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과 신재생 에너지에 대하여 그들이 알려주지 않은 비밀

  Рет қаралды 2,136

Tech Trip

Tech Trip

Ай бұрын

정치권이나 환경단체에서 원자력과 신재생 에너지를 놓고 많은 논쟁들을 해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부분만 주장하고 있으며 불리한 부분은 이야기를 하지 않습니다. 영상을 통해서 스스로의 판단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풍력

Пікірлер: 149
@hyuckijung4021
@hyuckijung4021 Ай бұрын
중국은 제외하더라도 미국과 유럽에 비하여 한국의 해상풍력 & 대규모 태양광 단가 차이는 어디에 기인하는지 궁금하네요? 단순 땅값 차이라면 해상 풍력에서 차이가 크지 않아야 될 것 같고...? 대규모 투자에 따른 시설비가 차이인가요? 그것도 아니라면 발전된 전기를 매입할 때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인위적인 단가 조정이 있는 건가요..? 질문만 하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user-hu9xf9hx3p
@user-hu9xf9hx3p Ай бұрын
땅값차이가 극심하고요 우리는 바람이 상하좌우 360도 공간회전을해서 일정하게 바람부는곳과 비교할수없게 효율이 떨어집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주 간단합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네바다, 텍사스, 아리조나 등은 건조하고 구름 낀 날도 많지 얺으므로 연간 일조량이 대한민국에 비하여 상당히 많습니다. 더군다나 많은 지역들이 사용하지 않는 인구밀도가 낮은 평지를 이용하는 반면, 대한민국 태양광은 부지 부족으로 이젠 산에다가 설치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풍력 또한 미국 중서부의 대평원은 바람이 일정하고 바람 세기가 대한민국에 비하여 큽니다. 바람 세기가 2배면 이론적으로 8배의 전기가 생산되는데 실제로는 3배 조금 웃돈다고 합니다. 더군다나 대한민국은 풍력 또한 입지조건이 마땅치 않아 이젠 서해 먼 바다로 나가기 시작하며 울산에는 아예 부유식, 즉 떠있는 퐁력발전기를 설치한다고 함니다. 상당히 비쌉니다... 그래서 신재생으로 대한민국서 발전하몀 그렇게 비싸게 됩니다...
@hyuckijung4021
@hyuckijung4021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처럼 태양광은 일조량 및 부지 가격에 따라 단가 차이가 있을 거라 쉽게 생각되는데,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 풍력은 비슷한 품질의 바람일 텐데 왜 단가 차이가 날까 궁금했습니다. 대략 검색해보니 외국과 해상 풍력(고정식) 이용율이 50% : 30%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때 바람의 품질 차이가 크네요. 한국은 입지 조건이 쉬운게 없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hyuckijung4021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를 너무 좋아하는데 대한민국은 바람이 너무 약합니다~
@Gilgamesh3047
@Gilgamesh3047 29 күн бұрын
RE100과 택소노미로 2투랩으로 발전을 해야 합니다. 제조업분야는 신재생에너지로 하고, 그 외 비 생산적인 분야는 원자력으로 하는 것이지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29 күн бұрын
그렇습니다. 그나마 가장 경제성이 나오는 지역에 그곳에 적합한 재생 에너지 설비를 최대한 설치하되 나머지는 최대한 원자력으로 가야합니다.
@neutral1664
@neutral1664 Ай бұрын
입으로는 친환경 전기를 외치지만 전기료 천원만 올려도 입에 거품물고 난리칠 사람들 많죠.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그게 심각한 문제입니다. 물론 원전 찬성해도 내가 사는 곳 인근은 반대할 사람 많고요...
@user-jy2dn1gg5u
@user-jy2dn1gg5u 27 күн бұрын
친환경이 맞다 원자력이 맞다 이거는 소모적 논쟁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6월에도 더워 죽게 생겼는데 둘 다 적극적으로 해야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27 күн бұрын
제가 하고 싶은 말이 바로 그것입니다! 원자력발전이 아직 목숨이 붙어있는 것이 다행이구요! 독일은 정치적 접근으로 어설픈 자들의 원자력 폐지로 유럽 평균대비 50프로 높은 전기요금 내고 있습니다.
@user-jy2dn1gg5u
@user-jy2dn1gg5u 26 күн бұрын
@@techtripkorea 맞습니다. 독일은 탈원전하고 전기료 폭탄에 타 국가 대비 더 높은 발전량당 탄소를 배출하는거로 알고았습니다. 원전이 위험하다고 탈원전해버리면 정작 더 중요한 탈탄소를 못하게 될겁니다.
@user-kx5di5wl1c
@user-kx5di5wl1c Ай бұрын
한국은 신재생에너지 하기엔 한계가 너무 명확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네,,,, 일본도 비슷합니다...
@kimdr.5231
@kimdr.5231 Ай бұрын
국가 환경 연구소에서, 우리나라 100%신재생 가능하다고 인터뷰했었습니다.
@user-kx5di5wl1c
@user-kx5di5wl1c Ай бұрын
​@@kimdr.5231 신재생으로 당장 지금의 전력수요 감당 가능하다 해도 그 전기 가격은? 그리고 AI다 로봇이다 뭐다 하며 앞으로 전력수요가 얼마나 늘어날지만 생각해봐도 그 전기들을 신재생으로 감당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겁니까?
