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급기 튜닝 상식

  Рет қаралды 479,456

유휘

유휘

2 жыл бұрын

#분노의질주 #슈퍼차저 #터보차저 #과급기 #자동차상식 #분노의질주무기?
일반인은 잘 모르는 과급기 튜닝 상식
아내 왈 "이건 뭐야? 바주카포야?"의 한 마디에 바로 만들어봤습니다.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빅 사이즈 슈퍼차저들. 그래서인지 미디어에 슈퍼차저가 나오면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은 것 같더라고요.
물론 터보차저도 빅 사이즈로 만들면 보닛 뚫고 튀어나옵니다.
P.s 사실 대본은 좀 더 내용을 파고들어서 쓰긴 했는데. 녹음 과정에서 이게 일반인이 꼭 알아야 할 정도의 사실은 아니라고 판단이 들었고, 오히려 지루해지는 면이 없지 않아서 과감하게 다 빼버렸습니다.
VGT와 WGT도 그냥 소개만 하고 넘어갔죠 ㅎㅎ
터보렉 관련해서도 소개만 했고,
슈퍼차저와 터보차저의 RPM 대비 출력 부스트압 요런 것들 설명할까 하다가 다음에 날 잡고 다시 하는 걸로 하겠습니닷
---------------------------------------------------------------------------------------------------------
★리뷰 채널 구독하기♥ : goo.gl/LeLUTZ
★유휘 후원 하기 : toon.at/donate/uhwi
★비즈니스 메일 : thumbgm@gmail.com
★카카오톡 ID : gamerhwi

Пікірлер: 369
@watiptyltd2780
@watiptyltd2780 11 ай бұрын
1년이나 지난 영상이지만, 많은 분들이 자연흡기 차량의 공기흡입 원리를 잘 이해 못하는 것 같아.....좀 적어봅니다. (졸라 깁니다.) 자연흡기 차량이라 하니...그냥 자연스럽게(?) 공기가 연소실로 들어가는 걸로 알고 있거나, 차가 달리면서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으로 공기가 연소실로 들어가는 걸로 아는 사람도 아래 댓글을 달아 놓았던데, 그게 아니라.....터보차져나, 슈퍼차져나, 자연흡기 차량이나, 모두 공기흡입은 압력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터보차져, 슈퍼차져는 한국에선 소위 말해 "과급엔진"이라 표현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대기압 1보다 높은 압력으로 공기를 연소실로 밀어 넣기 때문에 과급이라는 표현을 하는 것이고, 일반 엔진은 자연에 존재하는, 대부분 인간이 살고 있는 고도에 존재하는 대기압 1을 이용하기에 "자연흡기"라 부르는 것입니다. 터보차량이 아닌 일반 자연흡기 차량의 공기흡입은의 방식은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공기와 연료가 들어가고 완전히 밀폐된 연소실에 압축이 이뤄지고,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폭발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그 폭발력으로 피스톤을 아래로 강하게 내리는게 엔진의 원리죠. 그렇게 밀폐된 연소실에 폭발이 일어난 직후 바로 배기 밸브가 열리면 연소실의 배기가스는 압력차이로 인해 빠르게 배기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그럼 연소실은 일종의 진공상태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그때 흡기 밸브가 열리면 역시 압력차이로 빠르게 연소실로 공기가 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 연소실에 걸리는 최대 압력은 바로 대기압 1이 전부입니다. 그런데, 과급차량은 바로 이 대기압 1을 넘어서게 됩니다. 왜냐하면, 터빈을 이용해 강제로 연소실에 공기를 때려 넣기 때문이죠. 이론적으로 대기압 2배의 압력으로 공기를 밀어넣으면 연소실에 들어가는 공기량은 동일한 연소실 크기를 가진 자연흡기 차량 기준 2배입니다. 그럼 이론적으로 엔진출력은 두배가 증가하겠죠. (여기서 잠깐, 왜 공기의 양이 중요한가? 엔진이나, 폭발, 열 뭐 이런것들 별 관심없는 분들은 연료가 폭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걸로 아시는데, 아닙니다. 우리가 이용하는 세상 모든 엔진의 공기와 연료 혼합비는 대략 공기 14와 연료 1의 혼합비를 가져야만 최고의 폭발을 만들어 냅니다.) 자 이제 압력에 관해 알았습니다. 그럼 공기가 연소실에 들어가는 압력만 높이면 출력문제가 해결되나? 뭐 일단은 해결되지만, 여기에서 또 하나의 숙제가 나옵니다. 바로 공기의 밀도죠. 공기를 포함한 모든 기체의 단위 체적당 밀도는 차가울 수록 높아집니다. 즉! 차가운 공기일 수록 같은 공간안에 많이 들어간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과급차량, 특히 배기가스를 이용해 터빈을 돌리는 터보차져에 필수로 따라다니는게 인터쿨러입니다.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낮추기 위함이죠. 이 영상의 소스가 되는 분노의 질주 최고의 히트상품인 " NOS 시스템" 에 씌이는 아산화 질소 (화학코드명 n2o)도 처음에는 과급차량에 흡입되는 공기를 차갑게 만들어 녹킹을 방지하고, 출력손실을 줄이기 위해 씌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사용을 하다보니, "어라? 이거 오히려 이게 과급보다 더 좋은데?" 하면서 NOS SYSTEM이라며 시판을 하게 된것이죠. n2o - 문과분들 머리 아프실텐데 걱정마세요 쉽습니다. n은 질소입니다. o는 산소죠. 이 가스는 소위 질소 2개와 산소 1개로 이뤄진 가스라는 뜻입니다. 