후열은 1분 지키고 있었는데 쓸모없는짓이었네요. 앞으로는 10~20초/10~20초만 해야겠습니다~ 정보감사하구요 앞으로 많은 정보 기대하겠습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zw6ku8jt6o
@user-zw6ku8jt6o 4 жыл бұрын
5분ㅋㅋㅋㅋㅋㅋㅋ 얼마나 차를 아끼시면 그걸 기다리셨어여
@ocs21004
@ocs21004 4 жыл бұрын
상남자식 설명 귀에 쏙쏙 들어오게 잘들었습니닼ㅋㅋㅋ감사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사투리ㅠ 단점인데..노력하겠습니다 좋게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fs5xy7xh9f
@user-fs5xy7xh9f 3 жыл бұрын
금아님 제차는 수온게이지가 없는데 dag3라는 정보판을 보고예후열을 합니다 후열은 배기온260이하에 끄고 예열은 수온이 어느정도부터 완료됫다고 할수잇나요?? 보통 최고 85도정도 올라가더라구요
@user-gt2xh6io8p
@user-gt2xh6io8p 4 жыл бұрын
어쩌다보니 영상을보게됫는데 좋은영상. 도움될영상이 잇어 구독박고 영상시청중입니다. 유튭 처음으로 댓글 드립니다.항상 좋은정보 부탁드립니다 화이팅하세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동입니다
@user-yi5pk2tv5o
@user-yi5pk2tv5o 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가솔린 터보 모델인데 궁금한 점 모두 해소되었습니다 :) 좋은 밤 되십시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sh-ij8hk
@sh-ij8hk 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새차길들이기에 대한 정보도 궁금합니다~~^^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얼마전 길들이기 끝난차가 있어서 해드리겠습니다^^ ㅎ
@sh-ij8hk
@sh-ij8hk 4 жыл бұрын
@@KeumTube 감사합니다~~^^
@user-gk7nr4bz7j
@user-gk7nr4bz7j 2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JS-jh9bp
@JS-jh9bp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정보 감사히 잘 보고있는 사람 입니다. 저희는 일 때문에 차가 두대라서요.. 일단 한대는 필요시에만 운행을 합니다... 시동을 안걸때는 열흘도 넘길때가 있고.. 긴급출동 부를때도 종종있었고요.. 1년에 5천6천 키로미터 정도 운행하고 장거리운행은 1년에 한두번 정도... 혹시 방전시 차량관리 팁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희는 가끔 차에 밧데리 방전 경고등이 뜨면.. 30분 정도 동네한바퀴 돌다오거나.. 30분 정도 이유없이 시동을 걸어놓거나.. 하거든요.. 어떤방법이 효율적일까요..;;;;;
@KeumTube
@KeumTube 3 жыл бұрын
네^^영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user-lz3ys8gu3d
@user-lz3ys8gu3d 3 жыл бұрын
정말,「꼭 필요한 꿀팁」감사합니다~~!!! ^^
@user-vw8qs4jm6e
@user-vw8qs4jm6e 4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생쇼만했네요 이제는 바로 앜셀입니다. 많은도움이됐어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푹악셀가즈아~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그래도 엔진온도 좀올라가서 밟으시길바랍니다^^ 댓글감사합니다
@sdw1737
@sdw1737 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어요. 꿀팁이네여. 따봉!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m12394
@km12394 4 жыл бұрын
지난번 부동액영상부터해서 구독중입니다 최고이신듯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꼬야네님^^ 큰~힘이됩니다 노력하겠습니다ㅎ
@user-bp1sw1wh8e
@user-bp1sw1wh8e 4 жыл бұрын
흐미 ㅋㅋ 구독가야긋네요 ㅎㅎ 데이터..팍팍 알려주니...믿음이...가네욤 ~^-^ 때리 밟으셔도 됩니다 ㅋㅋ 콱 와닿네요 ㅋㅋ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때리밟아라고 악셀패달만들었자나요ㅋㅋ
@nobless885
@nobless885 4 жыл бұрын
오 좋은정보 알아갑니다. 엔진 매커니즘 전문적인 컨텐츠도 따로 제작해주시면 더 좋을꺼 같아요!
@KeumTube
@KeumTube 4 жыл бұрын
너무어렵고 디테일한 설명은 지루하고 어렵고 재미가없어서ㅎㅎ알아듣기쉽게 한번씩 올려드리겠습니다^^
@user-jk2op3hm7z
@user-jk2op3hm7z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운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터보차라 무조건 알피엠 떨어진다음에 출발했거든요 고속주행 후엔 후열의 중요성도 알게됫네요..ㅎ
수리비 수백만 원 나오는 터보 사실 교체 안 해도 된다?
4:11
박병일의 명장본색
Рет қаралды 298 М.
롤렉스가 왜 인기 많은지 모르겠다는 45년차 시계장인
14:00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Рет қаралды 569 М.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05 МЛН
They RUINED Everything! 😢
00:31
Carter Sharer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엔진설계자와 레이서가 말하는 신차길들이기
15:51
금아[KeumTube]
Рет қаралды 291 М.
[#노가리] 현대차의 암울한 디젤엔진 기술의 진실은??
39:51
노보스인더스트리 NOBOSSINDUSTRY
Рет қаралды 82 М.
터보엔진 고장 안나게 관리하는 법!! ... 터보엔진 예열, 후열? / 오토뷰 x 가레트모션
12:50
오토뷰(AutoView) - 자동차 구입 참고서
Рет қаралды 208 М.
안 보면 손해인 기본적인 차량 관리 상식! 차량을 소유하고 있다면 필수 시청하세요!
16:19
Made in KZ?
4:18
Санжар Бокаев
Рет қаралды 80 М.
Почему ЗИЛ не спасли после развала СССР?😱
0:50
История в деталях
Рет қаралды 293 М.
Ең жылдам Mercedes CLS // QAZ Kolesa.kz
14:01
QAZ Kolesa KZ
Рет қаралды 74 М.
LIFE HACK: If you don’t have BRABUS🤑🤫
0:18
Ibrokhim ps
Рет қаралды 86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