@kimdr.5231
@kimdr.5231 Ай бұрын
@@user-kx5di5wl1c 지금 당장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죠. 서서히 전환해 간다는 것이죠. 어차피 신재생에너지는 변수에 대응이 힘들어 ess랑 수소가 같이 커져야 되는 산업입니다. 그냥 쫙 깐다고 되는게 아니구요. 신재생에너지 자체는 초기단가는 많이 들지만, 생산비용은 많이 들지 않습니다. 신재생에너지를 가장 많이 깔고 있는 중국과 미국 두 나라에서 모두 신재생에너지가 최종적으로 더 싸다는 연구도 내놨구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kimdr.5231 개인 의견이겠죠~ 그리고 가능은 하겠지만 천문학적 자금이 들어 가겠죠?
@user-kh4po6no2f
@user-kh4po6no2f Ай бұрын
SMR이 기존 대규모 원전을 대체하여 비교적 안전한 에너지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요? 전문가분들 인터뷰를 보아도 의견들이 분분하셔서, 채널 주인분의 고견도 여쭙고 싶습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제가 원자력 분야는 직접 일해 본 경험이 없어서 정확히 말씀드리기는 그렇습니다만, 나름 스터디해 본 결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원자력발전의 안전성에 대하여 부정적 사례를 드는것이 구 소련의 채르노빌, 미고고의 스리마일, 그리고 일본의 후쿠시만 원전 사고입니다. 저는 이들의 폭발원인을 전부 찾아봤는데 시작점은 비록 다르지만 종착역인 폭발 원인은 모두 수소였습니다. 냉각수로 사용되는 물이 냉각 역할이 실패홤으로써 고온/고압의 환경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원자로의 다른 금속산화물 재질들을 일종의 촉매로 이용하여 고온 수전해 반응을 일으키고 그것이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켜서 폭발할 때 원자로 혹은 주변 장치를 파괴하는 순서로 진행됐습니다. 흔히들 smr로 이야그하는 원자로는 냉각 시스템이 원자로 내부에 들어있으며 사고 시 수소를 발생 시키는 물 대신 염(salt)를 사용합니다. 즉 어떤 조건에 의하여 외부 전원 및 모든 시스템이 완전 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수소 발생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즉 기존에 일어났던 방식으 사고는 원천차단 됩니다. 연료도 기존의 연료봉 형태가 아니어서 폐기물 처리도 훨씬 수월하고 compact하거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깊이 찾아보지 않아서 어느정도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SMR 자체가 아주 compact하고 위의 이유로 안전하다고 간주되므로 그 성능이 입증만 된다면 아주 획기적 기술일 것 같으며 일단 표준설계가 완성되면 설치기간도 짧으므로 미래의 ㄲ술임에 트림 없습니다. 아마, 핵 융합이 완성되어도 꼭 필요할 것입니다. 핵융합발전 돌릴때 시동거는 역할하는 발전 시스템이 필요한데 smr이 가장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hu9xf9hx3p
@user-hu9xf9hx3p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원자력 60원중 외국에 우라늄 사오느라 주는 돈은 1원입니다 ... 거기에 가공 보관 관리 해서 3원정도 대죠 ... 30원이 건설초기투자비 10원이 인건비 나머지가 폐기물 폐로 사고시 보험비용이지요 ... 즉 원자력은 60원중 59원을 국내에 뿌려버리는 돈이고 ... 태양광은 모조리 외국 특히 중국에 주는 돈입니다 ... 실제론 원전 1원 외국에줌 태양광 100원 외국에줌 ... 백배 차이인거지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단 태양광은 한화 큐셀 것도 제법 사용하지 않나요? 물론 중국산도 많이 밀려 오지만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단 태양광은 한화큐셀 제품도 많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user-gu4ph5ct4g
@user-gu4ph5ct4g Ай бұрын
폐기물 폐로 사고시 보험비용 다 포함해서 16원뿐이 안들면 원자력이 무조건 답이네요 원자력발전소 설계비용하고 라이센스등은 한국 어느업체가 가지고 있나요? 주식사야겠네요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국내 태양광은 문재인 정권 시기 이전에는 거의 100% 중국산 태양광이고 지금 보조금 문제 때문에 신규 태양광이나 교체 물량의 경우는 서서히 한화큐셀 제품으로 교체가 이뤄지는데 아직도 여전히 중국산이 남아있긴 합니다. 문제는 이미 신재생 드라이브에 편승한 중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시작한지 얼마 안되서 태양광 패널을 제외한 인버터나 ESS 쪽은 경쟁력이 많이 약합니다... ESS는 이제야 시장 진입 좀 해보려고 하고 있고 인버터는 가격 경쟁력에 밀려서 있던 업체들도 고사되고 있죠. 심지어 인버터는 중국업체들이 경험이 더 많다 보니 기술적으로 국내 업체가 우위에 서기 힘들죠(국내 업체... 1~2개 빼고 다 고사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JG-gw7bp
@JG-gw7bp Ай бұрын
태양광은 청정에너지 시장에서 가장 큰 시장이고, 우리기업 한화, 현대가 있습니다. 엘지가 오랜기간 하다가 사업을 접었죠. 한국의 태양광 기술은 세계최고 기술로 인정받은지 오래입니다. 십오년전쯤엔 모든 공급망이 있었고요.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원하고 보급해야 합니다.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Ай бұрын