사실,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건 엄밀히 따지면 공기가 아니라, 산소죠. 자 그럼 대기중 산소비율을 떠올려 보세요. 대기 중 산소비율은 대략 19%입니다. 그런데, 위에 n2o 가스에서 산소의 비율은? 33%입니다. 대기중 공기에 비하면 상당한 고농축 산소죠. 그리고 대부분 가스들은 가스통에 보관하는데, 그 이유가 기체상태로 보관하면 효율성이 너무 떨어져서 액체상태로 보관하기 위합니다. 그런데 n2o가스가 액체 상태로 만들어질려면 -60도 이하여야 합니다. 즉! 가스통에서 가스가 분출되어질 때 온도가 -60도라는 거죠. (앞서 차가울 수록 밀도가 높아진다고 했던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이 고밀도, 고농축 산소를 직접적으로 연소실에 밀어 넣어서 엔진폭발을 더욱 높이는 것이죠. (혹시 이런 생각하시는 분도 계실 듯 합니다. 아니 그럼 그냥 액체 산소를 연소실로 넣으면 되지 않나? 아..넵! 해봤습니다. ㅋㅋ 뭐....엔진 사망하는데 걸리는 시간 딱 7초입니다. 그 어떤 연료펌프와 대용량 인젝터를 써도 대응이 안됩니다. 이런 뻘짓을 하고 나서야 왜 n2o가스를 쓰는지 알게 되었죠. 그나마 사용 가능한 가스중 가장 대기중 공기와 유사하기 때문이었죠. ) 여담인데, 진짜 20년전쯤입니다. 분노의 질주1를 보고, 완전 신세계! 저...파란색 가스통! 저거다! 저거! 곧바로 저 NOS 시스템 장착할려 알아봤는데, 국내 시판이 안되고 있고, 수입도 안되더군요. 그래서 해외포럼을 통해 알아봤더니, 그 가스가 n2o가스, 아산화 질소라 하고, 특수가스 회사를 통해 5kg 아산화질소 한통에 2만원밖에 안간다는 걸 알게 되었고, 그 nos 시스템이 작동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더군요. 그래서 곧바로 자체 제작에 들어가고 차에 세팅을 했죠. 영화처럼 모모핸들 빨간색 크락션 버튼에 연결해서 누리면 밸브가 열려서 가스가 연소실로 들어가도록 세팅을 하고, 처음 테스트를 하는데....."우와....CB.....우와" 소위 정말 신세계더군요. 그러나 딱 3초컷이더군요. 소위 말해 처음 3초간은 랙도 없고 그냥 누르면 튕겨져 나가는데, 거기까지 입니다.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맛이 없더군요. 즉! nos 시스템은 터보차량과 함께 했을 땐, 정말 미친 성능이 나오더군요. (물론 n2o가스를 허가 없이 판매, 구입은 불법입니다. 소위 마취가스라 해서 병원에 납품이 되는 취급인가가 있어야만 하는 특수가스입니다. 당시엔 자동차 튜닝 자체가 불법이었고, 뭐....그런 시절도 있었습니다.)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자세한 추가 설명 감사합니다 :D
@5tf544
@5tf544 4 ай бұрын
자작 Nos는 낭만 뒤지네요ㅋㅋㅋㅋㅋ 당장하자
@baleo3629
@baleo3629 3 ай бұрын
낭만 가득한 설명 개추 드립니다
@sehepyo3326
@sehepyo3326 2 жыл бұрын
이거 레알 ㅋㅋㅋ궁금했는데 찾아도 잘안나와서 포기했었는데
@LEEXXXKKAA
@LEEXXXKKAA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 저도 궁금했는데 아무리 검색해도 안나옴
@oliser100
@oliser100 2 жыл бұрын
뭘 안나오긴 안나와요ㅋㅋㅋㅋㅋㅋ
@racerhoking2465
@racerhoking2465 2 жыл бұрын
@@oliser100 자동차 잘 모르면 이거 뭐라 검색해야할지 감도 안잡힐걸요?
@user-dv5vb9zs7f
@user-dv5vb9zs7f 2 жыл бұрын
@@racerhoking2465 ㄹㅇㅋㅋ
@user-pv1hj4lk5l
@user-pv1hj4lk5l 2 жыл бұрын
@@racerhoking2465 자동차 콧등에 달린거
@user-ie7ro4cl2y
@user-ie7ro4cl2y 2 жыл бұрын
유휘형 영상은 대충 저게 뭔지는 아는데 정확히 몰랐던 정보를 쉽게 설명해줘서 좋음 ㅎㅎ
@racerhoking2465
@racerhoking2465 2 жыл бұрын
ㅇㅈ
@definitely_someone4887
@definitely_someone4887 2 жыл бұрын
처음 보는거지만 너무 겉핡기 같음. 좀더 디테일한 설명을 듣고싶었는데 그냥 무슨무슨 종류가 있다 하고 같단하게만 설명해줘서 과급기 내부도 안보여주고
@ppppp9657
@ppppp9657 2 жыл бұрын
@@definitely_someone4887 아무래도 영상을 짧게 만들려다보니 그런거 같아요.. 또 너무 3D 이미지를 반잘라서 내부보여주면서 설명하면 다큐가 되어버리니까요..
@user-wy4ol5it5g
@user-wy4ol5it5g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구독 눌렀어욥!
@Bamboodog
@Bamboodog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turbo-s9178
@turbo-s9178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처에 대해 잘 설명하셨네요. :)
@Shine_kk
@Shine_kk 2 жыл бұрын
잼있게 보고 갑니다아~~
@BlackStar_1117
@BlackStar_1117 2 жыл бұрын
역시 과급기 마다 터보하고 슈퍼가 타입에 따라 다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fz8gg1us5b
@user-fz8gg1us5b 2 жыл бұрын
오류가 있는것강아서 적어봅니다. 터보챠져는 배기에서나온열때문이아닌 공기를 압축해서 열이 상승 하게되고 엔진의 연소실의 공기 체적을 늘리기위해 인터쿨러를 이용하여 냉각후 들어가게됩니다
@ybh2864
@ybh2864 2 жыл бұрын
오류라기 보단 ….