결국은..... 핵융합이나 수소경제가 오기 전까진 신재생 비중을 늘리긴 늘려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선결해야될 과제도 많고. 신재생은 이제 발전량 부족보다 지멋대로 폭주하는 발전량 과잉을 걱정해야 할 시점이라 저 폭주하는 추가 발전량을 어떤 식으로 활용해야 할지가 관건이겠죠. 해수 전기분해로 그린 수소 만들어낸다 어쩐다 하는데 결국 효율성 문제로 넘어가면 석탄 개질화 해서 그레이 수소 만드는게 훨신 저렴한데 왜 굳이 그래야 하나 싶어지는거고...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그린 수소는 수입해 오는 것이 오히려 저렴할 것입니다. 그렇게 수입한 수소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가 우리 입장에서는 오히려 중요합니다. 만약 영일만에 정말 가스가 엄청 많다면 블루수소나 청록수소 해봐야겠죠~ 핵융합 된다면 그게 젤 행복하겠죠~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핵융합 이야기 하는거 들어봐도 결국에는 저기 언급되는 발전 방식 중에 원전이 가장 빨리 퇴출되기야 하겠더라고요... 다만 탈원전으로 간다고 해서 그냥 문닫고 땡~ 이 아니라. 기존 원전에서 나온 폐 연료봉들 어떻게든 재활용(핵무기X)해서 원전에서 뽑아낼 수 있는건 골수까지 다 뽑아내고 나서야 버리겠다는 의지가 보이던데... 잘 되면 80~90년쯤 뒤에 탈원전 된다고 하니 지금 40 넘은 분들은 탈원전 되는거 보기 힘들지 않으니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ㅋㅋㅋ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user-ix1hp7cr2v ㅎㅎ 핵 융합이라도 보고 가야할텐더요... 다만, 기상이변은 40넘은 분들도 다들 엄청 구경하고 갑니다~ 에고,,,
@user-kd6yd7ql2k
@user-kd6yd7ql2k Ай бұрын
원전의 단점은 폐기물의 반감기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그정도면...반감기란 단어 자체를 잊어야지요~ 안전하게 보관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user-kj4ff5dy7c
@user-kj4ff5dy7c Ай бұрын
에너지는 안정적 공급 지속적인 공급 이 우선 이 되어야 한다. 풍력 많이 설치 한 나라는 그 만큼 바람이 안정적으로 발전에 사용 가능 하다는 것이 겠지 . 한국 ? 풍력이나 태양광이나 하루 평균 발전 시간이나 발표 해봐라. 그게 우선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전기를 필요한때에 생산 할 수 없다면 그게 발전 맞니? 그냥 상징적인 쑈지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어느 정도까지는 신재생 도입이 맞다고 생각합니다만,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원자력 없이는 혹은 낮은 원자력 비중으로는 작살 나게 됩니다.
@wonjonglee1760
@wonjonglee1760 Ай бұрын
전력은 핵심 중간재로서 소비자생활물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가격(발전단가)이 중요한 것은 맞습니다. 다만, 가격보다 훨씬 중요한것이 공급의 안정성입니다. 정전같은 것 말이지요. 원전이 싸다, 최선이다 하는 집단이 있지만, 원전 100%로 전력을 만들자고는 아무도 주장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원전은 키고 끄는데 100시간이 넘게 걸리는 대표적인 경직성 자원이고, 출력의 변화도 매우 느리거나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전력수요는 시시각각 변화하는데, 원전으로 이를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결과적으로 석탄/LNG/원전/재생e가 효율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고, 현실은 그렇게 운영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재생e가 한국의 경우 상당히 비싼데, 뭐 실제로 경제성이 없을 수도 있지만, 다양한 규제와 더불어 사업허가까지의 정책적 방해물이 너무 많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지체 또는 규제는 발전비용에 고스란히 녹아나고 있는 것이구요. 아울러, 재생e 또는 ESS 기술은 기술발전 & 규모의 경제에 힘입어 가격이 떨어질일만 남았지만, 원전은 그러한 포텐셜이 없다는 점도 있겠습니다. 가격비교는 정말 중요하지만, 그것이 다가 아닙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원전이 단 1기만 가동된다면 그렇습니다만, 여러개가 가동되므로 각각을 다르게 제어하면 문제 없습니다. 그리고 대표적 ESS 관련 기술인 2차전지나 flow battery 역시 오랜동안 연구되어 왔기에 대폭적으로 가격이 내려 가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wonjonglee1760
@wonjonglee1760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글쎄요. 원전비중이 30%도 안되는 지금도 봄철 또는 전력수요가 낮은 명절에 원전 출력감발이 힘들어서 애를 먹는 것이 현실인데요. 아울러, 다양한 ESS형태가 있겠지만 flow 기반 2020년 대비 2030년 비용이 반절 이상 떨어질거라는 추정은 다양한 연구에서 확인가능합니다. Joule 에 실린 Projecting the futur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storage technologies 확인해보셔요.
@wonjonglee1760
@wonjonglee1760 Ай бұрын
아울러 뭐 프랑스와 같이 전력계통이 이웃한 나라와 연계되어 있으면 몰라도, 한국처럼 고립된 전력계통에서 원전 100%는 절대 불가능할 겁니다. 장주기 에너지저장장치를 무수히 짓지않는 이상이요.
@Gemini-rl5xp
@Gemini-rl5xp Ай бұрын
장황하게 지리멸렬하게 써놓으셨는데 본인 말이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듯한 망상에 잡혀있다는걸 알아야지 재생에너지야말로 공급안정성이 낮은거고 천재지변 태풍 토네이도 지진 발생하면 태양광이 무너지지 원전이 무너져요? Ess가격은 누가 낮춰줍니까 당신이? 원전도 남는 전기 ess 저장하면 돠겠네요!! 중국이 미친듯이 원전을 늘리고 았는건 왜일까요? 미국은 그런 중국보다 이미 훨씬 많이 가동중입니다 전력수요가 늘면 늘었지 줄어든다는건 나라 망했다는 소리나 다름 없는거고 제조업 경쟁력 때문에 전기를 싸게 공급할 방법이 원전 뿐이니까 원전을 늘리는 겁니다 태양광 풍력 송전선 비용은 당신이 소득세 백프로내고 당신 계좌 압수해서 깔아보겠습니다 괜찮으시죠? 태양광 효율이 무슨 와계인 기술이 생겨서 지금의 두배세배 됩니까? 그게 아니면 상황에 맞게 깔만큼만 깔면 돠는겁니다 땅도 좁은 나라에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헛망상은 그만하시고요 각 나라마다 상황이 다른 건데 이 영상을 보시고 뜬금 없는 원전 백프로? 무슨 이상한 소릴 하시는지
@givennamesurname9902
@givennamesurname9902 Ай бұрын
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파이를 가지고 있는 태양광이나 풍력도 원전급으로 답 없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태양광 밤에 0이고 낮이라도 한국처럼 날씨가 이모양이면 효율이 나올 수가 없어요 장마철에 발전불가 태풍한번 불면 보수비용 폭탄 풍력은 바람이 일정하게 불어주는 곳도 많지 않은데다가 그나마 설치했던 장소가 산양 서식지 철새 도래지입니다 친환경? 다른 동물 때려잡고 무슨 친환경이 될까요?
@cellics
@cellics Ай бұрын
잘 선택 못하겟으면 반반 치킨 이나 짬짜면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그쵸~
@user-dc9pq8sg8d
@user-dc9pq8sg8d Ай бұрын
윤정부에서 내놓은 균형잡힌 전력생산으로 가는게 맞는 답일거 같습니다. 신재생이 비싸다고 포기하기엔 앞으로의 기술발전이 어떻게 될지도 모르고 위험하다고 포기하기엔 원전이 주는 이득이 너무 크고.. 적절히 비중을 가져가며 끌고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결국 AI로 시작된 에너지 요구량 증가 때문에 세계 각국도, 그리고 RE100에 가입한 회사들도 원전을 찬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신재생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 포함해서요. 그런 방향은 막지 못할 듯합니다~
@sDH8988L
@sDH8988L Ай бұрын
재생에너지를 국내에서 모두 충당하려고 하면 답이 없습니다. 따라서 탈탄소 시대에 재생에너지는 정치적 알력이 생길 가능성이 낮은 나라에서 사오는 것이 가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령 호주같은 곳이 겠죠. 물론, 기저발전은 원자력만한 것은 아직 없다고 봅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수소나 암모니아는 싸게 만드는 나라에서 사오는 것이 더 저렴할 것입니다. 다만, 정치적으로 안정된 나라가 아니면 무슨 일 당할지 모르죠... 혹은 아예 현지에 가서 수소를 만드는 것도 생각해 볼만한데 가성비 높은 수전해 설비는 중국이 잡고 있습니다.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Ай бұрын
결국 답은 원자력이지.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폐기물 문제르해결해야 하는데 반대가 심해서 문제입니다...
@hhpp8623
@hhpp8623 Ай бұрын
원자력 발전의 낮은 단가와 그 이외에도 원자력 발전은 신재생 에너지에 비해 어떤 장점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겠죠? 태양광은 하루 4시간 남짓이고 풍력은 그날 그날 다르고 계절에 따라 다른 것이 단점이며 이것은 곳 원자력의 장점입니다. 높은 가동률이라고도 표현할 수있습니다. 또 하나의 장점을 꼽자면 찬연가스와 연동하여 찬연가스에서 수소를 뽑아내는 블루수소 생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신재생을 이용해서 수소를 얻는 그린수소가 정착되기 전단계인 블루 수소가 상당기간 사용되리라 생각합니다. SMR이라도 빠르게 진행되어 제대로된 장점을 이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akanechang831
@akanechang831 Ай бұрын
신재생 에너지 논의에서 사실 효율성은 최중요 문제가 아니죠 진짜 중요한 건 영상 마지막에 언급하신대로 30%의 석탄 화력 발전의 대체이고 어차피 이산화탄소 때문에라도 신재생 에너지는 도입할 수 밖에 없죠 다만 무조건 싼 전기(를 원하는 건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겨울에 시설 하우스 난방만 200만원 나가거든요)를 대전제로 내세워서 논의 자체를 틀어 막는 게 지금까지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국민 여론이지만 더 이상 논의를 미룰 시간은 이제 없다고 봐야죠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제일 중요한 것은 모든 장단점 다 까놓고 문제를 공유하고 컨세서스를 이루는 노력도하며 설득도 해야겠죠~ 지들 유리한 뎅타만 보여주고 일방통행하는 거, 없애야죠~~
@user-po2tr5tu6p
@user-po2tr5tu6p Ай бұрын
항상 기술의 발전으로 해결해 왔으니 시간이 지나면 고준의 핵폐기물도 처리가능하지 않을까요 ?핵융합 나올때까지 원전으로 계속 발전으로 버티면 좋을 것 같은데
@dkffkanjgopung9724
@dkffkanjgopung9724 Ай бұрын
무리해서 뻘짓만 하는 현재의 상황이 코메디..장사치들에게 놀아나는 정치질하는 인간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모든 것을 만족 시킬 답이 없다는 것이 문제겠조. 비싸고 비싼 전기료를 감당하느냐, 핵이라는 위험한 물질을 다루느냐... 물론 기술 발달이 그 위험성을 줄이겠지만, 사람들 인식은 오랫동안 못바꾸거나 값비싼 전기요금을 직접 체험하기 전까지는 그럴 것입니다.