@ybh2864
@ybh2864 2 жыл бұрын
배기가스로 돌리는 반대쪽 과급터빈도 같은 한주물 구조로 만들어져 있어서 배기쪽이 열을 과하게 받아서 달아오르면 높은 온도의 영향을 예민하게 전달받게 됩니다만..
@earthworld2642
@earthworld2642 2 жыл бұрын
터보챠져는 배기가스를 이용해 터빈을 돌리고 공기를 압축해 고온고압 때문에 열이 상승하다는 뜻인가요 (차알못)
@user-fz8gg1us5b
@user-fz8gg1us5b 2 жыл бұрын
@@earthworld2642 넵
@user-gl1uz5ki5c
@user-gl1uz5ki5c 2 жыл бұрын
체적을 늘리기 위해 X -> 비체적을 줄여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 질량을 높이기 위해 (체적은 동일)
@teahous
@teahous 2 жыл бұрын
크으 슈퍼차저는 사나이의 로망이죠! 터보와 비빌수 없는 저 웅장함과 갬성! 코너따위는 관심없다는 듯 높이 올라간 자존심! 크으!! 현재 전기차를 운행 중이다 보니 잊고있었는데 다시 감성이 되살아 납니다 ㅋㅋ 얼마전만 해도 회전수 신경쓰면서 달리거나 연비 주행했는데 지금은 그냥 아무신경 안쓰고 있으니 쉽게 잊어버리게 되네요.
@user-cd4yw9mx4q
@user-cd4yw9mx4q Жыл бұрын
형님 부웅~ 해보십쇼ㅋㅌㅋㅋ 부웅~
@user-iv2ri2qo6v
@user-iv2ri2qo6v 2 жыл бұрын
보닛 위에 붙어있는거 보니 엔진이랑 관련있겠지 정도로밖에 생각해본적 없었는데 이렇게 보니 확실히 알았네요ㅋㅋㅋㅋ
@Flover_2
@Flover_2 2 жыл бұрын
진짜 모르는분들을 위해 설명잘해주시니 좋네요 ㅎㅎ 알고있는내용도 있었지만 모르는면도 있어서 배워갑니다
@user-dl7yb4jr7r
@user-dl7yb4jr7r 2 жыл бұрын
누가 옛날에 존나쉽게 설명해준게 있었는데 자연흡기 = 말그대로 자연스레 들숨 날숨 호흡하면서 달리기 터보 = 날숨의 힘으로 바람개비 돌려서 그 바람개비에서 나오는 바람으로 더 많이 공기를 흡입하여 뛰는거 슈퍼차저 = 선풍기 달아서 공기를 더 빠르고 많이 흡입하여 뛰는거 ㅋㅋㅋㅋ
@user-dr4wl3kk7i
@user-dr4wl3kk7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finegold99999
@finegold99999 Ай бұрын
이게 더 어렵고 말이 안되는 설명이네 ㅋㅋㅋㅋㅋㅋㅋ
@user-ss3mp8ge1s
@user-ss3mp8ge1s Ай бұрын
롤스로이스 엔진임 엄청비쌈
@user-py6jp3fi3g
@user-py6jp3fi3g 2 жыл бұрын
레고부품도 저거랑 비슷한게 있었는데 엔진인지 뭔지 몰랐는데 알게됬어요!
@cassisb.3022
@cassisb.3022 2 жыл бұрын
모르겠고 일단 크고 아름다운게 보닛을 뚫고 올라와 있는 그 자체만으로도 로망이야
@Monolith777
@Monolith777 2 жыл бұрын
다알고있지만 영상으로 보니 넘나 재밌는것
@nysdrift625
@nysdrift625 2 жыл бұрын
터보차저는 배기가스 압력을 이용해 터빈을 돌림으로 인해서 과급을 하는 구조죠. 이 때문에 때로는 압력이 과하게 높아질때가 있어 엔진의 손상이 갈수도 있는데 흡기부분에선 블로우오프 밸브(bov, 터보차들이 엑셀을 밟았다 떼었을때, 비둘기 소리같이 바람빠지는 소리를 내는 부분이 얩니다.) 배기부분에선 웨이스트게이트(혹은 엑츄에이터)가 각각 흡입, 배기압력을 조절해 엔진손상을 막아줍니다. 이 두 파츠 역시도 튜닝을 통해 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부스트 콘트롤러, 터빈업 튜닝말고도 과급압을 높일 수 있는 방법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네요. 대부분은 소리때문에 하시긴 하지만요. ) 개인적으로도 터보차량을 타고다니고 있지만. 전 이 bov소리때문에 타고다닌다고해도 과언이 아닐거같네요ㅋㅋ
@nysdrift625
@nysdrift625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저의 단점에 대해서도 덧붙이자면... 일단 엔진 회전수로 출력을 얻는 만큼 그에 비례해 저항이 생기기 때문에 터보차저에 비해 출력상승폭을 기대하기 힘듭니다(저렇게 보닛을 뚫고 나올정도의 크기로 과급압력을 높이지 않는 이상 말이죠.) 또한 과급압력을 전적으로 엔진회전수에 의존하기때문에 버려지는 배기가스를 활용하는 터보차저와는 다르게 열효율이 떨어집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작은배기량에서 고효율을 추구하려는 요즘 차량들에게선 잘 보기 힘든 시스템이기도합니다.