@kneko1234
@kneko1234 Ай бұрын
50년 이상 고민만 하고 있지요.. 후쿠시마 보세요.. 손도 못대고 있잖아요
@jainb
@jainb Ай бұрын
저는 그래도 핵융합 원전이 상용화 되기전엔 가장 유력한건 풍력발전이라 생각합니다 전기 저장 방식중 양수 발전소를 말했는데요 비싸죠 저수지를 두개 만들어야 하니까 그래서 한때 섬에다 대규모 저수지를 만들고 강물이 아니라 바닷물로 하면 저수지를 하나만 만들어도 될것이니 괜찮치 않을까 생각도 했었는데요 근데 이런거 저런거 다 차치하더라도 풍력이라 생각하는것은 높고 크게만 만들수 있다면 모든 문제를 해결 된다는 생각입니다 풍력발전기 공식은 날개 지름의 제곱에 비례하고 풍속의 세제곱에 비례하는데요 그러니까 현재 가장큰 풍력발전기로 알려진 지이에서 만든 높이 300미터 풍력발전기는 10메가와트 급이라는데요 그들은 14라고 말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크기를 10메가 용량이라 한거 같아서요 아무튼 그것을 기준해서 날개길이 2배 바람이 두배 더 강한 위치까지 높게 만든다면 340메가 와트가 됩니다 소형 원전급인데요 보통의 원전이 1000메가와트 줄여서 1GW 라고 한다면 풍력발전기를 원전급으로 만드는것이 그렇게까지 거대하지 않아도 가능할것입니다 제트기류는 지상1만미터 정도에서 부는 강한 편서풍으로 여름에는 초속 30미터 겨울엔 초속 100미터에 이르기도 하는데요 대형태퓽급인데요 이바람만 바로 이용할수 있다면 전력저장장치도 필요 없다 생각합니다 강한 바람은 날개방향을 조절하면서 속도를 일정하게 할수 있어니까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도 높이 1000미터 날개 길이 200미터 정도를 2000억에서 3000억 정도에 만들수 있다면 원전에 비해 압도적 경쟁력을 확보한다 생각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도 만들어 보고 싶은 마음이 꿀뚝같습니다 날개 지름 1미터 조금 넘는 소형으로 만들어 봐가지곤 정말 그렇게 될지 알수 없어니까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풍력발전기는 초속 30미테 이상이면 작동을 중지하게 됩니다. 바람이 세다고 무조건 발전을 많이 하지느못합니다~ 그리고 바람세기의 세제곱은 이론적 계산이고 일반적으로 바람 세기 2배면 발전양은 3배로 증가합니다~ 감사합니다~
@kulkul5517
@kulkul5517 Ай бұрын
본인이 직접 팔랑개비라도 하나 만들어서 돌려보면 지금 여기에 님이 장황하게 써놓은게 죄다 개소리라는걸 알겁니다. ㅋㅋㅋㅋㅋㅋ
@wave-zj5tp
@wave-zj5tp Ай бұрын
풍력은 대부분이 주인이 외국사람들 태양광도 중국사람들이 다 사들이는중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정말 그렇네요... 그 부분은 간과했었네요! 감사합니바~
@ramieieieie
@ramieieieie Ай бұрын
맥쿼리가 사간다고 난리든만 ㅋㅋㅋㅋㅋㅋ 그놈의 중국탓 어휴
@user-kx5di5wl1c
@user-kx5di5wl1c 12 күн бұрын
​@@ramieieieie VPN써가며 여기 오지말고 그냥 느그 황금방패에서나 놀아라
@kimttx
@kimttx Ай бұрын
전쟁나면 그냥 망하는 거, 비행기도ㅠ막아낸다고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보면 로켓하나로 나라망함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뭐, 전쟁 나면 원전 겨냥 안하더라도 끝장 아닐까요? 국지전이 아닌 이상. 그럼 3차세계대전이고...
@user-yz3ry2hf1n
@user-yz3ry2hf1n Ай бұрын
@didiq
@didiq Ай бұрын
폐기물? 태양광 패널 패기 비용은 포함 된 건가요? 한국 일본은 평지 부족으로 산림을 훼손하고 태양광을 설치하는데, 산사태 등의 비용은 포함되었나요? 기저전력의 안정성은 비용 + - 으로 포함되었나요? ESS가 기저전력원을 완전히 대처할 수 있고 생각하나요?
@Oyster_Perpetual
@Oyster_Perpetual Ай бұрын
태양광 패널은 폐기라도 되지 원전 폐기물은 돈을 들여도 방법이 없는걸..
@kleeo83
@kleeo83 Ай бұрын
왠지모르게 다급하게 따지는 목소리 음성지원
@didiq
@didiq Ай бұрын
@@Oyster_Perpetual 패널 폐기? 어떻게요? 부피 훨씬 더 큰데?