@kyou0099
@kyou0099 2 жыл бұрын
에프터마켓 슈퍼차저 장착한 차량 운행중인데 감성으로 타고다닙니다..ㅎㅎ 루츠식 차저 구동음이 매력적이에요
@user-rx9ze6ck7q
@user-rx9ze6ck7q Жыл бұрын
아 하 그동안 무식하게 저기 뭐지 그렇게 생각했는데 오늘 잘 알았습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갈게요 ㅋㅋ
@user-bi3yg2yi8r
@user-bi3yg2yi8r 2 жыл бұрын
_감사합니다._
@user-ec2ql8pb3l
@user-ec2ql8pb3l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관심 없다가 드래그 레이스 보고 나니까 관심이 가네요
@GiraffePi
@GiraffePi 2 жыл бұрын
대표적으로 재규어 고성능은 수퍼차저를 사용합니다. 슈퍼차저는 장점이 자연흡기와 비슷한 느낌을 주며 토크값이 rpm이 올라가면서 같이 올라가는반면 터보는 부스트가 뜨기전에는 답답한 출력을 내지만 부스트가 터지면 순간 토크가 매우 높습니다. 연비면에서는 터보가 더 효율적이라 요즘은 페라리 포르쉐 등 많은 메이커가 터보로 넘어가며 앞으로는 하이브리드 터보로 넘어가는 추세입니다. 예를들어 앞으로 나오는 밴츠 c63에는 4기통에 터보와 전기모터가 사용된다고 하며 신형 bmw m5에도 하이브리드가 적용됩니다. 많은 매니아가 자연흡기를 고집하는 이유는 터보차는 배기소리가 심심하며 (구리며) 자연흡기는 배기가스를 구지 터빈을 돌리는 재활용을 하지 않기에 우렁찬 소리를 내기때문에 많은 매니아가 자연흡기에 목말라 있습니다. 그래서 포르쉐도 991.1 은 아직 높은 중고가 방어가 되지만 991.2 에는 모든 모델이 터보로 대체되어 중고가가 심하게 무너지는 중 입니다.
@driveismylife6378
@driveismylife6378 2 жыл бұрын
차잘알들의 기본 상식?이죠 ㅋㅋㅋㅋㅋ 당신은 슈퍼차저 vs 터보차저
@_serenade
@_serenade 2 жыл бұрын
이제 슈퍼차저와 터보차저를 설명해주셨으니 이둘을 섞은 트윈차저도 설명해 주실거죠?
@seoholee7419
@seoholee7419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저 터보차저는 고고도에서 운용되는 프로펠러 항공기에도 사용됩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실린더 내부로 공기를 더 넣어야 되기 때문에 사용되죠
@uranusangheljygalagg3103
@uranusangheljygalagg3103 2 жыл бұрын
항공정비할때 교양 과목처럼 쉽게 넘어가는 왕복엔진 부분에서 배웠죠 ㅋㅋㅋ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Жыл бұрын
???: 이거 달면 전투기에 못 넣을것 같은데 걍 흡기에 물뿌리는걸로 때우죠?
@user-pm1ky8hm8c
@user-pm1ky8hm8c Жыл бұрын
항공기에 사용된다기 보다는 항공기술을 자동차에 가져온거죠.고로 원조는 항공기죠.
@howlfbi4404
@howlfbi4404 Жыл бұрын
배기가스때문에온도가높아지는것보다도 공기를압축하게되면 온도가올라가요 그럼 동일체적내에 산소입자가 적어지게되고 이뜨거운압축공기를 공냉이나 수냉으로 한번식혀서엔진으로공급함으로서 출력저하와 실린더과열를막습니다.
@user-vw1jw3bd8o
@user-vw1jw3bd8o 2 жыл бұрын
이건 유용하다!
@user-nr5or3xj5k
@user-nr5or3xj5k Жыл бұрын
이건 여태 몰랐는데 슈퍼차저였군요
@EZCHANGA
@EZCHANGA Жыл бұрын
아우디 초기형 A7 3.0 휘발류 모델도 슈퍼차저였죠... 상당히 재밋게 몰았는데 그립네요
@kephas7772
@kephas7772 Жыл бұрын
수퍼차저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전투기 등 항공기에 쓰인것(개인적으로 좋아하는 F4U콜세어와 P47썬더볼트가 같은 엔진이지만, 수퍼차저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공냉식 성형엔진이라 상대적으로 공기가 희박한 고고도에 약해 수퍼차저 외 터보차저도 필요해 설치한 버전도 나중 나왔을 정도)을 저런 특수 자동차에 적용한 것임...옛 매드맥스 시리즈에서 처음 봤었음...
@user-pu9dz9fq1d
@user-pu9dz9fq1d 2 жыл бұрын
터보차저는 효율적인 방식이고 슈퍼 차저는 고배기량의 직진만 달리는 차에 잘어울리는 방식
@meltdown798
@meltdown798 2 жыл бұрын
이미 알던거지만 더 자세하게 알려주셨네요
@user-ve1pm6wo7v
@user-ve1pm6wo7v 2 жыл бұрын
우와 제가 자동차를 좋아하는데 이게 왜있는지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k76106
@k76106 2 жыл бұрын
수퍼차저는 터보렉이 없죠 다만 저속에서는 좋은데 고속에서는 그다지 이유는 엔진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고알피엠으로 올릴수록 엔진부하가 심하고 토크에 힘이 분산됨 결국 90년대 일본산 터보차저에 수퍼차져 머슬카들이 박살난이유죠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는게 역설적으로 수퍼차저를 거대화해서 내구성을 고배기량엔진만큼 강화하는거죠 그래서 점점 더커짐 이에 터보차저는 추가 개발되어 트원터보라던가 기술이 더 업글되어 앞서갔죠 지금은 감성은 수퍼차져인데 컴터제어에서는 역시 터보차져다라는 느낌?
@user-qg7fz7mv3c
@user-qg7fz7mv3c 2 жыл бұрын
일단 원리는 알았는데 달면 속도가 어느정도 올라가죠?? 추가로 5키로 이상 나오나요??
@user_edylsb3655
@user_edylsb3655 2 жыл бұрын
터보차저에 비해 슈퍼차저는 엔진에 직접 물려있다보니 rpm만 올리면 돌아간다는 점애서 힘을 제깍얻을수있는 자연흡기의 장점을 계승한 대신 설치하기가 더럽게 복잡하죠 ㅋㅋ… 요즘 상용차들은 환경문제로 다운사이징이 유행이라 엔진크기는 줄이고 거기다 터보를 박아서 출력문제를 해결한겁니당
@user-ye4ew2zx9s
@user-ye4ew2zx9s 2 жыл бұрын
차 정비하세요?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Жыл бұрын
디젤이다? 왠만해서 터보 달음 ㅋㅋ
@fierwalt
@fierwalt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신세계네요
@Totoikki
@Totoikki 2 жыл бұрын
매드맥스에 나오는 퓨리오사의 전투트럭이 이런 슈퍼차져를 단 엔진을 2개나 쓴다는것만 보면 얼마나 괴물인지 알수있는 부분
@TOPhoenix
@TOPhoenix 2 жыл бұрын
과급기설명이 약간 부족?틀린? 부분이 있네요. 확실히 효율위주에서는 산소를 더 집어넣어서 똑같은 양의 연료로 조금더 큰 힘을 낼수있는 장점이 있지만, 과급기의 주 사용처는 작은 실린더에서 더 많은 연료를 우겨넣어서 큰 폭팔을 기대할수있는거였습니다. 폭팔시 필요한 산소와 연료가 정해진 비율이 있는데 배기량을 늘리지 않는이상 아무리 연료를 때려 넣어도 비율이 망가져서 큰 기대를 하기 힘들죠. 비슷한 원리로 니트로를 사용할때에 니트로 자체가 폭팔을 크게 만드는게 아니라 실린더 내에서 질소와 산소로 분리되고, 그 산소로 작은 실린더에서 큰 실린더 만큼의 연료를 때려 넣을수있게 만들어주기때문입니다. 단지 니트로가 부피대비 산소량, 가격, 운영 방식 등등 제일 유용했기 때문에 니트로를 사용했었죠.
@racerhoking2465
@racerhoking2465 2 жыл бұрын
깊게들어가면 이게 맞는듯
@user-tu3db8wg9z
@user-tu3db8wg9z 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과급기는 자연흡기의 진공으로 흡입하는 공기에 한계가 있어 강제로 공기를 넣고 공연비 맞게 연료를 넣어 출력을 올리는거죠.
@user-mk8pd8ri7i
@user-mk8pd8ri7i 2 жыл бұрын
멋있네요
@user-dr7xy4gk9j
@user-dr7xy4gk9j 2 жыл бұрын
위쪽의 사각형은 에어 스쿱이라 하는 부품인데 단순히 철망만 쳐져서 불순물만 걸러주고 카뷰레타(현장에서 부란자라 부르는 그것)에서 스로틀링해주는 방식이 있고 분노의 질주 차저에 달리듯이 캡으로 자체 스로틀링 해주는 방식도 있습니다
@wallreidio
@wallreidio 2 жыл бұрын
미국의 자존심 오버헤드벨브의 숙명 간간지 보닛뚫고과급킥 특징도 알려주세요
@user-fe6bj7tu7c
@user-fe6bj7tu7c 2 жыл бұрын
매드맥스에서 차저에다 입으로 기름을 뿌리니까 출력이 올라가는 장면이 있던데 차저에 기름 넣으면 더 강해질 수 도 있나 보군요
@racerhoking2465
@racerhoking2465 2 жыл бұрын
배기가스 온열보다는 공기압축시 발생하는 열을 식히려고 좋은 인터쿨러를 달려고 하죠 이때문에 가격이 엄청 비싼거구 ㅋㅋ
@user-it6fo1mi5h
@user-it6fo1mi5h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부분 얘기하고 싶었는데요ㅋㅋㅋ그리고 열을 식혀야 공기 분자 사이가 촘촘해져서 같은 공간 안에 산소 분자가 많아져서 더 강한 폭발력을 얻을수도 있고요
@user-up7ck3hc8b
@user-up7ck3hc8b 2 жыл бұрын
설명중 틀린게 뜨거운 배기가스를 사용해서 팬을 돌려서 흡기 온도가 올라가는게 아니에요.. 압축으로 인한 압력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거고 인터쿨러로 다시 공기온도를 낮추는 거지요.. 온도가 낮아야 공기밀도가 높아지고 산소공급이 많아져서 엔진에서 완전연소를 해서 출력을 높이는거지요.... 순정차량도 터보차저는 터보랙이 있지요.. 흡기 산소센서랑 배기 산소센서에서 측정해서 ecu에서 연료 분사량 제어라는 타이밍이랑. 일정 배압이 나오지 않으면 터보펜이 작동이 늦어서 랙이 있기도 합니다...
@racerhoking2465
@racerhoking2465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게 보고 댓글달았다가 그부분 몇번 돌려서 봤는데 배기가스 관 뒷말에 공기압축으로인한열로 인터쿨러 단다고도 말씀하셨었네요 ㅋㅋ 자막이 다음으로 넘어가서 잘 안보이고 넘긴듯 ㅋㅋ
@zerocouter-drift
@zerocouter-drift 2 жыл бұрын
흠? 버그캐쳐 예기하는줄 알았는데 슈퍼차저 얘기였네요 ㅋㅋ 폭스바겐의 TSI 엔진은 트윈차저죠
@stpp4318
@stpp4318 2 жыл бұрын
슈퍼챠져 돌아가는 소리에 맛들이면 못벗어나죠 ㅎㅎ
@harang_snow
@harang_snow 2 жыл бұрын
0:05 GTA 온라인에 등장하는 임폰테 루이너 2000입니다. 놀랍게도 점프가 가능한 차량입니다
@chanunglim8048
@chanunglim8048 2 жыл бұрын
The cars with gigantic superchargers (usually for Drag) sometimes has no hoods or bonnets at all.