@didiq
@didiq Ай бұрын
@@kleeo83 진실을 말하니, 찔리제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요즘 에너지 단가 따질 때 LCOE라는 방식으로합니다. 균등화 발전단가라고도 하는데 분자는 그 발전장치가 수명을 다할때까지의 투자비+운영비+폐기비용 분모는 역시 수명을 다할때까지 총전기생산량으로 계산합니다. 그러므로 장난치지 않은 data라면 폐기비용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혹시 이런거 가지고 정권 입맛 맞추려고 데이터 조작하는 놈들 있으면 잡아 족쳐야합니다~
@user-vh1qn4cy2f
@user-vh1qn4cy2f Ай бұрын
원전은 지금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더 짓겠다고 계획한 것까지 하면 30기 정도 되나요? 여튼, 그정도로 멈추고, 신재생에너지에 투자를 해야죠. 원전 짓는 비용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투입한 금액, 투자한 금액을 비교하면 비교나 되겠습니까? 투자도 쥐뿔도 안 하는데 신재생에너지 효율이 좋아질 리가 있을까 싶네요. 원전 짓고 운행까지 1, 2년 걸리는 것도 아닌데, 뭔 자꾸 뒷북인지 모르겠네요. 신재생에너지에 제발 투자나 좀 하고 신재생은 안 된다고 말을 해야지... 태양광으로 산 좀 깎아도 10년이면 복구됩니다. 민둥산일 때도 짧은 시간 다 복구했잖아요. 반면, 원전 고준위 영구처리장은 복구가 되나요? 선정이 되는 순간 해당 지역과 그 주변은 죽어버립니다. 누가 거기서 뭔가를 하겠습니까. 아예 안 쓴다 생각하고 만들어야 하는 게 고준위 방폐장입니다. 그리고 원전 처리 비용을 계산했다고요? 그런 개소리는 진짜 왜 자꾸 하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채널 주인에게 하는 말 아닙니다). 전문가라는 인간들도 그러고 있으니. 회사에서 비용을 산정할 때 국내에 사례가 없으면 부서의 장이 뭐라고 할까요? 해외 사례 참고 해봤어, 라고 안 할까요? 영구처리장 운영하는 곳 전세계를 놓고 봐도 아직 없죠? 핀란드였나. 여튼, 유럽 한 곳에서 올해인가, 내년인가 조만간 한 군데 운용한다고 하더군요. 거기 원전 3기인가 처리하는 방폐장입니다. 우리나라는 30기예요. 지하 500미터 이상 파야하는데, 규모가 10배나 커지면 비용이 얼마나 커질까요? 안전 문제는 얼마나 더 엄격해질까요? 그런데 뭔 놈의 처리비용을 넣었다고 자꾸 떠드는 건지. 유럽에 지은 방폐장은 완공까지 40년 넘게 걸렸습니다. 우리나라는 2037년인가에 꽉 찬다고 난리예요. 아직 부지도 선정 못했는데, 날림으로 할 건가요? 활성단층 조사조차도 아직 완성이 안 됐습니다. 조사하는데 예산도 안 써서 몇 년이 걸릴지 모른다는데, 방폐장 대비 하고 있는 것처럼 떠드는 꼴을 보면 진짜 화가 납니다. 위험한 시설이면 더 철저히 준비해야 하는데, 지질조사에 예산도 안 쓰면서 뭔 준비가 됐다고 그러는지. 그런데 뻔뻔하게 비용 산정을 했다고요? 대체 무슨 기준으로 처리비용을 산정했는지 산정 기준이나 좀 공개했으면 좋겠네요. 어느 부분에서 얼마를 책정했고, 어떤식으로 책정하게 됐는지도 구체적으로 공개를 하고 처리비용 이야기를 꺼내야죠. 지들이 무조건 처리비용에 넣었다면 그게 신뢰가 가나요? 3기 방폐장 지었다는 곳. 거긴 연간 유지비용도 천억 단위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 작은 사이즈로도 유지비용이 엄청든다고 예산 책정해놨던데, 10배나 규모가 커야하는 우리나라는 대체 얼마나 더 들까요? 13년 만에 지질조사도 하고, 주민들 반대도 넘어야 하고, 지하 500미터 이상 파서 넓고 튼튼하게 지어야 하는데 말이죠. 빨리 지으려면 돈은 더 많이 드는 법입니다. 주민들 고통은 비용 산정 안 해도 되니 그냥 밀어붙이겠다는 건지, 13년 남았는데 대체 어쩌려는 건지 저는 정말 모르겠네요. 무슨 자신감으로 그 위험한 걸 대충대충 땅속에 묻으려는지도 정말 모르겠습니다. 내가 살아있을 때 안 터지면 된다는 마인드인가요? 그렇게 따지면 산 좀 많이 깎으면 어떻습니까. 내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그에 따른 피해도 딱히 못 느낄 텐데. 영구처리장 문제를 왜 그리 가볍게 생각하는지 정말 이해할 수가 없군요. 서울에 살아서 나몰라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렇게 따지만 산 깎는것도 어차피 지방일테니 서울에서는 상관없을 테니까요. 산을 깎는 건 회복한 사례도 있고, 회복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고준위 방폐장은 한 번 들어서면 주변 일대는 끝입니다. 회복이 안 돼요. 더이상 쓸 수 없는 땅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제발 좀 신중했으면 좋겠네요.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장문의 댓글 감사드립니다. 대부분 논리적이고 맞는 의견이라 생각합니다. 고준위 방폐장 인근에 살고 싶은 사람은 아마 없을 것 같으며 대한민국은 아직 저준위 방폐장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 짓고 말고를 떠나서 고준위 방펴장 건설이 지체된다면 문제가 심각해 질 것이며 지질학적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것 또한 문제겠지요... 고준위 방폐장 운영중인 나라가 말씀하신 핀란드 이외에 프랑스나 스웨덴도 운영 중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만큼 어려운 작업인 것 같습니다. 