@Ratatou2
@Ratatou2 2 жыл бұрын
본넷을 뚫고 튀어나온 슈퍼차저는 감성 간지 그자체
@Healz-lagopus
@Healz-lagopus 2 жыл бұрын
어느영화엿는지는 기억안나지만, 이 과급기에 기름을 분무해서 (입에 기름을 머금고 뿜어서;) 폭발력을 올리는듯한 영상도 본거같은데.. 실제로 가능 한가요?
@spy345
@spy345 2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이제 과급기에 대해서는 알게되었습니다 근데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에서 휘발류를 과급기에 뿌리던건 무슨 효과가 생기는건가요?
@_choi2883
@_choi2883 2 жыл бұрын
ㄹㅇ 그거 알아보려고 왔는데
@jjada123
@jjada123 2 жыл бұрын
터보의 강렬한 블로우밸브 소리도좋지만.. 슈퍼차져소리가 개좋음ㅠㅠ
@LUNA_Moon_MARS
@LUNA_Moon_MARS Жыл бұрын
에애에레에애엥
@user-ls1ef7ul5k
@user-ls1ef7ul5k 2 жыл бұрын
이야 미사일인가 싶었는데 지식 하나 늘었다
@maronko1505
@maronko1505 2 жыл бұрын
매드맥스보면 휘발류를 입에 머금고 저 구멍안에 내뿜으면 엄청 빨라지던데 폭발인위적으로 폭발시키는건가요
@user-kd2hw3lg7x
@user-kd2hw3lg7x 2 жыл бұрын
지식 감사합니다
@user-ln3kf8zn6g
@user-ln3kf8zn6g Жыл бұрын
와진짜 궁금했던건데 감사합니다
@유휘
@유휘 8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D
@Landers_r
@Landers_r 2 жыл бұрын
우와
@dndnpdp20
@dndnpdp20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저특유의 윙 윙거리는 소리를 들어보면 갬성이 남다름 ㅋㅋ
@user-lm6no1ir4p
@user-lm6no1ir4p Жыл бұрын
3:29 본론시작
@oitallef1
@oitallef1 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실제로 유탄발사기로 용도를 변환하기도 합니다
@user-nn2wl8qs7s
@user-nn2wl8qs7s 2 жыл бұрын
ㄹㅇ 분노의질주 보고 저게 뭔지 궁금했는데 이름이 뭔지 몰라서 답답했는데 ㅋㅋㅋ
@nissangtr6865
@nissangtr6865 2 жыл бұрын
앜ㅋㅋㅋㅋ 슈퍼차저 이거 분질에서 처음 볼때 진짜 미사일 나가는걸로 생각했었음
@ShiningColdRice
@ShiningColdRice 2 жыл бұрын
레알키키
@KhanIamwhoIam
@KhanIamwhoIam 2 жыл бұрын
스트릿 레이서들은 저렇게 보닛 위로 올라오는 수퍼차져를 블로워 라고 부릅니다.
@Hell-Bovine
@Hell-Bovine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차량 튜닝이 너무 빡빡해.....우리나라서 저런 과급기 달면 바로 벌금 -_-;; 본넷위로 뭔가 튀어 나오면 불법이라나.....뭐라나....
@4D-HUMAN
@4D-HUMAN Жыл бұрын
결론적으로 공기 저항보다 중요한건 폭발력이다.
@itsdohyunforsure
@itsdohyunforsure 2 жыл бұрын
NOS 작동 원리좀 알려주세요
@Kevin-ps9yf
@Kevin-ps9yf Ай бұрын
저 강력한 과급기에다가 입에 머금은 기름을 뿌려서 빨리 달리기 대결을 한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가 생각나네요. ㅋㅋㅋㅋㅋㅋ
@Rano0oo
@Rano0oo 2 жыл бұрын
매드맥스에서 워보이가 연료 입에 머금고 불어 넣는장면. 그것도 산소랑 연료랑 같이넣어서 출력 쎄지게하는건가...
@hopihopi00
@hopihopi00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져는 "쉐에엥~~ 쉐에엥~~~" 하는 소리 듣는 맛도 일품
@jahos5458
@jahos5458 2 жыл бұрын
덧붙이자면, 공연비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 공연비란 공기와 연료의 비율입니다. 연소 효율을 높히기 위해선 적절한 공연비를 맞추는게 중요하죠. 출력을 높히기 위해 엔진을 빠르게 돌리기(연료를 많이 주입시키기)만 해선 연소가 활발히 일어나지 않고 그에 맞는 공기 또한 주입시켜야 합니다. 그러나 차가 달리면서 흡입하는 자연흡기로는 공연비에 맞는 공기량을 주입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저런 차저를 장착하는 것입니다.
@watiptyltd2780
@watiptyltd2780 11 ай бұрын
어디서 줏어 들은 건 있는데, 알것 같기도 하긴 한데, 사실 뭔 소린지는 잘 모르고! 그런데 아는체는 하고 싶고! ㅋ~
@jahos5458
@jahos5458 11 ай бұрын
@watiptyltd2780 대학원 수업에서 교수님께 들은건데용?
@watiptyltd2780
@watiptyltd2780 11 ай бұрын
@@jahos5458 대학원? 교수? ㅋ~ 혹시 어디 상경대나, 국문과 대학원에서 교수가 줏어 들은 걸 잡담 삼아 말 한 건가요? 지금 동네 카센터 가서 님이 써놓은 댓글 보여주면서 뭐가 문제인지 물어봐요! 친한 사장님이라면 "이게 뭔 개소리야?" 라고 할 거고, 잘 모르는 사장님이라면 바쁘니깐 쓸데없는 것 묻지 말고 그냥 가라고 할 겁니다. 제가 아주 길게 달아 놓은 댓글이 바로 님 보라고 써 놓은 글입니다. 참고로 전 상경대 졸업한 문과생입니다. 문과생도 저딴 소리는 안 하는데, 무슨 대학원? 교수?
@jahos5458
@jahos5458 11 ай бұрын
@@watiptyltd2780 님이 어떤 개소리를 정성스럽게 썼는진 안보이는데요 국립대 공대 유체전공에 연소공학 교수님이 한 말이 개소리라고 할정도면 얼마나 대단한 상경대를 다니시길래 그런소릴 하는지 모르겠네요 제 말중에 어디가 잘못됐는지 설명조차 하지도 못하면서 뭔 카센터가서 사장님께 물어보세요 이러고 계세요? 혹시 문과생이라 졸업후에 취업이 안돼서 카센터라도 취업하셨나요? 그래서 공대생이 쓴 글이 아니꼽게 보이신건가요? 제 글중에 어디가 잘못됐는지 설명해보시죠
@jahos5458
@jahos5458 11 ай бұрын
@@watiptyltd2780 주워를 줏어로 쓰는 문과면 수준 잘 보이네요^^
@user-ku9nf7cg2j
@user-ku9nf7cg2j 2 жыл бұрын
매드맥스에서는 그 압축되는 공기에 가솔린을 입으로 더 뿜어준거였군요.
@bca-pu4tk
@bca-pu4tk 11 ай бұрын
gta할때 갱단 npc들이 차량에 저런거 달고다니는거 보면서 진짜 뭐지싶었는데 이제서야 제대로 알고가네요 ㅎㅎ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D
@TV-rt7ol
@TV-rt7ol 2 жыл бұрын
다간 - 터보랜더 (아시는 분 아재)
@user-yt4wm4fr6j
@user-yt4wm4fr6j 2 жыл бұрын
과급을 위한 거란 건 눈치채고 있었지만 저거 자체가 슈퍼차저일거란 건 생각을 못했다....(왜지?)
@Rir5416
@Rir5416 2 жыл бұрын
팝콘이나 백파이어링 설명도 해주세요 ㅠㅠ 원리가 너무 궁금하네요
@user-rr5hi2yy4k
@user-rr5hi2yy4k 2 жыл бұрын
후분사 된 연료가 미연소되어서 매니폴드에서 닿아서 폭발 하구요 고속 구간에는 오버랩이 생겨서 연료가 미연소 될때 똑같이 터져서 소리납니다
@user-ei9ei5wh8c
@user-ei9ei5wh8c 2 жыл бұрын
악셀 밟았다가 뗴는 순간 배기 벨브 닫히면서 배기가스 흐름이 끊기는데 그때 머플러로 나가던 배기가스중에 미연소된 연료가 공기랑 만나면서 폭발하는 현상입니다 팝콘사운드야 요즘은 일부러 배기맥동 컨트롤로 만들수야 있는데 백파이어는 불완전연소를 이용하는거라 효율에서는 그닥 좋은건 아닙니다
@GAU8P
@GAU8P 2 жыл бұрын
백파이어는 연소중 불꽃이 역류해서 심한 손상을 가져오는 결함이고 말씀하신 현상은 연소하지못한 연료가 고온의 배기관에서 점화로 생긴 애프터 파이어 입니다
@user-li1mm4pq2c
@user-li1mm4pq2c 2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계속 생각했었는데요 엔진의 힘을 끌어다 사용하는 슈퍼차저는 필요없는 배기가스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터보에 비해 조금위 에너지 손실이 있을 수도 맀는데 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hoonnamgung4804
@hoonnamgung4804 2 жыл бұрын
아마도 초반 응답성 때매? 배기 나갈필요 없어서 터보렉x
@user-li1mm4pq2c
@user-li1mm4pq2c 2 жыл бұрын
@@hoonnamgung4804 물론 슈퍼차저는 터보에 비해 저rpm에서도 어느정도 일을 하지만 슈퍼차저도 어느정도 rmp이 올라야 의미가 있다고 알아요
@kyou0099
@kyou0099 2 жыл бұрын
에프터마켓 파츠로 루츠식 슈퍼차저 장착한 차량 타고있는데 저속 토크감이 상당히 좋습니다. 터보엔진에 비해서 부드러운 출력곡선으로 터보 장착차량보다 운전이 편하다는 장점도 있구요 그리고 슈퍼차저 구동음은 정말 매력적입니다..ㅎㅎ 에프터마켓 파츠 기준으로 갬성70% 출력특성 30% 정도 이유로 선택하는듯합니다.
@user-vp1lu5qz6o
@user-vp1lu5qz6o 2 жыл бұрын
저게 발명될 당시의 시대를 보시면 현재처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을 돌려서 결과를 예상할수 없던 시대라서 '일단 만들어서 실험부터 해보자' 라고 만들었는데 효율을 떠나 출력이 오른점 하나 그 자체로 실험 성공이라고 생각되어 만들기 시작했다 볼수 있어요
@user-li1mm4pq2c
@user-li1mm4pq2c 2 жыл бұрын
@@user-vp1lu5qz6o 기술력이 발전한 지금도 슈퍼차저는 사용됩니다. 미국의 핼켓 같은 큰 머슬카도 사용하고요 로터스 엑시지, 미니 쿠퍼 같은 고배기량이 아닌 자동차들도 사용을 합니다
@musicmasker1896
@musicmasker1896 2 жыл бұрын
보닛 위에 튀어나온게 Air scoop이고 카뷰레터 > 에어 필터 > 과급기(터보) > 출력 상승
@user-pw7ik1lm7i
@user-pw7ik1lm7i 2 жыл бұрын
1:59 강력ㅎF
@heh4028
@heh4028 2 жыл бұрын
게임에서 저거 달린 차 타보니 시야가 가로막혀서 특히 코너 돌 때 되게 힘들던데 실제론 어떨려나요. 현실운전에선 차종에 따라서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만으로도 시야확보에 지장을 주던데.
@svythk8477
@svythk8477 2 жыл бұрын
당연 시야가 가려 불리하죠.