다만, 원전 없이는 이 나라의 에너지 문제를 풀기 힘들 것 같은데요... 말씀하신대로 지금 있는 것과 계획하여 진행 중인 것만이라도 그에 맞는 방폐장이 필요한데 진행이 제대로 안되니 이 문제를 어찌 풀어 나갈지 걱정입니다. 태양광에 관련해서는 설치도 원전에 비해 빠르지만 문제는 대한민국 땅덩어리가 좁고 평지가 30~40프로에 불과하여 그나마 쓸만한 입지에 이미 태양광이 건설되어 있고 계획 중이겠지만 이젠 여의치 않아 이젠 산으로 가는 겨 같습니다. 그리고 먼 바다까지 가고 있습니다. 바다 멀리 갈수록 설치비와 단가는 상승하는데 그에 따른 전기료 인상은 심각해질 것입니다. 어느정도 경제력이 되는 사람들이야 그에 따른 냉난방비나 인플레이션을 견디겠지만 문제는 얼마 안되는 중산층까지 고통 받을 것 같습니다. 사실 이런 문제야말로 전문가들의 열린 토론 그리고 정책 입안자들까지 국민에게 몽땅 다 까놓고 당면한 어려움과 문제들 그리고 닥칠 일들과 위험성을 공론화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산을 깍든 방폐장을 만들든 해야겠죠~ 사실 디스플레이나 2차전지 혹은 수소관련 영상 만들때는 재미있게 시간 가는 줄 모랐는데 이번 영상 만들면서 정말 우울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이래서 안되고 저래서 안되고, 결국 아무것도 못하게 되는 것이 문제라 생각합니다. 해결 방법을 찾아야 겠지요~ 암튼 장문의 댓글 감사드립니다~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Ай бұрын
깍은 산이 10년이면 복구된다니요. 나무가 흡수하는 탄소가 사라지는건데. 그리고 태양광으로 인한 주민들의 고통과 토양오염은 훨씬 더 광범위합니다. 님 논리는 대형화력발전소는 유해하니, 집집마다 2행정 가솔린 발전기를 사서 그거로 집에서쓸 전기를 발전하자는 소리에요. 오염에 대한 관리도 감독도 집중될때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user-mz3kk6fz9u 앞의 댓글에서 고준위 방폐장 이슈는 사실 맞는 지적입니다. 다만, 문제라서 방치하는 것은 더 큰 문제이구요. 다양한 댓글들 보시면서 대한민국 사람들이 얼마나 이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생각들을 하고 있는지 알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잘못된 인식은 바꾸는 것이 바람직 하구요~ 그런 목적으로 제작한 영상입니다~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간단하게 해결할 방법이 있죠. 환경 기준치에 맞을정도로 분쇄 후 희석해서 전 국토에 뿌리면 됩니다. 과학적 의학적으로 안전합니다.
@user-vh1qn4cy2f
@user-vh1qn4cy2f Ай бұрын
@@user-mz3kk6fz9u 전쟁이후 민둥산이 복구되는데 생각보다 오래 안 걸렸습니다. 대한민국 산 다 깎자는 것도 아니고 똑똑한 사람들이 머리 잘 굴리면 복구 안 어려워요. 흡수하는 탄소 문제는 얼마든지 다른 방법을 동원할 수 있습니다. 탄소 흡수와 관련한 문제는 대한민국에 국한 된 게 아닙니다. 전세계를 놓고 비율을 따져봐야 해요. 그거 깎는다고 얼마나 영향을 줄까요? 하지만 고준위 방폐장 문제는 되돌릴 수가 없습니다. 우리나라를 살아가는 우리국민들 문제고요. 그렇다고 전세계적인 문제를 신경 쓰지 말자는 의미가 아닙니다. 솔직히 우리나라 태양광 기술은 뛰어난 편입니다. 페로브스카이트 같은경우에도 우리나라에서 효율이 제일 좋고요. 비가 오는 날에 효율이 극악으로 떨어지는 등 단점이 명확해서 상용화가 쉽지 않기는 하죠. 하지만 기존 패널에 패로브스카이트를 적층하는 방안도 있고, 여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걸 10년 전에 조금 더 투자해서 연구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얼마나 드는지 모릅니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제발 좀 투자를 해서 연구했으면 하는 겁니다. 원전에 10조, 20조 투자할 돈은 있고,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할 돈은 깎기만 하고. 이게 진짜 올바른 길인가 강한 의문이 듭니다. 투자도 하지 않고 자꾸만 안 좋다고 까는 신재생에너지. 투자는 그냥 아주 무지성으로 하고 위험이 뻔히 보이는 원전. 30기에서 멈춰도 얼마든지 되는데, 무작정 늘리는 게 정말 좋아보이십니까?
@skwnsl11
@skwnsl11 Ай бұрын
생산단가만 따지지 말고 폐기물 처리에 대한 단가와 미래 부지사용의 희생에 대한 보상단가까지 포함해야 한다. 원자력은 이점을 고려하면 현재 최악의 단가를 가진 발전 방식이고 후쿠시마 폐로문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고가 발생시 그 처리 비용에 대한 문제점까지 포함하면 계측이 불가능한 정도라는 것을 염두해 둬야 한다. 고준위 방폐장이 없는 현 상황에서 유럽과 미국은 원자력 발전으로 얻은 전력으로 생산한 제품에 대한 무역장벽을 강하게 걸 것이고 이러한 문제점까지 고려하면 어떤 에너지원을 중심으로 에너지 구조를 재편해야 할지 명백해진다. 최소한 미래의 성장동력 중 하나인 배터리, 반도체, 자동차등 첨단 제조업은 신재생에너지로 감당할 만한 구조로 만들어 놓아야 앞으로 수년내에 닥칠 산업계의 에너지 문제를 피해갈 수 있을 것이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신재생 에너지 비용이 경쟁상대의 2배인데 과연 경쟁력 있을까요? 아마도 이미 다른 이유로 해외에 공장 짓듯이 다들 해외로 빠져 나가고 대한민국은 중소업체와 개인들만 비싼 전기요금 낼 것 같은데요?