@musicmasker1896
@musicmasker1896 2 жыл бұрын
그럼 엔진을 뒤에 다는게 좋겠네요 효율이 떨어지지만
@ume1111
@ume1111 2 жыл бұрын
분노의 질주 영화 팬인데 .. 저런 이유가 있었구나 들으면서 알겠는데 누군가한테는 설명 못하겠다.
@user-xs9vk5sd6j
@user-xs9vk5sd6j 6 ай бұрын
혹시 배경으로 나오는 음악 뭔지 알수 있을 까요???
@Beje-M
@Beje-M Жыл бұрын
0:06 나오는 차는 루이너스 2000 이라는 gta 에서 타고 다니는 차량입니다. 다만 그 차량은 일반적으로는 미사일 한방에 터지지만... 특정 CEO 임무를 통해 그 내구성이 엄청 강화가 되서 나오죠 + 유도미사일 에임이 잡히지 않습니다.
@user-fw8rz2pk7t
@user-fw8rz2pk7t Жыл бұрын
@Beje-M
@Beje-M Жыл бұрын
@@user-fw8rz2pk7t 알았어 ! 되
@rmlyome
@rmlyome 2 жыл бұрын
04:52 타이어가 엄청 특이하네요
@philhan2508
@philhan2508 2 жыл бұрын
드래그 레이스용 타이어 입니다. 드래그차량은 대부분 후륜이라 앞에는 얇은걸끼고 뒤에는 접지를 위해 두껍고 넓은 타이어를 낍니다.
@user-oj6jr6vj2c
@user-oj6jr6vj2c 2 жыл бұрын
1분전...!
@Choker144
@Choker144 Жыл бұрын
터보랑 슈퍼차처중 머가 더 좋나요
@CosmoWanderer
@CosmoWanderer 2 жыл бұрын
터보차저 때메 슈퍼차저가 구식 취급 받긴하지만 특유의 소리와 터보렉이 없디시피 해서 미국에서는 아직 잘 나가는 놈이더군요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저는 엔진과 폴리나 기어로 지결 되기때문에 터보렉이 없다는게 장점이기는하나 엔진 파워 일부로 구동 하기때문에 힘이 딸리는 엔진 이라면 오히려 독이 될수도 있기는하죠...
@svythk8477
@svythk8477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도 잘나와있듯이 슈퍼차저는 괴물갇은 큰엔진에 유리합니다. 일반차에는 거의 쓸일이없죠. 구식이라 안쓰는게 아니고요.
@user-ew1si5my1u
@user-ew1si5my1u 11 ай бұрын
내가 차에 관한 걸 보게되는 날이 오다니..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재밌는 자동차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
@user-pr6pr4ld8h
@user-pr6pr4ld8h 2 жыл бұрын
와슈퍼차저
@user-cn8fn9wd3j
@user-cn8fn9wd3j 2 жыл бұрын
와 루이너2000 지금은 상위 5프로이상 정도만 타는 차네요
@user-bx8ks5xu7r
@user-bx8ks5xu7r Жыл бұрын
레고 머스탱 조립하면서 어 이건뭐지? 이랬는데 덕분에 알아갑니다.
@유휘
@유휘 8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D
@_lemon_milk
@_lemon_milk Жыл бұрын
비 오는 날에 운전 가능한가요?
@yeonghunson2040
@yeonghunson2040 2 жыл бұрын
차알못이 하는 자동차 공부... 분노의질주에 나오는 돔이 타는 자동차는 차져가 아니고 챌린져 터보차저의 공기가 뜨거운건 공기 압축으로 인한 발생하는 것이지 배기가스 열때문이 아님 효율을 올리고자 인터쿨러라는 것을 장착한것
@aurorawalkers4334
@aurorawalkers4334 2 жыл бұрын
매드 맥스의 v8 인터셉터도 저런 과급기가 있죠.
@Miyugi.
@Miyugi. 2 жыл бұрын
근데 저 슈퍼차저가 공기저항을 양보해도 될 정도로 그렇게 힘이 좋을까 싶긴한데 다는 사람 입장에선 당연히 좋으니까 다는거겠지?
@lgv4_1019
@lgv4_1019 2 жыл бұрын
ㅇㅇ 빨라짐
@choongmanhan5031
@choongmanhan5031 2 жыл бұрын
매드맥스 에서 보면 저 과급기 구멍에다가 사람이 본넷위에 올라가서 입으로 가글하듯이 휘발류 뿌려주면 차가 갑자기 앞으로 미친듯이 나가던데 그건 왜 그런건가요?
@musicmasker1896
@musicmasker1896 2 жыл бұрын
Air scoop 아래에 카뷰레터가 있어서 그렇거에요
@taro00
@taro00 2 жыл бұрын
GTA에서 버그캐쳐였나 뭐 그렇게 나와있길래 벌레 잡는 건가.. 하고 넘겼었는데 아예 다른거였네요
@bamtoong_daddy
@bamtoong_daddy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져.... 너무 시야가려서 공도에서 몰면 스트레스 오지게 받을거같던데..... 개인적으로는 진짜 드래그용 아니면 쓰면 좀 그럴거같아요...
@user-ht7gt3zc3g
@user-ht7gt3zc3g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져 다 먹어버려!!
@user-bl6mc8lc1g
@user-bl6mc8lc1g 2 жыл бұрын
슈퍼차져
토션빔이 대체 뭐길래 그렇게 흥분할까?
4:55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Turbocharger VS Supercharger - which is better?
8:17
자동차 잇츠 제레미 Car It's Jeremy
Рет қаралды 106 М.
F1엔진을 일반차에 넣지 못하는 이유
3:49
유휘
Рет қаралды 685 М.
남자의 심장을 뛰게하는 4행정 엔진 만들기
5:35
발명킹밥테일
Рет қаралды 534 М.
팝업 라이트의 역사
4:33
유휘
Рет қаралды 358 М.
Volkswagen судится с Volkswagen?
1:00
Кик Брейнс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