@skwnsl11
@skwnsl11 3 күн бұрын
@@techtripkorea 단가는 시스템을 어떻게 대중화시켜 대량생산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이고 그래서 손놓고 있으니면 미래의 문제가 해결되나요? 상대는 정확하게 우리의 문제점을 알고 그것을 장벽으로 치고 있는데….그래 우리 못하니까 안팔아 하고 말씀대로 기업들 다 떠나고 산업 붕괴되는 것 손놓고 있어야 하나요? 누구 좋으라고?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күн бұрын
@@skwnsl11 음,,, 실리콘 태양전지는 이미 끝났습니다. 가상비로 따지면 중국이 다 먹었습니다. 성능 자체도 한화와 비교하서 떨어지지 않습니다. 손놓고 있엇그런 것이 아니라 그들의 가격구조를 극복할 수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2005년경 국내에서 처음으로 파일롯 스케일의 태양광 생산 설비를 구축하는 pjt를 런칭하고 목표까지 도달했으며 그룹 내에서 기술 이관을 통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실리콘 태양전지 양산까지 가게되었습니다. 당시 중국의 존재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기술장벽이 낮고 이론적 효율에 접근함에 따라 중국과의 큰 차별화가 불가능한 지경까지 갔습니다.. 제가 얻은 결론은 기술이 이론적 한계에 접근한 상태에 이르면서 기술적 난이도가 높지 않으면 그 사업은 결국 철수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태양전지 뿐 아니라 LCD도 그런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중화란 것은 시장자체가 큰 중국이 더 유리합니다. 태양전지를 한다몀 더 이상 실리콘이 아니라 perovskite를 실리콘보다 더 싸고 더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할 수있다면 가능합니다. 다시 부연 설명하자면, 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유럽, 미국, 일본 위주로 ㄲ술을 가지고 있던 태양전지 업계가 불가사리 같은 중국이 들어오면서 다 떠난 상태입니다. 손 놓고 있는 것이 아니라 손을 놔버린 것이며, 중국 역시 자기들끼리의 경쟁으로 태양광 관련 기업들이 파산하고 있습니다. 이래도 우리가 들어가야 할까요?
@robertcastle1677
@robertcastle1677 Ай бұрын
핵발전을 신재생으로 전환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후쿠시마 사건이 보여주는거죠. 미래 환경을 현재의 비용만으로 가늠하면 답 없습니다.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그런데 일본은 올스톱했던 원전을 다시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2030년까지 20~22%까지 끌어 올린다고 합니다. 위험성은 있으나 일본도 태양/바람 자원이 대한민국과 유사하여 뾰족하수가 없어 보입니다. 물론 극심한 반대에 부딪치고 있습니다~ 과연 신재생을 대폭 늘여서 공산품 가격, 전기차 충전비용, 냉난방비 등이 대폭 상승한다면 국민들이 얼마나 받아들일 지가 문제입니다.
@robertcastle1677
@robertcastle1677 Ай бұрын
@@techtripkorea 일본은 미래에 대한 고민이 없는 정치 후진국입니다.
@ramieieieie
@ramieieieie Ай бұрын
고준위 폐기장 도대체 어디다 지을건데 ㅋㅋㅋㅋㅋㅋ 원전 좋아하는 경상도에 꼭 짓자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풀어야할 문제인데, 원전 올스톱 시키고 전기요금 3배 증가 물가 20% 이상상승 감내 하시겠습니까? 전기차 충전 요금이 가솔린 보다 높아져도 괜찮을까요? 결국 둘 다 문제이고 방법을 찾는 것이 현명한 일이지, 무조건 안된다야말로 문제 아닌가요?
@user-kx5di5wl1c
@user-kx5di5wl1c 12 күн бұрын
이 3끼.이거 중국에 부정적인 댓글에다가 중국탓 하지마라는 뉘앙스로 대댓글 달고다니는 넘임
@Ario_00
@Ario_00 Ай бұрын
전기요금 올린다고 할 때 개거품 무는것들이 친환경 외치는거 보면 얼마나 어이가 없는지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하는데 둘 다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생각보다 꽤 있는 듯 합니다.
@taenggu7454
@taenggu7454 Ай бұрын
중국의 계략과 유럽의 꼰대짓 콜라보인듯
@techtripkorea
@techtripkorea Ай бұрын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죠~
500년 볼트 역사 뒤바꾼 신개념 볼트 창안한 볼츠원
34:59
디일렉 THEELEC
Рет қаралды 62 М.
Heartwarming Unity at School Event #shorts
00:19
Fabiosa Stories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Alex hid in the closet #shorts
00:14
Mihdens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암모니아의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다!
10:03
Tech Trip
Рет қаралды 22 М.
iPhone socket cleaning #Fixit
0:30
Tamar DB (mt)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НЕ ПОКУПАЙ СМАРТФОН, ПОКА НЕ УЗНАЕШЬ ЭТО! Не ошибись с выбором…
15:23